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59009B1 -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09B1
KR101859009B1 KR1020147015316A KR20147015316A KR101859009B1 KR 101859009 B1 KR101859009 B1 KR 101859009B1 KR 1020147015316 A KR1020147015316 A KR 1020147015316A KR 20147015316 A KR20147015316 A KR 20147015316A KR 101859009 B1 KR101859009 B1 KR 10185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alue
progressive
determining
inver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235A (ko
Inventor
마티유 기요
카흘로스 레고
호시 엘렌느 드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4010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8Special properties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8Series of lenses, lens bl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렌즈의 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1 사전결정 값(V1) 이하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1 중간값(d1)을 결정하는 단계; - 렌즈의 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사전결정 값(V2) 이상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2 중간값(d2)을 결정하는 단계; - 렌즈의 후면 상에서 제3 사전결정 값(V3) 이하인 가입도수를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3 중간값(d3)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전면에 대한 역누진의 값(d)을, 역누진의 제1 중간값, 제2 중간값 및 제3 중간값 중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진 안과용 렌즈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METHODS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AND A SET OF SEMI FINISHED LENS BLANKS}
본 발명은 누진 안과용 렌즈(progressive ophthalmic lens)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비구면, 및 누진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도록 추가로 기계가공될 제2 미완성면을 갖는 반가공 렌즈 블랭크(semi-finished lens blank)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누진 안과용 렌즈 및 이러한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는 양 또는 음의 광학 도수 교정을 처방 받을 수 있다. 안과 처방은 도수 및/또는 난시 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노안 착용자에 대해, 도수 교정의 값은 근시(near vision)에서 원근 조절의 어려움 때문에 원시(far vision) 및 근시에 대해 상이하다. 따라서, 처방은 원시 및 근시 사이의 도수 증가를 나타내는 가입도수(addition) 및 원시 도수값을 포함한다. 가입도수는 처방된 가입도수가 된다. 노안 착용자에게 적합한 안과용 렌즈는 다초점 렌즈이고, 가장 적합한 안과용 렌즈는 누진 다초점 렌즈이다.
안과 처방은 난시 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은 축값(도(degree)) 및 진폭값(디옵터(diopter))에 의해 형성된 쌍의 형태로 안과 의사에 의해 내려진다. 진폭값은 착용자의 시력 결함(visual defect)을 교정할 수 있게 하는 소정 방향에서의 최소 도수와 최대 도수의 차이를 나타낸다. 선택된 방식에 따르면, 축은 선택된 회전 방향에서 기준축에 대한 2개의 도수 중 하나의 방위를 나타낸다. 보통, TABO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기준축은 수평이고, 회전 방향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각 눈에 대해 반시계 방향이다. 그러므로, +45°의 축값은, 착용자를 보았을 때 우측 상부에 위치된 사분면으로부터 좌측 하부에 위치된 사분면까지 연장되는 경사 배향된 축을 나타낸다. 이러한 난시 처방은 원시에서 보는 착용자에 대해 측정된다. "난시(astigmatism)"라는 용어는 쌍(진폭, 각도)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며; 엄밀하게는 이러한 사용이 정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용어는 또한 난시의 진폭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당업자는 문맥으로부터 그 의미가 의도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는, 착용자의 처방된 도수 및 난시는 통상 구면도수(sphere; SPH), 원주도수(cylinder; CYL) 및 축으로 불린다.
착용자의 처방에 대응하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얻기 위해,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가 렌즈 제조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는 광학 기준면, 예를 들어 통상의 누진 가입도수 렌즈의 경우에 누진면(progressive surface)에 해당하는 제1 표면, 및 제2 미완성면을 포함한다.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 반가공 렌즈 블랭크가 착용자 처방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미완성면은 제작실에서 기계가공 및 폴리싱(polishing)되어 처방에 부합하는 렌즈를 얻는다. 반가공 렌즈 블랭크는 몰딩에 의해 또는 디지털 표면처리(digital surfac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미완성면은 디지털 표면처리에 의해 기계가공될 수 있다.
제품 계열(product line)은 공통 특성, 즉 공통 광학 성능을 갖는 렌즈 군으로 정의된다. 각 제품 계열마다, 처방의 범위가 규정된다. 처방의 소정 범위는 착용자의 비정시(ametropia)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착용자의 눈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가 규정되고, 각 렌즈 블랭크는 처방의 소정 범위 내에서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소정의 누진 디자인을 갖는 제품 계열은,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에서 규정하는, 우안 및 좌안에 대해 각각 5개의 상이한 베이스 값, 12개의 상이한 가입도수값 및 2개의 상이한 디자인, 즉 120개의 기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작실은 선택 차트(selection chart)를 참조하여 소정의 처방에 사용하기 위한 세트의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를 결정할 것이다.
특허문헌 WO-A-2009/065965는 소정의 안경 프레임에 따른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선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누진 안과용 렌즈는 디지털 표면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양쪽 표면을 직접 기계가공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원자재 렌즈 블랭크가 제공되고; 제1 비구면이 기계가공되고, 제2 비구면이 기계가공되고, 제2 비구면은 제1 비구면에 관한 데이터 및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계산은 광학적 최적화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처방에 따른 안과용 렌즈가 얻어진다.
어떤 기술이 사용되더라도, -반가공 렌즈 블랭크로부터 시작하거나 또는 디지털 표면처리에 의해 양쪽 표면을 기계가공하는 경우- 디지털 표면처리 기계 상에의 렌즈의 정확한 위치설정은 렌즈의 광학 특성이 충족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요구된다.
특허문헌 WO-A-2010/072749는 디지털 표면처리에 의해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블로커(blocker) 상에의 렌즈 부재의 정확한 위치설정의 문제를 발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선명도를 보증하는 동시에 이미지 변형, 즉 왜곡에 대한 렌즈의 개선된 성능을 유지하면서 누진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역누진 전면을 갖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 렌즈의 전면 및 렌즈의 후면을 규정하는 단계;
- 렌즈의 각 표면 상의 상부 부분 및 렌즈의 각 표면 상의 하부 부분을 규정하는 단계;
- 렌즈의 굴절률을 선택하는 단계;
- 렌즈의 전면에 대한 베이스 값을 선택하는 단계;
- 렌즈의 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1 사전결정 값 이하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1 중간값을 결정하는 단계;
- 렌즈의 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사전결정 값 이상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2 중간값(V2)을 결정하는 단계;
- 렌즈의 후면 상에서 제3 사전결정 값 이하인 가입도수를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역누진의 제3 중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전면에 대한 역누진의 값(d)을, 역누진의 제1 중간값, 제2 중간값 및 제3 중간값 중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역누진의 값(d)은 렌즈의 전면에 적용되어야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사전결정 값(V1, V2, V3)은 렌즈의 후면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허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사전결정 값은 2.5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디옵터로 설정되고; 제2 사전결정 값은 -0.5 디옵터, 바람직하게는 -0.25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로로 설정되며; 제3 사전결정 값은 6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디옵터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시 기준점이 렌즈의 후면 상에 규정되고, 후면 상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15mm 직경의 원 내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은 제1 사전결정 값 이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시 기준점이 렌즈의 전면 상에 규정되고, 전면 상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12mm 직경의 원 내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은 제2 사전결정 값 이상이다.
누진 안과용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된 역누진이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되므로, 그에 따라 렌즈의 광학 품질을 개선하면서 렌즈의 향상된 기술적 실현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양호한 선명도를 보증하는 동시에 이미지 변형, 즉 왜곡에 대한 렌즈의 개선된 성능을 유지하면서 누진 안과용 렌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안과용 렌즈 블랭크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굴절률, 규정된 비구면 역누적 전면, 및 원시 구역과 근시 구역을 갖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도록 기계가공될 미완성 후면을 가지는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를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i) 처방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처방의 범위 내의 복수의 안과용 렌즈가 상기 블랭크로부터 기계가공되기에 적합한, 상기 결정 단계;
(ii) 복수의 안과용 렌즈의 적어도 2개의 렌즈 각각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전면에 대한 역누진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iii) 블랭크의 전면에 대한 최대 역누진값을 상기 단계(ii)에서 결정된 역누진의 값 중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 처방 데이터 범위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각 처방 범위가 상기 세트 중 하나의 반가공 렌즈와 연관되는, 상기 결정 단계; 및
- 본 발명에 따라 각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에 관한 것이며, 각 렌즈 블랭크는 규정된 비구면 역누적 전면, 및 누진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도록 기계가공되기에 적합한 미완성 후면을 구비하며, 상기 세트의 소정의 렌즈 블랭크는 처방된 가입도수의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의 누적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상의 역누진값은 -0.25 디옵터 내지 -5.25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디옵터 내지 -2.5 디옵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세서에 접근가능하고,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의 하나 이상의 저장된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렌즈 블랭크의 세트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세트는 3차원 표현(three dimensional representation)을 가지며, 제1 차원은 처방된 가입도수를 나타내고, 제2 차원은 처방된 구면도수를 나타내고, 제3 차원은 처방된 원주도수를 나타내며, 소정의 블랭크의 전면에 대한 베이스 및 역누진의 값(bn, dn)의 소정 쌍이 3차원으로 표현된다. 상기 데이터의 세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렌즈 블랭크의 세트와 조합하여 부품의 키트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열거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미세-마킹을 갖는 표면 및 미세-마킹을 갖지 않는 표면에 대하여, 미세-마킹에 대해 규정된 기준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초점 누진 렌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진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누진 안과용 렌즈 블랭크 세트의 차트 표현의 도면이다.
도면 내의 요소가 간결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고,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 내의 요소의 일부의 크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도 있다.
누진 렌즈는 2개의 비회전 대칭의 비구면, 예를 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누진면, 역누진면(regressive surface), 토릭면(toric surface) 또는 아토릭면(atoric surface)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구면의 각 점은 고도(altitude)(z)를 갖는다. 비구면의 각 점에 대해, 최소 곡률 CURVmin이 하기의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1
여기서, Rmax는 미터로 표현되는 곡률의 국소 최대 반경이고, CURVmin은 디옵터로 표현된다.
유사하게, 최대 곡률 CURVmax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에서 하기의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2
여기서, Rmin은 미터로 표현되는 곡률의 국소 최소 반경이고, CURVmax는 디옵터로 표현된다.
표면이 국소적으로 구형인 경우, 곡률의 국소 최소 반경 Rmin과 곡률의 국소 최대 반경 Rmax는 동일하고, 따라서 최소 곡률 CURVmin 및 최대 곡률 CURVmax도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최소 곡률 CURVmin 및 최대 곡률 CURVmax의 상기 식으로부터, 최소 구면도수 SPHmin 및 최대 구면도수 SPHmax가 고려되는 표면의 종류에 따라 추론될 수 있다.
고려되는 표면이 전면으로도 불리는 물체측 표면인 경우, 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3
여기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고려되는 표면이 후면으로도 불리는 안구측 표면인 경우, 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4
여기서, n은 렌즈의 구성 재료의 지수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SPHmean은 하기의 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5
또한, 원주도수 CYL은 식 CYL = SPHmax - SPHmin으로 정의된다.
렌즈의 임의의 복합면의 특성은 국소 평균 구면도수 및 원주도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원주도수가 적어도 0.25 디옵터인 경우, 표면은 국소적인 비구형으로 고려될 수 있다.
렌즈가 비구면 중 하나에 의해 특징지어질 때마다, 미세-마킹(micro-marking)을 갖는 표면 및 미세-마킹을 갖지 않는 표면에 대하여,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계가 미세-마킹에 대해 규정된다.
누진 렌즈는 통일 규격 ISO 8990-2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미세-마킹을 포함한다. 임시 마킹은 렌즈의 표면 상에 적용되어, 예를 들어 원시를 위한 제어점(control point), 근시를 위한 제어점, 프리즘 기준점 및 피팅 크로스(fitting cross)와 같은 렌즈 상의 제어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임시 마킹이 없거나 지워진 경우, 예를 들어 마운팅 차트(mounting chart)와 같은 제조자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및 영구적인 미세-마킹을 사용함으로써 렌즈 상에 제어점을 위치시키는 것이 숙련 기술자에게 항상 가능하다. 렌즈 제조자는 제어점에서 처방을 보증하여야 한다.
또한, 미세-마킹은 렌즈의 양쪽 표면을 위한 기준계를 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미세-마킹을 갖는 표면을 위한 기준계를 도시한다. 중심 기준점은 표면에 대한 법선 N이 2개의 미세-마킹을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심과 교차하는 표면의 지점으로 정의된다. 상기 중심 기준점은 표면의 중심(x=0, y=0)으로 고려된다. MG는 2개의 미세-마킹에 의해 정의된 공선 단위 벡터(collinear unitary vector)이다. 기준계의 벡터 Z는 단위 법선(Z=N)과 동일하고, 착용자의 눈을 향해 배향되며, 기준계의 벡터 Y는 MG와 Z의 벡터곱과 동일하고, 기준계의 벡터 X는 Y와 Z의 벡터곱과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X, Y, Z}는 직교 삼면체(direct orthonormal trihedral)를 형성한다. 기준계의 중심은 표면의 중심 x=0mm, y=0mm이다. X축은 수평축 및 Y축은 수직축이다. 이러한 표면에 대한 곡률 반경은 직교 삼면체로 표현된다.
도 2는 미세-마킹을 갖는 표면의 반대면인 표면을 위한 기준계를 도시한다. 유사하게, 중심 기준점은 제1 표면 상의 2개의 미세-마킹을 연결하는 세그먼트의 중심과 교차하는 법선 N이 제2 표면과 교차하는 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중심 기준점은 표면의 중심(x=0, y=0)으로 고려된다. 제2 표면의 기준계는, 제1 표면의 기준계, 즉 벡터 Z가 제2 표면의 단위 법선과 동일하고, 착용자의 눈을 향해 배향되며, 벡터 Y는 MG와 Z의 벡터곱과 동일하고, 벡터 X는 Y와 Z의 벡터곱과 동일한 기준계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표면에 관하여, X축은 수평축이고, Y축이다. 또한, 표면의 기준계의 중심도 x=0mm, y=0mm이다. 이러한 표면에 대한 곡률 반경도 직교 삼면체로 표현된다.
유사하게, 반가공 렌즈 블랭크 상에, 규격 ISO 10322-2는 적용될 미세-마킹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기준계뿐만 아니라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비구면의 중심이 결정될 수 있다.
평균 구면도수 SPHmean이 제로보다 작은 경우, 표면은 국소적으로 오목한 것으로 고려되고, 평균 구면도수 SPHmean이 제로보다 큰 경우, 표면은 국소적으로 볼록한 것으로 고려된다.
더욱이, 누진 다초점 렌즈는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의 상황을 고려하여 광학 특성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를 규정하는 것이 특허문헌 EP-A-0 927 377, EP-A-0 990 939 또는 WO-A-2010/100528에 언급되어 있을 수 있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각 시야 방향(viewing direction)에서 착용자의 광학 도수 및 난시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용 상태에서 렌즈의 광학 도수 및 난시의 가능한 정의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통한 광선 추적(Ray tracing through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1990 International Lens Design Conference, D.T. Moore ed., Proc. Soc. Photo. Opt. Instrum. Eng.)이라는 명칭인 비. 브루동클(B. Bourdoncle) 등에 의한 논문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착용 상태는 소정의 렌즈에 대해 광선 추적 프로그램(ray-tracing program)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도수 및 난시는 착용 상태에서 안경을 착용하는 착용자에 대해 처방이 충족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도수 및 난시는 프론토포코미터(frontofocometer)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
광학 용어에서의 값은 시선 방향(gaze direction)에 대해 표현될 수 있다. 시선 방향은 통상 원점이 눈의 회전 중심인 프레임에서 방위각 및 앙각에 의해 주어진다. 렌즈가 눈의 전방에 장착되면, 피팅 크로스로 불리는 기준점(상기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표면 중 하나의 중심 기준점과 혼동될 수 있거나 그와 상이할 수 있음)은 1차 시선 방향에 대해 눈의 눈 회전 중심 앞에 또는 동공 앞에 배치된다. 1차 시선 방향은 착용자가 똑바로 보고 있는 상황에 대응한다. 따라서, 선택된 프레임에 있어서, 피팅 크로스가 렌즈의 어떤 표면(후면 또는 전면)에 위치설정되더라도, 중심 기준점은 0°의 앙각 α 및 0°의 방위각 β에 대응한다.
나머지 설명에 있어서,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상단(up)", "하단(bottom)", "수평", "수직", "위(above)", "아래(below)" 또는 다른 단어와 같은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는 렌즈의 착용 상태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렌즈의 "상부" 부분은 음의 앙각 α<0°해당하고, 렌즈의 "하부" 부분은 양의 앙각 α>0°에 해당한다. 유사하게, 렌즈(또는 바가공 렌즈 블랭크)의 표면의 "상부" 부분은 y축을 따른 양의 값에 해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심 기준점에서 y값보다 큰 y축을 따른 값에 해당하며, 렌즈(또는 바가공 렌즈 블랭크)의 표면의 "하부"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대해 상기에 규정된 프레임에서 y축을 따른 음의 값에 해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심 기준점에서 y값보다 작은 y축을 따른 값에 해당한다.
누진 렌즈를 통해 보이는 시야 구역(visual field zone)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렌즈는 렌즈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 원시 구역(26), 렌즈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근시 구역(28), 및 원시 구역(26)과 근시 구역(28) 사이에서 렌즈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중간 구역(30)을 포함한다. 또한, 렌즈는 3개의 구역을 통과하고 코측(nasal side) 및 측두부측(temporal side)을 규정하는 주 자오선(32)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원시 구역(26)은 원시 기준점(FV)을 포함하고, 근시 구역(28)은 근시 기준점(NV)을 포함한다. 렌즈의 표면이 고려되면, 원시 구역 및 근시 구역은 표면 상에의 상기에 규정된 구역의 투영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렌즈 또는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표면이 고려되면, 원시 구역 및 근시 구역 각각은 렌즈가 사용될 때 원거리 시야 구역 및 근거리 시야 구역에 기여하는 구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원시 기준점(또는 근시 기준점)은 예를 들어 렌즈가 프레임 내로 끼워맞춰지면 처방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안경사에 의해 사용되는 제어점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원시 기준점(또는 근시 기준점)은 원시 구역(또는 근시 구역)에서 전면의 임의의 다른 점일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근시 기준점(NV)은, 렌즈 제조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에 규정된 전면(또는 후면)의 기준계에서 중심 기준점 아래에서 8mm 내지 14mm에 포함되는 소정 거리에 위치되고 x축을 따라 코를 향해 0mm 내지 7mm만큼 오프셋되는 렌즈의 전면(또는 렌즈의 후면) 상의 점으로 정의되며, 원시 기준점(FV)은, 렌즈 제조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에 규정된 전면의 기준계에서 중심 기준점 위에서 0.0mm 내지 12mm에 포함되는 소정 거리에 위치되는 렌즈의 전면 상의 점으로 정의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 기능에 대한 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의 영향에 관한 본 출원인에 의한 연구에 의존한다. 특히, 본 출원인은 착용자가 최종 렌즈를 통해 보고 있는 경우 역누진 전면이 주변시(peripheral vision)의 공간 지각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립했다. 본 출원인은 전면이 보다 역누진될수록 광학 왜곡이 보다더 양호하게 보상되어서 공간 지각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역누진면(regressive surface)"은 원시 구역, 근시 구역, 및 원시 구역과 근시 구역을 연결하는 평균 구면도수 값을 감소시키는 구역을 갖는 연속 비구면을 의미한다. "누진면(progressive surface)"은 원시 구역, 근시 구역, 및 원시 구역과 근시 구역을 연결하는 평균 구면도수 값을 증가시키는 구역을 갖는 연속 비구면을 의미한다.
"표면의 가입도수(addition)"는 근시 구역에 속하는 근시 기준점(NV)과 원시 구역에 속하는 원시 기준점(FV) 사이의 평균 구면도수 차이로 정의될 수 있다. 기준점은, 예를 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제어점일 수 있다. 표면의 가입도수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053083716-pct00006
Addsurface > 0인 경우, 표면은 누진면이고;
Addsurface < 0인 경우, 표면은 역누진면이다. 따라서, 이하, "역누진값"은 디옵터로 표현되는 음의 값인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표면의 가입도수의 절대값이 최대가 되도록 원시 기준점 및 근시 기준점이 원시 구역 및 근시 구역에서 선택되면, 이러한 가입도수값은 표면의 최대 가입도수값으로 불릴 것이다.
그러나, 전면이 역누진면인 경우, 즉 원시 구역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이 근시 구역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보다 큰 경우, 후면은 최종 렌즈에서 양의 가입도수를 얻기 위해 훨씬더 큰 가입도수를 가져야 한다. 2 디옵터의 처방된 가입도수의 처방에 적합한 누진 렌즈를 위해, 전면이 예를 들어 약 3 디옵터의 음의 가입도수를 가진다면, 렌즈에 약 2 디옵터의 양의 가입도수를 보장하기 위해 후면은 약 5 디옵터의 양의 가입도수를 가져야 한다. 후면 상에서의 이러한 큰 구면도수 차이는 또한 큰 원주도수 차이를 초래한다. 구면도수 및 원주도수의 큰 차이는 표면을 기계가공할 때의 복잡성을 증대시킨다.
사실, 렌즈의 표면을 기계가공할 때, 그라인딩(grinding) 단계가 최초로 수행되는데, 요구되는 표면 특성을 얻는데 필요한 기하학적 형상에 가능한 한 근접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가 렌즈 표면으로부터 깎여진다. 다음에, 그라인딩 후에 얻어진 기하학적 형상을 유지하면서 투명한 표면을 얻기 위해 폴리싱(polishing) 단계가 수행된다.
그라인딩 단계 동안에, 구면도수 및 원주도수의 구배(gradient)는 기계가공 공구의 가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구배가 클수록 가속도가 급격해져서, 그라이딩 후에 얻어진 표면의 열화 및 그에 따라 광학 성능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폴리싱 단계 동안에, 구배는 필터링되는 경향이 있다. 구배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폴리싱 단계는, 폴리싱 후에 얻어진 표면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는 이러한 차이를, 특히 자오선을 따라 완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구면도수 및 원주도수의 큰 구배 및 구배의 큰 차이는 서로에 대한 위치설정에 매우 민감한 표면을 초래한다. 양쪽 표면 사이의 위치설정 오차는 제조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렌즈 블랭크가 디지털 표면처리 기계의 블로커 상에 위치설정되어 미완성면으로부터 제2 표면을 형성할 때에 야기된다.
그러므로, 전면의 역누진은 후면에 적용되어야 하는 가입도수를 제한하고 이러한 후면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허용하는 제한값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더욱이, 전면에 대한 큰 역누진은 근시 구역에서 전면의 국소적인 오목부를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전면은 전체적으로 볼록하고, 즉 표면에 걸친 평균 구면도수의 평균값이 제로 이상이다. 그러나, 원시 구역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이 작은 경우, 표면에 대해 역누진이 너무 크면, 국소적인 오목부가 근시 구역에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국소적인 오목부는 프레임에 끼워맞춰질 때 렌즈의 심미성을 저해한다. 또한, 이러한 국소적인 오목부는 렌즈가 몰딩된 렌즈 블랭크로부터 제조되는 경우에 몰드의 복잡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전면에 대한 큰 역누진은 근시 구역에서 후면의 국소적인 볼록부를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후면은 전체적으로 오목하고, 즉 표면에 걸친 평균 구면도수의 평균값이 제로 미만이다. 그러나, 전면의 역누진이 너무 크면, 국소적인 볼록부가 근시 구역에서 후면에 걸쳐서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국소적인 볼록부는 프레임에 끼워맞춰질 때 렌즈의 심미성을 저해한다. 또한, 이러한 국소적인 볼록부는 렌즈의 후면 상에의 광택제 도포(varnish application)의 복잡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배제하는 역누진 전면을 갖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광학 왜곡을 향상시키면서 렌즈의 제조성 및 심미성을 보장하기 위해 렌즈의 전면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역누진을 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누진 렌즈는 양쪽 표면의 직접적인 표면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착용자를 위한 유일무이한 렌즈가 결정될 수 있다. 렌즈의 전면에 적용된 역누진은, 후면이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고 최종 렌즈가 착용하기에 심미적인 것을 보장하면서, 최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401)에서,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착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광학 성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가 결정된다.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는 적어도 가입도수의 처방, 및 구면도수, 원주도수 및/또는 착용자의 눈에 관한 데이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관련 처방 데이터를 포함한다. 광학 성능은 착용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될 때 소정의 시선 방향에 대해 규정된 렌즈의 광학 특성의 세트를 포함한다.
단계(402)에서, 베이스 값이 렌즈의 전면에 대해 선택되고, 굴절률값이 렌즈에 대해 선택된다. 베이스 값은 원시 기준점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으로 정의된다. 베이스 값은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면, "광선 추적을 이용한 시력 약화, 왜곡 및 색수차에 미치는 체르닝 타원(Tscherning Ellipses extended to Acuity Drop, Distorsion and Chromatism using Ray Tracing)"(Vision science and its applications (VISA) Vol.1, OSA Technical Digest Series (Opt. Soc. of Am. Washington DC, 1998), pp 140-143)이라는 명칭인 에스. 프랑수아(S. FRANCOIS) 등에 의한 논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값은 처방 데이터로부터 및/또는 광학 성능에 대해 선택될 수 있거나; 베이스 값은 특허문헌 WO-A-2009/06596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 값은 또한 전술한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굴절률값의 선택은 렌즈를 제조하는데 선택된 재료에 의존하고, 렌즈를 통한 광학 도수값, 및 그에 따라 처방된 가입도수를 맞추기 위해 전면의 역누진을 보상하는 후면의 가입도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단계(S403) 내지 단계(S405)에서, 역누진의 중간값은 전술한 몇 개의 제약사항, 즉 근시 구역에서의 후면의 국소적인 볼록부, 근시 구역에서의 전면의 국소적인 오목부 및 후면 상의 최대 가입도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403)에서, 제1 중간값(d1)은 렌즈의 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1 사전결정 값(V1) 이하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1 중간값(d1)은, 근시 구역에서의 후면의 국소적인 볼록부가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심미성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기준은 전체 후면에 걸쳐서 인정될 수 있고, 적어도 후면의 하부 부분에 걸쳐서, 즉 도 1 및 도 2에 대해 상기에서 규정된 기준 프레임에서 음의 y값에 대해 인정된다. 사실, 전면에 적용된 역누진은 렌즈의 하부 부분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제1 기준은, 국소적인 볼록부가 후면 상에 도입될 위험이 가장 큰 곳인, 후면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직경 15mm의 원에 의해 경계지어질 수 있는 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관련 부분에 걸쳐서 인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사전결정 값(V1)은 2.5 디옵터, 바람직하게 1.5 디옵터로 설정된다. 2.5 디옵터의 사전결정 값(V1)은 범위의 높은 도수 처방 렌즈를 엄선하는 제품 계열의 극한을 고려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1.5 디옵터의 사전결정 값(V1)은 처방에 관해서 범위의 중심을 엄선하는 제품 계열의 중심을 고려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단계(S404)에서, 역누진의 제2 중간값(d2)은 렌즈의 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사전결정 값(V2) 이상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2 중간값(d2)은, 근시 구역에서의 전면의 국소적인 오목부가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심미성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기준은 전체 전면에 걸쳐서 인정될 수 있고, 적어도 전면의 하부 부분에 걸쳐서, 즉 도 1 및 도 2에 대해 상기에서 규정된 기준 프레임에서 음의 y값에 대해 인정된다. 사실, 전면에 적용된 역누진은 렌즈의 하부 부분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제2 기준은, 국소적인 오목부가 전면 상에 도입될 위험이 가장 큰 곳인, 전면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직경 12mm의 원에 의해 경계지어질 수 있는 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관련 부분에 걸쳐서 인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사전결정 값(V2)은 -0.5 디옵터, 바람직하게 -0.25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 제로로 설정되며, 제로는 전면의 고려되는 부분 상에 오목부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전체 전면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은 -0.5 디옵터 이상으로 설정되고, 전면의 근시 기준점을 둘러싸는 12mm 원 내에서의 평균 구면도수 값은 제로 이상으로 설정되며, 제로 이상은 근시 기준점 및 그 주위에 오목부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S405)에서, 역누진의 제3 중간값(d3)은 렌즈의 후면 상에서 제3 사전결정 값(V3) 이하인 가입도수를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3 중간값(d3)은, 후면 상의 가입도수가 기술적 실현가능성을 보장하기에 적합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제3 사전설정 값(V3)은 6 디옵터, 보다 바람직하게 5 디옵터로 설정된다. 6 디옵터의 사전결정 값(V3)은 가입도수의 값이 전체 후면에 걸쳐서 고려되는 경우(표면의 가입도수의 최대값)와 관련이 있다. 5 디옵터의 사전결정 값(V3)은 가입도수의 값이 기준 제어점 사이에서 고려되는 경우(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이, 근시 기준점(NV)과 원시 기준점(FV) 사이의 평균 구면도수 차이)와 관련이 있다.
단계(S406)에서, 역누진의 값(d)은, 전면에 대해, 역누진의 제1, 제2 및 제3 중간값 중 최대값 d=max[d1, d2, d3]으로 결정된다. d1, d2, d3은 역누진의 값이고, 따라서 음의 값이며, 그에 따라 최대값은 절대값에서 최소값 d=-min[|d1|, |d2|, |d3|]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렌즈가 정밀하게 제조되고 프레임 내로 장착되며, 착용하기에 심미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면서, 왜곡에 대한 착용자의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렌즈의 전면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방법은 착용자 및/또는 프레임 및/또는 광학 성능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렌즈의 후면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른 안과용 렌즈를 최적으로 계산하는 것에 대해 특허문헌 WO-A-2010/043704에 언급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진 렌즈는 반가공 렌즈 블랭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가공 렌즈의 세트는 처방 범위의 세트에 대해 결정되어야 한다. 각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전면에 적용되는 역누진은 소정의 처방 범위에 대해 최대가 되어, 후면이 정밀하게 제조되고 최종 렌즈가 착용하기에 심미적인 것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S501)에서, 처방 데이터 범위(S1, S2, ... Sn)의 세트가 결정된다. 각 처방 범위(Sn)는 범위(Sn)에 속하는 처방을 갖는 다른 착용자를 위한 복수의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처방 데이터에 대응한다.
단계(S502)에서, 처방 범위(Sn)에 속하는 2개의 상이한 처방(P1, P2)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렌즈에 대해, 역누진의 값(dP1, dP2)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계산된다. 예를 들면, 역누진의 제1 값(dP1)은, 도 4의 방법에 따라, 고려되는 처방 범위(Sn)의 제1의 처방된 구면도수 및 가입도수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P1)를 갖는 렌즈에 대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역누진의 제2 값(dP2)은, 도 4의 방법에 따라, 고려되는 처방 범위(Sn)의 제2의 처방된 구면도수 및 가입도수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P2)를 갖는 렌즈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고려되는 처방 범위(Sn)에 할당된 렌즈 블랭크의 전면에 적용하기 위한 역누진의 값(d)은 단계(S502)에서 결정된 역누진의 값(dP1, dP2) 중 최대값으로 결정된다. 3개 이상의 값(dP1, dP2)이 단계(S502)에서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역누진의 값은 음의 값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반가공 렌즈 블랭크가 소정의 처방 범위 내에서 심미적인 최종 렌즈로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면서, 왜곡에 대한 착용자의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전면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방법은 착용자 및/또는 프레임 및/또는 광학 성능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후면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른 안과용 렌즈를 최적으로 계산하는 것에 대해 특허문헌 WO-A-2010/043704에 언급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가 규정된다. 세트의 각 렌즈 블랭크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도록 기계가공되기에 적합한 미완성 후면 및 규정된 비구면 역누진 전면을 갖는다. 세트의 소정의 렌즈 블랭크는 왜곡이 감소된 상태의 처방된 가입도수의 상이한 값을 갖는 복수의 누진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전면 상의 역누진값은 -0.25 디옵터 내지 -5.25 디옵터, 바람직하게 -0.25 디옵터 내지 -2.5 디옵터로 구성될 수 있다. -5.25 디옵터의 값은 후면 상의 6 디옵터의 가입도수값(상기에 규정된 V3의 한계값)과 함께 0.75 디옵터의 처방된 가입도수를 가지는 렌즈를 제공하도록 규정된다. 반가공 렌즈 세트의 컷-아웃(cut-out)은 세트에 포함된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주로 경제적인 고려사항에 의존한다. -2.5 디옵터의 값은 렌즈 블랭크 세트가 경제적인 관점에서 베이스 값 당 2개의 블랭크로 제한되는 경우에 규정된다. 세트에서의 렌즈 블랭크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면, 가장 큰 역누진값이 각 렌즈 블랭크에 대해 허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는 단계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단계(74)). 이것은 제1 위치에서, 즉 안경 판매자(안경사)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표면이 결정되는(단계(76)) 제2 위치로 전송된다(단계(75)). 이것은 렌즈 디자이너의 제작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제1 표면은 사전에 규정된 기준, 및 특히 전면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역누진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제1 표면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고,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 및 제1 표면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의 광학적 최적화가 실행된다(단계(78)). 이것은 제1 표면의 결정과 동일한 제작실 또는 다른 제작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광학적 최적화의 결과가 전송되고(단계(80)), 렌즈의 제2 표면이 처방 데이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광학적 최적화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단계(81)). 이것은 또한 동일한 제작실 또는 다른 제작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면에 관한 데이터가 렌즈 제조자에게 전송되고(단계(82)), 렌즈는 양면 디지털 표면처리(단계(84))에 의해 또는 몰딩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진 렌즈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세트의 렌즈 블랭크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가공 렌즈 블랭크는 디지털 표면처리 또는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단계(74)). 데이터는, 제1 위치로부터, 반가공 렌즈 블랭크가 선택되고(단계(77)) 또한 착용자에 관한 데이터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의 제1 역누진면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렌즈의 광학적 최적화가 실행되는(단계(78)) 제2 위치로 전송된다(단계(75)). 이것은 렌즈 디자이너의 제작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반가공 렌즈 블랭크는 착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처방된 가입도수, 처방된 구면도수 및 처방된 원주도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광학적 최적화의 결과가 전송되고(단계(80)), 렌즈의 제2 표면이 광학적 최적화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단계(81)). 이것은 동일한 제작실 또는 다른 제작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제2 표면에 관한 데이터가 렌즈 제조자에게 전송된다(단계(82)). 선택된 렌즈 블랭크를 이용하여, 렌즈 제조자는 결정된 제2 표면에 따라 블랭크의 미완성면을 표면처리한다(단계(83)). 블랭크의 후면은 디지털 표면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 및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접근가능하고,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안된 방법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의 하나 이상의 저장된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CD-ROM, 자기광학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또는 광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또는 전자적 명령을 저장하는데 적합하고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안된다. 이것은 임의의 위치에서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제조 방법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누진 안과용 렌즈 제조 장치의 세트가 또한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는 렌즈 제조자에게 제공된 데이터의 세트 내에서 확인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데이터의 세트는 선택 차트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는, 처방된 가입도수를 나타내는 제1 차원, 처방된 구면도수를 나타내는 제2 차원 및 처방된 원주도수를 나타내는 제3 차원을 갖는 3차원 표현을 가지는 베이스 및 역누진(b, d) 선택 차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소정의 블랭크의 전면에 대한 베이스 값 및 역누진값(bn, dn)의 소정 쌍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최종 역누진을 나타내는 역누진 전면 및 미완성 후면을 가지는 반가공 렌즈 블랭크로부터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의 각 표면 상의 상부 부분 및 상기 렌즈의 각 표면 상의 하부 부분을 규정하는 단계;
    상기 렌즈의 굴절률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렌즈의 전면에 대한 베이스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전면 전체에 적용될 역누진의 값(d)을, 상기 최종 역누진이 상기 역누진의 값(d)보다 작거나 같도록, 역누진의 제1 중간값, 제2 중간값 및 제3 중간?? 중 최대값(d=max[d1, d2, d3])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 단계는:
    상기 역누진의 제1 중간값(d1)을, 후면 상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15mm 직경의 원에 의해 정의되는 렌즈의 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2.5 디옵터 또는 1.5 디옵터로 설정된 제1 사전결정 값(V1) 이하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되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하는 하위 단계;
    상기 역누진의 제2 중간값(d2)을, 전면 상의 근시 기준점 상에 중심이 설정된 12mm 직경의 원에 의해 정의되는 렌즈의 전면의 하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0.5 디옵터, -0.25 디옵터 또는 0으로 설정된 제2 사전결정 값(V2) 이상인 평균 구면도수 값을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되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하는 하위 단계;
    상기 역누진의 제3 중간값(d3)을, 렌즈의 전체 후면 상에서 6 디옵터 또는 5 디옵터로 설정된 제3 사전결정 값(V3) 이하인 가입도수를 유지하면서 렌즈의 전면 상에 적용되는 가장 큰 역누진으로 결정하는 하위 단계;
    계산된 후면을 얻기 위하여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역누진의 값(d)에 기반하여 렌즈의 착용자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만족시키기 위해 렌즈의 후면을 계산하는 하위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후면에 따라 렌즈의 후면을 매칭시키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사전결정 값(V1, V2, V3)은 그 매칭을 최적화하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i) 처방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처방 데이터의 범위 내의 복수의 안과용 렌즈가 상기 렌즈 블랭크로부터 기계가공되기에 적합한, 처방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ii) 상기 복수의 안과용 렌즈의 적어도 2개의 렌즈 각각에 대하여, 렌즈 블랭크의 전면 전체에 대한 상기 역누진의 값(d)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단계; 및
    (iii) 렌즈 블랭크의 전면에 대한 최대 역누진값을,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에 대하여 단계 (ii)에서 결정된 각 역누진의 값(d) 중 선택된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 역누진은 상기 최대 역누진값 이하인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3. 반가공 안과용 렌즈 블랭크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처방 데이터의 범위(S1, S2, S3, ... Sn)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항의 단계 (i), (ii) 및 (iii)에 따라 각 반가공 렌즈 블랭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처방의 범위는 세트 중 하나의 반가공 렌즈와 연관되는 누진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4. 프로세서에 접근가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1항의 단계를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7015316A 2011-12-15 2012-12-17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 Active KR101859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6675.7 2011-12-15
EP11306675 2011-12-15
PCT/EP2012/075772 WO2013087925A1 (en) 2011-12-15 2012-12-17 Methods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and a set of semi finished lens blan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235A KR20140107235A (ko) 2014-09-04
KR101859009B1 true KR101859009B1 (ko) 2018-05-18

Family

ID=4752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316A Active KR101859009B1 (ko) 2011-12-15 2012-12-17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18771B2 (ko)
EP (1) EP2791730B1 (ko)
JP (1) JP6226873B2 (ko)
KR (1) KR101859009B1 (ko)
CN (1) CN103988116B (ko)
AU (1) AU2012351474B2 (ko)
BR (1) BR112014014331B1 (ko)
CA (1) CA2858460C (ko)
IN (1) IN2014CN03902A (ko)
WO (1) WO2013087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51682T2 (hu) 2014-03-24 2021-03-29 Zeiss Carl Vision Inc Eljárás félkész szemészeti lencse geometriájának optimalizálására félkész szemészeti lencsék halmazán
US10126568B2 (en) * 2014-04-01 2018-11-13 Essilor International Multifocal ophthalmic spectacle lens arranged to output a supplementary image
BR112019000269A2 (pt) 2016-07-08 2019-04-30 Vision Ease, Lp superfície direta com lente otimizada em branco
JP7227989B2 (ja) * 2018-08-21 2023-02-22 メタ プラットフォーム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視野内マイクロデバイスを備えた照明アセンブリ
EP3671323B1 (en) * 2018-12-20 2024-10-09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surface data of a progressive addition lens
EP4541509A1 (en) * 2023-10-16 2025-04-23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device having an optical function including an addition value, and set of ophthalmic devices having different optical func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2789B1 (en) 1998-09-28 2002-05-07 Essilor International Toric ophthalmic lenses
EP0927377B1 (fr) 1996-09-20 2002-07-2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WO2009065965A1 (en) 2007-12-28 2009-05-2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of selecting a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WO2010072749A1 (en) 2008-12-22 2010-07-0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432A1 (en) * 1992-02-03 1993-08-05 Seiko Epson Corporation Variable focus visual power correction apparatus
US6139148A (en) * 1999-02-04 2000-10-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having regressive surfaces
CN1364242A (zh) 1999-05-25 2002-08-14 庄臣及庄臣视力保护公司 具有修正的通道焦度曲线的渐增透镜
FR2820516B1 (fr) * 2001-02-02 2003-05-16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multifocale progressive a variation de puissance rapide
US6709105B2 (en) * 2001-04-10 2004-03-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JP4239519B2 (ja) * 2002-03-27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老視用眼鏡及びレンズの設計方法
JP3502383B2 (ja) * 2003-05-07 2004-03-02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供給システム
DE112004001024T5 (de) * 2003-06-10 2006-06-01 Ade Corp., Westwood Verfahren und System zur Klassifizierung von an einer Oberfläche eines Substrats auftretenden Defekten unter Verwendung einer grafischen Darstellung von Vielkanal-Daten
EP1962127B1 (en) * 2003-11-27 2012-01-11 Hoya Corporation Bi-aspherical type progressive-power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the same
CN101382667B (zh) * 2005-02-04 2011-09-2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组合眼镜镜片、辅助镜片和组合眼镜镜片的磨边加工方法
JP4400549B2 (ja) * 2005-02-04 2010-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及び組み合わせ眼鏡レンズの玉型加工方法
EP2177943A1 (en) 2008-10-16 2010-04-2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Optical system determination according to advanced criteria
US9022563B2 (en) 2009-02-12 2015-05-05 Mitsui Chemicals, Inc. Ophthalmic lenses with aspheric optical features
WO2010100528A1 (en) 2009-03-05 2010-09-1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pectacle eyeglass for myopic child
US8573774B2 (en) * 2009-10-14 2013-11-05 PixelOptics Opthalmic lens with regressive and non-regressive rotationally symmetric optical design el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7377B1 (fr) 1996-09-20 2002-07-2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US6382789B1 (en) 1998-09-28 2002-05-07 Essilor International Toric ophthalmic lenses
WO2009065965A1 (en) 2007-12-28 2009-05-2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of selecting a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WO2010072749A1 (en) 2008-12-22 2010-07-0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6873B2 (ja) 2017-11-08
EP2791730B1 (en) 2020-03-11
IN2014CN03902A (ko) 2015-09-04
CA2858460A1 (en) 2013-06-20
KR20140107235A (ko) 2014-09-04
AU2012351474A1 (en) 2014-06-12
CN103988116B (zh) 2016-10-26
BR112014014331A2 (pt) 2017-06-13
US20140354944A1 (en) 2014-12-04
BR112014014331B1 (pt) 2021-03-02
CN103988116A (zh) 2014-08-13
WO2013087925A1 (en) 2013-06-20
JP2015505990A (ja) 2015-02-26
AU2012351474B2 (en) 2016-02-25
CA2858460C (en) 2018-05-01
EP2791730A1 (en) 2014-10-22
US9618771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72B1 (ko) 누진 안경 렌즈
CN112526766B (zh) 具有可变折光力的渐变眼镜片及其设计与生产方法
US8540367B2 (en) Method of selecting a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US8308294B2 (en)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given spectacle frame
KR102042554B1 (ko) 안경 렌즈 결정 방법
KR101877880B1 (ko) 누진 안경 렌즈 결정 방법
KR101859009B1 (ko) 누진 안과용 렌즈 및 반가공 렌즈 블랭크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
JP2007233388A (ja) 累進焦点眼鏡レンズの決定方法
US8807746B2 (en) Spectacle lens, specta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ectacle lens
EP2780759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optical system of an ophthalmic spectacle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spectacle lens
EP2667241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providing an astigmatic correction and spectacles including such spectacle lens
US20130100398A1 (en) Progressive addition lens
CN107077008B (zh) 用于修改眼科镜片表面的屈光功能的方法
US20150331254A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6109872B2 (ja) 眼鏡用レンズ、眼鏡、及び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50083860A (ko) 안과용 렌즈의 실현 가능성 결정 방법
CN111263912B (zh) 眼科镜片组
WO2004090614A1 (ja)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製造方法
EP37228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an optical function of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under specific wearing conditions
JPH01207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