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34916B1 -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916B1
KR101834916B1 KR1020177016337A KR20177016337A KR101834916B1 KR 101834916 B1 KR101834916 B1 KR 101834916B1 KR 1020177016337 A KR1020177016337 A KR 1020177016337A KR 20177016337 A KR20177016337 A KR 20177016337A KR 101834916 B1 KR101834916 B1 KR 10183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ounting plate
adhesive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698A (ko
Inventor
페이 춘 창
케네스 비. 우드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8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47G1/175Stretch relea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10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cabinets, walls, do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벽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한 조립체로서,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WALL-MOUNT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접착제(예, 감압 접착제)는 종종 표면 상에 물품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양면 접착 테이프(즉, 대향되는 주 표면 둘 모두 위에 접착제를 구비(bear)하는 테이프)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신 이형 접착 테이프가 매우 다양한 장착 응용에 사용되었다.
폭 넓게 요약하면, 벽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한 조립체가 개시되며,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 및 기타 양태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요지가 최초 출원된 바와 같은 출원의 청구범위에 제시되든 절차 중 보정되거나 달리 제시되는 청구범위에 제시되든 간에, 상기 넓은 의미로서의 요약이 청구가능한 발명의 요지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 플레이트 및 양면 접착제를 벽면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 플레이트 및 양면 접착제가 벽쪽으로 대향되어 있는 것을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 플레이트 및 양면 접착제의 일반적(generic)인 이상화된 측면도로서, 장착 플레이트 및 접착제가 리세스 상태에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 플레이트 및 양면 접착제의 일반적인 이상화된 측면도로서, 장착 플레이트 및 접착제가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다.
도 6은 완전 접합 상태의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 플레이트 및 양면 접착제의 일반적인 이상화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8의 예시적인 장착 플레이트의 부분 절개 측평면도이다.
도 9는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2개의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조립체가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대향되어 있는 것을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다양한 도면들에서의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일부 요소들은 동일하거나 동등한 다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오직 하나 이상의 대표적인 요소가 도면 부호에 의해 지시될 수 있지만, 그러한 도면 부호가 그러한 동일한 요소 모두에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문헌의 모든 도면들은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되어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예시할 목적으로 선택된다.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는 단지 설명적인 관점에서 도시되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들 사이의 관계는 도면으로부터 추론되도록 지시되지 않는 한 도면으로부터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위에, 아래에, 위로, 상부, 아래로, 하부, 상부 및 저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참조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의 특정 묘사와 관련하여 사용되며, 언급하지 않는 한 지구의 중력에 대한 특정 방향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성 또는 속성에 대한 수식어로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대체적으로"는 달리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특성 또는 속성이 높은 정도의 근사를 요구함이 없이(예컨대, 정량화할 수 있는 특성에 대해 +/- 20% 이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가능할 것임을 의미한다. 각도 배향의 경우, 용어 "대체적으로"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이내라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실질적으로"는, 달리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높은 정도의 근사(예컨대, 정량화가능 특성에 대해 +/- 10% 이내)를 의미한다. 각도 배향의 경우, 용어 "실질적으로"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내라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본질적으로"는 ± 2%(각도 배향에 대해 2도 안팎)를 의미하며, "적어도 필수적으로"라는 구절은 "정확한" 매치의 특정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심지어 "정확한" 매치, 또는 동일한, 같은, 일치하는, 균일한, 일정한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임의의 다른 특성은 절대적인 정밀도 또는 완벽한 일치를 요구하기보다는 특정 환경에 적용가능한 통상의 허용오차(tolerance) 또는 측정 오차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파라미터(치수, 비율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파라미터의 다수의 측정으로부터 유도되는 평균값을 사용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설명
외측, 최외측 등과 같은 용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다양한 도면에서, 36)으로부터 멀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착될 벽(다양한 도면에서, 60)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여기서 방향은 적어도 대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의 주 접착제-수용 표면(다양한 도면에서, 11)의 평면에 수직인 축을 따른다. 이러한 축 및 이 축을 따르는 이러한 방향은 다양한 도면에서 z 및 z+로 각각 지정된다. 내측, 최내측 등의 용어는 z+ 방향의 반대 방향(z-)을 나타낸다. "노출" 접착제 표면이라는 것은 이형 라이너로 덮이지 않은 접착제 표면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출 표면은 예컨대, 표면이 거의 보이지 않거나 전혀 보이지 않도록 벽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벽(60)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한 조립체(1)가 개시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체(1)는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용어 플레이트는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예컨대 반드시 순수한 평면 형상 또는 형식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탈착식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조립체의 통상적인 사용에서 그리고 공구의 사용 없이 장착 플레이트(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어느 한 물품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수동으로 서로로부터 결합해제(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향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은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후에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이 (예컨대, 손가락 압력에 의해) 벽을 향해 수동으로 편향될 수 있는 한편, 장착 플레이트(10)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의 편향 도중에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또는 심지어 약간 내측으로 움직이도록) 장착 플레이트(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결합됨을 특히 의미한다.
장착 플레이트(10)는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주 표면(11)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부착되는) 제1 주 접착제 표면(21) 및 노출된 접착제 표면인(그리고 궁극에는 벽(60)에 접합될) 제2 주 접착제 표면(22)을 갖는 양면 접착제(20)(즉, 접착 시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레이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세장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장축(다양한 도면에서 y 축)은 편리하게는 지구의 중력과 적어도 대체적으로 정렬되며, 단축(다양한 도면에서 x 축)은 장착 플레이트(10)의 횡방향(측방향) 축이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접착제(20)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 사항이 유지된다. 장착 플레이트(10)는 제1 주 표면(11)으로부터 반대쪽으로 대향하는 제2 주 표면(15)을 포함한다. 장착 플레이트(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나 이상의 상보적 결합 구조(33)와 정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물(17)(본 명세서에 이후에 상세히 기술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의 캔틸레버형 빔(cantilevered beam))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결합 구조물(17)은 장착 플레이트(10)의 주 표면(15)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10)는 중합체 재료, 세라믹 재료, 금속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10)는 사출 성형된 유기 중합체성 재료로 구성된다.
양면 접착제(20)는 제1 주 표면(21) 및 반대쪽 대향인 제2 주 표면(22) 상의 감압 접착제 기능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보통 실온에서 점착성이고, 기껏해야 가벼운 손가락 압력의 인가에 의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감압 접착제는 문헌(Handbook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D. Satas, 2nd ed., page 172(1989))에 기재된 달퀴스트(Dahlquist)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는 사용 온도에서(예를 들어, 15℃ 내지 35℃ 범위의 온도에서) 1 × 10-6 ㎠/dyne보다 큰 1초 크리프 컴플라이언스(one-second creep compliance)를 갖는 접착제로서 정의된다. 접착 시트(20)는 제1 주 표면(21)이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주 표면(11)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고, 제2 주 표면(22)이 적합한 벽 표면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어 "벽"은 본 명세서에서 편의를 위해 사용되지만, 이 용어는 조립체(1)를 그 상에 장착하기를 원할 수 있는 임의의 물품 또는 개체(예컨대, 패널, 파티션, 창 등)를 광범위하게 포괄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양면 접착 시트(20)가 (나란한 형식으로) 사용되지만, 임의의 적절한 갯수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교적 경량인 부하(load)를 포함하는) 많은 실시예들에서, 단일의 양면 접착제(20)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 시트(20)는 장착 플레이트(10)의 주 표면(11)에 이미 접합된 것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또는 시트(20)는 사용자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10)의 주 표면(11)에 접합되도록 별도로 공급될 수 있다. 양면 접착제는 시트, 테이프, 롤 제품 등의 형태로 이용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장착 플레이트(10)의 표면(11)과 접촉되고 접합되기에 적합한 별개의 접착 시트 피스(adhesive sheet piece, 20)가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접착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 라미네이팅 접착제, 양면 폼 테이프 등을 포함한다. 양면 접착제(20)는 양면 접착제의 한쪽 또는 양쪽 주 접착제 표면 상에 이형 라이너가 편리하게 공급될 수 있으며, 이형 라이너는 접착제 표면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접착제 표면이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노출된 접착제 표면이 되게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양면 접착제는 연신 이형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신 이형성은 접착제가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게 할 수 있으며 표면 외관을 가시적으로 손상시키지 않거나 또는 그 위에 접착제 잔류물을 남겨두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나중에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적합한 연신 이형 접착 테이프는 감압 접착제가 그 상에 배치되는(예컨대, 코팅되는) 탄성 배킹(backing) 또는 높은 신장성의 그리고 실질적으로 비탄성의 배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테이프는 고체 상태의 탄성 감압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테이프"라는 용어는 (개별 접착제 층들이 그 위에 놓인 배킹을 포함하는 제품 외에도) 단일의, 일체의 또는 고형의 접착제 구성을 포함하는 제품을 포괄한다. 적합한 예시적인 연신 이형 테이프가 코프만(Korpman)의 미국 특허 제4,024,312호; 독일 특허 제33 31 016호; 크레켈(Kreckel) 등의 미국 특허 제5,516,581호; 및 브리스(Bries) 등의 PCT 국제 공개 제WO 95/0669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연신 이형 접착제는 예를 들어 약 0.2 mm 두께 내지 약 2 mm 두께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연신 이형 접착제는 종종 약 1 mm 두께이다.
양면 접착제(20)가 연신 이형 접착제인 경우, 이는 접착제의 연신 이형성을 활성화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당겨질 수 있는 당김 탭(pull tab)(24)(예컨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시트의 단부)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시트(20)는, 당김 탭(24)이 장착 플레이트(10)의 말단 에지를 지나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연장되어 당김 탭(24)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게 장착 플레이트(10)의 표면(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때때로, 사용자는 (예컨대, 의도치 않게) 노출된 접착제 표면의 작은 영역이 장착 플레이트(10)의 말단 에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도록 접착 시트(20)를 위치시킬 수 있으나, 그러한 뉘앙스(nuance)로 인해 벽에 "완전히" 접합된 접착제 표면에 대한 본 명세서의 이후의 논의가 영향을 받진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그것이 장착 플레이트(10)(장착 플레이트 자체는 양면 접착 시트(20)를 통해 벽(60)에 부착됨)에 결합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나의 주 표면(32)은 벽에 대향되고, 다른 주 표면(36)은 벽에서 멀어지게 대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30)가 벽에 장착되는 경우에 보여질 수 있는 외부 표면(36)을 포함한다(다만 일부 경우들에서, 외부 표면(36)의 적어도 일부가 액세서리로 덮일 수도 있음). 원한다면, 이 외부 표면(36)은 외관상 장식용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광택, 텍스쳐링, 글레이즈, 페인트 칠, 장식 등).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중합체 재료, 세라믹 재료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아연 또는 아연 합금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냉연 강판(cold rolled steel sheeting)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예컨대, 원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세장형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직사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상 등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액세서리(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9에 예시된 액세서리(1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액세서리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연결(부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조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연결 구조물은 홀(hole)(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홀들(53)), 기둥(post)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물(예컨대, 슬롯, 핀, 클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서리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금속 액세서리는 금속 베이스 플레이트에 스폿-용접될 수 있고, 플라스틱 액세서리는 플라스틱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솔벤트-용접될 수 있는 등).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액세서리는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즉 이들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동일한 작업으로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이들이 단일 피스(single piece)로서 사출 성형될 수 있음). 연결이 탈착식이거나 영구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액세서리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조립체의 통상적인 사용에서 서로에 대한 두 물품의 어떠한 이동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결합 메커니즘(40)을 형성하도록 장착 플레이트(10)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결합 구조(17)와 정합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3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결합 구조물(33)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주 내부 표면(3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액세서리가 조립체(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연결될 수 있음). 단일의 액세서리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액세서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액세서리들은 종종 하나 이상의 물품(예컨대, 그림, 장식 액자, 의류, 액체 또는 분말의 병들 등)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액세서리의 비제한적인 목록은 선반, 바구니, 세장형 로드(예컨대, 수건 걸이 또는 행어), 실용 후크(예컨대, 그림이나 장식 액자를 걸어 놓기 위함), 의류 걸이(예컨대, 의복 걸이(robe hook)), 비누 접시, 브러시 홀더, 병 또는 병 홀더, 양념통, 선반, 스피커 브래킷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액세서리는 조립체(1)가 벽에 장착되는 경우, 도 9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컨대, 선반, 수건 걸이 등의 방식으로) 지구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질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10)는 장착 플레이트(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대해 비대칭적 편향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결합된다. 비대칭적 편향가능하다는 것은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이 외측으로 편향될 수 있지만, 장착 플레이트(10)의 제2 부분은 이 프로세스 동안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내측으로 약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조립체(1)의 다양한 컴포넌트가 이상화된 일반적 표현으로 도시된다. 도 4에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10)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세스 상태에 있다.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하부) 부분(12)(예컨대, 도 5에서 큰 블록 화살표로 표시된 위치)에 가해진 힘(예컨대, 수동적 손가락 압력에 의해)은 장착 플레이트(10)의 하부 부분(12)을 약간 외측으로(즉, 도 5의 큰 블록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그러나, 장착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30)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 메커니즘(40)(도 4 및 도 5에서 일반적으로 삼각형으로 표시됨)은 적어도 장착 플레이트(10)의 제2 부분(14)(즉, 결합 메커니즘(40) 위에 있는 부분)이 제1 부분(12)의 편향 동안 편향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결합 메커니즘(40)은 받침점(fulcrum)으로서 작용하여 장착 플레이트(10)의 제2 부분(14)은 하부 부분(12)이 편향되는 방향으로부터 대체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약간 편향(이동)될 수 있다. (즉, 상부 부분(14)은 도 5의 작은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약간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든 결합 메커니즘의 특정 설계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둘 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비대칭적 편향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들 중 두 번째는 도 5의 예시적인 도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비대칭적 편향은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12)을 벽(60)을 향해 외측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져서, 이 제1 부분(12)에서, 양면 접착제(20)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이 벽과 접촉하여 그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게 한다. 노출된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벽에 접합되지만 노출된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이 접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이러한 상태는 본 명세서에서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것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것은 "완전하게" 접합되는 것, 즉 접착제 층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전체 노출된 접착제 표면(예컨대, 노출된 접착제 표면의 전체)이 벽에 접합되는 것과 구별된다.
더 상세하게는, 장착 플레이트(10)는 적어도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다. 제1 비편향 상태(도 4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냄)에서, 양면 접착제(20)의 제2 주 접착제 표면(22)의 모든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39)의 내측에 위치된다. 특히, 제2 주 접착제 표면(22)의 모든 부분은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가상 평면(55)의 내측에 위치된다.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서,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22)의 제1 부분(12')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39)으로부터 (부분(39)을 넘어) 외측에 위치되고,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14')은 도 5에 일반적인 표현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의 내측에 위치된 채로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접착제 표면(22)의 제1 부분(12')(예컨대, 하부 부분)은 가상 평면(55)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편, 접착제 표면(22)의 제2 부분(예컨대, 상부 부분)(14')은 가상 평면(55)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내부 표면(32)을 향해) 내측으로 리세스된 채로 유지되며, 둘 모두 도 5에 일반적인 표현으로 예시된 바와 같다.
리세스 상태의 장착 플레이트(1)를 제공함으로써,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을 갖는 양면 접착제(20)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및 장착 플레이트(10)를 포함하는 조립체(1)가 원하는 바에 따라 벽(60)에 맞대어지고 위치되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은 벽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최외측 표면 부분(39)이 벽과 접촉함으로써, 노출된 접착제 표면(22)과 벽의 임의의 접촉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출된 접착제 표면이 벽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벽에 조기에 결합하지 않으면서 베이스 플레이트(30)(그리고 전체적으로 조립체(1))가 벽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조립체(1)가 원하는대로 벽에 위치되고 배향될 수 있게 한다.
조립체가 벽 상의 원하는 위치 및 배향에 있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형의 조립체에 있어서, 이는 예컨대, 개방형 공동(31)의 하부 부분 내로 손가락 또는 작은 공구를 삽입한 후, 장착 플레이트(10)의 하부 부분(12)의 표면(15)에 대항하여 수동으로 가압하여 하부 부분(12)을 외측으로 편향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개방형 공동(31) 내로의 손가락 또는 작은 공구의 삽입은 예컨대, 본 명세서의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임의의 하부 벽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함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다)
비대칭적 편향은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의 제1 부분(12')이 벽과 접촉하게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부분적인 접합을 얻게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적인 접합은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장착 플레이트(10)로부터 일시적으로 결합해제(부착해제)될 때 장착 플레이트(10)가 벽 상의 제자리에 유지되기에 충분할 것이다(이 프로세스 동안 원한다면, 약간의 손가락 압력이 장착 플레이트(10) 상에 가해짐으로써 벽에 대항하여 이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형의 결합 메카니즘에 의존하는 실시예들에서, 결합해제는 베이스 플레이트(30)를 장착 플레이트(10)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달성된다(그리고 후속적 재부착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반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임의의 결합 및 결합해제 프로세스에 의존하는 임의의 결합 메커니즘이 원하는대로 사용될 수 있다.
종종, 부착 표면(22)의 제2 부분(1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장착 플레이트(1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동안 벽에 접합될 수 있다. 이것의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장착 플레이트(10)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장착 플레이트(10)를 노출시킨 이후에,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을 벽에 완전하게 접합하기 위해 (예컨대, 장착 플레이트(10)의 주 표면(15)에 대항하여 수동으로 가압함으로써) 힘이 장착 플레이트에 가해질 수 있다. 그 이후에(원한다면, 접착제와 벽 사이의 결합이 완전히 전개되도록 지연이 있을 수 있음),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이어서 장착 플레이트(10)에 재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 표면(22)의 전체가 벽에 완전히 접합된 채로, 조립체는 도 6에 일반적인 표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접착제 표면(22)의 전체가 가상 평면(55)을 지나 외측으로 위치되어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벽이 생략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방법은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이 단일 동작으로 벽에 완전히 접합되는 임의의 방법과 구별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양면 접착제의 제1 주 접착제 표면이 벽에 접합되고,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이 노출되고, 이어서 물품(예컨대, 장착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이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제2 주 접착제 표면에 접촉되고 거기에 접합되는 방법들과 구별된다. 더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노출된 접착제 표면을 구비하는 물품이 벽면에 가깝게 되지만 스페이서에 의해 벽으로부터 분리되고, 물품이 원하는대로 위치되고 배향되며, 이어서 물품이 벽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노출된 접착제 표면을 벽에 접합하는 동작에서 스페이서가 변형 및/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것들과 구별된다(그러한 일반적인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7854817호 및 제7985313호에 개시되었다).
더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많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최외측 표면 부분(39)(즉, 조립체를 초기에 벽으로 가져가는 경우에 벽(60)과 접촉하는 표면)은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벽(34)의 최외측 표면(39)일 수 있다. 측벽(34)의 최외측 부분(39)(그리고, 예컨대 상부 벽(35)이 존재하는 경우에서 상부 벽이 측벽(34)의 최외측 표면과 동일한 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부 벽의 최외측 부분)은 따라서 부분적 주연부(perimeter, 37)를 정의할 수 있다(장착 플레이트(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 상의 제위치로 용이하게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하여 플레이트들을 함께 결합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대칭적 편향을 수행하기 위한 예컨대 손가락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임의의 "하부" 벽을 생략ㄴ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가상 평면(55)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벽(34)의 최외측 표면(39)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즉, 부분적 주연부(37)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음). 심지어, 측벽(34)이 중단되거나 또는 달리 불연속이 되고/되거나 회선형이거나 텍스처링된 표면을 가지더라도, 그러한 가상 평면(55)은 여전히 측벽(34)의 최외측 부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부분적 주연부(37)가 예컨대 측벽(34)의 다른 부분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예컨대 일련의 기둥(극단적으로는, 3개 또는 4개와 같이 단지 소수의 기둥)에 의해 정의되어도 가상 평면(55)은 여전히 정의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벽(34)(그리고 상부 벽(35)이 존재하는 경우에서 상부 벽이 측벽(34)의 최외측 표면과 동일한 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상부 벽)은 조립체(1)의 사용시, 벽(60)쪽으로 대향되는 개방형 공동(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공동(31) 내에 내부 표면(32)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32)은 조립체의 통상적인 사용시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상 장식적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벽에 대향되는 개방 단부를 갖는) 개방형 공동(31)이 장착 플레이트(10)를 수용할 수 있고, (장착 플레이트(10)가 부착되는 벽 또는 표면과의 조합을 통해) 장착 플레이트(10) 및 양면 접착 시트(20)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장착 플레이트(10)는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공동(31)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10)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및 장착 플레이트 상의 양면 접착제(20))는 공동(31) 내에 리세스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세스 상태에서", "가상 평면에 대해 리세스된", "공동 내에 리세스된" 등과 같은 용어는 구체적으로 그리고 확실하게 정의되는데, 주 표면(11)을 포함하는 장착 플레이트(10)의 모든 부분; 및 최외측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을 포함하는 접착제(20)의 모든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최외측 표면(39)에 의해 정의된 가상 평면(55)에 대해 내측으로 (즉, 공동(31)의 내부 표면(32)을 향해) 위치됨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10)의 내측-대향 표면(15)의 영역(예컨대, 장착 플레이트(10)의 하부 부분(12) 내의 영역)은 원하는 비대칭적 편향을 달성하기 위해 (예컨대, 손가락 또는 작은 공구에 의해) 대항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내측-대향 표면(15)의 이러한 영역은 장착 플레이트(10)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공동(31) 내에서 리세스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레이트(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결합되고,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이 영역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의해 내측으로 덮일 수 있으므로, 조립체가 벽-대향 관점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이 영역은 볼 수 없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 장착 플레이트(10) 및 양면 접착제(2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치수 및 기하학적 관계는 조립체(1)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능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이 가상 평면(55)에 대해 리세스된 거리는, 장치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에 노출된 접착제 표면이 벽 표면과 의도치 않게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노출된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을 벽과 접촉하기 위해 장착 플레이트의 제1 부분을 충분히 멀리 편향시키기 위해 과도한 힘이 필요할 정도로 리세스 거리가 너무 커서는 안 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레이트(10)가 제1 비편향(리세스) 상태에 있는 경우, 노출된 주 접착제 표면(22)의 전체는 가상 평면(55)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32)을 향해 내측으로 0.1, 0.2 또는 0.4 mm,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32)을 향해 내측으로 약 0.6, 1.0, 1.4 또는 1.8 mm 사이의 위치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노출된 주 접착제 표면(22)의 전체는 양면 접착제(시트)(20)의 두께의 10%에서 약 90%까지 가상 평면(55)에 대해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예에서, 약 1.0mm 두께의 접착 시트(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조립체는 장착 플레이트(10) 및 접착제(20)가 제1 리세스 상태에 있는 경우,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이 가상 평면(55)의 약 0.5 mm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 플레이트(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 사이의 편향가능한 결합은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이 예컨대 약 1mm 외측으로의 거리만큼 수동으로 용이하게 편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제1 부분(12)의 섹션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이 벽 표면과 쉽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은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편향 상태로 편향되는 경우에 적어도 약 0.4, 0.8, 1.2, 1.6 또는 2.0 mm의 거리만큼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편향되는 경우에 최대 약 2.0, 1.6 또는 1.2 mm의 거리만큼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편향 프로세스 중에, 그러한 영역 내의 임의의 지점은 적어도 대체적으로, 장착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 메커니즘(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일반적 유형의 결합 메커니즘)을 통과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는 하나 이상의 탈착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는 예컨대, 측벽(34)으로부터 측벽(34)의 최외측 표면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가 존재한다면, 스페이서의 최외측 표면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최외측 표면(39)을 제공할 것이다(즉, 스페이서의 최외측 표면은 장착 플레이트가 초기에 벽에 맞대어지는 경우에 벽-접촉 표면을 제공할 것이다). 비대칭적 편향이 수행되는 경우, 노출된 접착제 표면(22)이 벽과 접촉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가 충분히 작은 내측-외측(z+ - z-) 방향의 치수(예컨대, 두께)를 갖는 한, 스페이서는 조립체의 기능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제로,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초기에 벽에 맞대어지는 경우에, 존재한다면 그러한 스페이서는 예컨대 실수로 벽의 표면을 긁거나 또는 달리 손상하는 측벽의 에지 또는 모서리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지 가드(edge guard)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어서, 장착 플레이트가 벽에 완전히 접합된 이후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착 플레이트에 재결합되기 이전에, 에지 가드가 제거될 수 있고 예컨대, 폐기 또는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예컨대, 에지 가드)는 예컨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측벽(34)(그리고 존재한다면 상부 벽(35))의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가드는 측벽(34)의 최외측 단부에 끼워지는 성형 플라스틱 채널(예컨대, 단면이 U 자형) 일 수 있다. 또는, 탈착가능한 필름의 형태, 예컨대, 그 주 표면 상에 약한 접착제(또는, 예컨대 플라스틱 랩(plastic wrap) 또는 "클링(cling)" 필름)를 가지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이 필름은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측벽(34)의 최외측 단부 둘레에 감겨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평면, 리세스 상태, 비대칭적 편향 등의 맥락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부분은 그러한 스페이서가 존재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예컨대, 에지 가드)의 최외측 부분(표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강조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가 벽으로 맞대어지는 경우, 내측-외측 방향을 따른) 이러한 스페이서의 두께는 적어도 약 10, 20, 50, 100, 200, 500 또는 10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스페이서의 두께는 최대 약 2000, 1000, 800, 600, 400, 또는 2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임의의 이러한 스페이서(예컨대, 에지 가드)는 압축성 재료(예컨대, 탄성 유기 고분자 폼(foam)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어떠한 스페이서도 베이스 플레이트(30)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
장착 플레이트(10)의 베이스 플레이트(30)로의 탈착가능하고 편향가능한 결합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특정 결합 메커니즘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된다. 일반적으로, 결합 메커니즘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결합 구조물과 상보적인 결합 구조물을 장착 플레이트(10)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2개의 결합 구조물이 함께 정합되어 결합 메커니즘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은 결합해제가능해야 한다는 점; 즉, 원하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가역적이어야 함이 강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구조물들은 결합 메커니즘을 형성하도록 서로 가역적으로 스냅-끼워맞춤가능(snap-fittable)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메커니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결합 구조는 도 3 및 도 7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형 공동(31) 내에 위치되고 맞물림 부재(33)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내부 표면(32) 사이에 공간(38)을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33) 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결국, 장착 플레이트(10)는 도 2 및 도 8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10)의 내측 표면(15)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정합 부재(17)의 형태로 상보적인 결합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8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합 부재(17)는 그의 부착 단으로부터 장착 플레이트(10)로(즉, 지지대(stanchion)(19)로부터 그의 원위(말단) 단부로), 그 길이를 횡단하여 내측으로 벌어지는 캔틸레버형(cantilevered) 빔의 형태를 각각 취한다. 이러한 내측 벌어짐(flare)은 장착 플레이트(10)가 예컨대, 공동(31) 내로 (다양한 도면의 y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결합됨에 따라, 빔(17)은 맞물림 부재(33) 및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내부 표면(32) 사이의 공간(38) 내로 슬라이딩할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빔(17)은 맞물림 부재(33)가 안착될 수 있는 (빔(17)의 외측 표면, 장착 플레이트(10)의 내측 표면(15), 핀(18)의 하부 에지 및 지지대(19)의 상부 표면 사이) 공간(16)을 정의하는 것을 돕는 외측-돌출 핀(18)을 가질 수 있다(도 8의 절개도에서 가장 용이하게 보여짐).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30)는 함께 스냅-끼워맞춤될 수 있으며, 맞물림 부재(들)(33)와 정합 부재(들)(17) 사이의 상호 작용은 장착 플레이트(10)가 중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빔(17)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대해 (y 축을 따라) 장착 플레이트(10)를 수동으로 밀어서 빔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선택된 캔틸레버형 빔(17)의 굽힘 강성을 갖는 편향가능한 빔일 수 있으므로, 장착 플레이트(10)를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결합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10)의 표면(15)으로부터 빔(17)을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맞물림 부재(33)가 정합 부재(17)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한다.
장착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30) 사이의 결합 메커니즘은(하나의 예시적인 설계로서, 편향가능한 빔), 장착 플레이트(10)가 벽에 부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장착 플레이트(10)에 재결합되는 경우, 결합 메커니즘의 컴플라이언스가 재결합 프로세스 동안 및 이후에 발생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장착 플레이트 사이의 임의의 힘의 상당 부분 또는 심지어 실질적 부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리하게 유연성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이는 재결합 프로세스 동안 및 이후에 양면 접착제에 달리 가해질 수 있는 임의의 힘을 유리하게 낮추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합 부재(예컨대, 빔)(17)의 재료는 원하는 편향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그의 기하학적 파라미터와 함께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합 부재는 적합한 계수를 갖는 유기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서, 빔은 장착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예컨대,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맞물림 부재(33)는 장착 플레이트(10)의 빔(17)보다 덜 편향가능할 수 있다(예컨대, 적어도 5, 10 또는 20배 높은 굽힘 강성을 가져 훨씬 더 강성일 수 있음). 특정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재(33)는 예컨대, 강 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제조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예컨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이들의 역할이 반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의 맞물림 부재는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장착 플레이트 및 그의 정합 부재는 훨씬 더 높은 강성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벽에 장착되기 전과 장착되는 동안 조립체에 적용되고; 일단 벽에 장착되면,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무게, 그것에 연결된 임의의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에 의해 지지되는 임의의 물품 모두는 예컨대 상부에 견고하게 안착되는 맞물림 부재(33)를 거쳐 구비되고, 또한 정합 부재(17)를 장착 플레이트(1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30) 사이의 결합의 조임 또는 느슨함을 좌우하도록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장착 플레이트(10)의 측면 플랜지(13)의 치수,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측벽(34)에 대한 장착 플레이트(10)의 측면 플랜지(13)의 위치,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맞물림 부재(33)의 배치 및 길이 등)이 선택 될 수 있다. 특히, 이들 및 다른 기하학적 관계(특히, 맞물림 부재(33)가 빔(17)의 외측 표면, 장착 플레이트(10)의 내측 표면(15), 핀(18)의 하부 에지 및 지지대(19)의 상부 표면 사이의 공간(16)에 끼워맞춰지는 작은 공간(snugness))는 장착 플레이트(10)의 제1 부분에 허용되는 편향량을 정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편향 프로세스 동안, 장착 플레이트(10)의 제2 부분이 제1 부분으로부터 반대쪽으로 편향되는지(그리고 얼마만큼 편향되는지)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 상태로 남아 있는지 여부를 또한 좌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장착 플레이트가 2개의 결합 구조물(이 경우에는 캔틸레버형 빔)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가 2개의 상보적인 결합 구조물을 갖는 실시예들을 모두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이 어떤 상황에서는 바람직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장착 플레이트가 단일의 결합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단일의 상보적인 결합 구조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물론, 원한다면, 3개 이상의 이러한 결합 구조물이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위의 논의는 단일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단일의 장착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모든 고려되는 예시적인 상황을 포함한다. 그러나, 임의의 수의 어떤 물품이든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2개(또는 그 이상)의 장착 플레이트 및 2개(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설계에서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사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계는 상당한 수평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액세서리를 벽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종종 2개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이들은 예컨대 서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음)를 사용하며, 액세서리를 벽에 가져온 다음, 액세서리를 충분히 수평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매력적이지 않게 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는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가 벽에 수평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액세서리를 허용하고, 이어서 장착 플레이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착 플레이트에서 결합해제되고, 장착 플레이트를 벽에 완전히 접합되고,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착 플레이트에 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특히 상당한 수평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배향 및 부착하기 어려울 수 있는 액세서리의 장착에서 상당한 유연성을 허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리스트
실시예 1은 벽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한 조립체로서,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의 주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1 주 접착제 표면 및 노출된 접착제 표면인 제2 주 접착제 표면을 갖는 양면 접착제를 포함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장착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 플레이트가 적어도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고,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모든 부분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장착 플레이트가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로부터 외측으로 위치되고;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의 내측으로 위치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은 가상 평면을 정의하며;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의 모든 부분들 및 그들에게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양면 접착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상 평면에 대해 리세스되며, 장착 플레이트가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상 평면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고,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상 평면에 대해 리세스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측벽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개방형 공동을 포함하며, 측벽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을 제공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부분적 주연부를 정하는 최외측 표면 부분들을 포함하며, 부분적 주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형 공동의 최외측 한계를 정의하는 가상 평면을 정의하고;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장착 플레이트의 모든 부분들 및 그들에게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양면 접착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형 공동 내에 리세스되며, 장착 플레이트가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형 공동의 가상 평면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고,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방형 공동 내에 리세스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상 평면을 정의하는 측벽 최외측 표면 부분들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가드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에 의해 제공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부착되어,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되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에 의해 정의되는 가상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내측으로 이동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6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전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에 의해 정의되는 가상 평면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을 향하여 0.1mm 내측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을 향하여 약 1.0mm 내측 사이에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7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가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양면 접착제의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전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에 의해 정의되는 가상 평면에 대해, 양면 접착제의 두께의 약 10% 내지 약 90%의 거리로 리세스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8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대향 주 표면의 영역은 장착 플레이트를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시키도록 외측으로 수동적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9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양면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포함하는 연신 이형 접착제의 시트이고, 장착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장착 플레이트가 벽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착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당김 탭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리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액세서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는 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11의 조립체로서, 액세서리는 하나 이상의 선반, 바스켓, 후크, 랙, 트레이, 세장형 로드(rod),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1 장착 플레이트이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액세서리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조립체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액세서리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액세서리는 장축을 갖는 세장형 액세서리이고 액세서리의 장축이 수평으로 배향되면서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에 의해 제공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는 결합 메커니즘을 거쳐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15의 조립체로서, 결합 메커니즘은 장착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결합 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며, 결합 구조물들은 결합 메커니즘을 형성하도록 서로 가역적으로 스냅-끼워맞춤가능한, 조립체이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16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물은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빔을 포함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8은 실시예 17의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물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편향가능한 빔의 굽힘 강성의 적어도 10배의 굽힘 강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19는 실시예 18의 조립체로서, 장착 플레이트의 편향가능한 빔은 사출 성형된 유기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되고, 편향가능한 빔은 장착 플레이트와 일체로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맞물림 부재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조립체이다.
실시예 20은 조립체를 벽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장착 플레이트는 장착 플레이트의 주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1 주 표면 및 노출된 접착제 표면인 제2 주 표면을 갖는 양면 접착제를 구비하고, 장착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됨 -;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최외측 표면 부분들이 벽과 접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을 벽에 부분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의 제1 부분이 벽과 접촉하도록 장착 플레이트를 비대칭적으로 편향시키는 단계; 베이스 플레이트를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이 벽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벽에 대하여 장착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장착 플레이트에 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21는 실시예 20의 방법으로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22는 실시예 20의 방법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1 장착 플레이트이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액세서리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조립체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액세서리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방법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최외측 표면 부분들이 벽과 접촉하도록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을 벽에 부분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의 제1 부분이 벽과 접촉하도록 제2 장착 플레이트를 비대칭적으로 편향시키는 단계;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2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이 벽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벽에 대하여 제2 장착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재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예시적인 요소, 구조, 특징, 상세 사항, 구성 등이 다수의 실시예에서 수정 및/또는 조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그러한 변형과 조합은 단지 예시적인 실례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선택된 그러한 대표적인 설계가 아닌 고안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에 의해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예시적인 구성으로 제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어도 청구범위의 언어에 의해 기술된 구조 및 그러한 구조의 등가물로 확장된다. 본 명세서에 대안으로서 분명하게 언급된 임의의 요소는, 원하는대로 임의의 조합으로,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포함될 수 있거나 청구범위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방형 언어(예컨대, 포함하다 및 그의 파생어)로 언급된 임의의 요소 또는 요소들의 조합은 폐쇄형 언어(예컨대, 이루어지다 및 그의 파생어) 및 부분적 폐쇄형 언어(예컨대,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다 및 그의 파생어)로 추가적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임의의 문헌의 개시내용 간에 임의의 상충 또는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Claims (21)

  1. 벽에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한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주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1 주 접착제 표면 및 노출된 접착제 표면인 제2 주 접착제 표면을 갖는 양면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적어도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가능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모든 부분들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최외측 표면 부분들로부터 외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최외측 표면 부분의 내측으로 위치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최외측 표면 부분들은 가상 평면을 정의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모든 부분들 및 그들에게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상기 양면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해 리세스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해 리세스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측벽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개방형 공동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외측 표면 부분들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부분적 주연부(perimeter)를 정하는 최외측 표면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적 주연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형 공동의 최외측 한계를 정의하는 가상 평면을 정의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모든 부분들 및 그들에게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상기 양면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형 공동 내에 리세스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형 공동의 상기 가상 평면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형 공동 내에 리세스된 채로 유지되는,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되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내측으로 이동되는,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전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을 향하여 0.1mm 내측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을 향하여 1.0mm 내측 사이에 있는 위치에 위치되는,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비편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제2 주 접착제 표면의 전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해, 상기 양면 접착제의 두께의 10% 내지 90%의 거리로 리세스되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대향 주 표면의 영역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비편향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비대칭적 편향 상태로 비대칭적으로 편향시키도록 외측으로 수동적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8. 조립체를 벽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조립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주 표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제1 주 표면 및 노출된 접착제 표면인 제2 주 표면을 갖는 양면 접착제를 구비(bear)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식으로 그리고 편향가능하게 결합됨 -;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최외측 표면 부분들이 상기 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을 상기 벽에 부분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의 제1 부분이 상기 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비대칭적으로 편향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
    상기 양면 접착제의 상기 노출된 접착제 제2 주 표면이 상기 벽에 완전히 접합되도록 상기 벽에 대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77016337A 2014-11-19 2015-11-16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 KR101834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1698P 2014-11-19 2014-11-19
US62/081,698 2014-11-19
PCT/US2015/060881 WO2016081366A1 (en) 2014-11-19 2015-11-16 Wall-mount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98A KR20170080698A (ko) 2017-07-10
KR101834916B1 true KR101834916B1 (ko) 2018-03-06

Family

ID=5601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337A KR101834916B1 (ko) 2014-11-19 2015-11-16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70475B2 (ko)
EP (1) EP3221597A4 (ko)
JP (1) JP6266847B1 (ko)
KR (1) KR101834916B1 (ko)
CN (1) CN107076189B (ko)
AU (1) AU2015350224B2 (ko)
TW (1) TWI677633B (ko)
WO (1) WO2016081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586B2 (en) * 2016-05-11 2019-11-19 Edward GOLDFARB Dispensing container
US20210169241A1 (en) * 2018-05-02 2021-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 anchoring assemblies for heavy objects
US11262790B1 (en) * 2020-02-03 2022-03-01 Delta Tech Llc Low-profile smart mirror with backside mount
EP4238458A1 (en) 2022-03-02 2023-09-06 InterDesign, Inc. Brackets for bins and shelves
AU2022206703A1 (en) * 2022-07-18 2024-02-01 Oxti Pte Ltd Positioner structure capable of labor-saving install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581A (ja) 1998-12-28 2000-07-18 Hideo Teruuchi ティッシュ容器の保持具
JP2002209714A (ja) 2001-01-17 2002-07-30 Nitomuzu:Kk 壁面取付構造体
US20100308186A1 (en) 2008-11-04 2010-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ssemblies and kits for mounting articles to walls
CN202251380U (zh) 2011-09-20 2012-05-30 金峰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挂件装置的背板结构
US20120153102A1 (en) 2010-12-20 2012-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support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nection
US20140166829A1 (en) 2012-12-17 2014-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 mountable storage assembly with articulating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8894A (en) 1974-11-26 1975-12-30 Illinois Tool Works Adhesive mounting device
US4024312A (en)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DE3331016A1 (de) 1983-04-06 1984-10-11 Beiersdorf Ag, 2000 Hamburg Klebfolie fuer wiederloesbare klebbindungen
US4668546A (en) * 1985-09-04 1987-05-26 Physical Systems, Inc. Fixture for securing an adhesive attachment to a substrate
US5516581A (en)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JPH0510435U (ja) * 1991-07-22 1993-02-09 花王株式会社 粘着テープ
ATE157147T1 (de) * 1992-10-14 1997-09-15 Helmut Steinhilber Befestigung einer starren platte an einer befestigungsfläche
JP3547747B2 (ja) 1993-08-31 2004-07-2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再剥離可能な泡粘着テープ
JP2803034B2 (ja) * 1995-11-27 1998-09-24 ホクメイ株式会社 保持具および保持具の取付方法
US5695165A (en) * 1995-12-29 1997-12-09 Rainin Instrument Co., Inc. Multi-mode attachable hanger for pipettes
DE19735234A1 (de) * 1997-08-14 1999-02-18 Beiersdorf Ag Haltevorrichtung
US6106937A (en) 1998-06-05 2000-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enhanced removal feature
JP2000226557A (ja) 1999-02-03 2000-08-15 Sekisui Chem Co Ltd 装飾用板材の接着固定方法
US6431508B1 (en) * 2000-11-06 2002-08-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daptable and universal system for attachments
US8973878B2 (en) * 2008-03-27 2015-03-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face mount systems and methods
US7854817B2 (en) * 2008-05-29 2010-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assemblies for attaching articles to surfaces
US8141829B2 (en) * 2009-06-12 2012-03-27 Physical Systems, Inc. Low profile adhesive mounted fixture button
US8434730B2 (en) * 2009-07-14 2013-05-07 Tonya Ahlstrom Securing devices for wall hangin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201542371U (zh) 2009-09-09 2010-08-11 成都高新区尼玛电子产品外观设计工作室 用于家具的悬挂装置
US20120198780A1 (en) 2009-10-14 2012-08-09 Adco Products, Inc. Method for attaching a solar module to a substrate using an adhesive
CN103260475B (zh) * 2010-12-10 2015-04-22 Sca卫生用品公司 支撑装置
CN202136132U (zh) 2011-03-22 2012-02-08 山东科技大学 一种挂板钩体分离组合双粘胶层粘钩
US9339112B2 (en) * 2014-04-24 2016-05-17 Innovelis, Inc. Mounting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US8939417B1 (en) * 2014-04-24 2015-01-27 Innovelis, Inc. Mounting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US9284973B2 (en) * 2012-05-06 2016-03-15 Ronald A. Hoffman Magnetic wall anchoring system
US20140166329A1 (en) * 2012-12-17 2014-06-19 Abb Technology Ag Dry-Type Transformer Arc Resistant Enclosure Having Pressure Relief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581A (ja) 1998-12-28 2000-07-18 Hideo Teruuchi ティッシュ容器の保持具
JP2002209714A (ja) 2001-01-17 2002-07-30 Nitomuzu:Kk 壁面取付構造体
US20100308186A1 (en) 2008-11-04 2010-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ssemblies and kits for mounting articles to walls
US20120153102A1 (en) 2010-12-20 2012-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support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nection
CN202251380U (zh) 2011-09-20 2012-05-30 金峰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挂件装置的背板结构
US20140166829A1 (en) 2012-12-17 2014-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 mountable storage assembly with articulating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1597A4 (en) 2018-05-09
TWI677633B (zh) 2019-11-21
JP2018505352A (ja) 2018-02-22
US20170314608A1 (en) 2017-11-02
JP6266847B1 (ja) 2018-01-24
CN107076189B (zh) 2018-09-21
TW201634824A (zh) 2016-10-01
KR20170080698A (ko) 2017-07-10
CN107076189A (zh) 2017-08-18
WO2016081366A1 (en) 2016-05-26
AU2015350224A1 (en) 2017-05-25
EP3221597A1 (en) 2017-09-27
AU2015350224B2 (en) 2018-08-30
US9970475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916B1 (ko) 벽-장착가능 조립체 및 사용 방법
US8814112B2 (en) Article support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nection
US8973878B2 (en) Surface mount systems and methods
US7802766B2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mounting articles to walls
JP6400594B2 (ja) 関節運動する接続を備える壁部に取り付け可能な保管アセンブリ
US20170059084A1 (en) Decorative object including integral hanging member
JP7161848B2 (ja) 改良された取付けアセンブリ
TW202238007A (zh) 用於在一壁上固持一物品之方法及總成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TWM425625U (en) Wall-hung rack for toile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