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559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0559B1 KR101800559B1 KR1020167001068A KR20167001068A KR101800559B1 KR 101800559 B1 KR101800559 B1 KR 101800559B1 KR 1020167001068 A KR1020167001068 A KR 1020167001068A KR 20167001068 A KR20167001068 A KR 20167001068A KR 101800559 B1 KR101800559 B1 KR 1018005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layer
- landing door
- opened
- la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가, 복수의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한다. 개폐 장치는,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를 개폐한다. 개폐 제어부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한다. In the elevator apparatus, at least on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ng section detects opening of the corresponding landing door among the plurality of landing door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pens and close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istway at a place other than the platform entrance and exit.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opens / closes the opening part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on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고속으로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장에서의 돌발적인 드래프트(draft) 소음의 저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은, 승강장과 승강로와의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승강장 도어의 주위의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해서 발생한다. 또,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은, 일반적으로, 옥외가 춥고 건물 내가 따뜻한 동계(冬季)에 발생하기 쉽다. 이것은, 하층에서 옥외로부터 건물 내로 들어간 공기가 건물 내에서 따뜻해지는 것에 의해, 승강로 내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하층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로 공기가 유입하기 쉽고, 상층에서는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공기가 유출하기 쉽게 되어, 승강장 도어의 주위의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기 때문이다. The landing draft noise is generated by the disturbance of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gap around the landing doo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landing and the hoistway. In addition, the landing draft noise is generally likely to occur in the winter when the outdoor is cold and the building is warm. This is because upward airflow is generated in the hoistway due to warming of the air entering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building from the lower layer and air easily flows into the hoistway from the hoistway in the lower layer and air easily flows out from the hoistway to the hoistway This increases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gap around the landing door.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삼방(三方) 프레임의 좌우의 측부 프레임의 승강로측에 고무제의 씰링관이 고정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의 두껍닫이(door case)측 단부에는, 차폐(遮蔽)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장 출입구의 전폐시(全閉時)에 차폐 프레임이 씰링관에 맞닿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이 승강장에 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sealing pipe made of rubber is fixed to the hoistway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of the three-way frame. A shielding frame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landing door on the side of the door case. Further, when the shielding frame abuts on the sealing pipe at the time of completely closing (completely closing) the landing entrance, it is prevented that the noise generated by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or car is transmitted to the landing area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
또,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의 두껍닫이측 단부에 가요성의 차폐판이 고정되어 있다. 차폐판은, 승강장 출입구의 전폐시에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측부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승강로 내로 유입하는 공기량이 감소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In another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flexible shielding plate is fixed to the end of the landing door on the side of the housing. The shield plate contacts the side frame of the three-frame frame at the time of full closing of the landing entrance. As a resul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oistway from the gap between the side frame and the landing door decrease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게다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장치에서는, 풍량계, 풍속계 또는 소음계등의 드래프트 검출 수단이, 하부의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에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와 건물의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에는, 전동 댐퍼로 이루어지는 드래프트 관제(管制)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드래프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값이 설정값을 넘으면, 드래프트 관제 수단에 의해 공기 유로가 개방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가 승강로 내로 유입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Furth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hoistway apparatus, draft detection means such as an air flow meter, an anemometer, or a sound level meter is provided in the gap of the landing entrance of the lower part. Draft control means comprising an electric damper is provided in the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hoistway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hen the detection value by the draft detection means exceeds the set value, the air flow path is opened by the draft control means, and air outside the building flows into the hoistway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을 밀폐화하는 것은, 전(全)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승강로에 유입 또는 승강로로부터 유출하는 풍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드래프트 소음 대책으로서 유효하다. As shown in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이 목적층에 도착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 내와 승강장이 연통된다. 이 때, 승강장과 승강로와의 사이에서 압력차가 있으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the elevator car reaches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elevator car door and the platform door are opened, the inside of the elevator shaft and the platform are communicated. At this time, if there i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landing platform and the hoistway, a flow of air is generated.
여기서, 전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승강로 내는, 질량 보존칙이 거의 성립한 평형 상태이다. 이것에 대해서,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 내의 평형 상태는 무너져, 다른 상태로 변화한다. 즉,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과,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출하는 공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변화한다. Here, when the landing door of the entire layer is in a closed state, a state of equilibrium in which the mass conservation rule is almost established is in the hoistway. On the other hand, when a landing door of a certain layer is opened, the equilibrium state in the hoistway collapses and changes to another state. That i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oistway from the landing gear and the amount of air flowing out from the hoistingway to the landing gear are changed to be the same.
예를 들면 동계에는, 승강로 내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출하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질량 보존칙에 의해, 하층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 내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이 때, 하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있고, 또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이 밀폐화되어 있으면, 약간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무리하게 유입하려고 하게 되고, 풍속이 증가하여 돌발적인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여, 하층 승강장 부근에 있는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For example, in the winter season, since a rising air current is likely to occur in the hoistway, when the hoistway door of the upper layer is opened, the amount of air flowing out from the hoistway to the hoistway increases.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from the landing stage into the hoistway increases in the lower layer due to the mass conservation law. At this time, if the landing door of the lower layer is closed and the gap of the landing door entrance is closed, the air tries to infiltrate through a slight gap, the wind speed increases and unexpected landing draft noise is generated, It gives the user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floor platform an unpleasant feeling.
이상은, 상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경우를 설명했지만, 하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도, 다른 층에서 돌발적인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Although the case where the landing door of the upper layer is opened has been described above, there is a case where unexpected landing draft noise is generated in another layer even when the landing door of the lower layer is opened.
또, 특허 문헌 3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장치에서는,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지만, 드래프트 검출 수단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 복수층에서의 드래프트 소음을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감시층마다 드래프트 검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생기고, 설치 기기가 대규모로 되어, 코스트 및의 스페이스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hoistway device disclosed 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n unexpected draft noise by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 칸, 복수층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개폐 장치, 및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levator car ascended and descended in a hoistway, a plurality of platform doors provided on a plurality of floors, a platform door ope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opening of a corresponding platform door among the platform door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istway outside the platform entrance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ec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ignal from th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ng section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하므로,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ortion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on portion, so that the sudden draft noise can be suppressed by the simple structure us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on por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latform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anding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 장치)(3),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4),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와,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터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The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The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0) 및 균형추 완충기(11)가 설치되어 있다. A pair of car guide rails (not shown) for guiding the
엘리베이터 칸(8)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개폐 동작시킴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13)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The
복수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도어(14)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장치(15)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층에 도착했을 때, 그 층의 승강장 도어(14)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에 연동연동하여 개폐 동작한다. A plurality of platforms are provided with a pair of
승강장 도어(14)가 전폐(全閉) 위치에 위치할 때,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간극은 거의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When the
또,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부(16)(도 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개구부(16)는, 복수층의 승강장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각 개구부(16)에는, 개폐 장치로서의 개구량 조정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대응하는 개구부(16)를 개폐한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대응하는 개구부(16)의 개구량을 조정한다. The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개구부(16)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개구부(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개구부(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부재를 변위시키는 개폐 구동 모터를 가지고 있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로서는, 예를 들면 자동 개폐 가능한 루버(louver)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he opening
도 2는 도 1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승강장 출입구의 좌우 양측 및 상부에는, 삼방 프레임(18)이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개구부(16)는,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에, 승강장 출입구에 임(臨)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있다.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latform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III-III of Fig. A three-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각 승강장 도어 장치(15)에는, 승강장 도어(14)를 시정(施錠) 상태로 하기 위한 인터락(interlock)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인터락 장치에는,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위치에서 시정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인터락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있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Each landing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도착하여, 그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면,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다.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서는, 인터락 스위치(19)의 상태에 의해,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상태인지 아닌지, 아닌 경우,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는, 인터락 스위치(19)이다. For this reason, in the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개구부(16)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할지를 선택한다. 실시 형태 1의 개폐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이다. The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상태인 경우는, 승강장과 승강로(1)와의 사이의 공기류(空氣流)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에 의해 드래프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 도어(14)에는, 기밀성이 높은 구조(예를 들면, 차연(遮煙) 도어)가 적용되어 있다. When the landing
그러나,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높이면,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However, if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landing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어떤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다른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하여, 공기를 개구부(16)에 적극적으로 유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폐 위치에 있는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약간의 간극을 무리하게 통과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이 억제되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8)의 정지층이 1~20층의 각 층이며, 엘리베이터 칸(8)이 1층(최하층)에 정지하고, 1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으로 한다. 동계에는, 저층 에어리어(area)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1)를 향해서 공기가 흐르기 쉽기 때문에, 1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면, 다량의 공기가 승강로(1) 내에 유입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top layer of the
한편, 20층(최상층)에서는, 승강로(1)로부터 승강장으로 공기가 흐르기 쉬워, 1층의 승강장 출입구로부터 다량의 공기가 유입하면, 유량 보존칙에 의해 승강로(1)로부터 승강장으로의 공기의 유출도 크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20th layer (uppermost layer), air easily flows from the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1층의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 것을 검출하면, 20층의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20층의 개구부(16)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20층의 승강장에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the
또, 20층에 더하여, 20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19층 및 18층 등의 개구부(16)도 개방시켜도 괜찮다. 반대로, 1층은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1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해 둔다. 또, 1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2층 및 3층의 개구부(16)도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20th layer, it is also possible to open the
엘리베이터 칸(8)이 20층에 정지하고, 20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경우, 승강로(1) 내로부터 다량의 공기가 20층의 승강장으로 유출하여, 저층 에어리어, 특히 현관층인 1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1) 내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하려고 한다. When the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20층의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 것을 검출하면, 1층의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1층의 개구부(16)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1층의 승강장에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the
또, 1층에 더하여, 1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2층 및 3층 등의 개구부(16)도 개방시켜도 괜찮다. 반대로, 20층은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20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해 둔다. 또, 20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19층 및 18층의 개구부(16)도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first layer, a layer near the first layer, for example, an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모든 개구부(16)를 폐쇄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적어도 최상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적어도 최하층 또는 현관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저층 승강장→승강로(1)→고층 승강장으로 흐르는 공기를 비교적 밸런스가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us, the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1)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16)를 승강로(1)와 승강장과의 사이에 마련하고, 개구부(16)에 개구량 조정 장치(17)를 마련하며,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개구부(16)를 개폐하도록 했으므로,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elevator apparatus, an opening
또,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도록 했으므로, 모든 층의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cted that a
게다가, 기존의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승강장 도어(14)의 개방을 검출하므로, 구성을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of the landing
게다가 또, 개구부(16)를 삼방 프레임(18)에 마련했으므로, 건축측면에서 새롭게 개구부를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 이용자로부터 보기 어려운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에 개구부(16)를 마련했으므로, 의장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삼방 프레임(18)에 개구부(16)를 마련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승강장 벽에 개구부(20)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0)는,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장과 승강로(1) 내를 연통하고 있다.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개구부(20) 내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Next,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anding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장 벽에 개구부(20)를 마련했으므로, 삼방 프레임(18)의 의장성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opening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4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1개의 승강로(1) 내를 승강(병주(竝走, 나란히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3의 승강로(1)는, 각 엘리베이터 칸(8)에 대응하는 승강로 부분이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통된 공간이다. 각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은, 서로 독립하여 제어, 또는 그룹 관리 제어된다. 이 경우, 개폐 제어부는,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정지하고,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승강로(1) 전체에서의 통기의 밸런스로부터, 개구부(16)(또는 개구부(20))의 개폐의 여부를 판정한다. Next, Fig.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예를 들면, 모든 엘리베이터 칸(8)이 저층에서 문열림 상태라면, 고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그러나, 1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저층에서 문열림 상태, 다른 1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고층에서 문열림 상태, 나머지 2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 중이면, 통기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 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한 채로 해도 괜찮다. For example, if all the
이와 같이,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1개의 승강로(1)를 승강하는 경우는, 그 승강로(1)에 임하는 모든 호기의 승강장 도어(14)의 개방을 감시하고, 개구부(16)의 개폐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호기의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개폐 제어부가 필요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wo or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Even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a sudden draft noise can be suppressed by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또, 실시 형태 3에서, 개구부(16)는, 호기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고, 각 층에 1개소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괜찮다. In
또, 실시 형태 3에서는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병주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바로 위로부터 보아 동일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즉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multi-car)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wo or
게다가, 실시 형태 1에서는, 개폐 제어부로서,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를 이용했지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로부터 독립한 개폐 제어부에 의해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해도 괜찮다. Furthermore, in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층에 개구부(16)(또는 개구부(20)) 및 개구량 조정 장치(17)를 마련했지만, 모든 층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개구부를 현관층 또는 최하층과 최상층에만 마련하며, 현관층 또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상층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최상층 또는 최상층 부근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현관층 또는 최하층의 개구부를 개방해도 괜찮다. 또, 개구부를 현관층 또는 최하층에만 마련하여, 최상층 또는 최상층 부근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개구부를 개방한다고 하는 제어만을 실시해도 괜찮다. In the above example, the opening 16 (or the opening 20) and the opening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서 인터락 스위치(19)를 나타냈지만, 인터락 스위치(19)와는 다른 스위치 또는 센서를 이용해도 괜찮다. In the above example, the
게다가,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정지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정보를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검출에 이용해도 괜찮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 내에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와 개폐 제어부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동작 개시전에 개구부를 개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o which floor the
게다가 또, 개폐 장치는,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be a device for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not adjusting the opening amount.
또,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의 상단부,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의 하단부, 또는 승강장 조작반 등에 개구부를 마련해도 좋다. The open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For example, the open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frame of the three-frame fram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frame of the three-
게다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 2: 1 roping type elevator device, or a double deck elevator.
Claims (23)
복수층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상기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상기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개폐 장치, 및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며,
2개 이상의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에 의해, 2개 이상의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이 각각 검출되고,
2개 이상의 층의 승강장과 상기 승강로와의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어떤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t least one elevator car lifted and lowered in the hoistway,
A plurality of landing doors provided on a plurality of floors,
At least on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opening of a corresponding landing door of the landing door,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istway other than the platform entrance,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part b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ignal from th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on part,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in two or more layers is respectively detected by the two or more landing door opening detecting portions,
The openings are provided between the lift platforms of two or more floors and the hoistway,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selects which layer of the opening is to be opened depending on which layer of the landing door is opened when a certain layer of the landing door is detected to be opened.
상기 개폐 제어부는, 모든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모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closes all of the openings when the lift doors of all the floors are closed.
상기 개폐 제어부는, 최하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상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opens the uppermost opening of the lift door when the lowest lift door is opened.
상기 개폐 제어부는, 최상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하층 또는 현관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ection opens the opening of the lowermost layer or the topsheet layer when the landing door of the uppermost layer is opened.
2대 이상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1개의 상기 승강로를 병주(竝走)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모든 호기(號機)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감시하고, 어느 호기의 어느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그 패턴에 따라서 어느 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t least two of the elevator cars are adapted to ascend and descend in one of the hoistways,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monitors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of all the units, selects which floor of which air-conditioning unit is open, and selects which layer of the opening is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pattern. Device.
상기 개폐 제어부는, 최상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하층 또는 현관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ection opens the opening of the lowermost layer or the topsheet layer when the landing door of the uppermost layer is opened.
2대 이상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1개의 상기 승강로를 병주(竝走)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모든 호기(號機)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감시하고, 어느 호기의 어느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그 패턴에 따라서 어느 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two of the elevator cars are adapted to ascend and descend in one of the hoistways,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monitors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of all the units, selects which floor of which air-conditioning unit is open, and selects which layer of the opening is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pattern. Device.
2대 이상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1개의 상기 승강로를 병주(竝走)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모든 호기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감시하고, 어느 호기의 어느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그 패턴에 따라서 어느 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of the elevator cars are adapted to ascend and descend in one of the hoistways,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monitors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of all the units and selects which layer of the unit is open and which layer of the opening is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69376 WO2015008345A1 (en) | 2013-07-17 | 2013-07-17 | Eleva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534A KR20160020534A (en) | 2016-02-23 |
KR101800559B1 true KR101800559B1 (en) | 2017-11-22 |
Family
ID=5234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1068A KR101800559B1 (en) | 2013-07-17 | 2013-07-17 | Elevator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49881B2 (en) |
KR (1) | KR101800559B1 (en) |
CN (1) | CN105307965B (en) |
WO (1) | WO201500834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02935B2 (en) * | 2017-06-06 | 2021-07-14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Elevator doorway opening and closing system |
EP3511278A1 (en) * | 2018-01-11 | 2019-07-17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positioning an elevator car with high accuracy |
CN112744656B (en) * | 2020-12-30 | 2022-07-12 |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elevator pressure relief device under chimney effec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58946A (en) * | 2008-09-05 | 2010-03-18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1477A (en) * | 1984-08-20 | 1986-03-13 | 株式会社東芝 | Confirming device for closing of door for elevator |
JP2502193B2 (en) | 1990-12-12 | 1996-05-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hoistway device |
JPH0853279A (en) | 1994-08-09 | 1996-02-27 | Toshiba Corp | Elevator device |
JPH08239185A (en) | 1995-03-02 | 1996-09-17 | Toshiba Corp | Entrance of elevator |
JPH10338435A (en) * | 1997-06-09 | 1998-12-22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Elevator device |
JP2004168535A (en) * | 2002-11-22 | 2004-06-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Jamb securing device for elevator |
JP4748615B2 (en) * | 2008-12-26 | 2011-08-17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
2013
- 2013-07-17 WO PCT/JP2013/069376 patent/WO201500834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7-17 KR KR1020167001068A patent/KR10180055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17 CN CN201380077566.8A patent/CN10530796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7-17 JP JP2015527097A patent/JP604988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58946A (en) * | 2008-09-05 | 2010-03-18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049881B2 (en) | 2016-12-21 |
CN105307965A (en) | 2016-02-03 |
JPWO2015008345A1 (en) | 2017-03-02 |
CN105307965B (en) | 2017-04-05 |
KR20160020534A (en) | 2016-02-23 |
WO2015008345A1 (en) | 2015-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0176B2 (en) | Elevator | |
CN105384039B (en) | For closing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door of elevator | |
JP2010058946A (en) | Elevator device | |
KR101800559B1 (en) | Elevator device | |
JP5571130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5645439B2 (en) | Elevator flood prevention device with smoke shielding structure attached to the landing | |
JP7094919B2 (en) | Elevator | |
JP5885172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WO2007125595A1 (en) | Elevator equipment | |
CN107148393A (en) | Evacuation concept for elevator device | |
JP2010058945A (en) | Elevator device | |
JP7147900B1 (en) | elevator | |
JP2014144854A (en) | Elevator device | |
JP6404472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6027808A (en) | Elevator apparatus | |
JP2006131403A (en) | Elevator device | |
WO2013114566A1 (en) | Elevator device | |
JP2013107766A (en) | Elevator and smoke preventive method of elevator | |
KR101523599B1 (en) | Spiral Type Elevator Using the Ball-Driving Structure | |
JP4489879B2 (en) | Elevator equipment for middle- and low-rise apartments | |
JP2012180199A (en) | Evacuation elevator system | |
JP2005053634A (en) | Operation device in case of overhead flooding for elevator | |
KR101022798B1 (en) | Elevator having a small size machine room structure | |
KR100923607B1 (en) | Elevator device | |
JP2012184092A (en) | Tail cord wir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