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38889B1 -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 Google Patents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889B1
KR101838889B1 KR1020160125052A KR20160125052A KR101838889B1 KR 101838889 B1 KR101838889 B1 KR 101838889B1 KR 1020160125052 A KR1020160125052 A KR 1020160125052A KR 20160125052 A KR20160125052 A KR 20160125052A KR 101838889 B1 KR101838889 B1 KR 10183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button
user
uni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원경
김유리
남재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2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8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pera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a gesture; and a control portion for providing a user terminal with the received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operation portion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without modifying the electric wheelchair, the us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Description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a joystick,

본 발명은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동 휠체어를 개조하지 않고도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ntrol a user terminal using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without modifying the electric wheelchair. To a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휠체어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통상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를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 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A generally used wheelchair is a device that allows a person with an uncomfortable movement to move more easily,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and a manual type wheelchair in which a user normally rotates a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a seat is often used have.

그러나 이러한 수동 방식의 휠체어는 대부분 이동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팔이나 기타 신체에 중증 장애를 가진 지체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se manual wheelchairs are focused on movement only,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ith serious disabilities in the arm or other body are almost unavailable without the help of others.

최근에는 차체 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용자의 직접적인 힘 없이도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 레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developed many electric wheelchairs that can be easily used by using an operation lever such as a joystick without a direct force of the user by driving the wheel by the motor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car.

이와 같이, 전동 휠체어를 주로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조이스틱의 조작에 익숙하므로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도 조이스틱을 사용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andicapped person or the elderly who mainly use electric wheelchairs are accustomed to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joystick to control the peripheral device.

하지만,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으로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틱과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 체계의 수정이나 전동 휠체어의 개조가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의료 기기 허가나 인증 등과 같은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control a peripheral device with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 interface for connecting a joystick and a peripheral device, so it is inevitable to modify the electric signal system or to modify an electric wheelchair. As a result, The problem could have occurred.

또한, 경사진 곳에 전동 휠체어가 위치한 상태에서 조이스틱을 조작할 경우 기울어짐으로 인해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joystick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wheelchair is inclined in the inclined posi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due to inclinatio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91663호 (공개일 2012. 08. 20.)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91663 (published on Aug. 20, 201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동 휠체어를 개조하지 않고도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using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without modifying the electric wheelchair .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objects that can be achieved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objects explicitly mention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은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a joystick, the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to transmit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a gestur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상기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nse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and provide the detected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to the grip portion,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portion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Button portion.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바(bar)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bar.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may have a spherical shape,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may include a gripper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per unit and coupled to the gripper unit,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gripper unit and the coupling unit,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for performing the button operation.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는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have a spherical shape,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a ring shape,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may be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emainder may be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grip unit gripped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unit and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클릭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및 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선택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may include a function sele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ick button, a back button, and a home button.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a mouse cursor may be generated on the screen.

상기 마우스 커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The mouse cursor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은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가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wheelchair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n operation and a manipulation signal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a gesture, the manipulation part detachably mounted on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tion of the joystick and the manipulation signal.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상기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nsing an attitude of the electric wheelchair.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prov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d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grip portion,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portion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Button portion.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바(bar)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bar.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may have a spherical shape,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may include a gripper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per unit and coupled to the gripper unit,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gripper unit and the coupling unit,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for performing the button operation.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는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have a spherical shape, the engaging portion may have a ring shape,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may be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emainder may be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grip unit gripped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unit and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클릭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및 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선택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may include a function sele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ick button, a back button, and a home button.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a mouse cursor may be generated on the screen.

상기 마우스 커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The mouse cursor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전동 휠체어를 개조하지 않고도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using the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 chair without modifying the electric wheel chair.

즉, 조이스틱에 조작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조이스틱의 유선 전기 신호를 활용하지 않고도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부의 조작으로 사용자 단말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joystick,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ithout utilizing the wired electrical signal of the joystick.

또한, 휠체어의 자세를 기준으로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보정하여 경사진 곳에서도 평지와 같은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can be corrected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heelchair, so that the same operation as the flat surface can be performed even in a tilted position.

그리고, 손 근력이 약하거나 장애가 있어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으로 전동 휠체어의 운전은 가능하지만, 사용자 단말의 제어가 어려워 사용을 못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의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ic wheelchair with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because the hand strength is weak or has a disability.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here are advantages.

이와 더불어, 사용자 단말로 일을 하는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쉽고 사용자 단말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users working at the user terminal can easily access the user terminal and can more easily control the user terminal, which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lso included 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joystick.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joystick.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joystick.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process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1)은 크게 조작부(100) 및 제어부(200)를 구비한 전동 휠체어(1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1 mainly includes an electric wheelchair 10 having a control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00 and a user terminal 300, do.

전동 휠체어(10)는 휠체어 본체(11) 및 조이스틱(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휠체어 본체(11)는 사용자가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된 의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ic wheelchair 10 may include a wheelchair body 11 and a joystick 12. The wheelchair body 11 may be in the form of a chair provided with a wheel so that the user can move while sitting.

조이스틱(12)은 휠체어 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동 휠체어(10)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동 휠체어(10)에 대한 방향과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조이스틱(12)은 제스처에 따른 방향 또는 속도 명령을 입력받아 전후좌우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조이스틱(12)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되어 전방 주행 또는 후방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좌우로 조작되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joystick 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rmres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heelchair body 11 and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unit (not shown)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to set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have. The joystick 12 can control the forward / backward left / right travel by receiving a direction or speed command according to the gesture. The joystick 12 can be operated forward or backward to enable forward running or backward running, and can be operated to the left or right to make a left turn or a right turn.

조작부(100)는 전동 휠체어(10)의 조이스틱(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데,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조이스틱(12)의 기울기나 자세의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12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to detect movement of the joystick 12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100 can detect movement of the joystick 12 according to the gesture by provid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12 is controlled by the inclination or posture of the joystick 12 And the like.

그리고 조작부(100)는 감지된 조이스틱(12)의 움직임 및 생성된 조작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00 may transmit the motion of the detected joystick 12 and the generated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joystick.

도 3을 참조하면,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결합부(13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unit 100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 coupling unit 13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er 11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grasp by hand. In addition, the grip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결합부(130)는 파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지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상부에는 파지부(110)가 설치되어 파지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110. The grip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110 to support the grip portion 100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1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button portion 150 . 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button portion 150.

복수의 버튼부(150)는 결합부(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특히 손의 힘이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눌러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130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particular, the butt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regardless of the force or direction of a hand.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버튼부(150)는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누르는 힘이 없을 경우 손톱이나 손으로 쳐서 누를 수 있도록 버튼부(150)가 거꾸로 형성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누르는 동작을 하지 않고, 바 형태로 돌출 형성된 버튼부(150)의 측면을 치는 동작을 통해 버튼부(150)를 휘게 함으로써 버튼부(15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protruded in the form of a bar.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unit 150 is inverted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button unit 150 with a nail or a hand when there is no force to press the button unit 150.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unit 150, The user can manipulate the button unit 150 by bending the button unit 150 by moving the side of the protruded button unit 1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joystick.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결합부(13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unit 100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 coupling unit 13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er 11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grasp by hand. In addition, the grip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파지부(110)는 외면에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면서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button unit 15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operate the button unit 150 while the user grips the button unit.

결합부(130)는 파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지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링의 가운데는 파지부(110)가 설치되어 파지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측면에는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110. The grip 130 may have a ring shape and a grip 11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ing to support the grip 100. A button 150 may be provided on a side of the ring, 150, respectively.

복수의 버튼부(150)는 파지부(110) 및 결합부(13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부(150) 중 일부는 결합부(130)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파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버튼부(150)가 3개이고 오른 손을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제1 버튼부(150a)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파지부(1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2 버튼부(150b)는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에 대응하는 파지부(1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3 버튼부(150)는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결합부(13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provided in the grip unit 110 and the engaging unit 130, and can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installed in the engaging unit 130 and the remainder may be installed in the grip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three and the right hand is used as a reference, the first button unit 150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thumb of the user, The second button portion 150b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dex finger and the third button portion 15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ngagement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user's stop finger.

이와 같이, 구형의 파지부(110)와 링형의 결합부(130)를 합친 구조는 종래에 장애인들이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 조작이 어려워 조종 옵션으로 골프공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대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였을 때 버튼부(150)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herical grip portion 110 and the ring-shaped joint portion 130 are combined can replace the use of a golf ball as a steering op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manipulating the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The button unit 150 can be press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가 조이스틱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joystick.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unit 100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110)의 두께는 조이스틱(12)에 끼워질 정도로 얇게 형성하고, 폭은 사용자가 파지할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polyhedron having a width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thin enough to fit into the joystick 12, and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gripped by the user.

복수의 버튼부(150)는 파지부(110)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unit 110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구조는 듀센(이영양증) 등과 같은 근육병을 가지는 장애인에게 특화된 구조로서, 조이스틱(12)으로부터 분리하여 책상이나 전동 휠체어(10)의 랩 보드 등에 놓고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버튼부(150)가 3개이고 오른손을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약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 순으로 제1 내지 제3 버튼부(150a~150c)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엄지 손가락은 뒷면에 위치하게 파지시킬 수 있다.Such a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joystick 12 and placed on a desk or a lap board of an electric wheelchair 10, etc., which is specialized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muscular disease such as Duessen (dystrophy).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three and the right hand is used as a reference, the first to third button units 150a to 150c are sequentially positioned in the order of the finger, the stop finger, and the index finger, Can be held on the back surface.

버튼부(150)는 조작부(100)가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버튼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의 입력을 시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100)는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감지를 종료할 수 있다. The button unit 150 may receive the input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gesture from the user so as to control the user terminal 300 by the operation unit 100. That is, when a signal for starting input of a gesture is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operation unit 100 can detect movement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or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The detection can be terminated.

제어부(200)는 전송 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버튼부(150)를 통해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하도록 조이스틱(12)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300 with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received joystick. That is, when the input start signal of the gesture is inputted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12 to the user terminal 300 to control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00 ).

그리고 제어부(200)는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에 따라 제어부(200)에서도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감지하여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senses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to the user terminal 300. [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may sense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ccording to the input start signal of 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movement to the user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motion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제어부(200)는 전동 휠체어(10)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배터리(미도시)는 외장 배터리로서 쉽게 충전하고 갈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can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electric wheel chair 10, and the battery (not shown) can be easily charged and changed as an external battery.

제어부(200)는 조작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300)과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초기 설치를 할 때 자동 초점 조절을 하며 제어부(200)와 사용자 단말(300)이 통신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 커서가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가운데에 시작할 수 있게 한다. The control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wirelessly. When the controller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use cursor can be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Then, the mouse cursor can be star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이에 따라, 조작부(100)는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생성된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00)는 버튼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의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부(15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할 때는 클릭, 뒤로 가기 또는 홈버튼 기능과 같이 기능 선택 버튼의 역할을 하며, PC 등을 제어할 때는 일반 마우스의 왼쪽 클릭 또는 오른쪽 클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unit 100 can move the mouse cursor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Further, the operation unit 100 can select a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serve as function selection buttons, such as a click, a backward, or a home button function, when controlling a portable user terminal 30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You can perform left-click or right-click functions of the mouse.

사용자 단말(300)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memory mean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web pad, A processor, and a computing device, and variou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the user.

사용자 단말(300)은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된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200. [

즉, 사용자 단말(300)은 제어부(200)와 통신 연결되어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표시되면, 제어부(200)를 통해 조이스틱의 움직임이나 조작 신호를 전송 받아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기능 선택이 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mouse curs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200,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movement or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to move the mouse cursor or to select the function .

이와 같이, 조이스틱(12)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마우스 커서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버튼부(150)의 조작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어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us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joystick 12 or the fun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50 and the control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or the user terminal 300 The operation of the target device can be contro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process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process based on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10)의 조이스틱(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100)가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600).6, the operation unit 100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12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can transmit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S600).

조작부(100)는 전동 휠체어(10)의 조이스틱(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데, 조이스틱(12)의 움직임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조이스틱(12)의 기울기나 자세의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12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to sense movement of the joystick 12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 The operation unit 100 can detect movement of the joystick 12 according to the gesture by provid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12 is controlled by the inclination or posture of the joystick 12 And the like.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결합부(13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oper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 coupling unit 13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Referring to FIG.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er 11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grasp by hand. In addition, the grip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결합부(130)는 파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지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상부에는 파지부(110)가 설치되어 파지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110. The grip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110 to support the grip portion 100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1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button portion 150 . 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button portion 150.

복수의 버튼부(150)는 결합부(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특히 손의 힘이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눌러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130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particular, the butt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regardless of the force or direction of a hand.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버튼부(150)는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누르는 힘이 없을 경우 손톱이나 손으로 쳐서 누를 수 있도록 버튼부(150)가 거꾸로 형성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누르는 동작을 하지 않고, 바 형태로 돌출 형성된 버튼부(150)의 측면을 치는 동작을 통해 버튼부(150)를 휘게 함으로써 버튼부(15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protruded in the form of a bar.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utton unit 150 is inverted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button unit 150 with a nail or a hand when there is no force to press the button unit 150.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unit 150, The user can manipulate the button unit 150 by bending the button unit 150 by moving the side of the protruded button unit 150.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결합부(13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4, an oper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 coupling unit 13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s shown in FIG.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110)는 외면에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면서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per 11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grasp by hand. In addition, the grip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grip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button unit 15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operate the button unit 150 while the user grips the button unit.

결합부(130)는 파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지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30)는 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링의 가운데는 파지부(110)가 설치되어 파지부(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측면에는 버튼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0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110. The grip 130 may have a ring shape and a grip 11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ing to support the grip 100. A button 150 may be provided on a side of the ring, 150, respectively.

복수의 버튼부(150)는 파지부(110) 및 결합부(13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부(150) 중 일부는 결합부(130)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파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버튼부(150)가 3개이고 오른 손을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제1 버튼부(150a)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파지부(1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2 버튼부(150b)는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에 대응하는 파지부(1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3 버튼부(150)는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결합부(13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provided in the grip unit 110 and the engaging unit 130, and can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installed in the engaging unit 130 and the remainder may be installed in the grip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three and the right hand is used as a reference, the first button unit 150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thumb of the user, The second button portion 150b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dex finger and the third button portion 15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ngagement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user's stop finger.

이와 같이, 구형의 파지부(110)와 링형의 결합부(130)를 합친 구조는 종래에 장애인들이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 조작이 어려워 조종 옵션으로 골프공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대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였을 때 버튼부(150)를 누를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herical grip portion 110 and the ring-shaped joint portion 130 are combined can replace the use of a golf ball as a steering op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manipulating the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The button unit 150 can be pressed.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는 파지부(110) 및 복수의 버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oper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rip unit 110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s shown in FIG.

파지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파지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110)의 두께는 조이스틱(12)에 끼워질 정도로 얇게 형성하고, 폭은 사용자가 파지할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The gripper 110 may be gripped by a user.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polyhedron having a width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thin enough to fit into the joystick 12, and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gripped by the user.

복수의 버튼부(150)는 파지부(110)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unit 110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구조는 듀센(이영양증) 등과 같은 근육병을 가지는 장애인에게 특화된 구조로서, 조이스틱(12)으로부터 분리하여 책상이나 전동 휠체어(10)의 랩 보드 등에 놓고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버튼부(150)가 3개이고 오른손을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약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 순으로 제1 내지 제3 버튼부(150a~150c)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엄지 손가락은 뒷면에 위치하게 파지시킬 수 있다.Such a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joystick 12 and placed on a desk or a lap board of an electric wheelchair 10, etc., which is specialized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muscular disease such as Duessen (dystrophy).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are three and the right hand is used as a reference, the first to third button units 150a to 150c are sequentially positioned in the order of the finger, the stop finger, and the index finger, Can be held on the back surface.

버튼부(150)는 조작부(100)가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와 종료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버튼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의 입력을 시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100)는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감지를 종료할 수 있다. The button unit 150 may receive the input start signal and the end signal of the gesture from the user so as to control the user terminal 300 by the operation unit 100. That is, when a signal for starting input of a gesture is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operation unit 100 can detect movement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or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The detection can be terminated.

다음으로, 제어부(200)가 조작부(100)로부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610). 즉 제어부(200)는 버튼부(150)를 통해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하도록 조이스틱(12)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2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300 with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100 (S610). That is, when the input start signal of the gesture is inputted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12 to the user terminal 300 to control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00 ).

그리고 제어부(200)는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스처의 입력 시작 신호에 따라 제어부(200)에서도 전동 휠체어(10)의 자세를 감지하여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senses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 to the user terminal 300. [ That is, the control unit 200 may sense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 according to the input start signal of 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movement to the user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motion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제어부(200)와 사용자 단말(300)이 통신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 커서가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가운데에 시작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a mouse cursor can be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 Then, the mouse cursor can be star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이에 따라, 조작부(100)는 제스처에 따른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생성된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00)는 버튼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의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부(150)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할 때는 클릭, 뒤로 가기 또는 홈버튼 기능과 같이 기능 선택 버튼의 역할을 하며, PC 등을 제어할 때는 일반 마우스의 왼쪽 클릭 또는 오른쪽 클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unit 100 can move the mouse cursor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0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Further, the operation unit 100 can select a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button unit 150.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50 serve as function selection buttons, such as a click, a backward, or a home button function, when controlling a portable user terminal 30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You can perform left-click or right-click functions of the mouse.

이와 같이, 조이스틱(12)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마우스 커서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버튼부(150)의 조작에 따라 기능이 선택되어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us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joystick 12 or the fun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50 and the control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or the user terminal 300 The operation of the target device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medium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Th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such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 and DVD, programmed instructions such as floptical disk and magneto-optical media, ROM, RAM, And a hardwar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program.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12: 조이스틱
100: 조작부
110: 파지부
130: 결합부
150: 버튼부
200: 제어부
300: 사용자 단말
1: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based on joystick
12: Joystick
100:
110:
130:
150: button portion
200:
300: user terminal

Claims (22)

삭제delete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and provides the detected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ping portion gripped by a user,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to the grip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and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제 3 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바(bar)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protruding in the form of a bar.
제 4 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Spherical,
Wherein the joining portion is a plate-shaped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ping portion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grip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provided on the gripping unit and the joining unit and generating the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제 6 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는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Spherical,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rei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rest is installed in the grip portion.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부, 그리고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for transmitting movement and oper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 portion gripped by the user,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and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제 3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클릭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및 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선택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6 and 8,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And a function sele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ick button, a back button, and a home button.
제 2 항, 제 3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3, 6, and 8,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a mouse cursor is generated on the screen when the controller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ontroller.
제 10 항에서,
상기 마우스 커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use cursor comprises:
And a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system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가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된 전동 휠체어의 자세를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An opera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joystick of an electric wheelchair transmits a motion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The control unit sensing the postur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an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wheel chai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Step of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가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A manipulation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transmits the movement and manipul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ping portion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grip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and genera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제 14 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바(bar)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wheelchair based on a joystick formed in a bar shape.
제 15 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Spherical,
Wherein the joining portion is a plate-shaped joystick-based electric wheelchair control method.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가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 및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A manipulation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transmits the movement and manipul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ping portion gripped by a user,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grip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provided on the gripping unit and the joining unit and generating the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제 17 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구형이고,
상기 결합부는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버튼부 중 일부는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Spherical,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rei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rest is installed in the grip portion.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가 제스처에 따른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조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전송받은 조이스틱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의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A manipulation part detachably mounted on the joystick of the electric wheelchair transmits the movement and manipulation signals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gestur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ed joystick and the operation signal,
Wherein,
A grip portion gripped by the user, and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to generate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제 14 항, 제 17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부는,
클릭 버튼, 뒤로 가기 버튼 및 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선택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17 and 19,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And a function sele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ick button, a back button, and a home button.
제 13 항, 제 14 항, 제 17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 화면에 마우스 커서가 생성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14, 17, and 19,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d a mouse cursor is generated on the screen when the controller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ontrol unit.
제 21 항에서,
상기 마우스 커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조이스틱 기반의 전동 휠체어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mouse cursor comprises:
Wherein the joystick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KR1020160125052A 2016-09-28 2016-09-28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KR101838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52A KR101838889B1 (en) 2016-09-28 2016-09-28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52A KR101838889B1 (en) 2016-09-28 2016-09-28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89B1 true KR101838889B1 (en) 2018-03-20

Family

ID=6191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52A KR101838889B1 (en) 2016-09-28 2016-09-28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8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21A (en) * 2020-09-08 2022-03-15 근로복지공단 Analysis sysem for driving wheelchair
KR20230104331A (en) 2021-12-30 2023-07-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Wheelchair Based on Joystick Input with Obstacle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병섭 외 4명, 전동휠체어 조이스틱 컨트롤러를 이용한 효율적인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0, 49(3), 265-284.
안현진 외 6명, Octopus Launcher: 중증 지체장애인을 위한 전동 휠체어 조이스틱 기반 스마트폰 컨트롤 솔루션,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한국HCI학회. 2014.02., HCI 2014, PP.900-90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21A (en) * 2020-09-08 2022-03-15 근로복지공단 Analysis sysem for driving wheelchair
KR102420888B1 (en) 2020-09-08 2022-07-15 근로복지공단 Analysis sysem for driving wheelchair
KR20230104331A (en) 2021-12-30 2023-07-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Wheelchair Based on Joystick Input with Obstacle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629B2 (en) Hand-held computer interactive device
Park et al. Robotic smart house to assist people with movement disabilities
US10891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in non-planar controls
JP5415519B2 (en) Pointing device for use on interactive surfaces
JPH10240433A (en) Input device
Mahmud et al. A multi-modal human machine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mart wheelchair
KR101838889B1 (en) Electric Wheel Ch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Joystick
US10191557B2 (en) User interface device
WO2015153690A1 (en) Wearable motion sensing computing interface
Fan et al. Digital twin-driven mixed reality framework for immersive teleoperation with haptic rendering
Meena et al. Emohex: An eye tracker based mobility and hand exoskeleton device for assisting disabled people
KR1017411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Electric Wheel Chair
US20190004596A1 (en) Hands-free input method and intra-oral controller apparatus
TW201007505A (en) Automatic enablement and disablement of a cursor mover
JP2005293512A (en) Finger-worn type data input device
Sahadat et al. Simultaneous multimodal access to wheelchair and computer for people with tetraplegia
CN111267129B (en) Control device of accompanying robot
Chung et al. Robotic Assistance in Action: Examining Control Methods for Long-Term Owners of Wheelchair-Mounted Robotic Arms
WO2024075461A1 (en) Autonomous movement robot
WO2006062079A1 (en) Input support device
KR200277580Y1 (en) mouse
KR101111285B1 (en) Mouse having body of partition type for the handicapped people
CN210466329U (en) Input system
Wojtowicz et al. Stretch to the Client; Re-imagining Interfaces
JP2003220096A (en) Method of inputting control signal of moving device for electric wheel chair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