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09B1 -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509B1 KR101788509B1 KR1020170048446A KR20170048446A KR101788509B1 KR 101788509 B1 KR101788509 B1 KR 101788509B1 KR 1020170048446 A KR1020170048446 A KR 1020170048446A KR 20170048446 A KR20170048446 A KR 20170048446A KR 101788509 B1 KR101788509 B1 KR 101788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member
- protrusion
- fastening
- reinforcing bars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철근을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설치효율이 향상된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for a concrete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for a concrete wall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efficiency by stably fixing a form and a reinforcing bar used in concrete wall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벽체는 시멘트, 모래, 자갈 및 물이 혼합된 미건조 상태의 콘크리트를 도 1과 같은 성형틀에 주입하여 성형하게 된다. 콘크리트가 건조된 후에 성형틀은 제거된다.Generally, a concrete wall used as an architectural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formed by injecting a non-dried concrete mixed with cement, sand, gravel and water into a molding mold such as the one shown in FIG. After the concrete is dried, the mold is removed.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성형틀은 서로 대면된 유로폼들(2) 사이에 체결되는 플랫타이(4)와, 유로폼들(2) 사이의 공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수직 및 수평철근(6,8)을 구비한다. 유로폼(2)은 소정 크기의 직사각판 형태의 합판(2a)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외곽철판(2c)과, 외곽철판(2c)의 안쪽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앵글(2b)로 구성된다. 이 유로폼(2)의 외곽철판(2c)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요부(2d)가 형성되며 요부(2d)의 중앙에는 홀(2e)이 형성된다. 플랫타이(4)는 양끝단부에 유로폼(2)에 형성된 홀(2e)과 대향하게 되는 홀(4a)이 형성되어 서로 대면된 유로폼(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로폼(2)과 플랫타이(4)는 대향된 홀들(2e,4a)을 관통하는 핀(12)에 의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crete forming mold comprises a flat tie 4 fastened between euro foam 2 facing each other, and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6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space between eurofoams 2 , 8). The Eurofoam 2 is constituted by an outer steel plate 2c provided on the rim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plywood 2a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n angle 2b provided in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side the outer steel plate 2c do. A concave portion 2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teel plate 2c of the euro foam 2 and a hole 2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2d. The flat tie 4 has a hole 4a opposed to the hole 2e formed in the Euroform 2 at both ends and serve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Euroforms 2 facing each other. The euro foam 2 and the flat tie 4 are joined by the pin 12 passing through the opposed holes 2e and 4a.
수직 및 수평철근(6, 8)은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철근(6)은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후, 플렛타이(4)에 철사(도시하지 않음)로 묶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평철근(8)은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플렛타이(4)에 철사로 묶여지게 된다.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6, 8) serve to reinforc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igidity and flexure of the dried concrete wall.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6 are set up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then bundled with a wire (not shown) in the flattenes 4. Likewise, the
도 1과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성형틀에 미건조 상태의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또는 건조과정에서 철근들(6, 8)을 플렛타이(4)에 고정시킨 철사가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주입시 또는 건조과정에서 스페이서가 수평철근(8)으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 이 경우, 철근들(6,8)이 휘어지거나 철근들(6,8) 간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건조후, 콘크리트에 구조적 취약부분이 발생되게 한다.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의 다양한 마디 위치의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면서 철근을 연결한 다음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져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의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for a concrete wall having a stabl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various bar positions of a reinforcing bar and does not cause slip even when a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and t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in an axial direction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와 체결 고정하도록 하여 거푸집과 철근들의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간편한 시공을 가능케 하고,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철근 연결구를 사용하여 금형의 제작 비용 감소와 철근 연결구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연결된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ening and fixing a flat tie that is fixed to a formwork so that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s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device for a concrete wall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improve productivity for a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and firmly connect the reinforced concret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철근의 연결에 있어서, 외면에 반복되어 구비되는 마디와 돌기를 가지는 철근; 상기 철근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의 상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철근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의 하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일단 및 타단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결합으로 상하로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결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의 하부측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플랜지와 대면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보강부;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플랫타이와 체결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에 의해 형성되고,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의 체결홈과 걸림되는 결합에 의해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necting a formwork and a reinforcing bar use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having a bar and a protrusion repeatedly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tube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by covering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the reinforcing bars be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ccommodating the projections and the adjacent reinforcing bars,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node fac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tube so as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ccommodating the protrusions and the adjacent reinforcing bars, A lower connecting member in which the opposing facing surfaces of the nod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re integrally protruded from both end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face each other and have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At least one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forming an interlocking engagement with each other;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through a connection hole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 plat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facing the lower flange,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composed of a round portion contacting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flat tie when fastene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one direction; And a retaining jaw for reinforc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igidity and flexure of the dried concrete wall by engaging with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lat tie fixed to the form and fixed to the form. .
상기 체결보강부에는 하부플랜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U자형의 이음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강부에서 상기 라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타단에는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라운드부의 타단을 덮도록 구비된 러버마감부와, 상기 러버마감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음홀이 구비되며, 상기 이음고정부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의 러버마감부가 서로 압축접촉하도록 상기 이음홈을 통하여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고정시키되, 상기 이음홈은 서로 이웃하는 체결돌기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fastening reinforcement portion further includes a U-shaped joint fixing portion for fastening adjacent fastening reinforcement portion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plate is extended to one end of the round portion, A rubber finish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vided adjacent to the rubber finish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s ar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s so as to be brought into compressiv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ix 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adjacent fastening projections.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는 한쌍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돌기수납부는 상기 철근의 돌기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며, 상기 마디대면부는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도록 구비되되 표면에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a pair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so as to face the reinforcing bars 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bars.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보강부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라운드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portion. The guid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und portion, have.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L자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의 말단에는 외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한쌍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수평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에 의하여 상기 수직부에 의하여 상기 체결보강부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수평부에 의하여 상기 라운드부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 shape and includes a vertical part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nd a horizontal part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n the vertical part, And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to face the horizontal parts and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vertical part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tightening reinforcing portion can be guided by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can be supported by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제1 돌기에는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돌기체결부는 수납하도록 구비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 주변에서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표면조도로 이루어지는 제2 돌기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receive the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coupling portion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ove and having surface roughness for imparting frictional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상기 제2 돌기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버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의 표면이 엠보싱형태로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단차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리브는 상기 단차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may include a buffer member having an inwardly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and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The buf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a stepped rib project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tepped rib can be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의 다양한 마디 위치의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면서 철근을 연결한 다음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져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의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device for a concrete structure, which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various node posi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which has no stiffness even 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thereto afte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와 체결 고정하도록 하여 거푸집과 철근들의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간편한 시공을 가능케 하고,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철근 연결구를 사용하여 금형의 제작 비용 감소와 철근 연결구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연결된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construction in connection of molds and reinforcing bars by fastening and fixing to protruded flat tie fixed to a mold, and using a reinforcing bar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for a concrete wall capable of reducing the yield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and firmly connecting the reinforced concrete connection.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성형틀과 철근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와, 체결보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결부재의 하부면과 체결보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에서 플랫타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돌기, 걸림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버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드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설치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체결보강부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crete forming mold and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nd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of FIG. 2;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lower connecting member and a fasten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rojection of Fig. 5;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and latching jaws connected to a flat tie in an upper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member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ghten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portion of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medi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철근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철근 연결장치는 외면에 반복되어 구비되는 마디(102)와 돌기를(104) 가지는 철근(110); 상기 철근(110)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110)의 상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110)의 마디(102)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부연결부재(120); 상기 철근(110)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110)의 하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141)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14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110)의 마디(102)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140)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연결부재(130);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일단 및 타단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공(152)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서로 마주하는 결합으로 상하로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결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상부플랜지(150a) 및 하부플랜지(150b); 상기 하부플랜지(150b)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150a)와 상부플랜지(150a)의 연결공(152)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돌기(161)와, 상기 체결돌기(161)의 하부측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플랜지(150b)와 대면하는 지지부(162), 및 상기 플레이트(162)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연결부재(150b)의 외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라운드부(163)로 이루어지는 체결보강부(160);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플랫타이(20)와 체결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제1 돌기(171)와, 상기 제1 돌기(17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172)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에 의해 형성되고,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20)의 체결홈(22)과 걸림되는 결합에 의해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걸림턱(170)을 포함한다.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onnecting a formwork and a reinforcing bar use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and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는 상부연결부재(120) 및 하부연결부재(130)와 함께 체결보강부(16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플렛타이(20)와 철근(110)을 용이하게 정렬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 연결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플랫타이(20) 및 철근(110)에 적용이 가능하여, 시공시 플랫타이(20) 및 철근(110)의 크기가 일부 상이한 경우에도 이에 의한 불량없이 상기 철근(110)을 플랫타이(2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connect the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체결돌기(161)는 상기 상부플랜지(150a) 및 하부플랜지(150b)의 연결공(152)으로 삽입된 후, 상기 상부플랜지(150a)의 외면에서 너트(N)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의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와, 체결보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nd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110)의 상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여 체결되는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를 고정시키는 체결보강부(160) 및 이들 각각에 구비되는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nnecting
먼저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벽체의 거푸집(10)과 철근(11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하도록 한철근 고정장치로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벽체는 시멘트, 모래, 자갈 및 물이 혼합된 미건조 상태의 콘크리트를 거푸집(10) 내에 주입하여 형체를 성형하게 된다. 콘크리트가 건조된 후에 거푸집(10)은 제거된다.First, the reinforcing bar for the concrete wall i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formwork (10) and the reinforcing bar (110) of the concrete wall, and the concrete wall used as the building or civil structure is a mixture of cement, sand, The unformed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mold 10 to mold the mold. After the concrete is dried, the form 10 is removed.
이때, 콘크리트 거푸집(10)은 서로 대면된 거푸집(10) 사이에 체결되는 플랫타이(20)와 거푸집(10)들 사이의 공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수직 및 수평 철근(110)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concrete form 10 has a
이러한, 상기 철근(110)에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가 조립을 이루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에 형성된 걸림턱(170)과 플랫타이(20)가 결합을 이루어 수직 및 수평 철근(110)이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철근(110)은 마디(102)와 돌기(104)를 가진다.Here, the reinforcing
상기 마디(102)와 돌기(104)를 가지는 철근(110)에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가 조립을 이루 철근(110)을 고정 연결한 다음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져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의 철근 연결구조가 되도록 한다.When the reinforcing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는 상, 하로 분리되는 것으로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가 철근(110)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양측에 형성되어 맞물리는 상부플랜지(150a) 및 하부플랜지(150b)에 상기 체결보강부(160)가 상부 및 하부플랜지(130)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철근(110)을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The upper connecting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의 내주면에는 철근(110)의 돌기(104)와 대응되는 마디대면부(1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대응하게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재(130)는 철근(110)의 하부에서 결합하도록 철근(110)의 외주에 대응되게 반원통형관의 형태를 가진다.The upper connecting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내주면에는 철근(110)의 돌기(104)와 대응되는 마디대면부(1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마디대면부(140)은 철근(110)의 돌기(104)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아울러,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는 철근(110)을 감싸도록 서로 마주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는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를 각각 다른 형태이지 않아 구조적 단순화로 인해 제작상 용이하다.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양측에는 일체형으로 상부 및 하부플랜지(15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upper and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50)는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각각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50)에는 통공된 연결공(152)를 가진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50)는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서로 마주하는 결합으로 상하로 위치하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150)가 각각의 연결공(152)이 대응하여 연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결속을 이룬다.The upper and
도 4a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120) 및 하부연결부재(130)는 한쌍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120) 및 하부연결부재(130)의 내주면에는 각각 서로 돌기수납부(141)과 마디대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서로 조립된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내주면에서 각각에 구비된 돌기수납부(141)와 마디대면부(140)는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upper connecting
상기 돌기수납부(141)의 일부에는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납부(141)는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보다 큰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납부(141)가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보다 크게 구비되므로, 상기 상부연결부재(120) 및 하부연결부재(130) 사이에 철근(110)을 구비시켜 조립하는 경우, 상기 돌기수납부(141)에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마디대면부(140)는 상기 철근(110)의 마디(102)와 대면하도록 구비되되 표면에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110)의 마디(102)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14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디대면부(140)에 구비된 탄성부재(141a)에 의하여 상기 상부연결부재(120) 및 하부연결부재(130)는 이들 사이에 개재된 철근(110)에 탄성 및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철근(11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디대면부(140)는 상기 탄성부재(141a)에 의하여 상기 철근(110)의 돌기(104)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는 돌기수납부(141)에 의한 공간 공차를 상쇄시켜 상기 철근(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결부재의 하부면과 체결보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돌기의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lower connecting member and a fasten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rotrusion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외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돌기(180)는 상기 체결보강부(160)가 구비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하여 공정효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하부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체결보강부(160)에 의한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5 and 6,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가이드돌기(18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외면에 구비되어 체결보강부(16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80)는 상기 체결부강부(160)의 라운드부(16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130) 외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돌기(180)는 상기 L자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외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부(181)와 상기 수직부(181)에서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외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수평부(1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181)의 말단에는 외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돌기(18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83)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82)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결합홈(18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가이드돌기(180)는 상기 수평부(183)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181)에 의하여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수평부(183)에 의하여 상기 라운드부(163)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돌기(180)에서 상기 수직부(181)는 한쌍으로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의 외면에서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폭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연결부재(13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81)가 구비된 하부연결부재(130)에 상기 체결보강부(160)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직부(181)에 의하여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위치가 용이하게 가이드된다.The
또한, 상기 체결보강부(160)가 구비된 후, 상기 수직부(181)는 상기 수직부(181)에 구비된 결합돌기(182)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183)의 결합홈(184)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183)를 상기 수직부(181)가 구비된 이후에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180)의 형상에 대한 제약없이 상기 체결보강부(160)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결보강부(160)를 구비시킨 후 상기 수평부(183)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보강부(160)의 하부측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fter the tighten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에서 플랫타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돌기, 걸림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버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드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의 설치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and latching jaws connected to the flat tie i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in FIG. 7,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memb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의 각각에 상, 하부의 일면에 걸림턱(170)이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170)은 일방향을 향한다. 상기 걸림턱(170)은 거푸집(10)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20)의 체결홈(22)과 걸림되는 결합을 구성한다.A
상기 걸림턱(170)이 일방향을 향하고 있어 플랫타이(20)의 체결홈(22)이 걸림턱(170)에 걸려있으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170)과 플랫타이(20)의 체결홈(22)이 결합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철근(110)에 가해지는 강한 장력에 대해 버틸 수 있다.When the
이같은 본 발명은 철근(110)에 상부연결부재(120)와 하부연결부재(130)로 조립되고, 걸림턱(170)에 플랫타이(20)가 결합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거푸집(10)과 철근(110)을 연결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necting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120)에는 상기 플래타이(20)의 체결홈(22)과 체결되는 걸림턱(170)과 상기 걸림턱(170)을 구비시키는 제1 및 제2 돌기(171, 172)가 구비될 수 있다.7 to 9, the upper connecting
상기 제2 돌기(172)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단차부(172a)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172a)에는 상가 단차부(172a)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버퍼부재(17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퍼부재(173)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의 표면이 엠보싱형태(173c)로 구비되는 헤드부(173a)와, 상기 헤드부(173a)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단차리브(17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리브(173b)는 상기 단차부(172a)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 걸림턱(170)은 상기 플랫타이(20)의 체결홈(22)과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홈(22)을 구성하는 플랫타이(20)는 상기 제2 돌기(172)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상기 제2 돌기(172)에 상기 플랫타이(20)외 접촉하는 부분에 엠부싱형태(173a)를 구빈 버퍼부재(173)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플랫타이(20)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플랫타이(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하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부재(173)는 고무재료로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제약이 없이 상기 플랫타이(20)와의 결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173)는 탈부착이 가역적으로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버퍼부재(173)를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버퍼부재(173)의 색을 다양하게 구비시킴으로써 특정 위치의 플랫타이(20)를 지칭하기 위한 가이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6. Fig. Except for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ents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11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보강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체결보강부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ghtening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surface of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of FIG.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체결보강부(260)를 고정시키는 이음고정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보강부(260)에는 하부플랜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260)를 연결 고정시키는 U자형의 이음고정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체결보강부(26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라운드부(263), 하부연결부재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플레이트(262) 및 상기 플레이트(262)에서 돌출되어 하부플랜지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되는 체결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라운드부(263)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262)가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부(263)의 타단에는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라운드부(263)의 타단을 덮도록 구비된 러버마감부(264)와, 상기 러버마감부(264)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음홀(265)이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에는 체결보강부(260)가 구비되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음고정부(280)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260)의 러버마감부(264)가 서로 압축접촉하도록 상기 이음홀(265)을 통하여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2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홀(265)은 서로 이웃하는 체결돌기(261)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이음홀(265) 및 이음고정부(280)에 의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체결보강부(26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러버마감부(264)에 의하여 이웃하는 체결보강부(260) 사이는 압축되어 고정되므로 공간에 의한 강도저하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상기 이음홀(265)는 상기 체결돌기(261)에 사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보강부(260)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하부측에서 고정되는 경우 서로 교대로 위치한 이음홀(265) 및 체결돌기(261)는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철근 연결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holes 265 may be alternately disposed on th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돌기(371)에는 상기 제1 돌기(371)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32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기체결부(371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돌기체결부(371a)는 수납하도록 구비되는 요홈(321)과 상기 요홈(321) 주변에서 상기 제1 돌기(371)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돌기(371)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표면조도(322)로 이루어지는 제2 돌기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371, 372) 및 상기 제1 및 제2 돌기(371, 372)에 의하여 형성되어 플랫타이(20)의 체결홈과 걸림되는 결합에 체결되는 걸림턱(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70)은 상기 철근 연결부재를 상기 플랫타이(20)와 체결시켜 철근과 거푸집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 및 제2 돌기(371, 372)는 그 형상에 따른 제약에 의하여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생산비가 증가된다.The first and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돌기(371, 372)를 별도로 구비시켜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와 체결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재(320)에는 상기 제1 돌기(371)와 접촉하는 면적과 동일하게 표면조도(322)가 구비됨으로써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돌기(371, 372)와 상부연결부재(32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and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a reinforcing bar for a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공방법은 전술한 철근 연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use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철근을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외면에 반복되어 구비되는 마디와 돌기를 가지는 철근을 준비하는 철근 준비단계; 상기 철근의 상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철근의 하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일단 및 타단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결합으로 상하로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결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를 구비한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 사이에 상기 철근의 일부가 내포되도록 준비하는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준비단계;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의 하부측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플랜지와 대면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보강부를 준비하는 체결보강부 준비단계; 상기 철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보강부에 의하여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고정단계;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플랫타이와 체결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에 의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의하여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의 체결홈과 걸림되는 결합에 의해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철근 고정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formwork use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to a reinforcing bar. A reinforcing bar preparing step of preparing reinforcing bars having nodules and projections repeated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tube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proj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seated and the adjacent projection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between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connecting portion, A lower lin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inking members which protrude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linking member and the lower linking member, And the upper linking member and the lower linking member are vertically positioned in opposing relation 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having at least one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through a connection hole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 plat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facing the lower flange, Preparing a tightening reinforcing portion for preparing a tightening reinforcing portion composed of a round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fixing step of ins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nd fixing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by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flat tie when fastene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fixed to the formwork by the engaging jaws to reinforc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iffness and warpage of the dried concrete wall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groove of the protruded flat tie And a reinforcing steel fixing step.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준비단계는 상기 제1 돌기를 상기 상부연결부재 상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preparation steps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ixing and fixing the first protrusion o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상기 제1 돌기에는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돌기체결부는 수납하도록 구비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 주변에서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표면조도로 이루어지는 제2 돌기체결부를 포함한다.The first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receive the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t the periphery of the recess and having a surface roughness giving frictional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철근을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 사이에 구비시키되, 상기 철근의 돌기는 상기 돌기수납부에 안착되고, 상기 철근의 마디는 마디대면부에 대응되도록 구비시킬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fix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providing the reinforcing bars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protrusion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seated on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bars of the reinforcing bars correspond to the bar- .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하부에는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수직부 사이에 상기 체결보강부를 구비시킨 후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를 체결시키고 이후에 상기 체결보강부를 너트로 체결시킬 수 있다.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wherein the tightening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vertical portions, and then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are fastened to each other, Can be fastened.
상기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서로 이웃하는 체결보강부를 이음고정부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fixing steps may further include fixing the neighboring fastening reinforcement parts by the joint fixing parts.
상기 체결보강부에는 하부연결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U자형의 이음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강부에서 상기 라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타단에는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라운드부의 타단을 덮도록 구비된 러버마감부와, 상기 러버마감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음홀이 구비되며, 상기 이음고정부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의 러버마감부가 서로 압축접촉하도록 상기 이음홈을 통하여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고정시키되, 상기 이음홈은 서로 이웃하는 체결돌기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U-shaped joint fixing portion for connecting and fixing mutually adjacent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plate is extended at one end of the rounding portion A rubber finish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so as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vided adjacent to the rubber finishing portion, The rubber fin portions ar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s so as to be brought into compressiv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coupling reinforc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adjacent coupling projections.
예컨대, 상기 체결부강부는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의 연결공을 통하여 체결돌기를 삽입시켜 상기 하부연결재의 일측 및 타측 하부플랜지에 대응하도록 각각 구비시킨 후, 상기 러버마감부가 서로 압축되도록 하여 상기 이음홈으로 상기 이음고정부를 삽입시켜 고정시킨 후, 상기 체결보강부의 체결돌기를 상기 상부플랜지측에서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and stiffening portions may be formed by inserting fastening protrusions through the connecting holes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correspond to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flange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respectively, The fastening protrusions of the fastening reinforcement portions can be fixed by the nuts at the upper flange sid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거푸집 20: 플랫타이
22: 체결홈 102: 마디
104: 돌기 110: 철근
120: 상부연결부재 130: 하부연결부재
150a: 상부플랜지 150b: 하부플랜지
152: 연결공 160: 체결보강부
170: 걸림턱 171: 제1돌기
172: 제2돌기 173: 버퍼부재10: Form 20: Flat Tie
22: fastening groove 102:
104: protrusion 110: reinforcing bar
120: upper connecting member 130: lower connecting member
150a:
152: connecting hole 160: tightening reinforcement part
170: engaging jaw 171: first projection
172: second projection 173: buffer member
Claims (7)
외면에 반복되어 구비되는 마디와 돌기를 가지는 철근;
상기 철근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의 상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철근의 일부를 내포하여 상기 철근의 하부면을 덮도록 반원통형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의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수납부와 이웃하는 돌기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는 마디대면부가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일단 및 타단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결합으로 상하로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결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의 하부측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플랜지와 대면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외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보강부;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플랫타이와 체결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돌기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에 의해 형성되고, 거푸집에 고정되어 돌출된 플랫타이의 체결홈과 걸림되는 결합에 의해 건조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강성 및 휨을 보강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강부에는 하부플랜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U자형의 이음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보강부에서 상기 라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연장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타단에는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라운드부의 타단을 덮도록 구비된 러버마감부와, 상기 러버마감부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음홀이 구비되며,
상기 이음고정부는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의 러버마감부가 서로 압축접촉하도록 상기 이음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체결보강부를 고정시키되,
상기 이음홀은 서로 이웃하는 체결돌기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s used for concrete wall construction,
A reinforcing bar having nodules and projections repeated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tube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by covering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the reinforcing bars be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ccommodating the projections and the adjacent reinforcing bars,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node fac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tube so as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ccommodating the protrusions and the adjacent reinforcing bars, A lower connecting member in which the opposing facing surfaces of the nod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re integrally protruded from both end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face each other and have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At least one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forming an interlocking engagement with each other;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through a connection hole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 plat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facing the lower flange,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composed of a round portion contacting wit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flat tie when fastene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one direction; And a retaining jaw which reinforce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igidity and flexure of the dried concrete wall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groove of the flat tie fixed to the form,
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U-shaped joint fixing portion for coupling and fastening mutually adjacent coupling reinforcing portion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flange, respectively,
A rubber finish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round portion to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at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so as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round portion; A joint hole is provided,
Wherein the joint fixing part is inserted through the joint hole so that the rubber finishing parts of the tightening reinforcement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 compressio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ix the adjacent tightening reinforcement parts,
Wherein the joint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fastening projections.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는 한쌍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 및 하부연결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돌기수납부는 상기 철근의 돌기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며, 상기 마디대면부는 상기 철근의 마디와 대면하도록 구비되되 표면에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마디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a pair and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bar,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so as to face the reinforcing bar 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contact the reinforcing bar.
상기 제1 돌기에는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기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돌기체결부는 수납하도록 구비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 주변에서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표면조도로 이루어지는 제2 돌기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receive the first protrusion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and surrounding the groove, the second projection coupling portion having a surface roughness giving frictional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Device.
상기 제2 돌기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버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의 표면이 엠보싱형태로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단차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리브는 상기 단차부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용 철근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has an inwardly recessed stepped portion,
And a buffer member inserted into the step portion at the step portion,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 head portion having a surface on one side in an embossed form and a stepped rib project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stepped rib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446A KR101788509B1 (en) | 2017-04-14 | 2017-04-14 |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8446A KR101788509B1 (en) | 2017-04-14 | 2017-04-14 |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509B1 true KR101788509B1 (en) | 2017-11-15 |
Family
ID=6038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8446A KR101788509B1 (en) | 2017-04-14 | 2017-04-14 |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850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503B1 (en) * | 2006-06-30 | 2007-05-16 | 김봉주 | Spacer having flexible iron hardware |
KR101496355B1 (en) * | 2014-06-10 | 2015-03-02 | 홍석희 | The coupling and anchoring devices for reinforcing bar |
KR101587021B1 (en) * | 2015-07-27 | 2016-01-22 | 이기만 | Concrete wall formwork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
-
2017
- 2017-04-14 KR KR1020170048446A patent/KR1017885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8503B1 (en) * | 2006-06-30 | 2007-05-16 | 김봉주 | Spacer having flexible iron hardware |
KR101496355B1 (en) * | 2014-06-10 | 2015-03-02 | 홍석희 | The coupling and anchoring devices for reinforcing bar |
KR101587021B1 (en) * | 2015-07-27 | 2016-01-22 | 이기만 | Concrete wall formwork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8191B1 (en) | Construction Method Wherewith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
KR101371098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masonry wall | |
KR101788509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Reinforcing Of Concrete Wall | |
KR20150145505A (en) | Coupler for steel bar | |
KR101543388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KR20080036341A (en) | Joining system for in-corner members | |
KR101587021B1 (en) | Concrete wall formwork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 |
KR101668393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KR101498662B1 (en) | Reinforced seams coupling | |
KR101848560B1 (en) | Fixing structure of form | |
KR101791468B1 (en) | Reinforcing rod connector type of one touch | |
KR101832213B1 (en) | Fixing clip for the t-bar of ceiling | |
KR200356201Y1 (en) | Connection means for reinforcing rod | |
JPH0928715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and spacer for reinforcements used for the method | |
KR101708475B1 (en) | A Rebar anchoring device | |
KR101168009B1 (en) | Steel bars splicing device | |
KR200437916Y1 (en) | Clamping apparatus of form for concrete | |
KR101668389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KR102106106B1 (en) | Distance maintenance apparatus for mold | |
KR102106107B1 (en) | Distance maintenance apparatus for mold | |
KR101836090B1 (en) | Rebar Binding Device | |
KR102100778B1 (en) |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2361122B1 (en) | Bonding Spacing Material, Reinforcement Spacing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it | |
KR20070043641A (en) | Angle-adjusted forming board | |
KR101607186B1 (en) | Coupl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Masonry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