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96970B1 -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70B1
KR101796970B1 KR1020170070912A KR20170070912A KR101796970B1 KR 101796970 B1 KR101796970 B1 KR 101796970B1 KR 1020170070912 A KR1020170070912 A KR 1020170070912A KR 20170070912 A KR20170070912 A KR 20170070912A KR 101796970 B1 KR101796970 B1 KR 10179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oler
filter
air
after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7007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기재된 내용은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써, 상면 한쪽에 입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출구가 구비되며 개방된 전후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입구에 연결되는 프리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에프터쿨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출구와 연결되는 에어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에어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라인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라인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기재된 내용에 의할 경우,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열교환장치와 에프터쿨러 및 프리필터와 라인필터와 에어필터 등의 부품이 하나의 캐비넷에 설치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시켜 제작의 편의성과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Cabinet type air dryer}
기재된 내용은 에어드라이어의 구성 부품이 하나의 케비넷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이하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후술 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내용이 종래 기술로 단정될 필요는 없다.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은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제습하여 전기, 전자, 의료, 제약, 식품, 화학, 반도체 공정 등에서 청정 압축 공기를 요구하는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청정 공기 공급 시스템이다.
이러한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셔와, 그러한 컴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드라이어 등이 포함된다.
한편, 컴프레셔는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한 후 산업 현장으로 그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써,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면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에는 이물질을 포함한 오일 및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과 각종 공압기기의 수명이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나 품질 등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프레셔의 공기 온도를 낮추어 응축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여 공기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에어드라이어나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드라이어는 흡착식과 냉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식인 경우, 압축된 공기가 에프터쿨러(10)를 거쳐 냉각된 후 프리필터(21)를 거쳐 먼지 등이 제거된 다음 열교환장치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고, 이후 라인필터(22)와 에어필터(23)를 거쳐 이물질 및 수분이 추가적으로 제거되어 청정공기로 만들어진 후 필요한 시스템에 제공된다.
한편, 열교환장치는 기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0)와, 부하조절을 위한 핫가스바이패스밸브(60)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드라이어(70)와, 응축기(40)에서 나온 액냉매를 단열팽창시키는 모세관(80)과,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압축공기와의 열교환에 따른 압축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30) 및 고온 다습한 압축공기의 냉각을 통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장치(9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드라이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열교환장치(30)와 에프터쿨러(10) 및 프리필터(21)와 라인필터(22)와 에어필터(23)가 각각의 설치 공간을 차지하면서 개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설치에 따른 공간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각 부품의 개별적인 설치에 따라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각 부품의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4358호(2001.09.26. 공고)
따라서 기재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열교환장치와 에프터쿨러 및 프리필터와 라인필터와 에어필터 등의 부품을 하나의 캐비넷에 설치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시켜 제작의 편의성과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기재된 내용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재된 내용은, 상면 한쪽에 입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출구가 구비되며, 개방된 전후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입구에 연결되는 프리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에프터쿨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출구와 연결되는 에어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에어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라인필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라인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 한쪽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응축기와, 부하조절을 위한 핫가스바이패스밸브와,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드라이어와, 상기 응축기에서 나온 액냉매를 단열팽창시키는 모세관과,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에어를 제습시키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켜주는 드레인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에프터쿨러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후방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프리쿨러와 증발기로 구성되며, 상기 프리쿨러는 제1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동관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격판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쿨러의 일측에는 상기 에프터쿨러와 연결되어 상기 에프터쿨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타측에는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라인필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라인필터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는 제2하우징의 내부로 다수의 방열판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그재그형태의 냉매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 사이 사이에는 다수의 격판이 세워진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설치되면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제1하우징과 상기 증발기의 제2하우징의 마주하는 양측은 제1,2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쿨러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한쪽 저면은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면과 제1지지브래킷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한쪽 저면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상면과 제2지지브래킷을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브래킷은 상단이 만곡지게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의 한쪽 저면에 정합되어 용접 설치되는 용접부 및 상단은 상기 용접부의 하단과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면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지지브래킷은 상단이 만곡지게 구성되어 상기 프리쿨러의 한쪽 저면에 정합되어 용접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상면과 나사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에프터쿨러와 상기 유입구는 중앙이 이분되는 연결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이분된 중앙은 기밀이 유지되는 플랙시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저면 사방에는 구름방지수단을 가지는 구름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재된 내용에 따른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열교환장치 및 에프터쿨러와 각종 필터가 함체 형상의 캐비넷에 수용되어 제작됨에 따라 에어드라이어의 제작성이 향상되고, 에어들라이어의 설치시 작은 공간에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어드라이어의 각 부품의 점검 및 교체의 편리함을 통해 에어드라이어의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에어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의 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의 내부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넷형 에어어드라이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의 내부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장치에서 열교환기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기재된 내용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예시된 도 2 와 도 3 을 통해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개방된 전,후면이 덮개(130)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태의 본체(100)와, 그러한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에어의 이물질과 수분 등을 제거해주는 프리필터(200), 에어필터(500), 라인필터(400)와, 에어를 열교환에 필요한 온도로 냉각시켜주는 에프터쿨러(300)와, 에어를 열교환시켜 제습시켜주는 열교환장치(6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는,
도 2 에서와 같이 내부에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본체(100)는 양 측면과 상면과 저면 및 전면과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의 부품을 점검하거나 교체 등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전면 또는 후면의 덮개(13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모두를 개방시켜 작업을 할 수 있다.
덮개(130)는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일측과 덮개(130)의 마주하는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타측이 회전되면서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양 측면에 내부 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양 측면이나 덮개(130)에는 공기순환 등을 목적으로 하는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저면은 일 예로 설치 대상부위에 설치될 때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른 부위와 다르게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거나, 무게 추와 같은 중량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저면이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그 외부표면에 방수액이 도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저면은 또 다른 예로 설치 대상부위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저면은 또 다른 예로 사방에 바퀴나 로울러와 같은 구름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름수단은 구름이 방지될 수 있도록 레칫과 같은 구름방지수단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상면 한쪽에는 컴프레셔 등과 연결되어 제습이 필요한 압축 에어가 본체(10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110)가 형성되며, 본체(100)의 상면 다른 한쪽에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에어가 제습된 후 외부로 배출되어 필요한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도록 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터(200)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형물질 및 유분과 수분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프리필터(200)의 한쪽은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입구(11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에프터쿨러(300)와 연결되어 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가 정화된 상태에서 에프터쿨러(300)로 이동된다.
프리필터(200)는 바람직하게 본체(100)의 내부에서 우측면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에프터쿨러(300)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전술한 본체(100)의 입구(11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어 프리필터(200)를 거쳐 정화된 에어가 이후 열교환장치(600)에 적정한 온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그 온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프리필터(200)를 거친 후 에프터쿨러(300)를 통해 열교환장치(600)로 이동될 수도 있지만,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가 에프터쿨러(300)에 먼저 유입되어 온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프리필터(200)를 거쳐 열교환장치(600)로 이동될 수도 있다.
에프터쿨러(300)는 바람직하게 사각의 함체 내부에 팬과 방열핀 및 복수의 에어 파이프 등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프리필터(200)를 거쳐 에프터쿨러(300)의 한쪽으로 유입된 에어는 파이프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방열핀과 팬에 의해 소정 온도로 냉각된 상태에서 에프터쿨러(300)의 다른 한쪽과 연결된 열교환장치(600)로 이동하게 된다.
에프터쿨러(300)는 바람직하게 본체(100)의 내부에서 중앙부위 후면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에어필터(500)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장치(600)를 거쳐 제습된 에어로부터 이물질과 유분 및 수분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에어필터(500)의 한쪽은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출구(12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후술될 라인필터(400)와 연결됨에 따라 라인필터(400)와 에어필터(500)를 거쳐 이물질과 유분 및 수분이 제거된 제습된 에어만이 본체(100) 상면의 출구(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에어필터(500)는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한 덮개(130)를 분리한 후 점검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서 중앙 상측으로부터 본체(100)의 전면에 근접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라인필터(400)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교환장치(600)를 거쳐 제습된 에어의 이물질과 유분 및 수분을 제거해준다.
라인필터(400)를 통해 이물질과 유분 및 수분이 1차 제거된 에어는 전술한 에어필터(500)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유분 및 수분이 2차 제거된 상태에서 출구(120)를 통해 배출된다.
라인필터(400)는 전면에 위치한 덮개(130)를 분리한 후 점검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전술한 에어필터(500)와 이웃하면서 본체의 내부에서 중앙 상측으로부터 본체(100)의 전면에 근접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열교환장치(600)는,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함으로써, 에프터쿨러(300)를 거쳐 적정 온도로 냉각된 고온 다습한 에어를 제습시켜준다.
도 3 과 같이 열교환장치(6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610)와, 압축기(610)에서 보내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 액화시키는 응축기(620)와 부하조절을 위한 핫가스바이패스밸브(630)와,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드라이어(640)와, 응축기(620)에서 배출되는 액화된 냉매를 단열팽창시키는 모세관(650)과, 단열팽창되면서 액화된 냉매의 증발시킴으로써 증발잠열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에어와의 열교환을 통해 에어를 제습시켜주는 열교환기(660)와, 열교환기(6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켜주는 드레인장치(670)가 포함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600)의 구성요소는 본체(100)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압축기(610)는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에서 좌측면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응축기 또한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체(100) 내부에서 중앙부위 후면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응축기(620)의 상면으로는 전술한 에프터쿨러(300)가 올려져 결합될 수 있다.
응축기(620)의 함체는 전술한 에프터쿨러(300)의 함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620)의 함체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 크기는 응축기(620)의 함체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보다 크게 구성될 수도 있고, 응축기(620)와 에프터쿨러(300)의 결합력에 문제가 발생 되지 않는 범위에서 응축기(620)의 함체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보다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응축기 위에 에프터쿨러(300)가 설치된 상태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에 에프터쿨러(300)가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그러한 에프터쿨러(300)의 상면에 응축기(620)가 설치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응축기(620)의 함체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는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거나, 용접을 통해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응축기(620)의 함체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응축기(620)의 함체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우레탄, 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응축기(620)의 함체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는 필요에 따라 간격유지구를 통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응축기(620)와 에프터쿨러(300)의 후면과 대응하게 되는 본체(100)의 후면쪽 덮개(130)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열교환기(660)는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서 후면에 근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하로 이격된 프리쿨러(661)와 증발기(662)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쿨러(661)는 원통형 제1하우징(661a)의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동관(661b)이 설치되고, 그러한 동관(661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격판(661c)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그러한 격판(661c)을 통해 제1하우징(661a)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웨이브형태의 유로가 만들어지게 된다.
프리쿨러(661)의 일측에는 에프터쿨러(300)와 연결되면서 에프터쿨러(300)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구(661d)가 형성되고, 프리쿨러(661)의 타측에는 제습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라인필터(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라인필터(400)와 연결되는 배출구(661e)가 형성된다.
증발기(662)는 프리쿨러(661)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원통형 제2하우징(662a)의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방열판(662b)이 세워져 설치되고, 그러한 방열판(662b)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냉매튜브(662c)가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며, 이러한 방열판(662b) 사이 사이에는 다수의 격판(662d)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그러한 격판(662d)을 통해 제2하우징(662a)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 웨이브형태의 유로가 만들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하로 이격 설치되는 프리쿨러(661)의 제1하우징(661a)과 증발기(662)의 제2하우징(662a)은 마주하는 양측이 제1연결관(663)과 제2연결관(664)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에프터쿨러(300)를 통해 프리쿨러(661)의 유입구(661d)로 유입된 에어는 동관(661b) 주변을 타고 이동하게 되다가 제2연결관(664)을 통해 증발기(662)의 내부로 이동된 후, 방열판(662b)과 접촉되면서 제습되고, 이후 제1연결관(663)을 통해 프리쿨러(661)로 이동된 상태에서 동관(661b) 내부를 거쳐 배출구(661e)를 통해 라인필터(400)로 이동하게 된다.
프리쿨러(661)와 증발기(662)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후면쪽 상부에 설치됨에 있어서, 복수의 브래킷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브래킷은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증발기(662)에 모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증발기(662) 및 프리쿨러(661)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일 예로 증발기(662)의 좌측 저면과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이 일자형태의 제1지지브래킷(7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지지브래킷(710)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단이 만곡지도록 호형을 이루면서 증발기(662)의 저면에 정합되어 용접 설치되는 용접부(711)와, 상단은 그러한 용접부(711)의 하단과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712)로 이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용접부(711)와 결합부(712)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예로 각각의 양측 선단부를 어느 한쪽으로 구부려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용접부와 결합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비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리쿨러(661)의 우측 저면은 제2지지브래킷(720)을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제2지지브래킷(720)의 하단은 본체(100)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체(100) 내부의 공간을 감안하여 제2지지브래킷(720)의 하단은 에프터쿨러(3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지지브래킷(720)의 상단은 만곡지게 구성되어 프리쿨러(661)의 우측 저면과 정합된 상태에서 용접 설치되고, 하단은 에프터쿨러(300)의 함체 상면과 나사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브래킷(720) 또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선단부를 어느 한쪽으로 구부려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제2지지브래킷(72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비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리쿨러(661)의 유입구(661d)에 에프터쿨러(300)가 연결됨에 있어서, 중앙이 이분된 연결파이프(68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파이프(680)의 이분된 중앙은 기밀이 유지되는 플랙시블 연결부재(681)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플랙시블 연결부재(681)를 통해 에프터쿨러(300)의 진동이 연결파이프(680)를 거쳐 프리쿨러(66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랙시블 연결부재(681)의 실시 예는 도면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선단부가 이격된 상태의 절개부로 구성된 케이싱과, 그러한 절개부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체결브래킷 및 제2체결브래킷과, 절개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 가로지르면서 제1체결브래킷과 제2체결브래킷에 체결되어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와, 케이싱의 내측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설치되는 기밀유지용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머리부가 제1체결브래킷에 설치되고, 체결부가 제2브래킷의 구멍으로 관통되는 볼트 및 제2브래킷의 구멍에 설치되어 볼트의 체결부가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한쪽 선단부에는 끼움부가 연장 형성되고, 케이싱의 다른 한쪽에는 그러한 끼움부가 내부로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절개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과정에서 끼움부와 끼움홈을 통해 보다 안정되게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재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기재된 내용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입구
120 : 출구 130 : 덮개
200 : 프리필터 300 : 에프터쿨러
400 : 라인필터 500 : 에어필터
600 : 열교환장치 610 : 압축기
620 : 응축기 630 : 핫가스바이패스밸브
640 : 필터드라이어 650 : 모세관
660 : 열교환기 661 : 프리쿨러
661a : 제1하우징 661b : 동관
661c : 격판 661d : 유입구
661e : 배출구 662 : 증발기
662a : 제2하우징 662b : 방열판
662c : 냉매튜브 662d : 격판
663 : 제1연결관 664 : 제2연결관
670 : 드레인장치 680 : 연결파이프
681 : 플랙시블 연결부재 710 : 제1지지브래킷
711 : 용접부 712 : 결합부
720 : 제2지지브래킷

Claims (9)

  1. 상면 한쪽에 입구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출구가 구비되며, 개방된 전후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입구에 연결되는 프리필터;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에프터쿨러;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출구와 연결되는 에어필터;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에어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라인필터;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라인필터의 타측과 연결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 한쪽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응축기와, 부하조절을 위한 핫가스바이패스밸브와,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드라이어와, 상기 응축기에서 나온 액냉매를 단열팽창시키는 모세관과,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에어를 제습시키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켜주는 드레인장치가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후방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프리쿨러와 증발기로 구성되며, 상기 프리쿨러는 제1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동관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동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격판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쿨러의 일측에는 상기 에프터쿨러와 연결되어 상기 에프터쿨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타측에는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라인필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라인필터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는 제2하우징의 내부로 다수의 방열판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은 수직으로 관통되는 지그재그형태의 냉매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 사이 사이에는 다수의 격판이 세워진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설치되면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제1하우징과 상기 증발기의 제2하우징의 마주하는 양측은 제1,2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쿨러는 상기 응축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쿨러와 상기 증발기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의 한쪽 저면은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면과 제1지지브래킷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프리쿨러의 한쪽 저면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상면과 제2지지브래킷을 통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브래킷은,
    상단이 만곡지게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의 한쪽 저면에 정합되어 용접 설치되는 용접부 및 상단은 상기 용접부의 하단과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면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브래킷은,
    상단이 만곡지게 구성되어 상기 프리쿨러의 한쪽 저면에 정합되어 용접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에프터쿨러의 상면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쿨러와 상기 유입구는 중앙이 이분되는 연결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이분된 중앙은 기밀이 유지되는 플랙시블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 사방에는 구름방지수단을 가지는 구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KR1020170070912A 2017-06-07 2017-06-07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KR10179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12A KR101796970B1 (ko) 2017-06-07 2017-06-07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912A KR101796970B1 (ko) 2017-06-07 2017-06-07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970B1 true KR101796970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12A KR101796970B1 (ko) 2017-06-07 2017-06-07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0370A (zh) * 2018-12-04 2019-04-02 临安派祺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迎面风速可调节式压缩空气干燥设备及干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128A (ja) * 2000-06-09 2001-12-18 Fukuhara Co Ltd 乾燥した圧縮空気の製造装置
JP4906370B2 (ja) * 2006-03-10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の排水タンク及びこの排水タンクを備えた除湿機
KR101471954B1 (ko) * 2013-07-18 2014-12-11 (주)이에스 건식 제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128A (ja) * 2000-06-09 2001-12-18 Fukuhara Co Ltd 乾燥した圧縮空気の製造装置
JP4906370B2 (ja) * 2006-03-10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の排水タンク及びこの排水タンクを備えた除湿機
KR101471954B1 (ko) * 2013-07-18 2014-12-11 (주)이에스 건식 제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0370A (zh) * 2018-12-04 2019-04-02 临安派祺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迎面风速可调节式压缩空气干燥设备及干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717B1 (en) Dehumidifier
US11204197B2 (en) Temperature-adjustable four-effect dehumidifying and drying system
EP3081871B1 (en) Dehumidifier
US11633694B2 (en) Heat exchange device and freeze dryer
KR20130064602A (ko) 차량용 컨덴서
JP4564177B2 (ja) 気体処理装置
KR101796970B1 (ko) 캐비넷형 에어드라이어
CN1721042A (zh) 冷冻式压缩气体干燥机
CN110439788B (zh) 一种医用压缩机
KR102160586B1 (ko) 다중 냉각식 콜드트랩
JP2002243208A (ja) リモートコンデンサ
US6691428B1 (en) Air dryer
CN110530057B (zh) 一种冷冻装置及医用压缩机
CN210602328U (zh) 一种冷冻装置及医用压缩机
JP2815816B2 (ja) 圧縮空気除湿装置
KR101985017B1 (ko) 응축수 유입이 방지되는 에어드라이어
JP200004355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051735B1 (ko) 칠러용 냉각유체의 수분 제거 장치
US20220081881A1 (en) Atmospheric water generator
KR102305856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열교환 방식의 냉동식 에어 드라이어
KR102396705B1 (ko) 환기 인클로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19693631U (zh) 冰箱
CN219272624U (zh) 一种冷冻式干燥机
KR20180005429A (ko) 증발냉각기능을 구비한 제습장치
KR101950757B1 (ko) 에어드라이어용 열교환기의 고정격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