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405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2405B1 KR101852405B1 KR1020160108665A KR20160108665A KR101852405B1 KR 101852405 B1 KR101852405 B1 KR 101852405B1 KR 1020160108665 A KR1020160108665 A KR 1020160108665A KR 20160108665 A KR20160108665 A KR 20160108665A KR 101852405 B1 KR101852405 B1 KR 101852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ver member
- cover
- dust
- cleaner mai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4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25J9/167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05D1/02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 G05D2201/02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단에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통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커버부재; 일측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커버부재가 연결되는 흡입호스; 상기 커버부재와 청소기 본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dust container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cov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opened / closed to selectively receive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A suction hose to which a suction part for suctioning dust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co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 link assembly connecting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cleaner main body; And a link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insert at least a part of the link assembly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restricting the link assembly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of the cover memb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 다음 상기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dirt and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a surface to be cleaned by using a suction motor provided inside a main body, and then filters dir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와 함께 이동하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의 진공 청소기와,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장관, 핸들, 호스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캐니스터(canister) 타입의 진공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connected to a main body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ain body, and a suction nozz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n extension pipe, a handle, a hose, It can be divided into vacuum cleaner.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4100호(공개일자:2012년01월12일)에는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 청소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04100 (publication date: Jan. 12, 2012) discloses a canister-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흡입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안정적인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 suction member is mounted and a cover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open state to improve safety and ease of use.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부재가 간편한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 cover membe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o maintain the open state selectively, thereby improving usabilit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커버부재와 청소기 본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한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cleaner main body and opened and closed, a suction hose to which the cover member is connected, a link assembly connecting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cleaner main body, And a link assembly receiv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link assembly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to maintain the cover member in an opened state.
또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링크와,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시 직선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link assembly may include a rotary link rotatably mounted at one end thereof to the cover member, a rotatable link rotatably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link, and accommodated in the link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to linearly reciprocate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o include a slider.
또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nk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sli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ider.
또한, 상기 회전 링크에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의 내측의 간섭돌기에 걸림 구속되는 서포팅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link may be formed with a supporting protrusion that is engaged wit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link assembly.
또한, 회전링크의 서포팅부에는 상기 서포팅 돌기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서포팅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rotating link includes a supporting slit for providing elasticity for selective restraint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lider guides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r, and guide rib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r.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흡입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the suction hose is connected.
또한, 상기 흡입 호스는 이동 바퀴의 회전축보다 전방 및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uction hose can be positioned forward and upwar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bile whee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상기 커버부재에 흡입호스가 연결되는 구조의 특성상 상기 커버부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개방된 상태에서 쉽게 닫히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나, 링크 어셈블리를 통해 비교적 무거운 상기 커버부재가 설정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는 걸림 구속되어 열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먼지통의 제거 또는 본체 내부의 정비 등의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co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the cover member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open state, and may easily be closed in the opened state, thereby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user. However,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dust container is more than the set ang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pen state by the engagement and restraint, so that the operation such as the removal of the dust container or the maintenance inside the main body can be more safely and easily performed.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또는 개방상태 유지의 전환을 위해서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부재를 설정각도 이상 회전시켜 개방하게 될 경우 링크 어셈블리가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 내측에서 구속되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폐 또는 개방 유지 작업의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cover membe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ithout requiring any special operation for switching the cover member to open or close or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the link assembly is restricted from being held inside the link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do.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of opening / closing or opening / hold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convenience in us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is facilitated by the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link assembly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and the user can open the cover member with less force.
그리고,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커버부재를 닫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회동시키게 되며, 이때 링크 어셈블리 일측의 탄성 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구속상태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In order to close the cover member holding the open state, the cover member is rotated again. At this tim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one side of the link assembly, it is possible to easily release the restraint state of the link assembly, do.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된 흡입 호스를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흡입 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및 개방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 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nd open the cover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hose is connected without separating the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cover memb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흡입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먼지통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커버부재가 열린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버부재가 탈거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이동 바퀴 및 감지부의 결합 구조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이동 바퀴 및 감지부의 결합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청소기 본체와 휠 기어 어셈블리의 장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리어 휠 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리어 휠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리어 커버가 개방된 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및 필터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기 전 상태의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커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커버 부재와 장애물 감지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락킹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링크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에서의 링크 어셈블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링크 어셈블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7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32는 상기 먼지통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상기 먼지통의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상기 어퍼 커버가 개방된 단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먼지통의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상기 로어 커버가 개방된 단면도이다.
도 38은 상기 로어 커버와 먼지 압축 유닛과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5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0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공기와 먼지 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1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공기와 먼지 유동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2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정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장애물 회피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벽면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device are separat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ust bin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4 is a view showing a cover member of the cleaner main body open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7 is a plan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moving wheel and the sensing unit as viewed from one direc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moving wheel and the sensing unit,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wheel gear assembly.
11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12 is a bottom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rear whe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ar wheel unit.
FIG. 15 is a rear view of the rear cover of the cleaner main body.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attery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before the battery is mounted.
18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is mounted.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Fig. 2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ver member and the obstacle sensing member.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ock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assembly is operated.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ing assembly before being operated.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ocking assembly.
2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assembly.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ember opened;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nk assembly when the cover member is closed.
3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nk assembly with the cover member opened;
3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FIG.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dust container viewed from one side. FIG.
35 is a sectional view in which the upper cover is opened.
FIG.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dust container viewed from the other side. FIG.
37 is a sectional view of the lower cover opened;
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cover and the dust compression unit.
3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and dust flows of the cleaner main body.
41 is a plan view showing air and dust flows of the cleaner main body.
FIG. 4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stopped. FIG.
43 is a view showing a running state of the cleaner main body.
44 is a view showing an obstacle avoidance running state of the cleaner main body.
45 is a view showing the sensing range of the obstacle sensing member.
FIG. 46 is a view showing the traveling state of the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흡입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device are separat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및 흡입장치(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장치(2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A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provided in the cleaner
상기 흡입장치(20)는, 청소면 일 예로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1)와, 상기 흡입부(21)를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입부(21)에 연결되는 연장관(22)과, 상기 연장관(22)에 연결되는 핸들(23)과, 상기 핸들(23)을 상기 본체(10)에 연결시키는 흡입호스(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흡입호스(24)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커넥터(401)와 결합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팅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피팅부(241)는 상기 흡입호스(24)를 상기 커넥터(401)에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피팅부(24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다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30) 및 커버부재(40)를 포함한다.The cleaner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본체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바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퀴(60)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60)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상기 본체부(30)는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30)를 지지하게 된다. The cleaner
상기 커버부재(4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30)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이고자 할 때 또는 상기 커버부재(40)를 개폐할 때 상기 그립부(41)를 파지할 수 있다.The
상기 본체부(30)의 후면에는 개폐 가능한 리어 커버(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314)는 상기 본체부(30) 내부에 배터리 유닛(38)과 필터 유닛(39)이 수용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 흡입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5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cleaner
그리고, 도 3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먼지통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커버부재가 열린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4 is a view showing a cover member of the cleaner main body open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본체부(30) 전반부에 형성된 안착부(3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안착부(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커버부재(40)의 개폐에 의해 탈착 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먼지통(50)에는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5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먼지통(50)의 상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구(511)로 유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집진공간으로 이동한다.The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본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5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511)로 유입된 먼지가 포집되는 집진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본체부(3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통(50)의 측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공간에 포집된 먼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먼지통(50)이 상기 안착부(32)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을 통해 상기 측면부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먼지통(50)의 노출부위는 먼지통(50)의 투명한 측면부 상단에서 하단까지로 사실상 상기 먼지가 포집되는 공간 전체를 상기 먼지통(50)의 분리 없이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side portion can be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먼지통(5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장치(20)에서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 구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 분리 구조에 의해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통(50) 하방에 포집될 수 있다.A dust separating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air and the dust sucked in the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흡입호스(24)와 직접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401)는 일측이 상기 흡입호스(2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흡입구(5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흡입호스(24)와 상기 흡입구(511)를 연결한다. The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먼지통(5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호스(2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커넥터(401)를 거쳐 상기 먼지통(5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or (401) can communicate with the dust container (50).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먼지통(50)의 일측에는 먼지가 유입되는 흡입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5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먼지통(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511)는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호스(24)가 위치한 부분을 지칭한다.At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50), a suction port (511) through which dust enters can be provided. Th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먼지통(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511)와 상기 커넥터(401)가 모두 상기 먼지통(5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흡입호스(2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본체부(30)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40)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40)는 후단이 상기 본체부(30)에 축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41)를 잡고 회전 조작하여 개방할 수 있다.The cleaner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커버부재(4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커버부재(4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먼지통(50)의 적어도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먼지통(50)의 적어도 일측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먼지통(5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먼지통(5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40)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먼지통(50)과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먼지통(5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커넥터(401)에 연결된 상기 흡입호스(24)의 피팅부(241)는 상기 먼지통(50)의 흡입구(511)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와 공기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커넥터(401)를 통과하여 상기 흡입구(511)를 통해 상기 먼지통(5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호스(24)의 피팅부(241)가 상기 커버부재(40)의 커넥터(40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커버부재(40)와 상기 먼지통(50)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4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50)을 상기 안착부(3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When the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leaner
도 5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커버부재가 탈거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평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7 is a plan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detach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본체부(30)와 상기 커버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30)에 상기 먼지통(5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본체부(3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먼지통(50)과 배터리 유닛(38), 필터 유닛(39) 및 메인 모터(3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31)는 전반부(312)와 중앙부(311) 그리고 후반부(3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먼지통(50)과 배터리 유닛(38), 필터 유닛(39) 등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ase 31 may include a
상기 베이스(31)의 중앙부(311)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반부(312)와 후반부(3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부(311)를 기준으로 상기 전반부(312)와 후반부(313)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311)의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중앙부(311)의 일측단, 즉 상기 이동 바퀴(60)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전원 공급 단자(307)가 배치되는 단자 장착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장착부(311a)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1)의 배터리 유닛(38)을 충전하고자 할 때 충전 장치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그리고, 상기 중앙부(311) 중 상기 후반부(313)와 인접한 위치에는 리어 휠 유닛(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상기 청소기(1)의 사용 중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정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31)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는 지면 및 상기 중앙부(311)와 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상기 중앙부(311)의 전단에는 전반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전반부(312)는 상기 중앙부(311)의 단부에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전반부(312)에는 상기 먼지통(5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32)가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안착부(32)는 바닥을 형성하는 저면부(321)와 상기 저면부(32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부(322)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먼지통(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ating
상기 저면부(321)와 상기 전반부(312)의 사이에는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먼지 압축 유닛(56)을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50)을 상기 안착부(32)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먼지 압축 유닛(56)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이 구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A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압축 모터(323a)와 상기 압축 모터(323a)의 회전 축과 연결되는 압축 기어(32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어(323b)는 상기 저면부(321)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321)에는 개구된 저면 홀(321a)이 형성되며, 상기 저면 홀(321a)에는 상기 먼지통(50)의 안착시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전달 기어(591)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먼지통(50)의 장착시 상기 압축 기어(323b)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와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323a)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전반부(312)의 하면에는 프론트 휠(312a)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휠(312a)은 상기 전반부(312)의 중앙보다 다소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중 전방에 카펫이나 문턱 등 장애물이 위치된 경우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휠(312a)은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지면과 접하여 회전될 수도 있다.A
상기 후반부(313) 또한 상기 중앙부(311)의 후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을 위해 전방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될 때 상기 이동 바퀴(60)를 축으로 상기 청소기가 기울어지게 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The rear half (313)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enter part (311). Therefore, when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후반부(313)에는 상기 리어 커버(314)에 의해 개폐되는 리어 오프닝(317)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314)는 상기 리어 오프닝(317)을 차폐하는 상태에서 상기 후반부(313) 및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315) 및 어퍼 데코(37)와 동일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어 커버(314)는 상기 후반부의 일부로 상기 후반부(313)와 동일한 경사 또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상기 리어 커버(314)는 상기 본체부(30)의 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314) 하단이 상기 후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리어 오프닝(317)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314)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내부를 거치면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그릴이 형성되어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베이스(31)의 중앙부에는 베이스 프레임이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먼지통(50)이 배치되는 공간과 메인 모터(35)가 구비되는 공간 그리고 상기 배터리 유닛(38) 및 필터 유닛(39)이 구비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base frame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로어 프레임(33)과 어퍼 프레임(34)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base frame may include a
상기 로어 프레임(33)은 상기 중앙부(311)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30)의 내부 공간 일부를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는 제 1 베리어(331)와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양측단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제 1 사이드월(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전면에는 상기 메인 모터(35)와 휠 모터 어셈블리(63),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 장애물 감지부재(44)를 비롯한 상기 청소기(1)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시비(30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전면에는 하부 안착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부재(300)는 상기 먼지통(50)의 장착시 상기 먼지통(5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이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전면에 장착된 상기 메인 피시비(301)는 상기 하부 안착부재(3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A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후면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301)로 공급되는 입력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302)가 구비된다. 상기 노이즈 필터(302)는 이엠아이(EMI)필터일 수 있다. A
이때, 상기 메인 피시비(301)와 노이즈 필터(302) 사이의 상기 제 1 베리어(331)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제 1 베리어 홀(3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리어 홀(331a)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메인 피시비(301)와 노이즈 필터(302)의 자연스러운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로어 프레임(33)은 상기 베이스(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과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로어 프레임(33)의 상단에는 어퍼 프레임(34)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34)은 상기 로어 프레임(33)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38)과 필터 유닛(39)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공기의 흡입을 위한 메인 모터(35)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34)은 커버 플레이트(341)와 제 2 베리어(342)와 제 2 사이드 월(3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상기 제 2 베리어(342)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며, 전방에 상기 먼지통(50)과 연결되는 흡입 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메인 모터(35)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이를 그리고, 상기 제 2 베리어(342)에는 제 2 베리어 홀(342a)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모터(35)의 구동시 상기 먼지통(5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흡입 가이드의 안내에 의해 상기 메인 모터(35)를 통과하게 된다.A
상기 제 2 베리어(342)의 양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베리어 월(344)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 가이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t both ends of the
상기 흡입 가이드는 상기 먼지통(50)과 밀착되는 상부 안착부재(303)와,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와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리어(342)와 밀착되는 안착부재 케이스(3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ction guide includes an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의 전면은 상기 먼지통(50)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먼지통(50)이 상기 본체부(30)에 장착될 때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에는 상기 먼지통(50)의 토출구(51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홀(303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303a)은 상기 토출구(512)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03a)의 둘레에는 상기 토출구(512)의 둘레와 밀착되는 안착부재 가스켓(303b)이 형성되어 상기 먼지통(50)과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가 밀착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A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에는 락커 홈(303c)이 더 형성된다. 상기 락커 홈(303c)은 상기 먼지통(50)이 상기 본체부(30)에 장착될 때, 상기 먼지통(5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어퍼 락커(57)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락커 홈(303c)은 상기 어퍼 락커(57)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착부재 케이스(304)와 결합되는 삽입부 안착홈(303d)과 체결 돌기(303e)가 형성된다. On both sides of the
상기 안착부재 케이스(304)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리어(342)와 밀착되는 케이스 그릴(304a)과, 상기 케이스 그릴(304a)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를 수용하는 케이스 테두리(304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ating
상기 케이스 그릴(304a)의 둘레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제 2 베리어(342)와 상기 안착부재 케이스(304)가 기밀 상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그릴(304a)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303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2 베리어 홀(342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 gasket may be provided around the
상기 케이스 테두리(304b)는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부 안착부재(303)가 경사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더 크고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테두리(304b)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부 안착홈(303d)에 삽입되는 케이스 삽입부(304c)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삽입부(304c)에는 체결 돌기(303e)가 삽입 구속되는 체결 홀(304d)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2 베리어(342)의 후면에는 한쌍의 제 2 사이드 월(343)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은 상기 메인 모터(35)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동시에 서브 피시비(305)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상세히, 한쌍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모터(35)가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제 2 사이드 월(343)의 외측면에 상기 서브 피시비(30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모터(35)와 서브 피시비(305)는 각각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한편, 상기 제 2 베리어 홀(342a)은 한쌍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2 베리어 홀(342a)을 지나는 공기는 모두 상기 메인 모터(35)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341)에는 플레이트 홀(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은 한쌍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리어 홀(342a)을 통해 상기 메인 모터(35)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을 통해 로어 프레임(33)에 형성된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터리 유닛(38)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A
상기 메인 모터(35)는 상기 어퍼 프레임(3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부(30)의 무게 중심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모터(35)의 장착 구조상 외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모터(35)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본체부(30)는 후단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메인 모터(3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보다 상기 본체부(30)의 무게 중심이 더 후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30)의 시계방향 회전 동작을 위한 회전 모멘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메인 모터(35)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팬과 모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메인 모터(35)의 구조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메인 모터(35)는 상기 모터 지지부재(351)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34)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부재(351)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모터(35)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The
상기 메인 모터(35)의 후방에는 상기 메인 모터(35)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모터 커버(3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352)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모터(35)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352)와 상기 메인 모터(35)의 사이에는 흡음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모터(35)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A
그리고, 상기 메인 모터(35)는 상기 어퍼 프레임(34)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서브 피시비(305)가 구비되는 일측방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메인 모터(35)는 한쌍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중 상기 서브 피시비(305)가 장착된 제 2 사이드 월(343)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모터(35)와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중 상기 서브 피시비(305)와 먼 쪽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모터(35)와 먼 위치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의 사이 영역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리어 홀(331a) 또한 상기 플레이트 홀(341a)과 동일 연장선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메인 모터(3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모터 커버(352)를 통해 토출되며, 양측 방향 중 일측 방향은 인접한 제 2 사이드 월(34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이 형성된 타측의 제 2 사이드 월(34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 1 베리어 홀(331a) 까지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34)에는 프레임 커버(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36)는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버(36)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모터(35)가 수용되는 공간이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베리어 홀(342a)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메인 모터(35)를 지나 상기 플레이트 홀(341a)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한쌍의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 중 일측의 제 2 사이드 월(343)에는 서브 피시비(3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피시비(305)는 상기 흡입장치(20) 내부의 아지테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서브 모터(20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서브 모터(201)는 비용이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한 비엘디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피시비(305)는 입력 전원을 상기 서브 모터(201)적합하도록 감압하여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서브 피시비(305)는 상기 어퍼 프레임(34) 상에서 상기 메인 피시비(301)와 별도의 공간에 분리 제공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장치(20)에 상기 서브 모터(201)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브 피시비(305)를 장착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301)를 공용화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는 어퍼 데코(3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데코(37)는 상기 베이스(31)의 개구된 상방을 차폐하여 상기 베이스(31)에 장착된 내부 구성들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데코(37)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40)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과 이동 바퀴(60), 먼지통(50)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어퍼 데코(37)는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데코(315)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데코(315)와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측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도 8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이동 바퀴 및 감지부의 결합 구조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이동 바퀴 및 감지부의 결합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청소기 본체와 휠 기어 어셈블리의 장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moving wheel and the sensing unit as viewed from one direc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moving wheel and the sensing unit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wheel gear assembly. 11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31)의 양측단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사이드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부(316)는 상기 이동 바퀴(60)와 상기 이동 바퀴(60)의 구동을 위한 휠 모터 어셈블리(63)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316)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와 상기 이동 바퀴(60)가 장착되는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a pair of
상기 사이드부(316)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보다는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바퀴(60)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316)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 바퀴(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휠 보스(31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 보스(316a)는 상기 사이드부(316)에서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휠 보스(316a)에 상기 이동 바퀴(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바퀴(60)는 휠 모터 어셈블리(63) 및 휠 기어(6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 또한 상기 휠 보스(316a)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휠 보스(316a)의 측방에는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퀴(60)가 상기 휠 보스(316a)에 장착되면,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는 상기 이동 바퀴(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는 상기 사이드부(316)와 상기 이동 바퀴(60)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는 휠 모터(632)와, 휠 모터 케이스(631) 그리고, 상기 휠모터 케이스(63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휠 기어(64)로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무빙 기어(미도시)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휠 모터(632)는 회전의 제어가 용이하고 가벼운 비엘디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 모터(632)의 회전축과 상기 이동 바퀴(60)의 휠 기어(64)를 연결하는 다수의 무빙 기어들은 상기 휠 모터(632)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이동 바퀴(60)로 전달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보다 더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휠 모터 케이스(631)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케이스 장착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장착홈(633)은 상기 휠 보스(316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휠 보스(316a)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장착홈(633)은 상기 휠 보스(316a)의 외측면 후반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휠 보스(316a)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이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휠 모터(632)는 상기 휠 모터 케이스(631)의 하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무빙기어는 상기 휠 모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상기 휠 모터(632)를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이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사이드부(316)에는 상기 이동 바퀴(60)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데코(31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315)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둘레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바퀴(60)의 곡면과 연속되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매끈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사이드부(316)의 내측면 즉 상기 휠 보스(316a)가 형성되는 면과 반대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316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316b)를 형성함으로써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사이드부(31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6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한편, 상기 사이드부(316)의 내측면 일측에는 감지부(3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움직임 상태 또는 자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바퀴(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움직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지부(306)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외에 상기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사이드부(316)의 내측면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06)는 자이로 센서가 실장된 감지 피시비(360a)와, 상기 감지 피시비(360a)가 고정되며 상기 사이드부(316)에 장착되는 감지부 고정부재(30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 고정부재(306b)에는 한쌍의 고정 후크(306c)가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부(316)에 형성되 감지부 고정구(316c)에 삽입 고정될 수있다.The
한편, 상기 감지 피시비(360a)는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휠 모터(63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자이로 센서와 상기 휠 모터(632)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하나의 피시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sensed vehicle ratio 360a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사이드부(316)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06)의 장착 위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회전 축이 되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과 떨어진 일측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또는 정지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회전 각도 즉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이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지면과 접하는 리어 휠 유닛(7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바닥면 특히 상기 전반부(312)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cleaner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기울기 즉, 상기 전반부(312)의 각도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중이 아닌 정지 상태임을 판단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상세히,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는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 배터리 유닛(38)과 메인 모터(3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G)은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C)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상태가 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31)의 후반부(313)에 장착된 리어 휠 유닛(70)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반부(313)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과도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설정된 각도(α)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특히, 상기 청소기(1)의 특성상 사용 후 먼지가 상기 먼지통(50)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이 항상 후반부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 휠 유닛(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먼지의 양에 관계없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지면과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전반부(312)의 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각도(α)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로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301)는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1)의 사용을 위해 상기 핸들(23)을 쥐고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23)의 위치상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기울어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전반부(312)가 더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grasps the
이때, 상기 감지부(306)에서는 상기 전반부(312)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게 되며,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청소기(1)의 이동이 시작됨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301)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바퀴(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다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무게 중심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전반부(312)의 각도가 정지시의 설정된 각도(α)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피시비(301)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movement of the cleaner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바닥면 즉 상기 베이스(31)의 중앙부(311)와 전반부(312) 및 후반부(313)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부(311)와 전반부(312) 및 후반부(313)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31)의 각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10,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예컨데, 상기 전반부(312)는 지면을 기준으로 27˚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부(312)가 27˚각도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흡입호스(24)를 당겨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회전하게 되더라도 가급적 상기 전반부(312)가 지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급작스런 조작으로 상기 전반부(312)가 지면과 닿을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상기 프론트 휠(312a)의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반부(312)는 경사에 의해 청소기 본체(10)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 카페트나 문턱 등을 용이하게 넘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311)는 지면을 기준으로 7˚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 모터(6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 바퀴(60)가 회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하게 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대략 7˚각도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311)는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실내의 이물질 등에 의해 청소기 바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후반부(313)는 지면을 기준으로 10˚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In a state where the cleaner
즉,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무게 중심에 의해 이미 상기 후반부(313)가 아래로 내려간 상태가 되며, 상기 먼지통(50)에 저장된 먼지의 양에 관계없이 상기 리어 휠 유닛(70)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e stopped state, the
또한, 경사진 상기 후반부(313)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24)를 당겨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회전하게 될 때, 지면과 상기 후반부(313)가 부딪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leaner
한편, 상기 이동 바퀴(60)는 상기 사이드부(316)의 휠 보스(316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휠 기어(64)가 장착되는 휠 프레임(61)과 상기 휠 프레임(6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바퀴(60)의 외관을 형성하는 휠 데코(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휠 프레임(61)은 상기 이동 바퀴(60)의 실질적인 골격을 형성하며 지면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것으로, 내측면과 외측면 전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61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 프레임(61)의 중앙에는 상기 휠 기어(64)가 고정되는 휠 기어 장착부(612)가 형성된다. 상기 휠 기어(64)는 상기 휠 프레임(6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휠 보스(316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휠 데코(62)의 중앙에는 휠 오프닝(621)이 형성되며, 상기 휠 오프닝(621)을 통해서 상기 휠 기어(64)와 상기 휠 프레임(61)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 오프닝(621)에는 휠 캡(623)이 장착되어 상기 휠 오프닝(621)을 차폐할 수 있다.A
도 12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리어 휠 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리어 휠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12 is a bottom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ear whee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ar wheel unit.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31)에는 리어 휠 유닛(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의 중앙부(311) 후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베이스 함몰부(3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함몰부(311b)의 양측면 전단에는 상기 리어 휠 유닛(70)의 장착을 위한 휠 장착부(311c)가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상기 전반부(312)가 들리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역방향 회전을 위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과도하게 회전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휠 서포터(71)와 리어 휠(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서포터(71)는 상기 리어 휠(7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베이스(31)의 하면과 접하여 소정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휠 서포터(71)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제공되는 레그(73)와, 상기 레그(73)의 전단을 연결하며, 상기 리어 휠(72)이 장착되는 휠 수용부(74) 그리고 상기 레그(73)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31)와 접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레그(73)는 상기 휠 서포터(71)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서로 이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7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레그 돌기(7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 돌기(731)는 상기 휠 장착부(311c)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휠 서포터(71)는 상기 레그 돌기(73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휠 수용부(74)는 상기 한쌍의 레그(73)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레그(7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휠 수용부(74)는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휠(7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휠 수용부(74)의 양단에는 상기 리어 휠(72)의 회전축(7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 장착부(74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휠(72)은 상기 휠 수용부(74)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75)는 상기 레그(73)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레그(73)의 전반부에서 후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75)는 연장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31)를 향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75)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31)와 접하게 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75)는 상기 청소기(1)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31)와 접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리어 휠(72)은 지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한쌍의 상기 이동 바퀴(60)와 상기 이동 바퀴(60) 후방의 상기 리어 휠(72)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extended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이동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이동 바퀴(60)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75)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과도한 회전이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1)가 이동 후 정지되어 상기 청소기(1)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7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전원 공급 단자(307)와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31)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307)가 장착되는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 장착부(311a)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장착부(311a)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 단자(30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 장착부(311a)는 일측의 상기 이동 바퀴(6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장치에 상기 이동 바퀴(60)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 단자(307)와 상기 충전 장치를 정렬 시킬 수 있다.A
도 15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리어 커버가 개방된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 및 필터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FIG. 15 is a rear view of the rear cover of the cleaner main body.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battery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면에는 리어 커버(3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314)는 상기 베이스(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31) 및 어퍼 데코(37)가 형성하는 상기 리어 오프닝(317)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상기 리어 커버(314)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데코(37)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리어 커버 구속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커버 구속부(314a)의 조작에 의해 상기 리어 커버(314)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A rear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314)의 하단 양측방에는 커버 회전축(314b)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회전축(314b)은 상기 베이스(31)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커버(314)의 개폐시 상기 리어 커버(314)가 상기 커버 회전축(314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어 오프닝(317)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A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후반부 즉, 상기 이동 바퀴(60)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에는 필터와 배터리 유닛(38)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39)과 배터리 유닛(38)이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로어 프레임(3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33)은 제 1 베리어(331)와 제 1 사이드월(332)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31)와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유닛(39)과 배터리 유닛(38)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and the
상기 필터 유닛(39)은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391)와 상기 필터 케이스(391)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재(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92)는 상기 먼지통(50)과 메인 모터(35)를 통과한 공기 중의 초 미세 먼지(먼지 및 미세 먼지보다 더 작은 입자의 먼지로 정의함)를 필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헤파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392)는 초 미세 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391)는 상기 공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플레이트 홀(341a)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상기 필터 유닛(39)을 지나면서 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냉각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을 통해 상기 공간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제 1 베리어 홀(331a)을 통해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노이즈 필터(302)와 상기 메인 피시비(301)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상기 필터 케이스(391)의 후단에는 필터 손잡이(39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커버(314)의 개방시 필터 손잡이(393)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손잡이(393)를 잡고 당겨서 상기 필터 유닛(39)을 상기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A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391)의 양측면에는 필터 홈(3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홈(394)은 상기 필터 케이스(391)의 후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사이드 월(343)에 형성되는 필터 가이드(33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케이스(391)는 상기 공간에 장착될 때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필터 가이드(333)의 사이에 상기 필터 홈(394)을 정렬한 사태로 삽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케이스(391)는 상기 필터 가이드(333)를 따라 상기 공간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34)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배터리 유닛(38)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모든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38)은 충전 및 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터리 유닛(38)에는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미도시)가 별도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구비되지 않는 모델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38) 대신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감겨진 코드릴(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코드릴에 의해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model not shown, in which the
상기 배터리 유닛(38)은 배터리 케이스(381)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 내부에 수용되는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전지(383)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내부에 정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는 상기 공간에 수용 가능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3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터리 그릴(381a)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 유닛(39)을 통과하여 상기 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터리 그릴(381a)을 통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2차 전지(383)를 냉각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38)을 상기 공간으로부터 인출입 할 때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배터리 손잡이(38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양측면에는 배터리 홈(3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홈(384)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양측면에서 함몰되며, 전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A
상기 배터리 홈(384)은 상기 제 1 사이드월(3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가이드(334)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장착시 상기 배터리 가이드(334)는 상기 배터리 홈(384)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올바르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A
한편, 상기 제 1 사이드월(332) 양측의 상기 배터리 가이드(334)에는 각각 배터리 구속부(335)와 배터리 구속부재(3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와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상기 공간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배터리 구속홈(385)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는 상기 제 1 사이드월(332)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 1 탄성부(335a)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탄성부(335a)의 단부에는 제 1 구속돌기(335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탄성부(335a)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 1 구속돌기(335b)가 상기 배터리 구속홈(385)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일측을 구속할 수 있다.In detail, the
한편,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사이드월(332)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가 장착되는 상기 제 1 사이드월(332)에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이드 홀(334a)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홀(334a)에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의 둘레가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속부재 고정부(33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가 압입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 고정부(334b)의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와는 다른 이종의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는 상기 로어 프레임(33)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에이비에스(ABS)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피오엠(POM)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와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유닛(38) 장착시 구속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상기 사이드 홀(334a)과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속부재 테두리(336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 테두리(336a)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의 둘레에 의해 상기 사이드 홀(334a)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는 제 2 탄성부(336b)와 상기 제 2 구속돌기(33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 2 탄성부(336b)와 제 2 구속돌기(336c)는 상기 제 1 탄성부(335a) 및 상기 제 1 구속돌기(335b)와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탄성부(336b)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재(336)의 내측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된 상기 제 2 탄성부(336b)의 단부에는 제 2 구속돌기(336c)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따라서,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탄성부(336b)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 2 구속돌기(336c)가 상기 배터리 구속홈(385)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배터리 유닛(38)을 구속할 수 있다.The second
한편, 상기 제 1 베리어(331)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유닛(38)과 연결되는 배터리 단자(33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단자(331b)는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전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단자(331b)는 상기 배터리 유닛(3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청소기(1)의 내부 구성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상기 리어 커버(314)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리어 오프닝(317)의 상방에는 홀더(3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371)는 상기 청소기(1)의 미사용시 상기 연장관(22)을 고정 장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개구된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가 개구(371a)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그리고, 상기 홀더(371)는 상기 어퍼 데코(37)와 별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데코(37)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 홀더(371)는 홀더 고정부재(371b)에 의해 상기 본체부(30)에 추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관(22)의 장착에 의한 충격 및 하중 발생시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홀더(371)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371)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되어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The
도 17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기 전 상태의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before the battery is mounted.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with the battery mounted thereon.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배터리 구속부(335)와 배터리 구속부재(336)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탄성부(335a)와 제 2 탄성부(336b)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되며 상기 제 1 구속돌기(335b)와 제 2 구속돌기(336c)는 상기 로어 프레임(33)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17, befor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리어 커버(314)를 개방하여 상기 공간을 노출시키고 상기 배터리 유닛(38)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어 커버(314)의 개방 후 상기 배터리 유닛(38)을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유닛(38)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334)와 배터리 홈(384)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전면은 상기 배터리 단자(331b)와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 내부의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open the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전면은 상기 제 1 베리어(331)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38)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제 1 탄성부(335a)와 제 2 탄성부(336b)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유닛(38)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81)의 양측면에 형성된 배터리 구속홈(385)에 상기 제 1 구속돌기(335b)와 제 2 구속돌기(336c)가 삽입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18,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19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커버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커버 부재와 장애물 감지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횡단면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FIG. 2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ver member and the obstacle sensing member.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어퍼 데코(37)의 상단 및 상기 먼지통(50)의 상단을 차폐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부재(40)는 전체적으로 커버 베이스(42)와 아웃 커버(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베이스(42)는 상기 아웃 커버(43)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먼지통(50)과 상기 본체부(30)의 개구된 상면을 실질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The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후단에는 커버부재 결합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퍼 데코(37)의 후단에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전단에는 상기 커넥터(401)와 연결되는 커넥팅 홀(422)이 형성될 수 있다.A cover
상기 커버 베이스(42)에는 장애물 감지부재(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이동 중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전면을 빠라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전면 중앙 즉, 상기 커넥터(40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커버 베이스(42)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2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레이저 센서(441)에 의해 대략 25°각도의 감지 범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이웃하는 장애물 감지부재(44)와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e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44)는 전방 센서(44b,44c)와 측방 센서(44a,44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44b,44c)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나게 될 경우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측방에 위치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근접한 측방에 장애물이 나타나게 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상기 전방 센서(44b,44c)와의 조합을 통해서 청소기 본체(10)가 벽면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방 센서(44b,44c)는 상기 커넥터(40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하되 전방과 측방 사이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의 상기 전방 센서(44b,44c)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4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45˚각도로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의 상기 전방 센서(44b,44c)의 중심은 서로 90˚각도를 이룰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44)의 감지 범위는 각각 대략 25˚각도이므로, 상기 전방 센서(44b,44c)의 사이에는 미 감지 영역(S)이 발생된다. 상기 미 감지 영역(S)은 65˚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미 감지 영역(S)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상기 흡입호스(24)가 위치될 수 있는 영역으로, 상기 전방 센서(44b,44c)가 상기 흡입호스(24)를 장애물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청소 작업 중 상기 흡입호스(24)를 이동 조작하게 되더라도 상기 전방 센서(44b,44c)가 상기 흡입호스(24)를 장애물로 오인식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상 주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etection range of the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상기 전방 센서(44b,44c)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측방을 향하여 광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커넥터(4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대략 90˚각도를 이루도록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측방에 나타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상기 전방 센서(44b,44c)의 감지 거리보다 더 짧은 감지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전방 센서(44b,44c)는 전방으로 대략 600mm 까지의 감지 거리(L1)를 가지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측방 센서(44a,44d)는 측방으로 대략 350mm 까지의 감지 거리(L2)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된 장애물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과정 중 간섭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먼 거리의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하고, 측방에 위치된 장애물의 경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과정 중 간섭될 가능성이 높지 않으며, 먼 거리의 측방 장애물까지 장애물로 인지하게 될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정상적인 주행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Since the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cleaner
특히, 상기 측방 센서(44a,44d)의 감지 거리(L2)를 전방 센서의 감지 거리(L1)보다 더 짧게 설정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벽면 또는 모서리를 벗어나게 될 때 원활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Particularly, if the detection distance L2 of the
한편,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레이저 센서(441)와, 상기 레이저 센서(441)가 장착되는 센서 기판(4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기판(442)에는 상기 레이저 센서(441)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소자들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상기 레이저 센서(441)를 대신하여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나 근접센서 및 비젼 카메라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42)와 상기 아웃 커버(43)의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선택적인 구속을 가능하게 하는 락킹 어셈블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킹 어셈블리(80)는 누름부재(81)와 상기 누름부재(81)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되는 메인 링크(83)와 서브 링크(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locking
상기 아웃 커버(43)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커버(43)의 전단에는 상기 흡입호스(24)의 피팅부(241)와 연결되는 커넥터(401)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커넥팅 홀(422)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와 공기가 상기 먼지통(50)을 향하여 유입되도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커넥터(401)를 기준으로 상기 아웃 커버(43)의 전면에는 감지홀(4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홀(431)은 상기 레이저 센서(44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될 수 있으며,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광선이 발광 및 수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한편, 상기 감지 홀(431)은 상기 전방 센서(44b,44c)와 측방 센서(44a,44d)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며, 내부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되는 광선이 설정된 각도 범위만큼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감지홀(431)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이저 센서(441)의 광선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홀(431)을 차폐하는 홀 커버(43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수의 상기 감지홀(431)들은 모두 동일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401)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홀 (431)및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30)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부(40)재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아웃 커버(43)의 상면에는 상기 그립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1)는 상기 커넥터(401) 일측에서 상기 아웃 커버(43)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41)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여 상기 커버부재(40)의 선택적인 구속을 조작하는 누름부재(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8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40)의 양측방으로 커버 구속돌기(843)가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40)를 상기 본체부(30)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다.The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락킹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ock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락킹 어셈블리(80)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상기 누름부재(81)와, 상기 누름부재(81)의 조작을 전달하는 전달부재(82),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82)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링크(83), 상기 메인 링크(83)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서브 링크(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ocking
상기 누름부재(81)는 상기 그립부(4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하 유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1)는 그립부 커버(411)와 그립부 바디(41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재(81)는 상기 그립부 바디(41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커버(411)에는 커버 개구(4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재(81)는 상기 커버 개구(411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The pressing
상기 누름부재(8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달부재 장착부(811)가 형성된다.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811)에는 상기 전달부재(82)가 장착된다. 상기 전달부재(82)와 상기 누름부재(81)는 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재(81)의 상하이동시 상기 전달부재(82)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 되면서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A transmitting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82)의 하면에는 전달부재 경사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메인 링크(83)와 접하여 상기 메인 링크(83)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transmitting member inclined
상기 메인 링크(83)와 서브 링크(84)는 서로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에 한쌍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링크(83)와 서브 링크(84)는 도 22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1 서브 링크(84a) 그리고 우측에 구비되는 제 2 메인 링크(83b)와 제 2 서브 링크(84b)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메인 링크(83)는 상기 체결 보스(85)에 의해 상기 커버 베이스(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링크(83)는 상기 체결 보스(85)가 관통되는 관통부(831)와 상기 관통부(831)에서 상기 전달부재(82)가 위치되는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연장부(832)와 상기 관통부(831)에서 상기 제 1 연장부(832)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83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2 메인 링크(83b) 각각의 제 1 연장부(832)에 형성되는 연결부(834)는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832)에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 홀(834b)과 연장부 돌기(834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2 메인 링크(83b)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832)의 일단 즉, 상기 전달부재(82)와 접하는 일측단에는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와 대응하는 연장부 경사면(834c)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 경사면(834c)은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전달부재(82)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는 상기 연장부 경사면(834c)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832)는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연장부(832)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2 메인 링크(83b)는 회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extending
상기 제 2 연장부(833)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 링크(8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제 2 연장부(833)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와 제 2 서브 링크(84b)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833)의 단부에는 각각 링크 홀(833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와 제 2 서브 링크(84b)에는 상기 링크 홀(833a)과 결합되기 위한 링크 돌기(84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링크(83)의 회전시 상기 서브 링크(84)는 이에 연동할 수 있다.The sub-link 8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상기 커버 베이스(42)에는 링크 가이드(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가이드(423)는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와 제 2 서브 링크(84b)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와 제 2 서브 링크(84b)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링크 가이드(423)는 한쌍의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에 상기 서브 링크(84)가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A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와 제 2 서브 링크(84b)는 각각 상기 링크 가이드(423)에 수용되는 제 3 연장부(841)와 상기 제 3 연장부(841)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4 연장부(8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장부(841)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커버 구속돌기(84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의 측면에는 경사면(843a)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843a)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의 경사면(843a)은 상기 어퍼 데코(37)의 측벽과 접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어퍼 데코(37)의 돌기 구속구(도 27에서 376)에 도달하게 되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의 상단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링크 가이드(423)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베이스(42)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가 출입될 수 있는 돌기 출입구(4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서브 링크(84b)의 수평방향 유동시 상기 돌기 출입구(424)를 통해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가 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는 상기 돌기 출입구(424)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0)의 돌기 구속구(도 27에서 376)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누름부재(81), 상기 메인 링크(83) 또는 서브 링크(8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도 23은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assembly is operated.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ing assembly before the opera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8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부재(82)는 상기 메인 링크(83)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82)는 최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는 상기 연장부 경사면(834c)과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pushing
또한, 상기 전달부재(82)의 하단에는 가이드 경사면(82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경사면(822)은 상기 커버 베이스(42)에 형성된 전달부재 가이드(412a)와 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82)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전달부재(82)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822)이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412a)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412a)는 상기 메인 링크(83)와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82)는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메인 링크(8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인 링크(83)를 동작시킬 수 있다. A
이때, 상기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2 메인 링크(83b)는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메인 링크(83)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링크(84) 또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는 상기 돌기 출입구(424)에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30) 돌기 구속구(도 27에서 376)와 걸림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4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누름부재(81)를 눌러서 조작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재(81)의 조작으로 상기 메인 링크(83)와 서브 링크(84)가 연동하여 동작하고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in order to open the
도 25는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락킹 어셈블리의 조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ocking assembly. 2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81)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달부재(82)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82)는 전달부재 장착부(811) 상의 회전 축(811a)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링크(83)를 수직한 방향으로 누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부재(82)의 과도한 회전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달부재(82)의 상단에는 한쌍의 이탈 방지 돌기(824)가 일정 거리를 두고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 돌기(824)의 사이에 상기 누름부재(81)의 이탈방지 리브(812)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는 상기 연장부 경사면(834c)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재(8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달부재 경사부(821)를 따라서 상기 연장부 경사면(834c)이 상대운동 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832)는 전방을 향하여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메인 링크(83a)와 제 2 메인 링크(83b)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 1 연장부(832)는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제 1 연장부(83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메인 링크(83)는 관통부(83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연장부(833)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장부(833)와 연결된 상기 제 1 서브 링크(84a) 및 제 2 서브 링크(84b)는 내측을 향하여 서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서브 링크(84)의 수평 이동에 의해서 상기 서브 링크(84)에 형성된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 또한 수평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돌기 출입구(424)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구속돌기(843)가 상기 커버부재(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부(30)의 돌기 구속구(도 27에서 376)와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40)의 그립부(41)를 쥔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40)를 회동시켜 상기 본체부(3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먼지통(50)을 상기 본체부(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도 27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링크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ember opened;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40)는 후단에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는 상기 본체부(30)의 어퍼 데코(37)에 형성되는 커버부재 결합홀(3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가 상기 커버부재 결합홀(372)의 결합되면, 상기 커버부재(40)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3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먼지통(50)의 분리 작업시에도 개폐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업시 상기 커버부재(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먼지통(50)의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커버부재(40)의 전단에는 상기 흡입호스(24)의 피팅부(241)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적으로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흡입호스(24)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재(40)는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상태 유지를 위해서 상기 커버부재(40)의 후단과 상기 어퍼 데코(37)의 내측을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90)가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에 장착되는 회전 링크(91)와, 상기 회전 링크(9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링크(91)의 회전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92)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92)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9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회전 링크(91)는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부(911)와 상기 회동부(911)의 양측단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서포팅부(9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회동부(911)는 한쌍의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911)의 양측단에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축(911a)은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에 형성된 회전축 홀(421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링크(91)는 상기 회전축(911a)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40)의 개폐시에 회전 동작될 수 있다.The
상기 서포팅부(91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서포팅부(912)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92)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9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서포팅부(912)의 단부에는 각각 슬라이더 고정부(912a)와 서포팅 돌기(912b)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912a)는 상기 서포팅부(912)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공간부(913)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912a)는 상기 슬라이더(92)의 슬라이더 고정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912a)는 상기 슬라이더(92) 또는 상기 회전 링크(91)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The
상기 서포팅 돌기(912b)는 상기 서포팅부(912)의 단부에서 외측면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서포팅 돌기(912b)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재(40)의 개폐시 아래에서 설명할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 내측의 간섭돌기(375a)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ing
한편, 상기 서포팅부(912)의 단부에는 서포팅 슬릿(912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슬릿(912c)은 상기 서포팅 돌기(912b)와 상기 간섭돌기(375a)와의 간섭시 상기 서포팅부(912)의 단부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Supporting
상기 슬라이더(92)는 후단이 상기 공간부(913)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단부는 상기 본체부(30)에 형성되는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에 수용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상기 슬라이더(92)의 좌우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슬라이더 고정홈(9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고정홈(921)은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912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92)는 상기 회전 링크(91)와 서로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홈(921)의 전방에는 슬라이더 가이드(9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922)는 상기 슬라이더 고정홈(921)의 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더(92)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922)는 한쌍의 리브가 좌우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리브(374a)가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더(92)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92)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스프링 홀(923)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홀(923)에 상기 스프링(93)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92)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거나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슬라이더(9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A
한편, 상기 어퍼 데코(37)에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92) 및 상기 회전 링크(91)의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nk
상세히,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더(92)가 수용되는 슬라이더 수용부(37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74)의 양측 벽면에는 가이드 리브(374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374a)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9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더(92)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374a)와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922)는 상기 슬라이더(92)의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92)가 탈거되지 않고 설정된 경로로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a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에는 상기 회전 링크(9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링크 수용부(37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수용부(375)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74)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링크(9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The link
그리고, 상기 링크 수용부(375)의 내측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간섭돌기(375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돌기(375a)는 커버부재(40)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 링크(91)가 상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팅부(912)에 형성된 서포팅 돌기(912b)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 링크(91)가 인출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n
이때, 상기 간섭돌기(375a)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포팅 돌기(912b)를 지지할 때 상기 회전 링크(91)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간섭돌기(375a)가 상기 서포팅 돌기(912b)를 지지하게 될 때에는 상기 커버부재(40)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커버부재(4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사용자의 상기 커버부재(40)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포팅 돌기(912b)가 상기 간섭돌기(375a)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간섭돌기(375a)를 넘어가게 되는지에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40)의 개폐상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도 29는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에서의 링크 어셈블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nk assembly when the cover member is closed.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90)의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본체부(3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40)의 하단은 상기 어퍼 데코(37)의 하단과 접하게 되며, 상기 커버부재(40)의 링크 어셈블리(90)는 상기 어퍼 데코(37)에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tate of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92)와 회전 링크(91)는 상기 어퍼 데코(37)의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회전 링크(91)는 상기 슬라이더(92)와 수평한 상태 또는 동일 연장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슬라이더(92)는 상기 슬라이더 수용부(374)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93)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락킹 어셈블리(8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9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92)를 밀어주게 되고, 자연스럽게 상기 커버부재(4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누름부재(81)를 눌러서 상기 락킹 어셈블리(80)를 동작시키게 되며, 상기 커버부재(40)와 상기 본체부(30)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41)를 쥐고 상기 커버부재(40)를 회동시켜 상기 커버부재(4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도 30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링크 어셈블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도 27의 A부 확대 도면이다.3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ink assembly with the cover member opened; 3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재(40)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90)의 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40)를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ate of the
이때,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링크(91)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 링크(91)에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92)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922)와 가이드 리브(374a)의 안내에 의해 후방(도 30에서 우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92)의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9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93)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더(92)의 이동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그리고, 회전 링크(91)는 상기 슬라이더(92)를 당겨 상기 슬라이더(92)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92)와 함께 수평 이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91)의 서포팅 돌기(912b)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373) 상의 상기 간섭돌기(375a)와 접하게 된다.The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40)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상기 회전 링크(91)는 도 30 및 도 31에서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팅 돌기(912b)는 사용자의 상기 커버부재(40)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간섭돌기(375a)를 지나게 되며, 이때 상기 서포팅부(912)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서포팅 돌기(912b)가 상기 간섭돌기(375a)를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user fully opens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의 개방을 중지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41)를 놓게 되더라도 상기 서포팅 돌기(912b)가 상기 간섭돌기(375a)와 접하여 상기 회전 링크(91)는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40)는 설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먼지통(50)을 분리 장착하거나 상기 본체부(30) 내부의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한편, 도 30 및 도 3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립부를 잡고 상기 커버부재를 눌러 상기 커버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되면서 닫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member is to be closed agai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S. 30 and 31, the cover member may be pivoted counterclockwise by closing the grip member by holding the grip member.
이때, 상기 커버부재(40)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시작하게 되는 순간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서포팅 돌기(912b)는 상기 간섭돌기(375a)를 넘어가게 되며 상기 서포팅부(912)는 상기 서포팅 돌기(912b)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상기 커버부재(40)를 완전히 회전시켜 닫게 되면 도 29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락킹 어셈블리(80)의 커버 구속돌기(843)가 상기 돌기 구속구(376)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구속되어 상기 커버부재(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29, when the
도 32는 상기 먼지통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상기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다.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먼지통(50)은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흡입된 공기는 사이클론 방식으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제 1 사이클론(54)과 제 2 사이클론(55)에서 순차적으로 여과된 후 토출구(512)를 통해 토출되어 본체부(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먼지통(5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투명 케이스(53)와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는 어퍼 커버(52) 그리고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개구된 하단을 개폐하는 로어 커버(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부에는 제 1 사이클론(54)과 제 2 사이클론(55) 그리고 내부 케이스(544), 먼지 압축 유닛(56), 가이드 유닛(543) 등이 수용될 수 있다.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어퍼 커버(52)는 상기 먼지통(5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0)의 전방에는 흡입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511)는 상기 커버부재(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401)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먼지통(5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어퍼 커버(52)의 내측에는 유로 가이드(518)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외측 둘레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어퍼 커버(52)에 의해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토출되며, 나선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상기 흡입구(511)와 마주보는 상기 어퍼 커버(52)의 후방에는 토출구(5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512)는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제 1 사이클론(54)과 제 2 사이클론(55)을 통과하여 먼지가 걸러진 상태의 공기가 상기 먼지통(50) 외측으로 토출되는 출구이다. 상기 어퍼 커버(52)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로 가이드(518)에 의해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512)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512)는 상기 흡입 가이드의 가이드 홀(303a)과 접하여 상기 가이드 홀(303a)을 통해 상기 본체부(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t the rear of the
한편, 상기 어퍼 커버(5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인출 가능한 먼지통 손잡이(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손잡이(513)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513a)와 상기 손잡이부(513a)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이드 연장부(51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연장부(513b)는 상기 어퍼 커버(5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손잡이부(513a)가 상기 어퍼 커버(52)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통(5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먼지통 손잡이(513)는 자중에 의해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커버부재(40)의 개폐시 간섭되지 않게 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52)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어퍼 커버 삽입부(514)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커버 삽입부(514)에는 어퍼 가스켓(515)이 구비되어 상기 어퍼 커버(52)가 상기 투명 케이스(5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케이스(53)를 기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52)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 락커(57)에 의해 상기 투명 케이스(5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n upper
상기 로어 커버(52)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52)의 둘레는 로어 가스켓(523)이 구비되며, 상기 로어 커버(5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투명 케이스(53)와 밀착되어 상기 투명 케이스(53)와 상기 로어 커버(52) 사이를 기밀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52)의 중앙에는 전달 기어(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59)는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와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을 연결하여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이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의 구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A
상기 로어 커버(52)는 일측이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하단에 축결합될 수 있으며, 먼지를 비우기 위해서 상기 로어 커버(52)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52)는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락커(58)에 의해 상기 투명 케이스(5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로어 락커(58)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어 커버(52)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클론(54)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과 먼지를 걸러내고, 이물과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사이클론(54)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스트레이너(541)와, 상기 스트레이너(541)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되는 먼지 필터(5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투명 케이스(53)를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먼지 필터 유닛(39)에 의해서 필터링 될 수 있으며, 필터링 된 먼지는 상기 스트레이너(541)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543)을 지나 상기 먼지통(50) 하부의 제 1 집진 공간(501)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 필터 유닛(39)에 의해 필터링 되지 못한 미세 먼지는 상기 먼지 필터 유닛(39)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사이클론(55)으로 유입되어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along the
상기 제 2 사이클론(55)은 상기 스트레이너(5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갈수록 좁하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싱(5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51)의 상단과 케이싱(551)의 하단은 개구되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싱(551)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미세 먼지는 분리되어 하방으로 배출되고, 미세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551)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는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과 분리된 제 2 집진 공간(502)에 저장될 수 있다.The
상기 케이싱(551)의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55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551a)에는 상기 케이싱(551)의 내주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베인(552)이 구비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An
상기 케이싱(551)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551) 내부에서 미세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553a)가 형성되는 볼텍스 파인더(553)가 구비된다. 상기 볼텍스 파인더(553)는 상기 케이싱(55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되 상기 케이싱(551)의 중앙에 상기 출구(553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클론(55)의 상면을 형성하는 사이클론 커버(554)가 구비되며, 상기 사이클론 커버(554)는 상기 다수의 볼텍스 파인더(553)의 출구(553a)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텍스 파인더(553)와 상기 사이클론 커버(554)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베인(552) 또한 상기 볼텍스 파인더(55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클론 커버(554)는 상기 어퍼 커버(52)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볼텍스 파인더(553)의 출구(553a)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어퍼 커버(52)를 통해 유동되며, 상기 토출구(512)를 통해서 상기 본체부(30)의 내측을 따라서 유동된 후 상기 리어 커버(314)를 통해 상기 본체부(3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상기 내부 케이스(544)는 상기 제 1 사이클론(54)과 제 2 사이클론(55)을 지지하며, 동시에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과 제 2 집진 공간(502)을 구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544)는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보다 하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544)와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사이 공간은 상기 제 1 사이클론(54)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으로 정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내측의 공간은 상기 제 2 사이클론(55)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집진 공간(502)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상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케이싱(551)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상부에는 가이드 유닛(54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가이드 유닛(543)은 상기 제 1 사이클론(54)을 통해 분리된 먼지와 공기가 하방으로 유동하게 될 때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외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베이스(543a)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543a)에서 돌출되는 베인(54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가이드 베이스(543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543a)는 상기 내부 케이스(544)와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 케이스(544)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베이스(543a)는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베이스(543a)는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베인(543b)은 상기 베이스(31)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 및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선 방향으로 강제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상기 베인(543b)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이웃하는 베인(543b)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먼지 및 공기는 이웃하는 베인(543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베인(543b)을 통해 안내된 먼지는 상기 베인(543b)을 지나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에 저장된 먼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상기 베인(543b)의 구조상 역방향으로 역류되지 못하고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에 머무르게 된다. The dust guided through the
특히, 상기 베인(543b)의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에는 역류 차단부(531)가 형성된다. 상기 역류 차단부(531)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 차단부(531)는 상기 베인(543b)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reverse
따라서,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에서 역류되는 일부의 먼지는 상기 베인(543b)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지나게 되는 상기 역류 차단부(531)와 부딪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베인(543b)을 통과하지 못하고 다시 하방으로 낙하되어 1차적인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방으로 유동되는 일부의 먼지는 상기 베인(543b)과 역류 차단부(531)에 의해 지속적으로 낙하를 반복하게 되며, 다른 먼지와 부딪히며 압축된다.Part of the dust backwashing in the first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은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의 내측에 저장된 먼지를 회전에 의해 가압하여 먼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세히,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은 회전부(561)와 가압부(5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6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561)는 상기 내부 케이스(544)와의 결합 상태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회전부(561)가 상기 가이드 유닛(543)과 결합된 경우 상기 가이드 유닛(543)과 함께 회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detail, the dust-compressing
상기 가압부(562)는 상기 회전부(561)의 일측에서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까지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62)는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의 단면과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 내측에는 상기 가압부(562)와 겹쳐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내부 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집진 공간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가압부(562)와 상기 내부벽 사이에서 상기 가압부(562)의 정역회전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즉, 상기 가압부(5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2차 압축된다.The
상기 가압부(562)에는 다수의 통기구(562a)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62)의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공기의 저항을 해소하고, 가압부(56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압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62)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과 접하는 데코부재(56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563)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와 면접촉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62)와 상기 투명 케이스(53) 사이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563)는 내 마모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윤할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6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한편,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외측면에는 한쌍의 서포팅 리브(5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리브(532)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 리브(532)는 상기 먼지통(50)의 장착시 상기 본체부(30)의 개구된 전면의 좌우 양측단과 접하여 상기 먼지통(50)의 정확한 장착을 유도하게 된다. Meanwhile, a pair of supporting
도 34는 상기 먼지통의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5는 상기 어퍼 커버가 개방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6은 상기 먼지통의 어퍼 커버와 로어 커버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7은 상기 로어 커버가 개방된 단면도이다.FIG.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dust container viewed from one side. FIG. 35 is a sectional view in which the upper cover is opened.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dust container viewed from the other side. 37 is a sectional view in which the lower cover is open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어퍼 커버(52)와 로어 커버(52)가 장착되어 상기 투명 케이스(53)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어퍼 커버(52)는 어퍼 락커(57)에 의해 상기 투명 케이스(53)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52)는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정비 및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어퍼 락커(57)를 조작하여 상기 투명 케이스(5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상기 어퍼 락커(57)는 상기 투명 케이스(53) 상단에 형성된 어퍼 락커 장착부(53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락커(57) 양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락커 회전축(571)이 상기 어퍼 락커 장착부(533) 상의 락커 홀(533a)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어퍼 락커(57)는 회전 조작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락커 회전축(571) 하방의 상기 어퍼 락커(57)와 상기 어퍼 락커 장착부(533)의 사이에는 락커 스프링(57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장착부(573)와 스프링 가이드(533b)에 의해 상기 어퍼 락커(57)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A
상기 어퍼 락커(57)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상단보다 더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는 후크 형상으로 돌출된 후크부(5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574)는 상기 어퍼 커버(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커버(52)의 후크 구속부(516)에 삽입되어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후크 구속부(516)와 대향되는 상기 어퍼 커버(52)의 일측에는 어퍼 돌기(5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내측면 상단에는 상기 어퍼 돌기(517)가 삽입되는 어퍼 홈(5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5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돌기(517)와 어퍼 홈(53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어퍼 커버(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어퍼 락커(57)에 의해 상기 어퍼 커버(52)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어퍼 커버(52)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52)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어퍼 락커(57)를 조작하여 상기 어퍼 커버(52)의 일단의 구속을 해제한 후 상기 어퍼 돌기(517)와 어퍼 홈(534)을 분리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로어 커버(52)는 상기 로어 락커(58)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커버(52)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과 제 2 집진 공간(502)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과 제 2 집진 공간(502)의 먼지를 비울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로어 커버(52)의 일단에는 로어 커버 축(521)이 형성된다. 상기 로어 커버 축(521)은 상기 투명 케이스(53) 하단에 형성된 로어 커버 결합부(5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커버(52)의 개폐시 상기 로어 커버(52)는 상기 로어 커버(52) 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A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 결합부(535)와 대응하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타단에는 로어 락커(58)가 구비된다. 상기 로어 락커(58)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로어 커버(52)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상세히, 상기 어퍼 락커 장착부(533)와 대향되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하단에는 로어 락커 장착부(536)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 락커 장착부(536)는 한쌍의 돌출된 리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락커 슬롯(536a)이 형성된다. In detail, a lower
상기 로어 락커 장착부(536)의 사이에는 케이스 걸림부(537)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걸림부(537)는 상기 투명 케이스(53)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로어 커버(5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어 커버(52)의 로어 후크(522)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그리고, 상기 로어 락커(58)는 상기 로어 락커 장착부(536)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어 락커(58)의 내측면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락커 돌기(581)가 형성되어 상기 락커 슬롯(536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락커(58)는 상기 로어 락커 장착부(536)에 장착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그리고, 상기 로어 락커(58)의 함몰된 내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푸싱부(5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싱부(582)는 상기 로어 커버에 형성되는 로어 후크(522)와 접하는 것으로, 경사면(582a)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어 락커(58)의 하방이동시 상기 로어 후크(522)가 상기 케이스 걸림부(537)로부터 분리되도록 밀어서 상기 로어 커버(52)가 개방되도록 한다.A pushing
상기 로어 후크(522)의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커버(5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어 후크(522)의 경사면(522a)은 상기 푸싱부(582)의 경사면(582a)과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어 락커(58)의 하방 이동시 상기 푸싱부(582)는 상기 로어 후크(522)의 경사면(522a)을 밀어 상기 로어 후크(522)를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후크(52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로어 후크(522)는 케이스 걸림부(537)와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The
도 38은 상기 로어 커버와 먼지 압축 유닛과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9는 도 35의 B부 확대도이다. 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cover and the dust compression unit. 39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in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커버(52)의 중앙에는 베어링(59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52)의 하면에는 제 1 전달 기어(5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는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50)을 상기 안착부(32)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는 자연스럽게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의 회전축(591a)은 상기 베어링(593)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593)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는 상기 로어 커버(52)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593)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의 회전축(591a)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기어부(592a)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부(592a)는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의 회전부(561) 내주면에 형성되는 기어 결합 돌기(561a)와 결합될 수 있다.The
즉, 상기 먼지통(50)의 조립시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커버(52)를 닫게 되면,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의 기어부(592a)와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의 기어 결합 돌기(561a)가 형합되어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한편,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에는 상면 중앙에는 결합 보스(592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보스(592b)의 외측에는 가스켓 플레이트(594)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592c)이 형성될 수 있다.A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기어(592)의 하면에는 가스켓 장착돌기(592d)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 장착돌기(592d)에는 전달기어 가스켓(597)이 장착된다. 상기 전달기어 장착부(592d)는 상기 회전부(561)의 내주면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 가스켓(597)은 상기 제 2 전달기어(592)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전달기어(59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A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내부 가스켓(595)이 장착된다. 상기 내부 가스켓(595)은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의 상단에 형성된 가스켓 장착부(594a,594b)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가스켓(595)은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개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내부 가스켓(595)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개구된 하단과 접하는 제 1 기밀부(595a)와, 상기 제 1 기밀부(595a)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 2 기밀부(595b)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개구를 고정된 상태로 기밀할 수 있다. The
상기 가스켓 장착부(594a,594b)는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594a)와 상기 제 1 돌출부(594a)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594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594a)와 제 2 돌출부(594b)는 모두 상기 내부 가스켓(595) 하면에 삽입되며, 상기 내부 가스켓(595)을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홈(592c)에 삽입되는 안착 리브(59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리브(594c)는 상기 안착홈(592c)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의 중앙에는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와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의 결합을 위한 축 결합부재(596)가 체결되는 축 결합홀(594d)이 형성된다. 상기 축 결합부재(596)는 상기 축 결합홀(594d)과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의 결합 보스(592b)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A
이때, 상기 결합 보스(592b)는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축 결합부재(596)는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gaging
즉, 상기 먼지통(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모터 어셈블리(323)의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전달 기어(591)와 제 2 전달 기어(59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와 기어 결합된 상기 회전부(561)가 회전되어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이 구동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에 안착된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의 상방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전달 기어(592)의 회전시에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594)에 장착된 상기 내부 가스켓(595)은 상기 내부 케이스(544)의 하면 즉, 상기 제 2 집진 공간(502)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 모터의 구동시 상기 청소기 내부의 먼지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dust and air inside the cleaner when the main motor is driven will be described.
도 40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공기와 먼지 유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1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공기와 먼지 유동을 보인 평면도이다.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and dust flows of the cleaner main body. 41 is a plan view showing the air and dust flow of the cleaner main bod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1)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 모터(35)의 구동이 시작되며, 상기 메인 모터(35)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장치(20)를 통해서 먼지가 혼합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먼지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커넥터(401)를 통해서 흡입되며, 상기 먼지통(50)의 흡입구(511)를 통해 상기 먼지통(5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0)에서는 제 1 사이클론(54)과 제 2 사이클론(55)에 의해 먼지와 미세먼지가 각각 분리된 제 1 집진 공간(501)과 제 2 집진 공간(502)에 포집될 수 있다. The air mixed with the dust is sucked through the
상세히, 상기 흡입구(511)로 유입된 먼지와 혼합된 공기는 상기 유로 가이드(518)를 통해서 상기 먼지통(50)과 상기 스트레이너(541)의 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로 가이드(518)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먼지통(50)의 내벽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Air mixed with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유동되는 먼지와 공기는 상기 먼지 필터(542)와 스트레이너(541)를 지나면서 1차적으로 먼지가 필터링될 수 있으며,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스트레이너(541) 내측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543)을 지나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에 저장된다.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에 포집된 먼지는 상기 먼지 압축 유닛(56)과 상기 가이드 유닛(543) 및 역류 차단부(531)에 의해서 2중으로 압축되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The dust and air that flows may be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한편, 상기 필터와 스트레이너(541)를 지나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케이싱(551)의 유입구(551a)를 통해서 상기 케이싱(551)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551a)측의 가이드 베인(552)에 의해 상기 케이싱(55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싱(551)의 내벽을 따라서 소용돌이치게 된다.Meanwhile,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nd the
이 과정에서 미세 먼지와 공기가 분리되어 2차적으로 미세먼지가 필터링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551) 내부에서 분리된 미세먼지는 상기 케이싱(55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서 낙하하여 상기 제 2 집진 공간(502)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볼텍스 파인더(553)의 출구(553a)를 통해서 상방으로 유동된 후 상기 토출구(512)를 통해 상기 먼지통(50) 밖으로 유동된다. In this process, the fine dust and the air are separated and the fine dust can be filtered secondarily. The fine dust separated inside the
상기 토출구(5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 안착부재(303)를 지나 상기 어퍼 프레임(34) 내측의 공간으로 유동되며, 상기 메인 모터(35)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메인 모터(3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 홀(341a)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로어 프레임(33)에 장착된 필터 유닛(39)을 통과하게 된다.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필터 유닛(39)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초미세 먼지가 분리될 수 있으며, 결국 3차적으로 초미세 먼지까지 필터링될 수 있게 된다. 필터링된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필터 유닛 하방의 배터리 유닛(38)을 냉각하게 되며, 상기 리어 커버(314)를 통해 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separ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39)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베리어 홀(331a)을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노이즈 필터(302)와 메인 피시비(301)를 냉각하게 된다. 상기 노이즈 필터(302)와 메인 피시비(301)를 냉각한 공기는 상기 본체부(30) 내부에서 자연 배기 되거나 상기 리어 커버(3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청소기(1)의 사용 후 먼지통(50)을 비우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누름부재(81)를 눌러 상기 락킹 어셈블리(80)를 동작시켜 상기 커버부재(4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40)가 완전히 개방되면, 링크 어셈블리(90)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재(4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order to empty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50)을 상기 본체부(3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로어 락커(58)를 조작하여 상기 로어 커버(52)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52)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 1 집진 공간(501) 및 제 2 집진 공간(502) 내부의 먼지를 모두 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0)의 세척 및 점검을 위해서는 상기 어퍼 락커(57)를 조작하여 어퍼 커버(51)까지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구성들을 분리하여 세척 및 점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after the
상기 먼지통(50)을 비운 후에는 상기 본체부(30)에 상기 먼지통(50)을 다시 장착시키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40)를 회동시켜 상기 커버부재(40)를 닫게 된다.After the
한편, 상기 청소기(1)의 사용 중 사용자는 상기 핸들(23)을 쥐고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during use of the
도 42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정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stopped.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무게 중심(G)이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C)보다 더 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leaner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며, 상기 베이스(31)의 후반부(313)가 아래로 내려가고 전반부(312)가 위로 들리게 된다.In this state, the cleaner
이때,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지면과 접하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31)의 후반부(313)가 하방으로 과도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베이스(31)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즉, 양측의 상기 이동 바퀴(60)와 리어 휠 유닛(70)은 모두 지면에 접하게 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3점이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무게 중심이 위치되는 청소기 본체(10)의 후방이 낮아진 상태가 되며, 정지된 상태에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oth the moving
따라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반부는 상기 먼지통(50) 내부의 먼지 유무 또는 먼지 양에 관계없이 설정된 각도(α)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부(306)에서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자세를 각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 half of the cleaner
즉, 상기 감지부(306)에서는 상기 전반부(312)가 설정된 각도(α)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이동되지 않는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휠 모터(632)는 구동되지 않고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43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3 is a view showing a running state of the cleaner main bod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상기 핸들(23)을 쥔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핸들(23)에 연결된 흡입호스(24)가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호스(24)가 연결된 상기 커넥터(401)는 상기 커버부재(40)에 위치되므로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C)보다 더 상방에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ser moves forward while holding the
상기 커넥터(401)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전반부(312)와 지면 사이의 각도(β)는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설정된 각도(α)보다는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1)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되더라도 상기 전반부(312)는 프론트 휠(312a)에 의해 지면과 직접 접하지는 않게 되며, 상기 프론트 휠(312a)이 지면과 접하여 상기 청소기(1)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ngle? Between the
예를 들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부(311)는 지면과 수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반시계 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전반부(312)는 지면과 20˚각도가 되며, 후반부(313)는 1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이상적으로 주행할 수 있으나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각도는 사용자가 당기는 순간적인 힘의 크기나 지면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감지부(306)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자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306)에서 상기 전반부(312)와 지면의 각도(β)가 설정된 각도(α)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휠 모터(632)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 바퀴(6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방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The
이때, 상기 감지부(306)는 감지되는 각도가 설정된 각도(α)보다 작아지는 즉시 상기 휠 모터(362)를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감지부(306)에서 감지되는 변화 값이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1˚~2˚)를 넘어설 때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전반부(312)와 지면의 각도(β)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각도 변화에 비례하여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전반부(312)와 지면의 각도(β)가 급격하게 작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휠 모터(632)의 회전 속도 또한 빨라지게 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빠른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반부(312)와 지면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작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휠 모터(362)의 회전 속도를 상개적으로 더 느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커넥터(401)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지거나 없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401)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이동 바퀴(6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다시 도 42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306)는 상기 전반부와 지면이 설정된 각도(α)가 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휠 모터 어셈블리(6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shortened due to forward movement of the cleaner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핸들(23)을 쥐고 이동하게 되면 상기 커넥터(401)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주행하여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상기 커넥터(401)측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게 되며 커넥터(401)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무게 중심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정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grasps and moves the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를 추종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도 자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user repeats this process, the cleaner
상기 전반부(31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행 중 문턱이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넘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장애물이 발생된 상황에서도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안정적으로 주행하여 장애물을 넘어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Since the
그리고, 높이가 높은 장애물을 넘을 때 또는 사용자가 핸들(23)을 들어올리는 등의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상기 이동 바퀴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반부(313)가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지면과 접하는 상태로 상기 후반부(313)가 과도하게 낮아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휠 유닛(70)은 상기 후반부(313)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도 42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When the obstacle exceeds a high obstacle or when the user lifts th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주행 중 장애물(O)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장애물(O)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바퀴(60)의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장애물을 회피하여 주행 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cleaner
도 44는 상기 청소기의 장애물 회피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4 is a view showing an obstacle avoidance running state of the cleaner.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주행 중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에 의해 장애물(O)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커버부재(40)의 전면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의 장애물(O)을 감지한 후 회피 주행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bstacle O can be detected by the
예컨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에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 전방 센서(44c)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메인 피시비(301) 또는 감지 피시비(360a)에서 상기 장애물(O)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그리고, 상기 장애물(O)의 위치를 산출하게 되면 상기 메인 피시비(301)는 좌우 양측의 상기 이동 바퀴(60) 중 상기 장애물(O)과 가까운 쪽의 이동 바퀴(60)의 회전을 빠르게 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여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O is calculated, the
이때, 상기 메인 피시비(301)는 양측의 휠 모터(632) 중 일측의 휠 모터(632)만 구동시킬 수 있으며, 양측의 휠 모터(63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거나 회전 방향을 다르게 하여 장애물(O)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에서 감지되는 장애물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휠 모터(36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먼 거리에서 장애물(O)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휠 모터(362)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으며, 가까운 거리에서 장애물(O)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휠 모터(362)의 회전 속도를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The rotation speed of the wheel motor 362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이와 같이, 별도의 장애물(O)을 피하기 위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에 의해 장애물(O)을 회피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ctively avoid the obstacle O by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전진 주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후반부(313) 또한 경사진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후반부(313)의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자동으로 후진 주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도 45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의 감지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45 is a view showing the sensing range of the obstacle sensing memb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설정된 감지 거리(L) 이내의 장애물을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대략 650mm의 감지 거리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의 감지 거리(L)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프론트 휠(312a)이 지면에 닿게 되었을 때 지면을 감지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tection distance L of the
감지 거리(L)를 과도하게 길게 할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반부(3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지면을 장애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감지 거리(L)를 과도하게 짧게 할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한 후 아주 빠르게 회피 기동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회피 기동을 하더라도 장애물을 완전히 피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When the detection distance L is excessively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청소기 본체(10)의 회전시 지면을 감지하지 않으면서도 감지 후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회피하여 주행할 수 있는 설정 거리(L)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청소기 본체(10)의 최상단인 상기 커버부재(40)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각도 변화에도 지면이 감지 되지 않으면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애물 감지 부재의 조사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예컨데, 장애물 감지부재(44)가 청소기 본체(10)의 하면에 구비되거나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에서 조사되는 광선이 지면을 향할 수 밖에 없으며 지면의 감지로 인해 장애물 감지 오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특히 회전되는 청소기 본체(10)의 특성상 사실상 지면의 감지가 되지 않으면서 장애물만을 식별해 낼 수 있는 위치의 선정이 중요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도 46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벽면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6 is a view showing the traveling state of the wall of the cleaner main body. FIG.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청소를 위해 실내 벽면 또는 가구의 벽면 등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도 있다. 이와 같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벽면을 인지하여 벽면을 회피하지 않고 벽면을 따라 주행한 후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완전히 코너를 빠져나온 후에 회전하여야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leaner
이를 위해 상기 장애물 감지부재(44)는 상기 전방 센서(44b, 44c)와 측방 센서(44a, 44d)가 서로 다른 감지 거리(L1,L2)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센서(44b, 44c)의 감지 거리(L1)는 측방 센서(44a, 44d)의 감지 거리(L2)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센서가 대략 650mm의 감지 거리(L2)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측방 센서(44a, 44d)는 대략 300mm의 감지 거리(L2)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상기 측방 센서(44a, 44d)의 감지 거리(L2)가 전방 센서(44b, 44c)와 같거나 더 긴 경우에는 측방 센서(44a, 44d)의 감지 거리(L2)로 인해 벽면과 너무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전방 센서(44b, 44c)가 벽면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전방 센서(44b, 44c)와 측방 센서(44a, 44d)가 동시에 감지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어 벽면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방 센서(44a, 44d)의 감지 거리(L2)를 보다 짧게 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벽면과 보다 가까이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전방 센서(44b, 44c)와 측방 센서(44a, 44d)의 동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If the sensing distance L2 of th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주행 중 상기 전방 센서(44b, 44c) 측방 센서(44a, 44d)가 동시에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이를 벽면으로 판단하여 회피 운전을 하지 않고 벽면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센서(44b, 44c)와 측방 센서(44a, 44d)가 벽면을 감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지속적으로 벽면을 따라 주행한 후에 상기 전방 센서(44b, 44c)가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어서 상기 측방 센서(44a, 44d)가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벽면의 코너를 지난 것으로 판단하여 코너의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이때,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측방 센서(44a, 44d)가 장애물이 없는 것을 확인 한 후 설정 거리만큼 더 직진 한 후 회전하도록 운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완전히 코너를 지난 후 회전하여 청소기 본체(10)의 뒷부분이 벽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eaner
Claims (16)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단에 구비되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
상기 청소기 본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통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커버부재;
일측에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커버부재가 연결되는 흡입호스;
상기 커버부재와 청소기 본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링크;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시 직선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provided with a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dust container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collecting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cov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opened / closed to selectively receive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A suction hose to which a suction part for suctioning dust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co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 link assembly connecting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cleaner main body; And
And a link assembly receiv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so as to insert at least a part of the link assembly and restricting the link assembly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member, ,
The link assembly includes:
A rotating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cover member;
And a slider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link and accommodated in the link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and linearly reciprocating when the cover member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커버부재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 결합부의 회전축과 떨어진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member is formed with a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Wherein one end of the link assembly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remot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cover member engaging portion.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다른 일단을 수용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를 위한 회전 조작시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assembly receiving portion receives the other end of the link assembly,
Wherein the link assembly is formed to slide in and out when the cover member is rotat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member.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assembly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sli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ider.
상기 회전 링크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서포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부에는,
상기 서포팅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고정부와;
상기 서포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의 내측에 걸림 구속되는 서포팅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lider are formed on the rotary link,
In the supporting portion,
A slider fixing part protruding inwardly of the supporting part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slider;
And a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서포팅부에는,
상기 서포팅부의 단부에서 슬라이더 고정부와 서포팅 돌기의 사이를 지나도록 절개되며, 상기 서포팅 돌기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서포팅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upporting portion,
And a supporting slit cut at an end of the supporting part between the slider fixing part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and providing elasticity for selective restraint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의 내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팅 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간섭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es inward,
Wherein an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which interferes with the supporting protrusion in a state where the cover member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restricting rotation of the cover member.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l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fixing part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fixing hole.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der guide extending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r,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ink assembly includes a guide rib contacting the slider guide to guide movement of the slider.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흡입호스가 삽입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hose is inserted into a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nd a connector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is formed.
상기 흡입 호스에는 상기 커넥터에 탈착 가능한 피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ction hose is formed with a detachable fitting portion in the connector.
상기 피팅부는 상기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tting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when the fit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connector.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흡입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member is opened and closed while the suction hose is connected.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먼지통이 안착되며,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퍼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데코에는,
상기 커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결합홀과, 상기 링크 어셈블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seated and which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tor;
And an upper deck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form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to which the cover is rotatably mounted,
In the upper decor,
A cover member engaging hol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otatably engaged, and a link assembly receiving portion.
상기 청소기 본체의 양측에는 청소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회전되는 이동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 호스는 상기 이동 바퀴의 회전축보다 전방 및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a moving wheel is provided for rotating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Wherein the suction hose is positioned forward and upward of the rotary shaft of the moving wheel.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8665A KR101852405B1 (en) | 2016-08-25 | 2016-08-25 | Vacuum cleaner |
TW106106546A TWI636758B (en) | 2016-02-29 | 2017-02-24 | Vacuum cleaner |
AU2017227413A AU2017227413B2 (en) | 2016-02-29 | 2017-02-27 | Vacuum cleaner |
GB1814020.2A GB2566613B (en) | 2016-02-29 | 2017-02-27 | Vacuum cleaner |
PCT/KR2017/002156 WO2017150868A1 (en) | 2016-02-29 | 2017-02-27 | Vacuum cleaner |
DE112017001060.8T DE112017001060B4 (en) | 2016-02-29 | 2017-02-27 | Vacuum cleaner |
US15/445,326 US10433693B2 (en) | 2016-02-29 | 2017-02-28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8665A KR101852405B1 (en) | 2016-08-25 | 2016-08-25 | Vacuum clea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2452 Division | 2016-02-29 | 2016-05-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1157A KR20170131157A (en) | 2017-11-29 |
KR101852405B1 true KR101852405B1 (en) | 2018-04-26 |
Family
ID=6081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8665A KR101852405B1 (en) | 2016-02-29 | 2016-08-25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240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28121A (en) | 2000-07-18 | 2002-01-29 | Toshiba Tec Corp | Vacuum cleaner |
-
2016
- 2016-08-25 KR KR1020160108665A patent/KR10185240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28121A (en) | 2000-07-18 | 2002-01-29 | Toshiba Tec Corp |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1157A (en) | 2017-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43596B (en) | Vacuum cleaner | |
EP3424390B1 (en) | Vacuum cleaner | |
TWI641351B (en) | Vacuum cleaner | |
JP6700408B2 (en) | Vacuum cleaner | |
TWI636758B (en) | Vacuum cleaner | |
JP6748727B2 (en) | Vacuum cleaner | |
TW201731437A (en) | Vacuum cleaner | |
JP6776361B2 (en) | Vacuum cleaner | |
KR101898372B1 (en) | Vacuum cleaner | |
KR20170131165A (en) | Vacuum cleaner and dust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 |
KR101893257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72100B1 (en) | Vacuum cleaner | |
KR101922301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72103B1 (en) | Vacuum cleaner | |
KR101974214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52405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72101B1 (en) | Vacuum cleaner | |
KR101952634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72099B1 (en) | Vacuum cleaner | |
KR101909337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72102B1 (en) |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11143B1 (en) | Vacuum cleaner | |
KR101852407B1 (en) | Vacuum cleaner | |
KR101942406B1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