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55B1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055B1 KR101794055B1 KR1020167020574A KR20167020574A KR101794055B1 KR 101794055 B1 KR101794055 B1 KR 101794055B1 KR 1020167020574 A KR1020167020574 A KR 1020167020574A KR 20167020574 A KR20167020574 A KR 20167020574A KR 101794055 B1 KR101794055 B1 KR 101794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ource
- data
- transmission
- information
- po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5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14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4457 myocytus nod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794 confocal Rama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500 cytoreductive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2100029801 Calcium-transporting ATPase type 2C membe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1000728145 Homo sapiens Calcium-transporting ATPase type 2C membe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934 PMI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0 r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76 Maximum Likeliho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6504 Protein Sorting Signal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105 trans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 H04W72/128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및 동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동기 신호 및 D2D 동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D2D 동기 신호 및 상기 D2D 동기 채널을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D2D 동기 신호 및 D2D 동기 채널을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2D 동기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64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에 매핑되고, 상기 D2D 동기 채널은 상기 D2D 동기 신호와 동일한 자원 블록에 매핑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단말 간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D2D(Device-to-Device) communication)의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수신 단말에서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전송 영역을 확인하고 복조할 수 있도록 전송 단말에서는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를 수신 단말에 우선적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을 두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A를 전송할 수 있는 SA 자원 풀(resource pool)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SA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영역에 SA 1을 매핑하여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영역에 SA 2 및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A는 상기 SA 1 및 상기 SA 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을 전송하는 제1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A를 전송할 수 있는 SA 자원 풀(resource pool)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A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영역에 SA 1을 매핑하여 제2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영역에 SA 2 및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A는 상기 SA 1 및 상기 SA 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은 상기 SA 1이 전송되는 자원 영역 위치 및/또는 상기 SA 1의 컨텐츠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의 컨텐츠 및 상기 SA 2의 컨텐츠가 조합되어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이 지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은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2의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는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은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 정보와 상기 SA 2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위한 MC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SA 2의 전송 자원 영역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SA 1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에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에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임의로 결정된 자원 영역에 매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2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DI: New Data Indicator), 리던던시 버전(RV: Redundancy Version),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정보 및 파워 제어(Power Control) 정보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해야 하는 자원 영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해야 하는 자원 영역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식별자(identifier)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의 전송을 두 단계로 분리함으로써, 첫 번째 스케줄링 승인이 점유하는 자원 영역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하여 보다 많은 단말의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의 전송을 두 단계로 분리함으로써, 수신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에 소요되는 복잡도를 줄이거나 또는 더 많은 스케줄링 승인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 포맷들이 상향링크 물리자원블록의 PUCCH 영역에 매핑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의 CQI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에 ACK/NACK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슬롯 동안 5 개의 SC-FDMA 심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및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L-SCH의 전송 채널 프로세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신호 처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반적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하나의 수신 안테나로의 채널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블록 쌍에 매핑된 참조 신호 패턴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심볼을 포함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예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 자원 분할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D2D 통신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 포맷들이 상향링크 물리자원블록의 PUCCH 영역에 매핑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의 CQI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에 ACK/NACK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슬롯 동안 5 개의 SC-FDMA 심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및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L-SCH의 전송 채널 프로세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신호 처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반적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하나의 수신 안테나로의 채널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블록 쌍에 매핑된 참조 신호 패턴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심볼을 포함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예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 자원 분할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D2D 통신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3GPP LTE/LTE-A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의 (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OFDM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적인 부 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도 1의 (b)는 타입 2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type 2)를 나타낸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P: 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 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TDD 시스템의 타입 2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은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할당(또는 예약)되는지 나타내는 규칙이다. 표 1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 별로, 'D'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DwPTS, GP, UpPTS 3가지의 필드로 구성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7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 별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 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 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가 모두 지원된다.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은 하프-프레임 마다 존재하고,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첫번째 하프-프레임에만 존재한다.
모든 구성에 있어서, 0번, 5번 서브프레임 및 DwPTS는 하향링크 전송만을 위한 구간이다. UpPTS 및 서브프레임 서브프레임에 바로 이어지는 서브프레임은 항상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구간이다.
이러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로써 기지국과 단말이 모두 알고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정보가 바뀔 때마다 구성 정보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구성 정보는 일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로서 다른 스케줄링 정보와 마찬가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방송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부 반송파의 수 또는 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 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에서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은 12 × 7 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의 수 NDL은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에서 앞의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이 제어 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이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일례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들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 링크에 대한 응답 채널이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Tx) 파워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이를 하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이를 상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PCH(Paging Channel)에서의 페이징(paging) 정보, DL-SCH에서의 시스템 정보, PDSCH에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 레이어(upper-layer) 제어 메시지에 대한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들의 집합,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들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을 PDCCH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들에 대응된다. PDCCH의 포맷 및 사용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는 CCE들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 간의 연관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특정의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를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하여,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을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에는 서브 프레임 내에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 쌍이 할당된다.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개의 슬롯들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 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은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는, 다음과 같은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 HARQ ACK/NACK 정보 및 하향링크 채널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SR(Scheduling Request): 상향링크 UL-SCH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OOK(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 HARQ ACK/NACK: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일 하향링크 코드워드(codeword)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1비트가 전송되고, 2 개의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2비트가 전송된다.
-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CSI는 CQI(Channel Qualo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PTI(Precoding Type Indic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당 20비트가 사용된다.
HARQ ACK/NACK 정보는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의 디코딩 성공 여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단일 코드워드(codeword)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정보로서 1 비트가 전송되고, 하향링크 2 코드워드 전송에 대해서는 ACK/NACK 정보로서 2 비트가 전송된다.
채널 측정 정보는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법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지칭하며, 채널품질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매트릭스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및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채널 측정 정보를 통칭하여 CQI 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CQI 의 전송을 위하여 서브프레임 당 20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PUCCH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기법을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PUCCH를 통하여 복수개의 단말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각 단말들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을 수행하는 경우에 길이 12 의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를 주로 사용한다. CAZAC 시퀀스는 시간 영역(time domain) 및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일정한 크기(amplitude)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단말의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또는 CM(Cubic Metric)을 낮추어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성질을 가진다. 또한,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정보는 직교 시퀀스(orthgonal sequence) 또는 직교 커버(OC: orthogonal cover)를 이용하여 커버링된다.
또한,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서로 다른 순환 시프트(CS: cyclic shift) 값을 가지는 순환 시프트된 시퀀스(cyclically shifted sequence)를 이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순환 시프트된 시퀀스는 기본 시퀀스(base sequence)를 특정 CS 양(cyclic shift amount) 만큼 순환 시프트시켜 생성할 수 있다. 특정 CS 양은 순환 시프트 인덱스(CS index)에 의해 지시된다. 채널의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따라 사용 가능한 순환 시프트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시퀀스가 기본 시퀀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CAZAC 시퀀스는 그 일례이다.
또한, 단말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제어 정보의 양은 제어 정보의 전송에 이용가능한 SC-FDMA 심볼의 개수(즉, PUCCH 의 코히어런트(coherent) 검출을 위한 참조신호(RS) 전송에 이용되는 SC-FDMA 심볼을 제외한 SC-FDMA 심볼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에서 PUCCH 는, 전송되는 제어 정보, 변조 기법, 제어 정보의 양 등에 따라 총 7 가지 상이한 포맷으로 정의되며, 각각의 PUCCH 포맷에 따라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의 속성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PUCCH 포맷 1은 SR의 단독 전송에 사용된다. SR 단독 전송의 경우에는 변조되지 않은 파형이 적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PUCCH 포맷 1a 또는 1b는 HARQ ACK/NACK의 전송에 사용된다.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HARQ ACK/NACK이 단독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PUCCH 포맷 1a 또는 1b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PUCCH 포맷 1a 또는 1b를 사용하여 HARQ ACK/NACK 및 SR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PUCCH 포맷 2는 CQI의 전송에 사용되고, PUCCH 포맷 2a 또는 2b는 CQI 및 HARQ ACK/NACK의 전송에 사용된다. 확장된 CP 의 경우에는 PUCCH 포맷 2가 CQI 및 HARQ ACK/NACK 의 전송에 사용될 수도 있다.
PUCCH 포맷 3는 48 비트의 인코딩된 UCI를 나르는데 사용된다. PUCCH 포맷 3는 복수의 서빙셀에 대한 HARQ ACK/NACK, SR (존재하는 경우) 및 하나의 서빙셀에 대한 CSI 보고를 나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 포맷들이 상향링크 물리자원블록의 PUCCH 영역에 매핑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는 상향링크에서의 자원블록의 개수를 나타내고, 0, 1,..., -1는 물리자원블록의 번호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PUCCH는 상향링크 주파수 블록의 양쪽 끝단(edge)에 매핑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m=0,1로 표시되는 PUCCH 영역에 PUCCH 포맷 2/2a/2b 가 매핑되며, 이는 PUCCH 포맷 2/2a/2b가 대역-끝단(bandedge)에 위치한 자원블록들에 매핑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m=2 로 표시되는 PUCCH 영역에 PUCCH 포맷 2/2a/2b 및 PUCCH 포맷 1/1a/1b 가 함께(mixed) 매핑될 수 있다. 다음으로, m=3,4,5 로 표시되는 PUCCH 영역에 PUCCH 포맷 1/1a/1b 가 매핑될 수 있다. PUCCH 포맷 2/2a/2b 에 의해 사용가능한 PUCCH RB들의 개수()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에 의해서 셀 내의 단말들에게 지시될 수 있다.
PUCCH 포맷 2/2a/2b에 대하여 설명한다. PUCCH 포맷 2/2a/2b는 채널 측정 피드백(CQI, PMI, RI)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다.
채널측정피드백(이하에서는, 통칭하여 CQI 정보라고 표현함)의 보고 주기 및 측정 대상이 되는 주파수 단위(또는 주파수 해상도(resolution))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주기적 및 비주기적 CQI 보고가 지원될 수 있다. PUCCH 포맷 2 는 주기적 보고에만 사용되고, 비주기적 보고를 위해서는 PUSCH가 사용될 수 있다. 비주기적 보고의 경우에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스케줄링된 자원에 개별 CQI 보고를 실어서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의 CQI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하나의 슬롯의 SC-FDMA 심볼 0 내지 6 중에서, SC-FDMA 심볼 1 및 5 (2 번째 및 6 번째 심볼)는 복조참조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전송에 사용되고, 나머지 SC-FDMA 심볼에서 CQI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확장된 CP 의 경우에는 하나의 SC-FDMA 심볼 (SC-FDMA 심볼 3)이 DMRS 전송에 사용된다.
PUCCH 포맷 2/2a/2b 에서는 CAZAC 시퀀스에 의한 변조를 지원하고, QPSK 변조된 심볼이 길이 12 의 CAZAC 시퀀스로 승산된다.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CS)는 심볼 및 슬롯 간에 변경된다. DMRS에 대해서 직교 커버링이 사용된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7 개의 SC-FDMA 심볼 중 3개의 SC-FDMA 심볼 간격만큼 떨어진 2개의 SC-FDMA 심볼에는 참조신호(DMRS)가 실리고, 나머지 5개의 SC-FDMA 심볼에는 CQI 정보가 실린다. 한 슬롯 안에 두 개의 RS가 사용된 것은 고속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각 단말은 순환 시프트(CS) 시퀀스를 사용하여 구분된다. CQI 정보 심볼들은 SC-FDMA 심볼 전체에 변조되어 전달되고, SC-FDMA 심볼은 하나의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단말은 각 시퀀스로 CQI를 변조해서 전송한다.
하나의 TTI에 전송할 수 있는 심볼 수는 10개이고, CQI 정보의 변조는 QPSK까지 정해져 있다. SC-FDMA 심볼에 대해 QPSK 매핑을 사용하는 경우 2비트의 CQI 값이 실릴 수 있으므로, 한 슬롯에 10비트의 CQI 값을 실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서브프레임에 최대 20비트의 CQI 값을 실을 수 있다. CQI 정보를 주파수 영역에서 확산시키기 위해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를 사용한다.
주파수 영역 확산 부호로는 길이-12 의 CAZAC 시퀀스(예를 들어, ZC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제어채널은 서로 다른 순환 시프트(cyclic shift) 값을 갖는 CAZAC 시퀀스를 적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 확산된 CQI 정보에 IFFT가 수행된다.
12 개의 동등한 간격을 가진 순환 시프트에 의해서 12 개의 상이한 단말들이 동일한 PUCCH RB 상에서 직교 다중화될 수 있다. 일반 CP 경우에 SC-FDMA 심볼 1 및 5 상의 (확장된 CP 경우에 SC-FDMA 심볼 3 상의) DMRS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 상의 CQI 신호 시퀀스와 유사하지만 CQI 정보와 같은 변조가 적용되지는 않는다.
단말은 PUCCH 자원 인덱스()로 지시되는 PUCCH 자원 상에서 주기적으로 상이한 CQI, PMI 및 RI 타입을 보고하도록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하여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PUCCH 자원 인덱스() 는 PUCCH 포맷 2/2a/2b 전송에 사용되는 PUCCH 영역 및 사용될 순환 시프트(CS) 값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이하, PUCCH 포맷 1a 및 1b에 대하여 설명한다.
PUCCH 포맷 1a/1b에 있어서 BPSK 또는 QPSK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된 심볼은 길이 12 의 CAZAC 시퀀스로 승산(multiply)된다. 예를 들어, 변조 심볼 d(0)에 길이 N 의 CAZAC 시퀀스 r(n) (n=0, 1, 2, ..., N-1)가 승산된 결과는 y(0), y(1), y(2), ..., y(N-1) 이 된다. y(0), ..., y(N-1) 심볼들을 심볼 블록(block of symbo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변조 심볼에 CAZAC 시퀀스를 승산한 후에, 직교 시퀀스를 이용한 블록-단위(block-wise) 확산이 적용된다.
일반 ACK/NACK 정보에 대해서는 길이 4의 하다마드(Hadamard) 시퀀스가 사용되고, 짧은(shortened) ACK/NACK 정보 및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에 대해서는 길이 3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시퀀스가 사용된다.
확장된 CP의 경우의 참조신호에 대해서는 길이 2의 하다마드 시퀀스가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 CP의 경우에 ACK/NACK 채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CQI 없이 HARQ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채널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7 개의 SC-FDMA 심볼 중 중간 부분의 3개의 연속되는 SC-FDMA 심볼에는 참조신호(RS)가 실리고, 나머지 4 개의 SC-FDMA 심볼에는 ACK/NACK 신호가 실린다.
한편, 확장된 CP 의 경우에는 중간의 2 개의 연속되는 심볼에 RS 가 실릴 수 있다. RS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는 제어채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된 ACK/NACK 신호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 및 위치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1 비트 및 2 비트의 확인응답 정보(스크램블링되지 않은 상태)는 각각 BPSK 및 QPSK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하나의 HARQ ACK/NACK 변조 심볼로 표현될 수 있다. 긍정확인응답(ACK)은 '1' 로 인코딩될 수 있고, 부정확인응답(NACK)은 '0'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할당되는 대역 내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할 때, 다중화 용량을 높이기 위해 2 차원 확산이 적용된다. 즉, 다중화할 수 있는 단말 수 또는 제어 채널의 수를 높이기 위해 주파수 영역 확산과 시간 영역 확산을 동시에 적용한다.
ACK/NACK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확산시키기 위해 주파수 영역 시퀀스를 기본 시퀀스로 사용한다. 주파수 영역 시퀀스로는 CAZAC 시퀀스 중 하나인 Zadoff-Chu (ZC)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시퀀스인 ZC 시퀀스에 서로 다른 순환 시프트(CS: Cyclic Shift)가 적용됨으로써, 서로 다른 단말 또는 서로 다른 제어 채널의 다중화가 적용될 수 있다. HARQ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RB 들을 위한 SC-FDMA 심볼에서 지원되는 CS 자원의 개수는 셀-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다.
주파수 영역 확산된 ACK/NACK 신호는 직교 확산(spreading) 코드를 사용하여 시간 영역에서 확산된다. 직교 확산 코드로는 월시-하다마드(Walsh-Hadamard) 시퀀스 또는 DFT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K/NACK 신호는 4 심볼에 대해 길이 4의 직교 시퀀스(w0, w1, w2, w3)를 이용하여 확산될 수 있다. 또한, RS도 길이 3 또는 길이 2의 직교 시퀀스를 통해 확산시킨다. 이를 직교 커버링(OC: Orthogonal Covering)이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CS 자원 및 시간 영역에서의 OC 자원을 이용해서 다수의 단말들이 코드분할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즉, 동일한 PUCCH RB 상에서 많은 개수의 단말들의 ACK/NACK 정보 및 RS 가 다중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 영역 확산 CDM 에 대해서, ACK/NACK 정보에 대해서 지원되는 확산 코드들의 개수는 RS 심볼들의 개수에 의해서 제한된다. 즉, RS 전송 SC-FDMA 심볼들의 개수는 ACK/NACK 정보 전송 SC-FDMA 심볼들의 개수보다 적기 때문에, RS 의 다중화 용량(capacity)이 ACK/NACK 정보의 다중화 용량에 비하여 적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 CP 의 경우에 4 개의 심볼에서 ACK/NACK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데, ACK/NACK 정보를 위하여 4 개가 아닌 3개의 직교 확산 코드가 사용되며, 이는 RS 전송 심볼의 개수가 3 개로 제한되어 RS 를 위하여 3 개의 직교 확산 코드만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 CP 의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에서 3 개의 심볼이 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고 4 개의 심볼이 ACK/NACK 정보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에서 6 개의 순환시프트(CS) 및 시간 영역에서 3개의 직교커버(OC)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면, 총 18 개의 상이한 단말로부터의 HARQ 확인응답이 하나의 PUCCH RB 내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만약, 확장된 CP 의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에서 2 개의 심볼이 RS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고 4 개의 심볼이 ACK/NACK 정보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에서 6 개의 순환시프트(CS) 및 시간 영역에서 2 개의 직교커버(OC)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면, 총 12 개의 상이한 단말로부터의 HARQ 확인응답이 하나의 PUCCH RB 내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PUCCH 포맷 1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케줄링 요청(SR)은 단말이 스케줄링되기를 요청하거나 또는 요청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송된다. SR 채널은 PUCCH 포맷 1a/1b 에서의 ACK/NACK 채널 구조를 재사용하고, ACK/NACK 채널 설계에 기초하여 OOK(On-Off Keying) 방식으로 구성된다. SR 채널에서는 참조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 CP 의 경우에는 길이 7 의 시퀀스가 이용되고, 확장된 CP 의 경우에는 길이 6 의 시퀀스가 이용된다. SR 및 ACK/NACK 에 대하여 상이한 순환 시프트 또는 직교 커버가 할당될 수 있다. 즉, 긍정(positive) SR 전송을 위해 단말은 SR용으로 할당된 자원을 통해 HARQ ACK/NACK을 전송한다. 부정(negative) SR 전송을 위해서는 단말은 ACK/NACK용으로 할당된 자원을 통해 HARQ ACK/NACK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개선된-PUCCH(e-PUCCH)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다. e-PUCCH는 LTE-A 시스템의 PUCCH 포맷 3에 대응할 수 있다. PUCCH 포맷 3을 이용한 ACK/NACK 전송에는 블록 확산(block spreading)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블록 확산 기법은, 기존의 PUCCH 포맷 1 계열 또는 2 계열과는 달리, 제어 신호 전송을 SC-FDMA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볼 시퀀스가 OCC(Orthogonal Cover Code)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domain) 상에서 확산되어 전송될 수 있다. OCC를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RB 상에 복수개의 단말들의 제어 신호들이 다중화될 수 있다. 전술한 PUCCH 포맷 2의 경우에는 하나의 심볼 시퀀스가 시간 영역에 걸쳐서 전송되고 CAZAC 시퀀스의 CS(cyclic shift)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들의 제어 신호들이 다중화되는 반면, 블록 확산 기반 PUCCH 포맷(예를 들어, PUCCH 포맷 3)의 경우에는 하나의 심볼 시퀀스가 주파수 영역에 걸쳐서 전송되고, OCC를 이용한 시간 영역 확산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단말들의 제어 신호들이 다중화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슬롯 동안 5 개의 SC-FDMA 심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서는 1 슬롯 동안에 하나의 심볼 시퀀스에 길이=5 (또는 SF=5)의 OCC를 이용하여 5 개의 SC-FDMA 심볼(즉, 데이터 부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1 슬롯 동안 2 개의 RS 심볼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RS 심볼은 특정 순환 시프트 값이 적용된 CAZAC 시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RS 심볼에 걸쳐 소정의 OCC가 적용된 (또는 곱해진)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예시에서 각각의 OFDM 심볼(또는 SC-FDMA 심볼) 별로 12 개의 변조 심볼이 사용되고, 각각의 변조 심볼은 QPSK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하나의 슬롯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는 12x2=24 비트가 된다. 따라서, 2개의 슬롯으로 전송할 수 있는 비트수는 총 48비트가 된다. 이와 같이 블록 확산 방식의 PUCCH 채널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PUCCH 포맷 1계열 및 2 계열에 비하여 확장된 크기의 제어 정보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캐리어 병합 일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고려하는 통신 환경은 멀티 캐리어(Multi-carrier) 지원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 또는 캐리어 병합(CA: Carrier Aggregation) 시스템이라 함은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해서, 목표로 하는 광대역을 구성할 때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병합(aggregation)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 캐리어는 캐리어의 병합(또는, 반송파 집성)을 의미하며, 이때 캐리어의 병합은 인접한(contiguous) 캐리어 간의 병합뿐 아니라 비 인접한(non-contiguous) 캐리어 간의 병합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DL CC'라 한다.) 수와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UL CC'라 한다.)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캐리어 병합은 반송파 집성,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 스펙트럼 집성(spectrum aggregation) 등과 같은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은 LTE-A 시스템에서는 100MHz 대역폭까지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캐리어를 결합할 때, 결합하는 캐리어의 대역폭은 기존 IMT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유지를 위해서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존의 3GPP LTE 시스템에서는 {1.4, 3, 5, 10, 15, 20}MHz 대역폭을 지원하며, 3GPP LTE-advanced 시스템(즉, LTE-A)에서는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의 대역폭들만을 이용하여 20M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과 상관없이 새로운 대역폭을 정의하여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한다.
상술한 캐리어 병합 환경은 다중 셀(multiple cells) 환경으로 일컬을 수 있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DL CC)과 상향링크 자원(UL CC) 한 쌍의 조합으로 정의되나, 상향링크 자원은 필수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셀은 하향링크 자원 단독, 또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단말이 단 하나의 설정된 서빙 셀(configured serving cell)을 가지는 경우 1개의 DL CC와 1개의 UL CC를 가질 수 있으나, 특정 단말이 2개 이상의 설정된 서빙 셀을 가지는 경우에는 셀의 수만큼의 DL CC를 가지며 UL CC의 수는 그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DL CC와 UL CC가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특정 단말이 다수의 설정된 서빙 셀을 가지는 경우 DL CC의 수보다 UL CC가 더 많은 캐리어 병합 환경도 지원될 수 있다. 즉,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은 각각 캐리어 주파수(셀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셀들의 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으로서의 '셀'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및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P셀과 S셀은 서빙 셀(Serving Cell)로 사용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캐리어 병합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P셀로만 구성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반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캐리어 병합이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체 서빙 셀에는 P셀과 하나 이상의 S셀이 포함된다.
서빙 셀(P셀과 S셀)은 RRC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PhysCellId는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로 0부터 503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SCellIndex는 S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로 1부터 7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ServCellIndex는 서빙 셀(P셀 또는 S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로 0부터 7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0값은 P셀에 적용되며, SCellIndex는 S셀에 적용하기 위하여 미리 부여된다. 즉, ServCellIndex에서 가장 작은 셀 ID (또는 셀 인덱스)을 가지는 셀이 P셀이 된다.
P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또는, prim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한다. 단말이 초기 연결 설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P셀은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 제어관련 통신의 중심이 되는 셀을 의미한다. 즉, 단말은 자신의 P셀에서만 PUCCH를 할당 받아 전송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거나 모니터링 절차를 변경하는데 P셀만을 이용할 수 있다.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은 캐리어 병합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상위 계층의 RRC 연결 재설정(RRCConnectionReconfiguta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P셀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S셀은 세컨더리 주파수(또는, Second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단말에 P셀은 하나만 할당되며, S셀은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S셀은 RRC 연결이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에서 P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 즉 S셀에는 PUCCH가 존재하지 않는다. E-UTRAN은 S셀을 캐리어 병합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추가할 때,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관련된 셀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 정보를 특정 시그널(dedicated signal)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은 관련된 S셀의 해제 및 추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때 상위 계층의 RRC 연결 재설정 (RRCConnectionReconfiguta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E-UTRAN은 관련된 S셀 안에서 브로드캐스트하기 보다는 단말 별로 상이한 파라미터를 가지는 특정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 할 수 있다.
초기 보안 활성화 과정이 시작된 이후에, E-UTRAN은 연결 설정 과정에서 초기에 구성되는 P셀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S셀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P셀 및 S셀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는 P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는 S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및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일 캐리어 구조를 나타낸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DL CC와 UL CC가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2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b)는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의 (b)의 경우에 20MHz의 주파수 크기를 갖는 3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DL CC와 UL CC가 각각 3 개씩 있으나, DL CC와 UL CC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병합의 경우 단말은 3개의 CC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셀에서 N개의 DL CC가 관리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단말에 M (M≤N)개의 DL C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 개의 제한된 DL CC 만을 모니터링하고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L (L≤M≤N)개의 DL CC에 우선순위를 주어 주된 DL CC를 단말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UE는 L 개의 DL CC는 반드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DL CC)와 상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2)에 의해서 정의되는 링키지에 의해서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키지는 UL 그랜트를 나르는 PDCCH가 전송되는 DL CC와 상기 UL 그랜트를 사용하는 U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HARQ를 위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DL CC(또는 UL CC)와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UL CC(또는 D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는 캐리어(또는 반송파) 또는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한 스케줄링 관점에서 자가 스케줄링(Self-Scheduling) 방법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크로스 컴포넌트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omponent Carrier Scheduling) 또는 크로스 셀 스케줄링(Cross Cell Scheduling)으로 일컬을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PDCCH(DL Grant)와 PDSCH가 각각 다른 DL CC로 전송되거나, DL CC에서 전송된 PDCCH(UL Grant)에 따라 전송되는 PUSCH가 UL 그랜트를 수신한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여부는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signaling)을 통해서 반정적(semi-static)으로 각 단말 별로 알려질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 PDCCH에 해당 PDCCH가 지시하는 PDSCH/PUSCH가 어느 DL/UL CC를 통해서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캐리어 지시자 필드(CIF: Carrier Indicator Fiel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PDCCH는 PDSCH 자원 또는 PUSCH 자원을 CIF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즉,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다중 집성된 DL/UL CC 중 하나에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CIF가 설정된다. 이 경우, LTE-A Release-8의 DCI 포맷은 CIF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CIF는 3bit 필드로 고정되거나, 설정된 CIF의 위치는 DCI 포맷 크기와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LTE-A Release-8의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동일한 DL CC 상에서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거나 단일 링크된 UL CC 상에서의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CIF가 설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LTE-A Release-8과 동일한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와 DCI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가능할 때, 단말은 CC별 전송 모드 및/또는 대역폭에 따라 모니터링 CC의 제어영역에서 복수의 DCI에 대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검색 공간의 구성과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 단말 DL CC 집합은 단말이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된 DL CC의 집합을 나타내고, 단말 UL CC 집합은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된 U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PDCCH 모니터링 집합(monitoring set)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과 같거나, 단말 DL CC 집합의 부집합(subset)일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내의 DL CC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에 상관없이 별개로 정의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포함되는 DL CC는 링크된 UL CC에 대한 자기-스케줄링(self-scheduling)은 항상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DL CC 집합, 단말 UL CC 집합 및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특정(UE-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설정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항상 단말 DL CC 집합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과 같은 지시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단말 DL CC 집합 내에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에 대하여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집합만을 통해 PDCCH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LTE-A 단말을 위한 DL 서브프레임은 3개의 DL CC가 결합되어 있으며, DL CC 'A'는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CIF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각 DL CC는 CIF 없이 자신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CIF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되는 경우, 단 하나의 DL CC 'A'만이 CIF를 이용하여 자신의 PDSCH 또는 다른 CC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되지 않은 DL CC 'B' 와 'C'는 PDCCH를 전송하지 않는다.
ACK/NACK 멀티플렉싱 방법
단말이 eNB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데이터 유닛들에 해당하는 다수의 ACK/NACK들을 동시에 전송해야 하는 상황에서, ACK/NACK 신호의 단일-주파수 특성을 유지하고, ACK/NACK 전송 전력을 줄이기 위해, PUCCH 자원 선택에 기초한 ACK/NACK 다중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ACK/NACK 다중화와 함께, 다수의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ACK/NACK 응답들의 콘텐츠들은 실제 ACK/NACK 전송에 사용되는 PUCCH 자원과 QPSK 변조 심볼들의 자원의 결합에 의해 식별된다.
예를 들어, 만일 하나의 PUCCH 자원이 4 비트를 전송하고 4개의 데이터 유닛들이 최대 전송될 수 있는 경우, ACK/NACK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이 eNB에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 HARQ-ACK(i)는 i번째 데이터 유닛(data unit)에 대한 ACK/NACK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표 3에서 DTX(DTX(Discontinuous Transmission)는 해당되는 HARQ-ACK(i)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 유닛이 없거나 단말이 HARQ-ACK(i)에 대응하는 데이터 유닛을 검출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ACK/NACK 채널 선택에서, 적어도 하나의 ACK이 있으면, NACK과 DTX는 짝지워진다(couple). 이는 예약된(reserved) PUCCH 자원과 QPSK 심벌의 조합으로는 모든 ACK/NACK 상태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ACK이 없으면, DTX는 NACK과 분리된다(decouple).
이 경우, 한 개의 명확한 NACK에 해당하는 데이터 유닛에 링크된 PUCCH 자원은 다수의 ACK/NACK들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한 예약될 수 있다.
반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은 특정 단말에게 자원을 특정 시구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식이다.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이 특정 시간 동안 일정량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자원할당을 위해 매 데이터 전송 구간 마다 제어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SPS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정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소위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방법에서는 단말에게 자원이 할당될 수 있는 시간 자원 영역을 우선 할당한다.
이때, 반지속적 할당 방법에서는 특정 단말에게 할당되는 시간 자원 영역이 주기성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필요에 따라 주파수 자원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완성한다. 이렇게 주파수 자원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소위 활성화(Activation)라고 지칭할 수 있다. 반지속적 할당 방법을 사용하면, 한 번의 시그널링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자원 할당이 유지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자원할당을 할 필요가 없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할당이 필요 없어지게 되면 주파수 자원 할당을 해제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주파수 자원 영역의 할당을 해제(release)하는 것을 비활성화(Deactivation)라고 지칭할 수 있다.
현재 LTE에서는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에 대한 SPS를 위해 우선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어느 서브프레임들에서 SPS 송신/수신을 해야 하는지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즉, RRC 시그널링을 통해 SPS를 위해 할당되는 시간-주파수 자원 중 시간 자원을 우선 지정해준다.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알려주기 위해, 예컨대 서브프레임의 주기와 오프셋을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는 시간 자원 영역만 할당 받기 때문에, RRC 시그널링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바로 SPS에 의한 송수신을 수행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주파수 자원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완성한다. 이렇게 주파수 자원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활성화(Activation)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주파수 자원 영역의 할당을 해제(release)하는 것을 비활성화(Deactivation)라고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한 뒤에, 그 수신된 PDCCH에 포함된 RB 할당 정보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고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에 따른 변조(Modulation) 및 부호율(Code Rate)을 적용하여, 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 할당 받은 서브프레임 주기와 오프셋에 따라 송수신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활성화를 알리는 PDCCH를 수신하면 송수신을 중단한다. 만일 송수신을 중단한 이후에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하면 그 PDCCH에서 지정한 RB 할당, MCS 등을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으로 할당 받은 서브프레임 주기와 오프셋을 가지고 다시 송수신을 재개한다. 즉, 시간 자원의 할당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되지만, 실제 신호의 송수신은 SPS의 활성화 및 재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신호 송수신의 중단은 SPS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다.
단말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SPS 지시를 포함하는 PDCCH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로 PDCCH 페이로드를 위해 추가된 CRC 패리티 비트가 SPS C-RNTI로 스크램블되어야 하고, 둘째로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DI: New Data Indicator) 필드가 0으로 셋팅되어야 한다. 여기서, DCI 포맷 2, 2A, 2B 및 2C의 경우,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필드는 활성화된 전송 블록의 하나를 나타낸다.
그리고, DCI 포맷에 사용되는 각 필드가 아래 표 4 및 표 5에 따라 셋팅되면 확인이 완료된다. 이러한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은 수신한 DCI 정보를 유효한 SPS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또는 해제)임을 인식한다. 반면, 확인이 완료되지 않으면, 단말은 수신한 DCI 포맷에 비매칭(non-matching) CRC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표 4는 SPS 활성화를 지시하는 PDCCH 확인을 위한 필드를 나타낸다.
표 5는 SPS 비활성화(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PDCCH 확인을 위한 필드를 나타낸다.
DCI 포맷이 SPS 하향링크 스케줄링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PUCCH 필드를 위한 TPC 명령 값은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된 4개의 PUCCH 자원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다.
PUCCH piggybacking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L-SCH의 전송 채널 프로세싱의 일례를 나타낸다.
3GPP LTE 시스템(=E-UTRA, Rel. 8)에서는 UL의 경우, 단말기의 파워앰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파워 앰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특성이나 CM(Cubic Metric) 특성이 좋은 single carrier 전송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기존 LTE 시스템의 PUSCH 전송의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DFT-precoding을 통해 single carrier 특성을 유지하고, PUCCH 전송의 경우는 single carrier 특성을 가지고 있는 sequence에 정보를 실어 전송함으로써 single carrier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DET-precoding을 한 데이터를 주파수축으로 비연속적으로 할당하거나 PUSCH와 PUCCH가 동시에 전송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single carrier 특성이 깨지게 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PUCCH 전송과 동일한 subframe에 PUSCH 전송이 있을 경우, single carrier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PUCCH로 전송할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정보를 PUSCH를 통해 데이터와 함께 전송(Piggyback)하도록 되어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기존의 LTE 단말은 PUCCH와 PUSCH가 동시에 전송될 수 없기 때문에 PUSCH가 전송되는 subframe에서는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CQI/PMI, HARQ-ACK, RI등)를 PUSCH 영역에 multiplexing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일례로, PUSCH를 전송하도록 allocation 된 subframe에서 Channel Quality Indicator(CQI) and/or Precoding Matrix Indicator(PMI)를 전송해야 할 경우 UL-SCH data와 CQI/PMI를 DET-spreading 이전에 multiplexing하여 control 정보와 data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L-SCH data는 CQI/PMI resource를 고려하여 rate-matching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HARQ ACK, RI등의 control 정보는 UL-SCH data를 puncturing하여 PUSCH 영역에 multiplexing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상향링크 공유채널의 신호 처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상향링크 공유채널(이하, 'UL-SCH'라 한다.)의 신호 처리 과정은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 또는 제어정보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UL-SCH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마다 한번씩 데이터를 전송 블록(TB: Transport Block)의 형태로 부호화 유닛(conding unit)에 전달된다.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 받은 전송 블록의 비트 a 0,a 1,a 2,a 3,...,a A-1 에 CRC 패리티 비트(parity bit) p 0,p 1,p 2,p 3,...,p L-1 를 부착한다(S120). 이때, A는 전송 블록의 크기이며, L은 패리티 비트의 개수다. CRC가 부착된 입력 비트는 b 0,b 1,b 2,b 3,...,b B-1 과 같다. 이때, B는 CRC를 포함한 전송 블록의 비트 수를 나타낸다.
b 0,b 1,b 2,b 3,...,b B-1 는 TB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코드 블록(CB: Code block)으로 분할(segmentation)되고, 분할된 여러 개의 CB들에 CRC가 부착된다(S121). 코드 블록 분할 및 CRC 부착 후 비트는 과 같다. 여기서 r은 코드 블록의 번호(r=0,...,C-1)이고, K r은 코드 블록 r에 따른 비트 수이다. 또한, C는 코드 블록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어,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가 수행된다(S122). 채널 부호화 후의 출력 비트는 과 같다. 이때, i는 부호화된 스트림 인덱스이며, 0, 1 또는 2 값을 가질 수 있다. D r은 코드 블록 r을 위한 i번째 부호화된 스트림의 비트 수를 나타낸다. r은 코드 블록 번호(r=0,...,C-1)이고, C는 코드 블록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각 코드 블록은 각각 터보 코딩에 의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이어,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된다(S123). 레이트 매칭을 거친 이후의 비트는 과 같다. 이때, r은 코드 블록의 번호이고(r=0,...,C-1), C는 코드 블록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E r은 r번째 코드 블록의 레이트 매칭된 비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어, 다시 코드 블록들 간의 결합(concatenation)이 수행된다(S124). 코드 블록의 결합이 수행된 후의 비트는 f 0,f 1,f 2,f 3,...,f G-1 과 같다. 이때, G는 전송을 위한 부호화된 비트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제어정보가 UL-SCH 전송과 다중화될 때, 제어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비트 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PUSCH에서 제어정보가 전송될 때, 제어정보인 CQI/PMI, RI, ACK/NACK은 각각 독립적으로 채널 부호화가 수행된다(S126, S127, S128). 각 제어정보의 전송을 위해 각각 서로 다른 부호화된 심볼들이 할당되기 때문에 각각의 제어정보는 서로 다른 코딩 레이트(coding rate)를 가진다.
TDD(Time Division Duplex)에서 ACK/NACK 피드백(feedback) 모드는 상위 계층 설정에 의해 ACK/NACK 번들링(bundling) 및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 두 가지 모드가 지원된다. ACK/NACK 번들링을 위해 ACK/NACK 정보 비트는 1비트 또는 2비트로 구성되고, ACK/NACK 다중화를 위해 ACK/NACK 정보 비트는 1비트에서 4비트 사이로 구성된다.
S134 단계에서 코드 블록 간 결합 단계 이후에, UL-SCH 데이터의 부호화된 비트 f 0,f 1,f 2,f 3,...,f G-1 와 CQI/PMI의 부호화된 비트 의 다중화가 수행된다(S125). 데이터와 CQI/PMI의 다중화된 결과는 과 같다. 이때, 는 (Q m·N L) 길이를 가지는 컬럼(column) 벡터를 나타낸다. H = (G+N L·Q CQI) 이고, H' = H/(N L·Q m) 이다. N L 은 UL-SCH 전송 블록이 매핑된 레이어의 개수를 나타내고, H는 전송 블록이 매핑된 N L 개 전송 레이어에 UL-SCH 데이터와 CQI/PMI 정보를 위해 할당된 부호화된 총 비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어, 다중화된 데이터와 CQI/PMI, 별도로 채널 부호화된 RI, ACK/NACK은 채널 인터리빙되어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S129).
MIMO(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술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한 개의 송신안테나와 한 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했던 것에서 탈피하여, 다중 송신(Tx) 안테나와 다중 수신(Rx) 안테나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MIMO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서 다중 입출력 안테나를 사용하여 용량 증대 또는 성능 개성을 꾀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MIMO'를 '다중 입출력 안테나'라 칭하기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다중 입출력 안테나 기술은 하나의 완전한 메시지(total message)를 수신하기 위하여 한 개의 안테나 경로에 의존하지 않으며,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 조각을 수집하여 완전한 데이터를 완성시킨다. 결과적으로, 다중 입출력 안테나 기술은 특정 시스템 범위 내에서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특정 데이터 전송율을 통해 시스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은 기존 이동통신에 비해 훨씬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므로 효율적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MIMO 통신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과 중계기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며, 데이터 통신 확대 등으로 인해 한계 상황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의 전송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편, 현재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전송효율 향상 기술 중 다중 입출력 안테나(MIMO) 기술은 추가적인 주파수 할당이나 전력증가 없이도 통신 용량 및 송수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현재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3은 일반적인 다중 입출력 안테나(MIMO)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안테나의 수를 NT개로, 수신 안테나의 수를 NR개로 동시에 늘리게 되면, 송신기나 수신기에서만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와 달리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이론적인 채널 전송 용량이 증가하므로, 전송 레이트(transfer rate)를 향상시키고, 주파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전송 용량의 증가에 따른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의 최대 전송 레이트(Ro)에 다음과 같은 레이트 증가율(Ri)이 곱해진 만큼으로 이론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4개의 송신 안테나와 4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이론상 4배의 전송 레이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 입출력 안테나의 기술은 다양한 채널 경로를 통과한 심볼들을 이용하여 전송 신뢰도를 높이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방식과,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이터 심볼을 동시에 송신하여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공간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결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적절히 얻고자 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도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각각의 방식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공간 다이버시티 방식의 경우에는 시공간 블록 부호 계열과, 다이버시티 이득과 부호화 이득을 동시에 이용하는 시공간 트렐리스(Trelis) 부호 계열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트 오류율 개선 성능과 부호 생성 자유도는 트렐리스 부호 방식이 우수하지만, 연산 복잡도는 시공간 블록 부호가 간단하다. 이와 같은 공간 다이버서티 이득은 송신 안테나 수(NT)와 수신 안테나 수(NR)의 곱(NT × NR)에 해당되는 양을 얻을 수 있다.
둘째로, 공간 멀티플렉싱 기법은 각 송신 안테나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열을 송신하는 방법인데, 이때 수신기에서는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전송된 데이터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수신기에서는 이 간섭을 적절한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수신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잡음 제거 방식은 MLD(maximum likelihood detection) 수신기, ZF(zero-forcing) 수신기,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수신기, D-BLAST (Diagonal-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V-BLAST(Vertical-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Time) 등이 있으며, 특히 송신단에서 채널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로, 공간 다이버시티와 공간 멀티플렉싱의 결합된 기법을 들 수 있다.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만을 얻을 경우 다이버시티 차수의 증가에 따른 성능개선 이득이 점차 포화되며,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만을 취하면 무선 채널에서 전송 신뢰도가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면서 두 가지 이득을 모두 얻는 방식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 중 시공간 블록 부호 (Double-STTD), 시공간 BICM(STBICM) 등의 방식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중 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개의 송신 안테나와 NR개의 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송신 신호에 대해 살펴보면, 이와 같이 NT개의 송신 안테나가 있는 경우 최대 전송 가능한 정보는 NT개 이므로, 이를 다음과 같은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전송 정보 s1, s2, ..., sNT에 있어 전송 전력을 달리 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전송 전력을 P1, P2, ..., PNT라 하면, 전송 전력이 조정된 전송 정보는 다음과 같은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전송 전력이 조정된 정보 벡터 는 그 후 가중치 행렬 W가 곱해져 실제 전송되는 NT개의 전송 신호 x1, x2, ..., xNT를 구성한다. 여기서, 가중치 행렬은 전송 채널 상황 등에 따라 전송 정보를 각 안테나에 적절히 분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송 신호 x1, x2, ..., xNT를 벡터 x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ij는 i번째 송신 안테나와 j번째 전송 정보간의 가중치를 나타내며, W는 이를 행렬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행렬 W를 가중치 행렬(Weight Matrix) 또는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라 부른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전송 신호(x)는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경우와 공간 멀티플랙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공간 멀티플랙싱을 사용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신호를 다중화하여 보내게 되므로, 정보 벡터 s의 원소들이 모두 다른 값을 가지게 되는 반면,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게 되면 같은 신호를 여러 채널 경로를 통하여 보내게 되므로 정보 벡터 s의 원소들이 모두 같은 값을 갖게 된다.
물론, 공간 멀티플랙싱과 공간 다이버시티를 혼합하는 방법도 고려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3 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같은 신호를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나머지는 각각 다른 신호를 공간 멀티플랙싱하여 보내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신호는 NR개의 수신 안테나가 있는 경우, 각 안테나의 수신신호 y1, y2, ..., yNR을 벡터 y로 다음과 같이 나타내기로 한다.
한편, 다중 입출력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을 모델링하는 경우, 각각의 채널은 송수신 안테나 인덱스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송신 안테나 j로부터 수신 안테나 i를 거치는 채널을 hij로 표시하기로 한다. 여기서, hij의 인덱스의 순서가 수신 안테나 인덱스가 먼저, 송신안테나의 인덱스가 나중임에 유의한다.
이러한 채널은 여러 개를 한데 묶어서 벡터 및 행렬 형태로도 표시 가능하다. 벡터 표시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하나의 수신 안테나로의 채널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NT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안테나 i로 도착하는 채널은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학식 7과 같은 행렬 표현을 통해 NT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NR개의 수신 안테나를 거치는 채널을 모두 나타내는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실제 채널은 위와 같은 채널 행렬 H를 거친 후에 백색 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가 더해지게 되므로, NR개의 수신 안테나 각각에 더해지는 백색 잡음 n1, n2, ..., nNR을 백터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송 신호, 수신 신호, 채널, 및 백색 잡음의 모델링을 통해 다중 입출력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각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행렬 H의 행과 열의 수는 송수신 안테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채널 행렬 H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행의 수는 수신 안테나의 수 NR과 같아지고, 열의 수는 송신 안테나의 수 NR와 같아 지게 된다. 즉, 채널 행렬 H는 NR×NR 행렬이 된다.
일반적으로, 행렬의 랭크(rank)는 서로 독립인(independent) 행 또는 열의 개수 중에서 최소 개수로 정의된다. 따라서, 행렬의 랭크는 행 또는 열의 개수보다 클 수 없게 된다. 수식적으로 예를 들면, 채널 행렬 H의 랭크(rank(H))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또한, 행렬을 고유치 분해(Eigen value decomposition)를 하였을 때, 랭크는 고유치(eigen value)들 중에서 0이 아닌 고유치들의 개수로 정의할 수 있다. 비슷한 방법으로, 랭크를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 했을 때 0이 아닌 특이값(singular value)들의 개수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행렬에서 랭크의 물리적인 의미는 주어진 채널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최대 수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 MIMO 전송에 대한 '랭크(Rank)'는 특정 시점 및 특정 주파수 자원에서 독립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나타내며, '레이어(layer)의 개수'는 각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송신단은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랭크 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레이어를 전송하기 때문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랭크는 레이어 개수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신호는 전송 중에 왜곡될 수 있다. 수신단에서 왜곡된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의 왜곡은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되어야 한다. 채널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알고 있는 신호 전송 방법과 신호가 채널을 통해 전송될 때 왜곡된 정도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한다. 상술한 신호를 파일럿 신호 또는 참조 신호(RS)라고 한다.
다중 입출력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간의 채널 상태가 검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는 개별적인 참조 신호를 가져야 한다.
하향 참조 신호는 하나의 셀 내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공통 참조 신호(CRS: common RS)와 특정 단말만을 위한 전용 참조 신호(DRS: dedicated RS)가 있다. 이와 같은 참조 신호들을 이용하여 복조(demodulation)와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측(즉, 단말)은 CRS로부터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및/또는 RI(Rank Indicator)와 같은 채널 품질과 관련된 지시자를 송신 측(즉,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CRS는 셀 특정 기준신호(cell-specific RS)라고도 한다. 반면,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의 피드백과 관련된 참조 신호를 CSI-RS라고 정의할 수 있다.
DRS는 PDSCH 상의 데이터 복조가 필요한 경우 자원 요소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계층을 통하여 DRS의 존재 여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응하는 PDSCH가 매핑되었을 때만 유효하다. DRS를 단말 특정 참조 신호(UE-specific RS) 또는 복조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S)라고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블록 쌍에 매핑된 참조 신호 패턴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 신호가 매핑되는 단위로 하향링크 자원 블록 쌍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 프레임 ×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 반송파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시간 축(x축) 상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 쌍은 일반 순환 전치(normal CP: normal Cyclic Prefix) 인 경우 14개의 OFDM 심볼의 길이를 가지고(도 15의 (a)의 경우),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P: 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 12개의 OFDM 심볼의 길이를 가진다(도 15의 (b)의 경우). 자원 블록 격자에서 '0', '1', '2' 및 '3'으로 기재된 자원 요소들(REs)은 각각 안테나 포트 인덱스 '0', '1', '2' 및 '3'의 CRS의 위치를 의미하며, 'D'로 기재된 자원 요소들은 DRS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하 CRS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CRS는 물리적 안테나의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셀 내에 위치한 모든 단말에 공통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 참조 신호로써 전체 주파수 대역에 분포된다. 또한, CRS는 채널 품질 정보(CSI) 및 데이터 복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CRS는 전송 측(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배열에 따라 다양한 포맷으로 정의된다. 3GPP LTE 시스템(예를 들어, 릴리즈-8)에서는 다양한 안테나 배열을 지원하고, 하향링크 신호 송신 측은 3개의 단일의 송신 안테나, 2개의 송신 안테나 및 4개의 송신 안테나와 같이 3 종류의 안테나 배열을 가진다. 기지국이 단일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단일 안테나 포트를 위한 참조 신호가 배열된다. 기지국이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를 위한 참조 신호는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및/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배열된다. 즉, 2개의 안테나 포트를 위한 참조 신호는 각각이 구별되기 위해 서로 다른 시간 자원 및/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이 할당된다.
게다가, 기지국이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4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를 위한 참조 신호는 TDM 및/또는 FDM 방식을 이용하여 배열된다.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측(단말)에 의하여 측정된 채널 정보는 단일의 송신 안테나 전송, 송신 다이버시티, 폐쇄 루프 공간 다중화(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개방 루프 공간 다중화(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또는 다중 사용자-다중 입출력 안테나(Multi-User MIMO)와 같은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입출력 안테나가 지원되는 경우 참조 신호가 특정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전송될 때, 상기 참조 신호는 참조 신호의 패턴에 따라 특정된 자원 요소들의 위치에 전송되며, 다른 안테나 포트를 위해 특정된 자원 요소들의 위치에 전송되지 않는다. 즉, 서로 다른 안테나 사이의 참조 신호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자원 블록에 CRS를 맵핑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2에서, k 및 l 은 각각 부반송파 인덱스 및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p 는 안테나 포트를 나타낸다. 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은 하향링크에 할당된 무선 자원의 수를 나타낸다. ns 는 슬롯 인덱스를 나타내고, 은 셀 ID를 나타낸다. mod 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나타낸다. 참조 신호의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v shift 값에 따라 달라진다. v shift 는 셀 ID에 종속되므로, 참조 신호의 위치는 셀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편이(frequency shift) 값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CRS를 통해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CRS의 위치는 셀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 편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가 3개의 부 반송파의 간격으로 위치하는 경우, 하나의 셀에서의 참조 신호들은 3k 번째 부반송파에 할당되고, 다른 셀에서의 참조 신호는 3k+1 번째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의 관점에서 참조 신호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6개의 자원 요소 간격으로 배열되고, 또 다른 안테나 포트에 할당된 참조 신호와는 3개의 자원 요소 간격으로 분리된다.
시간 영역에서 참조 신호는 각 슬롯의 심볼 인덱스 0 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일 간격(constant interval)으로 배열된다. 시간 간격은 순환 전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일반 순환 전치의 경우 참조 신호는 슬롯의 심볼 인덱스 0 과 4에 위치하고, 확장 순환 전치의 경우 참조 신호는 슬롯의 심볼 인덱스 0 과 3에 위치한다. 2개의 안테나 포트 중 최대값을 가지는 안테나 포트를 위한 참조 신호는 하나의 OFDM 심볼 내에 정의된다. 따라서, 4개의 송신 안테나 전송의 경우, 참조 신호 안테나 포트 0 과 1을 위한 참조 신호는 슬롯의 심볼 인덱스 0 과 4 (확장 순환 전치의 경우 심볼 인덱스 0 과 3)에 위치하고, 안테나 포트 2 와 3을 위한 참조 신호는 슬롯의 심볼 인덱스 1에 위치한다. 안테나 포트 2 와 3을 위한 참조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위치는 2번째 슬롯에서 서로 맞바꿔진다.
이하 DRS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DRS는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중 입출력 안테나 전송에서 특정의 단말을 위해 사용되는 선행 부호화(precoding) 가중치는 단말이 참조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각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된 전송 채널과 결합되어 상응하는 채널을 추정하기 위하여 변경없이 사용된다.
3GPP LTE 시스템(예를 들어, 릴리즈-8)은 최대로 4개의 전송 안테나를 지원하고, 랭크 1 빔포밍(beamforming)을 위한 DRS가 정의된다. 랭크 1 빔포밍을 위한 DRS는 또한 안테나 포트 인덱스 5 를 위한 참조 신호를 나타낸다.
자원 블록에 DRS를 맵핑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3은 일반 순환 전치인 경우를 나타내고, 수학식 14는 확장 순환 전치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2내지 수학식 14에서, k 및 p는 각각 부반송파 인덱스 및 안테나 포트를 나타낸다. , ns, 는 각각 하향링크에 할당된 RB의 수, 슬롯 인덱스의 수, 셀 ID의 수를 나타낸다. RS의 위치는 주파수 도메인 관점에서 v shift 값에 따라 달라진다.
수학식 13 및 14에서, k 및 l 은 각각 부반송파 인덱스 및 심볼 인덱스를 나타내고, p 는 안테나 포트를 나타낸다. 은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크기를 나타내고, 부반송파의 수로써 표현된다. n PRB 은 물리 자원 블록의 수를 나타낸다. 은 PDSCH 전송을 위한 자원 블록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ns 는 슬롯 인덱스를 나타내고, 는 셀 ID를 나타낸다. mod 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나타낸다. 참조 신호의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v shift 값에 따라 달라진다. v shift 는 셀 ID에 종속되므로, 참조 신호의 위치는 셀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편이(frequency shift) 값을 가진다.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는 주로 상향링크의 주파수-선택적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채널 품질 측정에 사용되며, 상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의 전송과 관련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SRS는 전력 제어의 향상 또는 최근에 스케줄되어 있지 않은 단말들의 다양한 스타트-업(start-up)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타트-업 기능의 일례로, 초기의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기의 전력 제어, 타이밍 전진(timing advance) 및 주파수 반-선택적(semi-selective) 스케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주파수 반-선택적 스케줄링은 서브 프레임의 처음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고, 두번째 슬롯에서는 다른 주파수로 의사 랜덤(pseudo-randomly)하게 도약하여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말한다.
또한, SRS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 무선 채널이 상호적(reciprocal)인 가정하에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고, 시간 영역에서는 분리된 시분할 듀플레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특히 유효하다
셀 내에서 어떠한 단말에 의하여 전송되는 SRS의 서브 프레임들은 셀-특정 방송 신호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4비트 셀-특정 'srsSubframeConfiguration' 파라미터는 SRS가 각 무선 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15가지의 가능한 서브 프레임의 배열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열들에 의하여, 운용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따라 SRS 오버헤드(overhead)의 조정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 중 16번째 배열은 셀 내에서 완전하게 SRS의 스위치를 오프하며, 이는 주로 고속 단말들을 서빙하는 서빙 셀에 적합하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심볼을 포함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SRS는 배열된 서브 프레임 상에서 항상 마지막 SC-FDMA 심볼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SRS와 DMRS는 다른 SC-FDMA 심볼에 위치하게 된다.
PUSCH 데이터 전송은 SRS 전송을 위한 특정의 SC-FDMA 심볼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사운딩(sounding) 오버헤드가 가장 높은 경우 즉, 모든 서브 프레임에 SRS 심볼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사운딩 오버헤드는 약 7%를 초과하지 않는다.
각 SRS 심볼은 주어진 시간 단위와 주파수 대역에 관한 기본 시퀀스(랜덤 시퀀스 또는 Zadoff-Ch(ZC)에 기초한 시퀀스 세트)에 의하여 생성되고, 동일 셀 내의 모든 단말들은 동일한 기본 시퀀스를 사용한다. 이때, 동일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시간에서 동일 셀 내의 복수의 단말로부터의 SRS 전송은 기본 시퀀스의 서로 다른 순환 이동(cyclic shift)에 의해 직교(orthogonal)되어 서로 구별된다.
각각의 셀 마다 서로 다른 기본 시퀀스가 할당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셀로부터의 SRS 시퀀스가 구별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기본 시퀀스 간에 직교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LTE-advanced의 요구에 발맞춰,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CoMP 전송이 제안되었다. CoMP는 co-MIMO, collaborative MIMO, network MIMO 등으로도 불린다. CoMP는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평균 셀(섹터)의 효율(throughput)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은 주파수 재사용 지수가 1 인 다중-셀 환경에서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성능 및 평균 셀(섹터) 효율을 떨어뜨린다. 셀 간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간섭 제한적인(interference-limited) 환경에서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이 적정한 성능 효율을 가지도록 LTE 시스템에서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FFR: Fractional Frequency Reuse)과 같은 단순한 수동적인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각 셀 당 주파수 자원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대신,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신호(desired signal)로써 셀 간 간섭을 재 사용하거나 셀 간 간섭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보다 이익이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oMP 전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에 적용될 수 있는 CoMP 방식은 JP(Joint Processing) 방식과 CS/CB(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JP 방식에서, 데이터는 CoMP 단위의 각 포인트(기지국)에서 사용될 수 있다. CoMP 단위는 CoMP 방식에서 이용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JP 방식은 다시 연합 전송(joint transmission) 방식과 동적 셀 선택(dynamic cell selection)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합 전송 방식은 CoMP 단위에서 전체 또는 일부분인 복수의 포인트로부터 PDSCH를 통해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단일의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복수의 전송 포인트로부터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합 전송 방식을 통해 가간섭적(coherently) 내지 비간섭적(non-coherently)이든 무관하게 단말에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단말과의 간섭을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동적 셀 선택 방식은 CoMP 단위에서 단일의 포인트로부터 PDSCH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특정 시간에 단일의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단일의 포인트로부터 전송되고, CoMP 단위 내 다른 포인트에서는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인트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CS/CB 방식에 따르면, CoMP 단위는 단일의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협력하여 빔포밍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서빙 셀에서만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은 CoMP 단위 내의 복수의 셀 간의 협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의 경우, CoMP 수신은 지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포인트 간의 협력에 의하여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향링크에 적용될 수 있는 CoMP 방식은 JR(Joint Reception) 방식과 CS/CB(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JR 방식은 CoMP 단위에서 전체 또는 일부분인 복수의 포인트가 PDSCH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CS/CB 방식은 단일의 포인트에서만 PDSCH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나,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은 CoMP 단위 내의 복수의 셀 간의 협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 (RN: Relay Node)
릴레이 노드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두 개의 다른 링크(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를 통해 전달한다. 기지국은 도너(donor)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도너 셀을 통해 무선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한편, 릴레이 노드의 대역(또는 스펙트럼) 사용과 관련하여, 백홀 링크가 액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인-밴드(in-band)'라고 하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아웃-밴드(out-band)'라고 한다. 인-밴드 및 아웃-밴드 경우 모두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어, 릴리즈-8)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이하, 레거시(legacy) 단말이라 한다.)이 도너 셀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에서 릴레이 노드를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릴레이 노드는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릴레이 노드 또는 넌-트랜스패런트(non-transparent) 릴레이 노드로 분류될 수 있다. 트랜스패런트는 단말이 릴레이 노드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통신하는지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넌-트랜스패런트는 단말이 릴레이 노드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통신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릴레이 노드의 제어와 관련하여, 도너 셀의 일부로 구성되는 릴레이 노드 또는 스스로 셀을 제어하는 릴레이 노드로 구분될 수 있다.
도너 셀의 일부로 구성되는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 식별자(relay ID)를 가질 수는 있지만, 릴레이 노드 자신의 셀 식별자(cell identity)를 가지지 않는다.
도너 셀이 속하는 기지국에 의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되면, RRM의 나머지 부분들이 릴레이 노드에 위치하더라도 도너 셀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릴레이 노드라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릴레이 노드는 레거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리피터(Smart repeaters), 디코드-앤-포워드 릴레이 노드(decode-and-forward relays), L2(제2계층) 릴레이 노드들의 다양한 종류들 및 타입-2 릴레이 노드가 이러한 릴레이 노드에 해당한다.
스스로 셀을 제어하는 릴레이 노드의 경우에 릴레이 노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셀들을 제어하고, 릴레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 각각에 고유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가 제공된다. 또한, 릴레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 각각은 동일한 RRM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 관점에서는 릴레이 노드에 의하여 제어되는 셀에 액세스하는 것과 일반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 액세스하는 것에 차이점이 없다. 이러한 릴레이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은 레거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프-백홀링(Self-backhauling) 릴레이 노드, L3(제3계층) 릴레이 노드, 타입-1 릴레이 노드 및 타입-1a 릴레이 노드가 이러한 릴레이 노드에 해당한다.
타입-1 릴레이 노드는 인-밴드 릴레이 노드로서 복수개의 셀들을 제어하고, 이들 복수개의 셀들의 각각은 단말 입장에서 도너 셀과 구별되는 별개의 셀로 보인다. 또한, 복수개의 셀들은 각자의 물리 셀 ID(이는 LTE 릴리즈-8에서 정의됨)를 가지고, 릴레이 노드는 자신의 동기화 채널, 참조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단일-셀 동작의 경우에, 단말은 릴레이 노드로부터 직접 스케줄링 정보 및 HARQ 피드백을 수신하고 릴레이 노드로 자신의 제어 채널(스케줄링 요청(SR), CQI, ACK/NACK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단말(LTE 릴리즈-8 시스템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들에게 타입-1 릴레이 노드는 레거시 기지국(LTE 릴리즈-8 시스템에 따라 동작하는 기지국)으로 보인다. 즉,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진다. 한편, LTE-A 시스템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들에게는, 타입-1 릴레이 노드는 레거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으로 보여, 성능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타입-1a 릴레이 노드는 아웃-밴드로 동작하는 것 외에 전술한 타입-1 릴레이 노드와 동일한 특징들을 가진다. 타입-1a 릴레이 노드의 동작은 L1(제1계층) 동작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 또는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입-2 릴레이 노드는 인-밴드 릴레이 노드로서, 별도의 물리 셀 ID를 가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셀을 형성하지 않는다. 타입-2 릴레이 노드는 레거시 단말에 대해 트랜스패런트하고, 레거시 단말은 타입-2 릴레이 노드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다. 타입-2 릴레이 노드는 PDSCH를 전송할 수 있지만, 적어도 CRS 및 PDCCH는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릴레이 노드가 인-밴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 공간에서의 일부 자원이 백홀 링크를 위해 예비되어야 하고 이 자원은 액세스 링크를 위해서 사용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자원 분할(resource partitioning)이라 한다.
릴레이 노드에서의 자원 분할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가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시간분할다중화(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서 백홀 하향링크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중 하나만이 활성화된다). 유사하게, 백홀 상향링크 및 액세스 상향링크는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서 백홀 상향링크 또는 액세스 상향링크 중 하나만이 활성화된다).
FDD 에서의 백홀 링크 다중화는, 백홀 하향링크 전송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되고, 백홀 상향링크 전송은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TDD 에서의 백홀 링크 다중화는, 백홀 하향링크 전송은 기지국과 릴레이 노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되고, 백홀 상향링크 전송은 기지국과 릴레이 노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인-밴드 릴레이 노드의 경우에, 예를 들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 수신과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릴레이 노드의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릴레이 노드의 수신단에서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노드의 RF 전단(front-end)에서 신호 간섭 또는 RF 재밍(jamming)이 발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도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 노드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시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간에 충분한 분리(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지상/지하에 설치하는 것과 같이 지리적으로 충분히 이격시켜 설치함)가 제공되지 않으면 구현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신호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안은, 릴레이 노드가 도너 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즉,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의 전송에 갭(gap)을 생성하고, 이 갭 동안에는 단말(레거시 단말 포함)이 릴레이 노드로부터의 어떠한 전송도 기대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갭은 MBSFN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 자원 분할을 예시한다.
도 17에서, 첫번째 서브프레임은 일반 서브프레임으로서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 하향링크 (즉, 액세스 하향링크) 제어신호 및 데이터가 전송되고, 두번째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는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 제어 신호가 전송되지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 아무런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레거시 단말의 경우에는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의 전송을 기대하게 되므로 (다시 말하자면, 릴레이 노드는 자신의 영역 내의 레거시 단말들이 매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수신하여 측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레거시 단말의 올바른 동작을 위해서는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 노드로의 하향링크 (즉, 백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두번째 서브프레임)상에서도, 서브프레임의 처음 N (N=1, 2 또는 3) 개의 OFDM 심볼구간에서 릴레이 노드는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두번째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PDCCH가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므로 릴레이 노드에서 서빙하는 레거시 단말에 대한 역방향 호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릴레이 노드로부터 단말로 아무런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 릴레이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 분할 방식을 통해서, 인-밴드 릴레이 노드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과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두번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두번째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은 릴레이 노드 비-청취(non-hearing)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 비-청취 구간은 릴레이 노드가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 구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1, 2 또는 3 OFDM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 비-청취 구간에서 릴레이 노드는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릴레이 노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릴레이 노드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데에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백홀 하향링크 수신 영역의 처음 일부 구간에서 릴레이 노드가 송신/수신 모드 스위칭을 하도록 가드 시간(GT: guard time)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유사하게 릴레이 노드가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하향링크를 수신하고 단말로의 액세스 하향링크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도, 릴레이 노드의 수신/송신 모드 스위칭을 위한 가드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드 시간의 길이는 시간 영역의 값으로 주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k (k≥1) 개의 시간 샘플(Ts: time sample) 값으로 주어질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길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릴레이 노드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연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또는 소정의 서브프레임 타이밍 정렬(timing alignment) 관계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의 가드시간은 정의되거나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가드 시간은 역방향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백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전송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 구간에서 가드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레거시 단말을 지원할 수 없다). 가드 시간을 제외한 백홀 하향링크 수신 구간에서 릴레이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PDCCH 및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릴레이 노드 전용 물리 채널이라는 의미에서 R-PDCCH (Relay-PDCCH) 및 R-PDSCH (Relay-PDSCH)로 표현할 수도 있다.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MIMO 방식은 개-루프(open-loop) 방식과 폐-루프(closed-loop)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루프 MIMO 방식은 MIMO 수신단으로부터의 채널상태정보의 피드백이 없이 송신단에서 MIMO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루프 MIMO 방식은 MIMO 수신단으로부터의 채널상태정보를 피드백 받아 송신단에서 MIMO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루프 MIMO 방식에서는 MIMO 송신 안테나의 다중화 이득(multiplexing gain)을 얻기 위해서 송신단과 수신단의 각각이 채널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이 채널상태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도록 송신단(예를 들어, 기지국)은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에게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피드백되는 채널상태정보(CSI)는 랭크 지시자(R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 및 채널품질지시자(CQI)를 포함할 수 있다.
RI는 채널 랭크에 대한 정보이다. 채널의 랭크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레이어(또는 스트림)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랭크 값은 채널의 장기간(long term) 페이딩에 의해서 주로 결정되므로, PMI 및 CQI 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더 긴 주기에 따라(즉, 덜 빈번하게) 피드백될 수 있다.
PMI는 송신단으로부터의 전송에 이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이며, 채널의 공간 특성을 반영하는 값이다. 프리코딩이란 전송 레이어를 송신 안테나에 매핑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프리코딩 행렬에 의해 레이어-안테나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PMI 는 신호대잡음및간섭비(SINR: 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등의 측정값(metric)을 기준으로 단말이 선호하는(preferred) 기지국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해당한다. 프리코딩 정보의 피드백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송신단과 수신단이 여러 가지 프리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코드북을 미리 공유하고 있고, 해당 코드북에서 특정 프리코딩 행렬을 지시하는 인덱스만을 피드백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CQI는 채널 품질 또는 채널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QI는 미리 결정된 MCS 조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즉, 피드백되는 CQI 인덱스는 해당하는 변조기법(modulation schem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CQI 는 기지국이 PMI 를 이용하여 공간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수신 SINR 을 반영하는 값이 된다.
확장된 안테나 구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LTE-A 시스템)에서는 다중사용자-MIMO (MU-MIMO) 방식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MU-MIMO 방식에서는 안테나 영역(domain)에서 다중화되는 단말들 간의 간섭 채널이 존재하므로, 다중사용자 중 하나의 단말이 피드백하는 채널 상태정보를 기지국에서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다른 단말에 대해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MU-MIMO 동작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단일사용자-MIMO (SU-MIMO) 방식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의 채널상태정보가 피드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보다 정확한 채널상태정보를 측정 및 보고할 수 있도록, 기존의 RI, PMI 및 CQI 로 구성되는 CSI 를 개선한 새로운 CSI 피드백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이 피드백하는 프리코딩 정보가 2 개의 PMI 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2 개의 PMI 중 하나(제 1 PMI)는, 장기간 및/또는 광대역(long term and/or wideband)의 속성을 가지고, W1으로 지칭될 수 있다. 2 개의 PMI 중 다른 하나(제 2 PMI)는, 단기간 및/또는 서브대역(short term and/or subband)의 속성을 가지고, W2으로 지징될 수 있다. W1 및 W2의 조합(또는 함수)에 의해서 최종적인 PMI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PMI 를 W 라 하면, W=W1*W2 또는 W=W2*W1 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W1 은 채널의 주파수 및/또는 시간상 평균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다시 말하자면, W1 은 시간 상에서 장기간(long term)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주파수 상에서 광대역(wideband)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또는 시간상에서 장기간인 동시에 주파수 상에서 광대역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W1 의 이러한 특성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W1 를 장기간-광대역 속성의 채널 상태 정보(또는, 장기간-광대역 PMI)라고 한다.
한편, W2 는 W1 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순간적인(instantaneous) 채널 특성을 반영한다. 다시 말하자면, W2 는 시간 상에서 단기간(short term)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주파수 상에서 서브대역(subband)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또는 시간상에서 단기간인 동시에 주파수 상에서 서브대역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W2 의 이러한 특성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W2 를 단기간-서브대역 속성의 채널 상태 정보(또는, 단기간-서브대역 PMI)라고 한다.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2 개의 서로 다른 속성의 정보(예를 들어, W1 및 W2)로부터 하나의 최종 프리코딩 행렬(W)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속성의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행렬들로 구성되는 별도의 코드북(즉, W1에 대한 제 1 코드북 및 W2 에 대한 제 2 코드북)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코드북의 형태를 계층적 코드북(hierarchical codebook)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코드북을 이용하여 최종 사용될 코드북을 결정하는 것을, 계층적 코드북 변환(hierarchical codebook transform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북을 이용하는 경우에 단일 코드북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의 채널 피드백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높은 정확도의 채널 피드백을 이용하여 단일-셀 MU-MIMO 및/또는 다중-셀 협력 통신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Enhanced PMI for MU-MIMO 또는 CoMP
LTE-A와 같은 차세대 통신표준에서 높은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MU-MIMO 및 CoMP 등의 송신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향상된 송신 기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UE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CSI 를 기지국으로 피드백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MU-MIMO에서는 UE-A 가 PMI를 선택할 때, 자신의 최적 PMI(desired PMI)뿐만이 아니라 자신과 함께 스케줄링 받을 UE의 PMI(이하 BCPMI(best companion PMI)라 지칭한다.)도 함께 올리는 CSI 피드백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즉, precoding matrix codebook내에서 co-scheduled UE가 precoder로 사용했을 때 UE-A에게 간섭을 덜 주는 BCPMI를 계산하여 추가적으로 기지국에게 피드백 한다.
기지국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UE-A와 BCPM (BCPM(best companion precoding matrix): BCPMI에 해당하는 precoding matrix) precodin을 선호하는 또 다른 UE를 MU-MIMO 스케줄 한다.
BCPMI 피드백 방식은 피드백 payload의 유무에 따라 크게 explicit 피드백과 implicit 피드백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로 피드백 payload가 있는 explicit 피드백 방식이 있다.
Explicit 피드백 방식은 UE-A가 precoding matrix codebook내 에서 BCPMI를 결정한 뒤, control channel을 통해 기지국으로 피드백 한다. 한가지 방식으로 UE-A는 추정 SINR이 최대가 되게 하는 간섭신호 precoding matrix를 codebook내에서 선택하고 이를 BCPMI 값으로 피드백 한다.
Explicit 피드백의 장점은 간섭 제거에 보다 효과적인 BCPMI를 선택하여 보낼 수 있다. UE는 codebook내의 모든 codeword에 대해 하나씩 간섭 beam으로 가정하고 SINR등의 metric을 비교하여 간섭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값을 BCPMI로 결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codebook size가 커질수록 BCPMI의 candidate이 늘어나기 때문에 더 큰 피드백 payload size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 피드백 payload가 없는 implicit 피드백 방식이 있다.
Implicit 피드백 방식은 UE-A가 codebook 내에서 간섭을 적게 받는 codeword를 search하여 BCPMI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desired PMI가 결정되면 그에 상응하는 BCPMI가 static하게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BCPM는 결정된 desired PMI에 orthogonal한 vector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desired PM는 수신 SINR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채널 H의 채널 gain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간섭신호는 이 PM의 방향을 회피하여 선택하는 것이 간섭 완화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채널 H를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을 통해 복수개의 independent channel로 분석해 보면 이러한 BCPMI 결정 방식은 더욱 정당화된다. 4x4 채널 H는 아래 수학식 15와 같이 SVD를 통해 분해할 수 있다.
수학식 15에서 U,V 는 unitary 행렬이며, ui, vi, λ i 는 각각 채널 H의 4x1 left singular vector, 4x1 right singular vector, singular value를 나타내며, λ i>λ i+1 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송신 단에서 beamforming matrix V 와 수신 단에서 beamforming matrix UH 를 사용할 경우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모든 채널 gain을 손실 없이 얻을 수 있다.
Rank 1인 경우는 송신 beamforming vector v1과 수신 beamforming vector u1을 사용하는 것이 채널 gain |λ 1|2 을 얻어 SNR 관점에서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E-A는 rank 1인 경우 v1과 가장 유사한 PM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적으로 desired PM가 v1과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수신 beam을 u1으로 설정하고 간섭 신호의 송신 beam은 PM에 orthohonal한 방향으로 설정하여 desired 신호에 손실 없이 간섭 신호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양자화 오류로 인해 desired PM가 v1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 PM에 orthogonal한 방향으로 설정된 간섭 신호의 송신 beam은 v1에 orthogonal한 beam과 더 이상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desired 신호에 손실 없이 간섭 신호를 완벽히 제거 할 수 없지만, 양자화 오차가 작은 경우 간섭 신호 제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mplicit 피드백의 일 예로 LTE codebook을 사용하는 경우 BCPMI는 PMI에 대해 orthogonal한 vector index로 static하게 결정될 수 있다.
송신 안테나가 4개 이고 PMI를 피드백 한 UE의 수신 rank를 1로 가정하였고 desired PMI에 대해 orthogonal한 3개의 vector는 3개의 BCPMI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PMI=3인 경우, BCPMI=0,1,2로 결정된다. PMI와 BCPMI는 codebook내에 있는 4x1 vector codeword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상기 BCPMI set(BCPMI=0,1,2)을 간섭 제거에 유효한 precoding index로 간주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co-schedule UE의 precoder로 사용한다.
Implicit PMI의 장점은 desired PMI와 BCPMI set이 1:1로 mapping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피드백 overhead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desired PM (PM: PMI에 해당하는 precoding matrix) 양자화 오차로 인해 그에 종속된 BCPM 역시 최적의 간섭제거 beam 방향과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양자화 오차가 없다면 3개의 BCPM는 모두 간섭을 완벽히 제거하는 간섭 beam(ideal 간섭 beam)을 나타내지만, 오차가 있을 경우 각 BCPM는 ideal 간섭 beam과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각 BCPM 가 갖는 ideal 간섭 beam과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같지만, 특정 순간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desired PMI=3일 경우 BCPMI 0,1,2의 순서로 간섭 신호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BCPMI 0,1,2의 상대적인 오차를 모르는 기지국은 ideal 간섭 beam과 오차가 가장 큰 BCPMI 2를 간섭 신호의 beam으로 정하여 co-scheduled UE간 강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로 통신 할 가능성이 있다.
D2D(Device-to-Device) 통신 일반
일반적으로 D2D 통신은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나 사물 지능 통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D2D 통신은 통신 기능이 장착된 단순한 장치는 물론, 스마트폰이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통신 기능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장치 간의 통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a)는 기존의 기지국 중심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말 1(UE 1)은 상향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은 하향링크 상에서 단말 2(UE 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은 기지국을 통한 간접 통신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간접 통신 방식에서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된 링크인 Un 링크(기지국들 간의 링크 또는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링크로서, 백홀 링크라고 칭할 수 있음) 및/또는 Uu 링크(기지국과 단말 간의 링크 또는 중계기와 단말 간의 링크로서, 액세스 링크라고 칭할 수 있음)가 관련될 수 있다.
도 18의 (b)는 D2D 통신의 일례로서 단말 대 단말(UE-to-UE)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이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은 장치 간의 직접 통신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D2D 직접 통신 방식은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간접 통신 방식에 비하여 지연(latency)이 줄어들고, 보다 적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D2D 통신의 다양한 시나리오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D2D 통신의 시나리오는 단말 1과 단말 2가 셀 커버리지 내(in-coverage)/셀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크게 (1) Out-of-Coverage Network,(2) Partial-Coverage Network 및 (3) In-Coverage Network으로 나뉠 수 있다.
In-Coverage Network의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해당하는 셀(Cell)의 개수에 따라 In-Coverage-Single-Cell 및 In-Coverage-Multi-Cell로 나뉠 수 있다.
도 19의 (a)는 D2D 통신의 Out-of-Coverage Network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Out-of-Coverage Network 시나리오는 기지국의 제어 없이 D2D 단말들 간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도 19의 (a)에서, 단말 1과 단말 2만 존재하며, 단말 1과 단말 2는 직접 통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9의 (b)는 D2D 통신의 Partial-Coverage Network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Partial-Coverage Network 시나리오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D2D 단말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D2D 단말 간에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도 19의 (b)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 위치하는 단말 1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단말 2가 통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9의 (c)는 In-Coverage-Single-Cell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 19의 (d)는 In-Coverage-Multi-Cell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In-Coverage Network 시나리오는 D2D 단말들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 기지국의 제어를 통해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도 19의 (c)에서, 단말 1과 단말 2는 동일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또는 셀) 내에 위치하며, 기지국의 제어 하에 D2D 통신을 수행한다.
도 19의 (d)에서, 단말 1과 단말2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기는 하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단말 1과 단말 2는 각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관리하는 기지국의 제어 하에 D2D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D2D 통신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D2D 통신은 도 19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서 동작할 수 있다. D2D 통신(단말들 간 직접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링크를 D2D 링크(D2D link), 다이렉트 링크(directlink) 또는 사이드 링크(sidelink) 등으로 지 칭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 링크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링크 전송은 FDD의 경우 상향링크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고, TDD의 경우 상향링크(혹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사이드 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의 다중화를 위하여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이 이용될 수 있다.
사이드 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UpPTS와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겹쳐지는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사이드 링크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링크의 전송 및 수신 또한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
사이드 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물리 자원의 구조는 상향링크 물리 자원의 구조가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으로 구성되어 사이드 링크 전송에 이용되지 않는다.
사이드 링크 서브프레임은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P) 또는 일반 순환 전치(normal CP)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D2D 통신은 크게 디스커버리(discovery),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동기화(Synchroniz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1) 디스커버리(discovery)
D2D 디스커버리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Inter-cell, Intra-cell 포함). 인터 셀(inter-cell) 디스커버리에서 동기화된(synchronous) 또는 동기화되지 않은(asynchronous) 셀 배치 모두 고려될 수 있다. D2D 디스커버리는 근접 영역 내의 단말에게 광고, 쿠폰 발행, 친구 찾기 등의 다양한 상용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단말 1이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의 역할(role)을 가지는 경우, 단말 1은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 2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 1과 단말 2의 전송 및 수신 역할은 바뀔 수 있다. 단말 1으로부터의 전송은 단말 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는 단일의 MAC PD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일의 MAC PDU는 단말 ID 및 applic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채널로 물리 사이드 링크 디스커버리 채널(PSDCH: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이 정의될 수 있다. PSDCH 채널의 구조는 PUSCH 구조를 재이용할 수 있다.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은 두 가지의 타입(Type 1, Type 2)이 이용될 수 있다.
타입 1의 경우, 기지국은 단말 특정하지 않은(non-UE specific) 방식으로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주기(이하, '디스커버리 주기') 내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세트 및 복수의 자원 블록 세트로 구성된 디스커버리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풀(pool)이 할당되고, 디스커버리 전송 단말은 이 무선 자원 풀(pool) 내에서 특정 자원을 임의로 선택한 다음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주기적인 디스커버리 자원 풀(pool)은 반정적(semi-static)인 방식으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전송을 위한 디스커버리 자원 풀(pool)의 설정 정보는 디스커버리 주기, 디스커버리 주기 내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세트 및 자원 블록 세트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커버리 자원 풀의 설정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In-coverage 단말의 경우, 디스커버리 전송을 위한 디스커버리 자원 풀(pool)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고, RRC 시그널링(예를 들어,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이다.
하나의 디스커버리 주기 내에 디스커버리를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 풀(pool)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TDM 및/또는 FDM으로 다중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을 '디스커버리 자원(discovery resource)'으로 지칭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당 두 개의 물리 자원 블록(PRB)을 포함할 수 있다.하나의 디스커버리 자원은 하나의 단말에 의해 디스커버리 MAC PDU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나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의 전송을 위해 디스커버리 주기 내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MAC PDU의 전송은 디스커버리 주기 내(즉, 무선 자원 풀(pool))에서 연속적으로(contiguous) 혹은 비연속적(non-contiguous)으로 반복(예를 들어, 4회 반복)될 수 있다. 하나의 전송 블록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 횟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MAC PDU의 반복되는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커버리 자원 세트(discovery resource set)에서 첫 번째 디스커버리 자원을 임의로 선택하고, 그 이외의 디스커버리 자원은 첫 번째 디스커버리 자원과 관련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패턴이 미리 설정되고, 단말이 첫 번째로 선택한 디스커버리 자원의 위치에 따라 그 다음의 디스커버리 자원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MAC PDU의 반복되는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커버리 자원 세트 내에서 각각의 디스커버리 자원을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타입2는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이 단말 특정(UE specific)하게 할당된다. 타입 2는 다시 타입2A(Type-2A), 타입2B(Type-2B)로 세분화된다. 타입 2A는 기지국이 디스커버리 주기 내에서 단말이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전송 시점(instance)마다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고, 타입 2B는 반정적인(semi-persistent)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타입 2B의 경우, RRC_CONNECTED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D2D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의 할당을 요청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RRC_IDLE 상태로 천이할 때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 할당을 철회(withdraw)할 때, 단말은 가장 최근에 할당된 전송 자원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타입 2B의 경우, RRC 시그널링에 의해 무선 자원이 할당되고, PDCCH에 의해 할당된 무선 자원의 활성(activation)/비활성(deactivation)이 결정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풀(pool)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고, RRC 시그널링(예를 들어,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 수신 단말은 디스커버리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상술한 타입 1 및 타입 2의 디스커버리 자원 풀(pool) 모두 모니터링한다.
2)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D2D 직접 통신의 적용 영역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팎(in-coverage, out-of-coverage)은 물론 네트워크 커버리지 경계 영역(edge-of-coverage)도 포함한다. D2D 직접 통신은 PS(Public Safety) 등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단말 1이 직접 통신 데이터 전송의 역할을 가지는 경우, 단말 1은 직접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2는 직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 1과 단말 2의 전송 및 수신 역할은 바뀔 수 있다. 단말 1으로부터의 직접 통신 전송은 단말 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D2D 디스커버리와 D2D 통신은 서로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그룹캐스트(groupcas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직접 통신에서는 D2D 디스커버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D2D 디스커버리와 D2D 직접 통신이 독립적으로 정의되는 경우, 단말들은 인접하는 단말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직접 통신의 경우, 그룹 내 모든 수신 단말이 서로 근접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D2D 직접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 물리 사이드 링크 공유 채널(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D2D 직접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직접 통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 전송 형식 등)를 전송하는 채널로 물리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이 정의될 수 있다. PSSCH 및 PSCCH는 PUSCH 구조를 재이용할 수 있다.
D2D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은 두 가지의 모드(mode 1, mode 2)가 이용될 수 있다.
모드 1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D2D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원을 스케줄링 하는 방식을 말한다. in-coverage에서는 모드 1이 적용된다.
기지국은 D2D 직접 통신에 필요한 자원 풀(pool)을 설정한다. 여기서, D2D 통신에 필요한 자원 풀(pool)은 제어 정보 풀과 D2D 데이터 풀로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이 PDCCH 또는 ePDCCH(enhanced PDCCH)를 이용하여 송신 D2D 단말에게 설정된 풀 내에서 제어 정보 및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면 송신 D2D 단말은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 및 D2D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 단말은 기지국에 전송 자원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제어 정보와 D2D 직접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즉, 모드 1의 경우, 전송 단말은 D2D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야 한다. 전송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하고, 이어 기지국이 전송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자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도록 BSR(Buffer Status Report) 절차가 진행된다.
수신 단말들은 제어 정보 풀을 모니터링하고, 자신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면 해당 제어 정보와 관련된 D2D 데이터 전송을 선택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제어 정보 디코딩 결과에 따라 D2D 데이터 풀을 디코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드 2는 단말이 D2D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자원 풀(pool)에서 특정 자원을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을 말한다. out-of-coverage 및/또는 edge-of-coverage에서 모드 2가 적용된다.
모드 2에서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 풀(pool) 및/또는 D2D 직접 통신 데이터 전송을 자원 풀(pool)은 미리 설정(pre-configured)되거나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자원 풀(시간 및 주파수)를 제공 받고, 자원 풀에서 D2D 통신 전송을 위한 자원을 선택한다. 즉, 단말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 정보 자원 풀에서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D2D 직접 통신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자원 풀에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에서, 제어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단말에 의해 전송된다. 제어 정보는 D2D 직접 통신 데이터를 운반하는 물리 채널(즉, PSSCH)과 관련하여 데이터 수신을 위한 자원의 위치를 명시적으로(explicit) 및/또는 묵시적으로(implicit) 지시한다.
3) 동기화(synchronization)
D2D 동기 신호(D2DSS: D2D Synchronization Signal/sequence)는 단말이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경우 기지국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단말 간 동기 확립을 위한 새로운 신호 및 절차가 정의될 수 있다. D2D 동기 신호는 사이드 링크 동기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로 지칭할 수 있다.
D2D 동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말을 D2D 동기 소스(D2D Synchronization Source) 또는 사이드 링크 동기 소스(Sidelink Synchronization Source)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D2D 동기 소스가 기지국인 경우, 전송되는 D2D 동기 신호의 구조는 PSS/SSS와 동일할 수 있다. D2D 동기 소스가 기지국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단말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전송되는 D2D 동기 신호의 구조는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D2D 동기 신호는 40ms 보다 작지 않은 주기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단말 별로 다중의 물리 계층 D2D 동기 식별자(physical-layer D2D synchronization identity)를 가질 수 있다. 물리 계층 D2D 동기 식별자는 물리 계층 사이드 링크 동기 식별자(physical-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 또는 간단하게 D2D 동기 식별자로 지칭될 수도 있다.
D2D 동기 신호는 D2D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quence)와 D2D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equence)를 포함한다. 이를 각각 프라이머리 사이드 링크 동기 신호(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세컨더리 사이드 링크 동기 신호(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로 지칭할 수 있다.
D2D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단말은 D2D 동기 소스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D2D 동기 소스가 탐색되면, 단말은 탐색된 D2D 동기 소스로부터 수신된 D2D 동기 신호를 통해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단말은 D2D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함께 단말 간 통신에 사용되는 필수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의 채널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의 채널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을 물리 D2D 동기 채널(PD2DSCH: 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 또는 물리 사이드 링크 방송 채널(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명료성을 위해 D2D 통신에 있어서 2개의 장치들 간의 직접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2 이상의 복수의 장치들 간의 D2D 통신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 송수신 방법
본 발명에서는 UE가 다른 UE와 직접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또는 디스커버리)에서 사용할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UE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eNB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해당 eNB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 'D2D 신호'는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SSCH), 제어 채널(PSCCH), 디스커버리 채널(PSDCH), 방송 채널(PSBCH) 등을 통칭한다고 가정한다.
이하, '스케줄링 승인(SA)'은 직접 데이터(즉, D2D 데이터) 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제어 정보를 통칭한다. SA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SA(또는 SCI)는 D2D 제어 채널(예를 들어, PSCCH)를 통해 전송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D2D 직접 통신에서 데이터 또는 SA(또는 SCI)를 전송하는 UE를 전송 UE(또는, UE 1)으로 지칭하고, 데이터 또는 SA(또는 SCI)를 수신하는 UE를 수신 UE(또는, UE 2)로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전송 UE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자원 풀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 유닛을 선택하고 해당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D2D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자원 풀은 UE 1이 기지국의 연결 범위에 있는 경우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연결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UE가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 풀은 복수의 자원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UE는 하나 혹은 복수의 자원 유닛을 선정하여 자신의 D2D 신호 송신(즉,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 전송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자원 풀의 전체 시간-주파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N개(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주파수 영역에서 M개(예를 들어, 자원 블록)로 분할된다고 하면, 전체 자원 풀이 N x M 개의 자원 유닛이 정의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자원 풀은 P 서브프레임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풀은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간 영역에서의 자원 풀(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풀)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자원 풀(예를 들어, 자원 블록 풀)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때, 특징적으로 한 자원 유닛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혹은, 시간이나 주파수 차원에서의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나의 논리적인 자원 유닛이 매핑되는 물리적 자원 유닛의 인덱스가 시간에 따라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 구조에 있어서, 자원 풀이란 D2D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UE가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 등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유닛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자원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각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D2D 신호의 컨텐츠(content)에 따라서 별도의 자원 풀이 설정될 수 있다.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을 위한 자원 풀: SA(즉, PSCCH)는 각 송신 UE가 후행하는 D2D 데이터 채널의 전송으로 사용하는 자원의 시간/주파수 위치 및 그 외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서 필요한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이나 MIMO 전송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SA 자원 풀은 SA을 전송하는데 사용 가능한 자원의 풀을 의미한다. 'SA 자원 풀'은 'PSCCH 자원 풀'로 지칭할 수 있다.
SA는 동일 자원에서 D2D 데이터와 함께 시간/주파수/코드 다중화(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SA 자원 풀이란 SA가 D2D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자원의 풀을 의미할 수 있다.
D2D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 풀: SA를 통하여 지정된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 UE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자원의 풀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일 동일 자원에서 D2D 데이터와 함께 SA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한 경우에는 D2D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 풀은 SA 정보를 제외한 형태의 D2D 데이터 채널만이 전송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A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신호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자원 요소를 D2D 데이터 채널 자원 풀에서는 여전히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데이터 채널 자원 풀은 'PSSCH 자원 풀'로 지칭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자원 풀: 송신 UE가 자신의 식별자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UE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또는 채널)를 위한 자원 풀을 의미한다.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자원 풀은 'PSDCH 자원 풀'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D2D 신호의 콘텐츠가 동일한 경우에도 D2D 신호의 송수신 속성에 따라서 상이한 자원 풀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D2D 데이터 채널이나 디스커버리 메시지(또는 채널)이라 하더라도 D2D 신호의 송신 타이밍 결정 방식(예를 들어, 동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 송신되는지 아니면 동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점에 일정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적용하여 전송되는지)이나 자원 할당 방식(예를 들어, 개별 신호의 전송 자원을 eNB가 개별 송신 UE에게 지정해주는지 아니면 개별 송신 UE가 자원 풀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별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지), 신호 포맷(예를 들어, 각 D2D 신호가 한 서브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심볼의 개수나, 한 D2D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따라서 다시 상이 한 자원 풀로 구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한 D2D 단말의 입장에서는 복수의 자원 풀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전달하는 D2D 신호에 대한 복수의 자원 풀이 설정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콘텐츠를 전달하는 D2D 신호에 대한 복수의 자원 풀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개별 자원 풀을 설정하는 시그널링 방식은 해당 자원 풀의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자원 풀을 보다 적은 시간 지연으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SA 자원 풀은 다른 자원 풀과는 구분되는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A 자원 풀은 D2D 동기 과정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D2D 동작은 eNB의 커버리지 외부(out-of-coverage)에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UE가 동기의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그 주변의 UE들이 이에 동기를 맞추어 상호 간의 D2D 신호 송수신이 가능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SA는 모든 D2D 동작에 선행되어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SA 자원 풀은 동기화 과정에서 UE들 사이에 시그널링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동기의 기준이 되는 신호(예를 들어, D2DSS)를 송신하는 UE는 함께 동기 신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실은 채널(예를 들어, PD2DSCH 또는 PSBCH)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이 동기 신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실은 채널을 통해(예를 들어, 해당 채널의 일부 필드를 통해) SA 자원 풀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표 6과 같은 시그널링 또는 채널을 통해 SA 및/또는 데이터 전송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표 6을 참조하면, D2D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인 모드 1 및 모드 2는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1의 경우, 기지국(또는 릴레이 노드, 스몰 셀 등)은 UE가 직접 데이터 및 직접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할 정확한 자원을 스케줄링 한다. 그리고, 모드 2의 경우, UE가 자원 풀에서 직접 데이터 및 직접 제어 정보를 전송할 자원을 자신이 선택한다.
1) in-coverage 시나리오의 경우, 모드 1 및 모드 2에서 SA 전송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또는 자원 풀) 할당은 SIB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SA 전송 및/또는 D2D data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SIB를 통해 단말로 알릴 수 있다.
또한, eNB의 동적 제어 신호(예를 들어, PDCCH, EPDCCH,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등)을 사용하여 SA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또는 자원 풀)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에 SIB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을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 풀 내에서 구체적인 자원 할당 정보(즉, SA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를 동적 제어 신호를 통해 UE로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드 1의 경우, 전송 UE는 SA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 풀에 대한 정보를 SIB를 통해 수신하고, SA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동적 제어 신호를 통해 할당 받을 수 있다.
또한, 모드 2의 경우, 사전에 SIB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을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 풀 내에서 SA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을 전송 UE가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직접 통신을 위한 SA는 직접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정보, offset 정보 등 활용)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전송 UE는 직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에게 SA를 통해 직접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1의 경우, 전송 UE는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에 의해 SA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전송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시그널링 등을 통해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 받고, 할당 받은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SA를 통해 수신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지국으로부터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시그널링 컨텐츠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스케줄링 그랜트(SG: scheduling grant)로 지칭할 수 있다.
반면, 모드 2의 경우, 전송 UE는 자신이 선택한 D2D 데이터 전송 자원에 대한 정보를 SA를 통해 수신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2) Out-coverage 시나리오의 경우, 전송 UE는 미리 지정되거나 커버리지 내(in-coverage) 위치하는 UE로부터 전달 받은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에 기초하여 SA 자원 풀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 풀을 알 수 있다.
모드 1의 경우, 전송 UE는 커버리지 내(in-coverage) 위치하는 UE로부터 SA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자원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내 UE는 기지국으로부터 SIB 및/또는 동적 제어 신호(예를 들어, PDCCH, EPDCCH,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등)를 통해 SA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자원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 UE는 커버리지 내 UE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반면, 모드 2의 경우, 전송 UE는 SA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 풀에서 단말은 스스로 SA 자원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A 컨텐츠에 D2D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 할당된 자원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 UE에게 전송함으로써, 수신 UE가 D2D 데이터를 수신하는 자원 영역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서, in-coverage 시나리오 및 Out-coverage 시나리오에서 SA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UE는 다수의 D2D 데이터 자원 풀을 미리 할당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UE가 다수의 D2D 데이터 자원 풀을 미리 할당 받은 경우, 할당 받은 D2D 데이터 자원 풀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을 지시하는 용도로 SA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SA 컨텐츠에 포함되는 정보를 줄이기 위해서, SA가 검출된 자원 영역 정보(시간 및/또는 주파수 인덱스 등)를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의 일부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SA가 전송되는 자원과 관련된 정보와 SA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D2D 데이터가 전송되는 최종 자원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A 전송 자원 관련 파라미터는 D2D 데이터 자원 영역의 시간 영역 정보(예를 들어, 시간 영역 파라미터, 서브프레임 인덱스 등)만을 얻는 데 사용되고, SA 컨텐츠에서 전달되는 정보는 주파수 영역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 자원 블록 인덱스 등)를 알려주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SA가 전송되는 자원 관련 파라미터는 D2D 데이터 자원의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하고(즉,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인덱스), SA 컨텐츠에 포함되는 자원 할당 정보는 D2D 데이터 자원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SA 컨텐츠의 자원 할당 정보는 SA가 전송되는 자원의 위치로부터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SA 전송 자원 관련 파라미터는 임의 백오프(random back-off) 또는 전송 확률 값 등을 알려주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D2D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D2D 데이터 전송 방법은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자원 스케줄링 내지 디스커버리 메시지 스케줄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D2D 데이터 자원 스케줄링 및 D2D 데이터 전송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에서 D2D UE 사이에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과 수신 과정을 예시한다.
도 20에서 UE A1을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UE로 가정하고, UE A2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UE로 가정한다.
D2D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UE A1 및 UE A2는 우선 eNB에 의해서 사전에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을 할당 받는다(S2010). 즉, UE A1 및 UE A2는 eNB로부터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에 대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SIB 또는 PDCCH/E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은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은 겹칠 수도 있고, 분리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0에서는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이 서로 분리되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UE A1은 할당 받은 자원 풀 내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에서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2020).
S20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UE A1은 D2D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SA를 우선적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UE A1은 SA 자원 풀에서 특정 자원 유닛(즉, SA 1 자원(2001))에 SA 1을 매핑하여 전송한다. SA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UE A1은 eNB으로부터 SA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SA 1 자원(2001)에 SA 1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A1이 SA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1 자원(2001)을 선택하고 SA 1을 매핑할 수도 있다.
그리고, UE A1은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유닛(즉, SA 2 자원(2002))에 SA 2에 매핑하고, 특정 자원 유닛(즉, 데이터 자원(2003))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전송한다. 데이터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SA 2와 D2D 데이터는 분리된 자원에 별도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multiplexing and coding chain)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SA 2를 위해 데이터 채널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을 재사용하고, 데이터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또는 펑처링되어 매핑될 수 있다. 즉, D2D 데이터 풀에서 SA 2가 점유되는 자원 영역에서 D2D 데이터를 펑처링하거나 혹은 D2D 데이터 풀에서 SA 2가 점유되는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데이터가 매핑될 수 있도록 데이터에 레이트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UE A1은 eNB으로부터 SA 2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SA 2 자원(2002)에 SA 2를 매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A1은 eNB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자원(2003)에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A1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2 자원(2002)을 선택하고 SA 2를 매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 A1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데이터 자원(2003)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매핑할 수도 있다.
UE A2는 SA 자원 풀에서 전송된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SA 1의 컨텐츠 또는 자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A 2 자원(2002) 영역 및 데이터 자원(2003) 영역을 알 수 있다.
UE A2는 SA 1를 찾기 위하여 SA 자원 풀 전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에서 제한된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도 있다. UE A2의 블라인드 디코딩 과정에 대하여 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SA 1 및 SA 2의 컨텐츠(즉, SA 1 및 SA 2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하여 살펴본다.
1) SA 1은 SA 2 및 데이터의 자원 영역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A 2는 SA 정보 중에 SA 1에 전달되지 않은 그 이외 정보, 특히 데이터 복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HARQ 파라미터(MCS, NDI(New Data Indicator), 리던던시 버전(RV: Redundancy Version) 등), MIMO 정보, 파워 제어 정보(information, Power control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A 1이 검출된 자원 영역 정보(시간 및/또는 주파수 인덱스 등)를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의 일부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SA가 전송되는 자원과 관련된 정보와 SA 컨텐츠의 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D2D 데이터가 전송되는 최종 자원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SA 1이 전송되는 자원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의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하고(즉,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인덱스), SA 1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자원 할당 정보는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SA 컨텐츠의 자원 할당 정보는 SA 1이 전송되는 자원의 위치로부터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SA 2의 MCS는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MCS 갖도록 함으로써 SA 2를 먼저 디코딩하고, SA 2의 디코딩 결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MCS, NDI, RV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D2D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2) SA 1은 자원 할당 정보(SA 2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와 MCS(SA 2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MC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A 2는 SA 정보 중에 SA 1에 전달되지 않은 그 이외 정보, 특히 데이터 복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HARQ 파라미터(NDI, RV 등), MIMO 정보, 파워 제어 정보(information, Power control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추가로 SA 2 또는 데이터에 대한 MC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A 1이 검출된 자원 영역 정보(시간 및/또는 주파수 인덱스 등)를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의 일부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SA 1이 전송되는 자원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의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하고(즉,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인덱스), SA 1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자원 할당 정보는 SA 2 및/또는 D2D 데이터 자원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 방법은 SA 2가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MCS 값을 알지 못하면 SA 2를 먼저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신 UE가 SA 2의 MCS를 알게 되면 (즉, SA 1으로부터 또는 SA 2 MCS는 사전에 지정되어) SA 2를 디코딩하고, SA 2 컨텐츠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활용하여(예를 들어, 데이터 MCS, NDI, RV 등) D2D 데이터를 복조 할 수 있다.
3) SA 1은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만을 포함(즉, SA 2 자원 영역 제외)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만으로 SA 2 전송 자원 위치가 결정되도록 설계한다면, 이로부터 수신 UE는 SA 2와 D2D 데이터를 함께 복조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자원 할당의 특정 자원 블록(RB) 인덱스, 심볼 인덱스(혹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DM RS 인접 심볼(혹은 인접 서브프레임) 등을 암묵적으로 SA 2 자원영역으로 지정하게 되면 별도의 SA 2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SA 2의 디코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SA 1과 SA 2는 컨텐츠 면에서 서로 배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SA 1과 SA 2가 중복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SA 1에서 자원 할당 정보의 일부를 전송하고 SA 2에서 자원 할당 추가 정보 혹은 세부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SA 1에서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정보를 전달하고, SA 2에서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블록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가능하다. 또한, SA 1에서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 및/또는 자원 블록 세트 정보를 전달하고, SA 2에서 해당 세트 내에서 특정 서브프레임 및/또는 자원 블록을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SA 1에 MCS 세트 정보를 전달하고, SA 2에서 해당 MCS 세트 내에서 특정 MCS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SA 1의 정보만으로 데이터를 블라인드 복조(blind demodulation)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A 1에서 MCS 세트 정보만을 전달하고, 수신 UE는 SA 1에서 전달된 MCS 세트 정보에 속한 MCS 값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SA 2의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아도 최소한의 데이터 복조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SA를 두 단계로 분리하는 것은 SA 1의 제어 정보를 최소화하여 SA 1이 차지하는 자원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자원 영역(즉, SA 자원 풀)에 가능한 많은 SA 1을 집중하여 배치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UE의 SA를 한 번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SA를 두 단계로 분리함으로써 수신 UE의 블라인드 디코딩에 소요되는 복잡도를 줄이거나 또는 더 많은 SA 1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경계(edge-of-coverage)에서 D2D UE 사이에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과 수신 과정을 예시한다.
도 21에서 UE A1은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UE로 가정한다. 그리고, UE B1을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UE로 가정하고, UE B2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UE로 가정한다.
D2D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UE B1 및 UE B2는 우선 eNB에 의해서 사전에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을 할당 받아야 한다.
다만, D2D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UE들(즉, UE B1 및 UE B2)이 SA 및/또는 데이터 자원 풀에 대한 정보를 eNB로부터 수신할 수 없으므로, 근처에서 동기 채널(예를 들어, PD2DSCH 또는 PSBCH)을 브로드캐스팅하는 UE(즉, UE A1)이 자원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D2D UE들(즉, UE B1 및 UE B2)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UE A1은 eNB로부터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에 대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한다(S2110).
여기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SIB 또는 PDCCH/E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UE A1은 eNB로부터 수신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주변 UE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S2120).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PD2DSCH 또는 PSBCH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UE A1 및 UE A2는 UE A1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은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은 겹칠 수도 있고, 분리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이 서로 분리되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UE B1은 할당 받은 자원 풀 내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에서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2130).
S213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UE B1은 D2D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SA를 우선적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UE B1은 SA 자원 풀에서 특정 자원 유닛(즉, SA 1 자원(2101))에 SA 1을 매핑하여 전송한다. SA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UE B1은 UE A1으로부터 SA 1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A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SA 1 자원(2101)에 SA 1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B1이 SA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1 자원(2101)을 선택하고 SA 1을 매핑할 수도 있다.
그리고, UE B1은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유닛(즉, SA 2 자원(2102))에 SA 2에 매핑하고, 특정 자원 유닛(즉, 데이터 자원(2103))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전송한다. 데이터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SA 2와 D2D 데이터는 분리된 자원에 별도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multiplexing and coding chain)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채널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을 재사용하고 데이터에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또는 펑처링되어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UE B1은 UE A1으로부터 SA 2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A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SA 2 자원(2102)에 SA 2를 매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B1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A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자원(2103)에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B1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2 자원(2102)을 선택하고 SA 2를 매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 B1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데이터 자원(2103)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매핑할 수도 있다.
UE B2는 SA 자원 풀에서 전송된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SA 1의 컨텐츠 또는 자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A 2 자원(2102) 영역 및 데이터 자원(2103) 영역을 알 수 있다.
UE B2는 SA 1를 찾기 위하여 SA 자원 풀 전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에서 제한된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도 있다. UE B2의 블라인드 디코딩 과정에 대하여 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SA 1 및 SA 2의 컨텐츠(즉, SA 1 및 SA 2에 포함되는 정보)는 앞서 도 20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서 D2D UE 사이에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과 수신 과정을 예시한다.
도 22에서 UE C1은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UE로 가정한다. 그리고, UE C2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UE로 가정하고, UE C3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UE로 가정한다.
D2D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UE C2 및 UE C3은 우선 eNB에 의해서 사전에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을 할당 받아야 한다.
다만, D2D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UE들(즉, UE C2 및 UE C3)이 SA 및/또는 데이터 자원 풀에 대한 정보를 eNB로부터 수신할 수 없으므로, 근처에서 동기 채널(예를 들어, PD2DSCH 또는 PSBCH)을 브로드캐스팅하는 UE(즉, UE C1)이 자원 구성 정보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D2D UE들(즉, UE C2 및 UE C3)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UE C1은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즉, 자원 풀 정보)를 주변 UE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S2210).
여기서, UE C1은 eNB 또는 다른 UE로부터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에 대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다른 UE로 UE C1와 같이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UE일 수 있다.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PD2DSCH 또는 PSBCH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UE C2 및 UE C3은 UE C1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은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은 겹칠 수도 있고, 분리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2에서는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이 서로 분리되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UE C2는 할당 받은 자원 풀 내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에서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2220).
S22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UE C2는 D2D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SA를 우선적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UE C2는 SA 자원 풀에서 특정 자원 유닛(즉, SA 1 자원(2201))에 SA 1을 매핑하여 전송한다. SA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UE C2는 SA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1 자원(2201)을 선택하고 SA 1을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UE C2는 UE C1으로부터 SA 1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C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SA 1 자원(2201)에 SA 1을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UE C2는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유닛(즉, SA 2 자원(2202))에 SA 2에 매핑하고, 특정 자원 유닛(즉, 데이터 자원(2203))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전송한다. 데이터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SA 2와 D2D 데이터는 분리된 자원에 별도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multiplexing and coding chain)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채널의 다중화 및 코딩 체인을 재사용하고 데이터에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또는 펑처링되어 매핑될 수 있다. 즉, SA 2는 데이터 풀의 자원을 통해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UE C2가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2 자원(2202)을 선택하고 SA 2를 매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 C2가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데이터 자원(2203)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UE C2는 UE C1으로부터 SA 2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C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SA 2 자원(2202)에 SA 2를 매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C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전달받고(즉, eNB으로부터 UE C1를 통해 수신), eNB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자원(2203)에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UE C3은 SA 자원 풀에서 전송된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SA 1의 컨텐츠 또는 자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A 2 자원(2202) 영역 및 데이터 자원(2203) 영역을 알 수 있다.
UE C3은 SA 1를 찾기 위하여 SA 자원 풀 전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에서 제한된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도 있다. UE C3의 블라인드 디코딩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SA 1 및 SA 2의 컨텐츠(즉, SA 1 및 SA 2에 포함되는 정보)는 앞서 도 20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에서 D2D UE 사이에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과 수신 과정을 예시한다.
도 23에서 UE A1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UE로 가정하고, UE A2를 D2D 데이터(또는, SA,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UE로 가정한다.
D2D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UE A1 및 UE A2는 우선 eNB에 의해서 사전에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즉, 자원 풀)을 할당 받는다(S2310). 즉, UE A1 및 UE A2는 eNB로부터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에 대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SIB 또는 PDCCH/E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풀은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은 겹칠 수도 있고, 분리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3에서는 SA 자원 풀과 D2D 데이터 자원 풀이 서로 분리되어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UE A1은 할당 받은 자원 풀 내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에서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2320).
S232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UE A1은 D2D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SA를 우선적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UE A1은 SA 자원 풀에서 특정 자원 유닛(즉, SA 1 자원(2301))에 SA 1을 매핑하여 전송한다. SA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UE A1은 eNB으로부터 SA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SA 1 자원(2301)에 SA 1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A1이 SA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1 자원(2301)을 선택하고 SA 1을 매핑할 수도 있다.
그리고, UE A1은 SA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유닛(즉, SA 2 자원(2302))에 SA 2에 매핑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UE A1은 데이터 자원 풀 내 특정 자원 유닛(즉, 데이터 자원(2303))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전송한다. 데이터 자원 풀의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3의 예시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A 1과 SA 2가 분리되어 전송되지만, SA 2가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대신에 데이터 자원 풀과 인접한 자원(예를 들어, 데이터 자원 풀에 선행하는 자원 또는 데이터 자원 풀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원 등)에 데이터 자원 풀 구성과 함께 할당될 수 있다. 즉, SA 자원 풀은 SA 1을 위한 자원 풀과 SA 2를 위한 자원 풀로 구분되고, SA 2를 위한 자원 풀은 데이터 자원 풀과 인접한 자원에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A 2가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지 않으므로, SA2는 데이터와 분리된 다중화 및 코딩 체인(separate multiplexing and coding chain)으로 시그널이 생성된다. 물론 이러한 시그널 생성을 고려하면, SA 2가 SA 1과 함께 연접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SA 자원 풀은 SA 1을 위한 자원 풀과 SA 2를 위한 자원 풀로 구분되나, SA 2를 위한 자원 풀은 SA 1을 위한 자원 풀과 인접한 자원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A 1과 SA 2의 주기(또는, SA 1 자원 풀의 주기 및 SA 2 자원 풀의 주기)를 달리할 수도 있다.
SA 1의 경우, 자원 구성을 주로 지시할 수 있으므로 반정적(semi-persistent) 스케줄링 혹은 다중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처럼 일정 구간 동안 자원 구성 값이 유지되는 또는 유효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A 2는 데이터 복조와 밀접한 속성, 특히 데이터 링크 적응 파라미터(data link adaptation parameter)를 나르는 것을 가정하면 SA 2와 데이터는 동일한 변화 주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SA 1는 X ms 주기로 전달되는 반면, SA 2 (및/또는 데이터)는 Y ms (Y<=X, 또는 X 주기(periodicity) = Y 주기(periodicity)의 배수) 주기로 전달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UE A1은 eNB으로부터 SA 2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SA 2 자원(2302)에 SA 2를 매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A1은 eNB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자원(2303)에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UE A1이 SA 2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SA 2 자원(2302)을 선택하고 SA 2를 매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UE A1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데이터 자원(2303)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매핑할 수도 있다.
UE A2는 SA 1 자원 풀에서 전송된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SA 1의 컨텐츠 또는 자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A 2 자원(2302) 영역 및 데이터 자원(2303) 영역을 알 수 있다.
UE A2는 SA 1를 찾기 위하여 SA 자원 풀 전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SA 자원 풀에서 제한된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도 있다. UE A2의 블라인드 디코딩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SA 1 및 SA 2의 컨텐츠(즉, SA 1 및 SA 2에 포함되는 정보)는 앞서 도 20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UE(즉, 전송 UE)는 eNB로부터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즉,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S2401).
SA 및/또는 D2D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 정보는 SIB 또는 PDCCH/E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UE는 SA 자원 풀 내 소정의 자원에서 SA 1을 매핑하여 제2 UE(즉, 수신 UE)에게 전송한다(S2402).
SA 자원 풀 내에서 SA 1이 매핑되는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UE는 eNB으로부터 SA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 SA 1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전송 UE는 SA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자원에 SA 1을 매핑할 수도 있다.
제1 UE는 데이터 자원 풀 내 소정의 자원에 SA 2 및 데이터를 매핑하여 제2 UE에게 전송한다(S2403).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SA 2 또는 데이터가 매핑되는 자원 유닛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SA 2 및 데이터는 주파수/시간/코드 영역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UE는 eNB으로부터 SA 2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eNB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 SA 2 및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전송 UE는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임의로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자원에 각각 SA 2 및 데이터를 매핑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데이터 및/또는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승인 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2 UE(즉, 수신 UE)는 eNB로부터 SA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즉, SA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S2501).
제2 UE는 SA 1 자원 풀 내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blind decoding resource region)에서 SA 1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S2502).
여기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은 수신 UE가 SA 자원 풀에서 전송된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한다.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에서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신 UE는 eNB에 의해서 사전에 통지된 자원 구성 정보 및/또는 특수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블라인드 디코딩해야 하는 자원 유닛(즉,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수신 UE가 SA 자원 풀 전체를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도 있으나, 수신 UE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에 대한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SA 자원 풀 내에서 일부 자원 유닛(들)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eNB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이 제한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은 시간(예를 들어, (D2D)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즉, 자원 호핑(resource hopping))도 가능하다.
여기서, 각 UE 별로 혹은 UE 그룹 별로 개별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UE 그룹 별 혹은 UE 그룹 별로 설정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은 일부 겹칠 수도 있고 분리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2)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을 제한하기 위하여 전송 UE A1과 수신 UE가 공통으로 공유하는 임시 ID에 기반해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사이에 SA-RNTI(Scheduling Assignment-RNTI)(또는, SL-RNTI(Sidelink-RNTI))와 같은 ID가 사전에 할당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A 자원(즉, SA 자원 풀)을 요청하기 위하여 eNB에게 D2D SR(SA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eNB가 SA 자원 풀 구성 정보와 함께 특정 값(예를 들어, 식별자(ID))를 송신 UE 및 수신 UE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값을 이용하여 SA 자원 풀 내에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UE 관점에서 SA 1 자원(즉, 자원 풀)은 전송뿐만 아니라 수신 용도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자원 유닛에서 전송 UE는 SA 1을 전송하고 수신 UE는 SA1을 수신하는 것이다. 전송 UE의 SA 1 전송을 위한 자원 풀이 지정되면, 이는 수신 UE의 SA 1 수신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 자원 영역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송 UE와 수신 UE가 공통된 정보(예를 들어, 전송 UE 및 수신 UE에 공통으로 할당된 식별자 또는 전송 UE/수신 UE에게 지정된 SA 1을 위한 자원 풀)를 공유함으로써 수신 UE는 SA 자원 풀에서 제한된 영역에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3) SA 1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한 자원 영역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임의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UE는 경쟁(contention) 기반 방식으로 SA 1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전송 UE의 SA 1 전송과의 충돌 등으로 인하여 한 번에 SA 1 전송이 성공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차례 SA 1의 전송을 시도할 수도 있다. 즉, SA 1을 SA 자원 풀 내에서 2회 이상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UE가 SA 1을 찾기 위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하기 위해서 SA 1이 다수 전송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 분할/영역(Tx resource partitions/region)과 모니터링 자원 분할/영역(monitoring resource partitions/region)을 사전에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A 1 자원 풀을 P개의 영역으로 분할(partitioning)을 수행하고, 이 중에 일부는 SA 1 전송을 수행하고, 나머지는 SA 1 수신 모니터링(Rx monitoring)을 수행한다. 이때, 반이중(half-duplex) 제약(constraint)를 고려해서 시간 상으로 분할(partitioning)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만약 브로드캐스팅을 고려한다면, 물리계층에서는 수신되는 모든 SA 1를 디코딩하고, 이 중에 필요 없는 부분은 상위 계층에서 버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UE는 SA 1을 기반으로 SA 2의 전송 자원 영역 및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을 식별한다(S2503).
여기서, 수신 UE는 SA 1의 컨텐츠 및/또는 S1의 전송 자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A 2 전송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전송 자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UE는 SA 1의 컨텐츠 및 SA 2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2504).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SA가 SA 1과 SA 2가 구분되어 전송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SA가 SA 1과 SA 2와 구분되어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SA가 SA 1과 SA 2로 구분되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앞서 기술된 SA 1과 관련되어 제안하는 방식들에서 SA 1은 SA 1과 SA 2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SA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2610)과 기지국(2610)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2620)을 포함한다.
기지국(2610)은 프로세서(processor, 2611), 메모리(memory, 2612)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26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6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25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6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612)는 프로세서(26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6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613)는 프로세서(26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620)은 프로세서(2621), 메모리(2622) 및 RF부(26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6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25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6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622)는 프로세서(26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6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623)는 프로세서(26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2612, 2622)는 프로세서(2611, 26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2611, 26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610) 및/또는 단말(26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scheduling assignment) 전송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LTE-A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SA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제1 자원 구성 정보 및 데이터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제2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SA 자원 풀 내 D2D 통신 데이터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SA를 전송하기 위한 SA 서브프레임 및 SA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SA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에 상기 SA를 매핑하여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서브프레임 및 데이터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 서브프레임 내 상기 데이터 자원 블록에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A 자원 풀은 상기 SA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들의 세트이며, 상기 SA 자원 풀은 시간 도메인에서 SA 서브프레임 풀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A 자원 블록 풀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풀은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들의 세트이며, 상기 데이터 자원 풀은 시간 도메인에서 데이터 서브프레임 풀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데이터 자원 블록 풀을 포함하고,
상기 SA는 상기 SA 자원 풀 내에서 2번 반복하여 전송되고,
상기 D2D 통신이 수행되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폭과 무관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 풀에 포함되는 전체 자원 블록의 개수는 미리 정의된 개수 이하로 제한되고,
상기 SA는 상기 D2D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서브프레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블록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SA 1 및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SA 2로 구분되고,
상기 SA 1은 상기 SA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에서 전송되고,
상기 SA 2는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상기 D2D 통신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SA 2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자원 블록은 상기 SA 1로부터 결정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2의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는 사전에 지정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은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 정보와 상기 SA 2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위한 MCS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SA 2의 전송 자원 영역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자원 영역으로부터 결정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SA 1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 상기 SA 2 및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임의로 결정된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2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DI: New Data Indicator), 리던던시 버전(RV: Redundancy Version),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정보 및 파워 제어(Power Control) 정보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해야 하는 자원 영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 1을 찾기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해야 하는 자원 영역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식별자(identifier)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스케줄링 승인 전송 방법. -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SA: Scheduling Assignment)을 전송하는 제 1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SA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제1 자원 구성 정보 및 데이터 자원 풀(resource pool)에 대한 제2 자원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A 자원 풀 내 D2D 통신 데이터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SA를 전송하기 위한 SA 서브프레임 및 SA 자원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SA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에 상기 SA를 매핑하여 제2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서브프레임 및 데이터 자원 블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데이터 서브프레임 내 상기 데이터 자원 블록에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SA 자원 풀은 상기 SA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들의 세트이며, 상기 SA 자원 풀은 시간 도메인에서 SA 서브프레임 풀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A 자원 블록 풀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자원 풀은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들의 세트이며, 상기 데이터 자원 풀은 시간 도메인에서 데이터 서브프레임 풀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데이터 자원 블록 풀을 포함하고,
상기 SA는 상기 SA 자원 풀 내에서 2번 반복하여 전송되고,
상기 D2D 통신이 수행되는 캐리어 주파수 대역폭과 무관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 풀에 포함되는 전체 자원 블록의 개수는 미리 정의된 개수 이하로 제한되고,
상기 SA는 상기 D2D 통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서브프레임 및 상기 데이터 자원 블록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SA 1 및 상기 D2D 통신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SA 2로 구분되고,
상기 SA 1은 상기 SA 서브프레임 내 상기 SA 자원 블록에서 전송되고,
상기 SA 2는 상기 데이터 자원 풀 내에서 상기 D2D 통신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SA 2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및 자원 블록은 상기 SA 1로부터 결정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1941490P | 2014-02-19 | 2014-02-19 | |
US61/941,490 | 2014-02-19 | ||
PCT/KR2015/001536 WO2015126114A1 (ko) | 2014-02-19 | 2015-02-16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5832A KR20160105832A (ko) | 2016-09-07 |
KR101794055B1 true KR101794055B1 (ko) | 2017-11-06 |
Family
ID=5387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0574A KR101794055B1 (ko) | 2014-02-19 | 2015-02-16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949288B2 (ko) |
EP (1) | EP3110222B1 (ko) |
KR (1) | KR101794055B1 (ko) |
WO (1) | WO2015126114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998A (ko) * | 2018-02-07 | 2020-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US11166249B2 (en) | 2018-03-28 | 2021-11-0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ndication information of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34127B2 (en) * | 2014-03-19 | 2018-07-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Network assistance in groupcast transmission |
US9883513B2 (en) * | 2014-03-19 | 2018-01-30 | Qualcomm Incorporated | Scheduling of device-to-device scheduling assignment for mode1 |
EP2945439A1 (en) * | 2014-05-14 | 2015-11-18 |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or device-to-device (d2d)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60037572A1 (en) * | 2014-07-29 | 2016-02-04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for supporting same |
CN116405083A (zh) * | 2015-03-31 | 2023-07-07 | 株式会社Ntt都科摩 | 终端 |
EP3314800B1 (en) * | 2015-06-26 | 2020-02-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Efficient multiplexing of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transmission |
WO2017018966A1 (en) * | 2015-07-24 | 2017-02-02 | Intel Corporation | Synchronization signals and channel structure for narrowband lte deployments |
WO2017026975A1 (en) * | 2015-08-12 | 2017-02-16 | Intel Corporation | De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WO2017052458A1 (en) * | 2015-09-23 | 2017-03-3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cheduling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
US10764865B2 (en) | 2015-09-24 | 2020-09-01 | Ntt Docomo, Inc. | User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
US10348466B2 (en) | 2015-11-03 | 2019-07-09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port block segmentation and signaling |
WO2017077625A1 (ja) * | 2015-11-05 | 2017-05-11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
US10631323B2 (en) * | 2015-12-08 | 2020-04-21 | Qualcomm Incorporated | Delayed control feedback in a time division duplex carrier utilizing common bursts |
JP6822418B2 (ja) * | 2016-01-25 | 2021-01-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装置、無線端末、及びこれらの方法 |
KR102568026B1 (ko) * | 2016-01-29 | 2023-08-17 |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 제 1 통신 장치, 통신 방법, 제 2 통신 장치 및 집적 회로 |
CN107371233B (zh) * | 2016-05-12 | 2020-10-09 |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 同步信号收发方法及无线通信装置 |
KR20190055164A (ko) * | 2016-09-29 | 2019-05-22 |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 스케줄링 할당 및/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을 선택적으로 디코딩하는 방법 및 관련 무선 통신 장치 |
WO2018066781A1 (ko) * | 2016-10-07 | 2018-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경쟁 기반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US20180159707A1 (en) | 2016-12-01 | 2018-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ream transmission |
CN114710246B (zh) * | 2016-12-23 | 2024-07-05 |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 无线通信系统中灵活的交叉传输时间间隔数据部分传输 |
JP6913172B2 (ja) * | 2017-02-05 | 2021-08-04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
US10333595B2 (en) * | 2017-02-21 | 2019-06-25 | Qualcomm Incorporated | Reference signal and Tx/Rx precoding for UE multiplexing in NR SS |
EP4236492A3 (en) | 2017-03-24 | 2023-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10100496B (zh) * | 2017-03-31 | 2022-09-02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发送信号以用于v2x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设备 |
CN109392091B (zh) * | 2017-08-11 | 2021-10-29 |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 用户终端及其寻呼消息传输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
US20190053204A1 (en) * | 2017-08-11 | 2019-02-14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Method, transmitting node and receiving node for feedback control of sidelink communication |
KR102542403B1 (ko) * | 2017-09-29 | 2023-06-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설정과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EP3688907A4 (en) * | 2017-09-29 | 2021-05-05 | Lenovo (Beijing) Limited | FEEDBACK MESSAGE WITH A SEQUENCE INDICATING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LOCKS OF DATA |
CN110166198B (zh) * | 2018-02-12 | 2024-07-02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旁路信号发送方法和设备 |
US11382083B2 (en) * | 2018-07-23 | 2022-07-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eliability transmission in vehicle to everything (V2X) communication |
CN112567842A (zh) * | 2018-09-07 | 2021-03-2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配置信息的传输方法和终端设备 |
CN110536261B (zh) * | 2018-09-28 | 2023-06-3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V2x通信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1148064B (zh) * | 2018-11-06 | 2023-04-18 |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 用于改进无线通信中的一对一侧链路通信的方法和设备 |
US11323961B2 (en) | 2019-03-08 | 2022-05-03 | Parallel Wireless, Inc. | Energy-efficient base station with synchronization |
KR102195867B1 (ko) * | 2019-04-05 | 2020-12-29 | 주식회사 케이티 |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US11356212B2 (en) | 2019-04-05 | 2022-06-07 | K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HARQ feedback information |
EP4002945A4 (en) * | 2019-08-16 | 2023-08-23 | Hyundai Motor Company | PROCEDURE FOR CONFIGURATION OF A SIDELINK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
US11665701B2 (en) * | 2020-03-27 | 2023-05-30 | Qualcomm Incorporated | Sidelink feedback tim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22413A1 (en) | 2012-05-31 | 2013-12-05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s to enable scheduling and control of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31688B2 (en) | 2007-06-11 | 2011-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artitioning of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
CN101345906B (zh) | 2007-07-13 | 2012-03-14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高速分组接入系统的无线资源分配方法及装置 |
US8548483B2 (en) * | 2010-10-04 | 2013-10-01 | Nokia Corporation | Feedback mapping for D2D control signals |
KR101919797B1 (ko) * | 2011-03-18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장치-대-장치 통신 방법 및 장치 |
KR20130065193A (ko)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
WO2013162333A1 (ko) * | 2012-04-26 | 2013-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부분적 단말 제어 단말 대 단말 통신 방법 |
CN104285496B (zh) * | 2012-05-04 | 2019-04-05 | 瑞典爱立信有限公司 | 用于d2d发现的方法和布置 |
-
2015
- 2015-02-16 KR KR1020167020574A patent/KR101794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16 US US15/113,019 patent/US9949288B2/en active Active
- 2015-02-16 EP EP15751700.4A patent/EP3110222B1/en active Active
- 2015-02-16 WO PCT/KR2015/001536 patent/WO201512611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22413A1 (en) | 2012-05-31 | 2013-12-05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s to enable scheduling and control of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ERICSSON, 'On Scheduling procedure for D2D', R1-140778, 3GPP TSG-RAN WG1 Meeting #76, URL, http://www.3gpp.org/ftp/TSG_RAN/WG1_RL1/TSGR1_76/Docs/R1-140778.zip, (2014.02.14.)* |
ERICSSON, 'On Scrambling of D2D Physical Channels', R1-135805, 3GPP TSG-RAN WG1 Meeting #75, URL, http://www.3gpp.org/ftp/tsg_ran/wg1_rl1/TSGR1_75/Docs/R1-135805.zip, (2013.11.15.)* |
ERICSSON, 'Overview of D2D Scheduling', R2-140626, 3GPP TSG-RAN WG2 Meeting #85, URL, 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85/docs/R2-140626.zip, (2014.02.14.)*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998A (ko) * | 2018-02-07 | 2020-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KR20200137049A (ko) * | 2018-02-07 | 2020-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KR102188272B1 (ko) | 2018-02-07 | 2020-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US10980055B2 (en) | 2018-02-07 | 2021-04-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supporting same |
KR102284378B1 (ko) | 2018-02-07 | 2021-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US11457465B2 (en) | 2018-02-07 | 2022-09-2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supporting same |
US11166249B2 (en) | 2018-03-28 | 2021-11-0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ndication information of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
US11737036B2 (en) | 2018-03-28 | 2023-08-2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ndication information of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10222B1 (en) | 2018-08-29 |
WO2015126114A1 (ko) | 2015-08-27 |
US9949288B2 (en) | 2018-04-17 |
EP3110222A1 (en) | 2016-12-28 |
EP3110222A4 (en) | 2017-09-13 |
KR20160105832A (ko) | 2016-09-07 |
US20160353478A1 (en) | 2016-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4055B1 (ko)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11133906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nchronization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101978852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905878B1 (ko) |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910663B1 (ko)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833988B1 (ko)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75960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790194B1 (ko)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79311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86233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03565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930711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discovery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 |
KR20160110959A (ko) |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5080510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5080484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