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926B1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926B1 KR101812926B1 KR1020170077680A KR20170077680A KR101812926B1 KR 101812926 B1 KR101812926 B1 KR 101812926B1 KR 1020170077680 A KR1020170077680 A KR 1020170077680A KR 20170077680 A KR20170077680 A KR 20170077680A KR 101812926 B1 KR101812926 B1 KR 1018129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unit
- car
- patter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무 및 사고의 발생 여부 등을 감지하여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통상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엘리베이터카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설치되는 장소의 저층과 고층을 수직으로 이동하여, 인력 및 화물을 저층과 고층으로 수송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사용시간 누적과 부속품의 노후 또는 고장 등으로 종종 사고가 발생된다.Generally, the elevator is normally moved vertically, so that a space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elevator car can be moved to a place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and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the place where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through the space are vertically moved, And high-rise buildings. Accidents often occur, however, due to accumulation of elevator usage time and aging or breakdown of accessories.
이에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속품의 노후 및 고장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다양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엘리베이터에 구성되는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098호에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이 기재되었다.Accordingly, various safety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aging and failur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levator. A remote elevator control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32098 as a system capable of managing the lifetime by check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elevator.
위에 기재된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시스템은 구동부, 전원공급부, 구동제어부 및 센싱부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진동, 속도, 온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행하는 구동점검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와 상기 센싱부의 고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제어상황검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점검부, 전류감지부 및 제어상황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된 데이터에 따라 고장진단과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수명(내구년한)을 관리할 수 있다.The remote elevator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includes a driving controller that includes a dr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 driving control unit, and a sensing unit and detects at least one of vibration, speed, and temperature of the driving unit and issues a predetermined signal. A curren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verload occurring in the power supply unit; A control status detect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and a failure signal of the sensing unit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And diagnoses the elevator us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drive inspection unit, the current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status detection unit, thereby diagnosing the failure and determining the replacement period of parts according to the diagnosed data, Can be managed.
이에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관리자에게 점검을 요청하는 것으로, 부품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어 미리 점검을 할 수 있지만, 관리자가 점검을 미루거나 해당 부품의 교체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위험요소를 소지한 채 운행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관리자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점검이 이루어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은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조속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람(사용자)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함에 있어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beforehand the parts replacement time by asking the supervisor to check before the fault occurs in the elevator, but if the manager delays the inspection or the replacement of the parts is delay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can be operated while being carried. That is, since the elevator is normally operated du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elevator to be inspected by the manager, if there is no quick insp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the person (user) using the elevator increases.
한편,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행시키는 시스템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204호에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가 기재되었다. 위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비상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제어부와, 동력제어부와, 도어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정전 시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도록 DC전원을 AC전원으로 전환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컨트롤러가 설치된 동력제어부, 상기 동력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제어부가 엘리베이터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를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an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97204 as a system for emergency operation of an elevator. The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ignal controller, a power controller, and a door controller for driving the elevator. The controller includes an emergency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by switching DC power to AC power so as to operate the elevator during a power failure, The power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otor of the elevator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nearest lay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한 고장 상황의 감지에 의한 경우 다소 늦은 대처 또는 피동적인 대처에 머무를 수 밖에 없으며, 이를 감시하는 관리자의 부재시에는 이를 인지한 후 조치를 취해야하는 적기를 놓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etection of a failure situation using such a plurality of sensors, it is inevitable to stay in a somewhat late coping or passive coping, and in the absence of the supervisor, there is a problem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miss the bandit hav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장의 유무를 보다 능동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각종 사고의 발생 유무를 예측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알리는 수단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olving such a problem, which is capable of more actively grasp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ilure, and further having means for predicting occurrence of various accidents in the elevator and informing the manager .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카 운행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카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와,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패턴 비교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한다.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including a control panel for receiving car information; A car drive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ng condition and an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riving unit; And a pattern combining unit for combining the pattern data from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nd comparing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attern dat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vator is abnormal, And a patter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ccident is probable.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각 부품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하는 진단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소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diagnostic sensor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nd stability of the components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rive unit;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a horizontal vibration and a vertical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respectively; And a first noise sensor for sensing noise in the elevator car.
또한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수집하는 제2 소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noise sensor for collecting noise generated from the car drive unit.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을 포함하여 조합된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safety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reference pattern database in which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occurrence failure is stored, and 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includes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The combined reference pattern data can be stored.
또한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할 수 있다.The pattern combining unit may generate pattern data by combining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data of the elevator car input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noise signals generated from the car driving unit inputted from the second noise sensor, The controller can compare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data and estimate the failure type of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pattern data.
또한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The pattern comparison unit may receive data on the degree of aging and the degree of stability inputted from the diagnostic sensor and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the type of failure of the estimated elevator.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이 저장되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고장에 대응하여 교체되거나 수리된 부품의 내역이 저장되는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할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ilure history database in which the failure history is stored and a parts management database in which the details of the parts replaced or repaired in response to the failure are stored, And the failure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fixed type and the information on the part from the parts management database to correct the probability.
또한 상기 안전관리부의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1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of the safety management unit may further store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accident type, and the pattern combination unit may include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data of the elevator car input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The pattern comparator compares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data and estimates the type of the accident in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pattern data by combining the noise signals in the elevator car inputt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자체의 이상 유무를 보다 효율적이고도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이와 더불어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사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관련한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and actively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levator itself is abnormal, and also can ascertain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elevat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safety related to the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및 카 구동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an elevator car and a car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afe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카(110)와 카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10)는 승객을 태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10) 내에 구비된 제어 패널 등의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층 간을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The elevator 100 includes an elevator car 110 and a car drive unit 150. Here, the elevator car 110 means a vehicle that runs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through an input of a control panel or the lik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110 in a state where the passenger is on the passenger side.
카 구동부(15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제어 패널의 입력에 따라 작동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운행하는 관련 구성들과 엘리베이터 카(110)의 안정과 관련된 구성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 고정 도르레, 카 완충기 등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r drive unit 150 is configured to drive the elevator car 11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control panel in the elevator car 110 and the related structures for operating the elevator ca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90, it means. For example, the car drive unit 150 may include structures such as a wire rope, a fixed drum, a car shock absorber, and the like.
센싱부(200)는 진동, 소음, 탑승자의 탑승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구비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00 senses vibrations, noise, boarding passengers, and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using various conventional sensors.
안전관리부(300)는 작동 제어부(190) 등으로부터 전달된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나 센싱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관리에 관한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부이다.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is a unit that performs determination and control regarding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evator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190 or the like and various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200. [
또한 안전관리부(300)는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10) 내로 전송되는 광고 기타 정보들의 선택 또는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to the elevator car 110. [
정보 제공부(40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에 구비되는 정보 제공장치 등에 표시될 정보들을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관련된 제품들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매체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서 각종 정보와 광고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제공하는 양방향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인 동시에 방송, 통신, 광고, 인터넷, 공공서비스 같은 다양한 분야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광고의 융합 플랫폼이기도 하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is a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r the lik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110. [ Recently, a number of products related to digital signage have been proposed. Digital signage is an advertising medium that uses digital technology to display images or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or projector, and can be managed remotely via a network. Therefore, digital signage is a bi-directional personalized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hrough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in a public place or a commercial space, and is also used for various fields such as broadcasting, communication, advertisement, Is a fusion platform for advertising that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400)는 기 설정된 광고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주변의 층별 영상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image data and the like, which include image data of the floor around the elevator including the preset advertisement data and the like.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및 카 구동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n elevator car and a car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afe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FIG.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카(110) 및 카 구동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levator 100 includes an elevator car 110 and a car drive unit 150.
엘리베이터카(110)는 정보제공수단(103)과 제어 패널(101)을 포함한다. 정보제공수단(10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광고나 엘리베이터 주변의 CCTV 영상들을 전송하는 구성부이다.The elevator car 110 includes an
또한 비상 시 안전관리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의 탑승객들에게 비상 상황의 대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비상 시의 탑승객들과의 양방향 소통을 위한 입출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Also, it can be used for conveying information on the cop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r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afety management unit 300, and as an input / output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assengers in an emergency .
제어 패널(101)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어 탑승객들이 목적하는 층 수를 입력받는 구성부이며, 기본적인 목적 층의 입력 이외에 도어의 개방 입력이나 폐쇄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관리자와의 통화를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제어 패널(101)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작동 제어부(190)로 전송되며, 작동 제어부(19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 구동부(150)를 제어한다.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151), 고정 도르레(153) 및 카 완충기(155) 등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 구동부(150)는 엘리베이터 카(110) 내의 제어 패널(101)의 입력에 따라 작동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운행하는 관련 구성들과 엘리베이터 카(110)의 안정과 관련된 구성들을 의미한다. 카 구동부(150)는 와이어 로프(151), 고정 도르레(153), 카 완충기(155) 등의 구성들 이외에도 종래의 알려진 엘리베이터 작동 및 안전에 관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ar drive unit 150 includes a
한편, 이러한 카 구동부(150)와 엘리베이터 카(110)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200)는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싱부는 진단 센서(201), 진동센서(203) 및 소음센서(20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car driving unit 150 and the elevator car 110. The sensing unit 200 senses an operating state and an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riving unit.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단 센서(201)는 엘리베이터 카(110) 및 카 구동부(150)에 포함되는 각 부품들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한다. 종래에는 다양한 진단 센서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각종 부품들의 이상 증후나 고장 여부들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진동센서(203)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평 진동의 경우 엘리베이터 카를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의 수평방향 이동이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으며, 수직 진동의 경우 무게 센서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와이어 로프에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충격을 측정함으로써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소음센서(205)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측정하는 제1 소음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외측의 소음, 특히 카 구동부(150)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제2 소음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제1 소음센서가 감지하는 데이터의 경우 엘리베이터 내의 소음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또는 사건 등의 발생을 예측하는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제2 소음센서가 감지하는 데이터는 카 구동부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관련된 안전성을 예측하는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다.The data sensed by the first noise sensor can be used as data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r an accident in the elevator by measuring the noise in the elevator. The data sensed by the second noise sensor i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 driving unit And can be used as data for predicting safet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센싱부(200)는 이러한 감지된 데이터를 작동 제어부(190)로 전달하여 종래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전관리부(300)로 전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00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90 so that the sensed data can be used as data for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afety management system or transmitted to 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The safety of the elevator can be mana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안전관리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관리 제어부(301), 패턴 비교부(303) 및 패턴 조합부(305)를 포함한다. 안전관리부(300)는 작동 제어부(190), 엘리베이터(100)와 센싱부(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달받아 엘리베이터(100)의 안전운행에 관한 상황판단 또는 엘리베이터 내 사건/사고 유무에 관한 상황판단을 하여 엘리베이터(100)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a safety
이를 위하여 안전관리부(300)는 다양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관리부(300)는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 고장 이력 데이터베이스, 부품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may include databases for storing various data in advance. Specifically, 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may include a reference pattern database, a failure history database, and a parts management database.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는 두 가지 타입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첫째,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는 엘리베이터 카와 카 구동부에 관련된 부품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can store two types of data. First, 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may store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occurrence faults that may occur in parts related to the elevator car driving unit, and may also store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predetermined incident type.
여기서 고장 유형별 기준 패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에 관련한 데이터의 진폭과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에 관련한 데이터의 진폭을 하나의 인자로 하고, 측정 시간을 하나의 인자로 하는 종합 패턴이 조합하여 저장된다.Here, the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failure is defined as one factor of the amplitude of the data relating to the horizontal vibration and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and the amplitude of the data relating to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And stored.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사건 등의 유형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급 환자의 발생에 따른 진동 및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의 발생을 미리 패턴화하여 저장하거나, 강력 사건의 유형 별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미리 패턴화하여 저장한 후 이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사고 및 사건의 판단의 기준 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 발생한 사건 및 사고의 경우 앞서 설명한 센싱부의 측정 데이터들을 다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로서 이용이 가능하다.The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accident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eset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safety accident or event that may occur in the elevator ca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pattern and store the occurrence of vibra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noise in the elevator car, to store the pattern of vibration and nois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trong case, It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he judgment of the case. Also, in case of incidents or accident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ing unit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gain as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accident.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 및 수리 내역이 저장되며,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고장 내역에 관하여 교체, 수리 교환 등의 처리가 완료된 부품 별 이력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failure history database, the existing failure history and the repair history are stored. In the parts management database, the history data of the parts for which the replacement, repair exchange, and the like are completed are stored for the corresponding failure history.
패턴 조합부(305)는 작동 제어부(190), 센싱부(200) 및 엘리베이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앞서 설명한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가 가능하도록 패턴 데이터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패턴 비교부(303)는 기준 패턴 데이터와 측정 후 조합된 패턴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고장 등의 판별 또는 사건/사고 등의 유무 가능성을 판별하게 된다. 패턴 조합부(305)와 기준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들은 복수의 데이터가 아닌 단일의 패턴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데이터, 소음 데이터 등을 개별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패턴 데이터, 예를 들면 그래프를 기반으로하는 영상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패턴의 비교 및 후술할 패턴 조합부(305)에 의한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패턴 조합부(305)는 하나하나의 개별적인 데이터 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데이터가 형성하는 패턴 데이터로 변환한 후 기준 패턴 데이터와 측정된 패턴 데이터의 일치 확률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패턴 조합부(305)는 센싱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술한 제1 및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고장 유형별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하는 경우, 센싱부(200)의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 또는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패턴 비교부(303)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의 교체 등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교체 후 기간이 많이 경과되었거나, 고장 또는 교체가 잦은 부품일수록 비례하여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또한 패턴 비교부(303)는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와 같이 각종 고장 또는 고장 징후와 관련된 기준 패턴 데이터 및 사건/사고와 관련된 기준 패턴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패턴 데이터로 조합한 후 이를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고정 등의 구성면에서의 안전관리 뿐 아니라 사건 사고 등 엘리베이터 구성 외적인 면에서의 안전관리도 가능하다.In this manner, reference pattern data related to various faults or failure indications and reference pattern data related to an event / accident are provided in advance, and the measured data are combined into pattern data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manage the safety outside the elevator configuration, such as accidents.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패턴 비교부(303)에 의한 판정 결과 특정 고장유형이나 사고 유형이 일정한 수치 이상의 확률로 산출되는 경우 이를 특정한 담당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장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이를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사건 또는 사고의 발생확률이 일정 이상이 되는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엘리베이터 내부의 영상 등과 함께 보안 담당자나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The safety
또한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정보 제공부(4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상황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로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외부의 CCTV 등을 통하여 수집된 영상 정보와 함께 고장에 대응하는 대처 정보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제공할 수 있으나, 반대로 특정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일정 이상 확률이 산출되는 경우 내부로의 정보 제공을 일시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황을 관리자 등에게 제공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한편, 관리자 등은 이러한 안전관리부(300)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안전관리 제어부(3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 관리자 또는 보안 관리자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으로 특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보 입출력에 대한 지시를 전달받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anager or the like can use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that can positively utilize the func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unit 300. As described above, the
즉, 안전 관리자 또는 보안 관리자의 경우 탑승객의 개인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모르는 경우에도 소유하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안전관리 제어부(301)에 접속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제어 패널 또는 정보제공수단을 활용한 의사 소통을 시도할 수 있다.That is, even in the case of the safety manager or the security manager, even i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sonal terminal of the passenger is unknown, the control panel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in the elevator car is utilized by accessing 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have.
100: 엘리베이터
110: 엘리베이터 카
101: 제어 패널
103: 정보제공수단
150: 카 구동부
151: 와이어 로프
153: 고정 도르레
155: 카 완충기
190: 작동 제어부
200: 센싱부
201: 진단 센서
203: 진동 센서
205: 소음센서
300: 안전관리부
301: 안전관리 제어부
303: 패턴 비교부
305: 패턴 조합부
400: 정보 제공부100: Elevator
110: elevator car
101: Control panel
103: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50:
151: Wire rope
153: fixed pulley
155: Car shock absorber
190:
200: sensing unit
201: Diagnostic sensor
203: Vibration sensor
205: Noise sensor
300: Safety Management Department
301: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303: pattern comparison unit
305: pattern combination unit
400: Information provision
Claims (8)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카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작동상태 및 작동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어 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패턴 데이터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와,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와 엘리베이터 내 사고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패턴 비교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카 구동부의 각 부품의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를 진단하는 진단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과 수직 진동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소음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An elevator car including a control panel for receiving car information;
A car drive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ng condition and an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riving unit; And
A pattern combining unit for combining the pattern data from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panel and the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comparing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atter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levator, And a pattern comparis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ttern is probabilistic,
The sensing unit includes:
A diagnostic sensor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aging and stability of the components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drive unit;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a horizontal vibration and a vertical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respectively; And
And a first noise sensor for detecting noise in the elevator car.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수집하는 제2 소음센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noise sensor for collecting noise generated from the car drive unit.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 고장들의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을 포함하여 조합된 기준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unit includes a reference pattern database for storing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type of occurrence failure,
Wherein 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stores combined reference pattern data including noise generated from the car drive unit, horizontal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and vertical vibration.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2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카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을 추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ttern combination unit generates pattern data by combining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data of the elevator car input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noise signals generated from the car driving unit inputted from the second noise sensor,
Wherein the pattern comparator compares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data and estimates a failure type of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pattern data.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진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노후 정도 및 안정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추정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유형의 확률을 산출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ttern comparison unit receives the data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degree of stability inputted from the diagnostic sensor and calculates the probability of the type of failure of the estimated elevator.
상기 안전관리부는 기 발생한 고장 내역이 저장되는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고장에 대응하여 교체되거나 수리된 부품의 내역이 저장되는 부품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부품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정된 고정 유형에 대응하는 고장 이력과 부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확률을 보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es a failure history database in which the failure history is stored and a parts management database in which details of the parts replaced or repaired in response to the failure are stored,
Wherein the pattern comparison unit reflects the failure history and information 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fixed type from the failure history database and the parts management database to correct the probability.
상기 안전관리부의 기준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기 설정된 사고 유형 별 기준 패턴 데이터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수평 진동 및 수직 진동 데이터, 상기 제1 소음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의 소음 신호를 조합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패턴 비교부는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와 상기 기준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조합된 패턴 데이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내의 사고 유형을 추정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ference pattern database of the safety management unit further stores reference pattern data for each predetermined incident type,
Wherein the pattern combining unit generates pattern data by combining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data of the elevator car input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noise signals in the elevator car inputted from the first noise sensor,
Wherein the pattern comparator compares the combined pattern data with the reference pattern data and estimates an accident type in an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pattern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en) | 2017-06-20 | 2017-06-20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en) | 2017-06-20 | 2017-06-20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2926B1 true KR101812926B1 (en) | 2018-01-30 |
Family
ID=6107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7680A KR101812926B1 (en) | 2017-06-20 | 2017-06-20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9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0561A (en) * | 2018-07-24 | 2021-01-27 |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 Content distribution device with visit management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7468A (en) * | 2004-03-02 | 2005-09-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
2017
- 2017-06-20 KR KR1020170077680A patent/KR1018129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7468A (en) * | 2004-03-02 | 2005-09-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0561A (en) * | 2018-07-24 | 2021-01-27 |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 Content distribution device with visit management function |
KR102445320B1 (en) | 2018-07-24 | 2022-09-21 |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Content distribution device with visit management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50585B2 (en) |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 |
KR101266761B1 (en) | System and methode to monitoring the elevator | |
CN106414296B (en) |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control operating according to said method | |
CN111153302B (en) | Elevator monitoring system | |
KR20190049602A (en) | IoT based elevator pervasive autonomous system and method | |
JP6479949B1 (en) | Elevator door abnormality diagnosis system and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 |
JP6018898B2 (en) | Building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1940633B1 (en) |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 |
JP4066419B2 (en) | Centraliz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boarding bridge | |
JP2019018987A (en) | Elevator report control system and elevator report control method | |
KR20180134992A (en) | Elevator preventive maintenance system | |
KR101812926B1 (en)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2162319B1 (en) | Elevator remote inspection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1868935B1 (en) | Alarm device for parts replacement time of Elevator | |
KR102093615B1 (en) |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alfuction monitorung method | |
JP7112511B2 (en) | Peopl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Peopl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Elevator | |
JP2007197117A (en) |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control cable and elevator earthquake recovery diagnostic system using the device | |
KR101504607B1 (en) | Elevator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1224732B1 (en) |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09062152A (en) |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 |
KR102584711B1 (en) | Smart preventive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 |
JP4509522B2 (en) | Elevator monitoring system | |
JP2006151678A (en) | Elevator recovery operating device and method in case of earthquake ,elevator recovery service providing system in case of earthquake and elevator apparatus having struture for recovery operation after earthquake | |
KR100349266B1 (en) | remote 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a parking and an elevator | |
CN110790099A (en) | Tracking service technician status during periods when personnel are trapp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