[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64626B1 -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626B1
KR101864626B1 KR1020170030768A KR20170030768A KR101864626B1 KR 101864626 B1 KR101864626 B1 KR 101864626B1 KR 1020170030768 A KR1020170030768 A KR 1020170030768A KR 20170030768 A KR20170030768 A KR 20170030768A KR 101864626 B1 KR101864626 B1 KR 10186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libration factor
main module
nonvolatile memory
proc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6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4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or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관리하는 관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캘리브레이션 팩터(CALIBRATION FACTOR)를 저장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하는 메인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과 신호 접속되어 상기 메인 모듈과 통신 가능하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 2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CALIBRATION FACTOR MANAGEMENT SYSTEM AND CALIBRATION FACTOR MANAGEMENT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SWITCHGEAR}
본 발명은 배전 기기의 검출 전압이나 전류와 같은 검출 전기 량에 대한 보정 계수{이하 캘리브레이션 팩터(calibration factor)로 칭함}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 기기, 예컨대 부하 개폐기(Load Break Switch)는 지중(地中)을 통해 공급된 전원측 배전전력을 복수의 부하 측 분기회로로 배전하는 전력기기이다.
이러한 부하 개폐기는 상기 분기회로들을 전원 측과 연결하는 폐로 위치, 전원 측과 연결을 차단하는 개로 위치, 접지시키는 접지 위치의 세 가지 위치를 가져서 3 포지션 스위치(3 Position Switch)로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부하 개폐기는, 크게 구분하여 주회로 장치(main circuit switching mechanism)와, 복수의 주회로 부싱(bushing, 분기회로별로 3개의 상별 부싱이 마련)과, 전압 변성기(Potential Transforemer, PT로 통상 약칭됨) 및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통상 CT로 약칭됨)와, 제어부 및 통합단말장치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부하 개폐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고 공개된 아래의 특허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0-0007231 A
상기 주회로 장치는 상기 3가지 위치로 분기회로를 개폐 또는 접지시키는 복수(예컨대 4개)의 스위칭 기구(switching mechanism)와, 해당 스위칭 기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주회로 부싱은 각각의 분기회로별 전력 인출을 위한 선로가 접속되는 복수의 주회로 장치의 출력 단자 부분이다.
상기 전압 변성기는 부하 개폐기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하며 부하개폐기의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변류기는 상기 주회로 부싱의 둘레에 설치되어 분기회로의 상별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는 현장 또는 원격에서 부하개폐기를 개폐 또는 접지 위치로 조작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격지의 상위 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조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단말장치(Remote Terminal Unit)는 부하개폐기의 조작 및 선로 상태를 원격에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합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단말장치에 포함되는 하나의 메인 모듈과 복수의 분기회로별 입출력 모듈에 있어서 전기 량 측정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보정 계수)의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합단말장치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종래기술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측 배전 선로(41)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전기량 즉, 전압과 전류의 검출을 위한 구성은 전압 변성기(Potential Transformer, 통상 PT로 약칭됨)(52)와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통상 CT로 약칭됨)(51) 및 부하개폐기의 제어부(controller)(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측 배전 선로(41)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실제 전기량은 전압이 예컨대 13,200V(볼트), 전류가 400A(암페어)이며, 전압 변성기(52)와 변류기(51) 및 상기 부하개폐기의 제어부(110)를 통해 프로세서 즉, 마이크로 컴퓨터/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인 전압이 4V, 전류가 400mA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직접 또는 컴퓨터(30)를 통해서 통합단말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분기회로별 입출력 모듈(20)을 포함한다.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카드(card)형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백 플레인 연결자(back plain connector, 또는 백 플레인으로 약칭됨)(15)로 통칭되는 병렬 연결자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미 도시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하여 상기 전압 4V를 12,000V의 디지털 변환 값으로 변환하여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측 배전 선로(41)를 통해 부하 개폐기에 공급(인가)되는 전기량에 따른 실제 전압 13,200V와 인식한 전압 12,000V의 디지털 변환 인식 값의 차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배전 선로의 감시와 제어에 오류가 발생하여 신뢰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실제 인가전압과 변환 인식 값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컴퓨터(30)를 통해서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모듈(20)에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연산 및 저장 명령과 함께 전원 측 배전 선로(41)를 통해 부하 개폐기에 공급(인가)되는 실제 전기량 예컨대 실제 전압 13,200V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러면,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모듈(20)에 구비되는 프로세서 즉, 제 1 프로세서(10c)와 제 2 프로세서(20c)는 각각 컴퓨터(30)가 제공하는 실제 전기량 데이터와 상술한 바와 같이 변류기(51) 또는 전압 변성기(52)를 통해 검출되고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모듈(20)에 구비되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변환되어 입력되는 전기량을 근거로 다음 식(1)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팩터(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7024249575-pat00001
상기 예와 같은 실제 인가 전기량 13,200V와, 디지털 변환 인식 전기량 12,000V를 상기 식에 대입하면 캘리브레이션 팩터는 1.1이 산출된다.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팩터는 메인 모듈(10)에 구비되는 휘발성 메모리와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에 구비되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후 입력되는 디지털 변환 인식 전기량에 대해 해당 캘리브레이션 팩터가 곱해져서 실제 인가되는 전기량을 정확히 인식하게 활용된다.
메인 모듈(10)은 휘발성 메모리로서 제 1 휘발성 메모리(10a)를 구비하며 비휘발성 메모리는 구비하지 않는다.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휘발성 메모리로서 제 2 휘발성 메모리(20a)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인가되는 전기량이 없는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 팩터 산출 기능을 수행하면 잘못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팩터, 예컨대 O(zero)이 저장되어 배전 기기(부하 개폐기)에 인가되는 전기량이 이후 계속해서 정확하게 인식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합단말장치를 가진 배전 기기기의 제조자가 공장에서 제품을 출하하기 전에 정상적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해 놓지만, 비휘발성 메모리의 비정상 동작, 현장에서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저장해 놓은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현장에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다시 산출시켜 저장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미 사용중인 배전 선로를 차단하고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다시 산출시키는 것도 곤란하고, 배전 선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하더라도 입출력 모듈별로 해당 분기회로별 주회로 부싱 또는 전압 변성기에 전류 또는 전압 인가장치를 연결해서 전원 측 배전 선로의 전기량을 인가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관리하는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비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관리하는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팩터(CALIBRATION FACTOR)를 저장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하는 메인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과 신호 접속되어 상기 메인 모듈과 통신 가능하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 2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상기 메인 모듈에 통신 접속되어,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와 제 1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전송을 명령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고,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영(zero)이 아니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으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영(zero)이거나 모두 손상된 경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출력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1 동작 단계; 및
상기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과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2 동작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0(zero)이 아니고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정상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로서 0(zero)이거나 데이터가 손상된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던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복구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모두 0(zero)이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된 경우,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의 프로세서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재연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메인 모듈과 입출력모듈을 포함하며, 메인 모듈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 및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도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보존할 수 있으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 모듈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 및 제 2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도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보존할 수 있고, 제 2 프로세서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 모듈이 메인 모듈과 신호 접속되므로 메인 모듈로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메인 모듈에 통신 접속되어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와 제 1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전송을 명령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고,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므로, 메인 모듈의 제 1 휘발성 메모리를 통해서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던 캘리브레이션 팩터와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메인 모듈에 접속한 컴퓨터를 통해 입수하여 비교하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영(zero)이 아니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자신이 속하지 않은 상대 모듈(자신이 속한 모듈이 메인 모듈이면 입출력 모듈, 자신이 속한 모듈이 입출력 모듈이면 메인 모듈)로부터 읽어와서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므로,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 중 비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를 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로 대체하여 저장함으로써 비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영(zero)이거나 모두 손상된 경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도록 구성되므로,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이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가 모두 비정상 상태인 경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저장함으로써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은, 입출력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1 동작 단계; 및 상기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과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2 동작 단계;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의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0(zero)이 아니고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정상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로서 0(zero)이거나 데이터가 손상된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던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복구 단계를 더 포함하므로,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 중 비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를 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로 대체하여 저장함으로써 비정상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가진 측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모두 0(zero)이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된 경우,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의 프로세서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재연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므로,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이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가 모두 비정상 상태인 경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저장함으로써 메인 모듈과 입출력 모듈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 기기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 구성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 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하나의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을 포함하게 구성된다.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카드(card)형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백 플레인 연결자(15)로 통칭되는 병렬 연결자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메인 모듈(10)과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미 도시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한다.
하나의 메인 모듈(10)은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에 백 플레인 연결자(15)를 통해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복수의 입출력 모듈(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메인 모듈(10)은 제 1 휘발성 메모리(10a)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 및 제 1 프로세서(10c)를 구비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10a)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는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한다.
제 1 휘발성 메모리(10a)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데이터의 보존이 보장되지 않는 메모리로서 예컨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메모리로서 예컨대 FRAM(Ferroelctr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휘발성 메모리(10a)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가 저장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는 후술하는 컴퓨터(30)가 제공하는 상기 배전 기기의 실제 전기량 (예컨대 실제 전류와 실제 전압) 또는 도 2의 변류기(51)와 전압 변성기(52)가 검출하여 부하 개폐기의 제어부(110)로부터 받은 상기 배전 기기의 실제 전기량을 근거로, 제 1 프로세서(10c)가 연산하여 제 1 휘발성 메모리(10a)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다.
제 1 프로세서(10c)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전술한 식(1)과 제 1 프로세서(10c)에 포함되는 미 도시한 프로그램 저장수단에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실제 전기량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변환한 값과 상기 실제 전기량(실제 인가 전기량)을 상기 식(1)에 대입하여 연산함으로써 제 1 프로세서(10c)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할 수 있다.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의 개수는 배전 기기, 예컨대 부하 개폐기(110)에 있어서 부하 개폐기(110)에 접속되는 부하 측 분기회로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입출력 모듈(20)의 개수는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상기 메인 모듈(10)과 백 플레인 연결자(15)를 통해서 신호 접속되어 상기 메인 모듈(10)과 통신 가능하다.
복수의 입출력 모듈(20)은 각각 제 2 휘발성 메모리(20a)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 및 제 2 프로세서(20c)를 구비한다.
각각의 입출력 모듈(20)에 포함된 제 2 휘발성 메모리(20a)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는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한다.
제 2 휘발성 메모리(20a)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가 저장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는 후술하는 컴퓨터(30)가 제공하는 상기 배전 기기의 실제 전기 량 또는 도 2의 변류기(51)와 전압 변성기(52)가 검출하여 부하 개폐기의 제어부(110)로부터 받은 상기 배전 기기의 실제 전기량을 근거로, 제 2 프로세서(20c)가 연산하여 제 2 휘발성 메모리(20a)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다.
제 2 프로세서(20c)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전술한 식(1)과 제 2 프로세서(20c)에 포함되는 미 도시한 프로그램 저장수단에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실제 전기량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변환한 값과 상기 실제 전기량(실제 인가 전기량)을 상기 식(1)에 대입하여 연산함으로써 제 2 프로세서(20c)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로세서(20c)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된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읽어와서 백 플레인 연결자(15)를 통해서 메인 모듈(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는 컴퓨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30)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패드(Pad) 형 컴퓨터, 휴대형 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30)는 상기 메인 모듈(10)에 통신 접속되어,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와 제 1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전송을 명령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메인 모듈(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제 1 휘발성 메모리(10a)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컴퓨터(30)는 상기 두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컴퓨터(30)에 포함되는 표시부(display)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제 1 휘발성 메모리(10a)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입출력 모듈(20)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메인 모듈(10)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다.
메인 모듈(10)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입출력 모듈(20)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영(zero)이 아니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으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 데이터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하나는 영이고 다른 하나는 영이 아닐 경우, 영이 아닌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 판별한다.
또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하나는 손상되었고 다른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을 경우,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 판별한다.
또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미리 설정된 정상 데이터의 범위 값과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정상 데이터의 범위 값 내에 속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정상 데이터의 범위 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정상 데이터의 범위 값 내에 속하는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 판별한다.
여기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스스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시함에 따라 컴퓨터(30)가 명령 신호를 메인 모듈(10)에 전송하고 해당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즉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모듈(10)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입출력 모듈(20)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영(zero)이거나 모두 손상된 경우,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는 방법은 식(1)과 관련하여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산출방법과 같으므로 중복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영(zero)이 아니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자신이 속하지 않은 상대 모듈(자신이 속한 모듈이 메인 모듈이면 입출력 모듈, 자신이 속한 모듈이 입출력 모듈이면 메인 모듈)로부터 읽어와서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즉 제 1 프로세서 또는 제 2 프로세서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는 것)이 수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시함에 따라 컴퓨터(30)가 명령 신호를 메인 모듈(10)에 전송하고 해당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즉 제 1 프로세서 또는 제 2 프로세서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주로 참조하고 도 2 내지 도 3을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 또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동작(제 1 동작 단계)은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와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한 준비 동작으로 볼 수 있다.
제 2 동작(제 2 동작 단계)은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컴퓨터(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과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제 2 데이터)를 모두 메인 모듈(10)을 통해서 컴퓨터(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정상적인지 여부와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판단 근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제 2 동작은,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개입 없이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가 미리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정상적인지 여부와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를 제 1 프로세서(10c)에게 제공하는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동작은 상기 처리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동작 주기에 따라 수행(예컨대 2시간마다 한 번씩 수행하거나 1일에 한번 수행)될 수 있다.
제 3 동작(제 3 동작 단계)은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를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하거나 입출력 모듈(20)의 휘발성 메모리(20a)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동작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 또는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는 비정상이고 다른 하나는 정상일 때, 비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가 비정상인 상태는 그 값이 0(zero)이거나 데이터가 손상된 상태(일명 깨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 4 동작(제 4 동작 단계)은 입출력 모듈(20) 및 메인 모듈(10)의 프로세서 즉, 제 2 프로세서(20c) 또는 제 1 프로세서(10c)가 각각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입출력 모듈(20) 또는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즉,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도 4를 주로 참조하고 도 2 내지 도 3을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과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있어서 단계 S1에서 제 1 동작(제 1 동작 단계)을 실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에서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는 입출력 모듈(20)의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전송하고,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및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스스로 일정 주기마다 제 1 동작을 실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에 컴퓨터(30)를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30)를 통해서 지시함에 따라 컴퓨터(30)가 명령 신호를 메인 모듈(10)에 전송하고 해당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및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제 1 동작을 실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단계 S2에서 제 2 동작(동작 2)을 실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컴퓨터(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과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단계 S2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프로세서(10c) 또는 제 2 프로세서(20c)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 및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가 단계 S2의 제 2 동작을 실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단계 S2에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스스로 확인하고 비교한다.
제 2 동작(동작 2)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세부 단계(동작)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단계 S2-1, S2-2 및 S2-3가 그것이다.
단계 S2-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둘 모두 O(zero)인지 확인한다.
단계 S2-1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O(zero)인지 확인한다.
단계 S2-1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O(zero)이라면 후술하는 단계 S4를 진행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O(zero)이 아니라면 단계 S2-2를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둘 모두 손상되었는지 (일명 데이터가 깨졌는지) 확인한다.
단계 S2-2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되었는지 (일명 데이터가 깨졌는지) 확인한다.
단계 S2-2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되었다면 후술하는 단계 S4를 진행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손상되지 않았다면 단계 S2-3를 진행한다.
단계 S2-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서로 불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단계 S2-3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서로 불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단계 S2-3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불일치한다면 단계 S5를 진행하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한다면 단계 S3를 진행한다.
단계 S5는 비정상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복구 단계이다.
단계 S5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 또는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0(zero)이거나 데이터가 손상된 비정상 데이터를 0(zero)이 아니고 손상되지 않은 정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입출력 모듈(20) 또는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즉,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중 어느 하나만 정상 데이터인 상태이므로, 예컨대 제 1 데이터가 비정상이라면,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제 2 데이터를 입출력 모듈(20)에 전송하여 비정상인 제 1 데이터를 정상인 제 2 데이터로 대체하여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에 저장한다. 또한, 예컨대 제 2 데이터가 비정상이라면,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비정상인 제 2 데이터를 정상인 제 1 데이터로 대체하여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한다.
한편, 단계 S4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재연산 저장 단계이다.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모두 0(zero)이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된 경우,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 및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입출력 모듈(20)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20b) 또는 메인 모듈(10)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한다.
입출력 모듈(20)의 제 2 프로세서(20c) 및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는 방법은 식(1)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단계 S2-3에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한다면 단계 S3를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두 데이터 즉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인 모듈(10)의 제 1 프로세서(10c)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휘발성 메모리(10a)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메인 모듈(10)의 비휘발성 메모리(10b)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두 데이터 즉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은, 사용중인 배전 선로를 차단할 필요가 없으며 간편하게 메인 모듈과 입출력모듈에 각각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고, 비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를 정상인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로 대체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복구하거나 메인 모듈과 입출력모듈에 각각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 데이터가 모두 비정상인 경우 새로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연산하여 저장함으로써 배전 기기(부하 개폐기)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이후 계속해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메인 모듈(main module) 10a: 제 1 휘발성 메모리
10b: 제 1 비휘발성 메모리 10c: 제 1 프로세서
15: 백 플레인 연결자(back plain connector)
20: 입출력 모듈(I/O module)
20a: 제 2 휘발성 메모리 20b: 제 2 비휘발성 메모리
20c: 제 2 프로세서 30: 컴퓨터
41: 전원측 배전 선로 51: 변류기
52: 전압 변성기 100: 통합단말장치

Claims (8)

  1.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팩터(CALIBRATION FACTOR)를 저장하는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1 휘발성 메모리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하는 메인 모듈;
    상기 메인 모듈과 신호 접속되어 상기 메인 모듈과 통신 가능하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저장하는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산출하고 제 2 휘발성 메모리와 제 2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 2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에 통신 접속되어,
    제 1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와 제 1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전송을 명령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메인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이고,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가 제 1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전송한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영(zero)이 아니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손상되지 않았으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정상인 데이터를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모듈의 제 1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제 2 비휘발성 메모리가 저장하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가 모두 영(zero)이거나 모두 손상된 경우,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6.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출력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를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 1 동작 단계;
    상기 메인 모듈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제 2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1 데이터와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캘리브레이션 팩터의 제 2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과 데이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2 동작 단계; 및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값이 모두 0(zero)이거나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모두 손상된 경우,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메인 모듈의 프로세서가 캘리브레이션 팩터를 새로 연산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캘리브레이션 팩터 재연산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중 0(zero)이 아니고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를 정상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로서 0(zero)이거나 손상된 비정상 데이터를 저장하였던 상기 입출력 모듈 또는 상기 메인 모듈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복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방법.
  8. 삭제
KR1020170030768A 2017-03-10 2017-03-10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6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68A KR101864626B1 (ko) 2017-03-10 2017-03-10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68A KR101864626B1 (ko) 2017-03-10 2017-03-10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626B1 true KR101864626B1 (ko) 2018-07-13

Family

ID=6291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4626B1 (ko) 2017-03-10 2017-03-10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2948A (zh) * 2022-07-29 2022-09-27 苏州维众数据技术有限公司 多分支电量校准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030A (ja) * 1993-12-28 1995-07-28 Hitachi Ltd デジタル保護制御方法
JPH11164486A (ja) * 1997-11-28 1999-06-18 Denso Corp 計測誤差補償用不揮発メモリを有する計測装置
JP2006139507A (ja) * 2004-11-11 2006-06-01 Sharp Corp プログラム訂正方法、電子機器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20140047274A (ko) * 2012-10-12 2014-04-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
KR20140118409A (ko) * 2013-03-29 2014-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에서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16166809A (ja) * 2015-03-10 2016-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計測ユニット、プログラム、電力計測方法、分電盤、分電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030A (ja) * 1993-12-28 1995-07-28 Hitachi Ltd デジタル保護制御方法
JPH11164486A (ja) * 1997-11-28 1999-06-18 Denso Corp 計測誤差補償用不揮発メモリを有する計測装置
JP2006139507A (ja) * 2004-11-11 2006-06-01 Sharp Corp プログラム訂正方法、電子機器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20140047274A (ko) * 2012-10-12 2014-04-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
KR20140118409A (ko) * 2013-03-29 2014-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에서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16166809A (ja) * 2015-03-10 2016-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計測ユニット、プログラム、電力計測方法、分電盤、分電盤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2948A (zh) * 2022-07-29 2022-09-27 苏州维众数据技术有限公司 多分支电量校准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862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류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EP2940484B1 (en) Electric power meter capable of monitoring contact status of latch relay
EP31893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voltage
US10998683B2 (en) Connector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US8493231B2 (en) Power meter having fault tolerance
US20080100975A1 (e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US20100201342A1 (e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ldgerates
US10176940B2 (en) Electrical cable section detection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circuit breaker
BR112015019138B1 (pt) Método de monitorar e controlar uma operação de um medidor eletricamente conectado entre a fonte de energia e uma carga, aparelho eletricamente conectado entre a fonte de energia e a carga, meio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o, e medidor eletricamente conectado entre a fonte de energia e a carga
TW202014822A (zh) 電壓補償系統、壓降補償方法與多節點系統
CN108631323B (zh) 用于冗余线路电压降补偿的系统和方法
US20170154745A1 (en) System and method with timing self-configuration
US20180212415A1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KR101864626B1 (ko) 배전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팩터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US20150117077A1 (en) Ac / dc power bank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20080086649A1 (en) Power Supply Device
RU260620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генератором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US113097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landing protection
EP333818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mean time to failure of an electrical device
EP2972653B1 (en)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data amongst controllers in a power supply system
CN108110999B (zh) 配电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649897B1 (ko)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가스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전력공급 장치와 그 방법
CN101938109A (zh) 电子式电路断路器
CN217766640U (zh) 一种老化测试系统
CN109633507A (zh) 具有自诊断功能的电压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