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41910B1 -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910B1
KR101841910B1 KR1020137013220A KR20137013220A KR101841910B1 KR 101841910 B1 KR101841910 B1 KR 101841910B1 KR 1020137013220 A KR1020137013220 A KR 1020137013220A KR 20137013220 A KR20137013220 A KR 20137013220A KR 101841910 B1 KR101841910 B1 KR 10184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compound
carboxylic acid
acid ester
reaction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874A (ko
Inventor
미츠하루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9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5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polycyc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from carboxylic acid 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r formates
    • C07C67/3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r formates by addition to an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42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 C11B9/004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36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more than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4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more than two atoms in common the bicyclo ring system containing seven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조합향료 원료로서 유용한,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갖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일반식 (1)로 표시된다.

Description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NOVEL CARBOXYLATE COMPOUN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PERFUME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합향료 원료로서 유용한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테르류에는 향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는, 장미같은 향기를 갖는 아세트산게라닐, 자스민같이 달콤한 향기를 갖는 자스몬산메틸, 과일맛 나는(fruity) 향조(香調)를 갖는 프루테이트(FRUITATE), 강하게 건과일맛 나는 향조를 갖는 안식향산메틸 등이 조합향료 소재로서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Nakajima Motoki 편찬, 「향료와 조향의 기초지식」, 1995년, 215페이지, 235페이지, 244~246페이지, 일본 산업국서(産業國書) 주식회사
본 발명의 과제는, 조합향료 원료로서 유용한, 산뜻한(fresh;산뜻한) 파인(소나무;pine)같은(pine-like) 향기를 갖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화합물을 합성하고, 그 향기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신규 화합물인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1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즉, 본 발명은,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로 이루어진다.
[1]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2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2]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3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3] 플루오르화수소의 존재하에서, 식 (2)로 표시되는 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을 일산화탄소, 이어서 탄소수 2~4의 알코올과 반응시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4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5

본 발명의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갖는 점에서 신규하고, 우수한 향기 지속성을 가지므로, 화장품류(toiletry) 용품이나 비누, 의료용 세제 등 폭넓은 제품에 대한 부향(賦香;perfuming)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의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일반식 (1)로 표시된다.
R로는, 탄소수 2~4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2~4의 알킬기로는,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R로는, 특히 에틸기, iso-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무수 플루오르화수소(이후, HF라고도 함) 존재하에서,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산플로라이드(식 (3))를 얻어, 그 후 알코올에 의한 에스테르화를 통해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6

[일산화탄소]
카르보닐화 공정에 사용하는 일산화탄소는, 질소나 메탄 등의 불활성 가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일산화탄소 분압으로서 0.5~5MPa, 바람직하게는 1~3MPa의 범위에서 실시한다. 일산화탄소 분압이 0.5MPa보다 높다면, 카르보닐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어, 불균화나 중합 등의 부반응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고수율로 목적물인 지환식 카르보닐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분압은 5MPa 이하인 것이 설비 부하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플루오르화수소]
카르보닐화 공정에 사용하는 HF는 반응 용매이고, 촉매이며, 또한 부원료가 되므로, 실질적으로 무수인 것을 이용한다. HF의 사용량은, 원료인 식 (2)의 화합물에 대하여 4~25몰배, 바람직하게는 6~15몰배이다. HF의 몰비가 4몰배 이상이면, 카르보닐화 반응은 효율좋게 진행되어, 불균화나 중합 등의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수율로 목적물인 카르보닐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료비용 및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25몰배 이하의 HF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
본 반응에서는 원료를 좋게 용해하여, HF에 대하여 불활성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헥산, 헵탄, 데칸과 같은 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 유무 및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히 선택하면 되지만, 중합반응을 억제하고, 수율이 향상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원료인 식 (2)의 화합물에 대하여 0.2~2.0질량배가 바람직하고,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의 관점으로부터는 0.5~1.0질량배가 바람직하다.
[반응 조건]
카르보닐화 반응의 형식에는 특별히 제한 없이, 회분식, 반연속식, 연속식 등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카르보닐화 반응의 반응온도는 -50℃~30℃, 바람직하게는 -30℃~20℃의 범위에서 실시한다. 반응속도의 관점으로부터 -50℃ 이상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가 30℃ 초과의 경우에는, 이성체 생성량이 증가하여 목적물의 수율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품 순도를 악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반응시간은 1~5시간이 바람직하다. 1시간보다 반응시간이 짧으면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또한 5시간보다 길면 장치가 커지므로 효율이 나쁘다.
반응시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산화탄소의 흡수가 정지된 시점이 예시된다.
카르보닐화 반응에서는, HF와 일산화탄소에 의해 산플로라이드(식 (3))가 생성된다.
생성된 산플로라이드 반응액은 과잉 HF를 유거한 후, 증류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해 정제하여, 다음 공정인 에스테르화 공정의 원료로서 이용할 수 있지만, 통상은 HF 촉매가 들어간 채 카르보닐화 반응액을 그대로 알코올과 반응시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탄소수 2~4의 알코올이다.
상기 탄소수 2~4의 알코올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tert-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4의 알코올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원료인 식 (2)의 화합물에 대하여 0.5~2.0배몰, 바람직하게는 0.8~1.5배몰이다.
에스테르화 반응온도는 부반응을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 -20℃ 이상 20℃ 이하이다. -20℃보다 낮은 경우에는 에스테르화 속도가 느려 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20℃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스테르의 분해나, 첨가한 알코올의 탈수 반응을 일으키거나 하여 계 내에 물을 부생(副生)시킬 위험성이 증대된다.
반응시간은 0.5~3시간이 바람직하다. 0.5시간보다 반응시간이 짧으면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또한 3시간보다 길면 장치가 커지므로 효율이 나쁘다. 반응시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열 상승이 인정되지 않게 된 시점이 예시된다.
이렇게 얻어진 에스테르화 생성물은 카르본산에스테르·HF 착체 용액이며, 가열함으로써 카르본산에스테르와 HF의 결합이 분해되어, HF를 기화 분리하고, 회수, 재이용할 수 있다. 이 착체의 분해 조작은 가능한 한 신속하게 진행하여 생성물의 가열변질, 이성화 등을 피할 필요가 있다. 착체의 열분해를 신속하게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HF에 불활성인 용매(예를 들면 헵탄 등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나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환류 하에서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액을 얼음물(氷水) 내로 추출하는(빼내는) 경우에는, 오토클레이브 바닥부로부터 얼음물 내로 액추출(liquid extraction)하고, 유상(oil phase)과 수상(water phase)을 분리한 후, 유상을 2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2회, 증류수로 2회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를 행한다. 다시, 얻어진 액체를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저비물(低沸物) 등을 제거한 후, 이론단수 20단의 정류탑을 이용하여 정류를 행함으로써, 제품의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가지며, 또한 지속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비누, 샴푸, 린스, 세제, 화장품, 스프레이 제품, 방향제, 향수, 입욕제 등의 부향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식품, 의약, 농약, 액정 등의 합성 중간체로서의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통상 이용되는 다른 향료 성분이나, 원하는 조성의 조합향료에,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고, 배합하여 얻어진다.
그 배합량은, 조합향료의 종류, 목적으로 하는 향기의 종류 및 향기의 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조합향료 중에 0.01~90질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질량%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향료 성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에테르 등의 계면활성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등의 용매; 리모넨, α-피넨, β-피넨, 테르피넨, 세드렌, 론지폴렌(longifolene), 발렌센(valencene) 등의 탄화수소류; 리나룰(linalool), 시트로네룰, 게라니올, 네룰, 테르피네올,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에틸리나룰, 파르네솔, 네롤리돌, 시스-3-헥센올, 세드룰, 멘톨, 보르네올, β-페닐에틸알코올, 벤질알코올, 페닐헥사놀, 2,2,6-트리메틸시클로헥실-3-헥사놀, 1-(2-t-부틸시클로헥실옥시)-2-부탄올,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메탄올, 4-메틸-2-(2-메틸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올, 2-메틸-4-(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2-에틸-4-(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이소캄필(Isocamphyl)시클로헥사놀, 3,7-디메틸-7-메톡시옥탄-2-올 등의 알코올류; 오이게놀, 티몰, 바닐린 등의 페놀류; 리날릴포르메이트, 시트로넬릴포르메이트, 게라닐포르메이트, n-헥실아세테이트,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리날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네릴아세테이트, 테르피닐아세테이트, 노필아세테이트, 보르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스티랄릴(styralyl)아세테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3-펜틸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프로피오네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프로피오네이트, 알릴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에틸 2-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벤질프로피오네이트, 시트로넬릴부틸레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n-부틸레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이소부틸레이트, 메틸2-노네노에이트(nonenoate), 메틸벤조에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메틸신나메이트, 메틸살리실레이트, n-헥실살리실레이트, 시스-3-헥세닐살리실레이트, 게라닐티글레이트, 시스-3-헥세닐티글레이트, 메틸자스모네이트,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2,4-디하이드록시-3,6-디메틸벤조에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프루테이트(FRUITATE) 등의 에스테르류; n-옥탄알, n-데칸알, n-도데칸알, 2-메틸운데칸알, 10-운데세날, 시트로넬랄, 시트랄,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벤즈알데히드, 4(3)-(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1-카르보알데히드, 2-시클로헥실프로판알, p-t-부틸-α-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p-이소프로필-α-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p-에틸-α,α-디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피페로날, α-메틸-3,4-메틸렌디옥시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메틸헵텐온, 4-메틸렌-3,5,6,6-테트라메틸-2-헵타논, 아밀시클로펜타논, 3-메틸-2-(시스-2-펜텐-1-일)-2-시클로펜텐-1-온, 메틸시클로펜테놀론, 로즈케톤, γ-메틸이오논(ionone), α-이오논, 카르본, 멘톤, 장뇌(camphor), 누트카톤(nootkatone), 벤질아세톤, 아니실아세톤, 메틸β-나프틸케톤, 2,5-디메틸-4-하이드록시-3(2H)-푸라논, 말톨, 7-아세틸-1,2,3,4,5,6,7,8-옥타하이드로-1,1,6,7-테트라메틸나프탈렌, 무스콘, 시베톤, 시클로펜타데카논, 시클로헥사데세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알데히드에틸페닐프로필아세탈, 시트랄디에틸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글리세린아세탈,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에틸렌글리콜케탈류의 아세탈류 및 케탈류; 아네톨, β-나프틸메틸에테르, β-나프틸에틸에테르, 리모넨옥사이드, 로즈옥사이드, 1,8-시네올, 라세미체(racemic body) 또는 광학 활성의 도데카하이드로-3a,6,6,9a-테트라메틸나프토[2,1-b]퓨란 등의 에테르류; 시트로넬릴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σ-데카락톤, γ-자스모락톤, 쿠마린,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시클로헥사데카놀리드, 암브레톨리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11-옥사헥사데카놀리드 등의 락톤류; 오렌지, 레몬, 베르가못, 만다린,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라벤더, 캐모마일, 로즈마리, 유칼리, 세이지, 바질, 로즈, 제라늄, 자스민, 일랑일랑, 아니스, 클로브, 진저, 너트메그, 카다몬, 시더, 노송나무, 베티버, 파출리, 랍다넘(labdanum) 등의 천연정유나 천연추출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향료 성분은 단독 또는 복수개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우수한 향기 부여를 위해, 배합 대상물의 향기의 개량을 행하기 위해, 향장품류, 건강위생 재료, 잡화, 식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 각종 제품의 향기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어, 향수, 코롱류(cologne) 등의 프레이그런스(fragrance) 제품; 샴푸, 린스류, 헤어토닉, 헤어크림류, 무스, 젤, 포마드, 스프레이 기타 모발용 화장료; 화장수, 미용액, 크림, 유액, 팩, 파운데이션, 분, 립스틱, 각종 메이크업류 등의 피부용 화장료; 설거지 세제, 세탁용 세제, 소프트너류, 소독용 세제류, 제취세제류, 실내방향제, 퍼니처 케어, 유리 클리너, 가구 클리너, 바닥 클리너, 소독제, 살충제, 표백제, 기타 각종 건강위생용 세제류; 치약, 마우스 워시, 입욕제, 땀억제 제품, 퍼머액 등의 의약부외품; 토일렛 페이퍼, 티슈 페이퍼 등의 잡화; 의약품 등; 식품 등의 향기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제품에 대한 배합량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품에 대한 배합량으로서, 0.001질량%~5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는, Shimadzu Corporation제 GC-17A와 캐필러리 칼럼(Capillary Column)으로서 ULBON제 HR-1(0.32mmφ×25m×0.50μm)을 이용하였다. 승온조건은 100℃부터 300℃까지 5℃/min.로 승온하였다.
<GC-MS>
Thermo ELECTRON사제 GC-MS 스펙트럼 장치의 POLARIS Q
<1H-NMR 스펙트럼 분석>
장치: JEOL Ltd.제 1H-NMR 스펙트럼 장치 EX-270 BRUKER AVANCEII600
내부 표준 물질: 테트라메틸실란(TMS)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수율, 이성체비>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수율(몰%)=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몰수/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의 몰수×100
·이성체비(%)=2,3,3-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Exo-2-카르본산에스테르의 몰수/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합계 몰수×100
<실시예 1>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합성법
[화학식 7]
Figure 112013045733280-pct00007

NAC 구동(NAC drive)식 교반기와 상부에 3개의 입구 노즐, 바닥부에 1개의 추출 노즐을 구비하고, 자켓에 의해 내부 온도를 억제할 수 있는 내용적 500㎖의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오토클레이브 내부를 일산화탄소로 치환한 후, 플루오르화수소146g(7.3몰)을 도입하여, 액체온도 -30℃로 한 후, 일산화탄소로 2MPa까지 가압하였다.
반응온도를 -30℃로 유지하고, 또한 반응압력을 2MPa로 유지하면서, 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66.3g(0.49몰)과 헵탄 66.3g의 혼합액을 오토클레이브 상부로부터 1시간에 걸쳐 공급하여 카르보닐화 반응을 행하였다. 원료의 공급 종료 후, 일산화탄소의 흡수가 인정되지 않을 때까지 추가로 15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반응온도를 0℃로 유지하면서, 에탄올을 오토클레이브 상부로부터 33.6g(0.73몰) 공급하여, 교반 하에서 1시간 에스테르화를 행하였다.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 바닥부로부터 얼음물 내로 추출하고, 유상과 수상을 분리한 후, 유상을 2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로 2회, 증류수 100㎖로 2회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 10g으로 탈수하였다. 얻어진 액체를 내부 표준법에 의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수율 89.7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였고, 주생성물의 수율 82.4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 이성체비 91.8%)였다.
얻어진 용액을 증발기를 이용하여 저비물을 제거한 후, 이론단수 20단의 정류탑을 이용하여 정류를 행한 결과(유출(溜出)온도 157℃, 진공도 60torr), 주 유부분으로서 순도 92.0질량%인 것이 75.0g(증류수율 89.0몰%)로 얻어졌다.
얻어진 유분(溜分)은,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갖고 있었다.
GC-MS로 분석한 결과, 목적물의 분자량 210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重)클로로포름 용매 중에서의 1H-NMR의 화학적 이동값(δppm, TMS 기준)은, 1.11(s, 6H), 1.27(m, 2H), 1.30(t, 4H), 1.34(s, 3H), 1.42(m, 1H), 1.52(m, 2H), 1.55(t, 1H), 2.06(m, 1H), 4.12(m, 2H)였으므로 식 (4)의 2,3,3-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Exo-2-카르본산에틸에스테르라고 동정(同定; identification)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카르보닐화 반응온도를 -25℃에서 행하고, 에스테르화에서 사용하는 알코올을 이소프로판올로 대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카르보닐화와 에스테르화와 반응 생성액의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액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수율 87.3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였고, 주생성물인 2,3,3-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Exo-2-카르본산이소프로필에스테르의 수율은 78.7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 이성체비 90.1%)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카르보닐화 반응온도를 -15℃에서 행하고, 에스테르화에서 사용하는 알코올을 n-부탄올로 대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카르보닐화와 에스테르화와 반응 생성액의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액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수율 59.4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였고, 주생성물인 2,3,3-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Exo-2-카르본산n-부틸에스테르의 수율은 40.5몰%(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 기준, 이성체비 68.3%)였다.
<실시예 4> 후르츠(fruit) 타입의 향료 조성물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95질량부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5질량부 첨가함으로써, 플럼을 상기(想起)시켜 중후한 단맛을 특징으로 하는 후르츠 타입의 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배합 성분 질량부
부티르산디메틸벤질카르비닐 60
아세트산디메틸벤질카르비닐 10
부티르산벤질 5
FRUITATE(Kao Corporation) 5
FLORAMAT(Kao Corporation) 5
벤질알코올 3
에틸말톨 3
γ-운데카락톤 1
바닐린 1
Vanitrope 1
로즈 타입 1
95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산뜻한 파인(소나무)같은 향기를 갖는 점에서 신규하고, 우수한 향기 지속성을 가지므로, 화장품류 용품이나 비누, 의료용 세제 등 폭넓은 제품에 대한 부향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Figure 112017096373268-pct00008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2.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Figure 112017096373268-pct00009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3. 플루오르화수소의 존재하에서, 식 (2)로 표시되는 2,2-디메틸-3-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을 일산화탄소, 이어서 탄소수 2~4의 알코올과 반응시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17096373268-pct00010

    (식 중 R은 탄소수 2~4의 알킬기이다.)
    Figure 112017096373268-pct00011

KR1020137013220A 2010-11-12 2011-11-01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Active KR101841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4188 2010-11-12
JPJP-P-2010-254188 2010-11-12
PCT/JP2011/006125 WO2012063433A1 (ja) 2010-11-12 2011-11-01 新規カルボン酸エステル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香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74A KR20140023874A (ko) 2014-02-27
KR101841910B1 true KR101841910B1 (ko) 2018-03-26

Family

ID=4605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220A Active KR101841910B1 (ko) 2010-11-12 2011-11-01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29228B2 (ko)
EP (1) EP2639218B1 (ko)
JP (1) JP5853956B2 (ko)
KR (1) KR101841910B1 (ko)
CN (1) CN103201250B (ko)
ES (1) ES2644235T3 (ko)
RU (1) RU2555707C2 (ko)
TW (1) TWI579267B (ko)
WO (1) WO20120634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12B1 (ko) * 2020-02-25 2021-03-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송연먹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403B2 (en) 2018-07-13 2024-01-0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mposition, and, fragrance composition
JP7351313B2 (ja) * 2018-11-16 2023-09-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カルボン酸エステル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香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480C (ko) * 1957-04-24 1900-01-01
US4350823A (en) * 1980-03-25 1982-09-21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Carbomethoxy methyl norbornanes
US4312888A (en) * 1980-03-25 1982-01-2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Flavoring with carboalkoxy alkyl norbornanes
US4319036A (en) * 1980-03-25 1982-03-0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Carboalkoxy alkyl norbornan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NL8003068A (nl) 1980-05-28 1982-01-04 Naarden & Shell Aroma Chem Parfumcomposities en geparfumeerde materialen en voorwerpen die esters van bicyclische monoterpeenzuren als grondstof bevatten.
US5650536A (en) * 1992-12-17 1997-07-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tion of functionalized olefins
JP3296885B2 (ja) * 1993-06-15 2002-07-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エステル類の製造方法
EP1318190A1 (en) * 2001-12-07 2003-06-11 Givaudan SA Organic compou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12B1 (ko) * 2020-02-25 2021-03-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송연먹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9035A (en) 2012-07-16
TWI579267B (zh) 2017-04-21
RU2013112558A (ru) 2014-12-20
EP2639218B1 (en) 2017-09-13
US20130184486A1 (en) 2013-07-18
CN103201250A (zh) 2013-07-10
KR20140023874A (ko) 2014-02-27
WO2012063433A1 (ja) 2012-05-18
EP2639218A1 (en) 2013-09-18
CN103201250B (zh) 2015-08-05
JPWO2012063433A1 (ja) 2014-05-12
ES2644235T3 (es) 2017-11-28
EP2639218A4 (en) 2014-09-24
RU2555707C2 (ru) 2015-07-10
US8829228B2 (en) 2014-09-09
JP5853956B2 (ja) 201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127B1 (ko) 신규 카르본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향료 조성물
JP7310814B2 (ja) α位にホルミルオキシ基を有するイソ酪酸エステル化合物、香料組成物、及び香料としての使用
KR101841910B1 (ko)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JP7609073B2 (ja) アルデヒ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香料組成物
CN113015717B (zh) 羧酸酯化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香料组合物
CN114846126A (zh) α位具有碳酸酯基的异丁酸酯化合物及香料组合物
RU2777517C1 (ru) Соединение эфира 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я и арома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2734492B1 (ko)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향료 조성물
RU2795926C2 (ru) Соединени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ароматиз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