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89065B1 -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065B1
KR101789065B1 KR1020150077945A KR20150077945A KR101789065B1 KR 101789065 B1 KR101789065 B1 KR 101789065B1 KR 1020150077945 A KR1020150077945 A KR 1020150077945A KR 20150077945 A KR20150077945 A KR 20150077945A KR 101789065 B1 KR101789065 B1 KR 10178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line
base frame
conveying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2068A (en
Inventor
장대식
Original Assignee
장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식 filed Critical 장대식
Priority to KR102015007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065B1/en
Publication of KR2016014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06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4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각재제재장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nking device and a wood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planar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base frame part; A first conveying lin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art for convey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onveyance lin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and conveying the woo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port line for transporting the wood along the first transport line; A first guide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cutting part; A second guide portion for pressing the wood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Description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an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 처리된 원목을 사용자가 원하는 폭을 갖는 각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ing device and a woodwor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ing device capable of easily producing a wood material having a width desired by a user.

일반적으로 원목을 제재하는 작업은 야적장에 적재된 원목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제재기로 공급하고, 제재기를 이용하여 원목을 목재 규격에 맞도록 각재로 제작한 후, 절단장치 등을 이용하여 다시 작은 크기의 각재 또는 판목재 형태로 제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아울러 제작된 각재 또는 판목재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적재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process of lumbering, the lumber loaded in a yard is supplied to a planter using a forklift or the like, and the lumber is manufactured into a wood material according to the wood standard by using a sawing machine, Of wood or plate wood. In addition, the manufactured wood or plate wood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is load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원목제재작업의 경우, 다수의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각목을 다양한 크기로 제재 시 정확성이 떨어져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하기 어려워 생산품의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많은 수의 작업자가 필요함에 따라 제품의 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wood-making work, a number of processes are manually performed,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uniform size because the accuracy of each item is reduced to various sizes.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required, the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KRKR 10-2014-012234210-2014-0122342 PP (공개일:(Release date: 2014.10.20)2014.10.20)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폭을 갖도록 각재를 제작할 수 있는 각재제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목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od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wood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hich can produce a wood material having a width set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각재제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 및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veying lin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art for convey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onveyance lin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and conveying the woo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port line for transporting the wood along the first transport line; A first guide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cutting part; A second guide portion for pressing the wood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wherein the second guide part comprises: a rotation cylinder for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driving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rotating cylinder; A second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rotary cylind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uide pa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woo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part; And a third cylinder part vertically moving the rotating cylinder to selectively prevent the rotating cylinder from being inwardly in the base frame part.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drive belt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and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belt; And a first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drive belt.

상기 회전 원통은 수평 이동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며, 수직 이동이 제2 이송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cylinder may be horizontally moved on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lines, and the vertical movement may be on the second transport line.

삭제delet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구동벨트와 상기 커팅부의 커터 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set an interval between a drive belt of the first guide unit and a cutter of the cutting unit.

상기 제1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1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4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2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5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ransfer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rollers spaced apart and a fourth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rollers, the second transfer lines being spaced apart A plurality of second transport rollers, and a fifth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transport roll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목 이송부; 상기 원목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제재하는 원목제재부; 및 상기 원목제재부에서 1차 가동된 원목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를 제작하는 각재제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재제재부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g conveyor comprising: a log conveyor; A lumber cutting part for aligning and clamping the lumber transferred from the lumber conveying part and then clamping the lumber; And a timber material unit for fabricating the timber by joining the timber originally driven by the timber material unit to a predetermined width by a user, wherein the timber material unit includes a base frame unit, A first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transfer lin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woo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arranged on the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wood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a first guide unit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uni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utting unit and the cutting unit, A second guide portion that presses the wood to be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side, and a second guide port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t is also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e wood processing machi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에 포함된 각재제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각재제재장치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와 커터 간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1차 가공목재를 제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목재를 회피하도록 회전 원통이 베이스 프레임부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k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d in a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and the cutter of the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portion.
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processing primary processed wood.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cylinder is drawn into the base frame portion to avoid the wood conveyed along the second conveyance lin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so, for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 append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아울러, 하기에서 언급하는 원목(w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공 전 상태의 목재를 나타내며, 1차 가공목재(w2)는 각재(w3)를 제작하기 위해 원목(w1)을 1차 제재한 상태의 목재를 나타내며, 각재(w3)는 1차 가공목재(w2)를 각재제재장치(50)를 통해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재한 상태의 목재를 나타낸다.The primary wood w1 mentioned above represents a wood in a roughly cylindrical shape before being processed. The primary processed w2 is a primary wood w1 in order to produce the wood w3 And the wood material w3 represents the wood in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has been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woo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50.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1)는 원목이송장치(10), 원목제재장치(30), 각재제재장치(50), 각재이송라인(80) 및 화목이송라인(9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raw woodwork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odworking machine 10, a woodcrafting machine 30, a woodcrafting machine 50, a woodcraft transferring line 80, And may include a transfer line 90.

원목이송장치(10)는 벌목한 원목(w1)을 순차적으로 원목제재장치(30)로 송부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목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w1)은 원목(w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송된다.The log conveying device 10 may comprise a conveyor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logwood w1 to the log blocker 30. The log w1 to be conveyed by the log conveying device 10 is convey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g w1.

상기 원목제재장치(30)는 원목이송장치(10)로부터 이송된 원목(w1)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원목(w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목(w1)을 제재한다.The woo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30 aligns and clamps the log w1 transferred from the log transfer apparatus 10 and then controls the log w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g w1.

또한, 상기 원목제재장치(30)는 원목(w1)을 정렬 및 클램핑하기 위한 대차(31)와, 대차(31)에 클램핑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목(w1)을 제재하기 위한 쏘잉 커터(sawing cutter)(33)를 포함한다.The wood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30 further includes a bogie 31 for aligning and clamping the log w1 and a sawing cutter 31 for clamping the log w1 to be transported in a clamped state to the bogie 31. [ (33).

대차(31)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대차(31)는 원목이송장치(10)로부터 이송된 원목(w1)을 원목(w1)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롤러(미도시)가 대차(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대차(31)는 원목(w1)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구조(미도시)를 갖는다.The bogie 31 reciprocates in one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a rail (not shown) provided on the floor. The bogie 31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rollers (not shown) for rotating the log w1 transferred from the log conveying device 10 around the log axis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g 31 And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The carriage 31 also has a clamp structure (not shown) for fixing the log wood w1.

쏘잉 커터(33)는 대차(31) 일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대차(31)에 의해 왕복 이송되는 원목(w1)을 적어도 2이상의 1차 가공목재(w2)로 제재한다. The sawing cutter 33 is vertic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uck 31 and blocks the log wood w1 which is reciprocated by the truck 3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at least two primary processed w2.

상기 1차 가공목재(w2)는 각재제재장치(50)에서 각재(w3)로 제작된다. 원목제재장치(30)에서 제재된 1차 가공목재(w2)는 원목제재장치(30)와 각재제재장치(50) 사이에 배치된 1차 가공목재 이송라인(40)에 의해 각재제재장치(50)로 이송된다.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is made of the wood material w3 in the planer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50. [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sandwiched in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30 is transferred to the sanding apparatus 50 by the primary processed wood transfer line 40 disposed between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30 and the planing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50. [ .

각재제재장치(50)는 원목제재장치(30)에서 1차 제재된 1차 가공목재(w2)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는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w3)를 제작한다.The planer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50 manufactures the wood material w3 by sandwiching the first processed wood w2, which is first-processed in the wood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30, with a width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도 2를 참조하면, 각재제재장치(50)는 베이스 프레임부(51), 제1 및 제2 이송라인(L1, L2), 커팅부, 제1 가이드부(55) 및 제2 가이드부(60), 컨트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heet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50 includes a base frame portion 51, first and second transfer lines L1 and L2, a cutting portion, a first guide portion 55, and a second guide portion 60 ), And a controller 70.

베이스 프레임부(51)는 제1 및 제2 이송라인(L1, L2), 커팅부, 제1 가이드부(55) 및 제2 가이드부(60)를 각각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부(51)는 처리하는 1차 가공목재(w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단에서는 각각 작업자가 1명씩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를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2)으로 투입한다.The base frame portion 51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lines L1 and L2, the cutting portion, the first guide portion 55,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6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rame portion 5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rimary processed w2 to be processed. At each of the both ends, one operator is arranged for each of the first processed woods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In the direction (B2).

제1 이송라인(L1)은 베이스 프레임부(51) 상부에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부에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w2)를 제1 방향(A)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 이송라인(L1)은 소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부(5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소정의 구동체인(미도시)을 통해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first transfer line L1 is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ortion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to receive the primary processed w2 It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A). The first transfer line L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rollers R1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frame portion 51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first driving rollers R1 receive the power applied from a driving motor (not shown) through a predetermined driving chain (not shown) an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제2 이송라인(L2)은 제1 이송라인(L1)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부(51) 상부에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이송라인(L2)은 제1 이송라인(L1)의 일측에 제1 이송라인(L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이송라인(L2)은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부에 배치되어 1차 가공목재(w2)를 제2 방향(B)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2 이송라인(L1) 역시 소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부(5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 구동롤러(R2)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2 구동롤러(R2)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소정의 구동체인(미도시)을 통해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second transfer line L2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above the base frame portion 51, like the first transfer line L1. In this case, the second conveyance line L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L1 on one side of the first conveyance line L1. The second transfer line L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to transfer the first processed wood w2 in the second direction B. [ The second transfer line L1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driving rollers R2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frame portion 5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lurality of second driving rollers R2 receive the power from a driving motor (not shown) through a predetermined driving chain (not shown) an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커팅부는 제1 이송라인(L1)에 상에 배치되는 커터(53)를 구비하며, 이 커터(53)를 통해 제1 이송라인(L1)을 따라 이송되는 1차 가공목재(w2)를 제재한다. 이 경우, 커터(53)는 베이스 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커터(53)는 제1 가이드부(55)와 제2 가이드부(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utting portion has a cutter 53 disposed on the first conveying line L1 and blocks the primary processed w2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ing line L1 through the cutter 53 . In this case, the cutter 53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The cutter 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55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60.

제1 가이드부(55)는 커터(53)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5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55)는 구동벨트(55a)와, 구동벨트(55a)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경우, 구동벨트(55a)와 구동모터는 소정의 프레임(미도시)에 함께 설치된다. 프레임은 실린더부(미도시)에 의해 구동함에 따라, 구동벨트(55a)를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위치(P1,P2) 사이에서 어느 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55 is movably installed in the base frame portion 51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55 and the cutter 53 can be adjusted. The first guide portion 55 includes a drive belt 55a and a drive motor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belt 55a. In this case, the drive belt 55a and the drive motor are installed together in a predetermined frame (not shown). As the frame is driven by a cylinder (not shown), the drive belt 55a can be moved to any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P1 and P2 as shown in FIG.

따라서, 구동벨트(55a)는 커터(53)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각재(w3)의 폭에 따라, 구동벨트(55a)를 이동시켜 커터(53)와의 간격을 설정할 수있다.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drive belt 55a and the cutter 53 is adjusted. In this way, the interval between the cutter 53 and the drive belt 55a can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desired sheet material w3.

상기 구동벨트(55a)는 1차 가공목재(w2)를 제1 이송라인(L1)의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와 함께 제1 방향(A)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1차 가공목재(w2)는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1)에 1차 가공목재(w2)의 일측이 가압됨에 따라, 1차 가공목재(w2)의 타측이 구동벨트(55a)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재된다. 또한, 1차 가공목재(w2)는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1)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벨트(55a)와 다수의 제1 구동롤러(R1)에 의해 이송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재될 수 있다.The drive belt 55a rotates in a direction to transport the primary processed w2 along with the plurality of first drive rollers R1 of the first transfer line L1 in the first direction A. [ In this case, as the first processed wood w2 is pressed against the rotating cylinder 61 of the second guide portion 60,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rocessed w2 is driven And is cut by the cutter 53 while moving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belt 55a. Even when the primary processed w2 is not pressed against the rotating cylinder 61 of the second guide portion 60, the primary processed w2 is transferred by the drive belt 55a and the plurality of first drive rollers R1, 5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60)는 승강 프레임(61), 회전 원통(63), 구동모터(65), 수평 구동 실린더부(67) 및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를 포함한다.3 and 4, the second guide portion 60 includes a lift frame 61, a rotary cylinder 63, a drive motor 65, a horizontal drive cylinder portion 67, and a vertical drive cylinder portion 69, .

승강 프레임(61)은 수직 구동 실린더부(69)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동작을 한다. 이는 회전 원통(63)을 선택적으로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다.The lifting frame 61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portion 69. This is for selectively protruding the rotation cylinder 63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part 51 or pulling the rotation cylinder 63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part 51.

회전 원통(63)은 베이스 프레임부(51)의 상측으로 돌출된 경우, 1차 가공목재(w2)를 구동벨트(55a) 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1차 가공목재(w2)를 제1 방향(A)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 원통(63)은 1차 가공목재(w2)가 제2 이송라인(L2)을 따라 제2 방향(B)으로 이송될 때, 도 8과 같이, 1차 가공목재(w2)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함으로써 1차 가공목재(w2)를 회피할 수 있다.When the rotary cylinder 63 is projected upward from the base frame portion 51,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is pressed toward the drive belt 55a and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8, when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is conveyed in the second direction B along the second conveying line L2, the rotary cylinder 6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The first processed wood w2 can be avoided by being drawn into the base frame portion 5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processed wood w2.

선회 프레임(64)은 일단에 회전 원통(6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의 피스톤 로드(67a)가 힌지 연결된다. 또한, 선회 프레임(64)은 중앙이 승강 프레임(61)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A rotary cylinder 63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volving frame 64 and a piston rod 67a of the horizontal drive cylinder portion 67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revolving frame 64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lifting frame 61 at the center.

상기 선회 프레임(64)은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의 구동에 따라 선회 프레임(64)의 중앙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원통(63)을 제3 및 제4 위치(P3,P4) 사이의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revolving frame 64 is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enter of the revolving frame 64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horizontal drive cylinder 67 to rotate the revolving cylinder 63 at the third and fourth positions P3, and P4, respectively.

한편, 구동모터(65)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구동모터(65)에서 생성된 동력은 제1 구동체인(C1) 및 제2 구동체인(C2)을 통해 회전 원통(63)으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otor 65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65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cylinder 63 through the first drive chain C1 and the second drive chain C2.

제1 및 제2 구동체인(C1,C2)은 다수의 체인 스프라켓에 의해 상호 연동한다. 이 경우, 제1 체인 스프라켓(S1)은 구동모터(65)의 회전축(65a)에 연결되고 제2 체인 스프라켓(미도시)은 회전축(66)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3 체인 스프라켓(S3)은 회전축(66)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4 체인 스프라켓(S4)은 회전 원통(63)의 회전축(63a)에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drive chains (C1, C2) are interlocked by a plurality of chain sprockets. In this case, the first chain sprocket S1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65a of the drive motor 65, the second chain sprocke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66, And the fourth chain sprocket S4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63a of the rotary cylinder 63. [

수평 구동 실린더부(67)은 후단(67b)이 승강 프레임(61)의 일부에 힌지 연결된다. 수평 구동 실린더부(67)는 구동 시 선회 프레임(64)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원통(63)을 제3 및 제4 위치(P3,P4) 사이에서 어느 한 위치로 이동한다.And the rear end 67b of the horizontal drive cylinder portion 67 is hinged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lift frame 61. [ The horizontal drive cylinder portion 67 rotates the revolving frame 64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o move the rotary cylinder 63 to any one positio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ositions P3 and P4 .

또한, 수평 구동 실린더부(67)는 1차 가공목재(w2)의 폭이 구동벨트(55a)와 회전 원통(63) 사이의 설정 간격보다 큰 경우, 도 5와 같이, 1차 가공목재(w2)가 구동벨트(55a)와 회전 원통(63) 사이로 인입될 때 1차 가공목재(w2)에 의해 회전 원통(63)이 구동벨트(5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도록 하는 일종의 댐퍼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가공목재(w2)는 회전 원통(6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제1 이송방향(A)으로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면서 커터(53)에 의해 제제될 수 있다.5, when the width of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is larger than the set interval between the drive belt 55a and the rotary cylinder 63, the horizontal drive cylinder 67 is rotated by the primary processed wood w2 Can be also used as a kind of damper that causes the rotary cylinder 63 to be push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rive belt 55a by the primary processed w2 when it is drawn between the drive belt 55a and the rotary cylinder 63 have. Thus, the primary processed w2 can be prepared by the cutter 53 while being smoothly conveyed in the first conveying direction A without interferenc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otating cylinder 63 in a resilient manner.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는 승강 프레임(61)을 소정 높이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승강 프레임(61)의 일측에는 연결부재(61a)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부(61)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고정된 고정축(62)은 연결부재(6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The vertical drive cylinder portion 69 raises and lowers the lifting frame 61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4, a connecting member 61a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61. The fixed shaft 62 having the upper and lower ends fixed to the base frame portion 61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61a.

상기 수직 구동 실린더부(69)는 승강 프레임(61)을 상승시킴에 따라 회전 원통(63)을 베이스 프레임부(51) 상측으로 돌출시키며, 승강 프레임(61)을 하강시킴에 따라 회전 원통(63)을 베이스 프레임부(51) 내측으로 인입시킨다.The vertical drive cylinder portion 69 projects the rotary cylinder 63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as the lift frame 61 is lifted and moves the rotary cylinder 63 In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portion 51.

컨트롤러(70)는 전술한 커팅부, 다수의 구동모터 및 실린더부를 제어하도록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70)는 사용자가 1차 가공목재(w2)를 제재하기 위한 폭을 임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예를 들면, 다수의 숫자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cutting portion, the plurality of drive motors, and the cylinder portion. Such a controller 70 may have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plurality of numeric buttons) that allows the user to temporarily set the width for mounting the primary processed w2.

각재 이송라인(80)은 각재제재장치(50) 일측에 배치되며, 각재제재장치(50)에서 원하는 치수로 제작된 각재(w3)를 각재를 제1 적재부(81)로 이송한다.The slab conveying line 8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lab apparatus 50 and transfers the slab material w3 made to a desired dimension in the slab apparatus 50 to the first loading section 81.

화목 이송라인(90)은 각재제재장치(50) 타측에 배치되며, 각재(w3)를 제작하기 위해 1차 가공목재(w3)를 가공하면서 잘려나온 자투리 목재(w4)를 제2 적재부(91)로 이송한다. 이와 같은 자투리 목재(w4)는 땔감이 되는 화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ne wood transfer line 9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od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50 and is formed by processing the first processed wood w3 to produce the wood w3, ). Such a squatting wood (w4) can be used as a firewood for firewoo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목가공장치(1)는 각재 이송라인(80) 및 화목 이송라인(90)을 통해 용도에 따라 각재(w3)와 자투리 목재(w4)를 각각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working apparatus 1 can separate the grooved wood w3 and the squint wood w4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rough the woody material transfer line 80 and the felled wood transfer line 9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가공장치(1)를 통해 원목(w1)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log w1 through the logwood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원목(w1)을 원목이송장치(10)에 의해 원목제재장치(30)로 이송한다. 원목제재장치(10)에서는 원목(w1)을 각재제재장치(50)에서 가공이 용이하도록 소정 폭을 갖는 다수의 1차 가공목재(w2)로 제재한다.Referring to Fig. 1, a log (w1) is conveyed to a log material conveying device (30) by a log conveying device (10). In the wood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10, the log w1 is sandwiched by a plurality of primary processed w2 wafer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e easily processed in the wood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50.

이어서, 1차 가공목재(w2)는 1차 가공목재 이송라인(40)에 의해 각재제재장치(50)로 이송된다. 각재제재장치(50)에서는 도 5와 같이 1차 가공목재(w2)를 제1 이송라인(L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송한다.Subsequently, the primary processed w2 is transferred to the sanding apparatus 50 by the primary processed wood transfer line 40. In the planking apparatus 50, as shown in Fig. 5, the primary processed w2 is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L1 in the first direction.

이때, 1차 가공목재(w2)는 제1 가이드부(55)의 구동벨트(55a)와 제2 가이드부(60)의 회전 원통(6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커터(53)를 향해 이동한다. 1차 가공목재(w2)는 사용자가 컨트롤러(70)를 통해 구동벨트(55a)와 커터(53)의 간격(D)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D)은 1차 가공목재(w2)에서 절단되는 두께(t)에 대응한다.At this time, the primary processed w2 moves toward the cutter 53 while being guided by the drive belt 55a of the first guide portion 55 and the rotating cylinder 63 of the second guide portion 60. The user can preset the interval D between the drive belt 55a and the cutter 53 through the controller 70 in advance in the primary processed w2. Such an interval D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t cut at the first processed wood w2.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벨트(55a)와 커터(53)의 간격(D)을 컨트롤러(70)의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원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갖는 각재(w3)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The user can change the interval D between the drive belt 55a and the cutter 53 to a desired value by operating the input means of the controller 70.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produ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원목이송장치 30: 원목제재장치
50: 각재제재장치 51: 베이스 프레임부
53: 커터 55: 제1 가이드부
55a: 구동벨트 60: 제2 가이드부
61: 승강 프레임 63: 회전 원통
65: 구동모터 67: 수평 구동 실린더부
69: 수직 구동 실린더부 70: 컨트롤러
80: 각재이송라인 90: 화목이송라인
10: Wood transporting device 30: Wood transporting device
50: planing device 51: base frame part
53: cutter 55: first guide portion
55a: drive belt 60: second guide portion
61: lifting frame 63: rotating cylinder
65: drive motor 67: horizontal drive cylinder part
69: vertical drive cylinder part 70: controller
80: Grinding conveying line 90: Recycling conveying line

Claims (10)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각재제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 및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A base frame part;
A first conveying lin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art for convey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onveyance lin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and conveying the woo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port line for transporting the wood along the first transport line;
A first guide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cutting part;
A second guide portion for pressing the wood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the apparatus comprising:
The second guide portion
A rotating cylinder for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driving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rotating cylinder;
A second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rotary cylinder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guide pa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woo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part; And
And a third cylinder part for vertically moving the rotating cylinder to selectively prevent the rotating cylinder from being inwardly positioned inside the base fram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uide portion
A drive belt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line and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belt; And
And a first cylinder for horizontally moving the drive belt.
삭제delete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각재제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원통은 수평 이동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며, 수직 이동이 제2 이송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A base frame part;
A first conveying lin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art for convey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onveyance lin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ance line and conveying the woo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port line for transporting the wood along the first transport line;
A first guide part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cutting part;
A second guide portion for pressing the wood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the apparatus comprising: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rotating cylinder for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rotating cylinder is horizontally moved on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ing lines, and the vertical movement is performed on the second transporting lin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구동벨트와 상기 커팅부의 커터 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comprises input means for setting an interval between a drive belt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cutter of the cut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1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4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라인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이송롤러와, 상기 다수의 제2 이송롤러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5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제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ansfer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rollers spaced apart and a fourth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rollers,
Wherein the second conveyance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veyance rollers disposed at intervals and a fifth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yance rollers.
원목 이송부;
상기 원목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정렬 및 클램핑한 후 제재하는 원목제재부; 및
상기 원목제재부에서 1차 가동된 원목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재하여 각재를 제작하는 각재제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재제재부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배치되어 목재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라인과, 상기 제1 이송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제재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목재를 상기 제1 가이드부 측으로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A log conveyor;
A lumber cutting part for aligning and clamping the lumber transferred from the lumber conveying part and then clamping the lumber; And
And a timber material unit for manufacturing the timber by joining the timber originally driven by the timber material unit to a predetermined width by a user,
A first conveying line disposed above the base frame portion for conveying the woo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onveying lin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conveying line, for convey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cutting unit arranged on the first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wood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and a second transfer line for transferring the wood to be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line, A first guide portion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ortion, a second guide portion pressing the wood to be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li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sid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제재부는 원목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대차부; 및
상기 대차부에 이동하는 원목을 미리 설정된 폭으로 제제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ood block has a bogie portion for transporting the wood block in one direction; And
And a cutt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log to be moved to the bogie with a preset wid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벨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목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회전 원통과, 상기 회전 원통에 동력을 인가하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에서 목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원통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와, 상기 회전 원통을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측으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회전 원통을 수직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line and includes a drive belt for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drive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e belt, And a second cylinder portion,
The second guide unit includes a rotating cylinder for guiding the wood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driving mo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rotating cylinder, and a second drive motor for moving the first guide unit And a third cylinder part for vertically moving the rotating cylinder to selectively prevent the rotating cylinder from being inward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part Woodworking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재제재부의 일측에 배치된 각재 이송라인; 및
상기 각재제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각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화목 이송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가공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slab conveying lin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heet material form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harmonic transferring lin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sandwiching material portion and adapted to transfer wood that can not be used as a wood material.
KR1020150077945A 2015-06-02 2015-06-02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tive KR101789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5A KR101789065B1 (en) 2015-06-02 2015-06-02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5A KR101789065B1 (en) 2015-06-02 2015-06-02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8A KR20160142068A (en) 2016-12-12
KR101789065B1 true KR101789065B1 (en) 2017-10-23

Family

ID=5757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45A Active KR101789065B1 (en) 2015-06-02 2015-06-02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0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89B1 (en) 2021-09-27 2022-02-08 반성욱 One way smart log sawing apparatus
KR102540029B1 (en) 2023-02-16 2023-06-05 주식회사 하림산업 Log saw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393B1 (en) 2006-02-13 2006-08-02 김인수 Wood processing equipment
JP2007160774A (en) * 2005-12-15 2007-06-28 Naigai Kogyo Kk Clam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1B1 (en) 2013-04-09 2014-12-26 (주) 해양목재 Timber of automatic sanctions classif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774A (en) * 2005-12-15 2007-06-28 Naigai Kogyo Kk Clamping device
KR100608393B1 (en) 2006-02-13 2006-08-02 김인수 Wood process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8A (en)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856B1 (en) Hybrid forming punching machine
CN110814774B (en) A fully automatic angle steel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US4676130A (en) Lumber edger
KR10145830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ybrid composite beams and hybrid composite beams
US6142050A (en)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CN110000873B (en) A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wooden structural components
CA2501455C (en) Linear feed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JP3106237B2 (en) Loading / unloading device for plate processing machine
KR101789065B1 (en) Square timber sawing apparatus and unsawn timber fabric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045893A (en) Wood semi-automatic cutting device
US6918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from wood pieces
KR101994859B1 (en) Material Supplying Apparatus and Integrated Cutting and Chamfering Machine with It
CN107309975A (en) A kind of portable plank of knife saw cuts splicing all-in-one
KR100416651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utting material of window frame
US11565362B2 (en) Modular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flat sheets
US440987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 wooden angle bar
CN106671219A (en) Hot press automatic production line
KR101142523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KR102077837B1 (en) Surfac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te type workpiece
KR102371736B1 (en) Chamfering machine for flat iron
KR20170002734U (en) The construction to automatic amputate of the wood
JP2008114528A (en) Wood processing equipment
KR102155339B1 (en) Wood conveying and cutting device
US6666367B1 (en) Component processing center
JP2911432B2 (en) Pre-cut processing equipment and pre-cut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