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66B1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7366B1 KR101787366B1 KR1020170023297A KR20170023297A KR101787366B1 KR 101787366 B1 KR101787366 B1 KR 101787366B1 KR 1020170023297 A KR1020170023297 A KR 1020170023297A KR 20170023297 A KR20170023297 A KR 20170023297A KR 101787366 B1 KR101787366 B1 KR 101787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pile
- retaining wall
- installing
- bea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을 설치하는 4단계; 상기 받침철근들의 상측에 철근망을 설치하는 5단계; 부직포를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철근망의 상측에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constructed using a foundation pile in a top-down manner,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plurality of fabric tools and inserting piles;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coupling beam connecting the piles;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ng unit; Installing a reinforcing ne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reinforcing bars; Step 6 for laying the nonwoven fabric;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7) installing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above the binding beams; Filling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with drainage material; A ninth step of installing a nail ring or an earth anchor which penetrates the binding beam and is coupled 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It is possible to securely construct a building even if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side of the retaining wall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void the need to install a hysteresis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cut surface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ave construction cost, Effec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 특성상 도로나 철도, 산업단지나 택지 등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사면을 절취하고, 절취 사면의 하부에 옹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옹벽은 배면토의 토압을 지지하면서 옹벽 전면의 공간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토류구조물로써 통상 기초판, 벽체 및 기둥부재로 제작된다.Due to the nature of our country, which has a lot of mountainous terrain, there are many cases where slopes are cu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roads, railways, industrial complexes and residential land, and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cut slopes. Such a retaining wall is a kind of soil structure which can securely use the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while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back soil, and is usually made of a base plate, a wall and a pillar member.
이러한 옹벽은 일반으로 L형 옹벽, 역L형 옹벽, 역T형 옹벽 등과 같은 형태로 주로 시공되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옹벽용 프리캐스트 부재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한 후, 상기 부재를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데, 어느 경우이건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터파기를 하고, 기초터파기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에 기초판 및 벽체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retaining walls are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an L-shaped retaining wall, an inverted L-shaped retaining wall, an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etc., and concrete is directly placed in a predetermined shape by using a form in the field, In the case of a construction in which the base plate and the wall ar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foundation treader, It is common.
그러나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배면에 건물이나 송전탑 등 시설물이 있는 경우에는 배면토를 지나치게 절취할 경우, 배면 시설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절취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절취면 붕괴 방지용 가시설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절취면 붕괴 방지용 가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며, 절취면을 전부 굴착한 후에야 비로소 옹벽을 아래로부터 축조해가게 되므로 공사기간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where a building or transmission tower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loca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if the back soil is excessively cut off, the stability of the back surface facilities deteriorate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safety during cutting, There is a disadvantage to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cost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the rebar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cut surface is increased, and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only from the bottom until the cut surface is entirely excavated, so that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can not be avoided.
또한 절취 사면 전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미관을 가진 옹벽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옹벽의 벽체가 시공되기 때문에 미관을 갖춘 옹벽을 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taining wall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ut slope, a retaining wall having a beauty that can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using the cast concret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construction.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이나 PHC 말뚝 등의 기성 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iques for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tilizing a steel pile pile or a PHC pile or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2107호 "원형 PHC 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11a 내지 도 11c 참조) 이 종래기술은 옹벽(1)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10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된 원형 PHC말뚝(2); 상기 PHC말뚝(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상기 PHC말뚝(2)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21); 상기 PHC말뚝(2)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상기 PHC말뚝(2)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22); 상기 PHC말뚝(2)에 형성된 상기 강재밴드(21)와 상기 플레이트(22) 사이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3); 상기 각각의 인접한 PHC말뚝(2)의 상기 스토퍼(3) 사이로 끼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벽체(4); 상기 마감벽체(4)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 연장 형성된 집수구(6); 상기 스토퍼(3)가 연결고정된 부위의 상기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마감벽체(4)를 상기 플레이트(2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5); 및 상기 PHC말뚝(2) 상부를 마감하는 캡콘크리트(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PHC말뚝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매립하여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고, 마감벽체로 PC패널을 이용하고 연결부를 모르타르로 마감처리 하여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하며, PHC말뚝들 사이에 적층 설치되는 마감벽체 PHC말뚝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옹벽의 높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바로 설치하여 옹벽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옹벽의 적층된 마감벽체의 내측을 따라 수직으로 집수구를 형성하여 마감벽체 배면의 우수를 배제시켜 옹벽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112107 discloses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ee Figs. 11A to 11C).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PHC말뚝(2)만으로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것이어서, PHC말뚝(2)의 시공개수가 과다하게 많아지고, 또한 옹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PHC말뚝(2)의 삽입깊이도 깊어져야 하므로,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이 증가하고, 일정한도 이상의 높이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supports the back soil pressure only by the
또한, 말뚝과 말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할만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부에 캡콘크리트를 타설하기는 하지만 말뚝 상부만을 구속할 뿐 말뚝 전체길이에 대한 구속효과는 현저히 떨어져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deteriorates due to the absence of a structure for imparting a bonding force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lthough the cap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the restraint effect on the entire length of the pile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stabl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931호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12a 내지 도 12d 참조) 이 종래기술은 현장타설 PHC 말뚝(1)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어 후방의 배면토사(400)를 지지하는 PC 패널(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PHC 말뚝(1)은, 중공(11)의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말뚝 본체(10)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말뚝 본체(10)에 일체 구비되는 강재띠(2)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웨브(34)와 플랜지(32)로 이루어져서 플랜지(32)가 전방을 향하도록 웨브(34)가 강재띠(2)에 결합 설치된 전방 강재빔(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말뚝 본체(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강재띠(2)에서 전방 강재빔(3)의 웨브(34)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제1결합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강재띠(2)의 제1결합공(21)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후방으로 말뚝 본체(10)를 관통하는 제1통공(101) 및 제2통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강재빔(3)에서, 강재띠(2)의 제1결합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천공홀(31)이 플랜지(32)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웨브(34)에 관통부(33)가 형성되어 있어서; PHC 말뚝(1)에서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제2결합공(22), 제2통공(102), 중공(11), 제1통공(101), 제1결합공(21), 관통부(33) 및 천공홀(31)로 이어지는 일직선의 관통되어 있는 수평구멍에 의해, PHC 말뚝(1)에는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전후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PHC 말뚝(1)은, 말뚝 본체(10)의 하단이 지반에 관입되어 직립한 상태로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PC 패널(4)은, 말뚝 본체(10)의 전면과 전방 강재빔(3)의 플랜지(32) 사이의 간격에 그 횡방향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연직 삽입되어 설치되며; PHC 말뚝(1)의 후방에는 배면토사(400)에 후방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인장재(37)가 배치되어 있고, 인장재(37)의 전방 단부는 PHC 말뚝(1)의 전후방 관통공을 관통하여 PHC 말뚝(1)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인장재(37)에 의해서도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생산되는 PHC 말뚝과 PC 패널을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기초를 위한 터파기가 필요하지 않게 하여, 도심지 등에서 기존 구조물에 인접해서도 안전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옹벽을 시공하여, 옹벽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lso, Korean Patent No. 10-1599931 discloses " Rapid construction retaining wall using steel band PHC pile and precast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fer to FIGS. 12A to 12D) And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말뚝상호간을 연결하는 결합장치가 부재하여 말뚝이 개별적으로 거동하게 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le is structurally unstable because the pile is made to behave individually due to the absence of a coupling device connecting the piles.
또한, 기존의 PHC 말뚝에 강재빔을 결합한 형태이고, 말뚝삽입을 위한 천공홀 형성 시 기존의 PHC 말뚝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천공하여야 할 뿐 아니라, PC 패널(4)을 삽입하는 공간을 함께 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perforation hole for pile insertion, it is required not only to drill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conventional PHC pile, but also to insert a space for inserting the
또한, PHC 말뚝(1)의 제작시 튜브부재(28)가 설치된 강재띠(2)를 미리 매설하여야 하므로, 통상의 기성말뚝인 PHC 말뚝을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PHC 말뚝을 제작 준비하여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또한, 협소한 제1통공(101) 및 제2통공(102)을 통해 인장재(37)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 등을 처리할 수 없어 토압이 증가하고, PC패널(4)의 이음부 또는 PC패널(4)과 전방 강재빔(3)의 연결지점을 통해 지하수가 누출되고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water or the like flowing out from the back surface can not be treated, the earth pressure increases and groundwater leaks through the joint of th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an established pile, even when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wall of a retaining wall, work can be carried out safely,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is saved, and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for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또한,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함으로써, 말뚝 상호간의 강성이 증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a standing pile in which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between the piles by providing a coupling beam connecting the piles.
또한, 결속빔을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로 지반에 고정함으로써, 옹벽의 시공높이가 증대되고, 말뚝의 삽입깊이를 최소화 하며, 말뚝의 횡방향 설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retaining the bundle beam on the ground with nailing or earth anch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minimize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le, increase the lateral installation distance of the pile,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또한, 옹벽의 전면에 합벽콘크리트로 마감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옹벽의 강성과 안정성이 증대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the rigidity and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re increased by forming a closed wall with concrete wall concrete at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을 설치하는 4단계; 상기 받침철근들의 상측에 철근망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철근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철근망의 상측에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xisting pile, A step of forming a cloth tool of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nd inserting a pile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binding beam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through the binding beams and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reinforcing ne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reinforcing bars; (6) placing a nonwoven fabric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or /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ng portion;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Filling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with drainage material; A ninth step of installing a nail ring or an earth anchor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binding beams and is coupled 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또한, 결속빔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waterproof sheet on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
또한, 결속빔에 거푸집 연결용 결속타이를 복수개 설치하고, 합벽콘크리트용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plurality of tying ties for formwork connection in the bundling beam, and install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for the concrete concrete walls.
또한,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xcavat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of the pile at a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portion to form a further excavation portion, and further performing the third to ninth steps.
또한, 결속타이에 거푸집을 체결하고, 상기 거푸집의 전면에 거푸집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결속빔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crete placing step of fastening a formwork to a binding tie, providing a formwork reinforcem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binding beam.
또한, 말뚝들의 중공부는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hollow portion of the piles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filled with cement paste, mortar, or concrete.
또한,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binding beam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a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pile.
또한,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인접한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과, 상기 수평철근이 삽입되는 철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binding beam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pile in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bolt hole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adjacent fastening portion and a reinforcing bar into which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inserted. have.
또한,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의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binding beam includes a bending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wrapping portion, and thereby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inding beams increases, .
또한, 방수시트는 상하측의 결속빔을 번갈아 배면과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에 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waterproof sheet is fixed to the binding beams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pper and lower binding beams on the back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또한, 배수재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drainage material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rubble, fine gravel, and sand.
또한,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가 설치되는 결속빔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beam on which the nailing or earth anchor is installed may have a U-shaped or H-shaped cross section,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are coupled to the woven band.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에 있어서, 옹벽이 시공되는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천공구에 각각 삽입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하좌우로 연속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말뚝 상호간을 연결하고,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복수의 결속빔; 상기 결속빔들과 배면 지반사이에 채워진 배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pre-form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retaining wall utilizing a built-up pile installed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stablished pile, A plurality of piles inserted into the piles;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installed continuous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iles together and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And a drainag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binding beams and the backside ground.
또한, 배수재의 하측에는,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과, 상기 받침철근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망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inserted through the binding beam to the back ground and a reinforcing net disposed above the supporting bar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inage member to support the drainage member.
또한, 철근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배면 지반의 전면에 포설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may further include a nonwoven fabric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or / an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ck ground.
또한, 결속빔을 관통하여 상기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 nailing or earth anchor penetrating the binding beam and coupled to the back ground.
또한, 옹벽 전면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는 상기 결속빔들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결속빔들의 배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결속빔들의 전면과 배면에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proof shee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or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or alternately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Is installed.
또한, 결속빔에 설치되는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과, 상기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이 매설되게 하면서 상기 결속빔의 전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a vertical reinforcing bar provided on the binding beam, and concrete placed on the front of the binding beam whil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embedded.
또한,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싸는 반원주형상의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binding beam may include a plate-shaped connec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a semicircular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또한,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인접한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ndling beam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pile in the wrapping portion, and a bolt hole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adjacent fastening portion.
또한,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의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binding beam includes a bending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wrapping portion, and thereby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inding beams increases, .
또한, 복수의 결속빔 중 일부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 cross section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binding beams may be a U-shaped or H-shaped,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may be coupled to the woven band.
본 발명을 통해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the constructed pil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struction safely even when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rebuke for preventing collapse of the cut surface,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함으로써, 말뚝 상호간의 강성이 증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lso, by providing a coupling beam connecting the piles, the stiffness between the piles can be increased and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increased.
또한, 결속빔을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로 지반에 고정함으로써, 옹벽의 시공높이가 증대되고, 말뚝의 삽입깊이를 최소화 하며, 말뚝의 횡방향 설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by fixing the binding beams to the ground with nailing or earth anch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le is minimized, and the lateral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ile is increased.
또한, 옹벽의 전면에 합벽콘크리트로 마감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옹벽의 강성과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nished wall body with the wall concre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rigidity and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re increased.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12는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S. 1 to 10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 도면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면은 옹벽의 앞쪽 즉, 굴착한 후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공간으로 이용되는 쪽을 지칭하고, 배면은 전면의 반대쪽 즉, 굴착하지 않은 쪽을 지칭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stablish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Hereinafter, the front side refers to the fron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at is, the sid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or used as a space after the excavation, and the back side refer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side, that is, the side not to be excavated.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강관 말뚝이나 PHC 말뚝 등과 같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자립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옹벽을 구성하는 기초판이 없어 기초를 위한 터파기가 필요하지 아니하여 기존 구조물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옹벽의 시공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by using an existing pile such as a steel pipe pile or a PHC pile or the like and there is no base plate constituting a retaining wall, It can be very usefu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adjacent to an existing structure.
본 실시예는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공법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것으로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10)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10)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10)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20)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30)을 설치하는 4단계; 상기 받침철근(30)들의 상측에 철근망(32)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철근망(32)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부직포(34)를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20)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20)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철근망(32)의 상측에 배수재(40)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20)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62)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a top-down method using an established pile. A plurality of cloth tools are formed on a ground to be used as a retaining wall, and piles 1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step; A second step of excavat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piles 10 to form an excavation part;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coupling beam 20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10;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30) through the binding beams (20) and inserted in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reinforcing net (32)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bars (30); A step (6) of laying a nonwoven fabric (34)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32)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aper sheet of the excavation part;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20) connecting the piles (10) to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beam (20); Filling the drainage material (40)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32); (C) installing a nail ring (50) or an earth anchor (50) through a part of the binding beams (20) to be coupled 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62)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60).
1단계는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1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옹벽의 벽체가 세워지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천공구를 형성하고 말뚝(1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공구는 말뚝(10)이 삽입되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천공함으로써, 즉, 말뚝(10)의 직경과 잘 일치하게 천공함으로써 말뚝(10)이 천공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또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말뚝(10)간의 이격거리는 후술할 말뚝(10)이나 결속빔(20)의 강성,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의 성능, 지반의 종류 등으로 고려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갖출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는 상기 천공구에 삽입되는 말뚝(10)을 강관 말뚝 또는 PHC 말뚝 등과 같은 기성말뚝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말뚝을 제조하거나 준비함에 따르는 비용,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강관 말뚝과 PHC 말뚝의 경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말뚝(10) 설치 후 중공부에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콘크리트 등을 채워 말뚝(10)의 내구성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Since the hollow portion of the steel pipe pile and the PHC pile are formed, the durability and rigidity of the
2단계는 상기 천공구에 삽입한 상기 말뚝(10)들의 전면과 배면의 일부를 굴착하는 단계이다. 배면의 일부를 굴착하는 것은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배수재(40)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배면의 굴착은 배수재(40)를 채워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를 유도 배출할 수 있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에서의 굴착은 옹벽 시공구간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다단으로 분할한 후 상측에서부터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해 하는 첫 단계의 굴착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옹벽의 높이가 높지 아니하거나 배면 토질이 양호한 경우 등과 같이 분할하여 다단으로 할 필요가 없는 경우 한 번의 굴착으로 끝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2단계 굴착으로 굴착은 종료될 수 있다.The excavation in the second stage is the first stage excavation to divide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ection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multiple stages and then to construct from the upper side to the top down method. However, if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not high or if the backing soil is good,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excavation once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it into multiple stages. In this case, the excavation can be finished by the two-stage excavation.
이와 같이 옹벽을 다단으로 분할한 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탑다운 공법을 시행하는 경우, 옹벽 배면의 수평변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시공 안정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tower-down metho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fter dividing the retaining wall into the multi-stage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remarkably reduced, thus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and convenience.
3단계는 상기 말뚝(10)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2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굴착부에 노출된 말뚝(10)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여 결속빔(20)을 설치한다.
상기 결속빔(20)에는 후술하게 될 받침철근(30)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4단계는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3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받침철근(30)은 후술하는 철근망(32), 부직포(34), 배수재(4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받침철근(30)은 결속빔(20)의 관통홀로 삽입한 후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원지반에 그 일부를 삽입한 후 결속빔(20)의 외측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결속빔(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받침철근(30)은 배수재(40) 등의 상부하중을 원지반과 결속빔(20)을 통해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supporting
즉, 받침철근(30)은 탑다운 공법에서 굴착된 부분에 채워지는 후술할 배수재(40)를 지지함으로써, 다음 굴착 시 배수재(4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upporting
받침철근(30)은 원형 철근이나 이형 철근 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후술하는 철근망(32)과 배수재(4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원형, 사각형 등의 철재나 또는 그와 같은 정도의 강성을 가지 재료라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받침철근(30)은 그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철근을 더 설치할 수 있다.The supporting
5단계는 상기 받침철근(30)들의 상측에 철근망(3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철근망(32)은 후술하는 단계의 배수재(40)를 지지하지 위한 것으로써, 받침철근(30)의 간격과 배수재(4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철근망(32)의 눈의 크기는 통상 받침철근(30)의 간격보다 작고 배수재(4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다만 철근망(32)의 상측에 후술하는 부직포(34)를 포설하는 경우, 반드시 배수재(40)보다 작을 필요는 없고, 다소 클 수도 있다. Step 5 is a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철근망(32)의 경우에도 후술하는 배수재(40)나 부직포(34)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6단계는 상기 철근망(32)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부직포(34)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즉, 부직포(34)는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만 설치하거나, 철근망(32)의 상측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철근망(32)의 상측과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설치하는 부직포(34)는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는 토목섬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원지반에서 물만 통과하도록 하여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철근망(32)의 상측에 설치되는 부직포(34)는 철근망(32)으로 지지할 수 없는 작은 직경의 배수재(40)를 잘 지지하고,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내려온 토사 등을 걸러서 하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망(32)과 철근망(32)의 상측에 설치되는 부직포(34)는 그 상측에 포설되는 배수재(40)를 지지함으로써, 그 하측에 형성되는 굴착부로 배수재(4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다운 공법의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7단계는 3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결속빔(20)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20)을 추가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3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의 상측으로 결속빔(20)을 계획고까지 다단 설치하는 단계이다. Step 7 is a step of additionally providing a plurality of
3단계와 7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들은 말뚝(10)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옹벽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에서 시행되던 말뚝(10)상부의 캡콘크리트 등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말뚝(1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더라도, 결속빔(20)에 의해 배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binding beams 20 installed in the third and seventh steps may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tire retaining wall by joining the
상기 결속빔(20)에는 후술하게 될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할 수 있는 지반보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8단계는 상기 철근망(32)의 상측에 배수재(40)를 채우는 단계이다. 배수재(40)는 옹벽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 등을 하측으로 유도 배출함으로써, 옹벽 전면으로 지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고, 지하수에 의한 토압의 증가를 방지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배수재(40)로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재(40)는 결속빔(20)과 원지반의 사이에 채워져 배면의 지반을 잘 지지하여 전면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단계는 상기 결속빔(20)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속빔(20)에는 관통하는 지반보강홀이 형성되고 이 지반보강홀을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할 수 있다.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함으로써, 말뚝(10)간 횡방향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어 말뚝(10) 수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는 토압작용 방향에 대응하여 말뚝(10) 배면 원지반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옹벽의 토압에 대한 지지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Step 9 is a step of installing a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가 설치되는 결속빔(20)은 결속빔(20)의 단면을 두껍게 하거나, 또는 단면 형상을 ㄷ자형, H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옹벽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의해 말뚝(10)의 수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빔(20)에 형성되는 지반보강홀에는 지반보강 정착구를 형성하여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의 두부가 결속빔(20)과 일체화 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결속빔(20)과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10단계는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62)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즉, 굴착부의 하측에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이 기초콘크리트(60) 속에 배수관(62)을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에서 유출되는 지하수를 배수재(40)를 통해 옹벽하부 측구로 유도 배수하여 옹벽 배면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또한, 상기 7단계는 결속빔(20)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방수시트(36)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수시트(36)는 결속빔(20)의 전면인 외부에 설치하거나, 결속빔(20)의 배면인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면과 전면을 번갈아 가면서 엇갈리게 설치할 수 있다. 엇갈리게 설치하는 경우에도 결속빔(20) 하나마다 엇갈리게 하거나, 둘마다 엇갈리게 하거나, 가장 아래쪽과 가장 위쪽은 전면에 설치하고 그 외는 배면에 설치하는 등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방수시트(36)를 엇갈리게 설치하는 것은 방수시트(36)가 결속빔(20)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서, 특별히 방수시트(36)를 고정하지 아니하더라도 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step 7 may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방수시트(36)는 배수재(40) 내부에 침투된 물이 결속빔(20)의 전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7단계에서의 방수시트(36)의 설치는 상기 3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에도 동일하게 설치한다. 또한 방수시트(36)는 탑다운 방식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방수시트(36)와 연속되게 설치하거나, 또는 각 단계별로 별도로 설치한 후 서로 접착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7단계는 상기 결속빔(20)에 거푸집(92) 연결용 결속타이(70)를 복수개 설치하고, 합벽콘크리트(90)용 수평철근(80)과 수직철근(82)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7, a plurality of tying
결속타이(70)는 마감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9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후술하게 될 상기 결속빔(20)의 연결부(22)와 체결부(26)에 미리 형성되는 결속타이 홀에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결속타이(70)는 강선 등으로 형성하여 거푸집(92)을 고정하고 합벽콘크리트(90)를 타설하였을 때 거푸집(92)과 상기 결속빔(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합벽콘크리트(90)가 제대로 형성되게 한다.The binding
합벽콘크리트(90)용 수평철근(80)은 상기 결속빔(20)의 양측 체결부(26)에 형성되는 철근홀에 끼움 설치하고, 수직철근(82)은 상기 수평철근(80)에 용접 결합하거나 철사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철근(80)과 수직철근(82)은 합벽콘크리트(90) 타설 이전에 설치되어 합벽콘크리트(90)의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합벽콘크리트(90)의 강성을 증가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출 수 있다.The horizontal reinforcing
10단계 후, 상기 결속타이(70)에 거푸집(92)을 체결하고, 상기 거푸집(92)의 전면에 거푸집 보강재(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92)과 상기 결속빔(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tenth step, a
전술한 결속타이(70)는 결속빔(20)에 형성되는 결속타이 홀과 거푸집(92)에 형성되는 결속타이 홀을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거푸집(92)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시공의 편리성이 증진될 수 있다. Since the
거푸집(92)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수평 및 수직 거푸집 보강재는 거푸집(92)의 횡방향 변위를 구속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과정이 마무리 될 때 까지 거푸집(92)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시 합벽콘크리트(90)의 균열 및 문양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ormwork reinforcement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또한, 합벽콘크리트(90) 양생 후에는 상기 거푸집(92)을 제거하고, 합벽콘크리트(9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속타이(70)를 잘라낸 후,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작업을 함으로써, 옹벽의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After the cement concrete 90 is cured, the dies 92 are removed and the
상기 결속빔(20)은 상기 말뚝(10)과 말뚝(1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10)의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쌈부(24)가 이격 설치되는 말뚝(10)의 일부를 감싼 후 인접한 감쌈부(24)와 결합됨으로써, 결속빔(20)은 말뚝(10)에 결합되게 된다.The
감쌈부(24)는 말뚝(10)의 절반을 감싸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말뚝(10)의 1/3 또는 2/3를 감쌀 수도 있다. 또한, 감쌈부(24)는 반드시 인접한 감쌈부(24)에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옹벽의 양 단부의 경우에는 감쌈부(24)와 형상이 유사한 반원 형태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wrapping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빔(20)의 단면을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하는 경우, 전체를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결속빔(20)의 연결부(22)만을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24)에 결합됨으로써, 결속빔(20)의 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결속빔(20)에 결합되는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또한 옹벽 자체의 강성도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또한, 결속빔(20)은 상기 감쌈부(24)에서 상기 말뚝(10)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체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6)는 볼트공을 통해 인접한 체결부(26)와 볼트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빔(20)은 말뚝(10)에 매우 신속하고도 쉽게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결속빔(20)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22)와 감쌈부(24)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절곡부(28)는 연결부(22)의 하측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연결부(22)와 감쌈부(24)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절곡부(28)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결속빔(20)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상하전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28)가 형성된 결속빔(20)을 사용하는 경우 방수시트(36)가 불필요할 수 있고, 방수시트(36)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완벽하게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9단계와 상기 10단계 사이에,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10)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더 시행할 수 있다. Between the step 9 and step 10, a front part and a back part of the
즉, 탑다운 방식인 본 실시예는 한번 굴착으로 시공이 끝날 수도 있으나, 통상 여러 구간으로 분할한 후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옹벽을 여러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탑다운 공법으로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a top-down type, may finish construction by once excavation, but it is generally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then stepwise from top to bottom. In this way, by dividing the retaining wall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pplying the top down metho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securely construct the building even if there is a building on the back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에 대해 설명한다. 옹벽의 각 구성과 각 구성의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을 참고한다.Hereinafter, the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conventional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Please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for each structure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ch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옹벽이 시공되는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천공구에 각각 삽입 설치된 복수의 말뚝(10); 상하좌우로 연속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말뚝(10) 상호간을 연결하고,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복수의 결속빔(20); 상기 결속빔(20)들과 배면 지반사이에 채워진 배수재(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conventional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an established pile. A plurality of
결속빔(20)은 복수의 말뚝(10) 상호간을 연결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말뚝(10)의 상하좌우로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결속빔(20)은 충분한 강성을 갖춘 강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속빔(20)은 규격화 되어 제작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의 지지력, 지반의 종류, 토압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시공현장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 결속빔(20)은 규격품으로 제작 공급된 후 볼트의 조립 등으로 말뚝(10)에 결합될 수 있어, 품질이 우수하고, 시공이 신속, 편리할 수 있다.The
결속빔(20)은 상기 말뚝(10)과 말뚝(10)을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부(22), 상기 연결부(22)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말뚝(10)의 일부를 감싸는 반원주 등의 형상인 감쌈부(24), 상기 감쌈부(24)에서 상기 말뚝(10)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26)에는 인접한 다른 결속빔(20)의 체결부(26)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말뚝(10)과 결속빔(20)들이 상호 결합되어 옹벽의 거동이 일체화 될 수 있다.The
결속빔(20)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22)와 감쌈부(24)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ㄱ자 형상의 절곡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곡부(28)를 형성함으로써, 결속빔(20)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되고,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또한, 결속빔(20) 중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가 결합되는 결속빔(20)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결속빔(20)들과 배면 지반 사이에 배수재(4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배수재(40)는 말뚝(10)의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를 유도 배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배수재(40)의 하측에는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여 말뚝(10)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30)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근(30)의 상측으로 철근망(32)을 설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ing
상기 받침철근(30)은 철근망(32) 외에도 배수재(40), 부직포(34)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철근망(32)은 배수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받침철근(30)의 간격과 배수재(4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철근망(32)의 눈의 크기와 강성을 결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supporting
상기 철근망(32)의 상측 또는/및 상기 배면 지반의 전면에 부직포(34)를 포설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34)는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는 토목섬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원지반에서 물만 통과하도록 하여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34)는 상기 철근망(32)의 상측에 포설되어 배수재(4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최소의 입자를 가진 배수재(40)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nonwoven fabric (34) may be laid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32)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ck ground. The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여 상기 배면 지반에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는 상기 결속빔(20)에 형성되는 지반보강 홀에 삽입되어 지반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네일링(50) 또는 어스앵커(50)를 통하여 지반에 결합됨으로써, 말뚝(10)의 횡방향 간격을 증대시켜 본수를 절감할 수 있다.A
상기 결속빔(20)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옹벽의 전면으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3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36)는 결속빔(20)의 전면과 배면을 엇갈리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하므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36)는 최하측 결속빔(20)에서부터 최상측의 결속빔(20)까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기 결속빔(20)에 철근홀에는 수평철근(8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수평철근(80)에는 수직철근(82)이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수평철근(80) 및 수직철근(82)은 결속빔(20)의 전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합벽콘크리트(90)이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A horizontal reinforc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말뚝
20: 결속빔
22: 연결부
24: 감쌈부
26: 체결부
28: 절곡부
30: 받침철근
32: 철근망
34: 부직포
36: 방수시트
40: 배수재
50: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
60: 기초콘크리트
62: 배수관
70: 결속타이
80: 수평철근
82: 수직철근
90: 합벽콘크리트
92: 거푸집10: Stake
20: Coupling beam
22: Connection
24:
26:
28:
30:
32: Reinforcing mesh
34: Nonwoven fabric
36: Waterproof sheet
40: Drainage
50: Nailing or earth anchor
60: foundation concrete
62: Water pipe
70: tying ties
80: horizontal reinforcement
82: vertical reinforcement
90: Concrete wall concrete
92: Form
Claims (22)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을 설치하는 4단계;
상기 받침철근들의 상측에 철근망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철근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철근망의 상측에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7단계는, 상기 결속빔에 거푸집 연결용 결속타이를 복수개 설치하고, 합벽콘크리트용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xisting pile,
A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cloth tool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ground to which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nd inserting piles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binding beam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through the binding beams and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reinforcing ne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reinforcing bars;
(6) placing a nonwoven fabric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or /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ng portion;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Filling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with drainage material;
A ninth step of installing a nail ring or an earth anchor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binding beams and is coupled 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a foundation concrete,
Wherein the step (c) includes a step of providing a plurality of binding tie-connecting ties in the binding beam, and installing a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a vertical reinforcing bar.
상기 7단계는 상기 결속빔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c)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a waterproof sheet on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
상기 9단계와 상기 10단계 사이에,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Between step 9 and step 10,
And a further step of excavating a front part and a back part of the pile at a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part to further form an excavation part and further performing the steps 3 to 9,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상기 10단계 후,
상기 결속타이에 거푸집을 체결하고, 상기 거푸집의 전면에 거푸집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과 상기 결속빔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10,
And a concrete pouring step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binding tie, installing a formwork stiffen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binding beam.
상기 말뚝들의 중공부는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llow portion of the piles is filled with cement paste, mortar, or concrete.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inding beam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a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상기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인접한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과, 상기 수평철근이 삽입되는 철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nding beam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pile in the inserting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bolt hole for interlocking with the adjacent fastening portion and a reinforcing bar into which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inserted.
상기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의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bundling beams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a bent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rapp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undling beams and prevent leakage of the groundwater from the front s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상기 방수시트는 상하측의 결속빔을 번갈아 배면과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에 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proof sheet is fixed to the binding beams by being alternate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binding beams.
상기 배수재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ainage materi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rubble, fine gravel, and sand.
상기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가 설치되는 결속빔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ing beam to which the nailing or earth anchor is installed is a U-shaped or H-shaped cross-section,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are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Way.
옹벽이 시공되는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천공구에 각각 삽입 설치된 복수의 말뚝;
상하좌우로 연속으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말뚝 상호간을 연결하고,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복수의 결속빔;
상기 결속빔들과 배면 지반사이에 채워진 배수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재의 하측에는,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받침철근과, 상기 받침철근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철근망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In a retaining wall utilizing a conventional pile installed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xisting pile,
A plurality of pile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loth too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ground on which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installed continuous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iles together and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And a drainage material filled between the binding beams and the backside ground ,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discharger,
A plurality of retaining bars penetrating the binding beams and inserted to the back ground, and a reinforcing net disposed above the retaining bars to support the drainage material.
상기 철근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배면 지반의 전면에 포설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non-woven fabric further comprises a non-woven fabric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net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ck ground.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여 상기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nailing or earth anchor penetrating through the binding beam and coupled to the backside ground.
옹벽 전면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는 상기 결속빔들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결속빔들의 배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결속빔들의 전면과 배면에 번갈아 가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waterproof sheet for preventing leakage to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Wherein the waterproof shee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o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or alternately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s.
상기 결속빔에 설치되는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과, 상기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이 매설되게 하면서 상기 결속빔의 전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concrete pour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inding beam whil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reinforcing beam.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싸는 반원주형상의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inding beam is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includes a plate-shaped connecting portion, and a semicircular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상기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인접한 체결부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binding beam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pile in the inserting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bolt hole for mutual engagement with the adjacent fastening portion.
상기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의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The method of claim 19,
The bundling beams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a bent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rapp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undling beams and prevent leakage of the groundwater from the front side The retaining wall utilizing an existing pile.
상기 복수의 결속빔 중 일부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 part of the plurality of binding beams has a U-shaped or H-shaped cross section,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are coupled to the woven ba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297A KR101787366B1 (en) | 2017-02-22 | 2017-02-22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3297A KR101787366B1 (en) | 2017-02-22 | 2017-02-22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7366B1 true KR101787366B1 (en) | 2017-10-18 |
Family
ID=6029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3297A KR101787366B1 (en) | 2017-02-22 | 2017-02-22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736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04908A (en) * | 2022-10-10 | 2022-11-29 |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between side slope upright piles |
CN116446435A (en) * | 2023-06-19 | 2023-07-18 | 中国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Novel revetment pile foundation structure under complicated geological conditio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258B1 (en) * | 2009-11-25 | 2010-09-10 | 윤정배 |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with retaining wall block and geogrid |
-
2017
- 2017-02-22 KR KR1020170023297A patent/KR1017873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1258B1 (en) * | 2009-11-25 | 2010-09-10 | 윤정배 |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with retaining wall block and geogri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04908A (en) * | 2022-10-10 | 2022-11-29 |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between side slope upright piles |
CN116446435A (en) * | 2023-06-19 | 2023-07-18 | 中国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Novel revetment pile foundation structure under complicated geological conditions |
CN116446435B (en) * | 2023-06-19 | 2023-09-29 | 中国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Novel revetment pile foundation structure under complicated geological condi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6162B1 (en) |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 |
KR10169691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wall with retaining wall combined PHC pile and steel pipe | |
KR101274974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44063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concrete underpass | |
KR101363878B1 (en) | Temporary construction and originally construction the outer layer of a 2-layer wall type underground road building method | |
KR101640449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open cutting in tunnel portal area | |
KR101780370B1 (en) | Composite structure using shear connector made of anchor and socket shoe | |
JP2014020079A (en) | Slope reinforcing structure and slope reinforcing method | |
KR101165575B1 (en) | Tunnel construction method | |
KR20200124949A (en) |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79303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wall with retaining wall combined PHC pile and steel pipe | |
KR100831332B1 (en) | Underground retaining wall for public wor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JP2008101467A (en) | Rockfall preventive fence | |
KR100726984B1 (en) | Temporary system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 |
KR101206860B1 (en) | Excavation tu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iling | |
KR101787366B1 (en)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4745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utting the ground retaining wall using the pole | |
KR101787368B1 (en)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61516B1 (en) |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arched steel pile | |
JP2004293281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ermanent anchor-applied wall structure and permanent anchor-applied wall structure | |
KR102617795B1 (en) |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040031451A (en) |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 |
KR102476068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multidirectional anchor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87365B1 (en)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45713B1 (en) |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