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27118B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118B1
KR101827118B1 KR1020160062579A KR20160062579A KR101827118B1 KR 101827118 B1 KR101827118 B1 KR 101827118B1 KR 1020160062579 A KR1020160062579 A KR 1020160062579A KR 20160062579 A KR20160062579 A KR 20160062579A KR 101827118 B1 KR101827118 B1 KR 10182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contact
contacto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1868A (en
Inventor
김일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118B1/en
Priority to EP17170853.0A priority patent/EP3249671B1/en
Priority to ES17170853T priority patent/ES2791497T3/en
Priority to CN201710357449.7A priority patent/CN107424851A/en
Priority to US15/601,023 priority patent/US1007913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과, 크래들에 연결되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단자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는 접촉자와,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comprising: a cradle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circuit breaker body connected to the crad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energized, A contact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terminal bod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and projecting to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wider spacing than a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contact protrusion that contacts and presses both surfaces of the terminal connected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에 무관하게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지며, 일정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breaker capable of maintaining smooth contact between a terminal of a circuit breaker body and a terminal of a cradle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circuit breakers.

회로차단기는 규정 이상의 전류가 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해서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회로의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을 위해 사용된다. A circuit breaker is a device that protects the circuit by stopping the current when a current exceeding the specified value flows into the circuit, and is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rmal load of the circuit and cutting off the fault current.

예를 들어,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서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such a circuit breaker can be used in a switchboard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ic devices including a breaker for operation and control of a power plant and a substation, operation of a motor, and the like.

도 1은 차단기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터미널 중에서 상부의 터미널(10a)은 모선 터미널을 의미하며, 하부의 터미널(10b)은 부하 터미널을 의미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Referring to Fig. 1,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At this time, the upper terminal 10a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eans the bus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10b means the load terminal.

한편,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연결되는 크래들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가 연결되는 크래들(3)로서, 상기 크래들(3)에는 복수의 단자(20: 20a, 20b)가 구비된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to which the breaker main body is connected. Referring to FIG. 2, a cradle 3 to which the above-described breaker main body 1 (see FIG. 1) is connect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20: 20a and 20b in the cradle 3.

여기서, 상부의 단자(20a)는 모선 단자를 의미하며, 하부의 단자(20b)는 부하 단자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자(20: 20a, 20b)에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이 접속된다. Here, the upper terminal 20a means a bus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20b means a load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see FIG. 1)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 (20a, 20b).

그리고 회로차단기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을 갖는 차단기 본체(1)와 복수의 단자(20: 20a, 20b)를 갖는 크래들(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the circuit breaker comprises a circuit breaker body 1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and a cradle 3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20: 20a, 20b.

도 3과 도 4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연결되는 전, 후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Figs.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a front-rear coupl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break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radle.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가 크래들(3)에 연결되지 이전의 모습으로서, 위치가 고정된 크래들(3)을 향해 차단기 본체(1)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circuit breaker body 1 is configured to be movable toward the cradle 3 to which the position is fixed, before the breaker body 1 is connected to the cradle 3. Fig.

이때, 크래들(3)에 구비된 모선 단자(20a)의 위치는 차단기 본체(1)의 모선 터미널(10a)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크래들(3)에 구비된 부하 단자(20b)의 위치는 차단기 본체(1)의 부하 터미널(10b)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The position of the bus terminal 20a of the cradle 3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bus terminal 10a of the breaker main body 1 and the position of the load terminal 20b of the cradle 3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load terminal (10b)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

도 4를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가 인입방향(W)을 향해 이동하여 크래들(3)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크래들(3)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20: 20a, 20b)에 대해 차단기 본체(1)에 구비된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이 접속된 상태를 보여준다.
4, the breaker main body 1 moves toward the entry direction W and is connected to the cradle 3.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 20a and 20b provided on the cradle 3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provided i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are connected.

도 5는 종래의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터미널(10)(모선 터미널(10a), 부하 터미널(10b)를 포함)은 터미널 몸체(11)와,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단자(즉, 도 4의 20a, 20b 중 어느 하나)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5 is an enlarged view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erminal. 5, a conventional terminal 10 (including a bus terminal 10a and a load terminal 10b) includes a terminal body 11 and a terminal body 11 , And a contactor 13 formed so as to be connectable to any one of the terminals 20a and 20b of Fig. 4).

특히, 접촉자(13)를 고정시키도록 핀 고정부재(17)가 터미널 몸체(11) 및 접촉자(13)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며, 일 측(예: 상 측)의 접촉자(13)와 핀 고정부재(17)의 머리 사이에는 접압스프링(15)이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In particular, the pin fixing member 17 is fastened to the terminal body 11 and the contactor 13 at the same time so as to fix the contact 13, and the pin 13 is fixed to the one side (e.g., A contact spring (15)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of the member (17) to gi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도 6은 종래의 터미널이 단자 쪽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erminal connected to a terminal side.

도 6의 (a)를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10)이 크래들의 단자(20) 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터미널(10)은 모선 터미널(10a) 및 부하 터미널(10b)을 포함하며, 단자(20)는 모선 단자(20a) 및 부하 단자(20b)를 포함한다.6 (a), the terminal 10 of the circuit breaker body moves toward the terminal 20 of the cradle. Here, the terminal 10 includes a bus terminal 10a and a load terminal 10b, and the terminal 20 includes a bus terminal 20a and a load terminal 20b.

그런데, 종래의 접촉자(13)의 선단 부위에는 곡면형상부(14)이 마련되어 있는데, 단자(20)의 삽입부(21)는 상기 곡면형상부(14)을 통해 접촉자(13) 사이의 벌어진 간격으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즉, 접촉자(13) 사이로 단자(20)의 삽입 시 간섭 및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The insertion portion 21 of the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the gap 13 between the contacts 13 via the curved portion 14, As shown in Fig. That is, interference and shock are not generated when the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ntacts 13.

도 6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을 통해 단자(20)의 삽입부(21)가 설정 길이만큼 삽입되는데, 이후 상기 곡면형상부(14)는 삽입된 단자(20)의 양면을 가압하여 서로 간의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 사이의 간격은 단자(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6 (b) and 6 (c), the insertion portion 21 of the terminal 20 is insert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of the contactor 13, and t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press both sides of the inserted terminal 20 to firmly maintain the contact state with each oth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urved portions 14 of the contactor 13 is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20 to enable this.

그런데, 도 6에서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10)과 크래들의 단자(20)가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형태를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이라 하는데, 이와 다른 방식으로 종 방향 배열 형태가 있다.
6, the terminal 10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 20 of the crad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is a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circuit breaker.

도 7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arrangement of circuit breakers.

도 7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에는 복수의 터미널(10)이 서로 동일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각 터미널(10)의 전방에는 이에 연결된 단자(20)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terminals 1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breaker main body 1 at equal intervals, and a terminal 20 connected thereto is arranged in front of each terminal 10.

이로써, 차단기 본체(1)가 인입방향(W)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각 터미널(10)로 각 단자(20)가 연결되는 배열 형태를 보여준다.Thus, whe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is moved toward the inserting direction W, the terminals 2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10.

그런데, 도 8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종래의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의 구조에 의하면 단자(20)가 곡면형상부(14)의 측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일정 영역(P)에서 곡면형상부(14)와 단자(20) 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한다. 8,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of the conventional contactor 13, the terminal 20 can not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A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and the terminal 20 occurs.

다시 말해, 종래의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 사이의 간격(c, 도 9 참조)은 단자(20)의 두께(t, 도 8 참조)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의 경우 곡면형상부(14)의 특유의 형상을 이용하여 단자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9) of the conventional contactor 13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rminal 20 (see Fig. 8), the distance (c) between the curved surfaces 14 of the circuit breaker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 arrangement,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can be facilitated by using a uniqu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 [

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단자(20)는 스스로의 두께(t)보다 좁은 간격(c, 도 9 참조)을 갖는 곡면형상부(14)를 통해 끼워질 수 없기 때문에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의 경우 터미널(10) 및 단자(20) 간의 접속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terminal 20 can not be inserted through the curved portion 14 having the interval c (see Fig. 9) narrow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rminal 20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20 becomes difficult.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040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9040, which discloses a circuit breaker.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에 무관하게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지며, 일정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capable of maintaining smooth contact between a terminal of a circuit breaker body and a terminal of a cradle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circuit break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상기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adle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circuit breaker body connected to the crad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to be energized,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body and protrudes to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contac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And contact protrusions which protrude rad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contact and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connected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rotrusion.

이때,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마다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may be provided for each contactor. Further, the contact projection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tip of the contactor.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contact protrus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또한, 상기 접촉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height of the contact protrusion may be high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ntactor.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접속된 단자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may have a sloped surface that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ntactor to limit inser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라운드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act protrusions may have one of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or,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or, and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length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or Lt; / RTI >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 예를 들면 종 방향 배열이든 횡 방향 배열이든 어떠한 배열 형태이더라도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 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nect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 of the cradle,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for example, a longitudinal arrangement or a lateral arrangement.

나아가,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시 서로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억제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terminals of the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s of the cradle are connected, collision between them can be prevented, breakage of parts can be suppressed,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더 나아가,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후 일정한 접촉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a constant contact state can always be maintained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 of the cradle,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stability can be ensured.

도 1은 차단기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연결되는 크래들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연결되는 전, 후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종래의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터미널이 단자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과 도 8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종래의 접촉자의 곡면형상부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자와 접촉돌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adle to which a breaker main body is connected.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front-rear coupl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break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radle.
5 is an enlarged view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erminal.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terminal is connected to a terminal.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longitudinal arrangement of circuit breakers.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gap between curved surface portions of a conventional contactor.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or and a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 lateral arrangement structure of a circuit breaker;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ater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17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회로차단기는 규정 이상의 전류가 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해서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회로의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서 사용될 수 있다.
A circuit breaker is a device that protects the circuit by stopping the current when a current exceeding the specified value flows into the circuit, and is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rmal load of the circuit and cutting off the fault current. For example, such a circuit breaker can be used in a switchboard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ic devices including a breaker for operation and control of a power plant and a substation, operation of a moto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회로차단기는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를 갖는 크래들(3, 도 2 참조)과,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을 갖는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A circuit break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3 (see FIG. 2)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20: 20a and 20b (see FIG. 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see Fig. 1).

이때,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자(110)와, 접촉돌기(120)가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include a contact 110 as shown in FIG. 10 and a contact protrusion 120.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의 터미널(10a)은 모선 터미널일 수 있으며, 하부의 터미널(10b)은 부하 터미널일 수 있다.
The breaker main body 1 (see Fig. 1) may have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see Fig. 1). As a preferred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upper terminal 10a may be a bus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10b may be a load terminal.

크래들(3, 도 2 참조)은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크래들(3)에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의 단자(20a, 도 2 참조)는 모선 터미널과 접속되는 모선 단자일 수 있으며, 하부의 단자(20b, 도 2 참조)는 부하 터미널과 접속되는 부하 단자일 수 있다. 1) is connected to the cradle 3 (see Fig. 2). The cradle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and 10b, : 20a, 20b, see Fig. 2). 2) may be a bus terminal connected to the bus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20b (see FIG. 2) may be a load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terminal .

이와 같이 크래들(2, 도 2참조)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는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에 구비된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과 접속된다.
2) provided in the cradle 2 (see Fig. 2)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10 (10a, 10b, 20b) provided in the circuit breaker body 1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터미널(10)은 터미널 몸체(11)를 갖는데, 긴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0, the illustrated terminal 10 has a terminal body 11, preferably, but not exclusively, in the form of a long rectangular plate.

접촉자(110)는 터미널 몸체(11)의 앞쪽 부위(즉, 선단이라 함)를 통해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전술한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or 1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erminal body 11 through the front portion (i.e.,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body 11, They can be placed side by side facing each other.

구체적인 예로서, 접촉자(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분할되되, 3개는 터미널 몸체(11)의 일면에 결합되고, 나머지3개는 터미널 몸체(11)의 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타면에 결합된 나머지 3개의 접촉자(110)는 일면에 결합된 3개의 접촉자(110)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평행을 이루어 대면 배치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actor 110 is divided into six pieces as shown in FIG. 11, three pieces are joined to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 and the remaining three pieces are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 Here, the remaining three contacts 110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facing the three contacts 110 coupled to one surface.

한편, 이러한 접촉자(110)는 핀 고정부재(17)에 의해 터미널 몸체(11)에 고정되는데, 일면에 결합된 3개의 접촉자(110)와 핀 고정부재(17)의 머리 사이에는 접압스프링(15)이 설치되어 접촉자(110)에는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ntactor 110 is fixed to the terminal body 11 by a pin fixing member 17. A contact spring 15 is provided between the three contacts 110 and the head of the pin fixing member 17, And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contactor 110. [

그리고 터미널 몸체(11)의 일면과 타면을 통해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접촉자(110)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간격(C1,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이라 한다. 1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es of the terminal body 11 and between the contactors 110 facing each other. The first distance C1 (see FIG. 12) ).

이러한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은 반드시 크래들의 단자(20, 도 13 참조)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is first gap C1 (see Fig. 12) can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t (see Fig. 13) of the terminal 20 (see Fig. 13) of the cradle.

접촉돌기(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 즉 터미널 몸체(11)의 일면과 타면을 통해 결합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자(110) 사이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6개의 접촉자(110)마다 하나씩의 접촉돌기(120)가 돌출될 수 있다. The contact protrusions 120 may protrude in a round shape between opposing contactors 110 that are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or 110, that is,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1, as shown in FIG. 11 . Preferably, as shown in FIG. 11, one contact protrusion 120 may protrude for each of the six contacts 110.

이러한 접촉돌기(120)는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을 통해 진입한 크래들의 단자(20, 도 13 참조)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을 유지시켜준다. These contact protrusions 120 press both sides of the terminal 20 (see Fig. 13) of the cradle that has entered through the first gap C1 (see Fig. 12) between the contacts 110 to maintain contact.

이를 위해, 접촉돌기(120) 사이에는 상기 단자(20)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하, 제2 간격이라 함)(C2,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12)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s 120 so as to be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rminal 20 (refer to FIG. 13) have.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서로 마주하여 결합된 접촉자(110)와, 접촉자(110)의 마주하는 방향, 즉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 돌출된 접촉돌기(120)의 단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12, the contac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erminal body 11 and the contact protrusions 120 protruding from the round edges in the facing direction of the contactor 110, The cross-sectional shape can be confirmed.

특히, 접촉자(110)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격(C1)은 단자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접촉돌기(120)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격(C2)은 단자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clearance C1 formed between the contacts 110 is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rminals (see Fig. 13), and the second gap C2 formed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s 120 is formed Can be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t (see Fig. 13).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배열구조에 관계없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 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al featu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nect the terminal of the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 of the cradle irrespective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도 13은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 lateral arrangement structure of a circuit breaker;

도 13을 참조하면,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르는 터미널(10)과 단자(20) 간의 접속 전 모습으로서, 인입방향(W)으로 차단기 본체가 이동하면 터미널(10)은 단자(20)를 향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간의 접속이 가능해 진다.
13,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moved in the pull-in direction W as a state b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later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So as to be able to connect with each other.

도 14는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ater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단자(20), 특히 단자의 삽입부(21)는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20)에 도달하게 된다. 14 (a), the terminal 20, particularly, the insertion portion 21 of the terminal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first gap C1 (see FIG. 12) between the contacts 110. As shown in FIG. And reaches the contact protrusion 12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contactor 110. [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단자의 삽입부(21)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접촉돌기(120)를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접촉돌기(120)에 접촉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단자(20)와 터미널(10) 간의 접촉상태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b), the insertion portion 21 of the terminal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120 while slightly raising the contact protrusion 120 having a round shape. As a resul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erminal 20 and the terminal 10 can be kept constant.

도 15는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도 15를 참조하면,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르는 터미널(10)과 단자(20) 간의 접속 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10)이 도시된 인입방향(W)으로 이동하면서 일 측에 놓인 단자(20)의 측면 방향을 지나 상호 간의 접속이 가능해 진다.
Referring to Fig. 15, a state befor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confirmed. The terminals 10 are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W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mutual connection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erminals 20 lying on one side.

도 16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단자(20)는 스스로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를 측면 방향으로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데, 어떠한 충돌이나 부딪힘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20)에 접촉하게 된다. 16 (a), the terminal 20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first gap C1 (see FIG. 12) between the contacts 110 formed to be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20 in the lateral direction, No collision or collision occur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12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contactor 110. [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단자(20)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접촉돌기(120)를 살짝 밀어 올리면서 접촉돌기(120)에 물려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를 경우에도 단자(20)와 터미널(10) 간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6 (b), the terminal 20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120 while slightly pushing up the contact protrusion 120 having a round shape. According to such a metho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20 and the terminal 10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the circuit breaker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접촉돌기(120)의 경우 가능하면 접촉자(110)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the case of such contact protrusions 120, it is preferable, but not always necessary, to be disposed close to the tip of the contactor 110 if possible.

게다가 이러한 접촉돌기(120)의 경우 도시된 바로는 1개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contact protrusion 120, only one bar is shown as being formed, but not limited to this number,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돌기(120)는 도 11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ntact protrusion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17 and 18 are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접촉자(110) 내에 다수 개(예: 2개 등)의 접촉돌기(120, 120')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20 and 120 'may be provided in one contactor 110, for example.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길이 방향(즉, X축 방향)을 따라 2개의 접촉돌기(120, 120')가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돌기(120, 120')의 단면 형상은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A, two contact protrusions 120 and 120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ntactor 110. Sectional shapes of the contact protrusions 120 and 12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17 (b).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다수 개의 접촉돌기(120, 120')가 접촉자(110)의 폭 방향(즉,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20 and 120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i.e., the Y-axis direction) of the contactor 110. [

도 18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자(110) 내에 단일의 접촉돌기(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촉돌기(120)의 경우 안쪽, 즉 접촉자(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h2)가 바깥쪽의 높이(h1)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ingle contact protrusion 120 is provided in the contactor 110. In the case of the contact protrusion 120, the height h2 Can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outer side.

구체적인 예로서, 도 18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접촉돌기(120)는 반구 형상을 가지는데, 접촉자(110)의 사이로 접속되는 단자(20, 도 13 참조)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접촉자(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18 (b), the contact protrusions 120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contact protrusions 120 of the terminal 20 (see FIG. 13)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s 110 And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that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ntactor 110 to limit the insertion distance.

다시 말해, 반구 형상의 접촉돌기(120)의 경우 안쪽의 높이(h2)가 바깥쪽의 높이(h1)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경사각(e)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단자(20, 도 13 참조)의 삽입을 제한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hemispherical contact protuberance 120, the inner height h2 may be higher than the outer height h1, and the inclined surface having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e may be formed, , See Fig. 13).

다음으로, 접촉돌기(110)의 다양한 변형예들에 관하여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tact protrusion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1. FIG.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1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1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1)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19, the planar shape a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b of the contact protrusion 120-1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formed at the distal end center portion of the contactor 110 can be confirmed.

도 19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1)는 전술한 반구형상이 아니라 접촉자(110)의 폭 방향(즉,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9A, the contact protrusions 120-1 may have a round shap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i.e., the Y-axis direction) of the contactor 110, not the hemispherical shape described above .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1)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19 (b), the contact protrusion 120-1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protrudes convexly in a dome shape, and the terminal 20 (see Fig. 16) in either X- or Y-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20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2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2)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20, the planar shape (a) and the sectional shape (b) of the contact protrusion 120-2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formed at the distal end center portion of the contactor 110 can be confirmed.

도 20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2)는 제 1 변형예와 달리 접촉자(110)의 길이 방향(즉,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20A, the contact protrusions 120-2 may have a round shap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ntactor 110, unlike the first modified example have.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2)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20 (b), the contact protrusion 120-2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protrudes convexly in the form of a dome so that the terminal 20 (see Fig. 16) in either X- or Y-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21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contact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3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3)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21, the planar shape a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b of the contact protrusion 120-3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p of the contactor 110 can be confirmed.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3)는 앞선 제 1, 2 변형예와 달리 접촉자(110)의 길이 및 폭 방향(즉, X,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십(十)자 모양의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A, the contact protrusions 120-3 shown in FIGS. 21A and 21B are extended along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that is, the X and Y axis directions) of the contactor 110 And may have an elongated shape such as a ten-sided round shape.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3)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21 (b), the contact protrusions 120-3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protrude in a dome-like shape and protrude in the X- and Y-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n be further strengthened.

한편, 이러한 도 19 내지 도 21를 통해 살펴본 다양한 접촉돌기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단자와의 접촉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통전 성능이 일정 수준으로 확보되는 조건하에서 그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9 to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contact protrusions is appropriately chang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urrent-carrying performance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becau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erminals may var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 예를 들면 회로차단기가 종 방향 배열이든 횡 방향 배열이든 어떠한 배열 구조를 가질 경우에도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ircuit breaker such as a circuit breaker having an arrangement structure such as a circuit breaker having a vertical arrangement or a horizontal arrangem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easily performed.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시 서로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억제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prevents collision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terminals of the cradle,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parts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후 일정한 접촉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onstant contact state can always be maintained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breaker main body and the terminal of the cradle, thereby ensuring operational reliability and stability.

지금까지 본 발명인 회로차단기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ircuit breake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W: 인입방향
1: 차단기 본체
3: 크래들
10(10a, 10b): 터미널
11: 터미널 몸체
15: 접압스프링
17: 핀 고정부재
20(20a, 20b): 단자
110: 접촉자
120, 120-1, 120-2, 120-3: 접촉돌기
W: Incoming direction
1:
3: Cradle
10 (10a, 10b): terminal
11: Terminal body
15: Contact spring
17: pin fixing member
20 (20a, 20b): terminal
110: Contactor
120, 120-1, 120-2, 120-3: contact protrusions

Claims (7)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고정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상기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을 유지시켜주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마다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며,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크래들과 상기 차단기 본체는 횡 방향 배열구조 및 종 방향 배열구조에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과 상기 복수의 단자 간의 충돌 없이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A cradle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nd a breaker main body connected to the cradl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to be energize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comprising:
A contact connected to the breaker main body and fixedly coupl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terminal body protruding to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And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tactor and pressing both sides of the connected terminals when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intain contact therewith,
Wherein the contact protrusions are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tip of the contactor, and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are provided for each contactor,
Wherein the contact protrusion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wider spacing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contact protrusions are protruded with a relatively narrow gap relative to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rein the main body is connectable without colli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a lateral arrangement and a longitudinal arrangement.
Circuit bre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projection
Wherein the circuit breaker has a hemi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ight of the contact protrusion is high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접속된 단자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projection
Wherein the circuit breaker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more project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ntactor so as to restrict inser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라운드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projection
Wherein the contactor has one of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or,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or, and a round shape extending along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or. .
KR1020160062579A 2016-05-23 2016-05-23 Circuit breaker KR101827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en) 2016-05-23 2016-05-23 Circuit breaker
EP17170853.0A EP3249671B1 (en) 2016-05-23 2017-05-12 Circuit breaker
ES17170853T ES2791497T3 (en) 2016-05-23 2017-05-12 Circuit breaker
CN201710357449.7A CN107424851A (en) 2016-05-23 2017-05-19 Breaker
US15/601,023 US10079130B2 (en) 2016-05-23 2017-05-22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en) 2016-05-23 2016-05-23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68A KR20170131868A (en) 2017-12-01
KR101827118B1 true KR101827118B1 (en) 2018-02-07

Family

ID=5870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en) 2016-05-23 2016-05-23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9130B2 (en)
EP (1) EP3249671B1 (en)
KR (1) KR101827118B1 (en)
CN (1) CN107424851A (en)
ES (1) ES2791497T3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98B1 (en) * 2017-02-21 2018-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having operating device
CN211017487U (en) * 2019-01-02 2020-07-14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thereof
US10985487B2 (en) * 2019-07-15 2021-04-20 Abb Schweiz Ag Electrical connector between a bus and a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0182C3 (en) * 1968-09-25 1974-11-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Limited mobility electrical high-voltage plug connection
US4505531A (en) * 1983-08-29 1985-03-19 Miller Edwin A Socket terminal and connector
JPH06101358B2 (en) * 1988-01-22 1994-12-12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Hinge connector
US5147230A (en) * 1991-12-19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Two piece electrical female terminal
US5685726A (en) * 1992-07-17 1997-11-11 Berg Technology, Inc. Flat back card connector
JP2596910Y2 (en) * 1993-11-30 1999-06-2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Female contact
GB9324762D0 (en) * 1993-12-02 1994-01-19 Amp Holland Low insertion force receptacle terminal
US6102754A (en) * 1997-03-31 2000-08-15 The Whitaker Corporation Bus bar contact
JP3494347B2 (en) * 1998-03-06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Terminal sag prevention structure
JP3473521B2 (en) * 1999-10-08 2003-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Female terminal fitting
US6595810B1 (en) * 2001-11-07 2003-07-22 Pro Equipment, Llc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ion system
US6595799B2 (en) * 2001-12-19 2003-07-22 Taiwan Gamma Electronic Inc. Structure of contact piece for cable television signals
JP2005183160A (en) * 2003-12-19 2005-07-07 Jst Mfg Co Ltd Female contact
US7175488B2 (en) * 2005-04-04 2007-02-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KR100868567B1 (en) 2005-06-30 2008-11-1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07141509A (en)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fitting
JP4607749B2 (en) * 2005-12-06 2011-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Female connector terminal and female connector
CN201219183Y (en) * 2008-07-02 2009-04-08 厦门华电开关有限公司 Large current and medium voltage switch cabinet
KR101269826B1 (en) * 2009-01-20 2013-05-30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KR101048992B1 (en) * 2009-03-11 2011-07-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ntact device of circuit breaker
CN102439734B (en) * 2009-05-20 2014-12-03 行田电线株式会社 Connecting terminal,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terminal box
KR101106899B1 (en)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osition switch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DE102009050367A1 (en) 2009-10-22 2011-04-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pring clamp connection terminal
KR20110074636A (en) 2009-12-23 2011-07-01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Connector device
JP2012079505A (en) * 2010-09-30 2012-04-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Connector assembly
KR101426798B1 (en) *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Electric terminal
EP2690637A1 (en) * 2012-07-23 2014-01-29 ABB Technology AG Connecting device
KR101309040B1 (en) 2012-07-26 2013-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JP6119524B2 (en) * 2013-09-20 2017-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Terminal fitting
US9196985B2 (en) 2014-01-09 2015-1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60062579A (en)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Video Call in packet-switched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9336977B1 (en) 2015-04-03 2016-05-10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with terminal retention and correction featur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91497T3 (en) 2020-11-04
KR20170131868A (en) 2017-12-01
EP3249671B1 (en) 2020-03-04
CN107424851A (en) 2017-12-01
US10079130B2 (en) 2018-09-18
EP3249671A2 (en) 2017-11-29
EP3249671A3 (en) 2018-03-07
US20170338070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7268A (en) Electromagnetic relay
JP4242885B2 (en) Plug-in spring clamp
KR101985433B1 (en) relay
KR101827118B1 (en) Circuit breaker
EP3540861B1 (en) Socket
US800899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4837538A (en) Electromagnetic relay
US9449767B2 (en) Switch contact subassembly having a switch contact bridge and contact bridge retention member
CN109326909A (en) A kind of high-power card class connection terminal of high density and connector
US9741517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0029011A (en) Electric joint box
KR20130143600A (en) Contact structure
US5903201A (en) Relay for high breaking capacities
CN100454459C (en) Bipolar change-over switch
KR200482617Y1 (en) Electron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moving of board assembly
JP2008527729A (en) Pluggable combination device especially for 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
KR102362811B1 (en) Electrical Ccnnection Connector of MCC
JP7115358B2 (en) electronic module
KR102276331B1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KR20120019066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relay
EP4336538A1 (en) Electromagne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20220310341A1 (en) Auxiliary Contact System of Contactor
WO2023212919A1 (en) Disconnector and disconnector system
JP2024160974A (en) Contact bridge assembly for relays or contactors
JP4986878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pring contact and convex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