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82093B1 -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 Google Patents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093B1
KR101782093B1 KR1020160130708A KR20160130708A KR101782093B1 KR 101782093 B1 KR101782093 B1 KR 101782093B1 KR 1020160130708 A KR1020160130708 A KR 1020160130708A KR 20160130708 A KR20160130708 A KR 20160130708A KR 101782093 B1 KR101782093 B1 KR 10178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ndible
protrusion
tongu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6570A (en
Inventor
박희주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송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호 filed Critical 송영호
Priority to KR102016013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093B1/en
Publication of KR2017009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례로 하악의 치아를 덮어 장착된 몸체;와 몸체로부터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단측 부위에서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대는 평상시보다 하악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하악의 치아에 씌워져 장착되는 장착부와, 혀의 양측부와 앞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받쳐 올리도록 장착부로부터 연장된 혀지지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평상시보다 하악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부의 앞 부분에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제작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ing and anti-gauding device, for example, a snorkel and a snare prevention device, which includes a body mounted with a mandible, and at least one suppo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nd a support having a support pad for supporting the support, wherein the support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on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mandible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mandible. As another example, a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mandibular teeth, a tongue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portions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tongue, And a support which is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Description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본 발명은 코골이와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악에 장착되어 하악이 상악보다 전진 위치하면서 혀의 일부위를 들어올려 코골이를 방지하고, 윗니와 아랫니 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이갈이를 방지하도록 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the snoring,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ounted on the lower jaw to prevent the snoring by lifting a part of the tongue while the mandible is located forward of the maxilla, and preventing the fri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prevent snoring and to prevent snoring.

코골이란 잠을 자며 숨을 쉬는 동안 기도 주변의 연조직(혀, 목젖, 연구개, 편도)들이 이완되면서 부분적으로 기도가 좁아져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어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들이 진동되어 나는 소음이며, 일반적으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혀 공기가 폐로 흐르지 못하게 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obstructive sleeping apnea)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Snoring is the sleep of the breathing while soft tissue around the airway (tongue, umbilical cord, study dog, one way) is loosened, the airway narrowed partly as the air passes through this part of the air flow is accelerated around The soft tissues are vibrated and the noise is usually accompanied by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which the airway is temporarily blocked and air can not flow into the lungs.

여기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이란 단위 시간당 수면 무호흡(Apnea: 10초 이상 입과 코에 공기의 흐름이 멈춘 경우)과 저호흡(Hypopnea)의 합친 회수(AHI)가 시간당 5회 이상일 경우를 말하는데, 저산소혈, 혈액 중 이산화탄소 증가, 뇌졸중, 고혈압, 심박동이상, 돌연사 등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당뇨병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OSA refers to a case in which sleep apnea (Apnea: stopped air flow in mouth and nose for more than 10 seconds) and Hypopnea combined time (AHI) is more than 5 times per hour , Hypoxic blood, increased carbon dioxide in the blood, stroke, hypertension, heart failure, sudden death, etc. It is also reported to be closely related to diabetes.

이러한 코골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심한 소음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측면도 있지만 코골이 도중에 수반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본인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숙면을 방해하여 낮에 만성적 졸음상태와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업무능력과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The problem with snoring is that it can cause damage to people due to severe noise, but it can cause serious health risks to my health due to obstructive sleep apnea accompanied by snoring. In addition, it interferes with sleeping, causing chronic drowsiness and chronic fatigue during the day, resulting in poor work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한편,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비외과적 치료법에는 구강 내 장치, 지속적상기도양압술, 약물요법, 행동요법 등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지속적상기도양압술로 일종의 산소호흡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기도 안으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확장시키는 치료방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can be categorized into surgical treatment and non - surgical treatment. Non - surgical treatment includes intraoral device, continuous upward positive pressure, drug therapy, and behavior therapy. The most effective method known to date is a method of expanding a closed airway by forcing air into the airway using a device such as an oxygen respirator with continuous upward positive pressure.

그러나 이 장비는 효능 면에서 탁월하지만 초기 구입비용이 많이 들고 장착시 심한 불편감을 야기하며 이동 중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device is excellent in efficacy,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expensive to initial purchase, inconvenient to wear, and inconvenient to carry on the move

또한, 코골이방지 구강 기구의 원리는 크게 2가지로 대별되는데, 그중 하나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하악에 부착된 혀가 앞으로 당겨 나오게 되면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개와 목젖을 상방으로 압박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일단 기도가 확보되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빨려들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으므로 코 고는 소리가 소멸하며, 기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증가되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치유된다.In addition, the principle of the snoring prevention mouth mechanism is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one of which is to move the mandible forward, and when the tongue attached to the mandible is pulled forward, the soft tissue around the back of the tongue spreads to secure the airway And the other is a method of securing airway by pushing up the study dog and the umbrella upward. Once the airway is secured, the inhaled air is naturally sucked into the airway, so the surrounding soft tissue is not vibrated and the snoring sound disappears, and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airway normally increases smoothly, thus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개발된 종래의 구강 기구 중 하악 전진 구강 기구는 일반적으로 수면도중 부족한 산소공급을 보완하기 위한 무의식적 구호흡이 이루어지거나 입을 벌릴 경우 전진기구에 의해 강압적으로 전진 되어 있던 하악이 원래 상태로 후퇴하여 코골이 방지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oral appliance developed using this principle, the mandibular advancement oral appliance generally has an unconscious breathing to compensate for deficient oxygen supply during sleep, or when the mouth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noring prevention effect is lost.

또한, 상, 하악분리형 구강 기구는 별개의 상악 기구와 하악 기구를 상호 연결시켜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전체부피가 커짐은 물론, 정교한 연결상태를 확보해야 하므로 제작의 어려움과 그 연결장치 등의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detachable oral appliances require a connecting device for mutually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and lower mandibular instruments. As a result, not only the total volume is increased but also the elaborate connection state is se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pparatus and the like.

또, 이들 구강 기구는 착용시 상악과 하악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없어서 수면 중 착용에 따른 위화감이 크고, 말을 하거나 하품 등을 하기가 곤란하며, 기구 제거시 무의식적으로 혀를 깨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se oral appliances can not move the upper and lower jaws to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when worn, so that there is a great sense of discomfort due to wearing during sleeping, and it is difficult to speak or yawn, and the tendency to bite the tongue unconscious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한편, 이갈이는 단순히 부정교합과 같은 치과적인 문제뿐 아니라 수면 중 호흡 행태, 수면시 자세, 체내 철분, 심리적 문제 등이 모두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잠버릇 중의 하나로 특별한 목적 없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갈아대는 행위를 말한다. 이갈이는 간혹 낮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수면을 취하는 도중에 나타난다. 어린이의 경우 주로 7∼10세에 나타나는데 예민하고 심리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일 때 나타나고, 어른의 경우 스트레스와 그밖에 치아가 잘 맞지 않는 부정교합, 음주, 유전, 특정 약의 복용, 중추신경계 장애 등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one of the sleeping pills which is caused not only by dental problems such as malocclusion but also by breathing behavior during sleep, posture during sleep, body iron, and psychological problems. It says. Sometimes it appears during the day, but most of it occurs during sleep. Children usually appear in the age group of 7 to 10 years, and they appear when they are sensitive and unstable. In adults, they also cause stress and other maladies that do not fit well, drinking, genetics, taking certain medicines and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It is known.

이러한 이갈이는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10배 이상 강한 힘으로 이를 갈게 되므로, 치아의 표면이 닳고, 치아 주위의 조직이 손상되어 찬 음식을 먹으면 이가 시리며, 심한 경우에는 이가 흔들리기도 한다. 그리고 수면 중에 이갈이를 하거나 이를 꽉 다물고 잔 경우에는 일어났을 때 양쪽 뺨의 근육이 얼얼하고 두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치주조직이 손상되어 음식물을 씹을 때마다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며 더 큰 악영향으로 턱관절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치료는 우선 심리적인 치료를 시행하는데, 그래도 이갈이를 계속한다면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고, 그밖에 행동조절, 약물치료 등을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se teeth are usually 2 to 10 times stronger than chewing food, so the surface of the tooth is worn out, the tissues around the tooth are damaged, and when you eat cold food, the teeth become irritable. And when it gets wet during the sleep or when it is tightly closed, the muscles of both cheeks become chewy and headache complains, and the periodontal tissue is damage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chew food, Or more. The treatment is psychological treatment first, but if it continues, it is equipped with occlusal stabilization device between upper teeth and lower teeth, and also conducts behavior control and medic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9860호(2006.08.0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9860 (Published on August,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995호(2013.02.21. 공고)Korean Patent No. 10-1235995 (Bulletin of Feb. 21,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675호(2014.10.06. 공고)Korean Patent No. 10-1446675 (issued October 10,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349호(2015.08.0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42349 (Announced 2015.08.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225호(2014.11.13. 공고)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5225 (Announcement No.13, 20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449호(2014.09.17.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449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of Announcement on September 17, 20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431호(2004.06.26. 공고)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3431 (Bulletin of Jun. 26, 2004)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에 장착하여 하악을 상악보다 앞쪽으로 위치시키면서 혀의 밑면 일부를 받쳐 올려 코골이를 개선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이동시 상호 벌어지게 하여 이갈이를 방지하도록 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noring by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tongue while positioning the mandible in front of the maxilla and attaching it to the mandible, Thereby preventing snoring and preventing the snoring.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하악의 치아를 덮어 장착된 몸체;와 몸체로부터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단측 부위에서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대는 평상시보다 하악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noring and anti-gaeb preventive device comprising: a body mounted with a mandible to be covered with teeth; at least one suppo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nd a support having a support pad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gums of the mandible, wherei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on the side so as to be located forward of the mandible.

여기서, 지지대는 몸체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되고,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몸체에 고정된 경질의 재질이거나 열을 가해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base is a hard material fixed to the body so as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at the side, or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by applying heat.

또한, 지지대는 높이 방향으로 1개이거나, 상호 삽입 및 인출되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제작된 적어도 2개이고, 지지대가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인 경우, 적어도 1개의 지지대는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다른 지지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t least two support rods are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or at least two rods are mutually inserted and drawn out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support rods are at least two in the height direction, at least one support rop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is fixed to the support.

또, 지지패드는 평면상 일정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경질의 재질이거나 열을 가해 평면상 곡률을 조정할 수 있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이고, 지지대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pad is a hard material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plane or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plane by applying heat,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or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ixed.

그리고 지지패드는 상악에 대해 하악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상 상악의 잇몸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ms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ms so that the lower jaw can mov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upper jaw.

또한, 지지패드는 상악의 순소대가 위치한 정면상 상부의 중앙부위가 양측부위보다 더 낮거나, 홈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where the maxillary subtalar is located is lower than the both side portions, or the groove is machined.

일례로, 지지대는 몸체의 앞 부분이면서 상악의 전치부 범위 내에서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되도록 가공되고, 지지패드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ars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within the range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and the support pads are process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with the support rod as a cent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하악의 치아에 씌워져 장착되는 장착부와, 혀의 양측부와 앞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받쳐 올리도록 장착부로부터 연장된 혀지지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평상시보다 하악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부의 앞 부분에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제작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noring and anti-gauding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a mandibular tooth; a tongue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 mounting portion to support at least one portion of both side portions and a front portion of the tongue; And a support which is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gum and supported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여기서, 혀지지부는 장착부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장착되고, 장착부에서 입안 바닥을 따라 연장되면서 입안 바닥과 접촉되거나 입안 바닥으로부터 떠 있도록 제작되며, 평면상 일정 면적을 갖는 1개이거나 다수의 돌기 형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tongue support part is made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art,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so as to be contacted with the mouth of the mouth while extending along the mouth of the mouth, An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ate.

또한, 하악이 전, 후 좌, 우로 이동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윗니와 접촉하여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도록 몸체의 상면이 울퉁불퉁한 형태로 가공되거나, 하악이 좌, 우로 움직일 때 윗니의 송곳니와 접촉하도록 몸체의 상면에 가공된 제1돌기와, 하악이 전, 후로 움직일 때 윗니의 첫째 작은 어금니와 접촉하도록 몸체의 상면에 가공된 제2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몸체의 상면에 울퉁불퉁한 형태와 제1돌기와 제2돌기 중 적어도 2개가 가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mandible moves forward, backward, and right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s processed to be rugg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contacted with at least one upper tooth, or when the mandible moves to the left and right, it contacts with the canines of the upper teeth.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ntact the first small molar of the upper teeth when the mandib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or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have a rugged shape And at least two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are processed.

이때, 지지체는 몸체로부터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단측 부위에서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includes: a support having at least on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nd a support having a support pa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o support the upper gum in contact with the upper support.

여기서, 지지대는 몸체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되고,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몸체에 고정된 경질의 재질이거나 열을 가해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이며, 높이 방향으로 1개이거나 상호 삽입 및 인출되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제작된 적어도 2개이고, 지지대가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인 경우 적어도 1개의 지지대는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다른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fixed to the body, or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 by applying heat, and is formed of one piec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t least one supporting base is fixed to the other supporting bas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a side surface thereof.

또한, 지지패드는 평면상 일정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경질의 재질이거나 열을 가해 평면상 곡률을 조정할 수 있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이고, 지지대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되며, 상악에 대해 하악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상 상악의 잇몸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고, 상악의 순소대가 위치한 정면상 상부의 중앙부위가 양측부위보다 더 낮거나 홈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pad is a hard material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plane or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flat surface by applying heat and is integrally manufactured or fixed separately and fixed to the support, And has a curvature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ms in a planar manner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maxillary subtalar is located is lower than the both side portions or the groove is processed.

일례로, 지지대는 몸체의 앞 부분이면서 상악의 전치부 범위 내에서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되도록 가공되고, 지지패드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ars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within the range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and the support pads are process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with the support rod as a center.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랫니에 씌워진 장착부에서 연장된 혀지지부로 혀의 밑면을 받쳐 올리고, 장착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지지패드가 상악에 지지되어 하악이 상악보다 돌출되게 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이설골근이 전방으로 당겨지고, 혀가 전방 및 상방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기도를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코골이는 물론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is supported by the tongue support portion extended from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covered with the lower tooth, and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pad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ar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snoring as well as the sleep apnea by ensuring that the diaphyseal muscle is pulled forward and the tongue is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to ensure sufficient airway.

또한, 패드의 평면상 곡률을 윗몸의 곡률보다 더 크게 하거나 패드의 양측 부위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악에 대해 하악이 좌, 우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urvature of the flat surface of the pad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body, or both sides of the pad have elasticit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dible can move to the left and right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maxilla.

또, 지지대가 분할되어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입을 벌릴 때의 상악 이동을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is divided and mounted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xillary movement when the mouth is opened can be freely guaranteed within a certain range.

그리고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윗니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즉 상악의 전, 후 이동시 어느 하나의 윗니가 제1돌기와 간섭되어 상악이 들어 올려지고, 상악의 좌, 우 이동시 어느 하나의 윗니가 제2돌기와 간접되어 상악이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re selectively interfered with the upper teeth, that is, when the upper teeth are moved before and after the upper teeth, the upper teeth are interfered with the first protrusions to lift the maxilla, One of the upper teeth is in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 while moving, so that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lifted up to prevent buckl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를 착용한 후 상악의 움직임이 도시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noring and anti-gai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Figs. 4 to 6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maxilla after wearing the snoring and anti-gauding device of Fig. 1.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Configuration>

이하에서 "앞", "정면" 또는 "전방"은 구강의 앞쪽, 즉, 외부 쪽을 지칭하고, "뒤" 또는 "후방"은 구강의 뒤쪽, 즉, 목구멍 쪽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좌측"과 "우측"은 얼굴을 정면에서 볼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front "," frontal ", or "frontal" refers to the front side of the oral cavity, that is, to the outside, and "rear"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re defined as the directions when the face is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지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술된 몸체(100)의 장착부(110)와 혀지지부(120) 및 지지체(200)의 지지대(210)와 지지패드(220)는 하악을 평상시보다 앞쪽으로 위치시켜 기도 확보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후술된 몸체(100)의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는 하악이 전, 후, 좌, 우로 이동할 때 윗니와 접촉하여 윗니와 아랫니가 벌어지도록 하여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1 and 2, the snoring and nasal decontamin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nd a support 200. [ Here,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body 100, the tongue support portion 120 of the body 100, the support table 210 of the support body 200, and the support pad 220 secure the airway by locating the mandible more forward than usual, It is a component to prevent snoring and sleep apnea.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of the body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tact the upper teeth when the mandible moves backward, forward, leftward and rightward to open the upper and lower teeth, Lt; / RTI &gt;

몸체(100)는 장착부(110), 혀지지부(120)와 이갈이 방지돌기(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The body 1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0, a tongue support portion 120, and a detent protrusion 130.

먼저, 장착부(110)는 하악의 치아 즉, 아랫니의 전치(前齒)부 또는, 전치부와 구치(臼齒)부를 씌워 장착되도록 제작한다. 이때 장착부(110)는 치아의 상면을 중심으로 양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씌우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10)는 이용자의 치아로부터 본을 떠서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장착부(110)는 표준 형태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온수 등으로 열을 가하여 유연하게 만든 후 사용자가 착용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First,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mandibular teeth, that is, the anterior portion or the anterior portion and the molar portion of the lower teeth. 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part or all of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Such a mounting portion 110 can be manufactured by taking a pattern from the teeth of the user. Alternatively,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tandard shape and provided to a user, and may be made to be soft by applying heat with hot water or the like, and then may be completed by a user to wear it.

또한, 혀지지부(120)는 혀의 앞부위와 양측 부위를 약간 들어올려 후술된 지지대(210) 및 지지패드(220)와 함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 혀지지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혀의 양측부와 앞부위를 들어올려 받칠 수 있도록 장착부(110)의 내측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제작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혀지지부(120)는 혀의 앞부위와 양측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장착부(110)의 내측으로부터 입안 바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제작된다. 이때, 혀지지부(120) 중 혀의 앞부위를 들어올리는 앞부위의 연장 길이가 제일 길고, 점차 혀지지부(120)의 옆 부위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고,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혀지지부(120)는 입안 바닥에 접촉되어 제작할 수도 있고, 입안 바닥으로부터 떠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 혀지지부(120)는 평면상 면(面)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다수의 돌기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면과 돌기가 혼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ongue support part 120 is a part for lifting the front part and both sides of the tongue slightly to secure the airway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support pad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1 to 3, the tongue support unit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so as to lift and support both side portions and a front portion of the tongue. More specifically, the tongue support portion 120 is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along the bottom of the mouth from the in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tongue can be lifted. At this tim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support part 120 that lifts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is the longest,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side of the tongue support part 120, or vice versa. Also, the tongue support 120 may be manufactured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mouth, or may be made to float from the mouth of the mouth. The tongue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ne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a mixture of a surface and a protrusion.

또, 이갈이 방지돌기(130)는 이갈이를 위해 하악이 전, 후, 좌, 우로 이동할 때, 윗니와 접촉하여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도록 하여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돌기이다. 이 이갈이 방지돌기(130)는 일례로,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irregularity preventing protrusion 130 is a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irregularity 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teeth when the mandible is moved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for gutting. The anti-glare protrusion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for example.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는 하악이 전, 후와 좌, 우로 이동할 때, 윗니 중 각각 어느 하나의 치아와 접촉하여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도록 하여 이갈이를 위한 하악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한다. 이들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는 장착부(110)의 상면에 상호 인접하여 봉우리 형태로 돌출된 형태이다. 여기서, 제1돌기(131)는 하악이 좌우로 이동할 때, 일례로 윗니의 송곳니와 접촉하도록 위치 및 제작되고, 이 제1돌기(131)를 따라 송곳니가 이동하면서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132)는 하악이 전후로 이동할 때, 일례로 윗니의 첫째 작은 어금니(송곳니의 구치측 다음 치아)와 접촉하도록 위치 및 제작되고, 이 제2돌기(132)를 따라 첫째 작은 어금니가 이동하면서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돌기(131)는 하악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제2돌기(132)는 하악이 전후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 중 하나만 제작될 수도 있고, 둘 다 제작될 수도 있다. 반면,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가 제작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는 하악이 이동할 때 윗니가 장착부(110)의 상면과 접촉하므로 아랫니와 윗니 간의 마찰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 이갈이를 위한 하악의 이동이 지속되므로 장착부(110)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come into contact with any one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when the mandible moves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are opened, I will interfere. The first protrusions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s 132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n the form of peaks. Here, the first protrusion 131 is positioned and made to contact the canine of the upper teeth when the mandibl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canine is moved along the first protrusion 131 so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can be opened have.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positioned and made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irst small molar of the upper teeth (the tooth next to the molar tooth side of the canine) when the mandible moves back and forth, and along the second protrusion 132, So that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can be widened.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131 can prevent the tooth from being generated while the mandible moves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can prevent the tooth from being generated while the mandible moves back and forth. Of course, either one of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be fabricated, or both of them may be fabrica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not be manufactured because the upper tee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when the mandible moves,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lower teeth and the upper teeth is prevented. Howev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be machin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damaged because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for retaining is continued.

그리고 이갈이 방지돌기(130)는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부(110)의 전치부 및 구치부에도 다수의 돌기 형태로 다수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갈이 방지돌기(130)는 다른 예로, 장착부(110)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를 울퉁불퉁한 형태로 만들거나 윗니의 아래 면 형태로 울퉁불퉁하게 만들어 하악이 이동하면 상악과 벌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e irregularity preventing protrusions 130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protrusions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s 132 but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number of protrusions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lternatively, the anti-deterioration protuberance 130 may be formed to have a bumpy shape on the upper surface o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 or to be rug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so as to be widened with the upper jaw when the mandible is moved.

한편, 지지체(200)는 장착부(110)에서 하악의 전치부에 씌워지는 전방측 부위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악의 잇몸과 접촉 및 지지하여 하악을 평상시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혀지지부(120)와 더불어 기도를 유지하여 코골이와 더불어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부위이다. 이 지지체(2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장착부(110)에서 상악으로 돌출된 지지대(210)와, 이 지지대(210)의 상단부에 위치하면서 상악의 잇몸 지지하는 지지패드(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Meanwhile, the support 200 may extend upward from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0 to be covered with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d support the maxillary gums so that the mandible protrudes more forward than usual, ), Along with snoring to prevent sleep apnea. 1 to 3, the supporter 200 includes a supporter 210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210 and a support pad 220 supporting the upper gum, .

먼저, 지지대(210)는 장착부(110)의 전방측 선단부에서 상향 돌출된다. 이 지지대(210)는 1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치부 범위에 내에서 상호 인접한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210)는 장착부(110)와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하여 장착부(1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별도 제작한 경우, 지지대(210)를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로 제작한 후 열을 가해 장착부(110)에 부착시킬 수도 있고, 장착부(110)에 고정홈을 가공한 후 이 고정홈에 지지대(210)를 꽂아 고정시킬 수도 있다. First, the support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table 210 is one, and may be two or mo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nterior region. The support bas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ortion 11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Alternatively, the supporting table 210 may be formed of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and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10 by applying heat. Alternatively,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art 110, It can be fixed by inserting.

이러한 지지대(210)는 사용자마다 평상시의 하악 위치가 다르고, 하악을 돌출시키는 위치의 정도가 다르므로, 하악을 불편함 없이 최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열을 가하여 측면상 기울어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210)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를 사용자의 하악에 맞춤 완성한 후 상악의 위치에 따라 지지대(210)를 가열하여 측면상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지지대(21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고, 경질의 재질로 제작된 후 장착부(110)에 전, 후방향으로 다수 가공된 조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켜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지지대(210)가 2개인 경우, 장착부(110)측 지지대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로, 다른 하나의 지지대는 경질의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3개 이상인 경우도, 1개 이상의 지지대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재질로, 나머지 지지대는 경질의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Since the support base 210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mandible position for each user and the degree of the position for protruding the mandible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ed side angle by applying heat to maximize the mandible without inconvenience. To this end, the support 210 may be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Thus, after completing the body 100 to the mandibl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by heating the support 2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 The support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fixed by being fix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adjustment groove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mounting portion 110 after being made of a hard material. When there are two support rods 210, the support rods of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and the other support rods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Of course, in the case of three or more, one or more supports may be made of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material and the rest of the supports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또한, 지지대(210)는 몸체(100)가 장착되는 하악의 치아 높이와 지지패드(220)가 접촉되는 상악의 윗몸 간의 높이 차이가 개인별 차이가 있고, 이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210)를 다양한 높이로 제작할 수도 있고,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지지대(210)가 상호 인출 및 삽입되어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1개의 지지대(210)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적어도 1개의 지지대(210)가 일정 각도를 갖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210)가 2개인 경우, 하측 지지대(210)는 수직 방향으로 제작되고, 이 하측 지지대(210)에 상측 지지대(210)가 측면상 기울기를 갖도록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하측 지지대(210) 또는 상측 지지대(210) 자체를 측면상 기울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나머지 지지대(210)는 측면상 직선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table 210 has individual differences in height between the mandibular tooth height on which the body 100 is mounted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ads 220, have. For example, the support 210 may be manufactured at various heights, or at least two supports 210 may be drawn out and insert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ixed at a certain height. At this time, at least one support 210 may be fix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ther support 210 may be fixed in a certain angle.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support rods 210, the lower support rods 21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rods 21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rods 210 so as to have a lateral slope. Of course, the lower support 210 or the upper support 210 itself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ide slope, and the remaining support 210 may be formed as a straight side on the side.

한편, 지지패드(220)는 지지대(210)의 선단측 부위에 고정되고, 몸체(100)가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면 상악의 잇몸에 접촉되어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재이다. 물론, 지지패드(220)는 잇몸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제작하지만, 입을 벌리면 상악의 치아에도 접촉할 수도 있다. 이 지지패드(220)는 정면상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고, 일례로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대(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드(220)의 양측 길이는 상악이 하악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악이 전진하려는 힘을 상악의 잇몸에 고루 분산시켜 아프지 않는 정도이면 된다. 이러한 지지패드(220)는 몸체(100) 또는 지지대(21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고, 지지대(210)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몸체(100) 또는 지지대(21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또, 지지패드(220)는 다른 예로, 잇몸과 접촉하게 되므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부드럽고, 상악의 전진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The support pad 220 is fixed to the distal end side portion of the support 210. When the body 100 is attached to the mandible, the support pad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um, to be. Of course, the support pad 220 may be made to have a height that allows contact with the gum, but may also contact the maxillary teeth when the mouth is opened. The support pads 2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pads 220 may exten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2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of the support pad 220 on both sides may be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located behind the upper jaw and the force for advancing the upper jaw is uniformly dispersed over the upper gum. The support pad 2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00 or the support 210. The support pad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21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ixed.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210. In addition, the support pad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and smooth enough to support the advancing force of the maxilla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gum.

또한, 지지패드(220)는 정면상 상부의 중앙부위 높이가 양측 높이보다 낮게 할 수 있고, 이는 순소대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지패드(220)의 상면은 대략 곡선의 "V"자 형태일 수도 있고, 순소대의 위치에 홈을 가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패드(220)는 평면상 곡률이 사용자의 상악 잇몸의 곡률보다 더 넓게 하고, 이로 인해 상악에 대해 하악이 일정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패드(220)는 일정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경질의 재질이거나, 사용자의 상악 잇몸의 곡률에 맞춰 조정할 수 있도록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지지패드(220)의 양측부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하악의 좌, 우 이동이 보다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양측부의 두께가 중앙부 보다 더 얇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ad 22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pad 220, in order to exclude interference with the subgenerator. To this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d 220 may be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curved "V" 3 to 6, the support pad 220 has a planar curvature that is wid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ser's maxillary gum, thereby allowing the mandible to move left and right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maxilla. At this time, the support pad 220 may be a hard material made to have a certain curvature, or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material so a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maxillary gu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both sides of the support pad 220 with flexibility,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mandible can be made more comfortable, and the thickness of both side portions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center portion.

즉, 종래의 이갈이 방지기구 또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하악을 단단히 고정시키지만, 본 발명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하악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시 또는 착용 후 수면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ile the conventional anti-irritation mechanism or snoring and anti-irritation mechanism clamps the mandible firmly, the snoring and anti-irrita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ndible to move, which is inconvenient when worn or when sleeping after wearing.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몸체
110:장착부
120:혀지지부
130:이갈이 방지돌기
200:지지체
210:지지대
220:지지패드.
100: Body
110:
120: tongue support
130: anti-irregular projection
200: Support
210: Support
220: Support pads.

Claims (6)

하악의 치아에 씌워져 장착되는 장착부(110)와, 혀의 양측부와 앞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받쳐 올리도록 장착부(110)로부터 연장된 혀지지부(120), 하악이 이동하면 윗니가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하악과 상악이 벌어지도록 상면에 돌출 가공된 이갈이 방지돌기(130)를 구비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로부터 적어도 1개가 상향 돌출되면서 평상시보다 하악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측면상 기울기를 갖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상단측 부위에서 고정되어 상악의 잇몸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패드(220)를 구비한 지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갈이 방지돌기(130)는 하악이 좌, 우로 움직일 때 윗니가 접촉하여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몸체(100)의 상면에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1돌기(131)와, 하악이 전, 후로 움직일 때 윗니가 접촉하여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몸체(100)의 상면에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2돌기(13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패드(220)는 상악에 대해 하악이 좌, 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상 상악의 잇몸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과, 양측부의 유연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도록 이루어진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A tongue support portion 120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110 to support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side portions and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tongue; A body 100 having an anti-deterioration protrusion 130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move the mandible and the upper jaw while moving;
A support table 210 having at least one upward protrusion from the body 100 and having a side slope such that the lower jaw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mandible, (200) having a supporting pad (220)
The irregularity preventing protrusion 13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1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pper tee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mandible is moved left and right, And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132) mach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pper teeth contact and travel on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support pad 220 has at least one of a curvature larger than a curva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ms in a plan view and a flexibility of both sides so that the lower jaw can mov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upper jaw.
제1항에서,
상기 제1돌기(131)와 제2돌기(132)는 윗니가 접촉하여 경사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봉우리형태인 것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s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s (132) are in the form of peaks that can move on the inclined surface by contacting the upper teeth.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패드(220)는 하악의 좌, 우 이동을 위해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양측부의 두께가 중앙부보다 더 얇거나 양측부에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ad 220 is thinner than the central portion and has elasticity on both sides in order to impart flexibility to move left and right of the mandible.
제3항에서,
상기 지지패드(220)는 열에 의해 곡률이 조정되는 재질이고, 상악의 순소대가 위치한 정면상 상부의 중앙부위에 홈이 가공된 것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ad (220) is made of a material whose curvature is adjusted by heat, and a groove is machi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maxillary subtalic mass is located.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210)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se (210) has elasticit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대(210)는 열에 의해 기울기가 조정되는 재질이고, 높이 방향으로 상호 삽입 및 인출되어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작된 적어도 2개이며, 적어도 1개의 지지대(210)는 측면상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경질의 다른 지지대(210)에 고정된 것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upport base 210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inclined by heat and is made to be inserted and drawn out in height direction to adjust its height. At least one support base 210 has a constant slope on the side, (210) of a snare and an anti-irritation mechanism.
KR1020160130708A 2016-10-10 2016-10-10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KR101782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08A KR101782093B1 (en) 2016-10-10 2016-10-10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708A KR101782093B1 (en) 2016-10-10 2016-10-10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96 Division 2016-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70A KR20170096570A (en) 2017-08-24
KR101782093B1 true KR101782093B1 (en) 2017-09-26

Family

ID=5975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708A KR101782093B1 (en) 2016-10-10 2016-10-10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09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30A (en) 2019-01-17 2020-07-27 김효정 Devi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treatment
KR102325958B1 (en) 2021-05-31 2021-11-12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102392434B1 (en) 2021-10-20 2022-04-29 이동훈 A mouse guard that can absorb sh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30023900A (en) 2021-08-11 2023-02-20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20230105722A (en) 2022-01-03 2023-07-12 정다이 Mouthpiece for preventing teeth gri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42046A (en) 2023-03-21 2024-09-30 이동훈 Brux prevention guard with airway expan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235B1 (en) 2018-02-12 2020-01-10 최현성 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102093997B1 (en) * 2018-06-01 2020-04-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speed increasing device by blocking occlusal fo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7844B1 (en) * 2021-07-26 2022-03-22 이일욱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KR102515868B1 (en) * 2022-01-26 2023-03-29 최용수 Intraor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656A (en) 2003-03-10 2006-08-31 マーク イー アブラムソン Dental instrument to improve airflow through the nasal-pharyngeal airway
JP4482302B2 (en) 2003-09-22 2010-06-16 博夫 小谷 Sleep apnea syndrome treatment device
US20130037037A1 (en) 2009-08-12 2013-02-14 Mark E. Abramson Dental appliance with adjustable tongue repositioner
KR200474449Y1 (en) 2014-04-21 2014-09-17 이일섭 Apparatus For Treatment For Brux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656A (en) 2003-03-10 2006-08-31 マーク イー アブラムソン Dental instrument to improve airflow through the nasal-pharyngeal airway
JP4482302B2 (en) 2003-09-22 2010-06-16 博夫 小谷 Sleep apnea syndrome treatment device
US20130037037A1 (en) 2009-08-12 2013-02-14 Mark E. Abramson Dental appliance with adjustable tongue repositioner
KR200474449Y1 (en) 2014-04-21 2014-09-17 이일섭 Apparatus For Treatment For Bruxis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30A (en) 2019-01-17 2020-07-27 김효정 Devi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treatment
KR102325958B1 (en) 2021-05-31 2021-11-12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20230023900A (en) 2021-08-11 2023-02-20 이동훈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102392434B1 (en) 2021-10-20 2022-04-29 이동훈 A mouse guard that can absorb sh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30105722A (en) 2022-01-03 2023-07-12 정다이 Mouthpiece for preventing teeth gri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42046A (en) 2023-03-21 2024-09-30 이동훈 Brux prevention guard with airway expa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70A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093B1 (en)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JP5129246B2 (en) Oral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JP5052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lower jaw forward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JP5361991B2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KR101542349B1 (en)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KR102029965B1 (en)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KR101713971B1 (en)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AU2017293472A1 (en) Dental appliance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modeling
KR102058104B1 (en) Oral appliance improved for flexibility of lower jaw and adhesiveness to tooth
KR20060012065A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US9492310B2 (en) Adjustable tongue retaining oral appliance
KR20090090969A (en) Snoring and Bruxism Prevention Mechanisms
TWM603345U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ing device
TWI726787B (en) Mandible adjustment device
JP2005312853A (en) Intraoral apparatus for prophylaxis and amelior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habitual snore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JP7432978B2 (en) Mandibular adjustment device
JP7546308B2 (en) Mandibular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TWI737347B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