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27063B1 -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063B1
KR101827063B1 KR1020150175447A KR20150175447A KR101827063B1 KR 101827063 B1 KR101827063 B1 KR 101827063B1 KR 1020150175447 A KR1020150175447 A KR 1020150175447A KR 20150175447 A KR20150175447 A KR 20150175447A KR 101827063 B1 KR101827063 B1 KR 10182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und
copolymer
vinyl compound
impact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794A (ko
Inventor
김인철
권기혜
홍창민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DE102015122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5122922B4/de
Priority to US14/982,165 priority patent/US10000635B2/en
Publication of KR2016008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소광제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1 충격보강제와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2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초수지에 코어-쉘 형태의 서로 다른 충격보강제를 최적의 함량비율로 첨가함으로써, 가스 실버 발생 등의 문제없이 소광제로 인한 내충격성 저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INTERIOR PARTS OF VEHICLE AND MOLDED ARTICLE FOR INTERIOR PARTS OF VEHIC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코어-쉘 형태의 서로 다른 충격보강제 및 소광제를 최적의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가스 실버(gas silver streak) 발생 등의 문제없이 소광제로 인한 내충격성 저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저광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용 부품, 특히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의 경우 자외선(ultra violet ray, UV)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있어 UV 안정성이 요구되고 더불어 주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높은 내충격성과 내열도가 요구된다.
대다수의 자동차 부품생산 업체들은 이와 같은 이유로 자동차 내장용 부품에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의 얼로이 수지, 즉 PC/ABS 수지를 이용한 성형품에 도장과 같은 후가공을 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제조원가 부담과 환경문제로 인해 무도장 소재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하, ASA)의 얼로이(alloy) 수지, 즉 PC/ASA 수지는 내후성과 내열성이 뛰어나 자동차 외장용 부품,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 아웃사이드 미러 하우징(outside mirror housing)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하지만,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상대적으로 낮은 유리전이온도(Tg) 특성으로 인해 PC/ASA 수지는 PC/ABS 수지 대비 내충격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오버헤드 콘솔과 같은 일부 자동차 내장용 부품은 저광 특성이 요구되는데, 저광 특성 발현을 위해 PC/ASA 수지에 소광제를 첨가하면 추가적인 내충격성 하락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8507호와 같이 ASA 수지에 대한 특허는 다양하게 출원되어 있으나 ASA 수지의 내충격성 보강에 관한 기술은 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광 특성을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고, 가스 실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38507호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수지에 소광제를 첨가함으로써, 저광 특성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코어-쉘 형태의 서로 다른 충격보강제를 최적의 함량비율로 첨가함으로써, 가스 실버 발생 등의 문제없이 소광제로 인한 내충격성 저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구성성분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착색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도장이 가능해 친환경적인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소광제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1 충격보강제와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2 충격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0g/mol 내지 10,000,000g/mol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비닐 화합물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쉘층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성분의 함량 비율은 중량비로 4:1 내지 1.5:1일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되는 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격보강제와 상기 제2 충격보강제의 함량 비율은 중량비로 3:1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2 중량% 내지 10 중량%, 방향족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65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은 상기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ASTM D256에 따라 상온에서 측정한 Izod 충격강도(1/8″, notched)가 55 kgf·cm/㎝ 내지 80 kgf·cm/㎝일 수 있고, ASTM D523에 따라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gloss)가 15% 내지 5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SAE J1960에 따라 2,500 kJ/m2의 내후성 폭로 조건에서 측정한 평가 전후의 색차 변화(ΔE)가 2.0 내지 2.9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기초수지로 하여, 소광제를 첨가함으로써, 자동차 내장부품의 저광특성을 강화하면서도, 서로 다른 코어-쉘 형태의 충격보강제를 최적의 함량비율로 첨가함으로써, 가스 실버 발생 등의 문제없이 소광제로 인한 내충격성 저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성분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착색성, 내열성 및 내광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도장이 가능해 친환경적인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랜덤 공중합, 그라프트 공중합 또는 교호 공중합을 의미할 수 있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 등의 (메타)를 포함하는 화합물 등도 마찬가지로, 명칭 중에 “메타”를 지니는 화합물과 “메타”를 지니지 않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오버헤드 콘솔(overhead console), 콘솔 박스(console box), 센터페시아(center facia) 등에 최적화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소광제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한다.
기초수지
본 발명의 기초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계 화합물을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12079781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의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할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의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의 사이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0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 에스테르기, CO, S 및 SO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C1 내지 C30의 알킬기, C1 내지 C30의 할로알킬기, C6 내지 C30의 아릴기, C2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 및 C1 내지 C20의 알콕시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반복단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 중에서,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g/mol 내지 200,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0g/mol 내지 30,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5,000g/mol 내지 25,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격보강제 및 소광제와의 혼합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범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해야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적당한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두 종류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몰% 내지 2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비닐 화합물 55 중량% 내지 8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2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공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형성을 위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을 사용하거나, 이들 중에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공중합체의 형성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종류가 위 나열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g/mol 내지 300,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0,000g/mol 내지 150,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초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8 중량% 내지 88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2 중량% 내지 3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소광제로 인한 내충격성 저하로 인해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기초수지 전체중량에 대하여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또는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전체중량에 대하여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또는 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충격보강제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1 충격보강제와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2 충격보강제를 포함한다.
제1 충격보강제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기초수지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내충격성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중합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단일중합 또는 공중합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서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비닐 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8 중량% 내지 62 중량% 및 상기 쉘층 38 중량% 내지 4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시 내충격성 효율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쉘층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성분의 함량 비율은 4:1 내지 1.5: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3: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내충격성 효율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 충격보강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g/mol 내지 10,000,000g/mol인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g/mol 내지 500,000 g/mol인 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210nm 내지 400n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10nm 내지 35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충격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의 평균 입경에 관해서는 계측법에 의해 수치화하여 집단의 평균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지만,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포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모드 직경, 적분 분포 곡선의 중앙값에 상당하는 메디안 직경, 각종 평균 직경(수 평균, 길이 평균, 면적 평균, 질량 평균, 체적 평균 등)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평균 입경”이란 “수 평균 입경”이고, d50(분포율이 50% 되는 지점의 입경)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충격보강제의 굴절률은 1.51 내지 1.54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착색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충격보강제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되는 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계면상에서의 내충격성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디엔계 단량체로 중합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중합된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디엔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혼합물을 포함하여 중합한 고무질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디엔계 단량체로는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타디엔이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디엔계 단량체로 중합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격보강제는,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8 중량% 내지 62 중량% 및 상기 쉘층 38 중량% 내지 4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최종 성형품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및 착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100nm 내지 200n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50nm 내지 200nm일 수 있다. 이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충격성 보강 효과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착색성 및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격보강제와 상기 제2 충격보강제의 함량 비율은 중량비로 3:1 내지 1: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5:1 내지 1.5:1일 수 있다. 이 함량 비율 내에서,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연속상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계면상의 내충격성 향상에 각각 작용하는 상기 제1 충격보강제 및 제2 충격보강제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 제1 충격보강제와 제2 충격보강제의 총합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가 5 중량부 미만 포함되는 경우 내충격성의 향상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내열성 및 강성 등 전반적인 다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충격보강제의 굴절률은 1.52 내지 1.5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착색성을 우수할 수 있다.
소광제
본 발명에서 상기 소광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0g/mol 내지 10,000,000g/mol인 초고분자량의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비닐 화합물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는 저광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효과적이다.
또한, 소광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 중량부 내지 6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가 1 중량부 미만 포함되는 경우에는 저광 효과가 매우 미미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충격성, 유동성 등의 일반적인 물성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공중합체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착색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서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g/mol 내지 200,000g/mol일 수 있다. 예를 들면 80,000g/mol 내지 120,000g/mol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굴절률은 1.51 내지 1.54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착색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굴절률과 상기 충격보강제의 굴절률(상기 제1 충격보강제 및 제2 충격보강제의 평균 굴절률)의 차이는 0.001 내지 0.02일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더욱 우수한 착색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2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착색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2 중량% 내지 10 중량%, 방향족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65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더욱 우수한 착색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 외에,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사출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각 물성들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혹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최종 용도에 따라 필요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로서는 난연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재, 가소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안정제, 정전기 방지제, 안료, 염료, 방염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은, 소광제인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0g/mol 내지 10,000,000g/mol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Izod 충격강도(1/8″, notched)가 55 kgf·㎝/cm 내지 80 kgf·㎝/cm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은 ASTM D523에 따라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gloss)가 15%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은 SAE J1960에 따라 2,500 kJ/m2의 내후성 폭로 조건에서 측정한 평가 전후의 색차 변화(△E)가 2.0 내지 2.9 일 수 있다. 이는 수 차례의 실험을 통해, 해당 범위 내에 속하는 열가소성 수지에서, 자동차 내장부품용으로 사용시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구현하는 임계적 의의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E 값은 국제조명위원회(CIE) Lab 색표시계에서 색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E를 계산하는 식은 하기 계산식 1과 같다:
[계산식 1]
Figure 112015120797815-pat00002
CIE Lab 색표시계에서는 명도를 L로 표시하고, 색상과 채도를 표시하는 색도를 a와 b로 표시한다. a 값이 클수록 적색(red)에 가깝고, a 값이 작을수록 녹색(green)에 가깝다. b 값이 클수록 황색(yellow)에 가깝고 b 값이 작을수록 청색(blue)에 가깝다.
SAE J1960에 따라 2,500 kJ/m2의 내후성 폭로 조건에서 측정한 평가 전후의 색차 변화(ΔE)가 작을수록 내후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하기와 같다.
(A) 제1 충격보강제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60 중량%에 각각 아크릴로니트릴 33 중량%와 스티렌 67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40 중량%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320nm, 제1 충격보강제의 굴절률은 1.511 이었다.
(B) 제2 충격보강제
폴리부타디엔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60 중량%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 중량%를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170nm, 제2 충격보강제의 굴절률은 1.528이었다.
(C)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 스티렌 2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로부터 이루어진 공중합체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20,000g/mol, 굴절률이 1.511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M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D)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 스티렌 76 중량%로부터 이루어진 공중합체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E)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g/mol인 선형의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F) 소광제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 스티렌 76 중량%로부터 이루어진 공중합체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인 초고분자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을 하기 표 1 함량으로 혼합하여 압출 및 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29, 직경이 45mm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바렐온도는 26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2시간동안 건조한 후, 6 oz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50℃, 금형온도 60℃로 설정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 및 내후성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단위:중량부)
(A) (B) (C) (D) (E) (F)
실시예 1 16.25 8.75 - 31.25 68.75 1.00
2 16.25 8.75 - 31.25 68.75 3.00
3 16.25 8.75 - 31.25 68.75 5.00
4 18.57 10.00 14.29 21.43 78.57 5.00
5 16.25 8.75 - 12.45 87.55 5.00
6 12.50 12.50 - 31.25 68.75 1.00
7 18.75 6.25 - 31.25 68.75 3.00
8 16.25 8.75 - 31.25 68.75 8.00
비교예 1 16.25 8.75 - 31.25 68.75 -
2 16.25 8.75 - 31.25 68.75 10.00
3 25.00 - - 31.25 68.75 3.00
4 - 25.00 - 31.25 68.75 3.00
5 23.64 12.72 45.45 - 100.00 3.00
6 16.25 8.75 - 50.00 50.00 3.00
7 20.00 5.00 - 31.25 68.75 -
8 11.25 13.75 - 31.25 68.75 10.00
9 16.25 8.75 - 31.25 68.75 9.00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물성을 하기 물성 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내충격성 (단위: kgf·cm/㎝): ASTM D256에 따라 1/8″ 두께의 notched 시편에 대하여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광택도 (단위: %): ASTM D523에 따라 60° 각도에서 광택도(gloss)를 측정하였다.
(3) 내후성: SAE J1960에 따라 2,500 kJ/m2의 내후성 폭로 조건에서 시편의 평가 전후의 색차 변화(△E)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5120797815-pat0000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 내지 8은 소광제를 포함했음에도 최소 55 kgf·cm/㎝ 이상의 Izod 충격강도를 나타내어, 소광제를 포함하지 않아 충격강도가 저하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7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에 비해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저광 특성 또한 비교예에 비해 본원발명의 실시예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은 모두 △E 값이 2.0 내지 2.9인 반면, 비교예의 경우, △E 값이 4.5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내충격성, 광택도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부품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을 통하여, 본원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간 함량비율의 임계적 의의 및 본원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5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소광제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1 충격보강제, 및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2 충격보강제를 포함하고,
    성형품의 SAE J1960에 따라 2,500 kJ/m2의 내후성 폭로 조건에서 측정한 평가 전후의 색차 변화(△E)가 2.0 내지 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내지 10,000,000g/mol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방향족비닐 화합물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보강제는,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쉘층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과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의 중량 비율은 4:1 내지 1.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코어-쉘 형태의 디엔계-아크릴계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및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되는 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보강제는, 상기 디엔계-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5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상기 쉘층 3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보강제와 상기 제2 충격보강제의 함량 비율은 중량비로 3: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2 중량% 내지 10 중량%, 방향족비닐 화합물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65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
  13. 제12항에 있어서, ASTM D256에 따라 상온에서 측정한 Izod 충격강도(1/8″, notched)가 55 kgf·㎝/㎝ 내지 80 kgf·㎝/㎝이고, ASTM D523에 따라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gloss)가 1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성형품.
  14. 삭제
KR1020150175447A 2014-12-31 2015-12-09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2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2922.6A DE102015122922B4 (de) 2014-12-31 2015-12-29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für Automobilinnenbauteile und Formteil für Automobilinnenbauteile unter Verwendung derselben
US14/982,165 US10000635B2 (en) 2014-12-31 2015-12-2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and molded article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6097 2014-12-31
KR1020140196097 2014-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94A KR20160081794A (ko) 2016-07-08
KR101827063B1 true KR101827063B1 (ko) 2018-03-23

Family

ID=5650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447A KR101827063B1 (ko) 2014-12-31 2015-12-09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14B1 (ko) 2016-12-30 2019-09-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19031B1 (ko) * 2017-12-05 2020-06-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58884B1 (ko) * 2017-12-29 2019-03-1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94062B1 (ko) * 2018-04-27 2020-12-2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21622B1 (ko) * 2018-06-29 2021-02-26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00080B1 (ko) * 2019-08-30 2022-05-1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03152A (ko) 2022-06-30 2024-0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20240025343A (ko) 2022-08-18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38B1 (ko) * 2005-12-07 2007-0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76844B1 (ko) 2007-12-31 2008-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이 향상된 내스크래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67271B1 (ko) 2009-12-30 2013-05-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특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507A (ko) 2007-10-16 2009-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38B1 (ko) * 2005-12-07 2007-0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76844B1 (ko) 2007-12-31 2008-12-31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이 향상된 내스크래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67271B1 (ko) 2009-12-30 2013-05-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특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794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063B1 (ko) 자동차 내장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8121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용 성형품
KR1019500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940397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45377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00063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and molded article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using the same
KR10194559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5377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86282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KR20080063052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US11124647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JPH043147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3228770B2 (ja) 熱可塑性成形組成物
KR1023655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1339286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US10822494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US2020010245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2007169616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256651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169773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KR10240008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038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7089547A1 (en) Polycarbonate-asa blends with antistatic properties using sulfonated alkanes
KR2024003080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