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90557B1 -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557B1
KR101790557B1 KR1020160020925A KR20160020925A KR101790557B1 KR 101790557 B1 KR101790557 B1 KR 101790557B1 KR 1020160020925 A KR1020160020925 A KR 1020160020925A KR 20160020925 A KR20160020925 A KR 20160020925A KR 101790557 B1 KR101790557 B1 KR 10179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ck plate
variable
belt
variable b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9052A (en
Inventor
김관명
이해빈
임지현
문나래
서영종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2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557B1/en
Publication of KR2017009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55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의 자세변환이 용이한 다기능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배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아기띠 본체 및 상기 아기띠 본체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가변등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aby band which can be easily changed in the posture of a baby.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includes a shoulder strap fixed to a shoulder of a user, a baby band body fixed to the body of the user, And a variable back plate coupled to the body of the strip, the bottom of which is coupled to allow the upper portion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escription

다기능 아기띠{MULTI-FUNCTIONAL BABY CARRIER}Multifunctional baby band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본 발명은 아기의 자세변환이 용이한 다기능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aby band which can be easily changed in posture of a baby.

국내를 기준으로 최근의 출산율 저하에 따라서 육아용품의 절대적인 수요 자체는 증가한다고 볼 수 없으나, 역설적으로 출산 자녀수의 감소로 인하여 다기능, 고가의 육아용품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Demand for childcare products is not increasing as a result of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in Korea, but paradoxically, the demand for multifunctional and expensive childcare products is increas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hildbirths.

본 발명의 다기능 아기띠의 경우 다기능화 및 고급화 추세에 있는 육아용품 시장의 성장 방향에 부합할 수 있으며,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아기의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시장 전망이 밝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et the growth direction of the multi-functional and high-end market of the child care goods and is a technology that can help the baby's emo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parents. It is a bright technology.

최근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아기가 수직으로 앉을 수 있고, 일어선 상태에서 아기를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멜 수 있는 다기능 아기포대기가 제안된 바 있다.Recently, a multifunctional baby swaddling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user can sit vertically while the user is lying on his or her back, and can hold the bab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그러나 종래의 다기능 아기포대기의 경우, 어부바 자세(일어선 상태에서 아기를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할 수 있는 상태)에서 말타기 자세(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아기가 수직으로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 시 아기를 내렸다가 다시 태워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functional baby swaddling bag, when switching from a horse-riding posture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sit vertically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in the posture of the driver's bod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baby should be taken down and then burned agai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590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5904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어부바 자세에서 말타기 자세로 전환 시 아기를 내릴 필요 없이 자세 전환이 가능한 다기능 아기띠를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aby band that can change the posture without lowering the baby when switching from the posture to the horseback.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배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아기띠 본체 및 상기 아기띠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가변등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carriage having a baby's body and a baby's body, the baby's body having a shoulder strap fixed to a user's shoulder and an attachment part fix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a variable back plat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lower back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back plate and being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어부바 자세(보육)와 말타기 자세(놀이)가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한 발명으로 아기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ssistance for baby's emotional development by being designed to enable both a baby's posture (childcare) and a horse-riding posture (play).

또한, 본 발명은 어부바 자세에서 말타기 자세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혼자서 어부바 자세 또는 말타기 자세로 전환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witched from the fish-body posture to the horse-riding posture, the user can switch to the fish-body posture or the horse-riding posture al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변등판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ack plate of Fig. 1 is rotated.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 may be modified by following and / or by toleranc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아기띠를 접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를 펼쳤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folding of a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어깨끈(120)과 배밀착부(11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메어지는 아기띠 본체(100)와 아기가 안착되는 가변등판(300)을 포함한다.1 and 2, a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by band body 100 held by a user by a shoulder strap 120 and an attaching portion 110, And a variable back plate 300.

상기 아기띠 본체(100)는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어 밀착하게 되는 배밀착부(110)와, 배밀착부(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어깨끈(120)과, 어깨끈(120)을 연결하는 가슴밀착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by's body 100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110 fix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closely attached thereto, a shoulder strap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portion 110 and a shoulder strap 120 And a bust-tightening part (130).

상기 배밀착부(110)는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하게 되는 부위로, 그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어깨끈(12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ttaching portion 110 is a portion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waist of a user, and a shoulder strap 120 may be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아울러, 상기 배밀착부(110)의 중앙부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허리벨트부(1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부(111)는 중앙에 상호 탈착 가능한 허리벨트 암버클부(112)와 허리벨트 수버클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The waist belt portion 111 may include a waist belt arm buckle portion 112 which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center of the waist belt portion 111, A waist belt buckle portion 113 may be provided.

상기 가슴밀착부(130)는 어깨끈(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밀착되게 되는 것으로, 좌우 양측 어깨끈(120)의 중앙에서 상호 탈착할 수 있는 가슴벨트 암버클부(132)와 가슴벨트 수버클부(133)로 구성될 수 있는 상기 가슴벨트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The chest tight fitting part 1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houlder strap 120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chest and includes a chest belt arm buckle part 132 which can be detached from the center of both right and left shoulder straps 120 And a chest belt buckle portion 133. The chest belt portion 131 may be formed of a chest belt portion 131,

상기 가변등판(300)은 아기띠 본체(100)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variable back plate 300 may be coupled to the baby's body 100,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the lower end is coupled.

여기서, 상기 가변등판(300)은 아기띠 본체(100)에 결합되는 등지지부(310) 및 등지지부(310)에 결합되는 보호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back plate 300 may include a protector 330 coupled to the back support 310 and the back support 310 coupled to the baby's body 100.

상기 등지지부(310)는 아기의 엉덩이 및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아기의 엉덩이 및 등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등지지부(310)는 ‘L’자 또는 ‘J’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지지부(310)는 리지드 재질로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다. The back support unit 310 supports the buttocks and the back of the baby, and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so that the buttocks and the back of the baby can be seated. For example, the back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an 'L' shape or a 'J' shape. In addition, the back support 310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baby and the like.

또한 상기 보호구(330)는 등지지부(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등지지부(310)와 보호구(330)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아기가 수용 공간에 안착시 아기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구(330)는 기저귀 형태로 앞면이 아기의 배를 감싸고, 측면이 아이의 겨드랑이까지 감싸 아기가 가변등판(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protector 330 is coupled to the backrest 310 so that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ckrest 310 and the protector 330 so that the baby is wrapped around the baby when the baby is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Here, the protector 330 may be fixed in a diaper form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baby wraps around the baby's stomach and the side is wrapped up to the side of the child so that the baby is not separated from the variable back plate 300.

아울러, 상기 등지지부(310)의 상부에는 아기의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아기가 후방으로 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받침 보호대(32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neck support protector 3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support 310 to prevent the baby from being bent backward by supporting the head of the baby.

한편, 상기 가변등판(300)은 등지지부(310)의 하단에 경첩(340)이 형성되어 아기띠 본체(10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첩(340)은 상기 아기띠 본체(100)의 배밀착부(110) 하부와 등지지부(310) 하부의 연결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강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inge 34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310 so as to be hinged to the baby body 100. At this time, the hinge 340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olding portion 110 of the baby's body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ing portion 310, and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또한, 상기 경첩(340)의 일측에는 지지대(350)가 구비되어 가변등판(30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등판(300)은 등지지부(310)의 하단에 형성된 경첩(340)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으며, 지지대(350)에 의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support base 3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inge 340 to prevent the variable back plate 300 from being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the hinge 3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unit 31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따라, 상기 가변등판(300)은 아기띠 본체(100) 하단부와 결합되어 아기의 좌우의 쏠림은 방지하면서 가변등판(300)의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변등판(300)은 아기가 무게중심을 잃는 경우는 앞으로 한정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기저귀 형태로 겨드랑이까지 감싸 아기가 등판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받침 보호대(320)로 아기가 뒤로 목이 꺾이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baby body 10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preventing the baby from leaning to the left and right. When the baby loses weight,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moved forward only. In addition,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wrapped around the underarm in the form of a diaper so that the baby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back plate. Also, the neckrest protector 320 can prevent the baby from being thrown backwar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등지지부(3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판스프링(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af spring 36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part 310. [

상기 판스프링(360)은 등지지부(3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변등판(300)의 회전에 따라 아기띠 본체(100)의 배밀착부(110) 후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가변등판(30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아이가 상하로 움직이거나 급격한 쏠림에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The leaf spring 36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310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evacuation unit 110 of the baby body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back plate 300, 3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at a certain angle or more, and the child can move up and down or act as a buffer against sudden deviations.

한편, 상기 아기띠 본체(100)의 하부에는 발안착판(3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안착판(370)은 아기띠 본체(100)의 하부에 발판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아기가 발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372)과 아기의 발등을 감싸는 발벨트(371)로 구성되어 아기의 발이 많이 움직이더라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oot seating plate 3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by's body 100. [ The foot placement plate 37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by's body 100 through a foot plate and includes a seat plate 372 on which the baby can put his foot and a foot belt 371 surrounding the foot of the baby,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even if the baby's foot moves a lo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벨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justment belt 210 connected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상기 조절벨트(210)는 일단이 아기띠 본체(100)의 좌우 양측 어깨끈(120)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등지지부(310)에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벨트(2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조절벨트(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변등판(3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절벨트(210)를 조여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의 조절벨트(210)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가변등판(300)이 아기띠 본체(100)에 밀착하게 되고, 조절벨트(210)를 풀어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의 조절벨트(21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조절벨트(210)의 길이에 따라 가변등판(300)이 회전하여 아기띠 본체(100)와 멀어지게 된다. One end of the adjustment belt 210 may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120 of the baby body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back support 310.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210 can be adjust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210.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210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shortened by tightening the adjustment belt 210,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by body 100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210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may be increased by loosening the adjustment belt 210. The variable back plate 30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210,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baby body main body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상기 아기띠 본체(100)와 상기 가변등판(300)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띠(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afety belt 220 formed o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ing plate 300 and detachable from each other.

상기 안전띠(220)는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이중 체결구조로서 좌우 양측 어깨끈(12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안전띠 가변벨트부(221)와, 안전띠 가변벨트부(221)의 단부에 형성된 안전띠 가변벨트 암버클부(222) 및 등지지부(3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안전띠 가변벨트 암버클부(22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띠 가변벨트 수버클부(2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safety belt 220 is a double fastening structu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and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riable belt backing 300. The safety belt 2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120, The seat belt 2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belts 222 and the seat belts 310 formed at the ends of the seat belt variable belt section 221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eat belts And a safety belt variable belt number buckle portion 223.

따라서, 상기 안전띠(220)는 아기띠 본체(100)에 형성된 안전띠 가변벨트부(221) 및 그 단부에 형성된 안전띠 가변벨트 암버클부(222)가 가변등판(300)에 형성된 안전띠 가변벨트 수버클부(223)와 체결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안전끈(230)은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을 연결하여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이 밀착되게 고정함으로써, 가변등판(3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가변등판(300)에 안착된 아이의 뒤로 쏠림을 방지하고 아이의 자세를 고정해 줄 수 있고, 아이의 낙하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safety belt 220 is formed in a manner that the safety belt variable belt portion 221 formed on the baby body 100 and the safety belt variable belt arm buckle portion 222 formed at the end portion thereof are formed in the variable belt backing 30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safety strap 230 connects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to fix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ild who is seated on the variable back plate 300 from leaning back, fix the child's posture, and prevent sudden movement of the child.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상기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끈(230)과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afety strap 230 and at least one wire 240 connected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rest 300 .

상기 안전끈(230)은 어깨끈(120)과 보호구(330) 사이와 배밀착부(110)와 보호구(330)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좌우 양측의 어깨끈(120)과 보호구(330) 사이에 두 개의 안전끈(230)이 연결되고, 배밀착부(110) 후면의 좌우 양측과 보호구(330) 사이에 두 개의 안전끈(23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끈(230)은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아이가 뒤나 앞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의 자세를 고정해 줄 수 있다. The safety strap 230 may b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shoulder strap 120 and the protector 330 and between the tight fitting unit 110 and the protector 330. Two safety straps 230 are connected between the shoulder straps 120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protector 330 and two safety straps 230 are provid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eployer 110 and the protector 330 230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safety strap 230 is formed to connect the baby's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thereby preventing the child from being excessively bent back and forth and fixing the child's posture.

상기 와이어(240)는 일단이 보호구(3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어깨끈(120)을 통해 어깨끈(120)의 앞면에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길이를 조절하여 가변등판(3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24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protector 330 and the other end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oulder strap 120 through the shoulder strap 120.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wire 240 can be adjust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ngth.

예컨대, 상기 와이어(240)를 당겨 와이어(240)의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의 와이어(240)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가변등판(300)이 아기띠 본체(100)에 밀착하게 되고, 와이어(240)를 풀어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의 와이어(240)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아기띠 본체(100)와 가변등판(300) 사이의 와이어(240)의 길이에 따라 가변등판(300)이 회전하여 아기띠 본체(100)와 멀어지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wire 240 is pulle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wire 240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of the wire 240, The length of the wire 240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increased by loosening the wire 240. The wire between the baby body 100 an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aby carriage body 240 to be separated from the baby body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아기띠는 등지지부(3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레버(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ver 38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310.

상기 레버(380)는 상기 등지지부(310)의 하단에 등지지부(310)와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등지지부(3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380)의 회전에 따라 가변등판(300)도 함께 회전될 수 있으므로, 가변등판(300)의 회전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레버(380)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 가변등판(300)이 아기띠 본체(100)에 밀착하게 되고, 레버(380)를 위로 올리는 경우, 가변등판(300)이 회전하여 아기띠 본체(100)와 멀어지게 된다.The lever 38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cking part 310 at the lower end of the backing part 310 and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acking part 310. That is, since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380,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back plate 300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lever 380 is lowered,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by body 100. When the lever 380 is lifted up, the variable back plate 300 is rotated to rotate the baby body 100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아기띠는, 어부바 자세(보육)와 말타기 자세(놀이)가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한 발명으로 아기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with the help of the baby's emotional development by the invention designed to enable both the baby's posture (childcare) and the horse-riding posture (play).

또한, 아기가 가변등판(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어부바 자세에서 말타기 자세로 전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혼자서 어부바 자세 또는 말타기 자세로 전환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baby can be switched from the assistant posture to the horse-riding posture in a state where the baby is seated on the variable back plate 300, the user can switch to the posture of the driver's body or the posture of horseback riding alon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is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that the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 and the equivalents of the disclosure and / or the scope of the art or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contemplated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ther modes of operation known in the art for utilizing other inventions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embodiments disclosed.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00 : 아기띠 본체 230 : 안전끈
110 : 배밀착부 240 : 와이어
111 : 허리벨트부 300 : 가변등판
112 : 허리벨트 암버클부 310 : 등지지부
113 : 허리벨트 수버클부 320 : 목받침 보호대
120 : 어깨끈 330 : 보호구
130 : 가슴밀착부 340 : 경첩
131 : 가슴벨트부 350 : 지지대
132 : 가슴벨트 암버클부 360 : 스프링
133 : 가슴벨트 수버클부 370 : 발안착판
210 : 조절벨트 371 : 발벨트
220 : 안전띠 372 : 안착판
221 : 안전띠 가변벨트부 380 : 레버
222 : 안전띠 가변벨트 암버클부 223 : 안전띠 가변벨트 수버클부
100: baby band body 230: safety strap
110: abutting portion 240: wire
111: waist belt part 300: variable back plate
112: waist belt arm buckle part 310:
113: waist belt buckle portion 320: neck support protector
120: Shoulder strap 330: Protector
130: bust portion 340: hinge
131: chest belt part 350: support
132: chest belt arm buckle part 360: spring
133: Number of chest belts Buckle part 370: Foot seating plate
210: Adjustable belt 371: Foot belt
220: seat belt 372: seat plate
221: safety belt variable belt portion 380: lever
222: a safety belt variable belt arm buckle portion 223: a safety belt variable belt buckle portion

Claims (10)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끈과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배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아기띠 본체; 및
상기 아기띠 본체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가변등판을 포함하되,
상기 아기띠 본체와 상기 가변등판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벨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기능 아기띠.
A baby band body having a shoulder strap fixed to the shoulder of the user and a fold attachment portion fixed to the waist of the user and being fixed to the body of the user; And
And a variable back plate coupled to the baby body and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back,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djustment belt connected between the baby band body and the variable back plate,
Wherein the adjusting belt is adjustable in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등판은,
상기 아기띠 본체에 결합되는 등지지부; 및
상기 등지지부에 결합되는 보호구를 포함하되,
상기 등지지부와 상기 보호구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다기능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back plate,
A back support coupled to the baby's body; And
And a protector coupled to the back support,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protector.
삭제delete 제1항 있어서,
상기 아기띠 본체와, 상기 가변등판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띠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afety belt formed on the baby band body and the variable back plate and detachable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 본체와 상기 가변등판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끈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safety strap connected between the baby band body and the variable back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 본체와 상기 가변등판 사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기능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ire connected between the baby band body and the variable back plate,
Wherein the wire is adjustable in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안착판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foot seating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by body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등판은,
상기 등지지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riable back plate,
And a leaf spring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등판은,
상기 등지지부의 하단에 경첩이 형성되어 상기 아기띠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다기능 아기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riable back plate,
And a hing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part and is hinged to the baby's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등판은,
상기 등지지부의 하단에 상기 등지지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아기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riable back plate,
And a support bas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ck support unit at a lower end of the back support unit.


KR1020160020925A 2016-02-23 2016-02-23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Active KR10179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25A KR101790557B1 (en) 2016-02-23 2016-02-23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25A KR101790557B1 (en) 2016-02-23 2016-02-23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52A KR20170099052A (en) 2017-08-31
KR101790557B1 true KR101790557B1 (en) 2017-10-27

Family

ID=5976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925A Active KR101790557B1 (en) 2016-02-23 2016-02-23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1550B2 (en) 2016-10-18 2020-08-19 Eneos株式会社 Lubrication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040984B1 (en) * 2019-10-16 2019-11-05 넥스닷 주식회사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52A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82664B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S9357852B2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EP1767124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9241582B2 (en) Baby and toddler carrier
CN1903605B (en) Cushion for baby safety seat
EP3073870B1 (en) Hip seat carrier set
JP2001137082A (en)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KR102679137B1 (en) infant carrier
US8484782B2 (en) Infant bonding lap seat
KR200481152Y1 (en) Baby carrier
JP2010505508A (en) Child transporter
CN103889279B (en) Baby carriers
KR101790557B1 (en) Multi-functional baby carrier
KR20120032800A (en) Baby carrier
KR101716580B1 (en) Baby carrier
JP4441231B2 (en) Lullaby
KR101196108B1 (en) Carrior for baby
JP3127392U (en) Baby carrier
JP2008023061A (en) Sitting position retainer
JP2005118475A (en) Lullaby
JP2005118471A (en) Lullaby
JP4463523B2 (en) Band-shaped article connection structure, baby litter using the same, and fixed buckle
KR20170051038A (en) Baby carrier
WO2022054142A1 (en) Babycare auxiliary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