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92107B1 -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07B1
KR101792107B1 KR1020160181210A KR20160181210A KR101792107B1 KR 101792107 B1 KR101792107 B1 KR 101792107B1 KR 1020160181210 A KR1020160181210 A KR 1020160181210A KR 20160181210 A KR20160181210 A KR 20160181210A KR 101792107 B1 KR101792107 B1 KR 10179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arm
arm body
stiffener
insert molding
ball j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김현우
권태성
이대주
박민국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6018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07B1/ko
Priority to PCT/KR2017/015109 priority patent/WO2018124604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60G2204/1432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by vertical bolts or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3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with embedded inserts for material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with reinforcing nerves or bra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4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은, 상부, 및 상부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바디; 및 현가암 바디 내 고정되고, 상부, 및 상부으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는 보강재; 및 보강재 상에 인서트되어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와 결합되는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현가암 바디의 상부와 보강재의 상부는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개시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현가암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종래의 현가암은 제조 방식에 따라 캐스팅 타입(casting type)과 프레스 타입(press type)으로 구분된다. 캐스팅 타입의 현가암은 스틸 용탕을 금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프레스 타입의 현가암은 스틸 강판으로부터 프레스 성형된 2개의 판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현가암은 스틸 소재의 특성상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경량화시키기 어렵다. 또한, 스틸 강판의 용접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결함이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량화한, 금속과 플라스틱의 복합 재료로 형성되는 현가암(이하, "하이브리드 현가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차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연결 스터드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은, 상부, 및 상부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바디; 및 현가암 바디 내 고정되고, 상부, 및 상부으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는 보강재; 및 보강재 상에 인서트되어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와 결합되는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현가암 바디의 상부와 보강재의 상부는 이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의 상부와 보강재의 상부가 서로 마주하고, 현가암 바디의 측부의 내측면은 보강재의 측부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와 보강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인서트 몰딩이 인서트 되지 않을 수 있다.
현가암 바디, 보강재, 및 인서트 몰딩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에 대하여 이종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인서트 몰딩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재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인서트 몰딩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고, 버튼은 구멍의 일정 주변 영역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의 상부에는 보강재의 구멍을 마주하도록 배열되고 금형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재의 상부에는 현가암 바디의 상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보강재는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는, 보강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 몰딩 내 매립되는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은, 보강재의 상부와 접하는 제1 결합판, 및 제1 결합판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2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판에는 적어도 일부의 인서트 몰딩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보강재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보강재의 조인트부에는 제1 볼 조인트 홀이 형성되고, 현가암 바디의 조인트부에는 제1 볼 조인트 홀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볼 조인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 조인트 홀 및 제2 볼 조인트 홀을 관통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인서트 몰딩은, 볼 조인트 주변을 감싸는 볼 조인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 결합부는 볼 조인트 주변으로 확장되어 볼 조인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시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의 레그부의 선단에는, 부시 파이프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인입된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의 선단은, 상면, 및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부시 파이프의 외주면은 선단의 상면, 및 두 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은, 현가암 바디; 현가암 바디 내 고정되는 보강재; 보강재 상에 인서트되어 레그부의 단부 및 보강재와 결합되는 인서트 몰딩; 및 현가암 바디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보강재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현가암 바디의 레그부와 보강재의 레그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상부, 및 상부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보강재는 상부, 및 상부로부터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고, 현가암 바디의 상부와 보강재의 상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연결 스터드는 차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은, 연결 스터드의 주변을 감싸고 연결 스터드와 결합되는 연결 스터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스터드는, 레그부와 결속하는 결속부; 및 결속부와 결합된 스터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의 측부에는, 결속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연결 스터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는,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결속부, 제2 결속부, 및 제3 결속부를 포함하고, 제1 결속부는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제2 결속부는 제1 결속부보다 단면 넓이가 작고, 제3 결속부는 제2 결속부보다 단면 넓이가 클 수 있다.
제3 결속부는, 제3 결속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 결속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스터드 결합부는 연결 스터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테이퍼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 제조 방법은, 현가암 바디를 제작하는 단계; 보강재를 제작하는 단계; 현가암 바디 내 보강재를 고정하는 단계; 현가암 바디에 부시를 부착하고 볼 조인트 압입하고, 연결 스터드를 설치하여 현가암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현가암 본체를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 및 보강재 상에 인서트 몰딩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하는 단계는, 인서트 몰딩의 일부로 현가암 바디의 단부를 감싸는 단계; 인서트 몰딩의 일부로 보강재에 형성된 구멍에 충진되어 버튼을 형성하는 단계; 인서트 몰딩의 일부로 볼 조인트 주변을 감싸는 단계; 및 인서트 몰딩의 일부로 연결 스터드의 주변을 감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를 위해 인서트 몰딩이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에 결합되면서도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는 전체적으로 사방이 폐쇄된 구조를 이룰 수 있어서 현가암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폐쇄 구조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킨 만큼, 현가암 바디, 보강재 또는 인서트 몰딩의 두께 감소를 통한 경량화가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은 현가암 바디 및 보강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현가암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암 바디와 결합되는 인서트 몰딩이 연결 스터드와 결합되는 현가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하게 연결 스터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현가암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현가암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현가암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연결 스터드가 현가암 바디로부터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현가암을 D-D'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의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의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현가암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사출하는 단계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가지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현가암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어퍼 컨트롤 암뿐만 아니라 로워 컨트롤 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현가암(1)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현가암(1)은, 현가암 바디(10), 현가암 바디(10) 내 고정되는 보강재(20), 및 보강재(20) 상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되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현가암 바디(10)에 배치되는 보강재(20) 등을 도시하기 위해, 현가암 바디(10)는 2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암 바디(10)는 'U'자 형태의 어퍼암일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 및 보강재(20)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재료는 스틸 재료 또는 알루미늄 재료일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인서트 몰딩(30)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일론6(PA6), 나일론66(PA66)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형성되거나, 나일론6, 나일론66 등에 글래스파이버(glass fiber)가 포함된 폴리아미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는 상부(11)와, 상부(11)로부터 연장된 측부(12, 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20)는 상부(21)와, 상부(21)로부터 연장된 측부(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와 보강재(20)의 상부(21)는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예컨대,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와 보강재(20)의 상부(21)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는 평평하거나 또는 일부가 구부러진 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보강재(20)의 상부(21) 또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와 유사하게 평평하거나 또는 구부러진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와 보강재(20)의 상부(21)는 서로의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11, 21)는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재(20)는 현가암 바디(10) 내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현가암 바디(10)의 측부(12, 13)는, 보강재(20)의 상부(21)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12) 및 상부(1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외측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강재(20)의 측부(22, 23)는, 상부(21)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22) 및 상부(1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외측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20)가 현가암 바디(10)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보강재(20)의 측부(22, 23)의 수직 방향 길이는 현가암 바디(10)의 측부(12, 13)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재(20)의 상부(21)에는 인서트 몰딩(30)이 관통 연장하여 버튼(35)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20)의 상부(21)에 형성된 구멍(212)을 마주하도록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멍(112)은 인서트 몰딩(30)의 버튼(35)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현가암 바디(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레그부(10b), 및 2개의 레그부(10b)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레그부(20b) 및 2개의 레그부(20b)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레그부(30b) 및 2개의 레그부(30b)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20)의 조인트부(20a)에는 구멍(212) 보다 직경이 큰 제1 볼 조인트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가암 바디(10)의 조인트부(10a)에는 제1 볼 조인트 홀(211)을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멍(112)보다 직경이 큰 제2 볼 조인트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볼 조인트(40)는 제1 볼 조인트 홀(211) 및 제2 볼 조인트 홀(111)을 관통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의 조인트부(30a)는 볼 조인트(40) 주변을 감싸는 중앙이 관통된 볼 조인트 결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 결합부(311)는 인서트 몰딩(30)의 사출시 볼 조인트(40)의 주변으로 사출되어 볼 조인트(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2개의 레그부(10b)의 선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시 파이프(50)가 결합될 수 있다. 부시 파이프(50)는, 예컨대 용접 방식에 의하여 레그부(10b)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에는 연결 스터드(60)가 설치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외측부(13)에는 연결 스터드(6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수용부(14)의 일 측에는 연결 스터드(60)를 관통시키기 위한 연결 스터드 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은 연결 스터드(6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스터드 결합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스터드(60)와 연결 스터드 결합부(611)의 결합 구조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도 6 내지 9에서 후술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서트 몰딩(30)의 레그부(30b)는 보강재(20)의 상부(21)와 접하는 중앙부(31)와, 중앙부(31)의 양 측에 형성되고 현가암 바디(10)의 측부(12, 13)의 단부를 감싸는 내측 결합부(32) 및 외측 결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1)에는 적어도 하나의의 보강 리브(36)가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36)로 인하여 중앙부(31)는 전체적으로 격자 무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36)의 개수나 형상은 현가암(1)의 전체 강도 및 인서트 몰딩(30)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현가암(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현가암 바디(10)와 보강재(20)의 단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모두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는 보강재(20)의 상부(21)와 마주하고, 현가암 바디의 측부(12, 13)은 보강재(20)의 측부(22, 23)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측부(12, 13)의 내측면은, 보강재(20)의 측부(22, 23)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서로 용접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현가암 바디(10)와 보강재(20)의 결합 방식은 용접으로 제한된 것은 아니고, 리벳 방식, 또는 볼트 고정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20) 상에 인서트 몰딩(30)이 사출되더라도, 보강재(20)가 흔들리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경량화를 위해 인서트 몰딩(30)이 현가암 바디(10) 및 보강재(20)에 결합되면서도 현가암 바디(10) 및 보강재(20)는 전체적으로 사방이 폐쇄된 "ㅁ"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현가암(1)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ㅁ"자 구조를 통해 구조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킨 만큼, 경량화를 위해 현가암 바디(10), 보강재(20) 또는 인서트 몰딩(3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현가암 바디(10) 및 보강재(20)가 일부가 개방된 형태, 예컨대 "C"자 형상인 경우, "ㅁ"자 형상 구조에 비해 현가암 바디, 보강재, 인서트 몰딩의 두께는 더 커야할 것이며, 그에 따라 현가암의 중량도 증가할 것이다.
또한, 현가암(1)의 강도를 더욱 향상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은 후술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스틸 재료보다 수출률이 크기 때문에, 인서트 사출 후 냉각 시 스틸 재료의 암 바디의 내측에 결합된 인서트 몰딩부가 암 바디보다 더 수축하여 암 바디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라스?? 인서트 몰딩부와 암 바디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게 되면 현가암 전체의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현가암(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암 바디(10)의 측부(12, 13)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22,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2, 132)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절곡부(122)와 외측 절곡부(132)의 절곡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은 내측 절곡부(122)를 감싸는 내측 결합부(32), 및 외측 절곡부(132)를 감싸는 외측 결합부(3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결합부(32, 33)는 절곡부(122,132)를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 냉각 시 인서트 몰딩(30)이 수축하더라도 인서트 몰딩(30)은 현가암 바디(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현가암 전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인서트 몰딩(30)은 보강재(20)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212)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35)을 포함하고, 버튼(35)은 구멍(212)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35)은 인서트 몰딩(30)이 보강재(20) 상에 사출시, 먼저 구멍(212)에 충진된 후, 보강재(20) 상부(22) 밖으로 방출되어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서트 몰딩(30)이 버튼(35)에 의해 보강재(20)에 걸리기 때문에,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 시 인서트 몰딩(30)은 보강재(2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서트 몰딩(30)과 보강재(20)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현가암 전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부시 파이프(50)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현가암(1) 선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5에서 부시 파이프(50)는 2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가암 바디(10)의 선단은, 상면(11a), 및 상면(11a)으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측면(12a, 13a)을 포함하고, 부시 파이프(50)의 외주면은 상면(11a), 및 두 개의 측면(12a, 13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측면(12a, 13a)은 원통형인 부시 파이프(5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보강재(20)의 선단은 선단면(22c)를 포함할 수 있고, 선단면(22c)의 적어도 일부는 부시 파이프(50)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시 파이프(50)와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종단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은 현가암 바디(10)의 선단까지 인서트 되지 않고, 현가암 바디(10)의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사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몰딩(30)은 부시 파이프(50)를 감싸지 않을 수 있다.
보강재(20) 선단에는, 부시 파이프(50)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인입된 배출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부(27)는 보강재(20)의 선단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출부(27) 하단에도 인서트 몰딩(30)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인서트 몰딩(30)의 선단에도 부시 파이프(50)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인입된 배출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1)은 실제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가 보강재(20)의 상부(2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에, 현가암 바디(10)의 구멍(112)으로 빗물 또는 하천수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현가암 바디(10)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유체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암(1) 내 유입된 유체는 보강재(20) 및 인서트 몰딩(30)의 선단에 형성된 배출부(27, 37)를 통해 배출되어 현가암 바디(10)의 내부에 남아 있지 않을 것이므로, 현가암(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현가암(1)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연결 스터드(60)가 현가암 바디(10)로부터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1의 현가암(1)을 D-D'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인서트 몰딩(30)의 연결 스터드 결합부(611)은, 연결 스터드(60)의 주변을 감싸면서 연결 스터드(60)와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외측부(13)에는, 연결 스터드(6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연결 스터드 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의 현가 장치가 설치된 후에는, 현가암 바디(10)의 내측부(12)에 인접하도록 쇽앱소버(미도시)가 지나갈 수 있으므로, 연결 스터드(60)는 현가암 바디(10)의 외측부(13) 또는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스터드(60)는, 연결 스터드 구멍(131)과 결속하는 결속부(62) 및 결속부(62)와 결합된 스터드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스터드(60)는 차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스터드(60)는 이러한 높이 감지 센서와 링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는 이러한 링크의 변위를 고려하여 차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가로 방향 길이(a)는 제1 세로 방향 길이(b)보다 크다. 연결 스터드 구멍(131)은 제1 세로 방향 길이(b)보다 작은 제2 세로 방향 길이(c)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세로 방향 길이(b, c)는 결속부(62)와의 결속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결속부(62)는,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결속부(621), 제2 결속부(622), 및 제3 결속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속부(621)는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제2 결속부(622)는 제1 결속부(621)보다 단면 넓이가 작고, 제3 결속부(623)는 제2 결속부(622)보다 단면 넓이가 클 수 있다.
제 1 결속부(621)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제 1 결속부(621)의 가로 방향의 단부는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가로방향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결속부(621)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가로 방향 길이(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제1 결속부(621)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제2 세로 방향 길이(c)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1 및 제2 결속부(621, 622)의 세로 방향의 단부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세로 방향 길이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속부(622)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제1 세로 방향 길이(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속부(621) 및 제2 결속부(622)는 도 7에 도시된 방향으로, 연결 스터드 구멍(131)에 삽입된 후, 연결 스터드(60)를 90도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된 상태에서 제2 결속부(622)의 세로방향 길이가 연결 스터드 구멍(131)의 제1 세로 방향 길이(b)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되므로, 연결 스터드(60)를 현가암 바디(10)에 결속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결속부(62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외측부(13)의 두께(d)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스터드(60)가 외측부(13)에 결속된 상태에서는, 제1 결속부(621) 및 제3 결속부(623)가 외측부(13)의 양 측면을 반대편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3 결속부(623)는, 제3 결속부(623)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 결속부(622)를 향하여 기울어진 테이퍼부(62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속부(622)와 인접한 제3 결속부(623)의 전단의 넓이는, 스터드부(61)와 인접한 제3 결속부(623)의 후단의 넓이보다 작다.
인서트 몰딩(30)의 연결 스터드 결합부(611)는 연결 스터드(6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테이퍼부(623a)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인서트 몰딩(30)의 연결 스터드 결합부(611)가 연결 스터드(60)를 감싼 후 응고된 후에는, 연결 스터드(60)는 회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보강재(20)와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보강재(70, 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현가암(1)에서 설명된 현가암 바디(10), 볼 조인트(40), 연결 스터드(60), 부시 파이프(50)와 관련된 구성은 아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보강재(70, 80)는 도 2에 도시된 보강재(20)를 뒤집은 모습을 나타내며, 도2에서 보이는 방향과 반대로 보강재(70, 80)의 상부(71, 81)는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보강재(70, 80)는 버튼 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보강재(20)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서트 몰딩(3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의 보강재(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강재(70)는 상부(71) 및 상부(71)로부터 연장된 측부(72, 7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70)의 상부(71)에는 제1 볼 조인트 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재(70)의 상부(71)에는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를 향하여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12)가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712)는 보강재(70)의 레그부(70b)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부(712)는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고, 예컨대 우물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강재(70)는 오목부(7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7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13)는, 예컨대 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오목부(712)의 양쪽 단부를 지나갈 수 있다. 커버(713)는 평평한 판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아치형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이 보강재(70) 상에 사출되는 과정에서, 인서트 몰딩(30)의 일부는 오목부(712)를 채우고, 인서트 몰딩(30)의 다른 일부는 커버(713)의 주변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커버(713)는 인서트 몰딩(30)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이 경화된 상태에서는, 인서트 몰딩(30)이 보강재(20)의 커버(713)에 의하여 걸리게 되므로, 인서트 몰딩(30)은 보강재(2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서트 몰딩(30)과 보강재(20)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현가암 전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의 보강재(8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강재(80)는 상부(81) 및 상부(81)로부터 연장된 측부(82, 8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80)의 상부(81)에는 제1 볼 조인트 홀(8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재(80)는, 보강재(80)의 레그부(8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 몰딩(30) 내 매립되는 결합판(8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84)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판(84)은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레그부(8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절된 형태로 보강재(80)의 상부(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판(84)은, 보강재(70)의 상부(81)와 접하는 제1 결합판(841)과, 제1 결합판(841)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된 제2 결합판(8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판(842)은 상부(81)에 대해서도 수직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의 사출시, 제1 결합판(841) 전체는 인서트 몰딩(30) 내 매립될 수 있고, 제2 결합판(842)은 적어도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제2 결합판(842)에는 적어도 일부의 인서트 몰딩(30)이 관통 연장되기 위한 구멍(8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30)의 사출시, 인서트 몰딩(32)이 제2 결합판(842)을 감싸면서, 제 2결합판(841)의 구멍(841a)를 관통하게 되므로, 인서트 몰딩(30)과 제2 결합판(841)은 서로 결속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몰딩(30)과 보강재(80)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현가암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암(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S1200)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현가암을 제작하는 단계(S1240)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12의 금형(1000)에 현가암 바디를 삽입하는 단계(S1260)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인서트 몰딩 사출 단계(S1260)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현가암 본체(10')는, 인서트 몰딩(30)이 사출되기 전의 현가암(1)을 나타낸다. 따라서, 현가암 본체(10')는 인서트 몰딩(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현가암 본체(10')는 현가암 바디(10), 보강재(30), 부시 파이프(50), 부시(51), 볼 조인트(40), 및 연결 스터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현가암(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S1200)을 설명한다.
현가암 제조 방법(S1200)은, 현가암 바디(10)를 제작하는 단계(S1210), 보강재(20)를 제작하는 단계(S1220), 현가암 바디(10) 내 보강재(20)를 고정하는 단계(S1230), 현가암 바디(10)에 부시(51)를 부착하고 볼 조인트(40)를 압입하고 연결 스터드(60)를 설치하여 현가암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S1240), 현가암 본체(10')를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S1250), 및 보강재(20) 상에 인서트 몰딩(30)을 사출하는 단계(S126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조인트부(10a) 및 레그부(10b)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고, 부시 파이프(50)는 레그부(10b)의 선단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강재(20) 또한 프레스를 이용하여 조인트부(20a) 및 레그부(20b)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본체(10')를 제작하는 단계(S1240)는 부시(51)를 현가암 바디(10)에 고정하는 단계(S1241), 현가암 바디(10) 및 보강재(20)에 볼 조인트(40)를 압입하는 단계(S1242), 및 현가암 바디(10)에 연결 스터드(60)를 설치하는 단계(S1243)을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의 선단에 부시 파이프(50)가 용접으로 결합된 후, 부시(51)는 부시 파이프(50)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S1241). 볼 조인트(40)는 현가암 바디(10)의 제2 볼 조인트 홀(111) 및 보강재(20)의 제1 볼 조인트 홀(211)을 순서대로 관통하면서 압입될 수 있다(S1242). 연결 스터드(60)는 현가암 바디(10)의 외측부(60)에 형성된 연결 스터드 구멍(131)에 삽입될 수 있다(S1243).
도 14를 참고하면, 금형(1000)은 하부 금형(1100) 및 상부 금형(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금형(1100) 및 상부 금형(1200) 사이에 현가암 본체(10')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금형(1100) 및 상부 금형(1200)은 볼트(1300)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금형(1100) 및 상부 금형(1200)은 각각 볼트(1300)를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1110, 1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형(1220)에는 캐비티(1220)까지 관통 연장된 주입 구멍(123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금형(1100) 및 상부 금형(1200)에는 현가암 바디(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파인 캐비티(1120, 1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형(1100)의 캐비티(1120)의 바닥은 현가암 바디(10)의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고, 상부 금형(1200)의 캐비티(1220)의 바닥은, 도 3에 도시된 인서트 몰딩(30)의 보강 리브(3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하부 금형(1100)에는, 하부 금형(1100)의 캐비티(112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로드(113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로드(1130)의 일 단부에는 도2에 도시된 버튼(35)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 보강재(20) 및 인서트 몰딩(30)을 결합하기 위해, 현가암 바디(10)와 보강재(20)가 결합된 후에 현가암 바디(10)의 상부(11)가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하부 금형(1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현가암 바디(10)의 구멍(112)으로 하부 금형(1100)의 지지 로드(1130)가 관통되게 되며, 지지 로드(1130)는 보강재(20)의 상부(21)를 지지하게 된다.
보강재(20)의 상부(21)에 형성된 구멍(212)은 현가암 바디(10)의 구멍(112)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로드(1130)는 보강재(20)의 상부(21)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지지 로드(1130)의 일 단은 보강재(20)의 구멍(212)을 폐쇄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사출하는 단계(S1260)는, 현가암 바디(10)의 단부를 감싸는 단계(S1261), 보강재(20)에 형성된 구멍에 충진되어 버튼(35)을 형성하는 단계(S1262), 볼 조인트 주변(60)을 감싸는 단계(S1263), 및 연결 스터드(60)의 주변을 감싸는 단계(S1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현가암 바디(10)가 금형(100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 몰딩(30)이 주입 구멍(1230)을 통해 보강재(20) 상에 사출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사출하는 단계(S1260)의 구체적인 과정(S1261, S1262, S1263, S1264)의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 현가암 바디
20 : 보강재
30 : 인서트 몰딩
40 : 볼 조인트
50 : 부시 파이프
60 : 연결 스터드
S1200 : 현가암 제조 방법

Claims (29)

  1.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여 하향으로 개방된 금속 재질의 현가암 바디와,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와 함께 상기 현가암 바디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각 측벽이 상기 현가암 바디의 각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현가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의 상하 방향 위치가 상기 현가암 바디의 측벽의 끝단의 상하 방향 위치에 근접하도록 보강재가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이 상기 현가암 바디의 하향 개방을 폐쇄시켜 박스형 폐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인서트 몰딩이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과 현가암 바디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몰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과하여 버튼을 형성하고,
    상기 현가암 바디의 측벽은 상기 현가암 바디의 폭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인서트 몰딩 내부에 매립되는,
    현가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암 바디의 상부벽에는 상기 보강재의 구멍을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는, 현가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조인트부에는 제1 볼 조인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현가암 바디의 조인트부에는 상기 제1 볼 조인트 홀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볼 조인트 홀이 형성되는, 현가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조인트 홀 및 제2 볼 조인트 홀을 관통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몰딩은, 상기 볼 조인트 주변을 감싸는 볼 조인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결합부는 상기 볼 조인트 주변으로 확장되어 상기 볼 조인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현가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그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시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현가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레그부의 선단에는, 상기 부시 파이프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인입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현가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암 바디의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스터드를 포함하는, 현가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터드는 차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감지 센서와 연결되는, 현가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은, 상기 연결 스터드의 주변을 감싸고 상기 연결 스터드와 결합되는 연결 스터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터드는,
    레그부와 결속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와 결합된 스터드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암 바디의 측벽에는, 상기 결속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연결 스터드 구멍이 형성되는, 현가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결속부, 제2 결속부, 및 제3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속부는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제1 결속부보다 단면 넓이가 작고,
    상기 제3 결속부는 상기 제2 결속부보다 단면 넓이가 큰, 현가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속부는, 상기 제3 결속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결속부를 향하여 기울어진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현가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터드 결합부는 상기 연결 스터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퍼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현가암.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60181210A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792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10A KR10179210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15109 WO2018124604A1 (ko) 2016-12-28 2017-12-20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10A KR10179210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107B1 true KR101792107B1 (ko) 2017-11-20

Family

ID=6080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10A Active KR10179210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2107B1 (ko)
WO (1) WO201812460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489A (ko) * 2018-05-25 2019-12-04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20004947A1 (ko) * 2018-06-26 2020-01-02 주식회사 일진 부시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현가 암, 및 현가 암의 제조 방법
WO2020004945A1 (ko) * 2018-06-26 2020-01-02 주식회사 일진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WO2021054791A1 (ko) * 2019-09-18 2021-03-25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3016B1 (ko) * 2023-07-19 2024-01-10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2741A (zh) * 2019-01-16 2019-03-19 安庆安簧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适用于空气悬架导向臂的成型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6529A (ja) * 2006-06-09 2007-12-20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スタビライザ装置
KR101393849B1 (ko) *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04Y2 (ja) * 1988-05-10 1995-06-2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用ロアーアーム
DE102007015616B4 (de) * 2007-03-29 2021-10-21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stück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im Fahrwerk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Bauelementen
KR20110063166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6529A (ja) * 2006-06-09 2007-12-20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スタビライザ装置
KR101393849B1 (ko) *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489A (ko) * 2018-05-25 2019-12-04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625468B1 (ko) * 2018-05-25 2024-01-17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20004947A1 (ko) * 2018-06-26 2020-01-02 주식회사 일진 부시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현가 암, 및 현가 암의 제조 방법
WO2020004945A1 (ko) * 2018-06-26 2020-01-02 주식회사 일진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20200001065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일진 부시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현가 암, 및 현가 암의 제조 방법
KR20200001063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일진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102084258B1 (ko) * 2018-06-26 2020-03-04 주식회사 일진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102100200B1 (ko) * 2018-06-26 2020-05-19 주식회사 일진 부시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현가 암, 및 현가 암의 제조 방법
US11491837B2 (en) 2018-06-26 2022-11-08 Iljin Co., Ltd.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WO2021054791A1 (ko) * 2019-09-18 2021-03-25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3016B1 (ko) * 2023-07-19 2024-01-10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WO2025018469A1 (ko) * 2023-07-19 2025-01-23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604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10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US10953577B2 (en) Vehicular hybrid suspension a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87058B2 (en)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particularly for a vehicle suspens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771847B2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CN103707735B (zh) 用于车辆悬架的稳定器
US7651110B2 (en) Bicycle having multiple tube frame structure
JP5705330B2 (ja) ボディモジュー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80606B (zh) 自行車曲柄臂總成
KR10185717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96476A1 (en)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00307708A1 (en) Vehicle Structura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Structural Component
KR102069419B1 (ko)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KR100834249B1 (ko) 강도가 보강된 경량화 로어암
KR102625468B1 (ko)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549917B1 (ko) 차량의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CN107000793B (zh) 没有焊接或螺钉拧紧插入件的、增强元件的通过聚合物材料的坚固组件
CN112469622B (zh) 包括金属插入件和支柱部件的交通工具部件
JP3217906B2 (ja) 樹脂製連結ロ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93016B1 (ko) 연결 부품에 섬유-강화 플라스틱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품 상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부품의 조립체
KR102252368B1 (ko) 인서트 사출형 어시스트 암 및 그 제조방법
KR102623025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CN112406755B (zh) 一种保险杠横梁及其制备方法
JP6254131B2 (ja) エネルギー吸収体
KR101759087B1 (ko) 차량용 경량 부품
JP7645707B2 (ja) 構造体、および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