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75B1 -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7875B1 KR101857875B1 KR1020160129763A KR20160129763A KR101857875B1 KR 101857875 B1 KR101857875 B1 KR 101857875B1 KR 1020160129763 A KR1020160129763 A KR 1020160129763A KR 20160129763 A KR20160129763 A KR 20160129763A KR 101857875 B1 KR101857875 B1 KR 101857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home network
- module
- transmission module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컨설팅회사인 맥킨지는 공장, 작업장, 물류, 운송, 소매, 도시, 건강, 가정, 오피스 9개 분야의 사물인터넷 경제적 효과가 2025년까지 최대 1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시장 조사 기관인 스트라콥에 따르면,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연평균 26%씩 성장하여 2020년에는1조 달러를 웃돌 전망이다.
때문에, 센서-네트워크-플랫폼 기술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해를 거듭할수록 가속화할 전망이다.
센서의 경우, IoT 스마트 단말의 센서 퓨전 기능 강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 확보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 예컨대, 삼성전자는 이스라엘 의료용 센서 기업인 ‘얼리센서’에 1,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소니는 TV사업 분사, PC사업 매각 이후 이미지센서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 또한 글로벌기업 중심의 개방형 플랫폼 개발과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최근 애플의 ‘홈(Home)’, 구글의 ‘브릴로(Brillo)’, 삼성의 ‘아틱(Artik)’, 샤오미의 ‘미홈(Mi Home’, 화웨이의‘애자일(Agile IoT)’ 등이 발표됐다.
이에 따라, 산업 및 공공 분야에서 사물 간 연결, 제어, 관리를 위한 기업 주도 IoT 플랫폼 등장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편, 세계 센서 시장은 2011년 약 722억 달러 규모이며, 수요 급증으로 연평균 9.4% 이상 성장하고 있다.
국내 센서 시장 규모는 2011년 약 48억 달러이고, 연평균 성장률 10.5%로 세계 시장에 비해 고속 성장 중이며, 2015년 국내 센서 시장은 약 71억 달러 규모였으며 2020년에는 98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그중에서 자동차용 적용센서는 2015년 37억 달러에서 2020년 48억 달러, 휴대폰용 적용센서는 2015년 17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27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되며, 이 2가지 분야가 전체 센서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별 세계 센서 생산 규모에서는 미국, 일본, 독일이 70% 이상을 점유하며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은 중국에 이어 7위 수준이고, 2025년까지 시장 점유율 5%(생산액 5조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첨단센서 국내 생산은 2011년 11.5억 달러로 세계 시장 1.6%, 국내 시장의 24%에 불과하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16.03.06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일치시키는 내용의 국가표준(KS)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홈 네트워크 중심기기와 주변기기의 통신 규약이 제조사별로 달랐다. 이 때문에 제조사 간에 기기가 호환되지 않아 고장이라도 나면 소비자가 마땅한 교체기기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홈 네트워크 중심기기는 월패드(wall-pad) 등을 통해 조명이나 에어컨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이번에 표준화된 대상은 조명, 도어록, 실내환기 시스템, 온도조절기, 보일러 등 13종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앞으로 와이파이 등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국가표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러한 표준화와 관련하여 창문의 개폐여부, 잠금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반 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가장 최소한의 방범장치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창문을 잠궜다고 생각했는데 열린 경우도 있으며, 창문이 많을 경우에는 일일이 개폐 여부, 락킹/언락킹 상태를 점검하는 것도 번거롭고 불편한 일이다.
또한, 표준화에 맞춰 새롭게 락킹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잠금장치로 모두 교체하려면 고비용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외출시 창문을 열어 두었는지 기억이 분명하지 않을 때 갑작스럽게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이 들이칠 것을 우려하여 심리적 불안감이 커져 개인적인 용무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때문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부재시 창문의 개폐 여부, 락킹/언락킹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는 장치 혹은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창문 개폐 혹은 락킹/언락킹 이상유무 검출시 카메라를 해당 지점으로 자동회전시키고 줌기능을 이용하여 녹화할 수 있는 기능까지 겸한다면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와이파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와이파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 카메라 모듈을 세트로 하여 도어나 창문의 담힘/열림 상태 뿐만 아니라 록킹/언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보안상태에서 상태가 변경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해당 도어나 창문쪽으로 회전하여 실내 보안용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보안성을 강화시키며, 나아가 홈 네트워크 기기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AP 기능을 갖는 Wall-Pad와도 제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2창(W1,W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에서 상기 제1창(W1)의 걸쇠(HK) 위쪽에 이격 설치된 피감지구(PD)와, 상기 제2창(W2)의 크레센트(CR) 위쪽에 이격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비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되며,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상기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회전축(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2)에는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되 토션스프링(144)의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AP(Access Point)(300)와 통신하고, 상기 AP(3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와 통신하여 창문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웹 서버(400)는 가입자 스마트폰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는 창문의 락킹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때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의 제어하에 회전 및 줌 인/아웃되면서 창문 주변을 촬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600)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되며,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상기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회전축(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2)에는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되 토션스프링(144)의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AP(Access Point)(300)와 통신하고, 상기 AP(3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와 통신하여 창문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웹 서버(400)는 가입자 스마트폰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는 창문의 락킹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때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의 제어하에 회전 및 줌 인/아웃되면서 창문 주변을 촬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600)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창문 잠금수단인 크레센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서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보안 검출이 가능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방범성과 보안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외에서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므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가 쉽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설치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을 구성하는 모듈본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의 동작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이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을 구성하는 모듈본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와이파이가 가능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의 동작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는 다수의 창문에 각각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하는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통신하는 AP(Access Point)(300)와, 상기 AP(300)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 스마트폰(500)으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웹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WiFi(와이파이) 통신 기능을 탑재한 무선 송신모듈이며, 각 방, 즉 룸(ROOM1) 마다 설치된 창문에 설치된다.
이 경우, 창문은 하나의 룸(ROOM1)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룸(ROOM1,ROOM2)에 각각 하나씩 있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통신모듈의 I/O 또는 센서의 상태 변경시에만 정보를 전송하도록 소형 Programmable CPU와 메모리가 탑재된 홈 네트워크 보안분야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된 모듈이다.
또한, 창문의 개페, 락킹 언락킹 상태 인식을 위해 2Bit의 I/O를 제공하는데 응용상황에 따라 2Bit I/O에 센서 혹은 스위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응용범위를 넓히도록 하고, DC 3-5V의 배터리로 구동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창문의 손잡이 회전상태만 보고도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기울기 또는 각도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들을 추가로 더 탑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룸(ROOM1,ROOM2)에는 각각 하나씩의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가 설치된다.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도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신모듈이며,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하도록 설정된다.
특히, 다수의 룸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는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메인과 서브로 관리될 수 있다.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서브는 메인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메인만 AP(300)와 통신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 만으로도 AP(300)와 충분히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굳이 무선 다채널 수신기를 더 구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각 창문의 상태를 영상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6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600)는 상기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에 접속되어 제어된다.
카메라(600)는 창문이 열린다든지 비상상황 발생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의 제어하에 해당 창문 쪽으로 회전된 후 줌 인/아웃되면서 선명한 영상으로 비상발생 상황을 촬상하여 중요한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AP(300)는 와이파이 통신 가능한 여러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월 패드(WALL PAD)가 바람직하다.
이때, 월 패드는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의 핵심기기로서, 기본적으로는 AP(Access Point)의 역할을 하면서 터치스크린식 디스플레이와, 설정 및 입력, 제어를 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방범, 방재, 가전ㆍ조명기기의 제어, 아파트 세대간 화상통화, 인터넷 접속, TV수신 등이 가능한 통신기기이다.
또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에 접속되며, 웹 서버(400)는 사용자 혹은 가입자 단말기(500)인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과 관련된 개폐 여부, 잠금 유무 등을 실시간 확인시켜 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500)를 통해 실시간 감시를 비롯한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거나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이는 웹 서버(400)를 통해 관리되고 제어되며, 제어신호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AP(300)로 전송되고, AP(300)는 저장하고 있는 실시간 정보를 웹 서버(400)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 구현을 위해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동작된다.
즉,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한 쌍의 슬라이딩창, 즉 제1창(W1)과 제2창(W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된다.
다만, 주의할 것은 제1,2창(W1,W2)이 교차하는 쪽 측면에 설치되어야지 그 반대쪽인 바깥쪽 틀면에 설치하면 동작하지 않는다.
도시된 도 2의 예에서는 제1창(W1)과 겹치는 쪽 제2창(W2)의 측면에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설치된다.
더 쉽게 설명하자면, 제1창(W1)과 제2창(W2)을 락킹 혹은 언락킹하기 위한 수단인 크레센트(CR)가 설치된 면에서 크레센트(CR) 위쪽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센트(CR)가 걸려 잠길 수 있도록 대응측 제1창(W1)의 틀 안쪽면, 다시 말해 글라스(G)가 끼워지는 틀면에는 걸쇠(HK)가 고정된다.
이때,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걸쇠(HK)가 고정되는 폭 T1은 틀 안쪽면에 글라스(G)가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폭이 넓지 않지만, 이 폭에는 상기 걸쇠(HK)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 피감지구(PD)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피감지구(PD)는 납작한 사각형상의 부재로서, 후술되는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성하는 모듈본체(110)를 관통하여 출입되면서 창문의 개폐 여부가 검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한다.
이때,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될 수 있으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소형 Programmable CPU와 메모리 및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 등이 될 수 있으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130)는 포토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가변되는 위치가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플랩(14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길이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게 고정하는 회전축(142)에 의해 고정되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볼트 혹은 기타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검출플랩(140)이 항상 수평한 상태, 즉 창문이 개방된 상태, 바꾸어 말하자면 크레센트(CR)가 잠기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축(142)에 끼워지고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토션스프링(144)을 더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1,2창(W1,W2)이 열려 있는 경우라면 피감지구(PD)가 감지기(130) 속으로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므로 감지기(130)는 피감지구(PD)를 검출하지 못하므로 창문이 열려 있는 것으로 신호처리소자(120)가 판독하여 이 신호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로 송신하게 되므로 이 신호를 통해 창문이 열려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반면, 창문이 닫히게 되면 제1,2창(W1,W2)이 서로 엇갈리면서 피감지구(PD)는 필연적으로 감지기(130) 속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으므로 감지기(130)는 당연히 이를 감지하여 창문이 닫혔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피감지구(PD)가 감지기(130) 속으로 인출입되어야 하므로 모듈본체(110)의 대응위치는 피감지구(PD)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 경우, 상기 피감지구(PD)의 인출입을 위해 상기 모듈본체(110)의 일측은 도 4와 같이 폭 T1과 대응되는 폭 T2 만큼 제1창(W1)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함도 당연하다 하겠다.
그리고,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크레센트(CR) 동작하지 않으면 언락킹 상태이므로 검출플랩(140)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기초로 언락킹 상태임을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인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센트(CR)가 회전되면서 크레센트(CR)의 손잡이 부분이 도 6과 같이 검출플랩(140)을 밀게 되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에 탑재된 위치검출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락킹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이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로 전송되므로 AP(300), 웹 서버(400)를 거쳐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즉 단말기(500)를 통해 창문의 개폐여부, 잠금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창문이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제적으로 락킹이 해제되면서 언락킹되게 되면 이는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통해 즉시 감지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200')가 카메라(600)를 회전, 줌 인/아웃시켜 해당 창문의 주변 상황을 영상 촬영하여 녹화함으로써 중요한 증거자료를 채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카메라(600)는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수단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대에 사용될 수 있는 창문 보안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술한 시스템 혹은 장치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는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고 나간 후 곧바로 창문의 잠금상태가 궁금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외부로 나간 상태가 아니므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휴대폰과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이 직접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이 보통이다.
때문에, 휴대폰에 홈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가능하게 설계한다면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로부서 전송되는 창문의 개폐여부, 락킹여부에 관한 정보를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 및 AP(300)를 거치지 않고도 직접 수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구성이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과 통신가능한 거리가 멀어지면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와 AP(300) 혹은 웹 서버(400)를 연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추가적으로 더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 200: 무선 다채널 수신기
300: 월 패드 400: 웹 서버
500: 단말기 600: 카메라
300: 월 패드 400: 웹 서버
500: 단말기 600: 카메라
Claims (4)
- 제1,2창(W1,W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에서 상기 제1창(W1)의 걸쇠(HK) 위쪽에 이격 설치된 피감지구(PD)와, 상기 제2창(W2)의 크레센트(CR) 위쪽에 이격 설치된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을 구비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창문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모듈본체(110)와; 상기 모듈본체(110)에 실장된 무선 통신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소자(120)와; 상기 피감지구(PD)의 유무를 검출하여 창문의 개폐상태를 판독하는 감지기(130)와; 상기 크레센트(CR)가 잠길 때 손잡이 부분과 접촉하여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플랩(140);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110)의 개방부는 커버(150)로 밀폐되며, 상기 커버(150)에는 상기 검출플랩(14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소자(120)는 상기 검출플랩(14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크레센트(CR)가 락킹 상태인지 언락킹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플랩(140)은 회전축(1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42)의 하단은 모듈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공(11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2)에는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되 토션스프링(144)의 일단은 검출플랩(140)에 걸림되며 타단은 모듈본체(110)의 내측벽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무선 송신모듈(100)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AP(Access Point)(300)와 통신하고, 상기 AP(3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창문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P(300)는 웹 서버(400)와 통신하여 창문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웹 서버(400)는 가입자 스마트폰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문 주변의 천정 또는 벽면에는 창문의 락킹 상태가 강제로 해제될 때 무선 다채널 수신기(200)의 제어하에 회전 및 줌 인/아웃되면서 창문 주변을 촬상하여 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6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ko) | 2016-10-07 | 2016-10-07 |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ko) | 2016-10-07 | 2016-10-07 |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741A KR20180038741A (ko) | 2018-04-17 |
KR101857875B1 true KR101857875B1 (ko) | 2018-05-14 |
Family
ID=6208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763A KR101857875B1 (ko) | 2016-10-07 | 2016-10-07 |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787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5824A (ko) | 2018-05-29 | 2019-12-09 | 주식회사 케이티 | 라우팅 장치 및 방법 |
-
2016
- 2016-10-07 KR KR1020160129763A patent/KR101857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741A (ko) | 2018-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29391B1 (en) |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 |
EP3097246B1 (en) | Smart fenestration product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 |
KR102391829B1 (ko) | 원격 모니터링을 구비한 전자 자물쇠 | |
US11606252B2 (en) | Wireless connection validation techniques | |
US8750509B2 (en) | Wireless surveillance system releasably mountable to track lighting | |
US9122302B2 (en) | Automatic garage door automatic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oncept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 |
US8860568B1 (en) | Home floor safe security system | |
JP4432753B2 (ja) | 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US20230080188A1 (en) | Device location network | |
CN105137771A (zh) | 一种基于移动终端的智能家电控制系统及方法 | |
US11539922B2 (en) | Point-to-point visual communications in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 |
CA2979411A1 (en) | Providing internet access through a property monitoring system | |
US20160014108A1 (en) | Portable home device managing systems and devices thereof | |
KR101923901B1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 |
US11894884B2 (en) | Modular electrical grid communications platform | |
US11353848B1 (en) | Video controlled adjustment of light conditions at a property | |
KR101857875B1 (ko) |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 |
US20190174599A1 (en) | Light control device as internet hub | |
CN106227049A (zh) | 物联网智能家居监控系统 | |
KR101584352B1 (ko) | 모듈형침입감지유니트와 이벤트촬영수단을 이용한 스마트기반 지능형 방범시스템 | |
CN208314537U (zh) | 一种智能建筑监测设备 | |
US20230056104A1 (en) | Modification of Camera Functionality Based on Orientation | |
KR20160102914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 |
TW201803369A (zh) | 物聯網監控維安系統 | |
US20240188162A1 (en) | Multi-protocol network connection resto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