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80B1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6580B1 KR101796580B1 KR1020110124950A KR20110124950A KR101796580B1 KR 101796580 B1 KR101796580 B1 KR 101796580B1 KR 1020110124950 A KR1020110124950 A KR 1020110124950A KR 20110124950 A KR20110124950 A KR 20110124950A KR 101796580 B1 KR101796580 B1 KR 101796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light
- frame
- section
- interval
- candidate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54—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retriev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5/87—Detection of discrete points within a voice signa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musical phrases, isolation of musically relevant segments, e.g. musical thumbnail generation, or for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a musical piece, e.g. determination of the movement sequence of a musical wor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1—Genre classification, i.e. descriptive metadata for classification or selection of musical pieces according to styl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2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power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에서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분리된 저주파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20: 프레임 분할부
140: 평균 에너지 신호 산출부
160: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
162: 제1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
164: 제2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
166: 제3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
168: 하이라이트 구간 결정부
180: 시작점 탐색부
Claims (18)
- 입력된 오디오 파일을 분석하여 하이라이트 구간을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로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일정한 샘플 길이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기 위한 프레임 분할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 별로 각 프레임에 속하는 복수의 샘플에 대한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평균 에너지 신호 산출부; 및
각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는,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을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제1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부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선정하는 제2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인 경우에는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모든 프레임 구간을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 구간을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는,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의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시작점의 주변 프레임 구간에 대하여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분석하고,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의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시작점의 주변 프레임 구간에서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의 변화가 가장 큰 프레임 구간을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제3 하이라이트 후보군 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과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비교할 때,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첫 번째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과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비교하여,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결정부는,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프레임 간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정렬하고,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프레임 간 거리가 가장 작은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선택부에 의해 결정된 하이라이트 구간의 첫번째 프레임의 위치와 각 프레임이 갖는 샘플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의 시작점을 탐색하는 시작점 탐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 입력된 오디오 파일을 분석하여 하이라이트 구간을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으로서,
프레임 분할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파일을 일정한 샘플 길이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평균 에너지 신호 산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각 프레임 별로 각 프레임에 속하는 복수의 샘플에 대한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및
하이라이트 결정부에 의해 각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저주파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을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부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인 경우에는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모든 프레임 구간을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이 연주곡에 대한 오디오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된 프레임 구간을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의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시작점의 주변 프레임 구간에 대하여 프레임 별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의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시작점의 주변 프레임 구간에서 평균 오디오 에너지의 크기의 변화가 가장 큰 프레임 구간을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과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첫 번째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신호의 극대점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과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프레임 간 거리가 작은 순서대로 상기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2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는 3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 중 상기 1차 하이라이트 구간 후보군에 속하는 프레임 구간으로부터 프레임 간 거리가 가장 작은 프레임 구간을 최종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의 첫번째 프레임의 위치와 각 프레임이 갖는 샘플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오디오 파일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의 시작점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950A KR101796580B1 (ko) | 2011-11-28 | 2011-11-28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US13/685,632 US9262521B2 (en) | 2011-11-28 | 2012-11-26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highlight section of mus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950A KR101796580B1 (ko) | 2011-11-28 | 2011-11-28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939A KR20130058939A (ko) | 2013-06-05 |
KR101796580B1 true KR101796580B1 (ko) | 2017-11-14 |
Family
ID=4846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4950A Active KR101796580B1 (ko) | 2011-11-28 | 2011-11-28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262521B2 (ko) |
KR (1) | KR1017965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11567A1 (en) * | 2018-11-27 | 2020-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91595B (zh) * | 2013-10-15 | 2017-02-15 |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 一种音频处理方法及装置 |
CN104091591B (zh) * | 2013-10-15 | 2016-01-2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音频处理方法及装置 |
US20160267175A1 (en) * | 2014-08-27 | 2016-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extracting highlight section of sound source |
CN105632503B (zh) * | 2014-10-28 | 2019-09-03 |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 信息隐藏方法及系统 |
CN104464754A (zh) * | 2014-12-11 | 2015-03-25 | 北京中细软移动互联科技有限公司 | 声音商标检索方法 |
US10349196B2 (en) * | 2016-10-03 | 2019-07-09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of editing audio signals using separated objects and associated apparatus |
KR102431737B1 (ko) * | 2017-02-28 | 2022-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하이라이트를 찾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KR101891778B1 (ko) * | 2017-04-07 | 2018-08-24 | 네이버 주식회사 | 음원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N110121115B (zh) * | 2018-02-06 | 2023-02-10 |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 精彩视频片段的确定方法及装置 |
CN113192531B (zh) * | 2021-05-28 | 2024-04-16 |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 检测音频是否是纯音乐音频方法、终端及存储介质 |
CN113408461B (zh) * | 2021-06-30 | 2022-07-01 | 深圳万兴软件有限公司 | 一种精彩片段提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2265A1 (en) | 2001-12-14 | 2003-06-19 | Tong Zhang | Indexing video by detecting speech and music in audio |
US20050016360A1 (en) | 2003-07-24 | 2005-01-27 | Tong Zhang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usic |
US20080292273A1 (en) | 2007-05-24 | 2008-11-27 | Bei Wang | Uniform Program Indexing Method with Simple and Robust Audio Feature and Related Enhancing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18223A (en) * | 1996-07-22 | 1999-06-29 | Muscle Fish |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ntent-based analysis, storage, retrieval, and segmentation of audio information |
KR100597969B1 (ko) | 2003-08-04 | 2006-07-14 | (주)오픈브레인테크 | 주문형 오디오 재생장치 |
KR20070043113A (ko) | 2005-10-20 | 2007-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이라이트 오디오 구간 선별 재생장치 및 방법 |
KR101265960B1 (ko) | 2007-08-21 | 2013-05-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이라이트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
-
2011
- 2011-11-28 KR KR1020110124950A patent/KR101796580B1/ko active Active
-
2012
- 2012-11-26 US US13/685,632 patent/US92625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2265A1 (en) | 2001-12-14 | 2003-06-19 | Tong Zhang | Indexing video by detecting speech and music in audio |
US20050016360A1 (en) | 2003-07-24 | 2005-01-27 | Tong Zhang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usic |
US20080292273A1 (en) | 2007-05-24 | 2008-11-27 | Bei Wang | Uniform Program Indexing Method with Simple and Robust Audio Feature and Related Enhancing Method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11567A1 (en) * | 2018-11-27 | 2020-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US11404042B2 (en) | 2018-11-27 | 2022-08-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262521B2 (en) | 2016-02-16 |
KR20130058939A (ko) | 2013-06-05 |
US20130138232A1 (en) | 2013-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6580B1 (ko)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
US10776422B2 (en) | Dual sound source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US808616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rating and/or tuning to an audio content channel | |
JP2005322401A (ja) | メディア・セグメント・ライブラリを生成する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カスタム・ストリーム生成方法およびカスタム・メディア・ストリーム発信システム | |
JP5145939B2 (ja) | 楽曲における区画を抽出する区画自動抽出システム、区画自動抽出方法および区画自動抽出プログラム | |
US2005025436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udio track based upon audio excerpts | |
WO2015161079A1 (en) |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usic items relating to media content | |
KR102255152B1 (ko) | 가변적인 크기의 세그먼트를 전송하는 컨텐츠 처리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
CN110335625A (zh) | 背景音乐的提示及识别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 |
JP2006504115A (ja) | 楽曲識別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CN106055659B (zh) | 一种歌词数据匹配方法及其设备 | |
KR101648931B1 (ko) | 리듬 게임 제작 방법, 장치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
Venkatesh et al. | Artificially synthesising data for audio classification and segmentation to improve speech and music detection in radio broadcast | |
JP2006195385A (ja) |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 |
JP2007534995A (ja) | 音声信号を分類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JP2001147697A (ja) | 音響データ分析方法及びその装置 | |
US76806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ation of audio data into meta patterns | |
US1081988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 |
CN117093742A (zh) | 音乐数据推荐方法及装置 | |
Jani et al.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s for mixed speech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 |
KR102101410B1 (ko) | 배경음악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20160020998A (ko) | 방송 콘텐츠의 음원 검색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002731B1 (ko) | 오디오 데이터의 특징 벡터 추출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데이터의 매칭 방법 | |
US20230197114A1 (en) | Storage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storage method, playback method, and medium | |
KR20230091455A (ko) | 사운드 이펙트 효과 설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