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490B1 -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Google Patents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490B1 KR101815490B1 KR1020160000326A KR20160000326A KR101815490B1 KR 101815490 B1 KR101815490 B1 KR 101815490B1 KR 1020160000326 A KR1020160000326 A KR 1020160000326A KR 20160000326 A KR20160000326 A KR 20160000326A KR 101815490 B1 KR101815490 B1 KR 101815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water
- drain pipe
- pip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092080 Hydrang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9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 등에 설치되는 다목적 수문에 관한 기술로서,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낙엽이나 이물질로부터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레인관의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함에 따라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수문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구동부하우징과; 상기 수문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배수구가 형성된 개폐브라켓과; 상기 개폐브라켓에 회전가능케 밀착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water gate which is installed in a river or a reservoir and selectively discharges low-level water on the bottom of a river or a reservoi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ater while preventing the drain pipe from being clogged with dead leaves or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logical apparatus for discharging a low-level water, which can stabiliz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opening and closing a drain hole by rotating operation of a pipe, and capable of controlling a storage amount of a river,
The mai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housing adjacent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watercourse; A base frame disposed under the water receptac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n opening / closing bracket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nd having a drain hole; A drain pip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 closing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ain pipe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저수지 등에 설치되는 다목적 수문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수량을 조절하는 메인 수문의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설치되고,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드레인관이 설치되어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층수를 배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낙엽이나 이물질로부터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레인관의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함에 따라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luice gate installed in a river or a reservoi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luice g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main watercours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and a drain pipe for opening / And reservoi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low-level water that i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or reservoir, etc., while preventing the drain pipe from being clogged by leaves or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logical apparatus for discharging a low-level water, which can stabiliz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opening and closing a drain hole, and can control a storage amount of a river or a reservoir by assisting the main gate.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저수지 등에는 수압 또는 동력으로 작동하는 수문에 의해 수로를 개폐하여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보 수문이 설치되는바, 저수량의 조절 목적으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 일정 기간 폐쇄된 상태로 하천수를 가두어 두는 경우, 바닥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저층수가 부패하여 수질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Generally, in a river or a reservoir, an automatic maintenance gate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way by a water gate operating by hydraulic pressure or a power to control the water amount. In order to control the water amount, , Low-level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at the bottom is decayed and becomes a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즉, 하천환경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보를 설치하여 담수를 함으로써,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및 생활용수로 활용하고 있으나, 담수된 물의 정체로 인해 부영양화와 퇴적토 또는 오니가 쌓여 홍수 등의 자연재해 발생시 더 큰 피해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 발생한다.In other words, water is used for agriculture water, industrial water and domestic water by installing boats for various purposes in the river environment. However, eutrophication, sedimentation or sludge accumulation due to the congestion of the fresh water causes more damage in cas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It not only adds weight but also damages natur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에 설치된 메인 수문과 별도로 저층수 관로를 만들어 메인 수문의 개폐와 무관하게 저층수를 배출시킴으로써, 퇴적토 및 저층수의 부영양화를 해결하도록 하여야 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utrophication of the sediment and the low-level water should be solved by discharging the low-level water irrespecti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watercourse by making a low-
이와 관련하여 종래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3-0063272호를 비롯한 다양한 사이펀식 수문이 제안 되었으며, 상기 사이펀식 수문은 수문본체 내에 분리벽을 형성하고, 저층수 배출구를 수문 외벽의 저부에 형성하여 사이펀 현상에 의해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저층수가 유입수 배출구 및 수문 내부의 배수통로와 사이펀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Various related siphon type siphon doors have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63272. Said siphon type siphon forms a partition wall in the main body of the siphon, and a bottom water outl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phon outer wall So that even when the siphon is closed by the siphon phenomenon, the low-level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flow water outlet and the drainage passage inside the siphon and the siphon passage.
그러나, 이러한 사이펀식 수문은 기압차에 의해 저층수가 사이펀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소음이 심하고, 특히 야간에는 큰 민원을 제기하는가 하면, 동계에는 수문 내부의 물이 결빙하여 수문의 파손을 가져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 현재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However, such a siphon type water gate is very noisy because the low-level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passag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nd in particular, a large complaint is raised at night, while in the winter, water in the water gate is frozen, There are various problems and it is not used much at present.
본 출원인은 보에 설치된 메인 수문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하천의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05217호(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와, 국내 등록특허 제10-1070244호(저층수 배출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technique for discharging the low-level water of a river irrespective of opening or closing of a main watercourse installed in a bea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05217 (supplementary watercourse for discharging low-level water) and Korean Patent No. 10-1070244 (Low-level water discharge system).
상기의 선행기술은 기존 전도식 수문부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도 저층수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고, 메인 수문비의 높이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조 수문이 메인 수문의 저부에 지하로 위치하므로 미감상으로도 깔끔한 외관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수압에 의해 지수효과가 증가되므로 하천의 깊이가 깊을수록 더욱 확실한 지수가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can appropriately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without affecting the existing conductive watertight parts, and can maintain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main watertightness as it is, and besides, the auxiliary watertightness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watertight door Since it is possible to have a clean appearance even if not visually inspected, and since the exponential effect is increased by the water pressure, a deeper depth of the river enables a more reliable index.
본 발명은 종래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식 수문에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과, 기온이 낮은 겨울철 수문 내부의 물이 결빙될 경우, 수문이 파손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낙엽이나 이물질로부터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레인관의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하여 저층수를 배출함에 따라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phon-type water gate for discharging low-level water such as a river or a reservoir, It is a technology that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by selectively discharging low-level water on the bottom of rivers and reservoirs.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drain pipes from clogging dead leaves and foreign matter, Which can stabiliz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discharging the water, and can control the amount of storage of rivers and reservoirs in support of the main water g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수문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구동부하우징과; 상기 수문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배수구가 형성된 개폐브라켓과; 상기 개폐브라켓에 회전가능케 밀착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A drive housing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watercourse; A base frame disposed under the water receptac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n opening / closing bracket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nd having a drain hole; A drain pip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 closing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ain pipe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개폐브라켓은 베이스프레임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내측에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고, 배수공이 위치하는 대향쪽에 반원형으로 밀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bracket has a drain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a drain hole of the base frame, and a semicircular contact surfac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drain hole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드레인관은 베이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일정 간격으로 타공관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ip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drain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ther holes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드레인관은, 개폐브라켓의 배수구 위치와 일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과 타공관이 서로 번갈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ipe is formed with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oincide with the positions of drain hol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brackets, and the drain hole and the other holes are alternate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드레인관에 형성되는 배수공은 드레인관 원주의 1/4 범위로 관통 형성되고, 개폐브라켓의 배수구보다 크기가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drain pipe is formed to pass through a quarter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and is smaller in size than the drain ho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개폐브라켓과 베이스프레임의 배수공 사이에 브라켓가이드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가이드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통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guide is coupl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brackets and the drain holes of the base frame, and the bracket gu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barrel through which the inside thereof pass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드레인관을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 bracke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to rotatably support the drain pi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이드브라켓은, 내측에 베어링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 드레인관의 양측부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racket has a bearing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and both sides of the drain pipe are fitted to the bearing, so that the guide bracket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동부는, 드레인관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에 연결 설치된 링크대와; 상기 링크대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on tab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ain tube; A link stand connected to the pivot table;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pushes or pulls the link stan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동부는, 드레인관의 한쪽 단부에 결합 설치되고, 제1피니언이 결합 설치된 회동대와; 구동부하우징에 설치되고, 제2피니언이 결합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회동대의 제1피니언과 구동모터의 제2피니언에 치합 설치된 래크;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는, 수문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구동부하우징과; 상기 수문의 하부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공과 연통된 배수구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개폐브라켓과; 상기 개폐브라켓에서 상기 배수공의 대향쪽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밀착면에 회전가능하게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 위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레인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공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타공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은 상기 드레인관 원주의 1/4 범위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레인관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배수공을 통한 저층수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배수공이 상기 배수구와 일치하는 각도로 상기 드레인관이 회전된 때에 상기 타공관을 통해 유입된 저층수가 상기 배수구 및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레인관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회동대와; 일단부가 상기 회동대에 연결 설치된 링크대와; 상기 링크대의 타단부가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힌지로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링크대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대, 상기 링크대 및 상기 연결대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on table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in pipe and coupled with the first pinion; 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drive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second pinion; And a rack coupled to the first pinion of the pivot table and the second pinion of the drive motor.
Alternatively, the hydrangea machine for discharging the low-leve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unit housing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watercourse; A base frame disposed under the water receptacle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brackets provided on the base frame and having a drai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formed on the inner side; A drain pip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a close contact surfac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hole in the opening and closing bracket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incide with the drain hole position;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ain pipe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And a guide bracket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to rotatably support the drain pipe, wherein the drain pipe has a plurality of other pipes formed alternately with the drain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erein the drain hole is formed in a range of 1/4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so as to allow or block inflow of the low layer water through the drain hole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driving part rotates the drain pipe, And when the drain pipe is rotat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the low-level water flowing through the other hole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and the drain hole.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on tab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ain tube; A link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votal table; A link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age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ive unit housing; And a hydraulic cylinder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to push or pull the link rod, wherein the rotating rod, the link rod, and the connecting rod form a four-bar link.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수량을 조절하는 메인 수문의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설치되고,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드레인관이 설치되어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층수를 배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낙엽이나 이물질로부터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공의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e provided under the main watercours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and a drain pipe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drainage holes by the rotation operation to discharge low-level water such as a river or a reservoi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ater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low-level water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prevent the drain pipe from being clogged from the leaves or foreign matter, and to stabiliz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ainage hole. The effect of which can be controll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부의 작동으로 드레인관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므로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또한 타공관이 드레인관으로 낙엽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따라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 pipe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stabilized and the drain pipe is blocked so as not to let fallen leaves or foreign matter into the drain pipe, And to provide an effect to prevent the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층수 배출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atercraf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cipal portion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low-level wa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pi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par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elevational sectio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낙엽이나 이물질로부터 드레인관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레인관의 회전 작동으로 배수공을 개폐함에 따라 배수공의 개폐작동이 안정되고,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ain poin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drain low-level water on the bottom of a river or a reservoir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prevent the drain pipe from being clogged by leaves or foreign mat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ain hole is stabilized and the main water gate is assisted so that the storage amount of the river or the reservoir can be adjus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수문(10)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구동부하우징(20)과; 상기 수문(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3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0)에 설치되고, 배수구(41)가 형성된 개폐브라켓(40)과; 상기 개폐브라켓(40)에 회전가능케 밀착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51)이 형성된 드레인관(50)과; 상기 드레인관(50)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A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수문(10)은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동부하우징(20)이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구동부하우징(20) 사이에 수문(10)이 개폐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수문(10)은 구동부하우징(20)에 구비된 유압장치로 회동 작동하여 개폐되게 설치된다.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베이스프레임(3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H" 형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수문(10)의 하부에 놓여 양측의 구동부하우징(2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수문(10)의 하부에서 저층수를 가로막아 가동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the
상기에서 베이스프레임(30)은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배수공(3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공(31)은 베이스프레임(30)에서 수직상으로 형성된 웨브의 중간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A plurality of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개폐브라켓(4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베이스프레임(30)에 구성된 배수공(31)의 한쪽에 부착 설치되어 저층수를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개폐브라켓(40)은 배수공(31)과 연통되도록 내측에 배수구(41)가 관통 형성되고, 배수공(31)이 위치하는 대향쪽에 반원형으로 밀착면(42)이 형성된다.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the opening /
또한 개폐브라켓(40)과 베이스프레임(30)의 배수공(31) 사이에 브라켓가이드(43)가 결합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가이드(43)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통의 형상으로 개폐브라켓(40)을 배수공(31)에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브라켓가이드(43)를 개폐브라켓(40)에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A
상기에서 개폐브라켓(40)과 브라켓가이드(43)는 체결볼트 또는 용접으로 배수공(31)이 위치하는 웨브의 한쪽 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으며, 개폐브라켓(40)에서 배수구(41)의 가장자리 둘레에 반원형으로 밀착면(42)이 구성된다.The opening and
아울러, 개폐브라켓(40)은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UPE)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브라켓가이드(43)를 일체로 성형하고, 배수공(31)이 위치하는 웨브의 한쪽 면에 체결볼트로 부착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ning /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드레인관(5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개폐브라켓(40)의 배수구(41)를 개폐하여 저층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드레인관(50)은 베이스프레임(30)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51)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일정 간격으로 타공관(52)이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1 to 6, the
상기 드레인관(50)은 개폐브라켓(40)의 배수구(41) 위치와 일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51)과 타공관(52)이 서로 번갈아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관(50)의 외주면이 개폐브라켓(40)의 반원형 밀착면(42)에 회전가능케 밀착 설치된다.The
상기에서 드레인관(50)에 형성되는 배수공(51)은 드레인관(50) 원주의 1/4 범위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브라켓(40)의 배수구(41)보다 크기가 작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아울러, 타공관(52)은 드레인관(50)이 막히지 않도록 저층수를 여과하여 유입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타공관(52)은 드레인관(50)의 양측 단부 외주연에 끼워져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5~10㎜)이 형성되어 낙엽이나 이물질이 드레인관(5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드레인관(50)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한다.The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구동부(60)는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드레인관(50)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구동부(60)는 드레인관(50)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회동대(61)와; 상기 회동대(61)에 연결 설치된 링크대(62)와; 상기 링크대(62)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유압실린더(63);를 포함하여 구현된다.8, the driving
상기에서 구동부(60)를 구성하는 회동대(61)는 수평ㆍ수직상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수평상의 한쪽 단부에 소켓이 형성되어 드레인관(5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 설치되며, 수직상의 상부에 링크대(62)의 한쪽이 힌지로 결합 설치된다.The rotary table 61 constituting the driving
상기 링크대(62)의 다른 한쪽은 구동부하우징(2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연결대(69)에 힌지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69)에 유압실린더(63)의 작동로드(63a)가 힌지로 결합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회동대(61), 링크대(62) 및 연결대(69)는 4절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link stand 62 is hingedly connected to a connecting
따라서, 유압실린더(63)가 작동할 경우, 작동로드(63a)에 의해 링크대(62)를 밀거나 끌어당기므로 링크대(62)에 힌지 결합된 회동대(61)가 일정 범위로 회동됨으로써, 드레인관(50)이 일정한 범위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구동부(60)는 유압실린더(63)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서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구동모터(64)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60)는 드레인관(50)의 한쪽 단부에 결합 설치되고, 제1피니언(61a)이 결합 설치된 회동대(61)와; 구동부하우징(20)에 설치되고, 제2피니언(64a)이 결합 설치된 구동모터(64)와; 상기 회동대(61)의 제1피니언(61a)과 구동모터(64)의 제2피니언(64a)에 치합 설치된 래크(65);를 포함하여 구현된다.The driving
상기에서 회동대(61)는 한쪽 단부에 소켓이 형성되어 드레인관(5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 설치되고, 이와 대향쪽 단부에 제1피니언(61a)이 결합 설치되며, 또한 구동부하우징(20) 안에 설치된 구동모터(64)는 구동축에 제2피니언(64a)이 결합 설치된다.The
한편 래크(65)는 구동부하우징(20) 안에 슬라이드 작동가능케 설치되고, 제1피니언(61a)과 제2피니언(64a)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구동모터(64)의 작동으로 제2피니언(64a)이 회전할 경우, 슬라이드 작동하여 구동력을 제1피니언(61a)에 전달함으로써, 래크(65)의 슬라이드 작동으로 제1피니언(61a)과 드레인관(50)이 회전 작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에서 구동모터(64)는 드레인관(50)이 180°의 범위 안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구동모터(64)가 작동할 경우, 제2피니언(64a)을 통해 래크(65)가 슬라이드 작동하고, 상기 래크(65)의 슬라이드 작동으로 제1피니언(61a)이 회전 작동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드레인관(50)이 회전 작동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레인관(50)이 개폐브라켓(40)의 반원형 밀착면(42)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와 같이, 드레인관(50)을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7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브라켓(70)은 베이스프레임(30)의 양측부에 부착 설치된다.1 through FIG. 2 and FIG. 4,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 rotatio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가이드브라켓(70)은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내측에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71)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71)에 드레인관(50)의 양측부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된다.7, an
따라서, 가이드브라켓(70)이 베이스프레임(30)의 양측부에서 드레인관(50)을 회전가능케 지지함으로써, 개폐브라켓(40)의 반원형 밀착면(42)에 드레인관(50)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드레인관(50)의 회전 작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된다.Therefore,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구동부(60)의 작동으로 드레인관(50)이 회전 작동하여 드레인관(50)에 형성된 배수공(51)과 개폐브라켓(40)의 배수구(41)가 일치되어 연통되면,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가 타공관(52)을 통해 드레인관(50)으로 유입된 다음, 배수공(51)과 배수구(41) 및 베이스프레임(30)의 배수공(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3 to 4, when the
이와 달리 구동부(60)의 역작동으로 드레인관(50)이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드레인관(50)의 배수공(51)이 개폐브라켓(40)의 배수구(41)와 밀착면(42)을 벗어나 외측으로 위치함에 따라 저층수의 배수로가 차단됨으로써, 저층수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6,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폐브라켓(40)에서 배수구(41)의 가장자리 둘레에 반원형으로 밀착면(42)이 구성되고, 상기 밀착면(42)에 드레인관(50)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므로 저층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타공관(52)이 드레인관(50)으로 낙엽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따라 드레인관(50)이 막히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부의 작동으로 드레인관을 회전 작동시켜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고여있는 저층수를 배출하므로 수질을 개선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저층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함에 따라 메인 수문에 보조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저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pipe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or the reservoir, thereby reduc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nd selectively discharging the low-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rivers and reservoirs.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ch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수문 20: 구동부하우징
30: 베이스프레임 31: 배수공
40: 개폐브라켓 41: 배수구
42: 밀착면 43: 브라켓가이드
50: 드레인관 51: 배수공
52: 타공관 60: 구동부
61: 회동대 61a: 제1피니언
62: 링크대 63: 유압실린더
63a: 작동로드 64: 구동모터
64a: 제2피니언 65: 래크
70: 가이드브라켓 71: 베어링10: Water gate 20: Drive housing
30: Base frame 31: Drain
40: opening / closing bracket 41: drain hole
42: close contact surface 43: bracket guide
50: drain pipe 51: drainage hole
52: other pipe 60:
61:
62: Link rod 63: Hydraulic cylinder
63a: operating rod 64: driving motor
64a: second pinion 65: rack
70: guide bracket 71: bearing
Claims (3)
상기 수문(10)의 하부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3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0)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공(31)과 연통된 배수구(41)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개폐브라켓(40)과;
상기 개폐브라켓(40)에서 상기 배수공(31)의 대향쪽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밀착면(42)에 회전가능하게 밀착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41) 위치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공(51)이 형성된 드레인관(50)과;
상기 드레인관(50)을 회전 작동시켜 저층수를 배출하는 구동부(6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양측부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관(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7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레인관(5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공(51)과 번갈아 형성된 다수의 타공관(52)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51)은 상기 드레인관(50) 원주의 1/4 범위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60)가 상기 드레인관(50)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배수공(51)을 통한 저층수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배수공(51)이 상기 배수구(41)와 일치하는 각도로 상기 드레인관(50)이 회전된 때에 상기 타공관(52)을 통해 유입된 저층수가 상기 배수구(41) 및 상기 배수공(31)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A drive housing 20 adjacent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water gate 10;
A base frame 30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gate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3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open / close brackets (40) installed in the base frame (30) and having a drain port (41)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31)
The opening and closing bracket 40 is rotatably and closely attached to a contact surface 4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hole 31. A plurality of drain holes 4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ain pipe (50) in which a drain pipe (51) is formed;
A driving unit 60 for rotating the drain pipe 50 to discharge the low-level water; And
And guide brackets (7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3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drain pipes (50)
The drain pipe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ther holes (52) formed alternately with the drain hole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drainage hole 51 is formed in a range of 1/4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age pipe 50 so that the drive unit 60 can drain the drainage pipe 50 through the drainage hole 51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drainage pipe 50 rotates. Operate to allow or block the inflow,
When the drain pipe 50 is rotated at an angle where the drain hole 51 coincides with the drain hole 41, the low-level water flowing through the other hole 52 flows into the drain hole 41 and the drain hole 31 Wherein the drainage unit is provided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drainage unit.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드레인관(50)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회동대(61)와;
일단부가 상기 회동대(61)에 연결 설치된 링크대(62)와;
상기 링크대(62)의 타단부가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대(69); 및
상기 연결대(69)에 힌지로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링크대(62)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유압실린더(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대(61), 상기 링크대(62) 및 상기 연결대(69)는 4절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60)
A rotating table (61)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ain pipe (50);
A link base (6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vot table (61);
A linkage (69)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age (62)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ive unit housing (20); And
A hydraulic cylinder (63)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age (69) to push or pull the linkage (62);
, ≪ / RTI >
, Wherein the pivot (61), the link stand (62), and the connecting stand (69) form a four-bar li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326A KR101815490B1 (en) | 2016-01-04 | 2016-01-04 |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326A KR101815490B1 (en) | 2016-01-04 | 2016-01-04 |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1374A KR20170081374A (en) | 2017-07-12 |
KR101815490B1 true KR101815490B1 (en) | 2018-01-30 |
Family
ID=5935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03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5490B1 (en) | 2016-01-04 | 2016-01-04 |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49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8656B1 (en) | 2022-07-27 | 2022-10-25 | 주식회사 우승산업 | Flood gate for discharging low level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121B1 (en) * | 2022-02-10 | 2022-05-23 | (주)대도엔텍 | A movable weir with under low water discharged and preventing damage to air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0244B1 (en) * | 2010-11-11 | 2011-10-06 | 청옥산업 주식회사 | Low Water Discharge Device |
-
2016
- 2016-01-04 KR KR1020160000326A patent/KR1018154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0244B1 (en) * | 2010-11-11 | 2011-10-06 | 청옥산업 주식회사 | Low Water Discharg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8656B1 (en) | 2022-07-27 | 2022-10-25 | 주식회사 우승산업 | Flood gate for discharging low level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1374A (en) | 2017-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61796B2 (en) | Non-powered backflow prevention device | |
KR101351063B1 (en) | dust separator for pump and pump gate of one body type having dust separator | |
KR101815490B1 (en) | floodgate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
KR100801678B1 (en) | Sewer reservoir cleaning device | |
KR101773826B1 (en) | Apparatus for draining ground water | |
KR20090000991A (en) | water gate | |
KR20110013678A (en) | Rain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 |
KR100902260B1 (en) | Conductive water gate with a sump to prevent corrosion and improve water quality inside the water gate | |
KR20170081378A (en) | floodgate draining apparatus having ground water draining door | |
KR100375550B1 (en) | Sluice for Pipe Line | |
KR101201445B1 (en) | Floodgate apparatus | |
KR100647352B1 (en) | Multi-Stage Conductive Hydrologic System | |
KR101922437B1 (en) | flood gate of draining pump plant | |
KR20100109162A (en) | 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with a buoyancy chamber | |
KR2008007327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rotating gate to purify polluted river | |
KR101235065B1 (en) | Support floodgate for draining ground water | |
KR200446309Y1 (en) | Hydraulic Hydrograph | |
KR200244423Y1 (en) | Closed water gate operated by the water stop device | |
JP2662532B2 (en) | River fountain equipment | |
KR200427611Y1 (en) | Water and sewage sluice device with automatic ratio | |
KR200411801Y1 (en) | Culvert gate | |
KR20050097099A (en) | Slide type floodgate | |
KR100919131B1 (en) | Water level keeping structure for floodgate and floodgate using the same | |
KR20010104122A (en) | How to Configure Automatic Sluice | |
KR20090057783A (en) | Water gate with auxiliary g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