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225B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2225B1 KR101832225B1 KR1020110071919A KR20110071919A KR101832225B1 KR 101832225 B1 KR101832225 B1 KR 101832225B1 KR 1020110071919 A KR1020110071919 A KR 1020110071919A KR 20110071919 A KR20110071919 A KR 20110071919A KR 101832225 B1 KR101832225 B1 KR 101832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isplay
- area
- displayed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2D 영상 영역과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안경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lens unit that vari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Applying a first power source to a first region of a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a 2D image region, and applying a second power source to a second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user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by the non-eyeglass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안경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on a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and has a small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무안경 방식에 의한 입체 영상 표시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a user in stereoscopic image display by the non-eyeglass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안경 방식에서 2D 영상과 3D 영상을 함께 시청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view a 2D image and a 3D image together in a non-eyeglass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2D 영상 영역과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lens unit that varies a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the method comprising: A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a display; applying a first power source to a first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액정의 배열을 변경하여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2D 영상 영역과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액정을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와,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액정을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lens unit for changing a direction of light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A step of arranging a liquid crystal of a lens unit corresponding to a 2D image region in a first direction, a step of aligning a liquid crystal of a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in a first direc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디스플레이에 2D 영상과 3D 영상을 각각 2D 영상 영역 및 3D 영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a lens unit disposed on a display and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vide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into the 2D image area and the 3D image area and to apply the first power to the first area of the lens par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area, And controls the second power source to be applied to the second area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D 영상 영역과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며,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2D 영상과 3D 영상을 함께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2D image region and a 3D image region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on a display, a first power source is applied to a first region of a lens unit corresponding to a 3D image region,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can be viewed together through the non-spectacle-type image display device. This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user.
특히, 2D 영상으로 OSD 메뉴, 프리뷰 영상 등 무안경 3D 시청 시에 취약한 영상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어느 위치에서나 OSD 메뉴, 프리뷰 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images that are vulnerable to viewing 2D glasses, OSD menus, preview images, and the like. Thus, it is possible to view the OSD menu, the preview image, and the like at any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렌즈부와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20은 도 9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lens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FIG. 1 separated from the display.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n image is formed by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pth of a 3D image according to an interval between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3. FIG.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to 2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렌즈부와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earan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lens unit and a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입체 영상, 즉 3D 영상 표시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안경 방식의 3D 영상 표시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예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that is, a 3D imag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3D-image display in a non-eyeglass system is exemplified.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렌즈부(195)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디스플레이(18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D 영상을 2D 영상 영역에 표시하고, 3D 영상을 3D 영상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렌즈부(195)는, 디스플레이(18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렌즈부(185) 간격을 분리하는 것을 예시한다.The
한편, 렌즈부(195)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의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는 제1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2D 영상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과 동일한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되는 2D 영상을 사용자가 2D 영상으로 인지하게 된다.For example, a first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a first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a 2D image region of the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는 제2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이 산란되어, 산란된 광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3D 효과가 발생하여, 표시되는 3D 영상을 별도의 글래스 착용 없이도 사용자가 입체 영상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안경 방식의 3D 영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 second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a second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of 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의 3D 영상 표시를 위해, 3D 영상 표시시, 복수 시점 영상이 반복하여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렌즈부(195)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를 이용하는 렌티큘라 방식, 슬릿 어레이(Slit Array)를 이용하는 패럴랙스(Parallax)방식,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티큘라 방식을 중심으로 기술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 및 렌즈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3, an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can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3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from the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Such a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have a different depth than the image displayed 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od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하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80)는, 별도의 안경(glass)이 필요 없는 무안경 방식의 3D 영상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이다. 이를 위해, 렌티큘러 방식의 렌즈부(195)를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각 모듈 또는 유닛 등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전원 공급부(190)는, 서로 다른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렌즈부(195)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원 공급 및 제2 전원 공급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렌즈부(195)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한다. The
디스플레이(180)의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는 제1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2D 영상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과 동일한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되는 2D 영상을 사용자가 2D 영상으로 인지하게 된다.The first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region of the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는 제2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이 산란되어, 산란된 광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3D 효과가 발생하여, 표시되는 3D 영상을 별도의 글래스 착용 없이도 사용자가 입체 영상으로 인지하게 된다.As another example, a second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a second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of the
한편, 렌즈부(195)는, 디스플레이(180)에 이격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렌즈부(195)는 디스플레이(180)와의 간격이 평행하거나, 일부 경사시게 배치되거나,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렌즈부(195)는, 시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95)는, 렌즈 시트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렌즈부(195)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photographs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모니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TV set, a monito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한편,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3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3, 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4은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2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23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ideo decoder 225 may include a decoder of various standards.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으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xternal video signal input from the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Here,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is a side-by-side format in which the left-eye image signal L and the right-eye image signal R ar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top- An interlaced format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signals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re mixed line by line, a checker box for mixing the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box by box, Format, and the like.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On the other hand, the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을 배열할 수 있다.The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3D video signal means a 3D object. Examples of the 3D object include a picuture in picture (PIP) image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an EPG indicating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Icons, texts, objects in images, people, backgrounds, web screens (newspapers, magazines, etc.).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포맷으로 3D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복수 시점 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복수 시점 영상이 반복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안경 타입의 3D 영상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시점 영상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hat a 3D processor (not shown) for 3-dimensional effect signal processing is further disposed after the
후술하는, 2D 영역에서의 OSD 메뉴 내에 표시되는 화질 설정 메뉴에 따른 3D영상 신호 처리는 3D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3D image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mage quality setting menu displayed in the OSD menu in the 2D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in the 3D process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6 and the like.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한편, 도 4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4 shows that the signals from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도 5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images are formed by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pth of a 3D image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먼저, 도 5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615,625,635,645)이 예시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images or a plurality of
먼저,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613,R)를 포함하며,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613,R)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d1 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First, the
다음,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좌안 영상(621,L)과 제2 우안 영상(6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Next, since the second object 625 includes the second left eye image 621, L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623, R and overlaps with each other and is displayed on the
다음,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각각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2 우안 영상(633,R),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를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 d4 인 것이 예시된다. Next, the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 맺히는 위치에, 각각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도면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이때, 제4 오브젝트(645)가 제3 오브젝트(635) 보다 더 앞에, 즉 더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의 간격(d4)이,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3 우안 영상(633,R)의 간격(d3) 보다 더 큰 것에 기인한다.At this time, it is recognized that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615,625,635,645) 사이의 거리를 깊이(depth)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더 클수록, 깊이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6을 보면, 도 6(a)의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a)이, 도 6(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b)이 더 작은 경우, 도 6(a)의 3D 오브젝트의 깊이(a')가 도 6(b)의 3D 오브젝트의 깊이(b') 보다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6, the interval a between the
이와 같이,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3D image is exemplified a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he positions recognized as imag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display interval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he depth of the 3D image or the 3D object composed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can be adjusted.
도 7은 도 3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f FIG. 3. FIG.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As shown in FIG. 7A, it is exemplified that the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7의 (b)), 앞뒤(도 7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도 7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7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도 7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7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button in the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speed and moving direction of the
도 8은 도 3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825), 사용자 입력부(835), 센서부(840), 출력부(850), 전원공급부(860), 저장부(870), 제어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통신부(8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825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to / from any one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8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8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전송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8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사용자 입력부(8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8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8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841) 또는 가속도 센서(8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일예로,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8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8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일예로,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8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8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8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저장부(8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8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8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88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8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8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20은 도 9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to 20 are referred to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2D 영상 영역과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910).Referring to FIG. 9, a 2D image area and a 3D image are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910).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70)는, 입력되는 영상이 3D 영상인 상태에서, OSD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 3D 영상을 3D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고, 생성된 OSD 메뉴를 2D 영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3D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생성된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180)의 2D 영상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도 10은 디스플레이(180)를 2D 영상 영역(1020)과 3D 영상 영역(1010)으로 구분한 것을 예시한다.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180)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렌즈부(195)를 이용하여, 2D 영상 시청 뿐만 아니라 무안경식(autostereoscopic) 3D 영상도 시청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utostereoscopic 3D image as well as the 2D image can be viewed by using the
이때, 렌즈부(195)는,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1010)과 2D 영상 영역(1020)에 대응하여, 제1 영역(region 1) 및 제2 영역(region 2)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무안경식(autostereoscopic) 3D 영상과 일반 2D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렌즈부(195)의 제1 영역(region 1) 및 제2 영역(region 2)은, 능동 액정(active liquid crystal)의 특성을 이용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first region (region 1) and the second region (region 2) of the
한편, 렌즈부(195)가 굴절률을 이용하는 렌티큘라 방식인 경우, 도 11(a)와 같이, 렌티큘라 어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도 11(b)와 같이, 렌티큘라 어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렌티큘라 어레이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다음,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고(S920),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한다(S930).Next, the first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first area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area (S92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second area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area (S930).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의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195)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95)의 구조 및 인가되는 전원에 따른 굴절율 차이를 예시한다.12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렌즈부(19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1230),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 사이에 배치되며 액정(1230)을 둘러싸는 제1 층(1220) 및 제2 층(1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는, 광 투과를 위해,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전원 인가를 위해 금속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는 ITO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층(1220) 및 제2 층(1225)은, 액정(1230)을 둘러쌀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층(1220) 및 제2 층(1225)은, 폴리 이미드(Poly-Imide;PI)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액정(1230)은,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이상(extraordinary) 굴절 또는 정상(ordinary) 굴절된다. 즉, 액정은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이방성의 성질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2(a)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 사이에, 제1 전원(V1), 예를 들어, 0 V 전원을 인가한 경우에, 분산된 액정(1230)은, 배향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고분자인 PI 층(1220,1225)의 굴절률과, 액정(1230)의 굴절률의 차이가 나게 된다. 이 때문에 PI 층(1220,1225)과 액정(1230) 사이에서는 산란이 일어나게 되고, 이 효과에 의해 무안경(autostereoscopic) 3D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 (a), when the first power source V1, for example, a 0 V power source is applied between the
다음, 도 12(b)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10)와 제2 플레이트(1215) 사이에, 제2 전원(V2)을 인가한 경우에, 액정(1230)은 전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하게 되고, 고분자인 PI 층(1220,1225)과 액정(1230)의 정상 굴절률의 일치를 유도하게 되어, 2D 효과를 얻을 수 있다.12 (b), when the second power source V2 is applied between the
한편, 도 13은 무안경 방식에 의한 렌티큘라 방식의 렌즈부(195)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에 따른 스윗 존과 데드 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weet zone and a dead zone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when the
디스플레이(180)는 복수 시점 영상(V1 ~ V10)을 표시할 수 있으며, 렌즈부(195)는, 해당 영상을 굴절시켜 사용자 방향으로 출력한다.The
무안경(Autostereoscopic) 방식 3D는 장치는, 특수 입체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복수 사용자(multi user)들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단위 시역 내에 특정 존(Zone), 예를 들어 스윗 존(sweet zone, 1310)에서만 제대로 된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 시 또는 사용자가 3D 입체감을 시청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역전이 일어나는 데드 존(dead zone, 1320)에 위치하는 경우, 입체감을 제대로 느끼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어지러움이나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In the autostereoscopic 3D system, the apparatus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feel a three-dimensional feeling to multi-users who do not wear special stereoscopic glasses. However, in a unit zone, for example, a solid zone can be felt only in a
또한, 무안경 3D 방식에서, 사용자가 OSD 메뉴를 보기 위해서는 한정된 위치 안에서만 머물러 있어야 하며, 스윗 존(sweet zone, 1310)에 위치한 사용자라고 해도 렌티큘러의 굴절 특성 때문에 사용자 OSD 메뉴 같은 텍스트 이미지(text image)의 경우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게 된다. 또한, 데드 존(dead zone, 1320)에 위치한 각각의 사용자에게도 입체감이 없이 부자연스러운 OSD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non-eyeglass 3D system, the user must stay within a limited position to view the OSD menu.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한편, 텍스트나 자막이 흘러가는 경우, 데드 존(dead zone, 1320) 위치한 사용자 뿐만 아니라 스윗 존(sweet zone, 1310)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도 시각적인 어지러움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xt or the caption flows, the user who is located in the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를 3D 영상 영역과 2D 영상 영역으로 나누고, 렌즈부(195)도 3D 영상 영역과 2D 영상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 2D 영상과 3D 영상을 함께 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2D 영상으로 OSD 메뉴, 프리뷰 영상 등 무안경 3D 시청 시에 취약한 영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위치에서나 OSD 메뉴, 프리뷰 영상 등의 시청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images that are vulnerable to non-eyeglass 3D viewing such as OSD menus, preview images, etc. as 2D images. Thus, it is possible to view the OSD menu, the preview image, and the like at any position.
도 14는 디스플레이(180)의 전 영역(1410)에 2D 영상(1415)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렌즈부(195)의 전 영역에 도 12(b)와 같이 제2 전원(V2)이 인가되어, 액정이 사용자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2D 영상(1415)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FIG. 14 illustrates that a
도 15는 디스플레이(180) 전체에 3D 영상(15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렌즈부(195)의 전 영역에 도 12(a)와 같이 제1 전원(V1), 예를 들어 0V 전원이 인가되어, 액정이 사용자 방향과 다른 방향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3D 효과를 느끼면서, 3D 영상(1515)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FIG. 15 illustrates that a
도 16은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은 2D 영상 영역으로, 다른 영역은 3D 영상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FIG. 16 illustrates that a part of the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전 영역에서 3D 영상을 표시하고, 3D 영상을 시청하다가, OSD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6과 같이, 시청하던 3D 영상(1615)을 3D 영상 영역(1610)에 표시하고, OSD 메뉴(1625,1630)를 2D 영상 영역(1620)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if the 3D image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부(195)는, 3D 영상 영역(16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도 12(a)와 같이 제1 전원(V1)을 인가하며, 2D 영상 영역(1620)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도 12(b)와 같이 제2 전원(V2)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OSD 메뉴를 2D 영상으로서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OSD 메뉴는, 3D 영상의 휘도 또는 컨트라스트 등과 관련된 영상 화질 설정 메뉴, 또는 3D 영상의 깊이와 관련된 3D 설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SD menu may include an image quality setting menu related to the brightness or contrast of the 3D image, or a 3D setting menu related to the depth of the 3D image.
도면에서는, "3D 옵선 설정" 메뉴(1625), 및 "세부 옵션" 메뉴(1730)을 예시하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3D 옵선 설정" 메뉴(1625) 중 "3D 세부 설정" 항목(1627)이 선택되는 경우, "세부 옵션" 메뉴(1730)에서, 3D 영상의 깊이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e drawing, the "3D option line setting"
한편, OSD 메뉴 내의, 영상 화질 설정 메뉴, 또는 3D 영상의 깊이와 관련된 3D 설정 메뉴를 통해,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여, 3D 영상 영역에 표시되는 3D 영상이 가변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item is selected through the 3D setting menu related to the image quality setting menu or the depth of the 3D image in the OSD menu, the 3D image displayed in the 3D image area is variably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t is also possible.
예를 들어, 영상 화질 설정 메뉴 에서, 휘도 증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3D 영상 영역(1610) 내의 3D 영상의 휘도가 가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3D 영상 영역(1610)은, 메뉴 조작에 의한, 프리뷰 영역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image quality setting menu, when the brightness increase item is selected, the brightness of the 3D image in the
또한, 다른 예로, 3D 설정 메뉴에서, 깊이 증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3D 영상 영역(1610) 내의 3D 영상의 깊이가 가변되어 표시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in the 3D setting menu, when the depth increasing item is selected, the depth of the 3D image in the
한편, OSD 메뉴를 통한 메뉴 조정이 완료되었거나, OSD 메뉴 표시 이후, 별도의 입력 없이, 소정 시간 경과 이후, 다시 도 15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전 영역에 3D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menu adjustment through the OSD menu has been completed, or after the OSD menu has been displayed, without any additional input,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3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한편, 2D 영상 영역 또는 3D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940), 가변된 2D 영상 영역 또는 가변된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950).Meanwhile, if there is an input for varying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region or the 3D image region (S940), the variable 2D image region or the variable 3D image region is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950).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70)는, 2D 영상 영역 및 3D 영상 영역으로 구분되어 2D 영상과 3D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2D 영상 영역 또는 3D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입력에 따라, 가변된 2D 영상 영역 또는 가변된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re is an input for varying at least one of a 2D image area and a 3D image area in a state in which a 2D image and a 3D image are classified into a 2D image area and a 3D image area, According to the input, the variable 2D image region or the variable 3D image region is classifi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다음, 가변 입력에 따라, 가변된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3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거나, 가변된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제4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한다(S960).Next,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 input, the first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third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3D image region, or the second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fourth region of the len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2D image region (S960).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의 가변된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195)의 제3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고, 가변된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제4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The
도 17은, 도 16에 비해, 2D 영상 영역(1720)이 축소된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영역 조정 오브젝트(164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도 17과 같이, 도 16에 비해, 확대된 3D 영상 영역1710) 및 축소된 2D 영상 영역(1720)이 설정될 수 있다.FIG. 17 illustrates that the
이때, 렌즈부(195)에는, 확대된 3D 영상 영역(1710)에 대응하는 제3 영역에 대해 도 12(a)와 같이, 제1 전원(V1)이 인가되며, 축소된 2D 영상 영역(1715)에 대응하는 제4 영역에 대해 도 12(b)와 같이, 제2 전원(V2)이 인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ower source V1 is applied to the thir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한편, 영역 조정 오브젝트(164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 또는 로컬키 내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또는, 영역 조정 오브젝트(16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표시되는 공간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간편하게, 영역 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the
도 18은 2D 영상 시청시 3D 영상을 프리뷰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18 illustrates displaying a 3D image as a preview when viewing a 2D image.
도 14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2D 영상을 표시하다가, 3D 프리뷰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8과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영역을, 2D 영상 영역(1810)과 3D 영상 영역(1820)으로 나누고, 시청하던 2D 영상(1815)을 2D 영상 영역(1810) 내에 표시하고, 시청하던 2D 영상과 관련있는 3D 영상(1825)을 프리뷰 영상으로서, 3D 영상 영역(1820) 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의 3D 영상 영역(1820)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3D 영상의 프리뷰(preview)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도 19는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은 2D 영상 영역으로, 다른 영역은 3D 영상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19 illustrates that a part of the
특히, 3D 영상(1915)을 3D 영상 영역(1910)에 표시하고, 입력되는 3D 영상 포맷을 결정할 수 있는 입력 포맷 메뉴(1925)를 2D 영상 영역(1920)에 표시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도면에서는, 입력 포맷 메뉴(1925) 내에 탑 다운 포맷 항목,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 프레임 시퀀셜 항목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drawing, the top down format item, the side by side item, and the frame sequential item are displayed in the
이때, 사이드 바이 사이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되는 3D 영상과 관련하여, 입력 포맷을 프리뷰로 보여주는 프리뷰 영역(193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ide by side item is selected, a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입력되는 3D 영상 포맷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reby,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3D image format to be input.
도 20은, 자막 또는 텍스트가 있는 경우, 자막 등은 2D 영상 영역으로, 다른 영역은 3D 영상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20 exemplifies display of a caption or the like as a 2D video area and another area as a 3D video area when there is a caption or text.
제어부(170)는, 입력되는 3D 영상 내에 시간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자막이 존재하는 경우에, 자막을 2D 영상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입력 3D 영상을 3D 영상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도면에서는 도 20(a)와 같이, 제1 시점에서, 자막(2025)의 위치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자막은 2D 영상 영역(2020) 내에 표시되고, 그 외 3D 영상(2015)은 3D 영상 영역(2010) 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20A, when the position of the
도 20(b)는, 제2 시점에서, 자막(2035)의 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자막은 2D 영상 영역(2020) 내에 표시되고, 그 외 3D 영상(2015)은 3D 영상 영역(2010) 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20B shows a case where the
이와 같이, 흘러가는 자막이 3D 영상 내에 있는 경우, 이를 분리하여, 별도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자막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flowing subtitle is included in the 3D image, it is separated and displayed separately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atch the subtitle.
한편, 흘러가는 자막 외에, 텍스트 등도 3D 영상과 별도로 분리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besides the flowing subtitles, text and the like are preferably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3D image.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상기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액정을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액정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D 영상 영역과 상기 3D 영상 영역 구분 표시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3D 영상을 표시하다가, OSD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2D 영상 영역 내에, 상기 3D 영상의 휘도 또는 컨트라스트와 관련된 영상 화질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OSD 메뉴가 표시되고,
휘도 증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3D 영상 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3D 영상의 휘도가 가변되어 표시되며,
상기 영상 화질 설정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입력 없이, 소정 시간 경과하는 경우, 상기 2D 영상 영역과, 상기 3D 영상 영역이 가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3D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lens unit that changes a direction of light by changing an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2D image area and a 3D image area on a display;
Arrang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area in a first direction; And
And arrang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2D image region and the 3D image region differentiation display step may include: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when there is an OSD menu display input while displaying the 3D image,
An OSD menu including an image quality setting menu related to the brightness or contrast of the 3D image is displayed in the 2D image area,
When the brightness increase item is selected, the brightness of the 3D image displayed in the 3D image area is varied and displayed,
Wherein the 2D image region and the 3D image region are varied when the image quality setting menu is displayed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any additional input and a 3D image is display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display Wherei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video display device.
상기 2D 영상 영역과 상기 3D 영상 영역 구분 표시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2D 영상을 표시하다가, 3D 프리뷰 표시부 입력이 있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3D 영상 영역은,
상기 2D 영상 영역 내에 표시되는 2D 영상과 관련된 3D 영상의 프리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2D image region and the 3D image region differentiation display step may include:
A 2D pre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and when the 3D preview display is input,
Wherein the 3D image area comprises:
Wherein the preview area is a preview area of a 3D image related to a 2D image displayed in the 2D image area.
디스플레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을 가변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2D 영상과 3D 영상을 각각 2D 영상 영역 및 3D 영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2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제2 영역에 대해 제2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3D 영상을 표시하다가, OSD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2D 영상과 상기 3D 영상을 각각 상기 2D 영상 영역 및 상기 3D 영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D 영상 영역 내에, 상기 3D 영상의 휘도 또는 컨트라스트와 관련된 영상 화질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OSD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휘도 증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3D 영상 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3D 영상의 휘도가 가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영상 화질 설정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별도의 입력 없이, 소정 시간 경과하는 경우, 상기 2D 영상 영역과, 상기 3D 영상 영역이 가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3D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display;
A lens unit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display, the lens unit varying a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an applied power source;
A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lens unit;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separately in the 2D image area and the 3D image area on the display and to control the first power source to be applied to the first area of the lens par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area, And a second power source for applying a second power source to the second area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2D image area,
Wherein,
The 3D image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and when the OSD menu display input is present,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ar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display as the 2D image area and the 3D image area, respectively ,
Controlling an OSD menu including an image quality setting menu related to brightness or contrast of the 3D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2D image area,
When the brightness increase item is selected,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3D image displayed in the 3D image area to be varied and displayed,
When the image quality setting menu is display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ithout any additional input, the 2D image area and the 3D image area are changed so that the 3D image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영상 영역 또는 3D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입력에 따라, 가변된 2D 영상 영역 또는 상기 가변된 3D 영상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변 입력에 따라, 상기 가변된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제3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가변된 3D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의 제4 영역에 대해 상기 제2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variable 2D image region or the variable 3D image region on the display in accordance with an input for varying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region and the 3D image region, Control to apply the first power source to the third region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region or control to apply the second power source to the fourth region of the lens unit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3D image region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움직임임에 대응하는 포인팅 신호를 출력하는 공간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리모콘으로부터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영역 또는 상기 3D 영상 영역을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spatial remot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poin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Wherein,
And controls to vary the 2D image area or the 3D image area based on a pointing signal from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상기 OSD 메뉴는, 상기 3D 영상의 깊이와 관련된 3D 설정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SD menu further comprises a 3D setting menu related to a depth of the 3D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화질 설정 메뉴 또는 상기 3D 설정 메뉴 중 소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따라, 상기 3D 영상의 화질 또는 깊이를 가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quality or the depth of the 3D image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selected image quality setting menu or the 3D setting menu.
상기 렌즈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을 둘러싸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lens unit includ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which power is applied;
A liquid cryst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nd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surrounding the liquid cryst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919A KR101832225B1 (en) | 2011-07-20 | 2011-07-20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919A KR101832225B1 (en) | 2011-07-20 | 2011-07-20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1041A KR20130011041A (en) | 2013-01-30 |
KR101832225B1 true KR101832225B1 (en) | 2018-02-26 |
Family
ID=4784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1919A KR101832225B1 (en) | 2011-07-20 | 2011-07-20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22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8893A (en) | 2014-07-15 | 2016-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and method thereof |
KR20160008892A (en) | 2014-07-15 | 2016-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2407995B1 (en) * | 2020-01-17 | 2022-06-14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hod and device for glasses-free 3D display capable of simultaneous 2D/3D outpu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6015A (en) * | 2008-07-15 | 2010-02-04 | Kenji Yoshida | Naked eye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
-
2011
- 2011-07-20 KR KR1020110071919A patent/KR10183222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6015A (en) * | 2008-07-15 | 2010-02-04 | Kenji Yoshida | Naked eye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1041A (en) | 201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4058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07824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038799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55939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1832225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33815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26236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31065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912635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3684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78808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25669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945811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089794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120255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107923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1890323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ttop box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30603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50043875A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 glassless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84514A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4009851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82214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014149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047427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68964A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