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35227B1 -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27B1
KR101835227B1 KR1020160112916A KR20160112916A KR101835227B1 KR 101835227 B1 KR101835227 B1 KR 101835227B1 KR 1020160112916 A KR1020160112916 A KR 1020160112916A KR 20160112916 A KR20160112916 A KR 20160112916A KR 101835227 B1 KR101835227 B1 KR 10183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group
composition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Y10S514/9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서목태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다양한 안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TING OR TREATING OCULAR DISEASE CONTAINING RHYNCHOSIA NULUBILIS}
본 발명은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안질환은 산화 스트레스, 염증, 세균, 외부 자극, 노화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TV, 컴퓨터 등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눈이 혹사되어 눈의 피로, 안구건조증과 같은 안질환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보통 검은콩보다 훨씬 잘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서목태(鼠目太)라고 불린다. 서목태는 특히 약성이 뛰어나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됐으며,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서목태를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550358호
본 발명은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안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눈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질환은 안구건조증, 안검염, 각막염, 망막염 및 시신경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눈물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어 안구건조증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으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의 열수 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랫에서의 서목태 추출물의 처리 실험 스케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처리 실험 후 안구의 형광 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처리 실험 후 STT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처리 실험 후 캡사이신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목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롯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물 안구의 H&E 염색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A) Control B) Vehicle C) Pre-low D) Pre-high E) Post-low F) Post-high G) Positive.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구의 상피층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피 조직에서의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눈물샘에서의 눈물샘 세포면적을 측정한 이미지이다. A) Control B) Vehicle C) Pre-low D) Pre-high E) Post-low F) Post-high G) Positive. 왼쪽: H&E 염색결과, 오른쪽: 눈물세포 부위 영상처리결과.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눈물샘에서의 눈물샘 세포면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b)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a) 안구 및 (b) 혈청의 사이토카인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안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열수 추출, 유기 용매 추출 등의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도 1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목태를 압력 추출한 후 분쇄하고 세척한 뒤 약 20배의 물을 가하여 희석한다. 그런 다음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서목태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서목태는 압력 추출 전에 수율, 효능 등을 개선시키기 위해 전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80~300℃의 온도, 예를 들어, 100~300℃, 150~300℃, 200~300℃, 250~300℃, 80~250℃, 80~200℃, 80~150℃, 또는 80~100℃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 700 μg/mL, 0.1 ~ 500 μg/mL, 0.1 ~ 250 μg/mL, 0.1 ~ 100 μg/mL, 0.1 ~ 50 μg/mL, 0.1 ~ 10 μg/mL, 1 ~ 700 μg/mL, 10 ~ 700 μg/mL, 50 ~ 700 μg/mL, 100 ~ 700 μg/mL, 250 ~ 700 μg/mL, 또는 10 ~ 650 μg/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생리학적 유효 물질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계피 추출물 등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서목태 추출물 제조
도 1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서목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서목태는 옴니허브(대한민국, 대구)에서 입수하였으며, 서목태를 세척 후 핸들식 무압력 추출기(KSNP-BL180-240)로 압력 추출한 후 Pin Mil(Pin cracher)로 분쇄하였다. 분쇄물을 2회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다시 분쇄하고 여기에 20배의 물을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여과포로 3회 여과한 후 여과지로 최종적으로 여과하여 서목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여액은 사용 전까지 냉장보관하였다.
실험예 1. 동물 모델 실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 스케쥴에 따라 동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랫(SD종, 4주령, 100-110g, 숫컷)(㈜효성동물에서 구입)은 모두 8 그룹으로 그룹당 8마리씩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상군은 Control, 안구건조증 유발군은 vehlicle, 안구건조 유발전 고농도의 서목태 추출물 투여군은 Pre-high dose(250 mg/100g rat weight), 안구건조 유발전 저농도의 서목태 추출물 투여군은 Pre-low dose(65mg/100g rat weight), 안구건조 유발 후 고농도의 서목태 추출물 투여군은 Post-high (250mg/100g rat weight), 안구건조 유발 후 저농도의 서목태 추출물 투여군은 Pre-low dose(65mg/100g rat weight), Positive control 군으로 오메가 3(85mg/100g rat weight) 투여하였다. Pre-Group은 7일 적응 이후 8일째부터 구강으로 농도별로 서목태 추출물을 투여하여 37일째 동물희생을 실시하였다. Pre-Group의 안구건조유발은 14일째 1차 안구건조 유발과 21일째 2차 안구건조 유발을 하였다. Post Group은 적응 이후 7일에 1차 안구건조 유발과 함께 농도별로 서목태 추출물을 투여하였고 14일에 2차 안구건조유발을 하여 37일째 동물희생을 실시하였다. 안구건조 유발은 모든 유발그룹에 동일하게 시그마에서 구입한 Freund’s Adjuvant complete를 1차, 2차 동일하게 15㎕씩을 눈물샘으로 전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주입하였다. 37일째에 동물을 희생시킨 후 STT 테스트, 육안 검사 및 캡사이신 테스트 등을 실시하였다.
우선, 알카인 0.5% 점안액을 fluorescein paper에 40㎕ 떨어뜨린 후 실험쥐의 눈에 점안하고 20초 이후에 innotech INV-150을 이용하여 암실에서 안구촬영 형광물질이 관찰되는 면적비교는 Image J64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안구건조로 인하여 손상정도가 클수록 형광물질이 관찰되는 면적이 넓어진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vehicle의 형광면적은 6.962±1.01, post-low는 5.892±0.42, post-high 3.129±0.32, pre-low은 1.18±0.19, pre- high 에서는 0.595±0.21로 pre-high 그룹에서 형광면적부위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눈물양 정도를 표준화된 멸균 strips paper로 측정하는 분석법인 STT(schirmer tear test)를 실시하고 눈물에 젖은 paper의 면적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안구건조로 눈물의 양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vehicle은 4.91±0.45, post-low는 6.31±0.42, post-high 7.08±0.35, pre-low은 6.42±0.31, pre- high은 6.91±0.19로 투여군이 유발군에 비하여 눈물의 양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안구손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캡사이신 행동평가를 실시하였다. 눈주위를 닦는 횟수증가는 손상정도가 큰 것으로 이해된다. 캡사이신 (15mg/1ml) 20㎕를 안구에 투여하여 랫의 눈부위를 닦는 횟수를 3분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vehicle은 32.67±1.20, post-low는 30.33±0.88, post-high 31.34±0.89, pre-low은 26.34±0.66, pre- high은 28.00±0.57로 pre-투여군이 유발군에 비하여 닦는 횟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산화 활성 평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서목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DPPH(Diphenylpicryl hydrazyl)의 hydrazyl은 질소원자가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므로 쉽게 수소원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수소원자를 받아들임으로써 자체의 정색성을 잃는 것을 이용하였다. 서목태의 물질별 농축 건조물을 10, 20, 40, 80, 160, 320, 640 μg/mL의 7가지 농도로 조제한 용액 0.1 ml(control: 99.5% ethanol)에 0.2 mM DPPH용액(99.5% ethanol) 1.9 ml를 가하였다. Vortex mixer로 10초간 진탕한 후 37℃에서 30분 동안 incubation시켰다. 이후 x-Mark micro spectrophotometer read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 약물로는 L-ascorbic acid를 10, 20, 40, 80, 160, 320, 640 μg/mL(99.5% ethanol)의 6가지 농도로 조제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항산화작용은 DPPH에 대한 % Antioxidant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으로 나타냈으며, 결과는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목태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고 640 μg/mL에서는 약 50%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Nitric oxide 측정
실험예 1의 동물 모델의 각막시료를 균질화시킨 PRO-PREP(INTRON.)를 0.4 mL/g를 섞어준 후 4℃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13,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후에 상층액을 수거하여 Nitric oxide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을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상층액 100 μl와 Griess 시약[1%(w/v) sulfanilamide, 0.1%(w/v)napht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x-Mark micro spectrophotometer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NaNO2)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얻었다. 도 7은 Nitric oxide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서목태 추출물이 처리된 동물 모델에서 낮은 Nitric oxide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Xanthine oxidase는 모든 purine의 terminal oxidation에서 rate-limiting enzyme으로 작용하며 superoxide radical이나 hydrogenperoxide와 같은 산화제의 source로서 작용하는 효소이다. Xanthine/ xanthine oxidase의 효소에 의한 superoxide 음이온 저해작용은 superoxide 음이온 소거작용과 xanthine oxidase 효소 저해에 의해 나타나며 free radical의 생성 억제를 통해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시료용액 0.1 ml와 pH 7.5의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0.6 ml에 2 mM xanthine을 녹인 기질액 0.2 ml를 첨가하고 0.2 unit/ml xanthine oxidase 0.1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uric acid를 2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Xanthin oxidase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BHA(butylated hydroxy anisole)를 이용하여 서목태 추출물(RNE) 10, 20, 40, 80, 160, 320, 640 μg mL-1의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를 비교하였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목태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uperoxide radical소거작용을 나타냈으며, 640 μg mL-1의 농도에서 55%이상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웨스턴 블롯
안구 및 눈문샘에서의 염증, 항산화, 신생혈관생성에 관한 신호 전달 단백물질인 Nrf2, iNOS, VEGF, NF-κB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고 결과를 도 9 내지 12에 나타냈다. 안구에서의 Nrf2의 발현은 vehicle 그룹(1.66±0.09)에 비해 Pre-low(1.29±0.03), Post-low(1.14±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VEGF의 발현은 vehicle 그룹(1.47±0.12)에 비해 Pre-low( 1.18±0.02)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도 9). iNOS의 발현은 vehicle 그룹(2.95±0.15)에 비해 Pre-low(1.97±0.06), Post-high(1.56±0.08), Post-low(0.92±0.05 )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P〈0.01)(도 10).
눈물샘에서의 NF-κB의 발현은 vehicle 그룹(2.56±0.07)에 비해 Pre-high( 1.49±0.02), Post-high(1.52±0.04)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iNOS는 vehicle 그룹(1.61±0.13)에 비해 Pre-high(1.00±0.04), Post-high(1.06±0.0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P〈0.01)(도 11). Nrf는 vehicle 그룹(1.99±0.06)에 비해 Pre-high(0.99±0.09),Pre-low(1.17±0.02) Post-high(1.01±0.07)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P〈0.01)(도 12).
이와 같이, 항염증, 항산화, 신생혈관생성 신호 전달 단백질인 Nrf2, iNOS, VEGF, NF-κB의 발현이 vehicle 그룹에 비해 고농도 및 저농도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안구건조 및 안질환에 있어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에 의한 항염증, 항산화, 신생혈관생성 신호전달의 제어를 통해 안구건조를 포함한 안질환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Nrf-2 은 핵내로 들어간 Nrf2는 Antioxidant response element(ARE)와 결합으로 활성화 되면 Fos유전자가 발현되며 Fos 유전자삼루인 c-Fos는 c-Jun 단백질과 결합해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바, 이는 투여군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의 발현의 감소의 결과로 판단되며 이러한 사실에 부합하여 안구와 눈물샘의 투여군에서 vehicle 그룹에 비해 활성의 감소를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눈물샘과 안구의 H&E 염색 결과
H&E 염색을 통해 실험예 1의 동물 모델의 안구의 상피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막의 상피층의 측정은 ImagePro viewing software를 사용하여 400 x 배율에서 각 그룹당 8마리의 개체를 계측하였다. 각막상피층의 측정은 각막과 공막사이의 전이대인 연곽(limbus)의 존재를 기준으로 실행하였다. 안구의 H&E 염색을 통한 동물 그룹에서 안구 상피층 두께를 측정한 결과 Vehicle과 비교하여 서목태 추출물 투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vehicle 상피두께(평균 12.37 μm)에 비하여 Pre-high 상피두께(평균 17.46 μm)는 현저한 회복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13 및 14).
상피내의 세포의 수는 Image J64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사용하여 정형화된 핵을 기준으로 세포의 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비정형화된 핵과 산출할 수 없는 세포는 배제하였다. 각 측정자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각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동물 그룹에서 상피층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15에 나타냈으며, Vehicle과 비교하여 서목태 투여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실험군은 Pre-high이였으며 vehicle 세포수(평균 39.5 개/mm)에 비하여 Pre-high 세포수(평균 27.25 개/mm)는 현저하게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눈물샘에서 눈물샘세포 면적비교는 Image J64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눈물샘을 sampling 한 후 동일한 지역을 수집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6 및 17에 나타냈으며, 각 동물그룹의 눈물샘세포 면적 비교 결과 Control군(1±0.05)에 비하여 Vehicle군(0.39±0.07)은 다소 작아진 비율을 나타냈으며 Vehicle과 비교한 실험군에서는 Pre-high(0.78±0.04)는 현저하게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p<0.01), 그 외 다른 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p<0.05).
실험예 4. 사이토카인 측정
실험예 1의 동물 모델의 안구와 혈청의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석은 안구조직을 호모게나이즈로 얻은 상층액과 복대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을 원심 후 상층액의 혈청을 이용하여 R&D kit를 사용하여 microplate reader의 45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안구조직과 혈청 내 IL-6, IL-1β, TNF-α의 농도(pg/mL)는 표준용액의 정량곡선을 기준으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는 안구와 혈청에서 IL-6는 veicle(445.23±23.12)(495.48±53.85) 그룹에 비해 Pre-low(47.42±23.71)(211.25±10.81), Pre-high(41.6±18.6)(86.75±39.31), Post-low(97.85±8.35)(123.5±7.61) Post-high(90.87±14.31)(81.5±6.45)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TNF-α는 vehicle(100.86±4.08)(81±8.61) 그룹에 비해 Pre-low(40.04±12.23)(28.89±8.99), Pre-high(22.17±13.9)(22.87±9.67), Post-low(64.04±5.79)(47.25±6.66) Post-high(34.41±3.19)(34.21±12.56)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IL-1β는 vehicle(44.38±4.62)(70.82±17.83) 그룹에 비해 Pre-low(32.07±0.60)(31.67±1.94), Pre-high(30.46±0.92)(35.1±3.14), Post-low(32.27±0.69)(32.68±2.77), Post-high(32.08±3.43)(37.93±6.75)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안구건조 및 안질환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1β, TNF-α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후의 고농도, 저농도 투여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안구건조의 유발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증가됨으로써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이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어 안구건조 및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안검염, 각막염, 망막염 및 시신경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눈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목태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5. 서목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안검염, 각막염, 망막염 및 시신경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60112916A 2016-09-02 2016-09-02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16A KR101835227B1 (ko) 2016-09-02 2016-09-02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16A KR101835227B1 (ko) 2016-09-02 2016-09-02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227B1 true KR101835227B1 (ko) 2018-03-08

Family

ID=6172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16A KR101835227B1 (ko) 2016-09-02 2016-09-02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38A1 (ko) * 2017-04-12 2018-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58B1 (ko) * 2005-05-20 2006-02-08 임강현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에 유효한 식품 및 사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58B1 (ko) * 2005-05-20 2006-02-08 임강현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에 유효한 식품 및 사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38A1 (ko) * 2017-04-12 2018-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566B2 (en) Method of improving lacrimal secretion for dry eye treatment using maqui berry extract
TWI787268B (zh) 預防近視用組成物及機能性食品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JP6773303B2 (ja) シクンシ抽出物を含む前立腺肥大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7007649A (zh) 含有圆叶茑萝提取物的糖尿病治疗用药物组合物
KR101835227B1 (ko)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79747A1 (ja) Hif抑制用組成物
KR102487345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5063507A (ja) 老化に起因する網膜障害の抑制剤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02A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21846A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4622B1 (ko) 데페록사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2158B1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115995B2 (ja) 非酵素的糖化反応抑制剤
JPWO2006030907A1 (ja) 網膜保護剤
JP7474432B2 (ja) 抗アレルギー剤
KR20240071851A (ko) 잎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0633357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트 및 코코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KR101923822B1 (ko) 산수유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70023055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48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92308A (ko) 걱 펄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0904A (ko) 어류의 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개선용 조성물
KR20240055549A (ko) 골담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