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43747B1 -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47B1
KR101843747B1 KR1020170143727A KR20170143727A KR101843747B1 KR 101843747 B1 KR101843747 B1 KR 101843747B1 KR 1020170143727 A KR1020170143727 A KR 1020170143727A KR 20170143727 A KR20170143727 A KR 20170143727A KR 101843747 B1 KR101843747 B1 KR 10184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utter
terminal
position contro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식
Original Assignee
주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식 filed Critical 주영식
Priority to KR102017014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는 절단박리부를 이루는 상부커터를 절단커터와 박리커터로 구분하고, 절단커터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커터가 박리커터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부커터를 함께 이동시킴으로써 상부커터가 전선의 절단 및 박리시에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면서도 칼날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전선)를 절단시키거나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시의 커터 이동거리와 박리시의 커터 이동거리를 따로 부여하지 않아도 되는 바, 커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 지게 되는 바 공정의 오류율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ELECTRIC WIRE PARTS MANUFACTURING APPRATUS}
본 발명은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선이 노출되도록 피복부의 일부를 박리하고, 노출된 심선에 단자를 압착하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부품은 회로나 기기 상호간 전기적 접속 또는 이탈시키는 접속물을 의미한다. 하네스(Harness) 또는 컨넥터(Connector)라고도 한다. 전선부품은 각종 전자기기, 자동차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선부품은 대량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가 개발된 이유다.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피복전선의 양단을 절단하고, 양단의 피복 일부를 박리한 후에 박리된 단부에 단자(Terminal)를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한다(절단, 박리 및 단자 설치 공정).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의 사양에 따라서는 절단, 박리 및 단자 설치 공정을 모두 수행하거나, 그 중 일부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절단, 박리 및 단자 설치 공정을 모두 자동으로 수행하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몇가지 문제점이 지적된다. 그 중 하나는 전선의 절단 및 박리 공정에서 잦은 고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기존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는 칼날을 각각 구비하고 상하부로 배치된 커터를 설치하고, 커터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선을 절단하거나 박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커터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상하부 커터를 이동하면 전선이 절단되고, 커터가 일부 오픈된 형태를 갖도록 상하부 커터를 이동하면 전선이 박리되는 식이다. 이는 상하부로 배치된 커터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전자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선의 절단과 박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선의 절단을 위한 거리제어와 전선의 박리를 위한 거리제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바, 제어부나 칼날이동에 있어 잦은 오류가 발생되어 작업에 비효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35,616호 (1998.01.15 등록)
본 발명은 전선을 절단하고 피복을 박리하는 공정에 있어 커터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선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와 표시조작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심선이 피복부로 싸여진 와이어를 하기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로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몸체부의 상부 작업 공간의 후방쪽에 마련되어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고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전후방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기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로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와이어를 송급하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 몸체부의 상부 작업 공간의 전방쪽에 마련되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전후방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어를 절단하여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위치하는 제1 와이어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위치하는 제2 와이어로 구분시키고, 이어서 제1 와이어의 후방단부와 제2 와이어의 전방단부의 피복부를 동시에 박리시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단부 심선을 일부 노출시키는 절단박리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의 우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크림퍼부와, 제1 크림퍼부의 하방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앤빌을 포함하고, 전방단자를 몸체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 단자롤로부터 공급받아 제1 앤빌에 배치하고,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의해 제2 와이어의 전단(심선이 노출되어 있음)이 제1 앤빌 위에 위치되면 제1 크림퍼부로 전방단자를 압착시켜 제2 와이어의 전방단부에 전방단자를 압착시키는 제1 단자압착부; 및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크림퍼부와, 제2 크림퍼부의 하방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앤빌을 포함하고, 후방단자를 몸체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 단자롤로부터 공급받아 제2 앤빌에 배치하고,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의해 제1 와이어가 제2 앤빌 위에 위치되면 제2 크림퍼부로 후방단자를 압착시켜 제1 와이어의 후방단부에 후방단자를 압착시키는 제2 단자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박리부는, 상단에 3개의 칼날이 나란히 형성되고 고정 배치되는 하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어 승하강 이동하는 상부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터는 결합대와, 결합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고 하단에 칼날이 형성된 절단커터와, 결합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절단커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에 칼날이 형성된 박리커터를 포함하되 절단커터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절단커터의 하단부가 박리커터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터가 하강함으로써,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였을 때에 절단커터와 하부커터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를 절단시킬 수 있고 박리커터와 하부커터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의 피복부를 부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는 절단박리부를 이루는 상부커터를 절단커터와 박리커터로 구분하고, 절단커터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커터가 박리커터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부커터를 함께 이동시킴으로써 상부커터가 전선의 절단 및 박리시에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면서도 칼날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전선)를 절단시키거나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시의 커터 이동거리와 박리시의 커터 이동거리를 따로 부여하지 않아도 되는 바, 커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 지게 되는 바 공정의 오류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단자프레임을 수거하여 몸체부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수거관과, 수거관의 하방에 마련되어 단자프레임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설치함으로써 단자프레임 폐기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절단박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단자압착부와 수거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전선부품이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는 몸체부(110), 와이어 공급부(미도시),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 제1 단자압착부(130), 절단박리부(140),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 제2 단자압착부(160), 배출부(170)를 포함한다.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는 와이어(10)를 절단, 박리 및 단자 설치하여 전선부품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다. 여기에서 와이어(10)는 심선이 피복부로 싸여져 있는 전선을 의미한다. 와이어(10)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로 공급되면 절단박리부(140)에서 와이어(10)를 절단한다. 이어서 절단박리부(140)에서 와이어(10)의 단부의 피복을 박리하여 와이어(10) 단부의 심선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와이어(10)는 제1 단자압착부(130) 또는 제2 단자압착부(160)로 이동하여 단부에 단자가 설치되며, 최종적으로는 배출부(170)를 통해 배출된다. 각 구성요소의 구동 및 동작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도 1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방향기호를 토대로 설명한다. F는 전방(Forward), B는 후방(Back), R은 우측(Right), L은 좌측(Left)을 의미한다.
이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는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의 일부를 개선한 것에 해당하는 바,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는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35615호에 개시된 하네스 제조장치가 있다.
몸체부(10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 제1 단자압착부(130), 절단박리부(140),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 제2 단자압착부(160), 배출부(17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상부에 제공한다. 몸체부(100)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열한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나열한 구성요소들의 전자 제어를 위한 제어부(Electric Control Unit)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부(100)에는 사용자가 공정을 확인하거나 장치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는 표시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조작부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와이어 공급부(미도시)는 와이어(10)를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로 공급한다. 와이어 공급부는 와이어(10)를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로 공급 가능하면 충분하고,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와이어 공급부는 한국등록특허 제135615호에 개시된 하네스 제조장치의 전선이송수단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 작업 공간의 후방쪽에 마련된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와이어(10)를 공급받고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된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전후방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F,B,R,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의 이러한 이동을 위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한국등록특허 제135615호에 개시된 하네스 제조장치의 제1 유지이동수단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와이어(10)를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하고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와이어(10)를 전방(F)으로 송급하는 와이어송급부와, 와이어송급부의 전방 단부쪽에 마련되어 와이어송급부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된 와이어(10)를 파지하여 와이어(10)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와, 와이어송급부 및 와이어고정부를 갖춘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동부는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 상부에 놓여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몸체부(110)의 상부 작업 공간의 전방쪽에 마련된다.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로부터 와이어(10)를 공급받고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된다.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전후방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F,B,R,L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의 이러한 이동을 위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한국등록특허 제135615호에 개시된 하네스 제조장치의 제2 유지이동수단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로부터 와이어(10)를 공급받아 거치시키는 와이어 거치패널과, 와이어 거치패널의 후방(B)쪽에 마련되어 와이어(10)의 후방 단부를 파지하여 와이어(10)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와, 와이어 거치패널 및 와이어고정부를 갖춘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는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 상부에 놓여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박리부(14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 사이에 설치된다. 절단박리부(140)는 와이어(10)를 절단 및 박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단박리부(140)는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와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련하여 도 2는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 절단박리부(1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단박리부(140)는 하부커터(140b)와 상부커터(140a)를 포함한다. 하부커터(140a)는 상단에 3개의 칼날이 나란히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상부에 고정 배치된다. 상부커터(140a)는 하부커터(140a)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어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하부커터(140b)는 고정 배치된 채로 상부커터(140a)만 승하강 되도록 구성된다. 상부커터(140a)가 위로 올라간 상태, 즉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 사이의 공간이 오픈된 상태에서 와이어(10)가 진입하고, 상부커터(140a)가 하강하면서 와이어(10)를 절단하거나 부분 절단하게 된다. 와이어(10)는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10a)이 피복(10b)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에 형성된 칼날이 와이어(10)를 완전히 관통하는 경우 와이어(10)가 절단된다.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에 형성된 칼날이 와이어(10)의 심선(10a)에는 이르지 않고 피복(10b)만을 절개하는 경우에는 와이어(10)가 부분 절단된다. 한편, 공급된 와이어(10)에서 절단박리부(140)에 의해 와이어(10)가 두 부분으로 절단 되었을 때,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제1 와이어(11)로 칭하고,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제2 와이어(12)로 칭하기로 한다. 즉, 제1 와이어(11)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 와이어이며, 제2 와이어(12)는 남은 전체 와이어에 해당한다.
상부커터(140a)는 결합대(미표기)와, 절단커터(141)와, 한 쌍의 박리커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대는 도 1의 L-R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bar) 형태의 부재다. 결합대의 하부에 절단커터(141)와 박리커터(142)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대의 하부 중앙에 절단커터(141)가 결합되며, 결합대의 하부 양측에 박리커터(142)가 각각 결합된다. 즉 박리커터(142)는 절단커터(14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절단커터(141) 및 박리커터(142)의 하부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단커터(141)와 박리커터(142)의 형태 및 크기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절단커터(141) 및 박리커터(142)의 하단에 형성된 칼날은 후방(B)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커터(140b)의 상단에 형성된 칼날은 전방(F)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터(140a)는 하부커터(140b)와 정위치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커터(140b)보다 더 전방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커터(140a)는 절단커터(141) 및 박리커터(142)의 두께에 상응하는 정도만큼 하부커터(140b)보다 전방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커터(140a)에 형성된 칼날(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과 하부커터(140b)에 형성된 칼날(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서로 맞물려 와이어(10)의 절단 또는 부분 절단에 유리하다.
절단커터(141)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결합대를 기준으로 절단커터(141)는 아래로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커터(141)의 하단부는 박리커터(142)의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절단커터(141)의 승하강 동작을 위하여 결합대의 하부와 절단커터(141)의 상부를 연결하는 로드(143)가 마련될 수 있다. 로드(143)는 신장운동함으로써 로드(143)의 하단에 결합된 절단커터(141)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로드(143)의 신장운동은 통상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압장치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절단커터(141)가 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절단커터(141)의 하단부가 박리커터(142)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부커터(140a)를 하강함으로써, 상부커터(140a)가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였을 때 절단커터(141)와 하부커터(140b)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10)를 절단시킬 수 있고(도 2의 ① 부분에 해당함), 박리커터(142)와 하부커터(140b)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10)를 부분 절단시킬 수 있다(도 2의 ② 부분에 해당함). 따라서 상부커터(140a) 및 하부커터(140b)를 와이어(10)의 절단과 박리시에 서로 이동 거리가 다르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어지는 바, 커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d1은 절단커터(141)의 칼날과 하부커터(140b)의 칼날 사이의 거리다. d2는 박리커터(142)의 칼날과 하부커터(140b)의 칼날 사이의 거리다.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와 같이 절단커터(141)가 승하강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d1은 d2와 크기가 같다. 따라서 와이어(10)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심선과 피복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각각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와이어(10)를 부분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부커터는 와이어(10)의 상단으로부터 h1 만큼, 하부커터는 와이어(10)의 하단으로부터 h1 만큼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는 우선 하부커터(140b)가 고정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커터(140a)만 이동시키면 된다. 즉,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와 같이 하부커터(140b)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불필요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는 절단커터(141)가 하강 가능하므로, 절단커터(141)를 박리커터(142)보다 아래로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d1은 d2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와이어(10)의 사양(와이어의 두께, 심선 및 피복의 두께 등)에 따라 d1과 d2를 조정하면, 상부커터(140a)가 와이어(10)를 절단하거나 박리할 때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만 이동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부커터(140a)가 제1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d1은 0이 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0)를 절단할 수 있고, 동일한 제1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d2는 심선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조정하는 식이다. 이 경우 상부커터(140a)가 제1 거리만큼 이동할 때에 절단커터(141)를 통해 와이어(10)를 절단할 수 있고, 동일한 제1 거리만큼 이동할 때에 박리커터(142)를 통해 와이어(10)를 부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의 절단과 박리시에 상부커터(140a) 및 하부커터(140b)의 이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부커터(140a)는 기 결정된 제1 크기만큼만 주기적으로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와이어(10)의 절단과 박리가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터의 제어가 보다 단순해지므로, 종래 제어부나 칼날이동에 있어 잦은 오류가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의 일부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부호 152는 앞에서 설명한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의 와이어 거치패널(152)이며, 부호 151은 와이어 거치패널(152)의 후방(B)에 마련되어 와이어(10)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151)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와이어고정부(151)는 와이어(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반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플레이트 한 쌍이 와이어 거치패널(152)의 후방(B)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시계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자압착부(130) 및 제2 단자압착부(160)는 절단박리부(140)에서 단부 피복이 박리된 와이어(10)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단자압착부(13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의 우측(R)에 마련된다. 제2 단자압착부(160)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의 좌측(L)에 마련된다. 제1 단자압착부(130)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에 의해 이동된 와이어(10)의 전방단부에 전방단자를 압착시켜 결합시킨다. 제2 단자압착부(160)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에 의해 이동된 와이어(10)의 후방단부에 후방단자를 압착시켜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전방단자와 후방단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 단자압착부(130)와 수거절단부(135)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단자압착부(130) 및 제2 단자압착부(160)는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자압착부(13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단자압착부(130)는 구동몸체(131), 제1 크림퍼부(132), 제1 앤빌(1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몸체(131)는 제1 단자압착부(130)의 제1 크림퍼부(132)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1 크림퍼부(132)는 구동몸체(131)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크림퍼부(132)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서보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캠 및 링크 구조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크림퍼부(132)의 하방에는 제1 앤빌(133)이 대향 배치된다. 제1 앤빌(133)은 고정되어 형성되며, 제1 앤빌(133)의 상부면에는 "U"자형의 홈(미표기)이 마련될 수 있다.
단자(20)는 전방단자에 해당하는 단자(20) 복수개가 단자프레임(21)에 장착된 형태로 제1 단자압착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프레임(21)은 몸체부(110)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 단자롤(미도시)에 권취된 형태로 존재하다 제1 단자롤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110)의 상부로 이동하여 제1 단자압착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단자프레임(21)에 장착된 전방단자가 제1 앤빌(133) 상에 위치하고(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앤빌에 형성된 홈 상에 위치함), 와이어(10)의 전방단부가 전방단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 크림퍼부(132)가 하강하여 와이어(10)의 전방단부와 전방단자를 함께 압착함으로써 전방단자를 전방단부에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제1 단자압착부(130)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단자압착부(160)도 제1 단자압착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2 단자압착부(160)는 구동몸체, 제2 크림퍼부, 제2 앤빌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그 결합관계는 제1 단자압착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후방단자에 해당하는 단자(20) 복수개는 마찬가지로 단자프레임(21)에 장착된 형태로 제2 단자압착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프레임(21)은 몸체부(110)의 좌측(L)에 설치되는 제2 단자롤(미도시)에 권취된 형태로 존재하다 제2 단자롤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110)의 상부로 이동하여 제2 단자압착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단자프레임(21)에 장착된 후방단자가 제2 앤빌 상에 위치하고(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앤빌에 형성된 홈 상에 위치함), 와이어(10)의 후방단부가 후방단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 크림퍼부가 하강하여 와이어(10)의 후방단부와 후방단자를 함께 압착함으로써 후방단자를 후방단부에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제2 단자압착부(160)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는 단자프레임(21)의 효율적 수거를 위한 수거절단부(135)가 추가로 마련되는 점이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와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거절단부(135)는 단자프레임(21)을 수거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에서는 단자프레임(21)을 수거하는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 단자프레임(21)에 장착된 단자(20)들이 와이어(10)에 압착됨에 따라 단자압착부(130,160)을 거치면 단자(20)가 제거되고 단자프레임(21)만 남는다. 이 때, 단자프레임(21)은 일반적으로 몸체부(110)의 하방으로 가이드되지만, 공정이 진행될수록 몸체부(110)의 하부에 적체되는 단자프레임(21)이 꼬이거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어 장치를 구동시킴에 장애가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정 시간별로 작업자가 몸체부(110)의 하방에 적체된 단자프레임(21)을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해야만 했다. 이는 연속적인 공정에 방해가 되는 요소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는 이러한 단자프레임(21)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수거절단부(135)를 마련하게 되었다.
수거절단부(135)는 수거관(135a)과 절단부(135b,135c)를 포함한다. 수거관(135a)은 제1 단자압착부(130)의 좌측(L)과, 제2 단자압착부(160)의 우측(R)에 각각 위치한다(도 1 기준). 수거관(135a)은 일단부가 꺾인 형태를 갖는 관으로, 꺾인 단부가 단자압착부(13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단자압착부(130)를 거친 단자프레임(21)이 그대로 이동하여 수거관(135a)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위치된다. 수거관(135a)의 타단은 몸체부(110)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자프레임(21)은 수거관(135a)을 따라 몸체부(110)의 하방으로 안내된다.
절단부(135b,135c)는 수거관(135a)의 하방에 각각 마련된다. 절단부(135b,135c)는 제1 절단칼날(135b)과, 제1 절단칼날(135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절단칼날(135c)를 포함한다. 또한 절단칼날(135b,135c)들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통상의 구동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절단부(135b,135cd)의 제1,2 절단칼날은 주기적으로 좌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수거관(135a)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단자프레임(21)을 절단한다. 도 3을 기준으로 보면 제1 절단칼날(135b)은 주기적으로 우측으로 돌출되었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제2 절단칼날(135c)은 제1 절단칼날(135b)이 돌출되는 타이밍과 맞추어 주기적으로 좌측으로 돌출되었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제1,2 절단칼날(135b,135c) 사이를 지나는 단자프레임(21)이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된다(이를 프레임조각 21a라고 하자). 즉, 절단부(135b,135c)에 의해 단자압착부(130,160)를 거친 단자프레임(21)이 프레임조각(21a)으로 절단되므로, 몸체부(110)의 하방에서 단자프레임(21)이 꼬이거나 필요 이상으로 큰 부피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 장치의 구동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해 진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부(110)의 하방에 프레임조각(21a)을 수거하는 수거함(미도시)을 배치하면, 수거함 내에는 프레임조각(21a)이 쌓이게 된다. 프레임조각(21a)이 수거함 내부에 가득 차면, 수거함을 외부로 꺼내 프레임조각(21a)을 배출하면 되므로 간편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부(170)는 제2 단자압착부(160)의 전방쪽 및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의 좌측(L)에 마련되는 것으로 후방단자가 후방단부에 압착된 제1 와이어(11)를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로부터 건네받아 몸체부(110)의 최전방으로 배출시킨다.
관련하여, 도 4는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 배출부(1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170)는 구동몸체(171), 회전부(172) 및 파지집게부(173)을 포함한다. 구동몸체(171)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미도시)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의 측부에 레일을 형성하고, 구동몸체(171)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의 전후방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레일, 모터 등)와 구동몸체(171)의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모터 등)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몸체(171)는 도 1의 L-R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몸체(171)의 전면에는 회전부(172)가 관통 결합되고, 구동몸체(171)이 배면에는 회전부(172)에 의해 회전되는 파지집게부(173)가 결합될 수 있다. 파지집게부(173)는 와이어(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집게 형태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집게부(173)는 도 4의 잔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평상시에는 구동몸체(171)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가 와이어가 접근하면 회전부(172)의 회전에 의해 구동몸체(171)의 측부로 돌출되어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회전부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 등에 의해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파지집게부(17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와이어를 파지하도록 한 쌍의 집게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상기 와이어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집게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100)에서 전선부품이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 사이에 위치한 절단박리부(140)는 상부커터(140a)가 상승해 있는 상태다. 와이어(10)는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 사이를 통과한 상태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절단박리부(140)의 절단커터(141)를 향하도록 이동된 상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가 제1 거리만큼 하강하여 와이어(10)를 절단한다. 이 때, 상부커터(140a)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절단커터(141)는 박리커터(142)에 비해 소정 정도 하강되어 있는 상태다. 와이어(10)가 절단되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 상에는 잔류 와이어에 해당하는 제2 와이어(12)가 위치하며,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 상에는 제1 와이어(11)가 위치한다. 와이어(10)가 절단되자마자, 상부커터(140a)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제2 와이어(12)의 전방 단부를 파지하고, 우측(R)으로 소정 정도 이동하여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에서 우측에 위치한 박리커터(142)를 향한다.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제1 와이어(11)의 후방 단부를 파지하고, 좌측(L)으로 소정 정도 이동하여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에서 좌측에 위치한 박리커터(142)를 향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소정 정도 전방(F)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제2 와이어(12)의 전방 단부를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소정 정도 후방(B)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제1 와이어(11)의 후방 단부를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부커터(140a)는 도 5b에서의 하강 거리에 해당하는 제1 거리만큼 다시 하강하여 한 쌍의 와이어(11,12)의 단부를 부분 절단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소정 정도 후방(B)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소정 정도 전방(F)을 향해 이동한다.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고 와이어(11,12)의 단부를 부분 절단한 상태이므로 와이어(11,12)의 단부에 있는 피복이 박리된다. 와이어(11,12)의 단부에는 심선(10a)이 노출되고, 박리피복(10c)이 분리되어 몸체부(110)의 하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부커터(140a)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는 우측(R)으로 이동하여 제2 와이어(12)를 제1 단자압착부(130)로 이송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좌측(L)으로 이동하여 제1 와이어(11)를 제2 단자압착부(160)로 이송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단자압착부(130)에서는 제2 와이어(12)의 전방단부에 전방단자(13)를 압착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단자압착부(160)에서는 제1 와이어(11)의 후방단부에 후방단자(14)를 압착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제2 단자압착부(160)의 전방에 위치하는 배출부(170)의 파지집게부(173)는 구동몸체(171)를 기준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도 4 참고).
도 6e를 참조하면, 제1 단자압착부(130)에서 전방단자(13)가 압착된 제2 와이어(12)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에 의해 다시 절단박리부(140)의 절단커터(141)를 향하도록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 단자압착부(160)에서 후방단자가 압착된 제1 와이어(11)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에 의해 전방(F)으로 소정 정도 이동하며, 이 때, 배출부(170)의 파지집게부(173)가 회전부(172)에 의해 회전되어 우측(R)을 향해 돌출되어 제1 와이어(11)를 파지한다. 제1 와이어(11)를 배출부(170)에 건넨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50)는 다시 절단박리부(140)의 절단커터(141)를 향하도록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배출부(170)의 지지부는 전방(F)으로 이동하고, 몸체부(1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대에 제1 와이어(11)를 놓는다.
도 6f를 참조하면, 도 5a와 마찬가지로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120)에서 와이어(10)가 전방으로 송급되고, 와이어(10)는 절단박리부(140)의 상부커터(140a)와 하부커터(140b) 사이를 통과한다. 와이어(10)의 전방측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160) 상에 놓이게 되며 이 때, 전방 단부는 전방단자(13)로 압착되어 있는 상태다. 이후, 도 5a로 되돌아가 다시 반복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는 절단박리부를 이루는 상부커터를 절단커터와 박리커터로 구분하고, 절단커터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절단커터가 박리커터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부커터를 함께 이동시킴으로써 상부커터가 전선의 절단 및 박리시에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면서도 칼날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전선)를 절단시키거나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시의 커터 이동거리와 박리시의 커터 이동거리를 따로 부여하지 않아도 되는 바, 커터의 제어가 보다 간단해 지게 되는 바 공정의 오류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단자프레임을 수거하여 몸체부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수거관과, 수거관의 하방에 마련되어 단자프레임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설치함으로써 단자프레임 폐기물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110: 본체부
120: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 130: 제1 단자압착부
140: 절단박리부 140a: 상부커터
140b: 하부커터 141: 절단커터
142: 박리커터 143: 로드
150: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 160: 제2 단자압착부
170: 배출부 10: 와이어
11: 제1 와이어 12: 제2 와이어
20: 단자 21: 단자프레임
135: 수거절단부 135a: 수거관
135b: 제1 절단칼날 135b: 제2 절단칼날

Claims (3)

  1. 제어부와 표시조작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심선이 피복부로 싸여진 와이어를 하기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로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몸체부의 상부 작업 공간의 후방쪽에 마련되어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고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전후방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기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로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와이어를 송급하는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
    몸체부의 상부 작업 공간의 전방쪽에 마련되어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아 기 결정된 제어 내용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전후방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와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어를 절단하여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위치하는 제1 와이어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위치하는 제2 와이어로 구분시키고, 이어서 제1 와이어의 후방단부와 제2 와이어의 전방단부의 피복부를 동시에 박리시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단부 심선을 일부 노출시키는 절단박리부;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의 우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크림퍼부와, 제1 크림퍼부의 하방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앤빌을 포함하고, 전방단자를 몸체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 단자롤로부터 공급받아 제1 앤빌에 배치하고, 제1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의해 제2 와이어의 전단(심선이 노출되어 있음)이 제1 앤빌 위에 위치되면 제1 크림퍼부로 전방단자를 압착시켜 제2 와이어의 전방단부에 전방단자를 압착시키는 제1 단자압착부; 및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크림퍼부와, 제2 크림퍼부의 하방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앤빌을 포함하고, 후방단자를 몸체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 단자롤로부터 공급받아 제2 앤빌에 배치하고,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에 의해 제1 와이어가 제2 앤빌 위에 위치되면 제2 크림퍼부로 후방단자를 압착시켜 제1 와이어의 후방단부에 후방단자를 압착시키는 제2 단자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박리부는, 상단에 3개의 칼날이 나란히 형성되고 고정 배치되는 하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어 승하강 이동하되 상기 하부커터보다 하기 절단커터와 박리커터의 두께만큼 전방쪽으로 배치되는 상부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터는 결합대와, 결합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고 하단에 칼날이 형성된 절단커터와, 결합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절단커터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에 칼날이 형성된 박리커터를 포함하되 절단커터는 결합대의 하부와 절단커터의 상부를 연결하는 로드의 신장운동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절단커터의 하단부가 박리커터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터가 하강함으로써,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였을 때에 절단커터와 하부커터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를 절단시킬 수 있고 박리커터와 하부커터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의 피복부를 부분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단자압착부의 전방쪽 및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의 좌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후방단자가 후방단부에 압착된 제1 와이어를 제2 와이어위치제어부로부터 건네받아 몸체부의 최전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자 및 후방단자는 단자와,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단자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단자압착부의 좌측과 제2 단자압착부의 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제1 단자압착부 또는 제 2 단자압착부를 거쳐 단자가 제거된 단자프레임을 수거하여 몸체부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수거관과, 수거관의 하방에 각각 마련되어 수거관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단자프레임을 일정 크기로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거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KR1020170143727A 2017-10-31 2017-10-31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KR10184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27A KR101843747B1 (ko) 2017-10-31 2017-10-31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27A KR101843747B1 (ko) 2017-10-31 2017-10-31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747B1 true KR101843747B1 (ko) 2018-03-30

Family

ID=6190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727A KR101843747B1 (ko) 2017-10-31 2017-10-31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3125A (zh) * 2020-04-13 2020-07-10 深圳奔等电脑有限公司 一种数据线回收去除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07Y1 (ko) 1999-04-29 2000-02-15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KR101003188B1 (ko) 2008-09-08 2010-12-22 (주)티에이치엔 도선 가공장치의 프레스에서 배출되는 단자 캐리어를 절단하는 수단
KR101162824B1 (ko) 2009-09-18 2012-07-05 (주)성림코데라 전선절단탈피장치
JP2012216492A (ja) * 2011-03-30 2012-11-08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07Y1 (ko) 1999-04-29 2000-02-15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KR101003188B1 (ko) 2008-09-08 2010-12-22 (주)티에이치엔 도선 가공장치의 프레스에서 배출되는 단자 캐리어를 절단하는 수단
KR101162824B1 (ko) 2009-09-18 2012-07-05 (주)성림코데라 전선절단탈피장치
JP2012216492A (ja) * 2011-03-30 2012-11-08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3125A (zh) * 2020-04-13 2020-07-10 深圳奔等电脑有限公司 一种数据线回收去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217B2 (en) Device for processing a wire
EP2174390B1 (en) Wire positioning device for a wire termination machine
CN104124599A (zh) 全自动多线单头端子压着机
JPH09306257A (ja)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JP2016517152A (ja) ケーブルを切断し、ケーブルから絶縁体を剥離し、ケーブルを圧着端子に取り付けるためのケーブル処理装置
US4631823A (en) Electrical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492330B (zh) 全自动多芯线端子压着机
CN210349710U (zh) 一种自动切剥线送线焊线装置
CN209766831U (zh) 全自动多芯线端子压着机
CN108616024A (zh) 一种自动刺破式端子压接沾锡机
CN106410567A (zh) 端子压接设备
KR101843747B1 (ko)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EP0059060B1 (en) Electrical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768075B (zh) 多功能全自动单头压端子穿壳浸锡机及其加工方法
JPS6332230B2 (ko)
CN110380309B (zh) 一种端子线多线并打机
EP0375458A1 (en) The stripping and terminating of conductors in multi core cables
EP0145416B1 (en)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harnesses
US3465409A (en) Terminal attaching machine
CN103996573B (zh) 一种保险丝自动装配机及保险丝自动装配方法
US6289573B1 (en) Apparatus for making up a cable
CN214673405U (zh) 一种半自动套号码管压接机
CN210137080U (zh) 一种自动切剥线送线装置
CN113346314B (zh) 一种自动裁线打端子装置
CN109986363B (zh) 电子引火元件压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