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102B1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102B1 KR101859102B1 KR1020110093539A KR20110093539A KR101859102B1 KR 101859102 B1 KR101859102 B1 KR 101859102B1 KR 1020110093539 A KR1020110093539 A KR 1020110093539A KR 20110093539 A KR20110093539 A KR 20110093539A KR 101859102 B1 KR101859102 B1 KR 101859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sage
- displayed
- mobile terminal
- window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101150013335 im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01150053844 AP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1100189105 Homo sapiens PABPC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100039424 Polyadenylate-binding protein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2100038359 Xaa-Pro aminopeptidase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1710081949 Xaa-Pro aminopeptidas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00055496 Arabidopsis thaliana AP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00016250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GY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화면 크기가 제한되어, 복수의 상대방과 메시지를 번갈아 가면서 송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메시지 창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여러 명의 상대방과 번갈아 가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수신할 상대방을 변경할 때마다, 현재 표시된 메시지 창을 화면에서 삭제하고, 변경할 상대방을 선택하여 선택된 상대방과의 메시지 창을 다시 화면에 표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명의 상대방과 번갈아 가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디스플레이 모듈; 및 특정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이동 단말기의 뷰 모드를 가로 뷰 모드(landscape view)로 전환하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 뷰 모드가 되면,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이면,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제1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송수신 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되거나 상기 아이템을 이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대화 상대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뷰 모드를 전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대화 상대를 추가하기 위한 모드에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로 뷰 모드에서 메시지 창과, 추가 가능한 상대방의 리스트를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진행 중인 대화 상황을 지켜보면서 간단하게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상대방과 번갈아 가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메시지창간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첨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이지 않은 메시지 창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첨부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 항목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을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5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메시지창간 이동을 통해 메시지 창을 선택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는 지시자를 이용하여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창 간에 메시지, 상대방 정보 등을 공유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의 메시지를 결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창을 가변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창이 가변 됨에 따라 키패드의 위치 및 크기가 가변 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이지 않은 메시지 창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첨부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 항목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을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5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메시지창간 이동을 통해 메시지 창을 선택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는 지시자를 이용하여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창 간에 메시지, 상대방 정보 등을 공유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의 메시지를 결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창을 가변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창이 가변 됨에 따라 키패드의 위치 및 크기가 가변 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일, 일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포인트(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포인트(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101, 102)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0)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버튼 또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 있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이동 단말기(100)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 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이동 단말기(100) 바디에 내장되거나, 이동 단말기(100)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문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는 화면 표시 방향에 따라 가로 뷰 모드(landscape view mode)와 세로 뷰 모드(portrait view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세로 뷰 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뷰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 방향과 세로 뷰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본 문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입력을 토대로 뷰 모드의 전환을 제어한다. 뷰 모드의 전환을 발생시키는 제어 입력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 입력부(130)의 특정 키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드래그(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창(window)을 '메시지 창'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타 사용자를 '상대방' 또는 '대화 상대'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본 문서에서, 상기 메시지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IM),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E-mail) 등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의 구현을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센싱부(14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축 선상에서의 회전 즉,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에 따른 회전 속도 또는 각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중력 가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나침반처럼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30)의 자이로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각속도,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중력 가속도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은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tilting), 수평상태, 회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토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뷰 모드를 가로 뷰 모드 또는 세로 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획득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토대로,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를 토대로 뷰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특정 키 버튼의 조작 등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토대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동작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또한,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템은,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현재 비활성화된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송신 시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01).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이동 단말기(100)가 가로 뷰 모드로 동작하면(S102),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S103).
또한, 분할된 영역들 중 제1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제2 영역은 메시지 창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설정한다(S104). 즉,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아이템을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영역에는 현재 활성화 상태인 메시지 창을 표시하거나, 이후 생성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한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가로 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 뷰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토대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특정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특정 키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됨에 따라(S105),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아이템을 이용한 기능을 실행한다(S106).
상기 S104 단계에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대화 상대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S201).
이후,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에서 대화 상대로 추가할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이 선택되면(S202),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대화 상대로 추가한다(S202).
상기 S201 단계에서,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콘택(contact)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기 저장된 콘택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대방들 중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대방들 중 즐겨찾기로 등록된 상대방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대방들 중 최근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한 상대방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대방들 중 메시지 송수신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선택된 상대방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대방들 중 현재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의 상대방과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상대방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7 및 8은 제1 영역에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을 제1 영역(A1)에 리스트(CL1) 형태로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은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콘택(contact)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보면,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이 이름 순서대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은 최근에 메시지를 송수신한 순서, 메시지 송수신 빈도수 등 다른 조건을 토대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즐겨 찾기(favorites)로 등록된 상대방들을 아이콘(FI1) 형태로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보면, 상기 S202 단계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화 상대로 추가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대방을 태핑하여, 해당 상대방을 대화 상대로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되면, 해당 상대방을 대화 상대로 추가하라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터치된 상대방을 대화 상대방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대방을 터치하여 제2 영역으로 드래그함으로써, 대화 상대를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이 제2 영역으로 드래그되면, 해당 상대방을 대화 상대로 추가하라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드래그된 상대방을 대화 상대로 추가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의 리스트(CL1)를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현재 활성화된 메시지 창이 없으므로, 제2 영역(A2)에는 빈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 제1 상대방(AAA)이 터치되고,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되면, 제1 상대방(AAA)에 대한 대화 상대 추가 요청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제1 상대방(AAA)과의 제1 메시지 창(MW1)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제1 메시지 창(MW1)을 제2 영역(A2)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상대방(AAA)과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창(MW1)에 표시한다.
한편, 도 9에서는 현재 생성된 메시지 창이 없는 경우, 제2 영역(A2)을 빈 화면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생성된 메시지 창이 없는 경우, 제2 영역(A2)에는 대화 상대 추가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의 리스트(CL1)를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실행 중인 제1 상대방(AAA)과의 제1 메시지 창(MW1)을 제2 영역(A2)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 제2 상대방(BBB)이 터치되고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됨에 따라, 제2 상대방(BBB)을 대화 상대로 추가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제2 상대방(BBB)과의 제2 메시지 창(MW2)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제2 메시지 창(MW2)을 제2 영역(A2)에 표시한다.
한편, 도 10의 (b)를 보면, 제어부(180)는 제2 메시지 창(MW2)이 추가됨에 따라, 제1 메시지 창(MW1)의 일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2 메시지 창(MW2)을 제1 메시지 창(MW1) 위에 중첩되게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제1 메시지 창(MW1)의 일부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메시지 창(MW1)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대화 상대로 추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상대방들 중 제2 상대방(BBB) 및 제3 상대방(AAB)이 터치되고,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됨에 따라, 제2 상대방(BBB) 및 제3 상대방(AAB)을 대화 상대로 추가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상대방(BBB) 및 제3 상대방(AAB) 각각에 대해 메시지 창을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창들을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되면, 화면의 일부 영역에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화 상대를 추가하고 다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여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 전환을 위한 조작이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S104 단계에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 창들 중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메시지 창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 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실행 중이며 이동 가능한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
도 12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이지 않은 메시지 창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메시지창간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 창들 중 제2 영역에 표시 중인 메시지 창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S301). 즉,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이 선택되면(S302),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한다(S303). 또한,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당 메시지 창을 제2 영역에 표시한다.
도 13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 창들 중 제2 영역(A2)에 표시 중인 제1 메시지 창(MW1)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한편,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각 메시지 창은, 각 메시지창의 상대방 정보 등을 토대로, 단축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을 예로 들면, 각 메시지 창은 해당 메시지 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단축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제1 영역에서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가능한 메시지 창들을 단축 아이콘 형태로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된 메시지 창들 중 제2 메시지 창(MW2)이 터치됨에 따라, 제2 메시지 창(MW2)으로 이동한다. 즉,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 창(MW2)을 제2 영역(A2)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2 메시지 창(MW2)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1 메시지 창(MW1)의 단축 아이콘을 제1 영역(A1)에 추가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제2 메시지 창(MW2)에서 제1 메시지 창(MW1)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뷰 모드에서 복수의 메시지 창이 실행 중인 경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이동 가능한 메시지 창들을 표시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창 간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상기 S104 단계에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S401).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S402),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403). 또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
도 16은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APP1 ~ APP3)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16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통화(Call)(APP1), 이메일(E-mail)(APP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APP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도 16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들보다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5를 보면, 상기 S404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메시지창의 대화 내용, 상대방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APP1 ~ APP3) 중 통화(APP1)가 선택됨에 따라,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기능을 실행시킨다. 또한, 통화 화면(AW1)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통화 기능 실행 시,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MW1)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 중인 제1 상대방(AAA)의 상대방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상대방(AAA)의 전화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상대방(AAA)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제1 상대방(AAA)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실행하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경우, 통화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최근 통화 기록 표시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제1 영역(A1)에 제1 상대방(AAA)과의 최근 통화 기록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APP1 ~ APP3) 중 이메일(APP2)이 선택됨에 따라,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AW2)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제1 메시지 창(MW1)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 중인 제1 상대방(AAA)의 상대방 정보 즉, 이메일 주소(UA1)를 획득한다. 또한, 획득한 이메일 주소(UA1)를 토대로 제1 상대방(AAA)에게 전송할 이메일 작성 화면(AW2)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즉, 제1 상대방(AAA)의 이메일 주소(UA1)를 이메일 작성 화면(AW2)의 받는 사람 항목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한편, 도 18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실행하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이메일 작성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메시지 창(MW1)으로부터 획득되는 제1 상대방(AAA)의 이메일 주소를 토대로, 제1 상대방(AAA)과의 이메일 송수신 내역을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메시지 창(MW1)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들이 첨부된 이메일 작성 화면을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APP1 ~ APP3) 중 SNS(APP3)가 선택됨에 따라,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AW3)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SNS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MW1)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 중인 제1 상대방(AAA)의 상대방 정보 즉, 제1 상대방(AAA)의 SNS 계정을 획득한다. 또한, 획득한 SNS 계정을 SNS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상대방(AAA)의 SNS 내역을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9는 SNS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실행하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SNS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의 SNS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NS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1 메시지 창(MW1)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들을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SNS 계정으로 업로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뷰 모드에서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획득되는 상대방 정보, 대화 내용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상기 S104 단계에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첨부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컨텐츠 첨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한다(S501). 여기서, 컨텐츠는,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S502), 선택된 컨텐츠를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한다(S503).
도 21은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이미지들(IMG1 ~ IMG9)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22는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이미지들(IMG1 ~ IMG9)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들(IMG1 ~ IMG9)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IMG1)가 제1 메시지 창(MW1)으로 드래그됨에 따라, 드래그된 이미지(IMG1)가 첨부된 메시지(M1)를 제1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AAA)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된 메시지(M1)을 제1 메시지 창(MW1)에 표시한다.
한편, 도 22에서는 제1 영역(A1)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IMG1)를 제1 메시지 창(MW1)으로 드래그함으로써, 드래그된 이미지(IMG1)가 첨부된 메시지(M1)를 제1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AAA)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영역(A1)에 표시된 컨텐츠를 메시지 입력창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작성 중인 메시지에 컨텐츠를 첨부하고,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드래그된 컨텐츠가 첨부된 메시지를 제1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AAA)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되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첨부 가능한 컨텐츠들을 표시함으로써, 메시지에 컨텐츠를 첨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상기 S104 단계에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도 5의 S104 단계 내지 S105 단계의 상세 흐름도로서,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8은 도 23에 도시된 메뉴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제1 영역에 표시한다(S601). 여기서, 각 메뉴 항목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이 대응되어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S602),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시킨다(S603).
도 24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 항목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들(MENU1 ~ MENU4)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각 메뉴 항목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로 다른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도 24를 예로 들면, 각 메뉴 항목에는 대화 상대 추가 기능, 다른 메시지 창 보기 기능,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 컨텐츠 첨부 기능 등이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MI1 ~ MI4)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24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은 도 24에 도시된 메뉴 항목들 보다 더 많은 메뉴 항목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은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대화 상대 추가'(MENU1)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대화 상대 추가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대화 상대 추가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2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다른 메시지 창 보기'(MENU2)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다른 메시지 창 보기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다른 메시지 창 보기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 창들 중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제1 메시지 창(MW1)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27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어플리케이션 연동'(MENU3)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도 28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컨텐츠 첨부'(MENU4)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컨텐츠 첨부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컨텐츠 첨부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컨텐츠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다시, 도 5를 보면,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뷰 모드가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로 전환된 이후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A1, A2)으로 구분한다. 또한, 복수 개의 메시지 창(MW1, MW2)이 실행됨에 따라, 분할된 각 영역(A1, A2)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A1)에 표시된 제2 메시지 창(MW2)을 다른 영역(A2)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 창(MW2)을 제2 영역(A2)으로 이동시켜 제1 메시지 창(MW1) 위에 중첩되게 표시한다.
또한, 제2 메시지 창(MW2) 대신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영역(A1)에서 어느 하나의 상대방을 선택하여 대화 상대로 추가할 수 있다.
도 3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A1, A2)으로 구분한다. 또한, 복수 개의 메시지 창(MW1, MW2)이 실행됨에 따라, 분할된 각 영역(A1, A2)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A1)에 표시된 제2 메시지 창(MW2)의 상단 부분을 터치하여 입력창(IW)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3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 창(MW2)을 최소화하여 표시한다. 즉, 제2 메시지 창(MW2)의 상단 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끌어 내리는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제2 메시지 창(MW2)을 접힌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영역(A1)에서 어느 하나의 상대방을 선택하여 대화 상대로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도 30의 (b)에서 최소화되어 표시되는 제2 메시지 창(MW2)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화면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최소화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31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A1, A2)으로 구분한다. 또한, 복수 개의 메시지 창(MW1, MW2)이 실행됨에 따라, 분할된 각 영역(A1, A2)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A1)에 대한 핀치 인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A2)에 표시 중인 제1 메시지 창(MW1) 외에 현재 실행 중인 다른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 표시 중이던 제2 메시지 창(MW2) 또한 단축 아이콘 형태로 제1 영역(A1)에 표시된다.
한편, 도 31의 (b)에서, 단축 아이콘 형태로 제1 영역(A1)에 표시 중인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메시지 창을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9 내지 도 31에서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상대방이거나 이동 가능한 메시지 창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아이템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첨부 가능한 컨텐츠,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대화 상대를 추가함에 따라 복수의 메시지 창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메시지 창 간 이동이 용이하도록 메시지 창들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을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표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을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A1, A2)으로 구분한다. 또한, 분할된 각 영역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표시되더라도, 입력창(IW)은 하나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토대로, 화면에 표시 중인 메시지 창들(MW1, MW2)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을 선택하고, 입력창(IW)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선택된 메시지창의 상대방에게만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창의 개수가 화면에 표시 가능한 메시지창의 개수보다 많을 경우, 화면을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성하고, 각 페이지마다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이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지시자(PID)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에 표시 중인 페이지를 표시하고, 페이지 지시자를 이용하여 페이지간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페이지 지시자가 터치되면, 터치된 페이지 지시자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MW1, MW2)이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메시지 창들을 표시하는 대신, 메시지 창(MW1, MW2)들을 서로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메시지 창(MW1, MW2)들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되는 경우, 맨 앞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MW1)만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입력창(IW)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맨 앞의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도 32에 개시된 표시 모드와 도 33에 개시된 표시 모드 간에 전환이 가능하다.
도 3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A1, A2)으로 구분하고, 분할된 각 영역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됨에 따라,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대신, 메시지 창(MW1, MW2)들을 서로 중첩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실행 중인 경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메시지창간 이동이 가능하다.
도 35 내지 도 39는 사용자가 메시지창간 이동을 통해 메시지 창을 선택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플리킹을 통한 페이지 이동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 창 간 이동을 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의 (a)를 보면,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창의 개수가 화면에 표시 가능한 메시지창의 개수보다 많음에 따라, 화면을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성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복수 개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PG1)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이에 따라, 해당 페이지(PG1)에 대응되어 있는 메시지 창(MW1, MW2)들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후, 제어부(180)는 플리킹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를 전환하고, 전환된 페이지(PG2)에 대응되어 있는 메시지 창들(MW3, MW4)을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메시지 창들을 복수 개의 페이지로 구분하는 경우, 도 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이지를 나타내는 페이지 지시자(PID)를 이용하여 현재 표시 중인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페이지 지시자가 터치되면, 터치된 페이지 지시자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터치된 페이지 지시자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대응되어 있는 메시지 창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5에서는 메시지 창들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분되는 경우, 페이지간 이동을 위해 페이지 지시자 또는 플리킹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페이지간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태핑되면, 태핑된 위치를 토대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의 좌측 바디가 태핑되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화면의 우측 바디가 태핑되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등 태핑되는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페이지를 달리할 수 있다.
도 36은 어느 하나의 영역에 메시지 창을 중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 창 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분할된 각 영역(A1, A2)에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된 제2 메시지 창(MW2)을 제2 영역(A2)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 창(MW2)을 제2 영역(A2)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즉, 제2 메시지 창(MW2)을 제1 메시지 창(MW1) 위에 중첩되게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다른 메시지 창(MW3)을 불러와 제2 메시지 창(MW2) 대신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는 경우, 중첩되어 표시되는 메시지 창들의 상대방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토대로 그룹핑된 상대방들에게 그룹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일대일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는 경우, 메시지 창들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메시지 창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2 영역(A2)에 대한 플리킹, 태핑 등을 토대로, 중첩되는 메시지창들(MW1, MW2) 중 맨 위에 표시되는 메시지창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는 경우, 서로 중첩되는 각 메시지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메시지 창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시지창(MW2)이 맨 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에 일부 표시된 제1 메시지창(MW1)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제1 메시지창(MW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A2)에는 제1 메시지창(MW1)이 맨 위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는 각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지시자들(WID1, WID2)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시자(WID1, WID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토대로, 대응하는 메시지 창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시자(WID1, WID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토대로, 메시지창간 이동을 할 수도 있다.
도 37은 메시지 창 지시자를 이용하여 중첩되어 표시 중인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을 예로 들면, 제어부(180)는 도 3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서로 다른 메시지 창(MW1, MW2)이 대응되어 있는 지시자들(WID1, WID2)을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 상단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지시자(WID1)가 터치됨에 따라,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지시자(WID1)에 대응되어 있는 메시지 창(MW1)으로 이동한다. 즉, 터치된 지시자(WID1)에 대응되어 있는 메시지 창(MW1)이 맨 앞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지시자를 화면 상단에 표시하는 경우, 현재 맨 앞에 표시 중인 메시지 창이 어느 메시지 창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맨 앞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지시자를 강조(highlight)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시지 창 지시자를 이용하여 메시지 창 활성화를 제어하는 경우, 각 메시지창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현재 활성화 된 상태인 메시지 창이 어느 메시지 창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활성화 상태인 메시지 창이 대응되어 있는 지시자를 강조(highlight)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 창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은, 입력창(IW)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시지 창, 즉, 현재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으로 선택된 상대방과의 메시지 창임을 나타낸다.
도 38은 화면의 일부 영역에 이동 가능한 메시지 창들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들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 중인 메시지 창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MW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도 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시지 창을 제1 영역(A1)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을 현재 위치에 고정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특정 메시지 창에 대한 고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메시지 창이 현재 위치에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 창이 고정 표시 중임을 나타내는 지시자(FID)를 메시지 창 상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이 고정되면, 제어부(180)는 고정이 해제되기 전까지 페이지 이동이 요청되거나, 메시지 창 이동이 요청되어도, 고정된 메시지창의 표시를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새롭게 메시지 창이 추가되더라도 고정된 메시지창의 표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9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로 뷰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영역의 분할 없이 메시지 창들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메시지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메시지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시지 창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크롤 바(SB1)를 표시하고, 스크롤 바(SB1)의 위치를 토대로 맨 앞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9에서, 스크롤 영역(SA1) 내에서의 스크롤 바(SB1)의 위치는, 전체 메시지 창들 중 현재 맨 앞에 표시되는 메시지창의 위치 또는 순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롤 영역(SA1) 내에서 스크롤 바(SB1)를 드래그하여, 현재 화면에서 맨 앞에 표시되는 메시지 창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실행 중인 메시지 창이 복수 개인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에 대해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새로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지시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을 가리키는 지시자를 이용하여 손 쉽게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 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40은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는 지시자를 이용하여 메시지창간 이동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지시자(NMID1)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강조하여 표시한다.
또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지시자(NMID1)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도 4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 창(MW3)로 이동한다. 즉,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메시지 창(NW3)을 불러와 화면에 표시하고, 메시지 창(MW3) 내에 새롭게 수신된 메시지(NM1)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메시지 창이 복수 개인 경우, 메시지 창 간의 메시지를 공유하거나, 메시지 창 서로 간의 상대방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41 내지 도 43은 메시지 창 간에 메시지, 상대방 정보 등을 공유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1의 (a)를 보면, 제어부(180)는 제2 영역(A2)에 중첩되게 표시되는 복수 개의 메시지 창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그룹핑된 메시지 창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창(MW2)에 표시되는 메시지(GM1)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프레스됨에 따라, 도 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시지(GM1)를 그룹핑된 메시지 창들(MW1, MW2)의 상대방들(AAA, BBB)에게 그룹으로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창(SW1)을 표시한다.
또한, 선택창(SW1)을 통해 입력되는 선택 입력을 토대로, 프레스된 메시지(GM1)을 그룹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한다.
도 42의 (a)를 보면, 제어부(180)는 제3 메시지 창(MW3)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메시지(SM1)를 제1 메시지 창(MW1)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4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SM1')를 제1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또한, 드래그된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SM1')를 제1 메시지 창(MW1)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메시지가 첨부파일을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메시지 내에 포함된 첨부 파일 또한 드래그된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3의 (a)를 보면, 제어부(180)는 각 메시지 창(MW1, MW3)의 화면 상단에는 각 메시지 창(MW1, MW3)의 상대방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대방 정보는 대응하는 상대방의 사진, 이름, 닉네임, 아이디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3 메시지 창(MW3)의 화면 상단에 표시된 상대방 정보를 제1 메시지 창(MW1)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4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대방(CCC)의 상대방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UI1)를 제1 메시지 창(MW1)의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상대방(CCC)의 상대방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UI1)를 제1 메시지 창(MW1)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 중인 메시지 창이 복수 개인 경우, 메시지 창들에 표시된 메시지를 결합하여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4는 서로 다른 메시지창의 메시지를 결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메시지 창(MW1)에 표시된 제1 메시지(M1)와 제3 메시지 창(MW3)에 표시된 제2 메시지(M2)를 핀치인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4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IW)에 두 메시지(M1, M2)를 결합한 메시지(M3)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창(IW)에 입력된 결합 메시지(M3)를 적절히 편집한 뒤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창(IW)에 입력된 결합 메시지(M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으로 전송되거나, 결합되기 이전의 메시지들이 표시되었던 메시지 창들(MW1, MW3)의 상대방들에게 그룹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입력창이 메시지 창에서 화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창의 크기, 위치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5는 입력창을 가변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창(IW)에 대한 핀치인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4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IW)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또한, 축소된 입력창(IW)을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가 가변되면, 입력창 선택 시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위치 및 크기 또한 가변될 수 있다.
도 46은 입력창이 가변됨에 따라 키패드의 위치 및 크기가 가변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영역(A1)에 표시된 입력창(IW)을 터치함에 따라, 도 4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입력을 위한 키 패드(KP1)를 제1 영역에만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창 및 키 패드는 메시지 창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투명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입력창 및 키패드가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투명 정도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대화 상대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뷰 모드를 전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대화 상대를 추가하기 위한 모드에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로 뷰 모드에서 메시지 창과, 추가 가능한 상대방의 리스트를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진행 중인 대화 상황을 지켜보면서 간단하게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상대방과 번갈아 가면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메시지창간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첨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드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5)
-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세로 뷰 모드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뷰 모드의 전환을 발생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세로 뷰 모드를 가로 뷰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되거나 상기 아이템을 이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대화 상대로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대방과의 메시지 창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 창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 중에서 선택된 메시지 창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메시지 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대방의 상대방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 창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메시지에 첨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메시지 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 중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하나의 메시지 입력창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에 대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메시지 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메시지 창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을 선택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 뷰 모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되는 제1 메시지 창을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에 표시 중인 제2 메시지 창과 상기 제1 메시지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3539A KR101859102B1 (ko) | 2011-09-16 | 2011-09-16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US13/546,947 US9363359B2 (en) | 2011-09-16 | 2012-07-1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DE202012013481.7U DE202012013481U1 (de) | 2011-09-16 | 2012-09-12 | Mobiles Endgerät |
EP12184147.2A EP2571234B1 (en) | 2011-09-16 | 2012-09-12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EP16203871.5A EP3166291B1 (en) | 2011-09-16 | 2012-09-12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3539A KR101859102B1 (ko) | 2011-09-16 | 2011-09-16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0038A KR20130030038A (ko) | 2013-03-26 |
KR101859102B1 true KR101859102B1 (ko) | 2018-05-17 |
Family
ID=4693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3539A KR101859102B1 (ko) | 2011-09-16 | 2011-09-16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363359B2 (ko) |
EP (2) | EP3166291B1 (ko) |
KR (1) | KR101859102B1 (ko) |
DE (1) | DE202012013481U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00890B2 (en) | 2018-12-31 | 2024-0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52176B2 (en) * | 2010-10-01 | 2015-10-06 | Z124 | Application display transition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isplays |
KR20120019531A (ko) * | 2010-08-26 | 2012-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gui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1947458B1 (ko) * | 2011-12-19 | 2019-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USD742396S1 (en) * | 2012-08-28 | 2015-11-03 | General Electric Company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083816B2 (en) * | 2012-09-14 | 2015-07-1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anaging modality views on conversation canvas |
KR101957173B1 (ko) | 2012-09-24 | 2019-03-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2044460B1 (ko) * | 2012-11-12 | 2019-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KR20140070937A (ko) * | 2012-11-30 | 2014-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AU350078S (en) * | 2013-01-09 | 2013-08-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
AU349073S (en) * | 2013-02-23 | 2013-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
USD748642S1 (en) * | 2013-02-23 | 2016-02-02 | Samsung Electro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748641S1 (en) * | 2013-02-23 | 2016-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745542S1 (en) * | 2013-03-13 | 2015-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USD735733S1 (en) * | 2013-04-01 | 2015-08-04 | Kazark, Inc.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KR102050814B1 (ko) * | 2013-04-02 | 2019-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룹 대화에서 사적 대화 제공 장치 및 방법 |
CN103279277A (zh) * | 2013-05-08 | 2013-09-04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截屏图片发送方法及系统 |
US20140351717A1 (en) * | 2013-05-24 | 2014-11-27 | Facebook, Inc. | User-Based Interactive Elements For Content Sharing |
USD763280S1 (en) * | 2013-07-10 | 2016-08-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JP6171643B2 (ja) * | 2013-07-11 | 2017-08-02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ジェスチャ入力装置 |
CN108845735B (zh) * | 2013-08-08 | 2021-08-17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
KR102065418B1 (ko) | 2013-09-24 | 2020-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20150095856A1 (en) * | 2013-09-29 | 2015-04-02 | Xiaomi Inc. |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messages |
CN104571843A (zh) * | 2013-10-28 | 2015-04-29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USD761281S1 (en) * | 2014-04-04 | 2016-07-12 | Adp, Ll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KR102383103B1 (ko) * | 2014-08-13 | 2022-04-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방법 |
KR102391772B1 (ko) | 2014-08-28 | 2022-04-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
USD777745S1 (en) * | 2014-11-05 | 2017-01-31 | Jenny Q. Ta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KR20160069286A (ko) * | 2014-12-08 | 2016-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D780190S1 (en) * | 2014-12-12 | 2017-02-28 | Wayblazer, Inc. |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4615336B (zh) * | 2015-02-15 | 2019-01-15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USD771102S1 (en) | 2015-04-27 | 2016-11-08 | Lutron Electronics Co.,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20170111297A1 (en) * | 2015-10-20 | 2017-04-20 | Line Corporation |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USD886116S1 (en) * | 2016-04-14 | 2020-06-02 | Markup Llc |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FR3050891A1 (fr) * | 2016-05-02 | 2017-11-03 | Orange |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simultanee d'une pluralite de messages |
US10680986B1 (en) * | 2016-12-11 | 2020-06-09 | Snap Inc. | Stacked chat conversations |
JP6533245B2 (ja) * | 2017-03-27 | 2019-06-19 | Line株式会社 | 表示制御方法、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CN107483728A (zh) * | 2017-08-07 | 2017-12-15 |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 应用消息通知装置和方法 |
JP7027826B2 (ja) * | 2017-11-14 | 2022-03-02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7127273B2 (ja) * | 2017-11-14 | 2022-08-30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WO2019117359A1 (ko) * | 2017-12-14 | 2019-06-20 |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랙션 방법 및 시스템 |
JP7165251B2 (ja) * | 2017-12-14 | 2022-11-02 | Line株式会社 |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環境におけるコンテンツ共有のため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
USD865785S1 (en) * | 2017-12-28 | 2019-11-05 | Facebook, Inc. |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8415649B (zh) * | 2018-03-09 | 2021-08-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用于呈现用户界面对象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N108519850A (zh) * | 2018-04-09 | 2018-09-1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键盘界面显示方法和移动终端 |
US10721599B1 (en) | 2018-11-23 | 2020-07-21 | Motorola Solutions, Inc.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ter-talkgroup sharing |
CN109782976B (zh) | 2019-01-15 | 2020-12-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文件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JP6847154B2 (ja) * | 2019-05-23 | 2021-03-24 | Line株式会社 | 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 |
CN110489030A (zh) * | 2019-07-26 | 2019-11-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
USD974370S1 (en) | 2020-04-03 | 2023-01-03 | Markup Llc |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21652A1 (en) * | 2003-07-25 | 2005-01-27 | Sun Microsystems, Inc. | Synchronous collaborative shell integrated instant messaging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57598B2 (en) * | 2002-09-17 | 2010-02-02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Address book for integrating email and instant messaging (IM) |
US20040228531A1 (en) * | 2003-05-14 | 2004-11-18 | Microsoft Corporation | Instant messaging user interfaces |
US7269794B2 (en) * | 2003-09-11 | 2007-09-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point collaboration |
US7945620B2 (en) * | 2006-06-13 | 2011-05-1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hat tool for concurrently chatting over more than one interrelated chat channels |
KR101111566B1 (ko) | 2008-05-23 | 2012-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
KR101558210B1 (ko) * | 2008-08-05 | 2015-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처리 방법 |
KR101568351B1 (ko) * | 2008-08-08 | 2015-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US20100087230A1 (en) * | 2008-09-25 | 2010-04-08 | Garmin Ltd.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interface |
EP2175355A1 (en) | 2008-10-07 | 2010-04-1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condary character rendering and entry |
US20100229088A1 (en) * | 2009-03-04 | 2010-09-09 | Apple Inc. |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music using varying levels of detail |
KR101588730B1 (ko) * | 2009-04-21 | 2016-0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방법 |
JP5359536B2 (ja) | 2009-05-07 | 2013-12-04 |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表示方向制御プログラム |
US20110179372A1 (en) | 2010-01-15 | 2011-07-21 | Bradford Allen Moore | Automatic Keyboard Layout Determination |
US20130055099A1 (en) * | 2011-08-22 | 2013-02-28 | Rose Yao | Unified Messaging System with Integration of Call Log Data |
-
2011
- 2011-09-16 KR KR1020110093539A patent/KR1018591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7-11 US US13/546,947 patent/US9363359B2/en active Active
- 2012-09-12 EP EP16203871.5A patent/EP3166291B1/en active Active
- 2012-09-12 DE DE202012013481.7U patent/DE202012013481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2-09-12 EP EP12184147.2A patent/EP25712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21652A1 (en) * | 2003-07-25 | 2005-01-27 | Sun Microsystems, Inc. | Synchronous collaborative shell integrated instant messag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00890B2 (en) | 2018-12-31 | 2024-0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66291B1 (en) | 2020-04-15 |
EP3166291A1 (en) | 2017-05-10 |
DE202012013481U1 (de) | 2017-03-17 |
US9363359B2 (en) | 2016-06-07 |
EP2571234B1 (en) | 2018-05-30 |
US20130072262A1 (en) | 2013-03-21 |
EP2571234A1 (en) | 2013-03-20 |
KR20130030038A (ko) | 2013-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910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85082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 |
KR101695810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31193B1 (ko) | 맵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101726790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86751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947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21527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85860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50009119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9160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64424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02192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5505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9272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 |
KR10206705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8070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1294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85917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10139791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 |
KR101632993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204646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00050830A (ko) |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101889476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 |
KR101371062B1 (ko) | 통합 히스토리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