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938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5938B1 KR101795938B1 KR1020160074369A KR20160074369A KR101795938B1 KR 101795938 B1 KR101795938 B1 KR 101795938B1 KR 1020160074369 A KR1020160074369 A KR 1020160074369A KR 20160074369 A KR20160074369 A KR 20160074369A KR 101795938 B1 KR101795938 B1 KR 101795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ction
- case
- fan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팬 하우징의 외면과 케이스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흡입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의 폭은 공기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팬 하우징의 외면과 케이스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흡입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의 폭은 공기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원주방향으로부터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향하는 흡입유로와, 공기 청정기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되는 흡입부의 위치를 개선하여,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유량을 증가시키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의 형상을 개선하여,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필터부재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흡입부로부터 필터부재를 향하는 공기 유로의 크기가 점점 커질 수 있도록, 팬 하우징의 형상을 개선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향한 공기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공기 청정기의 내부 부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중심으로 상방, 전방 및 좌우 방향을 향하여 토출기류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공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기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제 1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제 2 송풍장치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이 증가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심팬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원심팬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필터의 정화능력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도 필터의 설치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팬 하우징의 외면과 케이스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 흡입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의 폭은 공기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는, 케이스의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부재로 안내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에는, 설정된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입구부 및 상기 제 1 입구부의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입구부가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에는, 제 1 설정직경을 가지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설정직경보다 작은 제 2 설정직경을 가지는 제 3 본체가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상기 제 3 본체를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본체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를 반경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팬 하우징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와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는 하부 흡입부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흡입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는, 상기 상부 흡입부에 연통한다.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팬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필터 프레임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부재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제 3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필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 1 절개부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에 구비되며, 센서장치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를 지지하는 제 2 절개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프레임 내벽; 상기 프레임 내벽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 및 상기 프레임 외벽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삽입부가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 한다.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필터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제 1 흡입부를 가지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 2 흡입부를 가지는 제 2 케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1 팬 하우징;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팬 하우징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는,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흡입그릴이 더 포함된다.
상기 흡입그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공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흡입그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베이스흡입부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고,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케이스의 구조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케이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에는, 제 1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 제 2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3 흡입부 및 베이스측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가 포함되어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기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흡입용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 중 일부의 흡입부는 필터부재와 대응되는 높이 또는 상기 필터부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공기가 상기 일부의 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흡입부는 상기 필터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기가 상기 나머지 흡입부를 상기 필터부재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실내공간의 공기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재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 또는 상기 필터부재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위치한 팬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결국, 공기의 흡입유량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는 팬하우징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의 외경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팬하우징 사이의 공기유로는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공기 청정기의 내부부품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 공간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는 필터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 1,2 케이스에 형성되는 흡입부가 필터부재에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는 2개의 파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2개의 파트의 각 일측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각 타측부는 자석부재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 부품에 접근하고자 할 때, 상기 자석부재를 분리하여 케이스 내부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를 통하여 공기의 상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유동전환 장치에 의하여 공기의 전방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장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좌우방향으로의 토출이 가이드 될 수 있다. 결국,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이드 되고, 공기 청정기로부터 먼 거리까지 토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공기청정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공간을 향하여 토출기류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송풍장치는 제 1 송풍장치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 1,2 송풍장치의 사이에는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구획판에 의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의 제 1 토출가이드 장치에 형성되는 토출유로는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토출유로의 상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충분히 길게 연장됨으로써, 상기 토출유로의 공기가 상기 구획판을 지나쳐 상기 제 2 송풍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가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므로, 원심팬을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는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팬에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 팬이 포함되므로,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보팬의 출구측에, 가이드 리브가 구비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포함되므로, 유동손실을 감소하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에 돌출부가 구비되므로, 와류발생을 줄이고 토출부를 향한 공기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송풍장치의 일측에 공기유동을 전환시켜 주는 유동전환 장치가 구비되어 공기가 전방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먼 거리까지 토출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제 1 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과 제 1 에어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리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하우징과 제 1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팬하우징과 제 2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공기가 필터부재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제 1 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과 제 1 에어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리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하우징과 제 1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팬하우징과 제 2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공기가 필터부재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제 1 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전환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101a,1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101a,101b)에는, 제 1 파트(101a) 및 제 2 파트(1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101a,1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2 파트(101a,1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1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101c)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101b)의 단부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분리부(101c)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 또는 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소정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4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3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201a,201b)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201a,201b)에는, 제 1 파트(201a) 및 제 2 파트(20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파트(201a,20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201)에는, 상기 제 1,2 파트(201a,201b)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20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201c)는 상기 제 1 파트(201a)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파트(201b)의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상기 분리부(201c)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케이스(201)는 개방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01,201)의 직경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 중 어느 하나의 파트는 반원통형 또는 반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의 1/2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파트가 2개 결합되면, 원통형 또는 원추형(끝이 잘린 원뿔형)의 제 1 케이스(101) 또는 제 2 케이스(201)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례로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파트(101a)의 구성을 보여준다. 한편, 제 1 케이스(201)의 제 2 파트(201a)의 구성은 상기 제 1 파트(101a)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1 파트(101a)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그리고, 제 2 케이스(201)의 제 1,2 파트(201a,201b)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파트(101a)에 각각 유사하며, 다만 상기 제 1,2 파트(201a,201b)의 크기가 상기 제 1 파트(101a)의 크기보다 클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파트(101a)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제 1,2 파트(201a,201b)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파트(101a)에는, 상기 제 1 파트(101a)와 상기 제 2 파트(101b)의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체결부(108)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101a)의 체결부(108)는, 상기 제 2 파트(101b)의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된 체결부들은 상기 제 1,2 파트(101a,101b)의 힌지부를 형성할 수 잇다.
상기 제 1 파트(101a)에는, 상기 제 1,2 파트(101a,101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부재(109)가 포함된다. 상기 자석부재(109)는 상기 분리부(101c)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101a)의 자석부재(109)는 상기 제 2 파트(101b)의 자석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제 1 파트(101a)의 자석부재(109)와 상기 제 2 파트(101b)의 자석부재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101a)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파트(101a)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107)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07)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107)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부(131b, 도 6 참조)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07)는 상기 제 1 파트(101a)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구성하는 제 1,2 파트(201a,201b)에도 상기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 2 필터프레임(230)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 1 필터프레임(130)까지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필터프레임(130,230)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제 1,2 파트(201a,201b)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의 반경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이 제 1,2 파트(101a,101b)에 구비되는 걸림돌기(107)의 반경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과 제 1 에어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리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1a)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111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111a)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a)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흡입부(11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그릴본체(111)에는, 후술할 핸들(144)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1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홈부(113)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그릴본체(111)의 테두리부 중, 상기 흡입부(1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1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1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 절개부(145)는 레버본체(14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상기 그릴본체(11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113)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1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절개부(145)의 길이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장치(142)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14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145)의 일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145)의 타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제 2 핸들(1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제 2 핸들(144)에 결합되는 제 1 핸들(1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113)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142)와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121) 및 상기 필터본체(121)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1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1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1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121)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121)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함몰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홈부(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와 상기 프레임함몰부(131a)는, 상기 제 1,2 핸들(141,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2 핸들(141,144)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3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걸림돌기(107)가 결합되는 걸림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b)는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 공(132a)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프레임 공(132a)을 통하여 제 1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제 1 팬(160)의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6)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상기 프레임 공(132a)과 연통하는 팬 유입공(156a)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는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팬 유입공(156a)과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프레임 공(132a)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유입공(156a)을 통하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에는,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내벽(133)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13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외벽(134)은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측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하,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137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를 차폐하는 센서커버(137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에는,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장착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8)는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 1,2 핸들(141,144)이 조작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1,2 핸들(141,1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의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0a)를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151,152,153)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그 직경이 달라지도록,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설정된 제 1 직경(이하, 제 1 설정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 1 본체(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151)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상기 제 1 본체(151)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본체(152)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본체(152)는, 상기 제 1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상기 제 2 본체(152)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설정된 제 2 직경(이하, 제 2 설정직경)을 가지는 제 3 본체(1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설정직경은 상기 제 1 설정직경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2,3 본체(151,152,153)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하부 직경은, 상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면과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을 둘러싸는 제 1 케이스(101)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상하 방향으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하우징절개부(154a,154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를 지지하는 제 1 절개부(154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절개부(154a)에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 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장착부(138)를 지지하는 제 2 절개부(154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절개부(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개부(154b)의 상측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에 의하여 지지되는 센서지지부(155)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상기 센서지지부(155)에 의하여,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부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본체(153)는 상기 제 2 프레임(132)에 형성되는 하우징삽입부에 삽입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3 본체(153)는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5) 및 상기 센서 장착부(138)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과 상기 제 1 팬 하우징(15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절개부(154a)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본체(15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61a)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햐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결합부(161b)가 포함된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162a)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162b)가 포함된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161b)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162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63)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리딩 에지(163a) 및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163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하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1 팬(16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리딩 에지(163a)로 유입되며, 상기 블레이드(163)를 거쳐 상기 트레일링 에지(163b)로 유출된다.
이 때, 상기 트레일링 에지(163b)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링 에지(163b)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17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세히,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리브(175)에는,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리브본체(175a)가 포함된다. 상기 리브본체(175a)에는,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을 형성하는 정압면(175b) 및 상기 정압면(175b)의 반대면을 형성하는 부압면(175c)이 포함된다. 상기 정압면(175b)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175c)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본체(175a)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리딩 에지(175d) 및 공기가 배출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175e)가 포함된다.
상기 리딩 에지(175d)는, 상기 정압면(175b)으로부터 상기 부압면(175c)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꺽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딩 에지(175d)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정압면(175b)으로 가이드 되고, 나머지 공기는 부압면(175c)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부압면(175c)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다수의 돌출부(175f)를 지난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175f)는 상기 부압면(175c)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리딩 에지(175d)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175e)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75f)는 상기 리딩 에지(175d)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175e)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는 에어포일(airfoil) 형태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175f)가 상기 부압면(175c)에 형성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부압면(175c)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공기는 상방을 향하여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 에지(175e)는 반경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트레일링 에지(175e)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즉 상기 산과 골에서 공기가 유출되는 시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소음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16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1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166)는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제 2 팬(260) 및 제 2 팬모터(265)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하우징(150), 제 1 팬(160) 및 제 1 팬모터(165)들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장치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필터부재(220) 또는 레버장치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제 1 랙 및 축가이드 홈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제 3 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디스플레이 PCB(618)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618)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과 상기 제 3 팬(3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 도 15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랙(374)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기어모터(367)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 결합되는 제 2 기어(365)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15 참조). 반면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누워져 있는 위치를 "제 1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 즉 제 1 팬(160) 및 제 1 팬 하우징(1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형성되는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 흡입부(102)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흡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팬 하우징(150)과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동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향하여 하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내측 공간으로 유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 1 송풍장치(200)의 내부 부품, 즉 제 2 팬(260) 및 제 2 팬 하우징(2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에 형성되는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 흡입부(202)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흡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팬 하우징(250)과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동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향하여 하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내측 공간으로 유동한다.
이하에서는, 케이스와 팬 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팬하우징과 제 1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팬하우징과 제 2 케이스의 결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공기가 필터부재의 상측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1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 및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18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와 결합되는 체결가이드(18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가이드(183)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183)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체결리브(17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178)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가이드(183)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가이드(183)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가이드(183) 및 상기 체결리부(178)는 3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벽지지부(18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벽지지부(187)에 의하여, 상기 제 1,2 가이드벽(181,182)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지지부(187)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벽지지부(187)에는, 4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벽지지부(187)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벽지지부(187)에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1 공간부(184)가 형성된다. 상기 PCB 장치에는, 전원 공급부(520) 및 메인 PCB(511)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공기 청정기(10)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메인 PCB(511) 및 공기 청청기(10) 내의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에는, AC전원용 PCB(파워 PC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PCB(511)에는, 상기 AC전원용 PCB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DC전원용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 및 메인 PCB(511)를 지지하는 위한 PCB지지판(52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에는, 공기 청정기(1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515)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515)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15)은 상기 PCB지지판(525)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PCB(5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43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88)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상기 제 2 결합부(188)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449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88)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2 결합부(188)는 서로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결합부(188) 및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3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8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부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최외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6)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절곡부(186)는 대략 ㄱ 형상 또는 처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186)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되며,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흡입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대략 중앙부에 제 2 공간부(194)를 형성하는 제 1 토출본체(19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에는, 외주면을 형성하는 본체외벽(191a) 및 내주면을 형성하는 본체내벽(191b)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외벽(191a)은 상기 본체내벽(191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외벽(191a) 및 본체내벽(191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토출본체(191)는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는 상기 본체내벽(191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에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94)는 상기 제 1 공간부(184)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184)와 함께, 상기 PCB 장치(5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에는, 제 1 토출그릴(19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1 토출본체(191)의 본체내벽(191b)으로부터 본체외벽(191a)을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그릴(19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의 사이에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제 1 토출부(105)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 개의 제 1 토출그릴(195)은 상기 제 2 공기유로(18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그릴(195) 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로부터 상기 제 1 토출부(105)까지 형성되는 공기유로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필터부재(220) 또는 레버장치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PCB 장치(50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제 3 공간부(564)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공간부(564)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를 구성하는 면은 경사면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과, 후술할 구획판(4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점에서, "차단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이동 가이드부(11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를 "제 1 이동 가이드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를 "제 2 이동 가이드부"라 이름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위치하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 지지장치(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제 1 공간부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제 1 플레이트(440)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 결합되는 제 2 플레이트(4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40)는 상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450)는 하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내벽(441) 및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외벽(443)이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중앙부에는, 제 4 공간부(449)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공간부(44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은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과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 사이의 공간을 규정하는 함몰부(44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442)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상단부와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449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플레이트 내벽(441)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449a)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제 2 결합부(18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430)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6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보에는, 공기 오염도 또는 공기 청정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45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트 장치(460)가 놓여지는 장치안착부(445)가 형성된다. 상기 장치안착부(445)는, 상기 플레이트 외벽(44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조명원(462)이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462)은 조명지지부(461)에 설치된다. 상기 조명지지부(461)에는, 상기 조명원(462)이 삽입되는 장착홈(461a)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조명원(462)에는, LED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상기 조명원(46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원(462)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44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60)에는, 상기 확산부(446)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446)를 통하여 확산되는 빛을 상기 구획판(430)의 외주면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447)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반사판(447)은, 상기 확산부(446)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명원(462)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반사판(447)에 의하여 상기 확산부(446)로 집중되고, 상기 확산부(446)를 투과하면서 은은한 빛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플레이트 본체(45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450)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안착부(4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455)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안착부(455)의 중앙부에는, 제 5 공간부(459)가 형성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5 공간부(459)는 상기 제 4 공간부(564)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5 공간부(184,194,564,449,459)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PCB 장치(5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본체(45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4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453)은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라운드 면을 가진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면 또는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 즉 상기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하우징(150),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 및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 내주면은 상기 절곡부(186)의 제 2 연장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곡부(186)의 제 2 연장부의 외면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면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외면 및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제 1 가이드벽(181)의 외면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의 절곡부(186)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구성에 기인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까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이 위치한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흡입부(102)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위치한 높이까지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흡입부(102a) 및 상기 하부 흡입부(102a)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까지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흡입부(102b)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하부 흡입부(102a)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와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상부 흡입부(102b)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흡입그릴(110)의 높이를 기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흡입그릴(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단부는 제 1 높이(H1)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하부 흡입부(102a)는 상기 흡입그릴(110)로부터 제 2 높이(H2)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하부 흡입부(102a) 중 최상단 흡입부는 제 2 높이(H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H1)와 제 2 높이(H2)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상부 흡입부(102b)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그릴(110)로부터 제 3 높이(H3)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상부 흡입부(102b) 중 최상단 흡입부는 제 3 높이(H3)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3 높이(H3)는 상기 제 1 높이(H1) 및 제 2 높이(H2)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면과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면과,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 유동될 수 있는 하우징 흡입유로(159)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는 상기 상부 흡입부(102a)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에는, 상기 제 1 본체(151)의 외면과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 1 입구부(159a) 및 상기 제 3 본체(153)의 외면과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 2 입구부(159b)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입구부(159a)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입구부(159a)를 지난 공기는 상기 제 2 입구부(159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본체(151)의 제 1 설정직경은, 상기 제 3 본체(153)의 제 2 설정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본체(15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거리, 즉 상기 제 1 입구부(159a)의 반경방향 제 1 폭(S1)은, 상기 제 3 본체(153)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거리, 즉 상기 제 2 입구부(159b)의 반경방향 제 2 폭(S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본체(152)는 상기 제 1 본체(15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 3 본체(153)의 상단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본체(152)의 직경은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본체(15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면 사이의 거리(S2)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S2)는 상기 거리(S1) 이상이며, 상기 거리(S3)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의 폭은 공기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를 유동하는 공기유로의 크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향하면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으며, 흡입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송풍장치(200)에는, 다수의 부품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제 2 필터프레임(230에 장착되는 제 2 필터부재(220)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 2 팬(260)을 수용하는 제 2 팬하우징(250)과,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다수의 부품을 둘러싸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다수의 제 2 흡입부(20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와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는 하부흡입부(202a)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흡입부(20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250)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 1 본체(251), 제 2 본체(252) 및 제 3 본체(25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251)는 제 3 설정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본체(252)는 상기 제 1 본체(251)의 하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3 본체(253)는 상기 제 2 본체(252)의 하측으로 제 4 설정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팬(15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제 1 팬(15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팬(250)의 외면과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면은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하우징 흡입유로(259)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에는, 상기 제 1 본체(25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 1 입구부(259a) 및 상기 제 1 입구부(259a)를 지난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제 3 본체(253)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케이스(201)이 내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 2 입구부(259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입구부(259a)의 제 1 폭(S1')은 상기 제 2 입구부(259b)의 제 2 폭(S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본체(25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면 사이의 거리(S2')는 상기 폭(S1') 이상이며, 상기 폭(S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202b)로부터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입구부(259a)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로 유입되며, 상기 제 2 입구부(259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내측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흡입부(202b)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를 유동하는 공기유로의 크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220)를 향하면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흡입부(202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으며, 흡입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하우징흡입유로(259)의 크기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하우징흡입유로(159)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크기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과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6)의 절곡부(186)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반면,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 1,2 케이스(101,201)의 각 상부 흡입부(102b,20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흡입부(102)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흡입부(10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실내공간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면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공기는 상기 하우징흡입유로(159)의 제 1 입구부(159a)를 거쳐 제 2 입구부(159b)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입구부(159b)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 필터링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스(101)의 제 2 흡입부(202)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흡입부(20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실내공간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상부 흡입부(202b)를 통하여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외면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세히, 공기는 상기 하우징흡입유로(259)의 제 1 입구부(259a)를 거쳐 제 2 입구부(259b)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입구부(259b)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 필터링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하부 흡입부(10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의 제 1 플레이트(440)에 구비되는 곡면부(444a) 및 직면부(444b)를 따라 유동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획판(430)의 반경방향 최외측부는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로의 최외측부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반경방향으로의 토출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흡입부(202)의 하부 흡입부(20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부(20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2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전환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도 16과 같이 세워져 있는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51~153 : 제 1~3 본체
159 : 하우징 흡입유로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86 : 절곡부 186a : 제 1 연장부
186b : 제 2 연장부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50 : 제 2 팬하우징 251~253 : 제 1~3 본체
259 : 하우징 흡입유로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전환 장치 400 : 구획장치
430 : 구획판 440 : 제 1 플레이트
450 : 제 2 플레이트 560 : 레버 지지장치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51~153 : 제 1~3 본체
159 : 하우징 흡입유로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86 : 절곡부 186a : 제 1 연장부
186b : 제 2 연장부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30 : 제 2 필터프레임
250 : 제 2 팬하우징 251~253 : 제 1~3 본체
259 : 하우징 흡입유로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전환 장치 400 : 구획장치
430 : 구획판 440 : 제 1 플레이트
450 : 제 2 플레이트 560 : 레버 지지장치
Claims (20)
- 흡입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의 흡입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케이스 내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향하여 유동하는 하우징 흡입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에는,
설정된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입구부; 및
상기 제 1 입구부를 지난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입구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에는,
제 1 내부 폭을 가지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내부 폭보다 작은 제 2 내부 폭을 가지는 제 3 본체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상기 제 3 본체를 향하여, 내부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본체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와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는 하부 흡입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흡입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는, 상기 상부 흡입부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를 반경방향으로 통과하고, 상기 팬 하우징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팬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필터 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 프레임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필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 1 절개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에 구비되며, 센서장치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 및
상기 팬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를 지지하는 제 2 절개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프레임 내벽; 상기 프레임 내벽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 및 상기 프레임 외벽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삽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팬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필터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이 정의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 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제 1 흡입부를 가지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 2 흡입부를 가지는 제 2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1 팬 하우징;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팬 하우징이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는,
상기 제 1 팬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2 팬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흡입그릴이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공;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흡입그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베이스흡입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원통형 또는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흡입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의 흡입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케이스 내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향하여 유동하는 하우징 흡입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에는,
설정된 제 1 폭을 가지는 제 1 입구부; 및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제 2 입구부가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의 폭은,
상기 제 1 입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입구부를 향하는 공기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4369A KR101795938B1 (ko) | 2016-06-15 | 2016-06-15 | 공기 청정기 |
EP20202092.1A EP3795918B1 (en) | 2016-02-26 | 2016-11-29 | Air cleaner |
US15/363,438 US10518205B2 (en) | 2016-02-26 | 2016-11-29 | Air cleaner |
EP16201089.6A EP3211347B1 (en) | 2016-02-26 | 2016-11-29 | Air cleaner |
CN202010612086.9A CN111735140B (zh) | 2016-02-26 | 2016-11-30 | 空气清洁器 |
CN201611089196.1A CN106989448B (zh) | 2016-02-26 | 2016-11-30 | 空气清洁器 |
CN202010612067.6A CN111735139A (zh) | 2016-02-26 | 2016-11-30 | 空气清洁器 |
CN202010009593.3A CN111156622B (zh) | 2016-02-26 | 2016-11-30 | 空气清洁器 |
CN201621307987.2U CN206300285U (zh) | 2016-02-26 | 2016-11-30 | 空气清洁器 |
US16/687,941 US11452961B2 (en) | 2016-02-26 | 2019-11-19 | Air cleaner |
US17/894,694 US11938433B2 (en) | 2016-02-26 | 2022-08-24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4369A KR101795938B1 (ko) | 2016-06-15 | 2016-06-15 | 공기 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5938B1 true KR101795938B1 (ko) | 2017-11-10 |
Family
ID=6038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4369A KR101795938B1 (ko) | 2016-02-26 | 2016-06-15 | 공기 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59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2926A (ko) | 2017-11-29 | 2019-06-07 | 티엠시(주) |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5980A (en) | 1981-08-20 | 1982-12-28 | Farr Company | Air filter assembly |
KR100508312B1 (ko) | 2004-03-02 | 2005-08-17 |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 공기정화기 |
JP2014507277A (ja) | 2011-02-25 | 2014-03-27 |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エア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その構成要素及びエアクリーナアセンブリ |
JP2014119224A (ja) | 2012-12-19 | 2014-06-30 | Iris Ohyama Inc | 空気清浄機構 |
-
2016
- 2016-06-15 KR KR1020160074369A patent/KR1017959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5980A (en) | 1981-08-20 | 1982-12-28 | Farr Company | Air filter assembly |
KR100508312B1 (ko) | 2004-03-02 | 2005-08-17 |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 공기정화기 |
JP2014507277A (ja) | 2011-02-25 | 2014-03-27 |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エア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その構成要素及びエアクリーナアセンブリ |
JP2014119224A (ja) | 2012-12-19 | 2014-06-30 | Iris Ohyama Inc | 空気清浄機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2926A (ko) | 2017-11-29 | 2019-06-07 | 티엠시(주) |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030B1 (ko) | 공기 청정기 | |
EP3795918B1 (en) | Air cleaner | |
KR102021391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339347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00121A (ko) | 공기 청정기 | |
KR101938647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10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11B1 (ko) | 공기 청정기 | |
CN111156622B (zh) | 空气清洁器 | |
KR10180940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48001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100142A (ko) | 공기 청정기 | |
KR101795938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00285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00287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49674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49675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58431A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08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07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370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453404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90058434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43229A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52658B1 (ko) | 공기 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