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56B1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5356B1 KR101845356B1 KR1020150143424A KR20150143424A KR101845356B1 KR 101845356 B1 KR101845356 B1 KR 101845356B1 KR 1020150143424 A KR1020150143424 A KR 1020150143424A KR 20150143424 A KR20150143424 A KR 20150143424A KR 101845356 B1 KR101845356 B1 KR 1018453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nnection clip
- ceiling plate
- clip
- support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대한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천정판을 설치하기 위한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달대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지지바는 양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클립을 매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구조적인 안정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달대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지지바는 양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클립을 매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구조적인 안정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에 대한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천정판을 설치하기 위한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는 전기 배선이나 배관 등이 지나감에 따라 이를 가려주기 위해 천정판을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그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천정판은 통상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28159호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천정면에 설치된 볼트봉 및 이 볼트봉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한 달대 시스템에 의해서 설치된다. 이 처럼 천정에 달대를 구비하게 되면 그 달대가 결정하고 있는 위치에 찬넬을 설치한 뒤 천정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달대가 이미 찬넬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게 됨으로 천정에 지나가는 배관 등과 달대가 서로 겹치는 경우에는 달대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함에 따라 시공 지연 등 상당한 불편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무달대 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0836474호가 그 대표적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인장부재를 양 측 벽에 설치하면서 천 부재를 걸어서 설치하는 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외풍이 있는 실외는 물론이고 습기가 높은 화장실 같은 곳에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점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벽면 중 양측 벽체에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천정판이 부착될 부작면을 제공하되, 내부는 양 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일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하되, 타단부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평지지부재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연결클립;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클립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클립이 상기 지지바로 결합될 때 같이 삽입되어 분리되지 않되,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향절곡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절곡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상하측으로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의 제1삽입홈으로 천정판의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바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제2삽입홈으로 마감몰딩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라직하게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의 타단부 끝단에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안착홈으로 결합되는 상기 결속부재가 타단부 쪽으로는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부재의 안착부의 끝단에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연결클립의 안착홈으로 결합된 후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 끝단부에 걸려 상기 결속부재가 타단부 쪽으로는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부 전후측면 혹은 상면에는 삽입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밀착할 수 있는 외향 돌출된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내 벽면 중 양측 벽체에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천정판이 부착될 부작면을 제공하되, 내부는 양 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일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하되, 타단부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평지지부재 중 하측에 구비된 수평지지부재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 수평지지부재에 체결될 때 상면은 상측 수평지지부재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클립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클립이 상기 지지바로 결합될 때 같이 삽입되어 분리되지 않되,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향절곡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절곡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상하측으로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의 제1삽입홈으로 천정판의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바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제2삽입홈으로 마감몰딩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부 전후측면 혹은 상면에는 삽입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밀착할 수 있는 외향 돌출된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달대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적인 개선과 간단한 구조를 가져 설치가 용이함과 더불어 지지바는 양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클립을 매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과 같은 구조물을 피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벽면도 수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구조적인 안정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지지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다"는 연결클립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통해 욕실의 천정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7의 "가"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지지부재와 연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 는 결속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다" 는 고정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0의 "가" 내지 "다"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13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다" 는 연결클립과 결속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14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연결클립을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지지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다"는 연결클립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통해 욕실의 천정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7의 "가"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지지부재와 연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 는 결속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다" 는 고정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0의 "가" 내지 "다"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13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다" 는 연결클립과 결속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14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연결클립을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지지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다"는 연결클립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무달대 지지구조(10)는 크게 지지부재(100), 지지바(200) 및 연결클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부재(100)는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실내의 벽면 중 양측 벽체 상단부에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 3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재(120)는 하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위해 상하측 두 군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부재(120)의 상면에는 레일홈(1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연결클립(300)과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결합된 역방향으로는 무단분리가 쉽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바(200)는 상기 지지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구 구비되며, 천정판이 부착될 부착면을 제공하되, 도 3의 "나"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양 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지지바(200)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소재 절감 차원에서 형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클립(300)은 상기 지지바(200)를 상기 지지부재(10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바(200)의 개방된 양측에 일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3의 "다"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단부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연결되기 위한 삽입홈(310)이 형성되고, 타단부 전후측에는 밀착부(320)가 형성된다. 하기에서 살펴볼 것이나 이 삽입홈(310)은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밀착부(320)는 상기 연결클립(300)의 삽입홈(310)을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할 때 손가락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밀착부(320)는 일측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달대 지지구조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클립(300)의 일단부를 먼저 지지바(200)의 측면에서 결합하게 된다. 물론 미도시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클립(300)은 지지바(20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된다.
그런 다음, "나" 와 같이 연결클립(3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10)이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바(20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지지구조(10)는 천정에 설치되고 그 천정에는 다수의 배관 등이 구비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클립(300)의 삽입홈(310)을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인데, 이때 작업자는 연결클립(300)에서 외향되게 형성된 밀착부(320)를 손가락을 이용해 지지부재(100) 측으로 밀착하면 연결클립(300)이 이동되면서 쉽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부(320)는 단순히 연결클립(300)을 결합할 때 밀수 있도록 하는 역할에서 더 나아가, 연결클립(300)이 완전히 결합되었는지 그 결합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밀착부(320)를 형성함에 있어 삽입홈(310)이 수평지지부재(12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수평지지부재(120)의 끝단과 밀착부(320)가 "나" 의 일부 확대도 및 "다"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곳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굳이 육안으로 결합여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밀착부(320)의 위치만으로 결합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밀착부(320)를 밀었을 때 수평지지부재(120)의 끝단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단단히 결합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설치 공정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조로 인지해야 될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원의 시공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통해 욕실의 천정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도 5의 "가" 를 참조로 하면, 벽면(D) 내측에 부착된 타일(T) 상단부 양 측에 지지부재(100)를 대칭되게 부착한다. 부착방법은 다양하게 시도될 수 있으나 미부호 설명인 타가 혹은 고정못을 벽면에 박는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바(200)의 양 단부에 연결클립(300)을 삽입시켜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나"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바(20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그 양 단부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연결클립(300)을 먼저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로 끼움 결합하게 되며, 다음으로 반대쪽 연결클립(300)을 수평지지부재(120)로 끼움 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클립(300)을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할 때 밀착부(320)를 밀착하게 되면 지지바(200)로부터 이동되면서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앞서 살펴보았듯이 특히 밀착부(320)의 위치에 따라 연결클립(300)의 결합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시공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클립(300)과 수평지지부재(120)의 결합시 레일돌기(312)와 레일홈(122)이 형성된 채 결합되는 경우 역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됨으로 안정감 있는 시공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지지바(20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며, 설치 위치 또한 천정에 구비되는 각종 설비를 피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어 종래의 달대가 구비된 시스템과는 너무나 큰 차이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지지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6의 "가" 와 같이 지지바(200)의 하면에 천정판(P)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정판(P)은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된 타입을 사용하게 되며, 이 천정판(P)의 경우에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천정판(P)을 상기 지지바(200)의 하면에서 일측 벽면에 밀착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해 상기 천정판(P)을 지지바(200)에 고정하고, 다른 천정판(700)을 조립하면서 시공하게 되며, "나"와 같이 천정판(P)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S)을 도포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새로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시공이 신속하면서도 지지바(2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각종 배관과 같은 설비에 간섭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시공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지지부재와 연결클립은 다른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의 "가"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지지부재와 연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10")는 지지부재(100), 지지바(200) 및 연결클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구성에 대해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지지부재(100)와 연결클립(300)의 결합관계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직부재(110)에 형성되는 수평지지부재(120)를 상하 한 쌍으로 배치하고, 일단이 상기 지지바(200)로 삽입되는 연결클립(300)의 타단부를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120) 사이로 직접 삽입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반드시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야 되고, 연결클립(300)을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120) 사이로 삽입시키는 것이며, 이 삽입과정에서도 상기 연결클립(300)에서 돌출 형성된 밀착부(320)를 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쉽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결합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부재(120)를 한 쌍으로 구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언급한 연결클립(300)의 삽입홈(310)을 생략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00)와 연결클립(300)의 결합 구성외의 다른 구성 및 사용방법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지지구조(10)는 천정판(P)을 부착한 뒤 그 가장자리에 실리콘(S)을 도포하여 마감하는 타입으로 제안되어 있으나,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마감몰딩을 구비하여 마감하는 타입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앞서, 또 다른 일실시예라 할지라도 본원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9의 "가"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 는 결속부재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다" 는 고정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의 "가" 내지 "다"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조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8 및 9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10')는 크게 지지부재(100), 지지바(200), 연결클립(300'), 결속부재(400) 및 고정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0) 및 지지바(20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연결클립(300'), 결속부재(400) 및 고정대(50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연결클립(300')은 상기 지지바(200)를 상기 지지부재(100)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바(200)의 개방된 양측에 일측 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9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측 단부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연결되기 위한 삽입홈(31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 전후측면에는 밀착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일측에 연결클립(300')을 뒤집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에는 안착홈(33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330)은 상면에도 같이 형성되어 상하면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하기에서 살펴볼 것이나 이 삽입홈(310)은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밀착부(320)는 상기 연결클립(300')의 삽입홈(310)을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할 때 손가락으로 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밀착부(320)는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며,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음을 인지해야 된다.
상기 결속부재(400)는 상기 지지바(200)의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클립(30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클립(300')이 상기 지지바(200)로 결합될 때 같이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되, 도 9의 "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클립(300')의 안착홈(330)에 안착되는 안착부(410)와, 상기 안착부(410)의 끝단에서 하향절곡 형성된 연장부(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부(410)에는 수직 돌출된 돌출부(412)가 형성되는데, 이는 안착부(410)가 쉽게 휘지 않도록 하는 힘살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안착홈(330)에 결합될 때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편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안착홈(33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대(500)는 상기 결속부재(400) 하측에서 격자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9의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상측에는 제1삽입홈(510)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마감몰딩을 결합하기 위한 제2삽입홀(52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10')는 도 10과 같은 결합관계를 가진다.
도 10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클립(300')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330)으로 결속부재(400)의 안착부(41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 결합과정에서 상기 안착부(410)에는 돌출부(412)가 형성되어 있어 안착홈(330)으로 삽입된 후 탄성편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안착홈(330)으로부터 무단 분리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렇게 결속부재(400)가 구비된 연결클립(300')의 일단부를 먼저 지지바(200)의 측면에서 결합하게 된다. 물론 미도시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클립(300')은 지지바(20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400)의 연장부(420)는 상기 연결클립(300')이 지지바(200)로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다음, "나" 와 같이 연결클립(3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10)이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수평지지부재(120)에 삽입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바(20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지지구조는 천정에 설치되고 그 천정에는 다수의 배관 등이 구비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클립(300')의 삽입홈(310)을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인데, 이때 작업자는 연결클립(300')의 타단부에서 외향되게 형성된 밀착부(320)를 손가락을 이용해 지지부재(100) 측으로 밀착함으로써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부(320)는 단순히 연결클립(300')을 결합할 때 밀수 있도록 하는 역할에서 더 나아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같이 연결클립(300')이 완전히 결합되었는지 그 결합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결속부재(400)가 연결클립(300')의 안착홈(330)으로 안착된 상태이므로 일부 확대 단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이 거의 일치하며, 측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0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빈틈 발생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클립(300')을 이용해 지지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 와 같이 결속부재(400) 하측에 고정대(500)를 위치시켜 연장부(420)를 절곡함으로써 고정대(50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10')는 하기와 같이 시공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먼저 도 11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D) 내측에 설치된 타일(T)의 상부에 우선 지지부재(100)를 대칭되게 설치하고, 지지바(200)의 양 단부에 연결클립(300')을 결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클립(300')을 결합하기 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속부재(400)를 하측에 구비하여 같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나"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바(20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그 양 단부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연결클립(300')을 먼저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로 끼움 결합하게 되며, 다음으로 반대쪽 연결클립(300')을 대면하는 수평지지부재(120)로 끼움 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클립(300')을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할 때 밀착부(320)를 이용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200)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결합됨은 당연하다.
이렇게 하여 상기 지지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2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대(500)를 결속부재(400) 하측에 위치시켜 결속부재(400)의 연장부(420)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고정대(500)를 구속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대(500)는 지지바(200)의 양 측 하단에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정대(500)의 제1삽입홈(510)으로 천정판(P)의 일측을 삽입시키고 타측은 나사를 통해 지지바(200)에 고정하며, 다른 천정판(P)을 계속해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천정판(P)의 설치가 완료되면 천정판(P)의 전후측에서 다른 고정대(50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대(500)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천정판(P)의 전후측으로 구비되는 고정대(500)는 양 측에 구비되는 고정대(500)와 달리 고정 설치된 천정판(P)에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대(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나"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감몰딩(M)을 고정대(500)의 제2삽입홈(520)에 장착함으로써 시공을 완성하게 되며, 이 마감몰딩(M) 역시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어서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3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을 보인 사시도이고, "나"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다" 는 연결클립과 결속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연결클립(300'')과 결속부재(400')는 도 11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바(200)와의 결합관계에 있어 시공 도중 상기 결속부재(400')가 무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즉, 도 13의 "가"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300'')은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330)의 선단부에 차단막(330a)을 형성하여 전방으로는 관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나"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부재(400')의 안착부(410)에 형성된 돌출부(412)의 후방에 걸림돌출부(412a)를 추가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면상에는 상기 연결클립(300'')의 안착홈(330)에는 차단막(330a)을 형성하고, 결속부재(400')의 돌출부(412)에는 걸림돌출부(412a)를 형성하고 있으나, 적어도 어느 하나만 형성되면 결속부재(400')가 무단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인지해야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면, "다"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된다. 물론, 상기 연결클립(300'') 및 결속부재(400'), 지지바(200)는 앞서 살펴본 결합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세한 결합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결속부재(400')가 상기 연결클립(300'')의 안착홈(330)에 결합된 후 지지바(200) 내부로 삽입되는데, 삽입된 후 상기 결속부재(400')는 연결클립(300'')의 차단막(330a)에 걸리거나 혹은 결속부재(400)의 걸림돌출부(412a)가 연결클립(300'')의 후단면에 걸려 결속부재(400')가 무단으로 이탈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결속부재(400')는 지지바(200)로 결합 된 후에는 무단으로 이탈되지 않게 됨에 따라 시공 과정에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도 14의 "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나" 는 연결클립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연결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4의 "가" 및 "나" 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달대 지지구조(10''')는 크게 지지부재(100), 지지바(200), 연결클립(300'), 결속부재(400) 및 고정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언급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바(200)는 좌우로 관통된 중공의 사각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클립(300)은 그 일단이 상기 지지바(2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측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200)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결속부재(400)는 상기 연결클립(300) 하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클립(300)이 지지바(200)로 삽입될 때 같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대(500)는 상기 결속부재(400)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천정판(P) 및 마감몰딩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클립(300')의 하면에는 안착홈(330)이 형성되며, 전후측 혹은 상면에는 밀착부(3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살펴본 또 다른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연결클립(30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직부재(110)에 형성된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120) 중 하측 수평지지부재(120)로 결합되기 위한 하나의 삽입홈(310)만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는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클립(300')의 일단부는 지지바(200)로 삽입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10)을 매개로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재(120) 중 하측 수평지지부재(120)로 삽입되면서 상면은 상측 수평지지부재(120)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수평지지부재(120) 중 상측에 구비된 수평지지부재(120)가 연결클립(300')의 타단부 상면을 구속함으로써 무단으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 과정 혹은 시공 후 무단으로 지지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감을 한층 더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한 연결클립(300')과 지지부재(100)의 결합관계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또 다른 일실시예와 구성요소 및 시공 상태가 동일하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무달대 지지구조는 마감몰딩(M)을 통한 시공과 그렇지 않는 시공에 따라 2가지 타입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조로 인해 시공능력이 향상되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10' ,10'' ,10''' : 본 발명의 무달대 지지구조 100 : 지지부재
110 : 수직부재 120 : 수평지지부재
122 : 레일홈 200 : 지지바
300,300' : 연결클립 310 : 삽입홈
320 : 밀착부 330 : 안착홈
400 : 결속부재 410 : 안착부
412 : 돌출부 420 : 연장부
500 : 고정대 510 : 제1삽입홈
520 : 제2삽입홈 D : 벽면
T : 타일 P : 천정판
S : 실리콘 M : 마감몰딩
110 : 수직부재 120 : 수평지지부재
122 : 레일홈 200 : 지지바
300,300' : 연결클립 310 : 삽입홈
320 : 밀착부 330 : 안착홈
400 : 결속부재 410 : 안착부
412 : 돌출부 420 : 연장부
500 : 고정대 510 : 제1삽입홈
520 : 제2삽입홈 D : 벽면
T : 타일 P : 천정판
S : 실리콘 M : 마감몰딩
Claims (9)
- 삭제
- 삭제
- 삭제
- 실내 벽면 중 양측 벽체에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천정판이 부착될 부작면을 제공하되, 내부는 양 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일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하되, 타단부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평지지부재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연결클립;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클립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클립이 상기 지지바로 결합될 때 같이 삽입되어 분리되지 않되,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향절곡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절곡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상하측으로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의 제1삽입홈으로 천정판의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바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제2삽입홈으로 마감몰딩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의 타단부 끝단에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안착홈으로 결합되는 상기 결속부재가 타단부 쪽으로는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의 안착부의 끝단에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연결클립의 안착홈으로 결합된 후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 끝단부에 걸려 상기 결속부재가 타단부 쪽으로는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부 전후측면 혹은 상면에는 삽입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밀착할 수 있는 외향 돌출된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실내 벽면 중 양측 벽체에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며,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천정판이 부착될 부작면을 제공하되, 내부는 양 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일단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하되, 타단부 끝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평지지부재 중 하측에 구비된 수평지지부재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 수평지지부재에 체결될 때 상면은 상측 수평지지부재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
상기 지지바의 양 단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클립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클립이 상기 지지바로 결합될 때 같이 삽입되어 분리되지 않되, 상기 연결클립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향절곡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절곡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내면에 상하측으로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의 제1삽입홈으로 천정판의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바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제2삽입홈으로 마감몰딩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의 타단부 전후측면 혹은 상면에는 삽입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밀착할 수 있는 외향 돌출된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82710 | 2015-06-18 | ||
KR1020150082710 | 2015-06-18 | ||
KR20150094964 | 2015-07-13 | ||
KR1020150094964 | 2015-07-13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642A Division KR20180039590A (ko) | 2015-06-18 | 2018-03-20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969A KR20160149969A (ko) | 2016-12-28 |
KR101845356B1 true KR101845356B1 (ko) | 2018-04-04 |
Family
ID=57724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3424A KR101845356B1 (ko) | 2015-06-18 | 2015-10-13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KR1020180032642A KR20180039590A (ko) | 2015-06-18 | 2018-03-20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2642A KR20180039590A (ko) | 2015-06-18 | 2018-03-20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8453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4861B (zh) * | 2020-09-23 | 2024-09-06 |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 一种吊顶总成 |
CN112049310B (zh) * | 2020-09-29 | 2024-09-06 |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 一种吊顶连接构件及安装方法 |
CN115977304A (zh) * | 2022-08-30 | 2023-04-18 | 磐锲建材(上海)有限公司 | 一种安装方便的轻钢龙骨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3424A patent/KR1018453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0 KR KR1020180032642A patent/KR201800395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969A (ko) | 2016-12-28 |
KR20180039590A (ko) | 2018-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88927B2 (en) | Suspended ceiling hanger clip | |
RU2622415C2 (ru) | Фиксатор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его прогона решетки с полоской, расположенной по периметру | |
KR101569481B1 (ko) |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 |
KR20110113652A (ko) | 장착 클립 | |
KR101845356B1 (ko) |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 |
KR101576230B1 (ko) |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 |
KR101618356B1 (ko) |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 |
KR101584795B1 (ko) | 천장 마감장치 | |
US10928031B2 (en) | Indirect light cove | |
KR101458198B1 (ko) | 천정마감장치 | |
KR20090003854U (ko) | 천장 구조 | |
US3885147A (en) | Multiple lighting fixture display system | |
KR200436794Y1 (ko) | 천장용 패널 | |
KR101389958B1 (ko) | 천장 루버 | |
KR101522228B1 (ko) | 우물형 천정 설치구조 | |
KR102094074B1 (ko) |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 |
KR100741312B1 (ko) | 천정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 |
KR20140005485U (ko) | 천정판 고정구조 | |
KR20140040592A (ko) |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 |
CN211286483U (zh) | 多点固定式卡扣、装潢材料及装潢材料固定组件 | |
KR102052642B1 (ko) | 풍하중 저항형 마감장치 | |
KR20180095761A (ko) |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 |
KR0134744B1 (ko) | 조립식 천정시설재 | |
US9719537B2 (en) |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nd support | |
KR101651409B1 (ko) | 벽체용 판넬 조립체, 벽체용 판넬 고정클립, 및 벽체용 판넬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