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53898B1 -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898B1
KR101853898B1 KR1020180028749A KR20180028749A KR101853898B1 KR 101853898 B1 KR101853898 B1 KR 101853898B1 KR 1020180028749 A KR1020180028749 A KR 1020180028749A KR 20180028749 A KR20180028749 A KR 20180028749A KR 101853898 B1 KR101853898 B1 KR 10185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ilter
ballast water
plat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준
Original Assignee
권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준 filed Critical 권영준
Priority to KR102018002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Hole)부에 회전방향으로 가이드 적용하여 회전시 플랜지(Flange) 걸림 또는 끼임과 같은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모터의 소손이 발생되지 않고, 고온, 고습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변형 및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필터장치의 정상 작동으로 인한 필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부플레이트에 강도가 개선되어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나 고온, 고습에 의한 변형 및 박리 현상 발생이 방지되어 파손 및 엘리먼트 돌출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플레이트의 파손 및 엘리먼트의 돌출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엘리먼트에 구비된 오링이 탈거되지 않고, 이로 인해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의 통과 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을 갖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선박의 평형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있어서, 엘리먼트 케이싱(100)과,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를 통해 체결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02)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로 구비된 상부플레이트(200)와, 상기 다수의 홀(202)에 일치되며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평형수를 여과하는 엘리먼트(300) 및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다수의 홀(202)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여과를 위한 상기 평형수를 공급하는 상부암(410)을 구비한 필터세척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와 상기 하측플레이트(220)는 고압 발생시 상기 엘리먼트(300)의 들뜸이 방지되는 단일 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는,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일치된 중심을 갖고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측에 위치된 내측플레이트(210a)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의 외주에 일치된 내주를 가져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에 정합되어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가장자리측에 위치된 외측플레이트(21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FILTER FOR BALLAST OF SHIP}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원추형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하여 평형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의 고온, 고습 등으로 인한 변형 및 박리 현상, 강도 부족으로 인한 파손 및 엘리먼트의 돌출 현상 등이 방지되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박에서 사용되는 평형수는 대기 및 대양의 환경과 내부 부품의 보호 등을 위하여 여과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한 평형수 여과장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 개의 원통형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하여 평형수가 이 필터 엘리먼트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일반적인 선박용 평형수 필터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케이싱(2)의 내부에 다수 개의 필터 엘리먼트(10)가 설치되고, 케이싱(2)은 여과를 필요로 하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4)와, 필터 엘리먼트(10)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구(6)를 구비한다.
또한, 입구(4)를 통하여 유입되는 평형수는 다수 개의 원통형 필터 엘리먼트(10)의 내부로 들어가고, 필터 엘리먼트(10)의 외부를 나오면서 이물질이 필터링 된 후 필터링 된 물이 출구(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 엘리먼트(10)는 일정시간 이상 사용되면, 그 내부에는 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모이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실질적으로 필터 엘리먼트(10)의 원통상의 필터부 내부에 모이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면 필터 엘리먼트(10)의 필터 여과 막힘이 발생하게 되어 평형수의 여과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 엘리먼트(10)의 여과 막힘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역세정(back flushing)이 수행되며, 이러한 역세정은 필터 엘리먼트(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을 흘리는 것에 의하여 내부에 있던 이물질을 역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역세정을 위하여, 케이싱(2) 내부에는 역세정을 위한 필터 엘리먼트(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역세정파이프(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역세정파이프(8)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역세정용 펌프와 연결되어 있어서, 펌프가 동작하게 되면 필터 엘리먼트 내부에서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역세정시의 물의 흐름은, 필터 엘리먼트(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의 흐름에 의하여 필터 엘리먼트(10) 내부에 있는 이물질이 역세정 파이프(8)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역세정 파이프(8)는 다수 개로 구성되는 필터 엘리먼트(10)를 모두 역세정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싱(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1에서는 이러한 회전을 위한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역세정 파이프(8)의 입구(8a)는 필터 엘리먼트(10)의 입구와 연통하도록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격벽(12)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역세정파이프(8)는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에 의하여 각각의 필터 엘리먼트(1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해당하는 필터 엘리먼트(10)를 역세정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박용 평형수 필터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Hole)부에 회전방향으로 가이드 적용하여 회전시 플랜지(Flange) 걸림 또는 끼임과 같은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가 발생되어 모터의 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선박용 평형수 필터 어셈블리의 상부플레이트는 고온, 고습에 의한 변형 및 박리 현상이 발생해 비정상 작동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의 강도 부족으로 변형, 파손에 의한 엘리먼트 돌출 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엘리먼트에 구비된 오링이 플레이트의 변형 및 파손으로 엘리먼트의 들뜸 현상 등의 문제로 인해 탈거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98693호(2013.09.05.)
2. 한국 등록특허 제10-0354451호(2002.09.13.)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Hole)부에 회전방향으로 가이드 적용하여 회전시 플랜지(Flange) 걸림 또는 끼임과 같은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모터의 소손이 발생되지 않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온, 고습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변형 및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필터장치의 정상 작동으로 인한 필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부플레이트에 강도가 개선되어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나 고온, 고습에 의한 변형 및 박리 현상 발생이 방지되어 파손 및 엘리먼트 돌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플레이트의 변형 및 파손으로 엘리먼트의 들뜸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엘리먼트에 구비된 오링이 탈거되지 않고, 이로 인해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의 통과 등의 문제가 없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선박의 평형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있어서, 엘리먼트 케이싱(100)과,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를 통해 체결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02)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로 구비된 상부플레이트(200)와, 상기 다수의 홀(202)에 일치되며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평형수를 여과하는 엘리먼트(300) 및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다수의 홀(202)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여과를 위한 상기 평형수를 공급하는 상부암(410)을 구비한 필터세척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와 상기 하측플레이트(220)는 고압 발생시 상기 엘리먼트(300)의 들뜸이 방지되는 단일 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는,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일치된 중심을 갖고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측에 위치된 내측플레이트(210a)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의 외주에 일치된 내주를 가져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에 정합되어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가장자리측에 위치된 외측플레이트(21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측플레이트(210)는 상기 홀(202)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엘리먼트(300)가 체결되는 체결부(212)가 구비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금속 재질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Hole)부에 회전방향으로 가이드 적용하여 회전시 플랜지(Flange) 걸림 또는 끼임과 같은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모터의 소손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고온, 고습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변형 및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필터장치의 정상 작동으로 인한 필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상부플레이트에 강도가 개선되어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나 고온, 고습에 의한 변형 및 박리 현상 발생이 방지되어 파손 및 엘리먼트 돌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플레이트의 변형 및 파손으로 엘리먼트의 들뜸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엘리먼트에 구비된 오링이 탈거되지 않고, 이로 인해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의 통과 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의 도면.
도 2는 종래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의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측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의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측플레이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다수의 원통형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하여 평형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의 고온, 고습 등으로 인한 변형 및 박리 현상, 강도 부족으로 인한 파손 및 엘리먼트의 돌출 현상 등이 방지되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선박의 평형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있어서, 엘리먼트 케이싱(100), 상부플레이트(200), 엘리먼트(300), 필터세척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엘리먼트 케이싱(100)은 후술될 엘리먼트(300)가 원형을 이루며 다수로 내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플레이트(200)는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상부 단에 다수의 볼트를 통해 체결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02)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로 구비된다.
상부플레이트(200)는 중심측은 후술될 필터세척수단(400)이 관통되도록 중공의 원판체로 구비되며, 중공 중심의 가장자리측 내부와 외측 가장자리측 내부 및 각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이격된 사이의 내부 각각에 중공을 따라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형을 이루는 다수의 홀(202)이 형성된다.
엘리먼트(300)는 다수의 홀(202)에 일치되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평형수를 여과한다.
이러한, 엘리먼트(300)는 하단측의 단부가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하부측 내부에 구비된 하부플레이트(도면부호 미기재)에 하부가 지지되어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이때 하부플레이트에는 상부플레이트(200)와 같이 다수의 홀이 구비되어 엘리먼트(300)의 단부가 상부플레이트(200)의 홀에 내삽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먼트(300)는 상부플레이트(200)에 내삽되어 접촉하는 단부측의 외주면에 오링이 내삽된 형태로 구비되어 누수 방지를 위한 실링을 도모한다.
여기서, 엘리먼트(300)는 원추형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세척수단(400)은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다수의 홀(202)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여과를 위한 평형수를 공급하는 상부암(410)을 구비한다.
필터세척수단(400)은 유체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막대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의 연동을 통해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필터세척수단(400)은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외부로 관통된 상부측 외주면에 "ㄱ"자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암(4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이를 통해 상부암(410)이 상부플레이트(200)의 중공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동심원상에 배치된 다수의 홀(202)에 동심도를 유지하며 회전되어 순차적으로 평형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부암(410)은 상부플레이트(200)에 위치된 단부가 다수의 홀(202)의 직경에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평형수의 외부 배출을 방지되도록 하고, 다수로 구비될 경우 그 길이를 달리하여 상부플레이트(200)에 다른 동심도에 위치된 각각의 다수의 홀(202)에 평형수가 동시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평형수 필터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평형수 필터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가 대동소이하나, 일반적인 평형수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와 달리 상부플레이트가 상하로 적층된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차이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기존의 평형수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3개의 층은 하부측의 2개가 금속재질로 구비되고 상부층의 1개가 MC nylon과 같은 플라스틱재질로 구비되어 상호 적층에 의해 하나의 상부플레이트로 구비되나, 본 개시의 상부플레이트(200)는 하부측의 2개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금속재질로 구비되고 상부층의 1개가 하부측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구비된다.
즉, 본 개시의 상부플레이트(200)의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는 고압 발생시 고압 및 고습으로 인한 변형 및 들뜸으로 인한 박리가 방지되고, 이를 통해 엘리먼트(300)의 들림이 방지되는 금속 재질의 단일 재질로 성형된다.
이때, 본 개시의 상측플레이트(210)는,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일치된 중심을 갖고 케이싱의 중심측에 위치된 내측플레이트(210a)와, 내측플레이트(210a)의 외주에 일치된 내주를 가져 내측플레이트(210a)에 정합되어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가장자리측에 위치된 외측플레이트(2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측플레이트(210)는 2개의 분할된 원형의 평판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플레이트(200)가 상하로 분할된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로 구비되면서, 또한 내측과 외측이 분할된 내측플레이트(210a)와 외측플레이트(210b)로 분할된 형태를 가져 엘리먼트(300)의 교체 등의 이유로 상측플레이트(210)를 분리시 무게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면서 견고함 결합을 도모한다.
이때, 상측플레이트(210)느 상부층이 매끄러운 금속재질로 구비됨으로 인해 상부암(410)이 회전시 홀(202)에 끼거나 걸리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측플레이트(210)는 홀(202)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엘리먼트(300)가 체결되는 체결부(212)가 구비되고, 이 체결부(212)를 통해 엘리먼트(300)가 볼트 등을 통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측플레이트(210)는 상부암(410)이 접촉하는 상부면에 원형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되고, 상부암(410)은 상측플레이트의 홈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부 또는 홈부를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상부암(410)의 돌기부 또는 홈부가 상측플레이트(210)의 홈 또는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즉, 레일 형태로서 가이드 되어 상부암(410)의 걸림이나 끼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상부플레이트(200)는 그 두께를 증가하면 강도 부족으로 인한 파손 및 엘리먼트(300)의 돌출 현상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는, 필터장치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Hole)부에 회전방향으로 가이드 적용하여 회전시 플랜지(Flange) 걸림 또는 끼임과 같은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모터의 소손이 발생되지 않고, 고온, 고습에 의한 상부플레이트의 변형 및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필터장치의 정상 작동으로 인한 필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부플레이트에 강도가 개선되어 간섭 현상으로 인한 구속 부하나 고온, 고습에 의한 변형 및 박리 현상 발생이 방지되고, 플레이트의 파손 및 엘리먼트의 돌출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엘리먼트에 구비된 오링이 탈거되지 않고, 이로 인해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의 통과 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엘리먼트 케이싱
200 : 상부플레이트
202 : 홀
210 : 상측플레이트
212 : 체결부
210a : 내측플레이트
210b : 외측플레이트
220 : 하측플레이트
300 : 엘리먼트
400 : 필터세척수단
410 : 상부암

Claims (4)

  1. 선박의 평형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있어서,
    엘리먼트 케이싱(100);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를 통해 체결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02)이 형성된 상측플레이트(210)와 하측플레이트(220)로 구비된 상부플레이트(200);
    상기 다수의 홀(202)에 일치되며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평형수를 여과하는 엘리먼트(300); 및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다수의 홀(202)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여과를 위한 상기 평형수를 공급하는 상부암(410)을 구비한 필터세척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와 상기 하측플레이트(220)는 고압 발생시 상기 엘리먼트(300)의 들뜸이 방지되는 단일 재질로 성형되되,
    상기 상측플레이트(210)는,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에 일치된 중심을 갖고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중심측에 위치된 내측플레이트(210a)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의 외주에 일치된 내주를 가져 상기 내측플레이트(210a)에 정합되어 상기 엘리먼트 케이싱(100)의 가장자리측에 위치된 외측플레이트(21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레이트(210)는 상기 홀(202)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엘리먼트(300)가 체결되는 체결부(2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KR1020180028749A 2018-03-12 2018-03-12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KR10185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49A KR101853898B1 (ko) 2018-03-12 2018-03-12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49A KR101853898B1 (ko) 2018-03-12 2018-03-12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98B1 true KR101853898B1 (ko) 2018-05-02

Family

ID=6218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49A KR101853898B1 (ko) 2018-03-12 2018-03-12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306A (ko) * 2005-01-14 2006-07-20 범아정밀(주) 작동중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방법
JP2011218252A (ja) * 2010-04-05 2011-11-04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フィルタ
JP5615439B2 (ja) * 2010-09-03 2014-10-29 アルファ ラヴァル モワティAlfa Laval Moatti 自動逆洗洗浄機能付きフィルタ
KR20150046091A (ko) * 2012-08-28 2015-04-29 가나가와 기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요소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역세정 타입 여과 장치
KR20160108389A (ko) * 2014-01-31 2016-09-19 후지 필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장치
KR20170020018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306A (ko) * 2005-01-14 2006-07-20 범아정밀(주) 작동중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방법
JP2011218252A (ja) * 2010-04-05 2011-11-04 Wako Filter Technology Kk 流体フィルタ
JP5615439B2 (ja) * 2010-09-03 2014-10-29 アルファ ラヴァル モワティAlfa Laval Moatti 自動逆洗洗浄機能付きフィルタ
KR20150046091A (ko) * 2012-08-28 2015-04-29 가나가와 기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요소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역세정 타입 여과 장치
KR20160108389A (ko) * 2014-01-31 2016-09-19 후지 필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장치
KR20170020018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928B2 (en) Filter device
US3703465A (en) Filter with rotating backwash selector
JPH11314015A (ja) 濾過装置
US11872507B2 (en) Filter candl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filter candle
EP2886180B1 (en) Multicage-type apparatus for filtering ballast wat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reverse cleaning and method for same
US4415448A (en) Flush-back filter
KR20140066172A (ko) 여과 장치
KR100916650B1 (ko)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US11801463B2 (en) Filter apparatus
KR101853898B1 (ko)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JP2706749B2 (ja) 浄水器の切換え弁装置
CZ136598A3 (cs) Zařízení k odvodňování kalů
KR20020063332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JP3137987U (ja) 逆洗型ろ過装置
KR200238870Y1 (ko) 여과장치
US20150090655A1 (en) Filtration assembly with backwashing for pressurized fluid system
JP2010155196A (ja) 濾過装置
KR20220016804A (ko) 필터 장치
JPS63137711A (ja) ロ−タリ弁およびこのロ−タリ弁を内蔵した濾過器
KR20140100679A (ko) 필터
KR101206904B1 (ko) 자동세척기능을 가지는 연속 회전식 여과장치
KR960010368B1 (ko) 자동필터장치
KR20190022261A (ko) 실시간 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
KR20240068129A (ko) 필터교체형 여과장치
RU1804890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фильтрующи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