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14397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397B1
KR101814397B1 KR1020137023361A KR20137023361A KR101814397B1 KR 101814397 B1 KR101814397 B1 KR 101814397B1 KR 1020137023361 A KR1020137023361 A KR 1020137023361A KR 20137023361 A KR20137023361 A KR 20137023361A KR 101814397 B1 KR101814397 B1 KR 10181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hub
filter
puls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828A (ko
Inventor
오영기
이득희
김창식
배종득
윤성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에서 상기 드럼으로 순환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형(Top loading type)과 프런트 로딩형(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형의 세탁기는 다시 세탁 및 헹굼 과정에서 드럼이 회전하는 타입과, 드럼 내부에 구비된 펄세이터(Pulsator)가 회전하는 타입, 드럼과 펄세이터가 각각 회전하는 타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형과 프런트 로딩형 중 드럼이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기는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기보다 세탁물의 마모가 적고 세탁수의 사용량이 적은 대신 세탁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탑 로딩형 세탁기 중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기는 세탁 성능이 탁월한 대신 드럼이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기보다 세탁수의 사용량 및 세탁물의 마모가 큰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드럼 및 펄세이터가 모두 구비된 탑 로딩형 세탁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세탁 성능을 높이도록 제어하면 세탁 대상물의 마모에 따른 린트의 발생량이 늘어나고, 세탁 대상물의 마모를 줄이도록 제어하면 세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탁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세탁 대상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드럼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세탁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서 상기 드럼으로 순환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드럼의 외부로 배수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탁 등의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서 소정량의 물을 단계적으로 배수 또는 급수하게 된다. 또한,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서 펄세이터 및 드럼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킴으로써 드럼 내부에서 이물질을 외루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드럼의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유지보수비용과 불량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하부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허브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일부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
도 13은 전술한 실시예에 들에 따른 드럼 내부의 수위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및 탈수에 이용되는 드럼(30)로 구성된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드럼(30)와 함께 또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펄세이터(pulsator, 40)가 설치된다. 펄세이터(40)는 세탁축(50)에 연결되며, 세탁축(50)에는 탈수축(60)이 결합된다. 세탁축(50) 및 탈수축(60)은 모터(80)에 연결되며, 모터(80)의 회전에 의해 세탁축(50)과 탈수축(60)이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70)는 세탁축(50) 및 탈수축(60)을 각각 또는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즉, 클러치(70)는 세탁축(50)을 회전시켜 드럼(30)은 회전하지 않고 펄세이터(40)만 회전하게 하거나 탈수축(60)을 회전시켜 드럼(30)과 펄세이터(4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드럼(30)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해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부(90)가 구비되고, 터브(20)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95)이 구비되어 캐비닛(10)의 외부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 대상물의 세탁이나 헹굼시에는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40)가 회전하고, 탈수시에는 드럼(30)만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드럼(30)의 측벽에는 필터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50)는 드럼(30)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며, 그 내부에 세탁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1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50)는 그 하부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54) 및 중앙부에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56)를 구비하며, 배출구(156)에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5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의 하부에서 필터부(150)로 유입된 세탁수는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순환유로(152)를 따라 상승하여 필터부(158)를 통하여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세탁장치에서는 드럼(30)의 외부에 터브(20)가 구비되므로, 전술한 필터부(150)는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50)는 소정 두께(t) 만큼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50)가 드럼(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게 되면 드럼(30)이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대상물과 필터부(150)와의 마찰 및 충돌이 빈번해져서 세탁물에 마모를 일으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의류의 옷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50)의 돌출 부위에 대응하는 체적만큼 드럼(30) 내부의 수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 및 제어방법은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면서도 드럼 내부에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의 측벽을 따라 필터부가 돌출되어 세탁물의 마모에 의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의 발생 및 세탁물의 옷감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드럼 내부에 별도의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게 되므로,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하,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드럼의 구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을 도시하는 일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드럼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의 내부에 전술한 필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드럼의 구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230)은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개방하여 드럼(23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에서 드럼(230)은 다수개의 관통홀(232)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230)은 소정 높이(H)를 경계로 하여 그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관통율'은 드럼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율이 크다고 하면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관통율이 작다고 하면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통율이 크다고 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큰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관통율이 작다고 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드럼(230)의 소정 높이(H)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율이 작다는 의미는 드럼(230)의 소정 높이(H)를 경계로 상부와 하부의 관통홀의 크기가 다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230)의 상부의 관통율이 하부의 관통율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럼(230)의 상부의 관통홀(234)의 크기가 하부의 관통홀(236)의 크기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30)의 소정 높이(이하 '기준높이'라 함)(H)를 경계로 관통홀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30)의 기준높이(H)를 경계로 그 상부의 관통홀(234)의 크기가 그 하부의 관통홀(236)의 크기에 비하여 더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기준높이를 경계로 상부의 관통홀(234)은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드럼(230)의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관통홀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면 드럼(230)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상부의 관통홀(234)은 그 지름이 3.5 내지 4.0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7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하부의 관통홀(236)은 상부의 관통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3은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과 불량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관통홀의 크기를 나타내며, 오른쪽 세로축은 불량율을, 왼쪽 세로축은 유지 보수 비용을 도시한다. 불량율은 세탁장치의 구동 중에 관통홀에 이물질 등(특히, 세탁물 중의 메모리 와이어(memory wire))이 끼이게 되어 발생하는 불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은 관통홀의 크기에 따른 연간 유지 보수 비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메모리 와이어와 같은 이물질 등이 관통홀에 끼이지 않아 불량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세탁장치의 사용에 따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관통홀의 크기가 커질수록 메모리 와이어와 같은 이물질 등이 관통홀에 끼이게 되어 불량율이 높아지지만, 세탁장치의 사용에 따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량율과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을 모두 적절하게 만족시키는 값을 찾아보면 대략 2.5 내지 3.0 mm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크기는 전술한 대략 2.5 내지 3.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대략 2.7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드럼의 관통율이 달라지는 경계를 형성하는 기준높이(H)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장치의 제조사는 사용자들이 헹굼행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량에 대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헹굼행정에서 5kg의 포량을 투입하여 헹굼을 수행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다는 정보 등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높이(H)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포량에 대응하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헹굼행정이 실행되면 드럼(230)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드럼(230)의 관통홀을 통하여 드럼(2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드럼의 기준높이 이상에서 관통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므로, 드럼의 회전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물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물질들은 드럼 상부의 관통홀(234)을 통하여 드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드럼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드럼 내부의 이물질 등은 물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므로 드럼 상부의 관통홀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드럼의 기준높이 이하의 관통홀(236)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으므로 물의 이동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물질 등은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이물질 등이 관통홀을 따라 관통하는 중에 관통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230)의 기준높이(H)를 경계로 하여 관통홀의 크기가 이분법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준높이를 포함하는 소정 높이 대역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포량이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세탁하는 포량이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높이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이분법적으로 달라지게 되면, 상기 기준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포량의 경우에 물의 수위가 드럼의 기준높이의 하부에 있게 되므로 드럼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드럼 하부의 관통홀의 크기는 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높이(H)를 포함하는 높이 대역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면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포량이 변화하여도 드럼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드럼의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높이(H)를 포함하는 소정 높이 대역(B)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높이(H)의 상하부로 소정 범위, 예를 들어 대략 2 내지 5 cm의 범위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높이(H)의 하부 대략 2 내지 5 cm에서 관통홀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비되어, 기준높이(H)의 상부 대략 2 내지 5cm에 도달하게 되면 관통홀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드럼(230)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232)들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드럼(230)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드럼 내부의 물이 유동하는 경우에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이물질 등을 보다 용이하게 드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즉, 드럼(230) 또는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230) 내부의 물은 유동하게 되며, 상부의 물은 그 회전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32)이 도면의 왼쪽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경우에 드럼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도 2는 드럼의 내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상부의 물은 관통홀(232)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게 되어 관통홀(232)을 따라 이물질 등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세탁 및 헹굼행정에서 드럼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통홀이 일측으로만 경사져서 구비되면 양방향 회전 시에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드럼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은 일측이 아니라 양측으로 소정각도록 경사져서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통홀(23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이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 내부의 물의 유동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도 이물질 등이 관통홀(232)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드럼의 기준높이 이상의 관통홀의 개수와 기준높이 이하의 관통홀의 개수를 비교해보면, 상부 관통홀(234)의 개수가 하부 관통홀(236)의 개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는 상부와 하부를 경계짓는 기준높이(H)가 드럼의 상부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관통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하부 관통홀에 비하여 더 크므로 상부 관통홀의 개수가 더 많게 되면 드럼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드럼의 관통홀 사이에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싱 형태의 돌출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하여 세탁 성능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드럼의 내부가 돌출부 및 오목부가 전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면 드럼이 회전하여도 세탁물과 드럼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히 낮아 세탁 및 헹굼 성능을 소정치 이상으로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은 상하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리브(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리브(250)는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브(250)는 드럼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돌출부(240)와 함께 세탁물과의 마찰을 증가시켜 세탁 및 헹굼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펄세이터(40)의 회전에 따른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드럼(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4)이 구비되어 있으며, 드럼(30)의 회전에 따라 관통공(34)을 통하여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출입할 수 있다.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드럼(30) 내부에 구비된 펄세이터(40)가 회전하게 되면 드럼(30)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은 드럼(30)의 측벽에 구비된 관통공(34)을 통해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어서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향하게 된다. 드럼(30) 바닥과 터브(20) 바닥 사이의 공간에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는 펄세이터(40)의 회전에 의해 상부로 펌핑되고 드럼(30)의 하부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드럼(30) 내부로 향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순환구조에서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에 따라 드럼(30)의 외부로 배출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순환과 함께 다시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는 세탁 또는 헹굼행정에서 발생하는 린트를 제거하지 못하고 결국 세탁대상물에 린트가 부착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세탁장치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드럼(330)의 바닥이 상부에 도시되도록 드럼을 거꾸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회전 가능한 드럼(330)의 소정위치에 필터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350)는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따라 어디에도 구비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유로 상에서 드럼(330)의 소정위치, 예를 들어 드럼(3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순환하는 경우에 드럼(330)을 통하여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필터링을 하여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다시 드럼(3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드럼(330)의 하부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과의 연결을 위한 허브(34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350)는 허브(340)와 드럼(330) 사이에 구비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30)의 하부에 허브(340)가 연결되고 허브(340)의 하부에 필터부(3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럼(330)의 하부에 허브(340)가 연결되고 허브(340)의 하부에 필터부(350)가 연결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서 허브(340) 및 필터부(35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터부 및 허브를 거꾸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드럼의 하부에는 허브(340)가 연결된다. 허브(340)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허브(340)는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에 모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허브(340)는 중앙에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341)을 구비하며, 관통홀(341)의 내부에는 회전축과 맞물리는 치차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허브(340)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관통홀(341)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부하가 많이 작용하게 되므로 관통홀(341)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허브(340)의 가장자리에는 드럼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공(346)이 다수 구비된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공(346)을 통하여 드럼의 하부에 체결되어, 허브(340)와 드럼을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체결공(346)이 구비된 부분은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힘을 많이 받게 되므로 강도 보강을 위하여 리브(34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브(348)는 체결공(346)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허브(340)에는 드럼 하부에 구비된 개구부(336, 도 10 참조)와 연통되는 개구부(344)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드럼의 하부로 유동한 세탁수 또는 헹굼수는 허브의 개구부(344) 및 드럼의 개구부(336)를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허브(340)의 개구부(344)는 드럼의 개구부(336)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허브의 개구부와 드럼의 개구부의 숫자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드럼의 개구부와 허브의 개구부의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드럼의 개구부와 허브의 개구부가 그 위치가 다소 다르게, 예를 들어 각 개구부의 일부만이 겹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350)는 허브(34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세탁장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볼 때, 드럼(330), 허브(340) 및 필터부(350)의 순서로 위치하게 된다. 필터부(350)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352)를 구비한다. 몸체부(352)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 개구부(361)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352)를 따라 복수개의 제2 개구부(3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개구부(354)는 전술한 허브의 개구부(344)와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필터부(340)의 제2 개구부(354)는 허브의 개구부(344)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필터부(340)의 제2 개구부(354)와 허브의 개구부(344)의 숫자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340)의 제2 개구부(354)와 허브의 개구부(344)의 크기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340)의 제2 개구부(354)와 허브의 개구부(344)가 그 위치가 다소 다르게, 예를 들어 각 개구부의 일부만이 겹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구부(354)에는 필터망(353)이 구비되어 순환하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필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유동에 의해 드럼의 하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는 필터부(340)의 필터망(353)을 통하게 되므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52)의 소정위치에는 몸체부(352)를 허브(340)에 고정하는 체결공(36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공(36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35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허브(340)에는 상기 몸체부(352)의 체결공(364)에 대응하는 체결보스(349)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허브(340)의 소정위치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체결보스(349)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보스(349)에 몸체부(352)의 체결공(364)를 일치시키고 볼트 등에 의해 필터부(350)를 장착한다. 이 경우, 체결보스(349)는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필터부(350)의 몸체부(352)에 보스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8 및 도 9에서 몸체부(352)의 체결공(364)이 보스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스는 몸체부(352)에서 허브(34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필터부(340)는 필터망(353)을 통하여 드럼(330) 내부로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상기 갭을 통하여 드럼(330) 내부로 연결되는 제2 유로를 구비한다고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여 서로 간에 구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의 갭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몸체부(352)에는 필터부(350)의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몸체부(352)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제1 리브(356)와 몸체부(352)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는 제2 리브(360)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356) 및 제2 리브(360)는 몸체부(352)를 따라 구비되어 몸체부(352)의 강도를 보강하여 허브에 연결하는 경우에 변형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제1 리브(356) 및 제2 리브(360)는 몸체부(352)에서 허브(340)와 마주보는 면이 아니라 그 바깥의 면(반대편 면)에 구비된다. 즉, 도 8 및 도 9에서는 필터부(350)가 거꾸로 도시되었으므로 허브(340)가 하부에 있으며 제1 리브(356) 및 제2 리브(360)는 몸체부(352)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된다. 만약, 제1 리브(356) 및 제2 리브(360)가 몸체부(352)에서 허브(340)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다면 배수 등의 단계에서 드럼에서 배수되는 물에 유동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 리브 및 제2 리브가 유동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면 배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1 리브 및 제2 리브의 내측에 침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제1 리브(356) 및 제2 리브(360)는 몸체부(352)에서 허브(340)와 마주보는 면이 아니라 그 바깥의 면에 구비된다.
한편, 몸체부(352)에는 허브(340)를 드럼(330)에 연결하는 체결공(346)에 대응하는 회피홈(366)을 구비할 수 있다. 회피홈(366)는 구체적으로 몸체부(352)의 외주를 따라 허브(340)의 체결공(346)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허브(340)를 드럼(330)에 장착하는 경우에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볼트 또는 볼트 체결용 공구가 필터부(350)의 몸체부(352)와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허브(340) 및 필터부(350)를 드럼(330)의 하부에 장착하는 경우에 허브(340)와 필터부(350)를 먼저 연결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허브(340)와 필터부(350)의 조립체를 구성한 다음, 상기 조립체를 드럼(330)의 하부에 연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터조립체(340)가 드럼(330)의 하부에 연결된 경우에 세탁수 및 헹굼수의 유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드럼 하부의 일부를 절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드럼(3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330)의 바깥 하부에 허브(340)가 연결되며, 허브(340)의 하부에 필터부(350)가 연결된다. 한편, 드럼(33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돌출부(332)를 구비하여 드럼(330)이 회전하는 경우에 돌출부(332)에 의해 유동을 발생시키며 나아가 드럼(330)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드럼(330)의 바닥에도 오목부(334)를 구비하여 드럼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30)의 개구부(336), 허브(340)의 개구부(344) 및 필터부(350)의 제2 개구부(354)는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면 드럼(330)의 바닥과 터브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드럼(330)의 내부를 향하게 된다. 이 경우, 대부분의 물은 화살표 A를 따라 필터부(350)의 필터망(353), 허브(340)의 개구부(344) 및 드럼(330)의 개구부(336)를 통하여 드럼(3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화살표 A를 따라 필터부(350)의 필터망(353), 허브(340)의 개구부(344) 및 드럼(330)의 개구부(336)를 통하는 유로가 전술한 제1 유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3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물은 필터망(353)에 의해 필터링되어 린트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망(353)의 하부에 침전될 수 있다. 그런데, 필터망(353)이 침전물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의 간격을 통한 화살표 B를 따라 물이 유동하여 순환이 막히지 하고 원활하게 된다. 여기서, 화살표 B를 따라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향하는 유로를 전술한 제2 유로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A) 및 제2 유로(B)는 서로 간에 구별되어 제공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340)에 의해 구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구별되어 제공되면 물이 순환하는 경우에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의 하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게 되면 필터망(353)의 하부에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침전물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침전물은 필터망(353)을 막게 되어 물의 순환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침전물은 세탁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세탁장치의 제어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즉, 탈수행정 또는 어느 행정에서도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을 배수하는 단계에서는 간혹 드럼을 구동시킬 수 있지만, 보통 펄세이터를 구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330)에서 배수되는 물은 화살표 C를 따라 하부의 개구부(336), 허브(340)의 개구부(344) 및 필터부(350)의 필터망(353)을 통하여 하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필터망(353)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화살표 C를 따라 배수되는 물에 의해 필터망(353)에서 분리되어 배수되는 물과 함께 세탁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화살표 C를 따라 하부의 개구부(336), 허브(340)의 개구부(344) 및 필터부(350)의 필터망(353)을 통하여 하부로 배수되는 유로를 전술한 제1 유로라고 칭할 수 있다. 이는 물이 순환하여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A 경로와 방향만 다를 뿐 똑같은 경로를 거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살표 C를 따라 배수되는 물에도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필터망(353)의 상부, 즉, 드럼(330)과 마주보는 필터망(353)의 면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침전물은 역시 배수하는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대부분의 물은 필터망(353)을 통하여 화살표 C를 따라 배수되지만, 일부의 물은 화살표 D를 따라 배수될 수 있다. 이는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거나, 또는 필터망(353)이 일종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일부의 물이 양옆의 공간, 즉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살표 D를 따라 배수되는 물은 필터망(353)의 상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쓸어서 함께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D를 따라 필터부(350)와 허브(34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로도 전술한 제2 유로라고 칭할 수 있다. 역시, 물이 순환하여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B 경로와 방향만 다를 뿐 똑같은 경로를 거치기 때문이다.
결국, 허브(340)와 필터부(350) 사이의 간격이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드럼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지 못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어 곤란하다. 또한, 허브(340)와 필터부(350) 사이의 간격이 소정치 이상으로 작아지게 되면 드럼에서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필터망을 통하지 않고 허브(340)와 필터부(350)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배수되는 양이 극히 적어지게 되어 필터망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허브(340)와 필터부(350) 사이의 간격은 대략 세탁장치를 소정횟수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 필터망(353)의 상부에 침전될 수 있는 침전물의 두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탁장치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대략 2.5mm 내지 4m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35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필터망(353)을 포함하여 몸체부(352)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망(353)과 몸체부(352)의 연결부에는 경사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351)는 필터망(353)에 침전물이 쌓이는 경우에 필터망(353)의 가장자리를 따라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경사부(351)가 없게 되면 필터망(353)과 몸체부(352)가 대략 수직하게 만나게 되므로 침전물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침전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필터망(353)과 몸체부(352)의 연결부에는 경사부(351)를 구비하게 된다. 경사부(351)는 필터망(353)의 상부 및 하부 중에 적어도 한 쪽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필터부와 허브를 각각 구별하여 조립하게 된다. 즉, 필터부를 먼저 허브에 조립하여 허브-필터부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립체를 드럼의 하부에 연결하게 된다. 하지만, 필터부 및 허브를 드럼에 연결하는 경우에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부와 허브를 동시에 드럼에 연결할 수도 있다. 즉, 필터부에 제1 체결공 및 허브에 상기 제1 체결공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을 각각 구비하고,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드럼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50)는 허브(1340)에 직접 구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허브(1340)의 개구부(1344)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일종의 체크밸브(1352)를 구비할 수 있다. 체크밸브(1352)에는 회동축(13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되며, 필터망(1353)을 구비한다. 여기서, 체크밸브(1352)는 드럼에서 물이 배수되는 경우에 개방되며 하부에서 드럼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닫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의 하부에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체크밸브(1352)는 E의 위치와 같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망(1353)을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유입된다. 결국, 드럼의 내부로 순환하여 유입되는 물은 필터망(1353)에 의해 필터링되어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드럼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드럼의 내부에서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는 물의 유동에 의해 체크밸브(1352)가 F의 위치와 같이 개방되어 물을 원활하게 배수하게 된다. 또한,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필터망(1353)을 통하여 배수되어 필터망(1353)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허브의 개구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50)는 허브(2340)의 개구부(2344)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허브(2340)의 개구부(2344)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부(2350)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허브(2340)의 모든 개구부(2344)에 필터부(2350)를 구비하거나, 또는 허브(2340)의 개구부(2344) 중에 일부에만 필터부(23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50)를 살펴보면 필터부(2350)는 몸체부(2351)를 구비한다. 몸체부(2351)에는 개구부(234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235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터부(2350)를 개구부(2344)에 소정 압력으로 밀어 넣어 걸림부(2352)가 개구부(2344)의 내주에 걸리도록 하여 필터부(235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351)에는 필터부(2350)를 허브(2340)에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2354)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352)와 돌출부(2354) 사이의 거리는 대략 허브(234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2350)를 고정하는 경우에 허브(2340)의 개구부(2344)의 내주가 걸림부(2352)와 돌출부(235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걸림부(2352)와 반대되는 몸체부(2351)의 단부에 필터망(2360)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터망(2360)에 인접하여 개구부(235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356)는 전술한 도 10에서 허브와 필터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하부에서 드럼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필터망(2360)이 침전물에 의해 모두 막히게 되면 물은 개구부(2356)를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드럼에서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배수되는 물은 필터망(2360)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며 또한 일부는 개구부(2356)를 통하여 배수되어 필터망(2360)의 상부에 침전될 수 있는 침전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장치에서 세탁 대상물은 크게 세탁 행정 - 헹굼 행정 - 탈수 행정을 거쳐 처리된다. 세탁 행정은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제용해단계,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헹굼 행정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 세탁물로부터 세탁수를 분리하는 탈수단계, 세탁수를 다시 급수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 행정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단계 및 탈수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 행정 - 헹굼 행정 - 탈수 행정에서 세제용해단계, 세탁 및 헹굼 단계에서는 펄세이터교반동작을 통해 세제를 용해하고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며 세탁물을 헹구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펄세이터교반동작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세탁 대상물간의 마찰, 세탁 대상물과 펄세이터의 마찰 등에 의해 세탁 대상물이 마모되어 린트가 형성되기 쉽다.
따라서 세탁 대상물의 세탁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세탁 대상물의 마모를 줄이고, 발생된 린트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제안하게 되었다. 특히, 본 실싱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전술한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에서 헹굼행정에 적용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의 코스에 포함되어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또는 헹굼행정만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헹굼행정의 제어방법에서는 드럼(230) 및/또는 펄세이터(40)의 회전뿐만 아니라 각 단계에서의 헹굼수의 수위가 주용한 인자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헹굼수의 수위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3은 헹굼수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드럼에서 수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드럼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하 설명하는 제어방법에 따른 헹굼행정은 각 단계에서 서로 다른 복수개의 헹굼수위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수위, 제2 수위 및 제3 수위의 3개의 수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위는 포량대 헹굼수의 비율이 대략 1 (포, kg) : 11 ~ 12 (헹굼수, 리터) 정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2 수위는 포량대 헹굼수의 비율이 대략 1 : 16 ~ 17 정도를 이루게 되며, 제3 수위는 포량대 헹굼수의 비율이 대략 1 : 20 ~ 21 정도를 이룰 수 있다. 제1 수위는 통상적으로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급수되는 헹굼수위 수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위 및 제3 수위로 헹굼수를 급수를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헹굼행정에 비하여 헹굼수를 더 많이 급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헹굼수를 많이 급수하게 되면 드럼 내부에 헹굼수가 많이 수용되므로 세탁대상물인 의류가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럼 또는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헹굼수에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의류가 헹굼수의 내부에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의류가 펼쳐지게 되면 의류의 접혀진 부분에 눌려 있던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특히 헹굼행정에 대한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 헹굼행정은 세탁수를 소정량만큼 각각 배수하는 복수개의 단계를 구비하는 배수단계(S710), 중간탈수단계(S730), 세탁수를 소정량만큼 각각 급수하는 복수개의 단계를 구비하는 급수단계(S7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하는 제어방법에 따른 헹굼행정에서는 각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서 연속적으로 배수 및 급수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헹굼수량만큼 단계적으로 배수 및 급수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서 드럼 및/또는 펄세이터 중에 적어도 하나가 구동하게 되며, 드럼 및/또는 펄세이터가 구동하는 경우에 그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또는 실동율) 중에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서 배수 및 급수되는 물의 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결국,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서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수위와, 드럼 또는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헹굼수의 유동을 달리하여 헹굼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제어방법을 살펴본다.
배수단계(S710)는 복수개의 단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배수단계(S711), 제2 배수단계(S713) 및 제3 배수단계(S715)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단계(S7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드럼 및 펄세이터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며, 나아가 소정량의 헹굼수를 배수하여 이물질을 드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수단계(S7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경우에 배수단계에 속하는 복수개의 단계에서 펄세이터의 회전 rpm 및 구동시간 실동율(전체시간 중에 구동시간의 비율)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시간 실동율이라 함은 모터의 전체 구동 시간 중에 구동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의 전체 구동시간이 10초인 경우에 8초 동안 모터가 온(on)되고 2초 동안 모터가 오프(off)된다면 모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은 8초(또는 80%)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배수단계(S711)에서 제어부는 헹굼수를 소정량만큼 배수하면서 펄세이터를 제1 RPM으로 제1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배수단계(S711)에서 헹굼수의 수위는 제3 수위에서 제2 수위로 감소하게 된다. 결국, 제1 배수단계(S711)에서는 제3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 대응하는 헹굼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제어방법이 어느 하나의 코스에 포함되어 헹굼행정에 앞서서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세탁행정의 말미에 세탁수를 제3 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헹굼행정의 초기에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수위는 제3 수위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배수단계(S711)에서 제어부는 펄세이터를 제1 RPM으로 제1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며, 예를 들어 170 RPM으로 1초 온/ 0.5초 오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배수단계에서는 제3 수위에서 제2 수위로 헹굼수를 배수하게 되므로 드럼 내부에 헹굼수가 다른 단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을 높이게 되면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의류가 헹굼수의 내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의류의 접힌 부분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드럼으로 향하게 되고, 드럼의 관통홀을 통하여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수된다. 결국, 배수단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양이 가장 많은 초기 단계에서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이 가장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배수단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가 진행되어 헹굼수가 배수됨에 따라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제2 배수단계(S713)에서 제어부는 헹굼수를 소정량만큼 배수하면서 펄세이터를 제2 RPM으로 제2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2 배수단계(S713)에서 헹굼수의 수위는 제2 수위에서 제1 수위로 감소하게 된다. 결국, 제2 배수단계(S713)에서는 제2 수위와 제1 수위 사이에 대응하는 헹굼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제2 배수단계(S713)에서 제어부는 펄세이터를 예를 들어 160 RPM으로 0.8초 온/ 0.5초 오프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제1 배수단계와 동일한 RPM 및 구동시간 실동율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배수단계의 헹굼수의 양보다는 적지만 제2 배수단계의 헹굼수의 양도 상대적으로 나머지 단계에 비하여 많은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수단계에서도 제1 배수단계와 동일한 RPM 및 실동율에 의해 펄세이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배수단계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배수단계에서는 후술하는 중간탈수단계(S730)를 준비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중간탈수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드럼 내부의 포들이 비교적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탈수단계에서는 헹굼단계에 비하여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므로 드럼 내부의 포가 어느 한 곳에 뭉쳐 있어 소위 '편심량'이 증가하게 되면 드럼의 회전속도를 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배수단계에서는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드럼 내부의 포를 드럼 내부에서 분산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세이터는 제1 배수단계의 제1 RPM 및 제1 구동시간 실동율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60 RPM으로 0.8초 온/ 0.5초 오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배수단계(S715)에서 제어부는 제1 수위에서 드럼 내부의 헹굼수를 모두 배수하게 된다. 한편, 제3 배수단계(S715)에서 펄세이터는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후속하는 중간탈수단계(S730)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중간탈수단계에서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기 때문에 드럼 내부의 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제3 배수단계는 배수단계에 속하는 다른 단계에 비하여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따라서, 헹굼수가 적은 상태에서 펄세이터가 구동하게 되면 드럼 내부의 포들이 소정 영역에 뭉쳐서 편심량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배수단계에서는 펄세이터 및 드럼을 구동하지 않고 배수만을 수행하게 된다. 배수에 의해 헹굼수에 부유하는 이물질 및 드럼과 터브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중간탈수단계(S730)에서 제어부는 드럼을 소정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서 포에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탈수단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탈수단계에 이어서 급수단계(S750)를 수행하게 된다.
급수단계(S750)는 복수개의 단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급수단계(S751), 제2 급수단계(S753) 및 제3 급수단계(S755)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단계(S750)에서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드럼 및 펄세이터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며, 나아가 헹굼수의 유동에 의해 이물질을 드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 이물질은 드럼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 곤란하다. 이는 드럼에 구비된 관통홀이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드럼을 성형하는 경우에 드럼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펀칭을 하여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통홀의 단면을 확대해서 살펴보면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소위 깔대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펄세이터가 구동하는 경우에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은 전술한 도 6과 같다. 따라서, 전술한 도 7,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순환유로를 따라 드럼의 소정위치에 필터부를 구비하여 드럼과 터브 사이로 배출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다시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들에 따른 세탁장치는 필터부의 구성과 소위 깔대기 형상의 드럼의 관통공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드럼의 외부로 일단 배출된 이물질은 관통홀을 통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급수단계에서 이물질은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며, 급수단계에 이어서 수행되는 배수단계에서 드럼 및 터브 사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헹굼수의 배수와 함께 세탁장치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단계(S750)에서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펄세이터를 구동하게 된다.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경우에 급수단계에 속하는 복수개의 단계에서 펄세이터의 회전 rpm 및 구동시간 실동율(전체시간 중에 구동시간의 비율)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급수단계(S751)에서 제어부는 헹굼수를 소정량만큼 급수하면서 드럼을 일방향회전 또는 양방향회전을 시키게 된다. 즉, 제1 급수단계(S751)에서는 제1 수위까지 헹굼수를 급수하면서 펄세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럼만을 구동시키게 된다. 앞선 단계인 중간탈수단계가 끝나게 되면 드럼 내부의 포는 드럼의 외벽에 달라붙은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포들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즉, 중간탈수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드럼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중간탈수단계가 끝나게 되면 포들은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벽에 밀착하여 뭉쳐있게 된다. 따라서, 제1 급수단계에서는 헹굼수를 급수하면서 드럼을 일방향회전 또는 양방향회전을 시킴으로써 드럼의 내벽에 붙어 있는 포들을 떨어뜨리고, 나아가 드럼 내부의 포를 분산시키게 된다. 또한, 제1 급수단계에서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부의 이물질이 드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급수단계(S753)에서 제어부는 헹굼수를 소정량만큼 급수하면서 펄세이터를 제3 RPM으로 제3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2 급수단계(S753)에서 헹굼수의 수위는 제1 수위에서 제2 수위로 증가하게 된다. 결국, 제2 급수단계(S753)에서는 제1 수위와 제2 수위 사이에 대응하는 헹굼수를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
제2 급수단계(S753)에서 제어부는 펄세이터를 예를 들어 160 RPM으로 0.8초 온/ 0.5초 오프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전술한 제1 배수단계와 동일한 RPM 및 구동시간 실동율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3 수위에 도달하지는 않지만, 제2 급수단계의 헹굼수의 양도 상대적으로 나머지 단계에 비하여 많은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급수단계에서도 전술한 제1 RPM 및 제1 실동율에 의해 펄세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의류가 헹굼수의 내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의류의 접힌 부분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드럼으로 향하게 되고, 드럼의 관통홀을 통하여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양이 많아질수록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계 중에 드럼 내부의 헹굼수의 양이 최대가 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이 가장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급수단계에서는 전술한 제1 급수단계와 마찬가지로 드럼 내부의 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세이터는 예를 들어 160 RPM으로 0.8초 온/ 0.5초 오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3 급수단계(S755)에서 제어부는 펄세이터를 제4 RPM으로 제4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3 급수단계(S755)에서 헹굼수의 수위는 제2 수위에서 제3 수위로 증가하게 된다. 결국, 제3 급수단계(S755)에서는 제2 수위와 제3 수위 사이에 대응하는 헹굼수를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
제3 급수단계(S755)에서 제어부는 펄세이터를 제4 RPM으로 제4 구동시간 실동율에 의해 구동시키며, 예를 들어 170 RPM으로 1초 온/ 0.5초 오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3 급수단계에서 펄세이터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 실동율은 전술한 제1 배수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 배수단계의 설명과 유사한다. 즉, 제3 급수단계의 경우에 드럼 내부에 헹굼수가 다른 단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펄세이터의 구동시간 실동율을 높이게 되면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의류가 헹굼수의 내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의류의 접힌 부분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동에 의해 드럼으로 향하게 되고, 드럼의 관통홀을 통하여 드럼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배수단계(S710), 중간탈수단계(S730) 및 급수단계(S750)는 각각 한번만 수행될 수도 있지만, 헹굼행정의 성능 향상 및 이물질 배출을 위하여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드럼의 외부로 배수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탁 등의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서 소정량의 물을 단계적으로 배수 또는 급수하게 된다. 또한, 배수단계 및 급수단계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서 펄세이터 및 드럼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킴으로써 드럼 내부에서 이물질을 외루로 배출할 수 있다.

Claims (17)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터브에서 상기 드럼으로 순환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그리고
    상기 드럼의 하부에 모터와 연결되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드럼의 하부에서 소정간격의 갭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는 필터망을 통해서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내부 사이에서 세탁수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유로와 상기 필터부와 허브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간격의 갭을 통하여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내부 사이에서 세탁수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의 몸체부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허브에 구비된 체결보스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터브에서 상기 드럼으로 물이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드럼의 개구부, 상기 허브의 개구부 및 상기 필터부는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외부로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통하여 상기 필터망의 양측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 개구부; 및 순환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망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제1 리브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는 제2 리브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및 제2 리브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허브의 반대편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허브를 상기 드럼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회피하기위한 다수개의 회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에 구비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는 상기 몸체부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체결보스가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허브를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37023361A 2011-04-11 2011-04-26 세탁장치 KR101814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3356 2011-04-11
KR1020110033356 2011-04-11
PCT/KR2011/003042 WO2012141362A1 (ko) 2011-04-11 2011-04-26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828A KR20140051828A (ko) 2014-05-02
KR101814397B1 true KR101814397B1 (ko) 2018-01-04

Family

ID=470095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959A KR101835334B1 (ko) 2011-04-11 2011-04-26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7023361A KR101814397B1 (ko) 2011-04-11 2011-04-26 세탁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959A KR101835334B1 (ko) 2011-04-11 2011-04-26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026624A1 (ko)
KR (2) KR101835334B1 (ko)
CN (2) CN103534399B (ko)
WO (2) WO2012141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00B1 (ko) * 2012-09-2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BR102012031706A2 (pt) * 2012-12-12 2014-09-02 Electrolux Do Brasil Sa Dispositivo de retenção unidirecional de sólidos para fluidos, sistema de linhas de fluido para máquinas de lavanderia, e, método em um sistema de linhas de fluido de uma máquina de lavanderia
AU2014400163A1 (en) * 2014-07-07 2017-02-23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Flange structure at bottom of washing machine inner drum, and washing machine
CN105274796B (zh) * 2014-07-07 2019-02-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底法兰盘结构及洗衣机
CN105297358B (zh) * 2014-07-07 2018-12-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底法兰盘结构及洗衣机
KR101628202B1 (ko) * 2014-11-18 2016-06-09 주식회사 아모텍 세탁기 및 세탁기 구동방법
KR102362542B1 (ko) * 2015-02-24 2022-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2332830B1 (ko) * 2015-02-24 2021-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2399921B1 (ko) 2015-03-24 202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89595B1 (ko) 2015-04-06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89598B1 (ko) 2015-04-13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28213B1 (ko) 2015-04-16 2022-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42968B1 (ko) * 2015-04-1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442966B1 (ko) * 2015-04-24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드 타입 세탁기
CN105088644B (zh) * 2015-05-26 2017-10-2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洗涤方法和装置
CN106702660B (zh) * 2015-07-20 2020-04-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脱水控制方法
US10954624B2 (en) * 2016-03-10 2021-03-2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106120240A (zh) * 2016-06-30 2016-11-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和系统
KR102536866B1 (ko) * 2016-08-08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16863A (ko) * 2016-08-08 201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6868774B (zh) * 2017-03-16 2019-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866965A (zh) * 2017-05-10 2018-11-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线屑过滤装置及洗衣机及线屑过滤方法
CN107574630A (zh) * 2017-09-07 2018-0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过滤器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7574626A (zh) * 2017-09-07 2018-0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过滤器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0387664B (zh) * 2018-04-16 2021-08-3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波轮组件
CN110387659B (zh) * 2018-04-16 2021-03-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波轮件
CN110387652B (zh) * 2018-04-16 2021-10-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设备
CN110387660B (zh) * 2018-04-16 2021-11-1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波轮和洗衣设备
CN110409110B (zh) * 2018-04-28 2022-02-1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N110409106B (zh) * 2018-04-28 2024-11-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KR20200144820A (ko)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세탁기
CN113355867A (zh) * 2021-06-11 2021-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止堵塞的排水方法及洗涤装置
US20240035226A1 (en) * 2022-07-27 2024-02-01 Whirlpool Corporation Filtering cap for an impeller of a vertical axis laundry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0952A (en) * 1981-08-19 1983-12-20 Whirlpool Corporation Liquid pumping agitator with barrel valve for automatic washers
US4417457A (en) 1982-09-14 1983-11-29 Whirlpool Corporation Agitator mounted dispenser and shower spray device for automatic washer
US5167722A (en) * 1990-01-05 1992-12-01 Whirlpool Corporation Spray rinse process for vertical axis automatic washer
US5018372A (en) 1990-09-24 1991-05-28 Speed Queen Company Filter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KR0182528B1 (ko) * 1994-03-08 1999-05-15 김광호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JP2897635B2 (ja) 1994-03-18 1999-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脱水洗濯機
KR0161931B1 (ko) 1995-03-28 1998-12-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
JP3787914B2 (ja) 1996-09-20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19980039417A (ko) * 1996-11-27 1998-08-17 이영서 세탁기의 보푸라기 제거장치
KR19980039417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의 공기조화 분산 구조
KR100239358B1 (ko) 1997-04-29 2000-01-15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방법
TW389805B (en) 1997-06-30 2000-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er
KR19990008861U (ko)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JP3296790B2 (ja) 1998-08-07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20000021209U (ko) 1999-05-24 2000-12-26 형용주 곡물 볶는 장치
JP2001259282A (ja) 2000-03-23 2001-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20010094419A (ko) * 2000-03-30 2001-11-01 구자홍 실밥 채집기가 구비된 세탁기
KR20020007670A (ko) 2000-07-18 2002-01-29 구자홍 세탁기의 헹굼 장치 및 방법
US6402962B1 (en) 2000-07-26 2002-06-11 Maytag Corporation Self-cleaning filter with bypass
KR100444955B1 (ko) 2002-02-06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03311085A (ja) 2002-04-24 2003-11-0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US7017217B2 (en) * 2002-07-22 2006-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rinse cycle method and apparatus
JP3868886B2 (ja) 2002-10-24 2007-01-17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100701937B1 (ko) 2003-05-28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배수방법
US20060042022A1 (en) * 2004-08-31 2006-03-0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782180A (zh) 2004-11-30 2006-06-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再供水方法
KR100753507B1 (ko) 2005-03-25 200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966811A (zh) 2005-11-14 2007-05-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排水过程控制方法
CN101173437A (zh) 2006-10-30 2008-05-07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净装置的洗涤方法
CN101864657B (zh) 2007-03-09 2012-04-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洗衣机及其工作控制方法
JP4893554B2 (ja) 2007-09-25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448626B1 (ko) 2007-12-31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526966B1 (ko) 2008-04-14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N201258413Y (zh) 2008-07-28 2009-06-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排水防堵结构
JP4831189B2 (ja) 2009-03-09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1851838B (zh) 2009-04-03 2013-05-01 海尔集团公司 洗衣机洗毛绒玩具的方法
KR101609681B1 (ko) 2009-06-30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7910B1 (ko) * 2009-07-23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9695537B2 (en) * 2009-07-27 2017-07-0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828A (ko) 2014-05-02
CN103534399B (zh) 2016-10-05
CN103459699B (zh) 2016-08-31
US20140101866A1 (en) 2014-04-17
WO2012141362A1 (ko) 2012-10-18
KR101835334B1 (ko) 2018-03-08
CN103459699A (zh) 2013-12-18
CN103534399A (zh) 2014-01-22
KR20140018920A (ko) 2014-02-13
US20140026624A1 (en) 2014-01-30
US10077522B2 (en) 2018-09-18
WO2012141361A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97B1 (ko) 세탁장치
RU230059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KR101752895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2286B1 (ko) 세탁기
US20070240457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filtering drain pump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10047714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0785555B1 (ko) 드럼식 세탁기
KR20110063062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548872B2 (ja) 洗濯機
US20240218580A1 (en) 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5775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9273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546736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90100155A (ko) 세탁기
KR100441095B1 (ko) 드럼세탁기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30923B1 (ko) 드럼세탁기의 필터 조절장치
JP7470895B2 (ja) 洗濯機
WO2023145107A1 (ja) 洗濯機
JP2013141551A (ja) 洗濯機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US11162210B2 (en) Drain pump for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238959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60103982A (ko) 드럼 세탁기의 물순환장치용 필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