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630B1 -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3630B1 KR101803630B1 KR1020160023706A KR20160023706A KR101803630B1 KR 101803630 B1 KR101803630 B1 KR 101803630B1 KR 1020160023706 A KR1020160023706 A KR 1020160023706A KR 20160023706 A KR20160023706 A KR 20160023706A KR 101803630 B1 KR101803630 B1 KR 101803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bolt
- plate
- anchor
- bolt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9964 se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715 photosynthesis, light harv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3 vulca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 E04B1/4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강판을 절곡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의 내측의 모서리에 일측의 모서리가 위치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결합 플레이트가 각각 사각형의 코너에 위치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파형 강판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의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형 웨브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의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지지 플레이트에 핀접합 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링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링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a의 거동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채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을 시공 순서별로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건물 내부 기둥의 보강구조물이 적용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10 : 지지부재
11 : 결합 플레이트
12 : 지지 플레이트
20 : 파형 웨브
30 : 링크
40 : 고정 채널
Claims (17)
- 강판을 절곡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11)와, 결합 플레이트(11)의 내측의 모서리에 일측의 모서리가 위치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2)로 이루어져, 결합 플레이트(11)가 각각 사각형의 코너에 위치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10)와;
파형 강판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10)의 지지 플레이트(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형 웨브(2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10)의 지지 플레이트(12)를 연결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2)에 핀접합되고, 2쌍의 접합면(a,a)(b,b)을 갖는 2축 단면의 사각 강관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볼트홀(331a)이 천공되고 볼트홀(331a)이 천공된 일단이 동일 선상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강재 길이부재(331)와, 양단에 볼트홀(332a)이 천공되고 볼트홀(332a)이 천공된 양단이 길이부재의 볼트홀(331a)에 대응하도록 길이부재(331) 양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강재 덧댐부재(332)와, 길이부재(331)와 덧댐부재(332)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길이부재(331)와 덧댐부재(332)를 접합하는 점탄성부재(333)와, 길이부재 볼트홀(331a)과 덧댐부재 볼트홀(33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길이부재 볼트홀(331a)과 덧댐부재 볼트홀(332a) 및 점탄성부재(333)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볼트부재(334)로 구성되는 링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길이부재(331)와 길이부재(331)를 연결하는 덧댐부재(332)는 길이부재(331)의 접합면(a,b)을 순서대로 교차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30)의 점탄성부재(333)는 고감쇠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 청구항 1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하여 기둥(8) 및 보 또는 슬래브(9)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보강하는 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앵커홀(411)이 형성되는 수평 결합부(41) 및 수평 결합부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결합부(42)로 이루어져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 채널(40)이 개구부의 양측면과 상하부면 모서리부분의 일정 길이에 수직 결합부(42)의 단부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앵커볼트(44)로 결합되며,
개구부의 모서리의 앵커볼트(44)에 지지부재(10)의 결합 플레이트(11)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고정 채널(40)은 개구부의 외측면과 수평 결합부(42)의 하부면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직 결합부(42)의 단부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개구부의 외측면과 수평 결합부(42)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C)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고정 채널(40)의 수평 결합부(41)의 소정의 위치에 1개 이상의 콘크리트 충전홀(4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 (a) 강판을 절곡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11)와, 결합 플레이트(11)의 내측의 모서리에 일측의 모서리가 위치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2)로 이루어져, 결합 플레이트(11)가 각각 사각형의 코너에 위치하도록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10)와; 파형 강판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10)의 지지 플레이트(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형 웨브(2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지지부재(10)의 지지 플레이트(12)를 연결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2)에 핀접합 되는 링크(30);로 이루어지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1) 및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앵커홀(411)이 형성되는 수평 결합부(41) 및 수평 결합부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결합부(42)로 이루어져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 채널(40)을 사전 제작하는 단계;
(b) 개구부의 각 내측 모서리 및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앵커홀(71)을 천공하고, 앵커홀(71)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정착구(72)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c) 앵커홀(71)과 정착구(72)에 충전재(7)를 주입하는 단계;
(d) 고정 채널(40)을 수직 결합부(42)의 단부를 정착구(72)에 삽입하고, 상기 앵커홀(71)에 앵커볼트(44)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e) 앵커볼트(44)에 지지부재(10)의 결합 플레이트(11)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0 있어서,
(a) 단계에서,
링크(30)는, 각형 강관으로 구성되며, 폭방향 중앙부에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절개홈(39)이 형성되어, 절개홈(39)에 지지 플레이트(12)가 끼워져 지지 플레이트(12)에 핀으로 핀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0 있어서,
(a) 단계에서,
링크(30)는,
양단에 볼트홀(331a)이 천공되고 볼트홀(331a)이 천공된 일단이 동일 선상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강재 길이부재(331)와, 양단에 볼트홀(332a)이 천공되고 볼트홀(332a)이 천공된 양단이 길이부재의 볼트홀(331a)에 대응하도록 길이부재(331) 양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강재 덧댐부재(332)와, 길이부재(331)와 덧댐부재(332)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길이부재(331)와 덧댐부재(332)를 접합하는 점탄성부재(333)와, 길이부재 볼트홀(331a)과 덧댐부재 볼트홀(332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길이부재 볼트홀(331a)과 덧댐부재 볼트홀(332a) 및 점탄성부재(333)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볼트부재(3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2 있어서,
(a) 단계에서,
링크(30)의 길이부재(331)는 2쌍의 접합면(a,a)(b,b)을 갖는 2축 단면의 사각 강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a) 단계에서,
길이부재(331)와 길이부재(331)를 연결하는 덧댐부재(332)는 길이부재(331)의 접합면(a,b)을 순서대로 교차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a) 단계에서,
링크(30)의 점탄성부재(333)는 고감쇠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d) 단계에서,
고정 채널(40)은 개구부의 외측면과 수평 결합부(42)의 하부면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직 결합부(42)의 단부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고,
(d) 단계와 (e) 단계 사이에,
개구부의 외측면과 수평 결합부(42)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C)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d) 단계와 (e) 단계 사이에,
고정 채널(40)의 수평 결합부(41)의 소정의 위치에 1개 이상의 콘크리트 충전홀(412)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충전홀(412)로 콘크리트(C)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3706A KR101803630B1 (ko) | 2016-02-26 | 2016-02-26 |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3706A KR101803630B1 (ko) | 2016-02-26 | 2016-02-26 |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037A KR20170101037A (ko) | 2017-09-05 |
KR101803630B1 true KR101803630B1 (ko) | 2017-12-01 |
Family
ID=5992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3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3630B1 (ko) | 2016-02-26 | 2016-02-26 |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36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24544A (zh) * | 2017-11-13 | 2018-02-23 |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 装配式剪力墙间的竖向多铰连接结构及施工方法 |
CN113494143B (zh) * | 2020-04-06 | 2022-07-08 | 同济大学 | 波纹钢板墙-转动铅阻尼器双功能复合减震装置及其双阶段抗震控制方法 |
CN115265168B (zh) * | 2022-07-25 | 2024-05-14 | 安徽辰宇机械科技有限公司 | 具备高应力支撑结构的谷物干燥机主机底架 |
CN115182481B (zh) * | 2022-08-10 | 2024-01-30 | 河北工业大学 | 一种钢连接器保温板结构及施工方法 |
CN119122969A (zh) * | 2024-10-30 | 2024-12-13 | 中震华创(深圳)技术有限公司 | 一种对称高性能粘弹性阻尼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217B1 (ko) * | 2010-05-26 | 2011-04-1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
KR101403125B1 (ko) * | 2013-01-08 | 2014-06-0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KR101524669B1 (ko) * | 2014-12-19 | 2015-06-03 |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가변성 마찰댐퍼 |
-
2016
- 2016-02-26 KR KR1020160023706A patent/KR10180363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217B1 (ko) * | 2010-05-26 | 2011-04-1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
KR101403125B1 (ko) * | 2013-01-08 | 2014-06-0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KR101524669B1 (ko) * | 2014-12-19 | 2015-06-03 |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가변성 마찰댐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037A (ko) | 2017-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3630B1 (ko) |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
US20020129568A1 (en) | Brace-type damper mounting structure | |
KR101705318B1 (ko) |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 |
KR101185974B1 (ko) |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 |
KR101814904B1 (ko) |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
JP4288370B2 (ja) | ダンパー装置 | |
KR20150072142A (ko) |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 |
KR101372087B1 (ko)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
CN107859170A (zh) | 混凝土梁柱节点双向约束套筒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814903B1 (ko) | 힌지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
KR101842593B1 (ko) | 제진장치 설치공법 | |
KR101388416B1 (ko) | 브레이스형 댐퍼 | |
KR101600679B1 (ko) | 전단 소켓 앵커 | |
KR101403125B1 (ko)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
JP3664611B2 (ja) | 木造建築物の耐震構造 | |
JP2012225411A (ja) | 変形制限機能付きダンパー内蔵耐震装置 | |
JPH10140873A (ja) | 建築物の制振構造 | |
KR102122028B1 (ko) | 간주형 제진장치 | |
KR101814902B1 (ko) |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 |
KR101259247B1 (ko) | 댐핑형 구조물 | |
JP6117974B1 (ja) | 制震補強架構柱の接合構造 | |
KR20170101030A (ko) | 링크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 |
KR101689463B1 (ko) | 멀티 조인트 제진장치 | |
KR101554092B1 (ko) | 건축물 보강용 링크 가새 구조물 | |
JP5116587B2 (ja) | ブレース構造による制振装置付門型フレー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