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83185B1 -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185B1
KR101783185B1 KR1020150187586A KR20150187586A KR101783185B1 KR 101783185 B1 KR101783185 B1 KR 101783185B1 KR 1020150187586 A KR1020150187586 A KR 1020150187586A KR 20150187586 A KR20150187586 A KR 20150187586A KR 101783185 B1 KR101783185 B1 KR 10178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unit
information
par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574A (ko
Inventor
박종혁
이정규
오대명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1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1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동작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해시 값, 및 상기 해시 값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다리를 통해 발생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이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MOTION DETECTION-BASE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터치 센서, 촉각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동작이나 반응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동작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일촉즉발의 전장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런데, 전장환경에서의 통신 체계는 음성통신과 수신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성으로 발생하는 소음이나 기도비닉 등의 상황에 방해받기 쉽고, 더욱이 수신호는 정확한 명령 전달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거리에 따른 위치상의 제약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적에게 발각될 경우, 아군의 생명위협과 통신의 어려움으로 작전수행에 필요한 상태 정보의 부재가 발생하여 효율적인 작전수행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동작을 간편하게 인식하고 상대방이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 하여 전송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7355호(발명의 명칭: 침입감지 시스템, 공개일자: 2011년 07월 07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에 대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이 사용자의 동작을 식별하지 못하는 장소에 위치하더라도 음성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동작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해시 값, 및 상기 해시 값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다리를 통해 발생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이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인식부는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형태, 동작 세기, 동작 지속 시간, 동작 범위, 동작 시 흔들림 정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한 생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건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건강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상대방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주변 영역의 지형지물에 관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에 기반한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방 위치 맵을 생성하며, 상기 상대방 위치 맵을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좌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암호화 처리된 음성 데이터 및 좌표 정보를 상기 상대방의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에 대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이 사용자의 동작을 식별하지 못하는 장소에 위치하더라도 음성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상황의 경우, 작전수행 간 필요한 정보(위치, 지형, 환경 등)를 함께 송수신하여 보다 정확한 전장 분석을 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암호화를 통해 보안상의 위협을 보호함과 동시에 작전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로서, 암 밴드(Arm-band)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디바이스(110), 통신 모듈(130), 및 상대방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을 취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인식된 동작에 대해 시스템 내부에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130)을 통해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블루투스, Zigbe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모듈(130)을 통해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에 상기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휴대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PDA,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일 실시예로서, 암 밴드(Arm-band)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밴드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팔에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암 밴드 디바이스는 건강 관리, 전투모드 변환, 환경 제어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버튼을 클릭했을 때의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암 밴드 디바이스에서 원하는 메뉴의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출력물(데이터)이 상기 암 밴드 디바이스의 화면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암 밴드 디바이스에서 상기 통신 모듈(130)의 활성화와 관련한 메뉴의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통신 모듈(130)을 활성화 시켜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130)을 통해 상기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외부에 존재하는 중앙관제기관(HQ)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구비된 화면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 상황의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중앙관제기관(HQ)으로부터 작전 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화면장치에 출력된 작전 명령에 관한 정보를 보고 그에 맞는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 및 음성 변환하여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저장부(310), 동작 인식부(320), 신호 처리부(330), 데이터 전송부(340), 및 디바이스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10)는 사용자의 동작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해시 값, 및 상기 해시 값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즉, 상기 매칭 테이블에는 상기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마다 상기 해시 값과 상기 음성 데이터가 하나씩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주먹을 쥐는 동작에 대해서는 위험을 알리는 동작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가 팔을 위아래로 흔드는 동작에 대해서는 시간이 촉박함을 알리는 동작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하나만을 위로 올려 돌리는 동작에 대해서는 천천히 움직임을 알리는 동작 데이터로 매칭하고, 각각의 동작 데이터마다 '1a', '2b', '3c'라는 해시 키와 '위험', '빠르게', '천천히'라는 음성 데이터가 대응되어 상기 매칭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다리를 통해 발생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형태, 동작 세기, 동작 지속 시간, 동작 범위, 동작 시 흔들림 정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사용자의 팔이 상하좌우 혹은 대각선으로 움직였는지, 몇 도만큼 움직였는지, 몇 초 동안 움직였는지 등의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은 사용자의 팔 외에 손이나 다리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신체 구성요소 전체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상기 사용자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수행할수록 보다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반복됨에 따른 동작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동작 인식부(320)는 유사한 동작이 일정 시간(예: 5초) 내에서 여러 회(예: 10회) 반복 수행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반복 수행되는 동작의 이동 경로에 따른 좌표 값들에 대한 평균 이동 경로 좌표 값을 산출하여 그 평균 이동 경로 좌표 값을 상기 사용자의 동작으로 인식하게 하는 동작 보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동작 반복 횟수가 증가할수록 해당 동작을 더욱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330)는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신호 처리부(330)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작 인식부(320)에 의해 생성된 동작 데이터와 일치하는 동작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작 데이터에 대응되는 해시 값을 찾아 그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동작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도 매칭되지 않는 경우, 동작 인식에 실패하였다는 메시지 혹은 동작의 재인식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화면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330)는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340)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상대방은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전송부(340)는 상기 통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Zigbe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35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 즉 상기 데이터 저장부(310), 상기 동작 인식부(320), 상기 신호 처리부(330), 상기 데이터 전송부(3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저장부(410), 동작 인식부(420), 신호 처리부(430), 데이터 전송부(440), 위치 획득부(450), 암호화부(460), 및 디바이스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410), 상기 동작 인식부(420), 및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470)는 도 3의 데이터 저장부(310), 동작 인식부(320), 및 디바이스 제어부(3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430) 및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전장 환경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배경으로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전장 환경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신속한 명령 전달과 더불어 아군간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 처리부(430)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를 통해 전송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인 메시지에는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430)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430)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주변 영역의 지형지물에 관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에 기반한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방 위치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대방 위치 맵에는 전투 시 유용하게 활용되는 건물의 외형 구조 및 간격, 땅의 생김새 등을 배경으로 상대방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430)는 상기 상대방 위치 맵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화면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화면장치에 표시된 상대방 위치 맵을 보고서 상대방이 어디에 위치하고 그 주변에는 어떤 지형지물이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황에 맞는 전술을 짜서 그에 해당하는 작전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전 명령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음성 변환 과정을 통해 음성 데이터로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대방의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경우와 반대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릴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전장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치 획득부(45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획득부(450)는 GPS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GPS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현재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호화부(460)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좌표 정보를 암호화 처리 할 수 있다. 이는 전장 상황에서 아군과의 긴밀한 정보 교환을 위해서이다.
상기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 처리가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암호화 처리된 음성 데이터 및 좌표 정보를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저장부(510), 동작 인식부(520), 신호 처리부(530), 데이터 전송부(540), 건강 관리부(550), 및 디바이스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 상기 동작 인식부(520), 상기 신호 처리부(530), 상기 데이터 전송부(540), 및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560)는 도 3 및 도 4의 데이터 저장부(310, 410), 동작 인식부(320, 420), 신호 처리부(330, 430), 데이터 전송부(340, 440), 및 디바이스 제어부(350, 4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건강 관리부(55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건강 관리부(55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한 생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작 인식부(520)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맥박,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상태, 홍채 구조 등을 통한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는 상기 지속적으로 인식된 생체 신호를 종류별로 각각 미리 정의된 생체 데이터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부(550)는 상기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 관리부(55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로부터 상기 인식된 생체 신호마다 대응된 생체 데이터를 전달 받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맥박이 일정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으로 진동하는 상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는 임계치 이상으로 진동하는 맥박 신호에 대해 맥박이 빠르게 뛴다는 생체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건강 관리부(550)는 상기 맥박이 빠르게 뛴다는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에 문제가 있다는 건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부(550)는 상기 건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화면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화면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건강 데이터는 상기 신호 처리부(530)를 통해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된 후, 상기 데이터 전송부(540)를 통해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610)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형태, 동작 세기, 동작 지속 시간, 동작 범위, 동작 시 흔들림 정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해시 값, 및 상기 해시 값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선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20)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난 후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630)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방 디바이스(120)에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사용자 디바이스
120 : 상대방 디바이스
130 : 통신 모듈
310, 410, 510 : 데이터 저장부
320, 420, 520 : 동작 인식부
330, 430, 530 : 신호 처리부
340, 440, 540 : 데이터 전송부
350, 470, 560 : 디바이스 제어부
450 : 위치 획득부
460 : 암호화부
550 : 건강 관리부

Claims (5)

  1. 사용자의 동작별로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복수의 동작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해시 값, 및 상기 해시 값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다리를 통해 발생하는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에 매칭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생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음성 데이터로 음성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이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인식부는
    유사한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반복 수행되는 경우, 반복 수행되는 동작의 이동 경로에 대한 평균 이동 경로 좌표 값을 산출하여 상기 평균 이동 경로 좌표 값을 상기 사용자의 동작으로 인식하게 하는 동작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근전도 센서, 심전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형태, 동작 세기, 동작 지속 시간, 동작 범위, 동작 시 흔들림 정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한 생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건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건강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상대방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주변 영역의 지형지물에 관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에 기반한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방 위치 맵을 생성하며, 상기 상대방 위치 맵을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좌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암호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암호화 처리된 음성 데이터 및 좌표 정보를 상기 상대방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50187586A 2015-12-28 2015-12-28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86A KR101783185B1 (ko) 2015-12-28 2015-12-28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586A KR101783185B1 (ko) 2015-12-28 2015-12-28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74A KR20170077574A (ko) 2017-07-06
KR101783185B1 true KR101783185B1 (ko) 2017-09-29

Family

ID=5935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5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3185B1 (ko) 2015-12-28 2015-12-28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1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277A (ja) * 2007-09-03 2009-03-19 Kenichiro Tamaki 行動記録装置と第三者による証明/判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277A (ja) * 2007-09-03 2009-03-19 Kenichiro Tamaki 行動記録装置と第三者による証明/判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74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69202A (ja) ユーザに方向付けられた個人情報アシスタント
CN102760341B (zh) 健康信息监测系统及方法
US115675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based gesture control
KR102124178B1 (ko)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0917767B2 (en) IOT device selection
US10332378B2 (en) Determining user risk
US11601806B2 (e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WO2015062320A1 (zh) 人体耦合智能信息输入系统及方法
US9521202B2 (en)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CN109901698B (zh) 一种智能交互方法、可穿戴设备和终端以及系统
WO2017041458A1 (zh) 身份识别方法、发送端、接收端、可穿戴设备及身份识别系统
KR101250952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50106774A (ko) 자세 분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ourbemany et al. A survey of wearable devices pairing based on biometric signals
US20150235016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064418A (ko)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JP2024133603A (ja) 状況推定装置、状況推定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よる状況推定方法、並びに状況推定プログラム
KR102314710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번역 서비스 시스템
CN204904276U (zh) 一种可穿戴设备及身份识别系统
KR101783185B1 (ko) 동작 감지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Yi et al. Design flow of a wearable system for body posture assessment and fall detection with android smartphone
KR101520462B1 (ko) 상지 장애인용 인터페이스장치
CN105843404A (zh) 基于读屏应用指令输入方法及装置
KR20190047644A (ko) 운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60113788A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보안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