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292B1 - 고강도 특수강 - Google Patents
고강도 특수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2292B1 KR101822292B1 KR1020160104352A KR20160104352A KR101822292B1 KR 101822292 B1 KR101822292 B1 KR 101822292B1 KR 1020160104352 A KR1020160104352 A KR 1020160104352A KR 20160104352 A KR20160104352 A KR 20160104352A KR 101822292 B1 KR101822292 B1 KR 101822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ngth
- content
- comparative example
- rang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2—Hardening by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중량%로, 탄소(C) : 0.1~0.5%, 실리콘(Si) : 0.1~2.3%, 망간(Mn) : 0.3~1.5%, 크롬(Cr) : 1.1~4.0%, 몰리브덴(Mo) : 0.3~1.5%, 니켈(Ni) : 0.1~4.0%, 바나듐(V) : 0.01~0.50%, 티타늄(Ti) : 0.05~0.50%,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고강도 특수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성분 및 함량의 조절로써 탄화물의 형태, 크기 및 형성량의 제어를 통해 강도 및 피로수명이 향상된 고강도 특수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샤시모듈에 적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드라이브 샤프트 또는 랠리카의 샤시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암류 등의 경우 부품을 중공 형태로 제조하거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연비를 극대화하기 위한 경량화 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에 적용되는 기존의 샤시강의 경우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바나듐(V) 등과 같은 원소의 첨가를 통해 고강도 조건을 만족시켰으나 조직 내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탄화물이 형성되며, 형성된 탄화물의 양이 많지 않고 크기가 미세하지 않아 이는 즉 부품의 내구성이 뒷받침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5-0023566에 개시된 고강도 강의 경우 니켈(Ni), 몰리브덴(Mo) 및 티타늄(Ti) 등과 같은 원소의 첨가로 고강도 강의 제조를 목표하였으나, 중량%로, 니켈(Ni)의 함량이 0.1% 이하에 지나지 않고 티타늄(Ti) 함량의 경우 0.01% 이하에 지나지 않아 고강도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JP 2015-190026에 개시된 고강도 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니켈(Ni)의 함량이 0.01~0.2%의 범위에 지나지 않고 티타늄(Ti) 함량의 경우 0.005~0.02% 범위에 지나지 않아 고강도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성분 및 함량의 조절로써 탄화물의 형태, 크기 및 형성량의 제어를 통해 강도 및 피로수명이 향상된 고강도 특수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로, 탄소(C) : 0.1~0.5%, 실리콘(Si) : 0.1~2.3%, 망간(Mn) : 0.3~1.5%, 크롬(Cr) : 1.1~4.0%, 몰리브덴(Mo) : 0.3~1.5%, 니켈(Ni) : 0.1~4.0%, 바나듐(V) : 0.01~0.50%, 티타늄(Ti) : 0.05~0.50%,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Ti,V)C가 존재할 수 있다.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Cr,Fe)7C3가 존재할 수 있다.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Fe,Cr,Mo)23C6가 존재할 수 있다.
조직 내에 존재하는 석출물이 몰분율(Mole Fraction)로, 0.009 이상일 수 있다.
조직 내에 존재하는 석출물의 크기가 13nm 이하일 수 있다.
인장강도가 1541MPa 이상이고, 피로수명이 55만회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강도 특수강에 따르면, 원소들의 함량을 제어하여 조직 내에 탄화물을 생성시킴에 따라 강도 및 피로수명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재의 상(Phase)에 대한 온도에 따른 몰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상(Phase)에 대한 온도에 따른 몰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석출물에 대한 시간에 따른 몰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석출물에 대한 시간에 따른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상(Phase)에 대한 온도에 따른 몰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석출물에 대한 시간에 따른 몰분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석출물에 대한 시간에 따른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은 중량%로, 탄소(C) : 0.1~0.5%, 실리콘(Si) : 0.1~2.3%, 망간(Mn) : 0.3~1.5%, 크롬(Cr) : 1.1~4.0%, 몰리브덴(Mo) : 0.3~1.5%, 니켈(Ni) : 0.1~4.0%, 바나듐(V) : 0.01~0.50%, 티타늄(Ti) : 0.05~0.50%,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고강도 특수강에 있어서, 강의 성분조건을 제한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C) : 0.1~0.5%
탄소(C)는 강도 및 경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Ti,V)C, (Cr,Fe)7C3, (Fe,Cr,Mo)23C6 등의 복합탄화물을 형성시킨다. 또한, 약 300℃까지 내템퍼링성을 증대시킨다.
탄소(C)의 함량이 0.1% 미만일 경우 강도 상승의 효과가 크지 않고 피로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반면, 탄소(C)의 함량이 0.5%를 초과할 경우 용해되지 않는 거대 탄화물이 잔존하게 되어 피로특성이 취약해지고 내구수명이 저하된다. 또한, ??칭 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탄소(C)의 함량은 0.1~0.5% 범위로 제한한다.
실리콘(Si) : 0.1~2.3%
실리콘(Si)은 연신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경화시키며 내열성 및 경화능을 증대시킨다. 내형상 불변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나 탈탄에 민감하다.
실리콘(Si)의 함량이 0.1% 미만일 경우 연실율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또한, 내열성 및 경화능 증대 효과가 크지 않다. 반면, 실리콘(Si)의 함량이 2.3%를 초과할 경우 탄소(C)와 조직 내의 상호간 침투반응으로 인해 탈탄을 발생시킨다. 또한, ??칭 전 경도의 상승으로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리콘(Si)의 함량을 0.1~2.3% 범위로 제한한다.
망간(Mn) : 0.3~1.5%
망간(Mn)은 경화능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지내 고용되어 굽힘피로강도 향상 및 소입성을 증가시키고, 산화물을 생성시키는 탈산제로서 Al2O3와 같은 개재물의 형성을 억제한다. 반면, 과량 함유 시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고온취성이 발생한다.
망간(Mn)의 함량이 0.3% 미만일 경우 소입성 개선이 미미하게 된다. 반면, 망간(Mn)의 함량이 1.5%를 초과할 경우 ??칭 전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중심편석 및 MnS 개재물의 석출로 피로수명이 약화된다. 따라서 망간(Mn)의 함량을 0.3~1.5% 범위로 제한한다.
크롬(Cr) : 1.1~4.0%
크롬(Cr)은 오스테나이트 조직 내에 용해되며 템퍼링 시에 CrC 탄화물을 형성시키고 경화능을 개선하며 소프트닝의 억제로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정립 미세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크롬(Cr)의 함량이 1.1% 미만일 경우 강도 향상 및 경화능의 개선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다만, 크롬(Cr)의 함량이 4.0%를 초과할 경우 다종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시키고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포화되어 원가의 상승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크롬(Cr)의 함량을 1.1~4.0% 범위로 제한한다.
몰리브덴(Mo) : 0.3~1.5%
몰리브덴(Mo)은 미세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내열성 및 파괴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템퍼링성을 증대시킨다.
몰리브덴(Mo)의 함량이 0.3% 미만일 경우 강도 및 파괴인성의 향상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반면, 몰리브덴(Mo)의 함량이 1.5%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강도 향상 효과가 포화되어 원가의 상승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몰리브덴(Mo)의 함량을 0.3~1.5% 범위로 제한한다.
니켈(Ni) : 0.1~4.0%
니켈(Ni)은 내식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경화능을 향상시키며 저온취성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고온영역을 확장시키는 원소이다.
니켈(Ni)의 함량이 0.1% 미만일 경우 내식성 및 고온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크지 않다. 반면, 니켈(Ni)의 함량이 4.0%를 초과할 경우 적열취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니켈(Ni)의 함량을 0.1~4.0% 범위로 제한한다.
바나듐(V) : 0.01~0.50%
바나듐(V)은 미세 석출물을 형성하여 파괴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세 석출물은 결정입계 이동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징 시에 바나듐(V)이 용해되어 고용되고, 템퍼링시 석출되어 2차 경화를 발생시킨다. 다만, 과다하게 투입될 경우 ??칭 후 경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바나듐(V)의 함량이 0.01% 미만일 경우 강도 및 파괴인성의 향상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반면, 바나듐(V)의 함량이 0.50%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어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바나듐(V)의 함량을 0.01~0.50% 범위로 제한한다.
티타늄(Ti) : 0.05~0.50%
티타늄(Ti)은 미세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파괴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탈산제로서, Ti2O3를 형성시켜 Al2O3의 형성을 대체한다.
티타늄(Ti)의 함량이 0.05% 미만일 경우 조대화되어 피로 저하의 주원인이 되는 Al2O3의 형성을 대체하는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다만, 티타늄(Ti)의 함량이 0.50%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포화되어 원가의 상승만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티타늄(Ti)의 함량은 0.05~0.50% 범위로 제한한다.
상기한 원소들 외에도 불가피한 불순물로서 알루미늄(Al), 구리(Cu), 산소(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루미늄(Al) : 0.003% 이하
알루미늄(Al)은 강도 및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가원소인 결정립 미세화용 바나듐, 인성 확보용 니켈의 첨가량의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알루미늄(Al)의 함량이 0.003%을 초과할 경우 각형의 거대 개재물인 Al2O3의 생성하게 되고, 이는 피로기점으로 작용하게 되어 내구성이 약화된다. 따라서 알루미늄(Al)의 함량을 0.003% 이하로 제한함이 타당하다.
구리(Cu) : 0.3% 이하
구리(Cu)는 템퍼링 후의 강도를 높이고 니켈(Ni)과 같이 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구리(Cu)의 함량이 0.3%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합금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구리(Cu)의 함량을 0.3% 이하로 제한함이 타당하다.
산소(O) : 0.003% 이하
산소(O)는 실리콘(Si)이나 알루미늄(Al)과 결합하여 경질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피로 수명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산소(O)의 함량은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산소(O)의 함량이 0.003%를 초과할 경우 알루미늄(Al)과의 반응으로 인해 Al2O3를 생성하게 되고 이는 피로기점으로 작용하게 되어 내구성이 약화된다. 따라서 산소(O)의 함량을 0.003% 이하로 제한함이 타당하다.
(
실시예
및
비교예
)
하기의 표 1 및 표 2에는 조성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여 제작한 시편을 토대로 한 실시예 및 비교예가 개시된다. 열처리 시 950~1000℃에서 오일??칭 후 약 200℃ 정도에서 템퍼링한 시편을 이용하였다.
wt% | 탄소 (C) |
실리콘 (Si) |
망간 (Mn) |
크롬 (Cr) |
몰리브덴 (Mo) |
니켈 (Ni) |
바나듐 (V) |
티타늄 (Ti) |
구리 (Cu) |
알루미늄 (Al) |
산소 (O) |
실시예 1 | 0.3 | 0.2 | 0.7 | 1.5 | 0.5 | 2.0 | 0.15 | 0.25 | 0.054 | 0.0004 | 0.0002 |
실시예 2 | 0.12 | 0.12 | 0.31 | 1.11 | 0.32 | 0.13 | 0.02 | 0.07 | 0.067 | 0.0005 | 0.0018 |
실시예 3 | 0.48 | 2.28 | 1.46 | 3.92 | 1.48 | 3.92 | 0.47 | 0.46 | 0.035 | 0.0011 | 0.0005 |
기존재 | 0.15 | 0.15 | 1.0 | 1.5 | 0.9 | - | 0.25 | - | 0.053 | 0.0023 | 0.0018 |
비교예 1 | 0.08 | 0.22 | 0.78 | 1.52 | 0.56 | 1.95 | 0.27 | 0.26 | 0.042 | 0.0006 | 0.0004 |
비교예 2 | 0.52 | 0.19 | 0.36 | 2.14 | 0.39 | 0.33 | 0.32 | 0.08 | 0.040 | 0.001 | 0.002 |
비교예 3 | 0.32 | 0.09 | 1.47 | 3.79 | 1.38 | 3.32 | 0.47 | 0.41 | 0.050 | 0.002 | 0.001 |
비교예 4 | 0.15 | 2.32 | 0.83 | 1.55 | 0.62 | 2.52 | 0.16 | 0.34 | 0.034 | 0.0008 | 0.0016 |
비교예 5 | 0.48 | 0.23 | 0.27 | 2.56 | 0.45 | 0.48 | 0.43 | 0.15 | 0.040 | 0.0009 | 0.0001 |
비교예 6 | 0.33 | 0.58 | 1.53 | 3.90 | 1.47 | 3.74 | 0.41 | 0.41 | 0.053 | 0.0011 | 0.0016 |
비교예 7 | 0.21 | 1.92 | 0.92 | 1.08 | 0.65 | 2.37 | 0.19 | 0.35 | 0.065 | 0.0018 | 0.0017 |
비교예 8 | 0.48 | 0.26 | 0.42 | 4.1 | 1.41 | 0.86 | 0.13 | 0.22 | 0.042 | 0.0005 | 0.001 |
비교예 9 | 0.31 | 0.39 | 1.47 | 3.56 | 0.27 | 3.88 | 0.47 | 0.46 | 0.044 | 0.0004 | 0.0015 |
비교예 10 | 0.16 | 1.77 | 1.21 | 1.13 | 1.53 | 2.67 | 0.21 | 0.25 | 0.051 | 0.002 | 0.0023 |
비교예 11 | 0.48 | 0.24 | 0.54 | 3.91 | 0.59 | 0.07 | 0.37 | 0.11 | 0.061 | 0.001 | 0.0016 |
비교예 12 | 0.36 | 1.25 | 1.45 | 1.53 | 0.44 | 4.10 | 0.49 | 0.46 | 0.041 | 0.0016 | 0.0002 |
비교예 13 | 0.13 | 1.38 | 0.96 | 2.33 | 1.26 | 1.45 | 0.009 | 0.23 | 0.063 | 0.0017 | 0.0008 |
비교예 14 | 0.48 | 0.21 | 0.72 | 3.96 | 0.76 | 1.92 | 0.51 | 0.14 | 0.061 | 0.001 | 0.0009 |
비교예 15 | 0.27 | 1.77 | 1.44 | 3.11 | 0.41 | 3.72 | 0.17 | 0.03 | 0.047 | 0.0015 | 0.0011 |
비교예 16 | 0.32 | 2.05 | 0.91 | 1.69 | 1.25 | 2.35 | 0.28 | 0.52 | 0.053 | 0.0023 | 0.0018 |
인장강도(MPa) | 경도(HV) | 피로강도(MPa) | 피로수명 | |
실시예 1 | 1552 | 523 | 1161 | 58만회 |
실시예 2 | 1563 | 519 | 1172 | 55만회 |
실시예 3 | 1541 | 528 | 1164 | 56만회 |
기존재 | 980 | 340 | 686 | 28만회 |
비교예 1 | 1150 | 383 | 862 | 27만회 |
비교예 2 | 1570 | 525 | 1175 | 25만회 |
비교예 3 | 1270 | 421 | 948 | 24만회 |
비교예 4 | 1510 | 499 | 1128 | 29만회 |
비교예 5 | 1352 | 451 | 1009 | 42만회 |
비교예 6 | 1416 | 470 | 1054 | 22만회 |
비교예 7 | 1180 | 393 | 887 | 23만회 |
비교예 8 | 1495 | 495 | 1118 | 35만회 |
비교예 9 | 1310 | 438 | 969 | 32만회 |
비교예 10 | 1515 | 502 | 1150 | 39만회 |
비교예 11 | 1295 | 435 | 814 | 24만회 |
비교예 12 | 1345 | 451 | 824 | 27만회 |
비교예 13 | 1284 | 426 | 989 | 26만회 |
비교예 14 | 1485 | 492 | 1114 | 39만회 |
비교예 15 | 1385 | 459 | 1053 | 29만회 |
비교예 16 | 1505 | 503 | 1162 | 37만회 |
상기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을 나타낸 것이다.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의 경우 KS B 0802 또는 ISO 6892에 따라 측정하였고 경도는 KS B 0811 또는 ISO 114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피로수명은 KS B ISO 1143에 따라 측정하였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탄소(C)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경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보다 높으나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실리콘(Si)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경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과 동등수준이나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와 비교예 6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망간(Mn)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은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7과 비교예 8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크롬(Cr)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과 동등수준이나 경도 및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9와 비교예 10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몰리브덴(Mo)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경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과 동등수준이나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1과 비교예 12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니켈(Ni)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은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3과 비교예 14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바나듐(V)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과 동등수준이나 경도 및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5와 비교예 16의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 내에서 실시예와 동등범위로 제어한 채, 티타늄(Ti)의 함량만을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제한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도록 제어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범위에 미달인 경우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및 피로수명 모두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지고,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는 실시예들과 동등수준이나 경도 및 피로수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을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재로서 합금성분 0.15C-0.15Si-1.0Mn-1.5Cr-0.9Mo-0.25V(원소 기호 앞의 숫자는 wt%)에 대한 열역학 기반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온도에 대한 몰분율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의 실시예로서 합금성분 0.3C-0.2Si-0.7Mn-1.5Cr-2.0Ni-0.5Mo-0.15V-0.25Ti에 대한 열역학 기반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온도에 대한 몰분율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비교했을 때 실시예는 기존재에 비해 탄소(C) 및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니켈(Ni)이 다량 함유되어 A1, A3 온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확장됨을 알 수 있다.
조직 내에 VC 탄화물이 존재하는 기존재와는 달리 실시예의 경우 조직 내에 (Ti,V)C 형태의 탄화물이 석출되어 복합 탄화물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일차적으로 탄화물을 형성하는 티타늄(Ti)이 첨가되기 때문이며, 기존재와는 달리 실시예의 경우 (Ti,V)C 형태의 탄화물이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부터 생성되어 탄화물의 크기가 작고 분포도가 높은 형태로 형성된다. 석출이란 고상에서 다른 고상이 새로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크기가 작은 형태의 복합 탄화물이 조직 내에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강도는 물론 피로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직 내에 (Cr,Fe)7C3 형태의 탄화물이 생성되었다가 500℃ 이하의 온도에서 사라지는 기존재와는 달리 실시예의 경우 500℃ 이하의 온도에서도 조직 내에 (Cr,Fe)7C3 형태의 탄화물이 석출되어 복합 탄화물 형태로 형성된다. 기존재에 비해 생성되는 온도 영역도 고온이어서 안정한 상태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크기가 작은 형태로서 조직 내에 고르게 분포되는바 강도는 물론 피로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직 내에 저온 영역에서 (Mo,Fe)6C 형태의 탄화물이 형성되는 기존재와는 달리 실시예의 경우 몰리브덴(Mo)의 함량이 적어 저온 영역에서 (Mo,Fe)6C와 같은 형태의 탄화물이 형성되지 않는 반면, (Fe,Cr,Mo)23C6 형태의 탄화물이 석출되어 복합 탄화물 형태로 형성된다.
저온 영역에서 형성되는 (Mo,Fe)6C 형태와 같은 탄화물의 경우 불안정하여 오히려 강도 및 피로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나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의 복합 탄화물인 (Fe,Cr,Mo)23C6가 (Mo,Fe)6C 형태의 탄화물이 형성되기 전의 온도에서 이미 일정 이상 생성되어 몰리브덴(Mo)의 부족에 따라 (Mo,Fe)6C 형태의 탄화물 형성을 억제시키게 되어 강도는 물론 피로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어닐링(Annealing) 시간에 따른 탄화물을 포함하는 석출물의 몰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시예의 경우 어닐링 시간 10시간을 기준으로 a로 표시된 지점과 같이 0.009 이상 형성되어 b로 표시된 지점과 같이 0.002에 불과한 기존재에 비해 월등하게 많은 양의 석출물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는 물론 피로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체 조직에 대한 석출물의 몰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로, 0.9%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4는 어닐링(Annealing) 시간에 따른 탄화물을 포함하는 석출물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어닐링 시간 10시간을 기준으로 c로 표시된 지점과 같이 40nm 이상 크기의 석출물이 형성되는 기존재와는 달리 실시예의 경우 d로 표시된 지점과 같이 13nm 이하 크기의 석출물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강도와 피로수명의 향상을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특수강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원소들의 함량을 제어하여 탄화물을 생성시킴에 따라 강도 및 피로수명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존재에 비해 인장강도의 경우 약 57%가 증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차량의 부품에 이용되어 차체에 적용될 경우 약 32%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피로강도의 경우 약 69%가 증가할 수 있고 피로수명은 약 96%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 중량%로, 탄소(C) : 0.1~0.5%, 실리콘(Si) : 0.1~2.3%, 망간(Mn) : 0.3~1.5%, 크롬(Cr) : 1.1~4.0%, 몰리브덴(Mo) : 0.3~1.5%, 니켈(Ni) : 0.1~4.0%, 바나듐(V) : 0.01~0.50%, 티타늄(Ti) : 0.05~0.50%,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인장강도가 1541MPa 이상이고, 피로수명이 55만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Ti,V)C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Cr,Fe)7C3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직 내에 복합 탄화물 형태로 (Fe,Cr,Mo)23C6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직 내에 존재하는 석출물이 몰분율(Mole Fraction)로, 0.00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청구항 5에 있어서,
조직 내에 존재하는 석출물의 크기가 13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특수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4352A KR101822292B1 (ko) | 2016-08-17 | 2016-08-17 | 고강도 특수강 |
EP16202879.9A EP3284842B1 (en) | 2016-08-17 | 2016-12-08 | High-strength special steel |
US15/374,789 US10487380B2 (en) | 2016-08-17 | 2016-12-09 | High-strength special steel |
CN201611143730.2A CN107761009B (zh) | 2016-08-17 | 2016-12-13 | 高强度特种钢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4352A KR101822292B1 (ko) | 2016-08-17 | 2016-08-17 | 고강도 특수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2292B1 true KR101822292B1 (ko) | 2018-01-26 |
Family
ID=5753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4352A KR101822292B1 (ko) | 2016-08-17 | 2016-08-17 | 고강도 특수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487380B2 (ko) |
EP (1) | EP3284842B1 (ko) |
KR (1) | KR101822292B1 (ko) |
CN (1) | CN1077610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87406B (zh) * | 2020-05-13 | 2023-08-08 | 日铁不锈钢株式会社 | 奥氏体系不锈钢材及其制造方法以及板簧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186B1 (ko) | 2005-12-26 | 2007-05-29 | 주식회사 포스코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볼트 및 그 제조기술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393995B (sv) * | 1973-12-28 | 1977-05-31 | Stora Kopparbergs Kbergslags A | Sett vid framstellning av konstruktioner av valsat stalmaterial |
US4796976A (en) * | 1986-10-03 | 1989-01-10 | Hoechst Celanese Corp. | Side chain liquid crystalline polymeric media exhibiting third order nonlinear optical response |
US4796946A (en) | 1987-09-04 | 1989-01-10 | Inland Steel Company | Automotive vehicle door and bar reinforcement |
JPH0250910A (ja) * | 1988-08-15 | 1990-02-20 | Nippon Steel Corp | 熱疲労特性の良い金型鋼板の製造方法 |
JPH02250941A (ja) | 1989-03-24 | 1990-10-08 | Sumitomo Metal Ind Ltd | 低炭素クロムモリブデン鋼及びその製造方法 |
JP2614659B2 (ja) * | 1989-05-31 | 1997-05-28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耐遅れ破壊性及び冷間鍛造性を備えた高強度ボルト用鋼 |
JPH04358040A (ja) | 1991-06-03 | 1992-12-11 | Hitachi Metals Ltd | 熱間工具鋼 |
JPH07150289A (ja) | 1993-11-29 | 1995-06-13 | Nippon Steel Corp | 高温強度に優れたCr系耐熱鋼 |
JP3315800B2 (ja) * | 1994-02-22 | 2002-08-1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蒸気タービン発電プラント及び蒸気タービン |
JP2857318B2 (ja) * | 1994-03-31 | 1999-02-17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高張力鋼用溶接ワイヤ |
JP3279086B2 (ja) | 1994-08-18 | 2002-04-30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
JPH08134547A (ja) | 1994-11-04 | 1996-05-28 | Daido Steel Co Ltd | 中空鋼工具の製造方法 |
JPH08209289A (ja) | 1995-02-06 | 1996-08-13 | Sumitomo Metal Ind Ltd | 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
JP3577411B2 (ja) | 1997-05-12 | 2004-10-13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高靭性ばね鋼 |
JP3344308B2 (ja) | 1998-02-09 | 2002-11-11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超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
JP2000204434A (ja) | 1999-01-13 | 2000-07-25 | Sumitomo Metal Ind Ltd | 高温強度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耐熱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623700B2 (ja) * | 1999-09-14 | 2005-02-23 |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 耐へたり性と耐衝撃疲労性に優れた強靭窒化用鋼 |
JP3246733B2 (ja) * | 1999-10-29 | 2002-01-15 | 三菱製鋼室蘭特殊鋼株式会社 | 高強度ばね用鋼 |
JP3518515B2 (ja) * | 2000-03-30 | 2004-04-12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低・中Cr系耐熱鋼 |
GB2364715B (en) | 2000-07-13 | 2004-06-30 | Toshiba Kk | Heat resistant steel cas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SE517846C2 (sv) | 2001-02-16 | 2002-07-23 | Btg Eclepens Sa | Självjusterande blad |
JP4608979B2 (ja) | 2003-09-29 | 2011-01-12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疲労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高周波焼入れ用鋼素材 |
JP4476846B2 (ja) * | 2005-03-03 | 2010-06-09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冷間加工性と品質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ばね用鋼 |
JP4844188B2 (ja) * | 2006-03-23 | 2011-12-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ケーシング |
US8845825B2 (en) * | 2006-03-31 | 2014-09-30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 High strength spring-use heat treated steel |
JP4466619B2 (ja) | 2006-07-05 | 2010-05-26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自動車構造部材用高張力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196934B2 (ja) | 2007-09-27 | 2013-05-15 | 日新製鋼株式会社 | 高疲労寿命焼入れ・焼戻し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8137483B2 (en) * | 2008-05-20 | 2012-03-20 | Fedchun Vladimir A | Method of making a low cost,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martensitic steel |
KR101228610B1 (ko) * | 2008-05-26 | 2013-02-01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저온 인성과 연성 파괴 정지 성능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JP4712882B2 (ja) * | 2008-07-11 | 2011-06-29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耐水素脆化特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
CN103764862B (zh) | 2011-09-09 | 2016-12-07 | 新日铁住金株式会社 | 中碳钢板、淬火构件以及它们的制造方法 |
WO2013182622A1 (de) | 2012-06-05 | 2013-12-12 |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 Stahl,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hlflachprodukts |
EP2690184B1 (de) | 2012-07-27 | 2020-09-02 |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 Kaltgewalztes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EP2690183B1 (de) | 2012-07-27 | 2017-06-28 |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 Warmgewalztes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WO2014157231A1 (ja) | 2013-03-29 | 2014-10-02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冷間鍛造性及び切削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線 |
WO2015088523A1 (en) | 2013-12-11 | 2015-06-18 |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 Cold rolled and annealed steel sheet |
JP2015190026A (ja) | 2014-03-28 | 2015-11-02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ラインパイプ用厚肉高強度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16
- 2016-08-17 KR KR1020160104352A patent/KR1018222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08 EP EP16202879.9A patent/EP3284842B1/en active Active
- 2016-12-09 US US15/374,789 patent/US10487380B2/en active Active
- 2016-12-13 CN CN201611143730.2A patent/CN10776100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186B1 (ko) | 2005-12-26 | 2007-05-29 | 주식회사 포스코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볼트 및 그 제조기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761009A (zh) | 2018-03-06 |
US10487380B2 (en) | 2019-11-26 |
EP3284842B1 (en) | 2019-04-03 |
CN107761009B (zh) | 2021-03-19 |
EP3284842A1 (en) | 2018-02-21 |
US20180051364A1 (en) | 2018-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37834B (zh) | 高锰钢 | |
KR20120054359A (ko) |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035708A (ko) |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 |
WO2011061812A1 (ja) | 高靱性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28713B1 (ko) | 철근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09280870A (ja) | アクスルハウジング用厚鋼板 | |
KR101822295B1 (ko) | 고강도 특수강 | |
EP2215280B1 (en) | High tensile steel for deep draw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40931B1 (ko) |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고망간 질소 함유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074697A (ko) |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 |
JP2017190520A (ja) |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バネ鋼 | |
KR101822292B1 (ko) | 고강도 특수강 | |
KR102142782B1 (ko) |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크롬-몰리브덴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22293B1 (ko) | 고강도 특수강 | |
KR101505292B1 (ko) |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55181B1 (ko) | 고강도 강 및 기어 제조 방법 | |
KR102359299B1 (ko) | 극초고강도 고함량 Co-Ni계 이차경화형 마르텐사이트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95277B1 (ko) |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강 | |
KR101639167B1 (ko) |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455547B1 (ko) | 고강도 및 고연성을 갖는 크롬-몰리브덴 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225384B1 (ko) | 냉각 조건을 이용한 고경도 열처리 레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83197A (ko) | 금형강 및 열처리 방법 | |
KR102445781B1 (ko) | 냉간압조용 고강도 선재 제조방법 | |
JP6282078B2 (ja) | 結晶粒度特性および衝撃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からなる鋼部品の製造方法 | |
KR101546140B1 (ko) | 강재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