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748B1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0748B1 KR101840748B1 KR1020170018502A KR20170018502A KR101840748B1 KR 101840748 B1 KR101840748 B1 KR 101840748B1 KR 1020170018502 A KR1020170018502 A KR 1020170018502A KR 20170018502 A KR20170018502 A KR 20170018502A KR 101840748 B1 KR101840748 B1 KR 101840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upercapacitor
- switching element
- battery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99740 Plantago alp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 H02J3/382—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섬과 같은 고립된 좁은 지역에서 전력을 합리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이종 배터리를 동시에 사용하되, 단주기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를 전력 저장 장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리튬전지 배터리부,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로부터 부하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PCS 및 제어부로 구성하되, 상기 단주기 ESS에 보조 저장 장치로 슈퍼캐패시터부를 추가 구성하여, 리튬전지 배터리의 충방전 횟수를 제한하도록 하여 내구연한을 높여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섬과 같은 고립된 좁은 지역에서 전력을 합리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이종 배터리를 동시에 사용하되, 단주기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를 전력 저장 장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리튬전지 배터리부,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로부터 부하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PCS 및 제어부로 구성하되, 상기 단주기 ESS에 보조 저장 장치로 슈퍼 캐패시터부를 추가 구성하여, 리튬전지 배터리의 충방전 횟수를 제한하도록 하여 내구연한을 높여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란 남는 전력과 에너지를 필요한 때와 장소에 공급하기 위해 전기전력계통(Grid)에 저장해 두는 기술을 말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ESS라 함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가정이나 공장 등에 바로 전달하지 않고 대형 2차전지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 전송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서, ESS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잉여에너지를 저장해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제고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조력 등) 보급 및 원자력 등의 발전비중이 증가하면서 불안정한 전력공급 및 단전 등을 효율적으로 예측, 제어하기 위한 저장시스템으로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이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배터리 이외에도 생산 전력을 변환하고 관리하기 위한 PCS(전력변환시스템), BMS(배터리관리시스템), EMS(에너지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PCS(Power Conversion System)라 함은 전력변환장치로서 교류와 직류간의 변환, 전압/전류/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배터리가 안전하게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말하며, EMS(Energy Management System)는 전력의 생산/변환/소비 등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장치를 말한다.
ESS가 활용될 수 있는 부문은 크게 가정용 전력저장 시스템, 산업용상업용 중형 전력저장 시스템, 발전소 및 변전소에 설치되는 초대용량의 전력저장 시스템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장주기형과 단주기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주기 저장장치는 비교적 작은 규모(수 kWh)의 가정용 저장장치, 급속한 전력의 주파수나 전압 변동을 조정해 줄 수 있는 메가와트(MW)급 장치이고, 장주기 저장장치는 심야전력을 저장했다가 피크 부하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단주기 저장장치는 전력의 부하 평준화 즉 첨두 부하 분산(Peak Shaving)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선선 설치비 등의 설비투자를 절감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비해 장주기 저장장치는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 즉 경부하시 야간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과부하시 주간에 사용함으로써 전력운영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에너지 저장없이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비율이 점차 늘어 갈수록 전체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는 요소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력망의 불안정을 안정화 시켜주는 요소로 이러한 전력 저장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갈 것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주기, 단주기형 저장장치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ESS를 구성하는 요소 중 배터리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다.
단주기용 ESS에 있어서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중 리튬이온 전지는 사이클 수명이 3,000회 이상이며 정지 후 즉시 기동시간이 가능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안정화용 단주기 ESS에 적합한데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과 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충전전압과 관련해서는 충전전압이 높을 수록 용량 충전률이 높으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충전전류가 높을 수록 방전사이클이 짧아져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전력저장장치로 사용되는 ESS는 충전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매우 짧은 순간에도 급격하게 발전 전력량이 변화되는데, 이를 리튬 전지 배터리의 대응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컨버터에서 리튬전지 배터리부로 전달될 때 전압 내지 전류의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게 되어, 리튬전지 배터리부의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단주기 ESS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서 보조적인 전력저장장치가 구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리튬전지 배터리가 종전보다는 저렴해졌지만 그래도 납축전지에 비해 고가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임을 고려할 때 리튬전지 배터리의 수명 유지 내지 연장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BESS의 이종 배터리는 저가격화와 장수명화를 고려하여 충방전 횟수가 빈번한 단주기용 ESS에는 즉시 기동이 가능한 소용량의 리튬이온 전지와 충방전 횟수가 빈번하지 않은 장주기 ESS에는 가격이 저렴한 대용량 납축전지로 구성하는 하이브리드형 전력 저장장치로 구성하되, 단주기용 ESS에 사용되는 리튬전지 배터리를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다른 보조적인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하고, 일정하면서 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리튬전지 배터리가 이를 충전하도록 하여 리튬전지의 수명을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은,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이종의 배터리를 조합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전력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ESS 전력변환시스템은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SPEP)와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LPEP)로 구성되며,
상기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SPEP)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안정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하고, 상기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LPEP)은 부하평준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납축전지를 사용한다.
상기 단주기 ESS(SPEP)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를 전력 저장 장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00), 상기 DC/DC 컨버터(10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BP)로부터 부하(LOAD)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PCS(Power Condiotioning System)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양극단자와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양극단자 사이에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양극단자 방향으로 도통되도록 다이오드2(D2)와 스위칭소자3(T3)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단주기 ESS(SPEP)는 보조 저장 장치로 슈퍼 캐패시터부(SCP)를 추가 구성하되,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의 양극단자로부터 음극단자로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가 순서대로 슈퍼 캐패시터부(SCP)와 병렬 연결되되, 상기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는 모두 환류 다이오드를 갖춘 FET 소자를 사용하며,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 사이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1(D1), 스위칭 소자 1(T1), 인덕터(L)가 직렬로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 1(T1) 및 인덕터(L) 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BP)로 전류가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 2(T2)가 배치되며, 상기 인덕터(L)와 스위칭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5(T5) 사이의 접점과 인덕터(L)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접지전위 사이에 콘덴서(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슈퍼 캐피시터부(SCP)의 전압, 리튬이온 배터리부(BP)의 전압 및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DC/DC 컨버터(100)로부터 출력 전류가 검출될 경우 슈퍼 캐패시터부(SCP)를 보조적으로 우선 충전하고 난 뒤에 리튬이온 배터리부(BP)를 충전하고,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출력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슈퍼 캐패시터부(SCP)의 전압이 리튬이온 배터리부(BP)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 슈퍼 캐패시터부(SCP)로부터 리튬이온 배터리부(BP)로 충전하도록 스위칭 소자 1 내지 3(T1 내지 T3)에 대해서는 온/오프 게이팅 신호를 송출하고, 스위칭 소자 4 및 5(T4 및 T5)에 대해서는 PWM 게이팅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전압에 대응하고 유지하기 위해 제너다이오드(미도시)를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와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주기용 ESS에 사용되는 리튬전지 배터리를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다른 보조적인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하면서 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리튬전지 배터리가 이를 충전하도록 하여 리튬전지의 수명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배터리의 교체 시기를 늦추게 하여 BESS의 유지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슈퍼 캐패시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잉여전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보조적 전력저장장치로 슈퍼 캐패시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시 충방전 횟수에 따라 배터리의 내구연한이 결정되는 여타 배터리를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미 기설치된 배터리에 대해 이를 교체할 경우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주기 ESS에 슈퍼 캐패시터가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컨셉도면이다.
도 2는 기존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로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와 스키메틱으로 결합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로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와 스키메틱으로 결합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1단주기 ESS에 슈퍼 캐패시터가 적용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컨셉도면이고, 도 2는 기존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로 표현한 도면이며, 도 3은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단주기 ESS를 개략적인 스테이지와 스키메틱으로 결합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이종의 배터리를 조합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전력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ESS 전력변환시스템은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SPEP)와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LPEP)로 구성된다.
상기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SPEP)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안정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하고, 상기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LPEP)은 부하평준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납축전지를 사용한다.
상기 단주기 ESS(SPEP)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를 전력 저장 장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00), 상기 DC/DC 컨버터(10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BP)로부터 부하(LOAD)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PCS(Power Condiotioning System)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양극단자와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양극단자 사이에 리튬전지 배터리부(BP) 양극단자 방향으로 도통되도록 다이오드 2(D2)와 스위칭소자 3(T3)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단주기 ESS(SPEP)는 보조 저장 장치로 슈퍼 캐패시터부(SCP)를 추가 구성하되,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의 양극단자로부터 음극단자로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가 순서대로 슈퍼 캐패시터부(SCP)와 병렬 연결되되, 상기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는 모두 환류 다이오드를 갖춘 FET 소자를 사용하며,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 5(T5) 사이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1(D1), 스위칭 소자 1(T1), 인덕터(L)가 직렬로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 1(T1) 및 인덕터(L) 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BP)로 전류가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 2(T2)가 배치되며, 상기 인덕터(L)와 스위칭소자4(T4) 및 스위칭 소자5(T5) 사이의 접점과 인덕터(L)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접지전위 사이에 콘덴서(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덕터(L)과 콘덴서(C)는 전력전달소자로서 기능하는데, 특히 인덕터가 전력전달함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 따라 코일은 릿츠와이어를 사용하고, 코어는 페라이트코어를 사용함이 적당하다.
상기 스위칭 소자 1 내지 3은 환류 다이오드 혹은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내재되지 않은 소자이어야 한다.
상기 슈퍼커패시터부는 평균전압, 정격전압을 고려하여 요구하는 전압레벨에 적합하도록 슈퍼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한다음 이를 충전용량을 고려하여 병렬로 상호 접속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슈퍼 캐피시터부(SCP)의 전압, 리튬이온 배터리부(BP)의 전압 및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DC/DC 컨버터(100)로부터 출력 전류가 검출될 경우 슈퍼 캐패시터부(SCP)를 보조적으로 우선 충전하고 난 뒤에 리튬이온 배터리부(BP)를 충전하고, 상기 DC/DC 컨버터(100)의 출력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슈퍼 캐패시터부(SCP)의 전압이 리튬이온 배터리부(BP)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 슈퍼 캐패시터부(SCP)로부터 리튬이온 배터리부(BP)로 충전하도록 스위칭 소자 1 내지 3(T1 내지 T3)에 대해서는 온/오프 게이팅 신호를 송출하고, 스위칭 소자 4 및 5(T4 및 T5)에 대해서는 PWM 게이팅 신호를 송출한다.
PWM 게이팅 신호는 비례적분제어(PI)를 활용한 폐루프 제어에 의한 것으로 듀티비가 제어에 의해 가변되는 신호이다.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전압에 대응하고 유지하기 위해 제너다이오드(미도시)를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SCP)와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다수의 슈퍼캐패시터부의 과충전 현상을 방지하여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제너다이오드를 활용한다.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이 DC/DC 컨버터로부터 전력 저장 장치로 충전될 경우 대부분은 처음부터 안정한 전압이나 전류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DC/DC 컨버터의 제어 방식에 따라 일정한 전압 전류로 들오오기까지는 짧으나마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다.
이때 슈퍼캐패시터부는 보조적 전력충전장치로서 기능하여 충전단계 초입에 들어오는 전류에 의해 충전하므로써, 리튬이온 전지가 충전되는 횟수를 줄여, 항시 일정한 충전 전압 내지 충전 전류에 도달할 경우에만 충전토록 하고, 또한 슈퍼캐패시터부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충전이 되지 않는 시간에 방전하여 리튬이온전지에 충전토록 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손실되는 전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횟수를 줄여 리튬이온전지의 수명을 유지 내지 연장하는 효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단주기 ESS의 제어 모드는 일반적인 리튬 전지 충전 모드, 슈퍼캐패시터부 충전 모드, 슈퍼캐패시터 방전 모드, 부하 전력 전달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한다.
먼저 리튬 전지 충전 모드는 스위칭 소자 3이 온 되면서 시작한다.
슈퍼캐패시터부 충전 모드는 스위칭 소자 1이 온 되고, 스위칭 소자 5의 게이트에 PWM 게이팅 신호가 입력되면서 작동한다.
슈퍼캐패시터부 방전 모드는 스위칭 소자 2가 온되고, 스위칭 소자 4의 게이트에 PWM 게이팅 신호가 입력되면서 작동한다.
부하 전력 전달 모드는 리튬 전지 배터리부로부터 PCS를 거쳐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는 모드이다.
이때 PCS는 인버터 혹은 컨버터가 될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는 DC로 전달될 것이며, 일반적인 한전계통(Grid)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는 AC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단주기용 ESS에 사용되는 리튬전지 배터리를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다른 보조적인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하면서 안정한 전력에 대해서는 리튬전지 배터리가 이를 충전하도록 하여 리튬전지의 수명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배터리의 교체 시기를 늦추게 하여 BESS의 유지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슈퍼 캐패시터부에 저장된 에너지는 잉여전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보조적 전력저장장치로 슈퍼 캐패시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시 충방전 횟수에 따라 배터리의 내구연한이 결정되는 여타 배터리를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미 기설치된 배터리에 대해 이를 교체할 경우 효과가 있다.
SBS : 스마트 BESS LPEP : 장주기 ESS
SPEP : 단주기 ESS
WG : 풍력 발전기 SG : 태양광 발전기
WGR : 풍력 발전기용 정류기
100 : DC/DC 컨버터 BP : 리튬전지 배터리부
LOAD : 부하
D1, D2 : 다이오드 1, 다이오드 2 SCP : 슈퍼 캐패시터부
T1 - T5 : 스위칭 소자 1 - 스위칭 소자 5
L : 인덕터 C : 콘덴서
300 : 제어부
SPEP : 단주기 ESS
WG : 풍력 발전기 SG : 태양광 발전기
WGR : 풍력 발전기용 정류기
100 : DC/DC 컨버터 BP : 리튬전지 배터리부
LOAD : 부하
D1, D2 : 다이오드 1, 다이오드 2 SCP : 슈퍼 캐패시터부
T1 - T5 : 스위칭 소자 1 - 스위칭 소자 5
L : 인덕터 C : 콘덴서
300 : 제어부
Claims (3)
-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이종의 배터리를 조합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전력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ESS 전력변환시스템은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와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로 구성되며,
상기 단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안정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하고, 상기 장주기 ESS(Energy Storage System)은 부하평준화를 위해 전력 저장 장치로 납축전지를 사용하며,
상기 단주기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에너지를 전력 저장 장치에 대응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리튬전지 배터리부;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로부터 부하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PCS(Power Condiotioning System); 제어부; 및 슈퍼캐패시터가 직병렬로 연결된 슈퍼캐패시터부;로 구성되되,
상기 DC/DC 컨버터의 양극단자와 리튬전지 배터리부 양극단자 사이에 리튬전지 배터리부 양극단자 방향으로 도통되도록 다이오드 2와 스위칭소자 3이 직렬로 연결되며, 슈퍼캐패시터부의 양극단자로부터 음극단자 방향으로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 4 및 스위칭 소자 5가 순서대로 슈퍼캐패시터부와 병렬 연결되되, 상기 스위칭 소자 4 및 스위칭 소자 5는 모두 환류 다이오드를 갖춘 FET 소자를 사용하며, 상기 DC/DC 컨버터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스위칭 소자 4 및 스위칭 소자 5 사이의 접점 사이에 다이오드 1, 스위칭 소자 1, 인덕터가 직렬로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 1 및 인덕터 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리튬전지 배터리부로 전류가 도통되도록 스위칭 소자 2가 배치되며, 상기 인덕터와 스위칭소자 4 및 스위칭 소자 5 사이의 접점과 인덕터사이의 접점으로부터 접지전위 사이에 콘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캐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슈퍼 캐피시터부의 전압, 리튬이온 배터리부의 전압 및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 전류가 검출될 경우 슈퍼캐패시터를 보조적으로 우선 충전한 후에 리튬이온 배터리부를 충전하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슈퍼캐패시터부의 전압이 리튬이온 배터리부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 슈퍼캐패시터부로부터 리튬이온 배터리부로 충전하도록 스위칭 소자 1 내지 3에 대해서는 온/오프 게이팅 신호를 송출하고, 스위칭 소자 4 및 5에 대해서는 PWM 게이팅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캐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슈퍼캐패시터부에 사용자가 설정 및 설계한 전압에 대응하며 유지하기 위해, 제너다이오드를 슈퍼캐패시터부와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캐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502A KR101840748B1 (ko) | 2017-02-10 | 2017-02-10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502A KR101840748B1 (ko) | 2017-02-10 | 2017-02-10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0748B1 true KR101840748B1 (ko) | 2018-03-21 |
Family
ID=6190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8502A KR101840748B1 (ko) | 2017-02-10 | 2017-02-10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074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934B1 (ko) | 2018-05-30 | 2019-11-08 | 이명호 | 신 재생에너지 파워 뱅크. |
KR20210085095A (ko) | 2019-12-30 | 2021-07-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밀 센서용 백업전원 공급 장치 |
KR20240077446A (ko) | 2022-11-24 | 2024-05-3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타입의 ess 충전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
2017
- 2017-02-10 KR KR1020170018502A patent/KR10184074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934B1 (ko) | 2018-05-30 | 2019-11-08 | 이명호 | 신 재생에너지 파워 뱅크. |
KR20210085095A (ko) | 2019-12-30 | 2021-07-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밀 센서용 백업전원 공급 장치 |
KR20240077446A (ko) | 2022-11-24 | 2024-05-3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타입의 ess 충전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65639B2 (ja) | 共同住宅の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並びに統合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
US8994217B2 (en) | Energy storage system | |
EP3206276B1 (en) |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KR102400502B1 (ko)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
KR101097260B1 (ko) |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 |
WO2011162025A1 (ja) | 直流配電システム | |
KR101550875B1 (ko) | 능동형 ess | |
US11205902B2 (en) | Energy storage system | |
CN105071393A (zh) | 一种交直流混合微电网直流母线电压控制方法 | |
CN114899913A (zh) | 一种混合储能逆变器离网模式下电池充放电电流控制方法 | |
WO2023077805A1 (zh) | 储能逆变器电池充放电控制方法与充放电控制电路 | |
CN102918745A (zh) | 太阳能电池系统 | |
JP2013042627A (ja) | 直流電源制御装置および直流電源制御方法 | |
CN103236747A (zh) | 一种光伏电源混合储能系统 | |
KR101840748B1 (ko)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 |
CN110829464A (zh) | 一种基于直流侧的光伏储能电池调频系统和方法 | |
KR20180090673A (ko) |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
CN114123449A (zh) | 一种独立光伏发电储能系统及能量管理方法 | |
JP2012257365A (ja) | 蓄電池の充放電方法 | |
KR101893914B1 (ko)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5244B1 (ko) | 보조충전부로써 슈퍼커패시터와 공진회로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bess 전력변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CN101277028A (zh) | 采用双蓄电池蓄电的太阳能电池供电系统 | |
JP2001177995A (ja) |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 |
KR102273044B1 (ko) | 직류 공통 방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 |
KR20160147430A (ko) | 마이크로 그리드에 특화된 하이브리드 bess용 전력변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