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15594B1 - 철도 차량용 완충기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594B1
KR101815594B1 KR1020160032187A KR20160032187A KR101815594B1 KR 101815594 B1 KR101815594 B1 KR 101815594B1 KR 1020160032187 A KR1020160032187 A KR 1020160032187A KR 20160032187 A KR20160032187 A KR 20160032187A KR 101815594 B1 KR101815594 B1 KR 10181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mpression
tension
flow path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384A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3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5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2Buffers with fluid springs or shock-absorbers;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9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with means for guiding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는,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몸체의 내부에서 하단의 제1유입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상단의 제1유출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압축측 유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단의 제2유입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의 제2유출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인장측 유로와, 상기 압축측 유로와 상기 인장측 유로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호 반대되는 개폐단이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에 차단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개폐단에는 행정시 승강에 의해 개방되도록 유입 통로가 형성되는 플런저 및, 상기 제1유입구의 내측 상단과 상기 제2유입구의 내측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어, 행정시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가변 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완충기{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유로를 형성시켜 행정시 유입되는 유량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대차나 객차 간의 연결기구 등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철도 차량용 완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철도 차량용 완충기는 대부분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 및, 상기 피스톤 밸브와 결합된 상태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 로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유로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차단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즉, 종래의 피스톤 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개폐부재의 개폐 동작에 의해 작동 유체를 이동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피스톤 밸브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유입 통로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구조이며, 유입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므로,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력 저하 및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0-1980-0001468호(1980년 12월 1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완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런저의 승강 길이에 따라 유입 통로의 개방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유로를 형성시켜, 행정시 유입되는 유량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는,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몸체의 내부에서 하단의 제1유입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상단의 제1유출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압축측 유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단의 제2유입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의 제2유출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인장측 유로와, 상기 압축측 유로와 상기 인장측 유로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호 반대되는 개폐단이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에 차단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개폐단에는 행정시 승강에 의해 개방되도록 유입 통로가 형성되는 플런저 및, 상기 제1유입구의 내측 상단과 상기 제2유입구의 내측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어, 행정시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가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유로는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내주를 따라 다수가 등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유로는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내주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플런저의 승강 길이에 따라 유입 통로의 개방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유로를 형성시켜, 행정시 유입되는 유량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인장측 플런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인장측 플런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의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용 완충기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 및, 피스톤 밸브(100)를 포함한다.
먼저,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유체(오일 등, O)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는 피스톤 밸브(100)에 의해 하측의 압축챔버(11)와 상측의 인장챔버(12)로 분할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0)는 내튜브와 외튜브로 이루어진 트윈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내튜브의 외부에 외튜브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튜브의 내부는 후술 될 피스톤 밸브(100)에 의해 압축챔버(11)와 인장챔버(12)로 분할 될 수 있고, 상기 압축챔버(11)의 하부에는 바디 밸브(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튜브와 외튜브의 사이에는 상기 바디 밸브(30)의 유로를 통해 연통되도록 유체(O)가 충전되는 저장실(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는, 일단이 실린더(10)의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 밸브(100)에 결합되어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피스톤 로드(20)는, 그 일단이 실린더(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철도 차량의 대차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밸브(100)는, 실린더(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실린더(10)의 내부를 압축챔버(11)와 인장챔버(12)로 구분한다.
특히, 상기 피스톤 밸브(100)는 몸체(110)와, 압축측 유로(120)와, 인장측 유로(130)와, 플런저(140) 및, 가변 유로(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실린더(10)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10)의 측면이 실린더(10)의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측면은 실린더(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압축 또는 인장 행정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실린더(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한 링 형상의 패킹(P)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중심 부위에는 피스톤 로드(20)가 상하로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압축측 유로(120)는, 몸체(1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측 유로(120)의 하단에는 제1유입구(121)가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측 유로(120)의 상단에는 유체(O)가 인장챔버(12)로 이동되도록 제1유출구(122)가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제1유입구(121)는, 압축측 유로(120)의 하단을 통해 개방되어 압축챔버(11)와 연통되며, 상기 제1유입구(121)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은 압축측 유로(120)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제1유입구(121)는 압축측 유로(1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유입구(121)는, 후술 될 플런저(140)의 개폐단(141)하단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 행정시 플런저(140)가 개방 위치로 상승될 때 개방된다.
제1유출구(122)는, 압축측 유로(120)의 상단을 통해 개방되어 인장챔버(12)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출구(122)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은 압축측 유로(120)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출구(122)는 압축측 유로(1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유입구(121)와 제1유출구(122)는 수평 방향으로 원주를 형성하는 원 형태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유입구(121)와 제1유출구(122)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인장측 유로(130)는, 전술한 압축측 유로(120)와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어, 인장 행정시 압축챔버(11)로 유체(O)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장측 유로(130)는, 몸체(110)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측 유로(130)의 상단에는 제2유입구(131)가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인장측 유로(130)의 하단에는 제2유출구(132)가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제2유입구(131)는, 인장측 유로(130)의 상단을 통해 개방되어 인장챔버(12)와 연통되며, 상기 제2유입구(131)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은 인장측 유로(130)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입구(131)는 인장측 유로(13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유입구(131)는, 후술 될 플런저(140)의 개폐단(141)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제2유입구(131)는 인장 행정시 플런저(140)가 개방 위치로 하강될 때 개방된다.
제2유출구(132)는, 인장측 유로(130)의 하단을 통해 개방되어 압축챔버(12)와 연통되며, 상기 제2유출구(132)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은 인장측 유로(130)의 수직 방향 중심 축 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출구(132)는 인장측 유로(13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유입구(131)와 제2유출구(132)는 수평 방향으로 원주를 형성하는 원 형태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2유입구(131)와 제2유출구(132)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내부에는 압축측 유로(120)와 인장챔버(12)를 연통시킴과 동시에, 인장측 유로(130)와 상기 압축챔버(11)를 연통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1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 유로(134)는 압축측 유로(120)와 인장측 유로(1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유로(134)의 유입측이 압축측 유로(120) 및 인장측 유로(130)의 내주면에 개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유로(134)의 입측은 압축측 유로(120) 및 인장측 유로(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출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면, 압축측 유로(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배출 유로(134)의 유출측은 몸체(110)의 상단을 통해 인장챔버(12)로 연통된다.
이와 함께, 인장측 유로(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배출 유로(134)의 유출측은 몸체(110)의 하단을 통해 압축챔버(11)로 연통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배출 유로(134)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후술 될 플런저(140)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측 유로(120) 또는 인장측 유로(130)로 유입된 유체(O)를 압축챔버(11) 또는 인장챔버(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플런저(140)는, 압축측 유로(120) 및 인장측 유로(13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되며, 상기 플런저(1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40)는 압축측 유로(120)에 설치되는 압축측 플런저(140)와, 인장측 유로(130)에 설치되는 인장측 플런저(140)로 구분된다.
상기 압축측 플런저(140)는, 하부의 개폐단(141)이 제1유입구(121)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도 3에서처럼 상기 압축측 플런저(140)는 압축 행정시 상승되어 상기 제1유입구(121)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인장측 플런저(140)는 상부의 개폐단(141)은 제2유입구(131)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도 4에서처럼 상기 인장측 플런저(140)는 인장 행정시 하강되어 상기 제2유입구(131)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압축측 플런저(140)의 하부 개폐단(141)과 인장측 플런저(140)의 상부 개폐단(141)에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승강에 의해 개방되도록 유입 통로(142)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측 플런저(140)의 유입 통로(142)는, 도 3에서처럼 압축 행정시 제1유입구(121)로부터 상승되어 압축측 유로(120)와 압축챔버(11)를 연통시킨다.
반면, 상기 인장측 플런저(140)의 유입 통로(142)는 도 4에서처럼 인장 행정시 제2유입구(131)로부터 상승되어 인장측 유로(130)와 인장챔버(12)를 연통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유입 통로(14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개폐홀(142a) 및, 하나 또는 다수의 제2개폐홀(142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홀(142a)은, 플런저(140)의 개폐단(141)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개폐홀(142a)은 개방되어 압축챔버(11) 및 인장챔버(12)와 연통된다.
제2개폐홀(142b)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개폐홀(142a)으로부터 수평하게 관통되어 제1유입구(121) 및 제2유입구(131) 내에 폐쇄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홀(142b)은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승강 동작에 의해 후술 될 가변 유로(150)와 연통되어, 압축챔버(11) 또는 인장챔버(12)의 유체(O)가 압축측 유로(120) 또는 인장측 유로(130)로 이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압축 행정시에는 도 3에서처럼 제1개폐홀(142a)을 통해 상부로 이동된 유체(O)는 제2개폐홀(152)을 통해 압축측 유로(120)로 이동한 후, 제1유출구(122) 및 배출 유로(134)를 통해 인장챔버(12)로 이동된다.
반면, 인장 행정시에는 도 4에서처럼 제1개폐홀(142a)을 통해 하부로 이동된 유체(O)는 제2개폐홀(152)을 통해 인장측 유로(130)로 이동한 후, 제2유출구(132) 및 배출 유로(134)를 통해 압축챔버(12)로 이동된다.
가변 유로(150)는, 제1유입구(121)의 내측 상단과 제2유입구(131)의 내측 하단에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 유로(150)는 제1유입구(121)의 상단과 제2유입구(131)의 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유로(150)는, 제1유입구(121)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압축측 가변 유로(150)와, 제2유입구(13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인장측 가변 유로(150)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변 유로(150)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입측이 유입 통로(142)와 연통되며, 플런저(140)의 승강 길이에 따라 유입 통로(142)의 개방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가변 유로(150)는, 제1유입구(121) 및 제2유입구(131)의 내주를 따라 다수가 등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유로(150)는, 제2개폐홀(142b)의 승강 영역에 위치되며, 플런저(140)가 유입 통로(142) 폐쇄 위치로 이동시 입측이 제2개폐홀(142b)에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유로(150)는 제1유입구(121) 및 제2유입구(131)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입구(121) 및 상기 제2유입구(131)의 내주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140)의 외주에는 걸림돌기(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143)는 도 3에서처럼 플런저(14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143)는, 압축측 플런저(140)가 제1유입구(121)로 하강하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제1유입구(121)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143)는 압축측 가변 유로(150)의 출측에 밀착된다.
반면, 상기 걸림돌기(143)는 인장측 플런저(140)가 제2유입구(131)로 상승하는 경우, 도 4에서처럼 제2유입구(131)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143)는 인장측 가변 유로(150)의 출측에 밀착된다.
뿐만 아니라, 압축측 유로(120)의 하단에는 제1유입구(121)가 내부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서포트(123)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인장측 유로(130)의 상단에는 제2유입구(131)가 내부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서포트(133)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처럼 압축측 유로(120)에 위치된 플런저(140)가 하강하는 경우, 걸림돌기(143)는 제1서포트(123)의 상단에 걸림 위치된다.
반면, 도 4에서처럼 인장측 유로(130)에 위치된 플런저(140)가 상승하는 경우, 걸림돌기(143)는 제2서포트(133)의 하단에 걸림 위치된다.
또한, 압축측 유로(120) 내에서 플런저(140)를 하부로 탄성 지지하고, 인장측 유로(130) 내에서 플런저(140)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하 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60)는 플런저(14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60)는 일단이 압축측 유로(120)와 인장측 유로(130)의 일면에 지지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걸림돌기(143)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피스톤 밸브(100)는,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유체(O)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플런저(140)의 승강 길이에 따라 유입 통로(142)의 개방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가변 유로(150)를 형성시켜, 행정시 유입되는 유량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유체(O)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O)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11: 압축챔버
12: 인장챔버 20: 피스톤 로드
30: 바디 밸브 40: 저장실
100: 피스톤 밸브 110: 몸체
120: 압축측 유로 121: 제1유입구
122: 제1유출구 123: 제1서포트
130: 인장측 유로 131: 제2유입구
132: 제2유출구 133: 제2서포트
134: 배출 유로 140: 플런저
141: 개폐단 142: 유입 통로
142a: 제1개폐홀 142b: 제2개폐홀
143: 걸림돌기 150: 가변 유로
160: 탄성부재 O: 유체
P: 패킹

Claims (3)

  1.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의 내부를 압축챔버 및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 밸브를 갖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몸체의 내부에서 하단의 제1유입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상단의 제1유출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압축측 유로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단의 제2유입구가 상기 인장챔버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의 제2유출구가 상기 압축챔버로 관통 형성되는 인장측 유로와, 상기 압축측 유로와 상기 인장측 유로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호 반대되는 개폐단이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에 차단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개폐단에는 행정시 승강에 의해 개방되도록 유입 통로가 형성되는 플런저 및, 상기 제1유입구의 내측 상단과 상기 제2유입구의 내측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어, 행정시 상기 유입 통로와 연결되는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가변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유로는,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내주를 따라 다수가 등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로는,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내주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20160032187A 2016-03-17 2016-03-17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81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87A KR101815594B1 (ko) 2016-03-17 2016-03-17 철도 차량용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87A KR101815594B1 (ko) 2016-03-17 2016-03-17 철도 차량용 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84A KR20170108384A (ko) 2017-09-27
KR101815594B1 true KR101815594B1 (ko) 2018-01-05

Family

ID=6003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187A KR101815594B1 (ko) 2016-03-17 2016-03-17 철도 차량용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345B (zh) 2020-02-05 2021-07-30 山东科技大学 一种抗冲击装置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84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5701B2 (en) Adjustable oscillation damper
US20130140117A1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CN103104649B (zh) 缓冲器
CN104565176A (zh) 减震器用活塞阀组件
KR20110001283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KR20180083725A (ko) 쇽업소버
KR101815594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937470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760904B1 (ko) 쇽업소버
KR101815596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263472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1815593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KR101839973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CN106536965A (zh) 减震器
KR102152027B1 (ko) 쇽업소버
KR10218304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614825B1 (ko) 쇽업소버
CN101782126B (zh) 用于减震器的杆引导装置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101316122B1 (ko) 유압 스토퍼 구조를 가지는 쇽업소버
KR101276869B1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KR102692628B1 (ko) 쇽업쇼버
KR101662223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30553B1 (ko) 쇽업소버의 유압 스토퍼 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102714061B1 (ko)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