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736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0736B1 KR101830736B1 KR1020110045167A KR20110045167A KR101830736B1 KR 101830736 B1 KR101830736 B1 KR 101830736B1 KR 1020110045167 A KR1020110045167 A KR 1020110045167A KR 20110045167 A KR20110045167 A KR 20110045167A KR 101830736 B1 KR101830736 B1 KR 101830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member
- protrusion
- terminal
- projection
- battery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detach a battery cover from a terminal body, and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킨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detach a battery cover from a terminal body, and at the same tim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일반적으로 충전식 배터리 및 상기 충전식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의 교체를 위하여 배터리덮개를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하려면 배터리덮개에 형성된 홈에 손톱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완력으로 배터리덮개를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배터리덮개의 분리를 위한 사용자의 완력 조절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덮개를 단말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가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배터리덮개 락킹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terminal generally h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battery cover covering the rechargeable battery. 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order to remove the battery cover from the terminal body for replacement of the battery,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battery cover from the terminal body by inserting the nail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attery cover, there was. If the user's adjustment of the force for detaching the battery cover is not appropriate, the terminal may be dropped. In addition,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battery lid locking device for detachably fixing the battery lid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battery lid locking device hinders the beauty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detach a battery cover from a terminal bod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의 배터리덮개 락킹구조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battery cover locking structure of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관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ith improved aesthetic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방부 및 후방부로 구성된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배터리,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배터리덮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덮개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맞물리는 걸림면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덮개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이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rear case composed of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a battery cover for protecting the battery from outside,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guide member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A mov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member and guided to be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by the guide member; And a latching member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atching surface engaged with the shifting member so that the battery cover is fix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덮개 락킹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배터리덮개 락킹구조가 단말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easily detach a battery cover from a terminal body.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y configuring the battery lid lock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by preventing the battery lid locking structur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작동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후방 쪽에서 전방 쪽을 봤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및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에 포함되는 단말기본체 후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방 쪽에서 후방 쪽을 봤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본체 후방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가 단말기 본체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a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battery lid and a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portion of a terminal body included in a battery lid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12A to 12C schematically show a state where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13A to 13C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from the terminal body.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 또는 전방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상부 부분 또는 상부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또는 후방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하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Further, in this specification, the front or for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ckward or back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00,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상기 후면 케이스(102)는 전방부,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배터리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는 이동 단말기를 세웠을 때 후면 케이스의 상부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후방부는 이동 단말기를 세웠을 때 후면 케이스의 하부 부분을 구성한다. The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 주로 전면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전면 케이스(101) 및 후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후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2A),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a broadcast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후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후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터치 패드(135)는 전면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135 operates in correlation with the
또한, 단말기 바디(즉,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하는 후면 케이스(102) 내에는 전원 공급부인 배터리(190)가 수용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102)에는 상기 배터리(19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덮개(20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덮개(200)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덮개를 고정하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A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19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배터리덮개(200) 및 상기 배터리(190) 덮개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를 포함한다.3, the terminal main body includes a
배터리덮개(200)는, 일단부에는 본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를 본체의 전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는 상기 돌기가 단말기 본체에 삽입된 후 하부 방향으로 눌러져 단말기 본체의 후방부(230)에 구비된 걸림부재(330)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후면 케이스의 일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배터리덮개(200)를 눌러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상태를 이루는 구성 및 잠금상태에 있는 배터리덮개(200)를 다시 눌러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eleases the locked state of the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와 달리, 적은 부품수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의 락킹장치로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관찰할 때 그 구성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아 단말기 본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230)의 일단부를 수직방향으로 단말기 본체 내부 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Unlike the battery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는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10), 상기 가이드부재(310) 내에 수용되는 이동부재(320), 단말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는 걸림부재(330)를 포함한다. 4, a battery
가이드부재(310)는 이동부재(320)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경로를 한정한다. 즉, 가이드부재(310)는 이동부재(320)를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배터리덮개(200)에 주조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배터리덮개(200)에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다.The
이동부재(320)는 가이드부재(310) 내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거나 또는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320)가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된 걸림부재(330)에 맞물리도록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터리덮개(200)는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고, 이동부재(320)가 걸림부재(330)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터리덮개(200)는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작동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걸림부재(330)는 이동부재(320)에 접촉하여 맞물리는 걸림면(333a)을 구비한다.The engaging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5A and 5B are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of a battery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10)는 상기 이동부재(320)의 전방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후면부(311), 상기 후면부(3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개구부(313) 및 상기 이동부재(320)의 후방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멈춤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5A and 5B, the
후면부(311)는 가이드부재(310)의 후면 쪽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칸막이로서, 이동부재(320)가 가이드부재(310)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면부(311)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313)은 후술할 이동부재(320)에 구비된 가이드돌출부(32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부(311)는 후술할 탄성부재(360)가 지지되는 부분의 역할도 한다.The
멈춤턱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부재(310)의 후방 방향 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돌기로서 이동부재(320)가 가이드부재(310)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detent jaw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is a protrusion partially formed on the backward direction side of the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230)의 내측면에는, 상기 후방부(230)의 일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이동부재(320)로 전달하는 가압 돌출부(341)를 구비하는 언락킹 부재(340) 및 이동부재(320)에 맞물리는 걸림면(333a)이 구비된 걸림부재(330)가 포함된다.5A and 5B,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언락킹 부재(340)는 상기 후방부(230)의 전방 방향 쪽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 돌출부(341)를 포함한다. The unlocking
가압 돌출부(341)가 형성된 높이는 이동부재(320)의 제1 돌출부(323)가 형성된 높이에 대응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돌출부(341)는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상기 가압 돌출부(341)의 하부면이 이동부재(320)의 제1 돌출부(323)의 상부면(323a)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height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1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상기 가압 돌출부(341)의 상부면(341b) 및 하부면(341a)은 경사면 및 볼록면 중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이동부재(320)의 후방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압 돌출부(341)의 하부면은 볼록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걸림부재(330)는 L형상으로 형상되고, 상기 후방부(230)의 전방 방향 쪽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내측면에서 언락킹 부재(340)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걸림부재(330)는 언락킹 부재(340)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333)와 상기 수직부(333)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331)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331)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부재(320)(즉, 후술할 이동부재(320)의 제2 돌출부(325)의 걸림면(325a))에 맞물리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면(333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331)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면(333a)에 연장되어 상기 수평부(331)의 단부의 상부면을 이루는 슬라이딩면(333b)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면(333b)은 후술할 이동부재(320)의 제2 돌출부(325)의 슬라이딩면(325b)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면 또는 볼록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언락킹 부재(340)와 걸림부재(330)가 후방부(230)의 내측면에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언락킹 부재(340)를 구비하는 상기 후방부(230)의 일단부는 소정 높이 만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230)의 일단부가 소정 높이 만큼 왕복이동 할 수 있음으로 인해, 상기 언락킹 부재(340)는 상하로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언락킹 부재(340)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이동부재(320)의 제1 돌출부(323)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The unlocking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20)는, 상기 이동부재(320)의 상부에서 후방 방향 쪽에 위치되며 상기 가압 돌출부(341)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1 돌출부(323) 및 상기 이동부재(320)의 하부에서 후방 방향 쪽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재(330)의 걸림면(333a)과 맞물리는 걸림면(325a)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325)를 포함한다.5A and 5B, the moving
제1 돌출부(323)는, 후방부(230)의 일단부가 수직방향으로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가압 돌출부(341)의 하부면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피가압면(323a) 및 상기 피가압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 돌출부(341)의 상부면(341b)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323b)을 포함한다.The first projecting
상기 피가압면은 제1 돌출부(323)의 상부면(323a)을 형성하고, 경사면 및 볼록면 중 하나이다. 상기 슬라이딩면(323b)은 제1 돌출부(323)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경사면 및 볼록면 중 하나이다.The pressurized surface forms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가압면(323a) 및 상기 슬라이딩면(323b)이 모두 경사면인 경우, 상기 피가압면(323a)은 상기 피가압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슬라이딩면(323b)의 경사각도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언락킹 부재(340)의 가압 돌출부(341)가 이동부재(320)의 제1 돌출부(323)를 가압하는 경우 이동부재(320)가 전방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 쪽으로 누르는 경우 이동부재(320)가 부드럽게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pressure-receiving
제2 돌출부(325)는, 걸림부재(330)의 걸림면(333a)과 맞물리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돌출부(325)의 상부면을 이루는 걸림면(325a)과, 상기 걸림면(325a)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돌출부(325)의 하부면을 이루는 슬라이딩면(325b)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면(325b)은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 쪽으로 누르는 경우 걸림부재(330)의 슬라이딩면(333b)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재(32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projec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면(325b)(333b)은 경사면 또는 볼록면이다.Preferably, the sliding
또한, 이동부재(320)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이동부재(320)와 가이드부재(310)의 후면부(311) 사이에는, 이동부재(320)의 가이드돌출부(321)가 관통하는 탄성부재(36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이동부재(320)가 가이드부재(310) 내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부재(32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여 이동부재(320)를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n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본체 내에서 가이드부재(310)의 하부 방향에는, 가이드부재(310)의 하면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0)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즉, 이동부재(320)의 제2 돌출부(325)(325)의 걸림면(325a)과 걸림부재(330)의 걸림면(333a)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370)의 탄성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310)의 하면을 통하여 배터리덮개(200)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어,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작동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S. 6A and 6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가 잠김 상태인 경우 이동부재(320)의 제2 돌출부(325)(즉, 걸림면(325a))와 걸림부재(330)의 단부(331)(즉, 걸림면(333a))이 맞물려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6A, when the battery
구체적으로,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후면 케이스의 전방부에 삽입한 후 배터리덮개(200)의 타단부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이동부재(320)의 제2 돌출부(325)의 슬라이딩면(325b)이 언락킹 부재(340)의 가압 돌출부(341)의 상부면(341b)에서 지지반력을 받아 이동부재(32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제2 돌출부(325)의 슬라이딩면(325b)이 걸림부재(330)의 슬라이딩면(333b)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면(333b)에서 지지반력을 받아 이동부재(32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후 가이드부재(310)의 후면부와 이동부재(32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3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320)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돌출부(325)의 걸림면(325a)과 걸림부재(330)의 걸림면(333a)이 맞물려,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한다. 이때, 제1 돌출부(323)의 피가압면은 가압 돌출부(341)의 하부면에 (거의) 접촉해 있다.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at one end of th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230)의 일단부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후방부(230)의 일단부가 소정 높이 만큼 수직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방부(230)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구비된 언락킹 부재(340)가 수직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언락킹 부재(340)의 가압 돌출부(341)가 이동부재(320)의 제1 돌출부(323)의 피가압면(323a)에 가압력을 전달하므로, 이동부재(320)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제2 돌출부(325)의 걸림면(325a)과 걸림부재(330)의 걸림면(333a)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가이드부재(310)의 하부에서 본체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6B,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one end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간단한 구조의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230)의 일단부에 수직 하부방향의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에 배터리덮개 락킹장치(300)를 단말기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어 단말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로부터 용이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19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배터리덮개(200) 및 상기 배터리덮개(200)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를 포함한다.7, the terminal body includes a
배터리덮개(200)는, 일단부에는 본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를 본체의 전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는 상기 돌기가 단말기 본체에 삽입된 후 하부 방향으로 눌러져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 하부에 위치하는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걸림부재(243)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후면 케이스의 일 측면부를 단말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를 눌러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잠금상태를 이루는 구성 및 잠금상태에 있는 배터리덮개(200)의 일 측면부를 눌러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eleases the locking state of the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와 달리, 적은 부품수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의 락킹장치로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관찰할 때 그 구성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아 단말기 본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배터리덮개(200)의 일 측면부를 단말기 본체의 내부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에서 배터리덮개(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battery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는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10), 상기 가이드부재(410) 내에 수용되는 이동부재(420), 단말기 본체 내에(또는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는 걸림부재(243)를 포함한다. 8, a battery
가이드부재(410)는 이동부재(420)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경로를 한정한다. 즉, 가이드부재(410)는 이동부재(420)를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배터리덮개(200)에 주조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배터리덮개(200)에 용접되거나 또는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다.The
가이드부재(410)는 상기 이동부재(420)의 전방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후면부(411), 상기 후면부(4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개구부(413) 및 상기 이동부재(420)의 후방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멈춤턱을 포함한다.The
후면부(411)는 가이드부재(410)의 후면부(411) 쪽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칸막이로서, 이동부재(420)가 가이드부재(410)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면부(411)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413)은 후술할 이동부재(420)에 구비된 가이드돌출부(42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부(411)는 후술할 탄성부재(460)가 지지되는 부분의 역할도 한다.The rear portion 411 is a partition formed entirely or partly on the rear portion 411 side of the
멈춤턱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부재(410)의 후방 방향 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돌기로서 이동부재(420)가 가이드부재(410)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detent jaw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is a protrusion partially formed on the backward direction side of the
이동부재(420)는 가이드부재(410) 내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거나 또는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420)가 단말기 본체 내에 설치된 걸림부재(243)에 맞물리도록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터리덮개(200)는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고, 이동부재(420)가 걸림부재(24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전방 향향으로 이동하면 배터리덮개(200)는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0)는 배터리덮개(200)와 단말기 본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돌출부(423)와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제2 돌출부(4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423) 및 상기 제2 돌출부(425)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그리고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작동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shifting
또한, 이동부재(420)는 상기 가이드부재(410)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출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이동부재(420)와 가이드부재(410)의 후면부(411) 사이에는, 이동부재(420)의 가이드돌출부(421)가 관통하는 탄성부재(46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60)는 이동부재(420)가 가이드부재(410) 내에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부재(42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여 이동부재(420)를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n
걸림부재(243)는 이동부재(420)에 접촉하여 맞물리는 걸림면(243c)을 구비한다.The engaging
도 9는 후방 쪽에서 전방 쪽으로 봤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200) 및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0)는 배터리덮개(200)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상기 이동부재(420)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돌출부(423) 및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과 맞물리는 걸림면(425a)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425)를 포함한다.9, the moving
제1 돌출부(423)는 이동부재(420)의 일면에 상기 제1 돌출부(423)의 수직방향 중심이 상기 이동부재(420)의 수직방향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심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The
또한, 제1 돌출부(423)는 상기 제1 돌출부(423)의 양측면 중 상기 이동부재(420)의 수직방향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에 챔퍼(423a)를 구비한다. 상기 챔퍼(423a)는 경사면 또는 볼록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퍼(423a)는 배터리덮개(2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후술할 언락킹 부재(241)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언락킹 부재(24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압력에 대한 반력을 작용받아 이동부재(420)를 전방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제2 돌출부(425)는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과 맞물리는 걸림면(425a) 및 상기 걸림면(425a)에 연장되는 슬라이딩면(425b)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면(425a)은 상기 제2 돌출부(425)의 상부면이고 상기 슬라이딩면(425b)은 상기 제2 돌출부(425)의 하부면이다. 상기 걸림면(425a)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면(425b)은 경사면 또는 볼록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돌출부(425)는 이동부재(420)의 일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423)의 양측면 중 상기 이동부재(420)의 수직방향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후술할 언락킹 부재(241)의 폭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423)와 상기 제2 돌출부(425) 사이의 소정 거리 만큼의 공간에는 후술할 언락킹 부재(241)가 위치된다.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본체 내에서 가이드부재(410)의 하부 방향에는, 가이드부재(410)의 하면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0)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즉,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과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470)의 탄성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410)의 하면을 통하여 배터리덮개(200)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어, 배터리덮개(200)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 락킹장치(400)에 포함되는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단말기본체 후방부(240)란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단말기 본체의 일부분을 의미한다.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에는 배터리덮개(200)가 측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에(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423)의 챔퍼(423a)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언락킹 부재(241) 및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에(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에) 맞물리는 걸림부재(243)가 형성되어 있다.10, when the
도 11은 전방 쪽에서 후방 쪽을 봤을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1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락킹 부재(241)는,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제1 돌출부(423)와 제2 돌출부(425) 사이의 소정 거리만큼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단말기본체 후방부(240)(또는 후면 케이스의 후방부(230)의)의 수직방향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언락킹 부재(241)는 바(bar) 형상으로서 일면이 제1 돌출부(423)의 챔버를 가압하는 가압면 역할을 한다. 11, the unlocking
또한, 상기 언락킹 부재(241)에서 가압면 역할을 하는 일면과 수직된 일면은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이동부재(420) 중 제1 돌출부(423)가 형성된 일면에서 제1 돌출부(423)의 챔퍼(423a)의 시작부분에 (또는 거의) 접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언락킹 부재(241)는 상기 배터리덮개(200)가 측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챔퍼(423a)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unlockin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43)는 언락킹 부재(241)의 소정의 높이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243a)와 상기 수평부(243a)에서 직각되게 연장되는 수직부(243b)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243a)는 하부면으로서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에 맞물리는 걸림면(243c)과, 상부면으로서 상기 걸림면(243c)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딩면(243a)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면(243a)은 경사면 또는 볼록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the latching
여기서, 상기 수평부(243a)의 슬라이딩면은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제2 돌출부(425)의 슬라이딩면(425b)이 미끄러져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직부(243b)는 배터리덮개(200)의 일측면에 가압력이 가해질 때 이동부재(420) 및 배터리덮개(200)가 가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멈춤턱 역할을 한다.The sliding surface of the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에서 언락킹 부재(241)를 중심으로 수평부(243a)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 공간에는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가 아무런 간섭없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rotruding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방향에서 전방 방향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0)와 걸림부재(243) 및 언락킹 부재(241)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와 걸림부재(243)의 수평부(243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12c는 도 12a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와 언락킹 부재(24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2A to 12C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the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즉, 이동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10)가 구비된 일단부)의 상부면에 하부 방향 가압력이 가해져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는 걸림부재(243)의 수평부(243a) 하부에 수용되고,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과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이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2 돌출부(425)는 언락킹 부재(241)로부터는 가까이 그리고 수직부(243b)로부터는 멀리 위치되고, 언락킹 부재(241)는 제1 돌출부(423)와 제2 돌출부(425)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는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의 수용공간에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없이 수용된다. 12A, a down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lid 200 (i.e., one end portion of the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즉, 이동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10)가 구비된 일단부)의 상부면에 하부 방향 가압력이 가해져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제2 돌출부(425)의 슬라이딩면(425b)은 걸림부재(243)의 수평부(243a)의 슬라이딩면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부재(420)를 전방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제2 돌출부(425)가 수평부(243a)의 하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이동부재(420)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과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이 맞물린다.12B, a down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lid 200 (that is, on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moving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단부(즉, 이동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10)가 구비된 일단부)의 상부면에 하부 방향 가압력이 가해져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때, 억락킹 부재는 아직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의 챔퍼(423a)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며, 챔퍼(423a)가 시작되는 부분(즉, 제1 돌출부(423)의 뿌리쪽)에 가까이 위치된다.A down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200 (that is, one end portion of the moving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 방향에서 전방 방향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420)와 걸림부재(243) 및 언락킹 부재(241)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와 걸림부재(243)의 수평부(243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13c는 도 13a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동부재(420)의 제1 돌출부(423)와 언락킹 부재(24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3A to 13C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the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 측면부(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부)에 가압력이 가해져 배터리덮개(200) 및 이동부재(420)가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에 대해 우측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게 될 때, 이동부재(420)의 제2 돌출부(425)는 언락킹 부재(241)로부터는 멀리 그리고 수직부(243b)로부터는 가까이 위치되고, 언락킹 부재(241)는 제1 돌출부(423)의 챔버를 가압하여 제1 돌출부(423) 및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은 수평부(243a)의 걸림면(243c)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배터리덮개(200)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배터리 덮개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portion (e.g.,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as shown in Fig. 13A) of the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 측면부(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부)에 가압력이 가해져 이동부재(420)가 단말기본체 후방부(240)에 대해 우측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게 될 때, 억락킹 부재는 제1 돌출부(423)의 챔퍼(423a)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제1 돌출부(423)의 챔퍼(423a)는 억락킹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부재(420)를 전방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언락킹 부재(241)는 상기 챔퍼(423a)와 접촉한 상태이며, 상기 제1 돌출부(423)의 자유단부에 가까이 위치된다.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portion (e.g.,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as shown in FIG. 13A) of the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덮개(200)의 일 측면부(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부)에 가압력이 가해져 배터리덮개(200) 및 이동부재(420)가 단말기 본체에 대해 우측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하게 될 때, 이동부재(420)가 챔퍼(423a)와 언락킹 부재(241)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2 돌출부(425)의 걸림면(425a)과 걸림부재(243)의 걸림면(243c)은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덮개(200)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된다.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portion (e.g.,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as shown in Fig. 13A)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덮개 락킹장치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홈 또는 배터리덮개 락킹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외부버튼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후방 케이스에 하부 가압력을 가하거나 배터리덮개의 일측면부에 측면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배터리덮개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의 부품만을 사용하고도 배터리덮개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n opening for exposing the battery lid locking device to the outside or an external button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battery lid locking device,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mobile terminal as a whole can be improved, The battery cover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terminal body by applying a lower pressing force to the rear case of the terminal or applying a side pressing force to on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battery cover from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even if only a small number of parts are us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 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name) can be applied to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All or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 이동 단말기 190 : 배터리
200 : 배터리덮개 300, 400 : 배터리덮개 락킹장치
310, 410 : 가이드부재 320, 420 : 이동부재
330, 243: 걸림부재 100: mobile terminal 190: battery
200:
310, 410: guide
330, 243:
Claims (24)
상기 배터리덮개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맞물리는 걸림면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덮개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후방부의 일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가압 돌출부를 구비하는 언락킹 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battery pack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a battery cover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In the terminal,
A guide member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A mov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guide member and guided to be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by the guide member; And
And a latching member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latching surface engaged with the moving member to fix the battery lid to the main bod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an unlocking member having a pressing protrusion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acting in a downward direction to the moving member at one end of the rear portion, and the locking member.
상기 언락킹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후방부의 일단부는 소정 높이 만큼 탄성적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rear portion having the unlocking member is elastically reciprocable by a predetermined height.
L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언락킹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걸림면에 연장되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L,
A plurality of spaced-apart, spaced-
And a sliding surface extending to the engaging surface.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가압 돌출부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면과 맞물리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가압 돌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피가압면 및 상기 피가압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 돌출부의 상부면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and receiving a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ing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loca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and engaging with the engaging surface of the engaging member, Lt; / RTI >
Wherein the first projection includes a pressed surface receiving a pressing forc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rojection and a slid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pressed surface and sli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rojection.
상기 피가압면 및 상기 슬라이딩면은 경사면이고, 상기 피가압면의 경사각도가 상기 슬라이딩면의 경사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essed surface and the sliding surface are inclined surfaces and the inclined angle of the presse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inclined angle of the sliding surface.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면에 연장되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면은 경사면 또는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ncludes a sliding surface extending to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protrusion includes a slid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sliding surface is a sloped surface or a convex surface.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배터리덮개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상기 이동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면과 맞물리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수직방향 중심이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방향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fting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act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battery cover to the shifting member to move the shifting membe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hooking surface for engaging with the hooking surface of the hooking member. 2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projection is located such th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first projection in the moving member is eccentric in one direction from the vertical center of the moving member.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측면 중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방향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에는 챔퍼가 구비되고, 상기 챔퍼는 경사면 또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chamf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the chamfer being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mov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hamfer including a slope or a convex surface.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측면 중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방향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sid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mov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상기 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덮개가 측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제1 돌출부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언락킹 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언락킹 부재는, 상기 후방부의 수직방향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n unlocking membe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move the moving member in a forward direction by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first projection when the battery lid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herein the unlocking member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vertical center of the rear portion.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측면 중 상기 이동부재의 수직방향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에는 챔퍼가 구비되며, 상기 언락킹 부재는 상기 배터리덮개가 측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상기 챔퍼에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22. The method of claim 21,
A chamf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rojection positioned near the vertical center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unlocking member applies a pressing force to the chamfer when the battery lid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oves the moving member in a forward direction.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언락킹 부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면에 연장되는 상부면에 경사면 또는 볼록면인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latching member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nlocking member and including a sliding surface having an inclined or convex surface on an upper surface extending to the engaging surface and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portion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167A KR101830736B1 (en) | 2011-05-13 | 2011-05-13 | Mobile terminal |
EP12001315.6A EP2501112B1 (en) | 2011-03-14 | 2012-02-28 |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cover |
US13/419,815 US8787017B2 (en) | 2011-03-14 | 2012-03-14 | Mobile terminal |
CN201210067560.XA CN102685279B (en) | 2011-03-14 | 2012-03-14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167A KR101830736B1 (en) | 2011-05-13 | 2011-05-13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982A KR20120126982A (en) | 2012-11-21 |
KR101830736B1 true KR101830736B1 (en) | 2018-04-04 |
Family
ID=4751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5167A KR101830736B1 (en) | 2011-03-14 | 2011-05-13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07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399B1 (en) * | 2018-08-09 | 2020-05-15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Joint coupling of battery case for electric vehicles |
JP7309631B2 (en) * | 2020-02-17 | 2023-07-18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Operating device |
CN113889702B (en) * | 2020-06-16 | 2023-09-05 |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and housing assembly thereof |
-
2011
- 2011-05-13 KR KR1020110045167A patent/KR101830736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982A (en) | 201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8956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45108A (en) |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35029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16892B1 (en) | Mobile terminal crad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6074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2983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0665B1 (en) | Mobile terminal | |
EP2501112B1 (en) |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cover | |
KR101830736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059470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19779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135647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119169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1801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0275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34291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129608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99733B1 (en) |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to mobile terminal | |
KR20140052481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78378A (en) | Mobile/portable terminal | |
KR20130090594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1978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24989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93069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01650A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