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88B1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9088B1 KR101849088B1 KR1020170090776A KR20170090776A KR101849088B1 KR 101849088 B1 KR101849088 B1 KR 101849088B1 KR 1020170090776 A KR1020170090776 A KR 1020170090776A KR 20170090776 A KR20170090776 A KR 20170090776A KR 101849088 B1 KR101849088 B1 KR 101849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erilizing
- module
- water purifier
- steril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KLNMMHNWFDKNT-UHFFFAOYSA-M sodium chlorite Chemical compound [Na+].[O-]Cl=O UKLNMMHNWFDKN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18 sodium chlor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살균수 공급을 위한 살균모듈을 갖추고 있으며 정수기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살균장치를, 정수기의 외부에서 정수기에 연결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정수기 내부 유로와 상기 살균장치를 연결하는 살균장치 설치단계;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고 순환시켜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 순환단계; 및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 이후에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살균수 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장치 설치단계는, 정수기로부터의 물을 상기 살균모듈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와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여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과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가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정수기 내부 유로로 공급된 후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상기 살균모듈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유입라인을 각각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 및 정수기의 저장탱크에 설치된 코크에 연결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살균할 수 있도록 된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정수기는 수돗물 내의 미세한 입자나 녹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 잔류염소나 냄새유발 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선카본필터, 중금속을 포함한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과 미생물 들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여과 필터 또는 이온성 물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한외여과 필터, 그리고 냄새 제거 및 물맛 향상을 위한 후카본필터의 조합으로 된 필터부를 내장한다. 이러한 4단계의 필터를 거친 물은 정수탱크에 저장되고,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를 거쳐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저장탱크는 완벽한 밀봉이 어려우므로 대기와의 접촉을 통해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증식하여 정수수의 2차 오염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유입되는 수돗물의 성상에 따라 필터 자체 내에 미생물의 증식을 유발할 수도 있어 증식된 미생물이 정수수를 통해 유출될 수도 있으며, 특히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균 및 미생물에 의한 정수수의 오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카본필터에 사용되는 활성탄에 항균특성이 알려진 은(Ag)을 코팅하는 방법, 은 성분이 포함된 세라믹 항균볼을 저장탱크에 담지하는 방법, 자외선 램프 살균장치를 후카본필터 후단에 설치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에는 외부유입 또는 자체적으로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될 경우 유로 내부에 오염물질이 축적될 수 있고, 이러한 오염물질은 세균이 많이 번식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깨끗이 정수된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는 상기 유로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방안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 및 정수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정수기 살균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주기적으로 살균해줌으로써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정수기의 살균효과를 배가시켜 정수기의 위생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살균수 공급을 위한 살균모듈을 갖추고 있으며 정수기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살균장치를, 정수기의 외부에서 정수기에 연결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정수기 내부 유로와 상기 살균장치를 연결하는 살균장치 설치단계;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고 순환시켜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 순환단계; 및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 이후에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살균수 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장치 설치단계는, 정수기로부터의 물을 상기 살균모듈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와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여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과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가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정수기 내부 유로로 공급된 후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상기 살균모듈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유입라인을 각각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 및 정수기의 저장탱크에 설치된 코크에 연결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는 살균수를 정수기의 코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살균모듈은 정수기의 저장탱크와 다수개의 상기 유입라인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정수기의 저장탱크에는 복수의 코크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복수의 코크와 다수개의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저장탱크의 드레인부에 상기 유입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는 정수기 내부 유로로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력을 부여하는 순환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살균수를 상기 순환펌프를 통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은 내부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함유하는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정수기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에 투입된 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이 오프된 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모듈은 내부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함유하는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과 상기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살균수의 생성 및 순환을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오프하고 상기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살균수의 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에서 정수기로부터 상기 살균모듈에 공급된 물을, 다시 정수기로 공급하지 않고 상기 살균모듈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살균모듈에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는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살균수가 상기 유입라인을 거쳐 상기 살균모듈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살균수를 순환시켜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철저히 살균함으로써 정수기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며, 기존의 정수기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되 살균장치를 정수기에 설치하여 전극을 이용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별도의 장치나 부품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살균물질을 투입하지 않아도 전극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살균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의 살균을 위한 유지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의 유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가 정수기에 적용된, 즉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의 유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가 정수기에 적용된, 즉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살균장치(100)는 크게 유입라인(110) 및 배수라인(120)과, 순환펌프(130)와, 살균모듈(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되어,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가 설치된 정수기의 내부 유로에 순환시켜 내부 유로를 살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100)를 이용하여 저장탱크 등을 포함한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주기적으로 살균해줌으로써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정수기의 저장탱크(200)에는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유입되고, 상기 살균모듈(140)에는 상기 저장탱크(200)와 연결되어 저장탱크(200)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거나 저장탱크(200)에 살균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입라인(110) 및 배수라인(12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130)는 살균수를 순환시켜 살균수가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순환하도록 살균장치(100)를 흐르는 물에 가압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살균장치(100)의 주요 구성요소인 상기 살균모듈(140)은 상기 저장탱크(200)와 다수개의 유입라인(11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배수라인(120)과 연결된 상기 순환펌프(130)가 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모듈(140)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전극(141)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100)는 살균처리가 필요한 정수기의 내부유로에 연결, 설치된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200)는 냉수부(210)와 온수부(2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냉수부(210)에는 냉수부 코크(211)와 냉수 드레인부(212)가 구비되고, 온수부(220)에는 온수부 코크(212)와 온수 드레인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의 저장탱크(200)에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유입라인(110)은 냉수부 코크(211) 또는 온수부 코크(2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부(210)의 드레인부(212) 또는 상기 온수부(220)의 드레인부(2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라인(120)은 일측이 살균장치(100)에 타측이 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140)과 제어부(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살균모듈(140)의 운전모드를 타이머 방식으로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살균모듈(140)의 전극(141)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함유하는 살균수를 만들며, 일정 농도의 살균수를 일정 유량으로 정수기 내부에 주입함으로써 저장탱크(200) 등을 포함한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장치(100)는 일반 원수를 사용하여 살균수를 만들 경우 살균물질(산화성 혼합물질, Mixed Oxidants)이 생성되기 때문에 별도로 염을 주입하지 않고도 살균물질을 만들 수 있고, 상기 살균물질이 포함된 살균수를 상기 순환펌프(130)를 이용하여 일정 유량으로 상기 저장탱크(200)에 주입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정수기의 냉수부 코크(211) 또는 온수부 코크(22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저장탱크(200)를 비우지 않고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200)의 정수수 자체에 살균수가 유입되면서 자체 살균수가 될 수 있고, 상기 저장탱크(200)의 살균이 자체 살균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수기 살균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살균수를 냉수부(210)의 코크(211) 또는 온수부(220)의 코크(221)로 배출시킴으로써 코크(211,221) 내부도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라인(120)은 그 일측은 상기 저장탱크(200)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라인(120b)으로 구성되고, 그 타측은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120a)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140)의 하우징에는 살균모듈(1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 LED(143)와, 살균수의 순환상태를 표시하는 순환표시 LED(144), 및 플러싱(물 배출) 상태를 표시하는 플러싱표시 LED(14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140)의 하우징 상부에는 살균모듈(140)에 염을 투입하기 위한 염 투입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저장탱크(200)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물질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원수가 필요없다.
살균시간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살균 뿐만 아니라 세정을 하고자 한다면 냄새없고 안전한 아염소산나트륨을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로 살균 및 살균과 세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140) 자체의 운전모드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면서 그 필요시간을 기준으로 타이머 방식을 적용하여 단순하고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모듈(140)이 작동되는 동안에는 살균모듈(140)의 작동을 표시하는 작동표시 LED(143)와 순환펌프(130)의 작동을 표시하는 순환표시 LED(144)가 온되며, 일정 시간 정도만 상기 살균모듈(140)이 작동되고 이 후에는 살균모듈(140)이 오프된다. 이 때 상기 작동표시 LED(143)가 소등된다. 이는 필요한 농도까지 살균물질을 생성시키기 위함이며 순환되는 내내 상기 살균모듈(140)이 작동되어 살균수를 만들 필요는 없다.
즉, 살균모듈(140)을 통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정수기의 내부 유로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살균모듈(140)과 순환펌프(130)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펌프(130)에 의해 가압되어 배수라인(120)의 순환라인(120b)을 거쳐 저장탱크(200)로 유입되며, 저장탱크(200)에 수용된 물은 냉수부 코크(211), 온수부 코크(221), 냉수 드레인부(212), 온수 드레인부(222) 등으로 배출되어 유입라인(110)을 통해 살균모듈(140)로 재유입되며 살균수의 생성 및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살균모듈(140)의 작동으로 인하여 순환되는 살균수의 농도는 점차 높아지며, 살균모듈(140)이 작동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살균모듈(140)의 작동이 중단(OFF)된다.
상기 살균모듈(140)이 오프되더라도 이미 만들어진 살균수를 일정 시간 동안 순환시키면서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 또는 세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살균수 순환 작업이 끝나면 상기 순환표시 LED(144)는 오프된다. 즉, 살균수 순환작업은 살균모듈(140)이 오프된 상태에서 순환펌프(130)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순환펌프(130)도 오프된다.
그리고, 저장탱크(200)에 수용된 살균수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120a)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며, 이때 플러싱(살균수 배출)을 표시하는 플러싱 표시 LED(145)가 온(ON)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살균장치(100)는 기존의 정수기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되 정수기에 살균장치(100)만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그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별도의 살균물질을 투입하지 않아도 살균모듈(140)의 전극을 통해 자체적으로 살균물질이 발생되어 저장탱크(200) 등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살균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주기적으로 살균함에 따라 내부 유로 벽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될 틈이 없어 저장탱크 등을 별도로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수기 관리시 원가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살균장치 110 : 유입라인
120 : 배수라인 120a : 배출라인
120b : 순환라인 130 : 순환펌프
140 : 살균모듈 141 : 전극
142 : 염 투입구 143 : 작동표시 LED
144 : 순환표시 LED 145 : 플러싱표시 LED
150 : 제어부 200 : 저장탱크
210 : 냉수부 211 : 코크
220 : 온수부 221 : 코크
120 : 배수라인 120a : 배출라인
120b : 순환라인 130 : 순환펌프
140 : 살균모듈 141 : 전극
142 : 염 투입구 143 : 작동표시 LED
144 : 순환표시 LED 145 : 플러싱표시 LED
150 : 제어부 200 : 저장탱크
210 : 냉수부 211 : 코크
220 : 온수부 221 : 코크
Claims (16)
- 살균수 공급을 위한 살균모듈을 갖추고 있으며 정수기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살균장치를, 정수기의 외부에서 정수기에 연결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정수기 내부 유로와 상기 살균장치를 연결하는 살균장치 설치단계;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고 순환시켜 정수기 내부 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 순환단계; 및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 이후에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살균수 배출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장치 설치단계는,
정수기로부터의 물을 상기 살균모듈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와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여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모듈과 정수기 내부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로부터의 살균수가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정수기 내부 유로로 공급된 후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상기 살균모듈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유입라인을 각각 상기 살균모듈의 유입구 및 정수기의 저장탱크에 설치된 코크에 연결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는 살균수를 정수기의 코크를 통해 배출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정수기의 저장탱크와 다수개의 상기 유입라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정수기의 저장탱크에는 복수의 코크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복수의 코크와 다수개의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을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저장탱크의 드레인부에 상기 유입라인을 연결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정수기 내부 유로로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압력을 부여하는 순환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살균수를 상기 순환펌프를 통하여 정수기 내부 유로에 공급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내부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함유하는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정수기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에 투입된 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이 오프된 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내부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하여 살균물질을 함유하는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살균수 순환단계는, 상기 살균모듈과 상기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살균수의 생성 및 순환을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오프하고 상기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살균수의 순환을 수행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에서 정수기로부터 상기 살균모듈에 공급된 물을, 다시 정수기로 공급하지 않고 상기 살균모듈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살균모듈에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배출단계는 정수기 내부 유로에 수용된 살균수가 상기 유입라인을 거쳐 상기 살균모듈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0776A KR101849088B1 (ko) | 2017-07-18 | 2017-07-18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0776A KR101849088B1 (ko) | 2017-07-18 | 2017-07-18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5148A Division KR101765669B1 (ko) | 2011-06-30 | 2011-06-30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436A KR20170087436A (ko) | 2017-07-28 |
KR101849088B1 true KR101849088B1 (ko) | 2018-04-16 |
Family
ID=5942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0776A KR101849088B1 (ko) | 2017-07-18 | 2017-07-18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90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5815A (ko) | 2022-08-19 | 2024-02-27 | 코웨이 주식회사 | 정수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91B1 (ko) * | 2004-07-07 | 2006-11-1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해 살균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858971B1 (ko) * | 2007-10-24 | 2008-09-17 | 유인수 |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
-
2017
- 2017-07-18 KR KR1020170090776A patent/KR101849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591B1 (ko) * | 2004-07-07 | 2006-11-1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전해 살균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858971B1 (ko) * | 2007-10-24 | 2008-09-17 | 유인수 |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436A (ko) | 2017-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8124B1 (ko)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 |
US10723642B2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0531667B1 (ko) |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 |
KR20230160221A (ko) | 수처리장치 | |
US10071402B2 (en) |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 |
KR20090030783A (ko) | 저수조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조살균장치 | |
KR101765669B1 (ko)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
KR100843154B1 (ko) |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 |
KR101738066B1 (ko) |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 |
KR101849088B1 (ko) |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 |
KR20130104089A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
KR101174451B1 (ko) | 복합 정수처리 시스템 | |
KR20140020342A (ko) | 수처리장치 | |
KR20090061096A (ko) | 오존 살균 장치가 탈,부착 되는 정수기 | |
KR200353265Y1 (ko) |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 |
KR20170074641A (ko) | 수처리장치 | |
KR101719349B1 (ko) | 구연산을 이용한 살균 및 세정 키트 | |
KR101459001B1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
KR200307789Y1 (ko) |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 |
KR20170088792A (ko) |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 |
KR101198652B1 (ko) |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 |
KR101447963B1 (ko) | 수처리방법 | |
KR20130016551A (ko) |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 |
KR101476323B1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
KR101886237B1 (ko) |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