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85496B1 -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496B1
KR101785496B1 KR1020160103841A KR20160103841A KR101785496B1 KR 101785496 B1 KR101785496 B1 KR 101785496B1 KR 1020160103841 A KR1020160103841 A KR 1020160103841A KR 20160103841 A KR20160103841 A KR 20160103841A KR 101785496 B1 KR101785496 B1 KR 10178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power
magnitude
signal
power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관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디아이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케이(주) filed Critical 디아이케이(주)
Priority to KR102016010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49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821 priority patent/WO20180344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3/38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2003/38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02E10/5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 단독운전을 감지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라인을 통해 계통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시키는 무효전력 발생부 및 상기 무효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SYSTEM FOR DETECTING ISLANDING AND METHOD FOR DETECTING ISLANDING}
본 발명은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 단독운전을 감지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이 각종 작업으로 인한 정전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계통에서 분리되더라도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출력과 배전선 부하의 소비전력이 균형을 이루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배전선 부하를 떠맡아 운전을 계속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단독운전이라고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전력계통에 연결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가 변전소 차단 등에 의해 대형 동기 인버터와 같은 주 전력 공급원이 분리된 상태에서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연결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운전 상태를 단독운전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단독운전 상태가 지속 된다면, 선로의 유지·보수를 하는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고, 전기설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단독운전 시 위상의 오차로 인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계통 시스템에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계통에서의 전원 공급이 끊겼을 경우에는 시스템의 동작도 멈추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단독운전의 감지 방법으로 라인에 변화가 있을 때만 감지하는 수동적인 방식과 인버터 출력 전류에 변동을 주어 이를 이용하는 능동적인 방식이 있다.
수동적인 방식은 단독운전 상태에서 발전량과 부하량, 선로전압, 주파수, 위상 또는 전압에 고조파 성분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인버터의 과전압/저전압 및 과주파/저주파를 이용하는 방식, PCC전압과 인버터 출력전류의 위상차와 THD를 모니터링 하여 감지하는 방식 등이 있다.
능동적인 방식은 Frequency drifts 방법, Voltage drifts 방법, Grid impedance estimation 방법, PLL-baseed estimation 방법, Negative sequence detection 방법 등이 있다. 최근 능동적인 방식 중에서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특허문헌 1'에는 무효전력을 투입하여 단독운전을 감지하는 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무효전력을 투입하여 단독운전을 감지하는 방법은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압의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면서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의 깜빡거림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역률값이 주기적으로 변동되므로 현재의 계통연계 규정을 만족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KR 10-1398457 B1 (2014. 05. 1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역률값이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계통연계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종래보다 빠르게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라인을 통해 계통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시키는 무효전력 발생부 및 상기 무효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에서 발생되는 전력이 라인을 통해 계통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의 단독운전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단계; 상기 신호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무효전력 발생 단계 및 상기 무효전력 발생단계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무효전력 조절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무효전력을 주기적으로 짧게 투입하기 때문에 역률 및 전압 강하의 영향성이 없고, 눈으로 감지되지 않는 빠른 시간 동안 무효전력을 투입하기 때문에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단독운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압 변동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계통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유효전력의 크기를 무효전력과 같은 방법으로 변화시켜 전압을 크기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신호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전력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Id, Iq, f, V의 그래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효전력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Id, Iq, f, V의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210);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시키는 무효전력 발생부(220); 신호 검출부(210) 및 무효전력 발생부(220)에 연결되어 신호 검출부(210) 및 무효전력 발생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은 계통(Grid, 300)에 연결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류형태의 전력을 다루고 있는데, 태양광 발전의 경우 인버터(100)는 PV CELL에 연결되어 PV CELL의 DC 출력을 AC로 변환한다.
신호 검출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요소이고, 무효전력 발생부(220)는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를 바탕으로 무효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30)는 신호 검출부(210) 및 무효전력 발생부(220)에 연결되어 신호 검출부(210) 및 무효전력 발생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펄스의 크기를 주기마다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되, 무효전력을 주기적으로 짧게 투입하도록 하는 제어를 한다.
이때 주기는 계통연계 규정(그리드 코드)에서 규정된 시간(단독운전이 감지되었을 때 소정 시간 안에 전력을 차단해야만 함)일 수 있고, 단독운전을 감지하여 계통(300)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안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계통연계 규정 및 단독운전을 감지하여 계통(300)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안의 시간을 근거로 선정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짧게'의 의미는 주기보다 짧은 시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60Hz인 경우 주기는 0.0167초인데,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60Hz인의 경우 주기(0.0167초)보다 짧은 시간 동안 무효전력을 투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신호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전력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Id, Iq, f, V의 그래프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제어부(230)가 신호 검출부(210) 및 무효전력 발생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신호 검출부(210)는 변류기(211), 제1 전류변환기(212), 제2 전류변환기(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류기(211)는 인버터(100)의 출력을 측정하는 구성요소이고, 제1 전류변환기(212)는 변류기(211)로부터 전달되는 3상의 전류신호(Ia, Ib, Ic)를 2상 정지 좌표계(α, β)의 2상 정지 전류 신호(Iα, Iβ)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2 전류변환기(213)는 2상 정지 좌표계(α, β)의 2상 정지 전류 신호(Iα, Iβ)를 2상 회전 좌표계(d, q)의 2상 회전 전류 신호(Id, Iq)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d축과 q축을 이용하여 출력전류의 진폭과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전류변환기(212), 제2 전류변환기(213) 및 제어부(230)를 적절하게 구성함으로써, d축 전류(Id)가 유효전력을 제어하고 q축 전류(Iq)가 무효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d축 전류(Id)가 무효전력을 제어하고, q축 전류(Iq)가 유효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이때 주파수의 변동값에 대한 기준값은 제어부(2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무효전력 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우는 제어를 하는데, 2상 회전 전류 신호 중 하나인 Id 또는 Iq를 계단형태로 키움으로써 무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울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필요에 따라 Id 또는 Iq를 계단형태로 키움으로써 유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울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오른쪽 부분에서 주파수(f)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렇게 주파수(f)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230)가 2상 회전 전류 신호 중 하나인 Id 또는 Iq를 계단형태로 키움으로써 무효전력 또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울 수 있다. 도 5의 경우는 Id가 f(주파수)를 조절(제어)하고 Iq가 V(전압)을 조절(제어)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에는 Id가 무효전력을 제어하고, Iq가 유효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Id가 V를 조절하여 유효전력을 제어할 수 있고, Iq가 f를 조절하여 무효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키워진(증폭된) 무효전력을 라인{인버터(100)와 계통(300) 사이의 라인}으로 투입함으로써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무효전력을 주기적으로 짧게 투입하기 때문에 역률 및 전압 강하의 영향성이 없고, 눈으로 감지되지 않는 빠른 시간 동안 무효전력을 투입하기 때문에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Id에 펄스를 한번 가했을 때 감지된 f(주파수)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f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하이기 때문에) 단독운전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렇게 Id에 펄스를 한번 가했을 때 단독운전이 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 주기에(그래프의 오른쪽 부분) Id에 가하는 펄스를 반복해서 주입했을 때, 주파수의 변화값이 기준값(임계값) 이상 커졌을 경우 단독운전의 파악을 위해 Id에 가하는 펄스를 계단 형태로 (증폭하여) f의 변동값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f의 변동값이 소정값 이상이면 단독운전으로 판단하고 계통(300)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투입되는 무효전력을 계단 형태로 키워(점진적으로 키워) 빠르게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주기를 더욱 짧게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d와 Iq의 변화의 주기를 점점 빠르게 제어함으로써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주기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더 빨리 주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더욱 빨리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효전력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Id, Iq, f, V의 그래프로서, 도 7 및 도 8에는 Id에 가하는 펄스를 계단 형태로 증가시켜(키워) f의 변동값을 감지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펄스를 계단 형태로 증가시킬 때 그 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Id에 펄스를 한번 가했을 때 f의 변동이 없는 경우 다음 주기에 Id에 가하는 펄스를 계단 형태로 키워(증폭하여) f의 변동값을 감지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펄스를 계단 형태로 증가시킬 때 그 폭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통해 더 빨리 주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더욱 빨리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폭은 시간을 의미하므로, 폭의 감소는 결국 시간 단축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라인에 투입되는 무효전력의 크기를 유효전력의 10 내지 20%로 제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에 의해 단독운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압 변동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계통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전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유효전력의 크기를 무효전력과 같은 방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우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상호 보완적으로 유효전력의 크기를 무효전력과 같은 방법으로 변화시켜 전압을 크기의 변화를 감지하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30)가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할 때, 제어부(230)는 계통(300)이 불안정하다고 확인되면 유효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계통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단계(S10);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무효전력 발생단계(S20); 및 무효전력 발생단계(S20)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라인(300)으로 투입하되,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무효전력 조절단계(S30) 이후,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유효전력 조절단계(S40)를 더 포함하거나, 유효전력 조절 단계(S40) 이후, 계통(300)이 불안정하다고 확인되면 유효전력의 크기의 변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유효전력 크기 감소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 검출단계(S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이고, 무효전력 발생단계(S20)는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단계이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무효전력 발생단계(S20)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라인(300)으로 투입하되,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신호 검출단계(S10), 무효전력 발생단계(S20),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무효전력 조절단계(S30)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f)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230)가 2상 회전 전류 신호 중 하나인 Iq를 계단형태로 키움으로써 무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울 수 있다.
또한 무효전력 조절 단계(S30)에서는 무효전력 발생 단계(S20)에서 무효전력의 투입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는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와 Iq를 동시에 제어하여 무효전력을 투입하되, Id와 Iq의 변화의 주기를 점점 빠르게 제어함으로써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주기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펄스를 계단 형태로 키우되 그 폭을 줄이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더 빨리 주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더욱 빨리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효전력 조절 단계(S30)에서는 상기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시간을 주기보다 짧은 시간으로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효전력 조절 단계(S30)에서는 무효전력 발생 단계(S20)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의 크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의 10% 내지 20%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단독운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전압 변동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계통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은 무효전력 조절단계(S30) 이후,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유효전력 조절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호 보완적으로 유효전력의 크기를 무효전력과 같은 방법으로 변화시켜 전압을 크기의 변화를 감지하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단독운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감지 방법이 유효전력 조절 단계(S40) 이후, 계통(300)이 불안정하다고 확인되면 유효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유효전력 크기 감소단계(S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계통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0: 인버터 200: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210: 신호 검출부 211: 변류기
212: 제1 전류변환기 213: 제2 전류변환기
200: 무효전력 발생부 230: 제어부
300: 계통

Claims (1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라인을 통해 계통(300)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210);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시키는 무효전력 발생부(220) 및
    상기 무효전력 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무효전력 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에 주기적인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주기마다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주기를 점차 짧게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시간을 0.0167초보다 짧은 시간으로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투입되는 무효전력의 크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의 10% 내지 20%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무효전력 및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신호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킨 다음, 상기 계통(300)이 불안정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유효전력의 크기의 변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에서 발생되는 전력이 라인을 통해 계통(300)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의 단독운전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단계(S10);
    상기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무효전력 발생단계(S20) 및
    상기 무효전력 발생단계(S20)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에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상기 무효전력 발생단계(S20)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에 주기적인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무효전력을 상기 라인으로 투입하되, 상기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크기를 주기마다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상기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펄스의 주기를 점차 짧게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상기 무효전력을 투입하는 시간을 0.0167초보다 짧은 시간으로 하여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는
    상기 무효전력 발생단계(S20)에서 발생되는 무효전력의 크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의 10% 내지 20%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조절단계(S30) 이후,
    상기 신호 검출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버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유효전력 조절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유효전력 조절단계(S40)는
    상기 유효전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되, 상기 유효전력의 크기를 계단형태로 키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유효전력 조절단계(S40) 이후,
    상기 계통(300)이 불안정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유효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유효전력 크기 감소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운전 감지 방법.
KR1020160103841A 2016-08-16 2016-08-16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KR10178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41A KR101785496B1 (ko) 2016-08-16 2016-08-16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PCT/KR2017/008821 WO2018034467A1 (ko) 2016-08-16 2017-08-14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41A KR101785496B1 (ko) 2016-08-16 2016-08-16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496B1 true KR101785496B1 (ko) 2017-10-17

Family

ID=6029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841A KR101785496B1 (ko) 2016-08-16 2016-08-16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5496B1 (ko)
WO (1) WO2018034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31A (ko) * 2018-07-02 2020-01-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형 전원 연계용 보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6772A (ja)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875B2 (ja) * 1996-03-12 2002-07-15 東芝アイティ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系統連系保護用無効電力補償装置
KR100966146B1 (ko) * 2008-03-21 2010-06-2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연계 분산전원 시스템 및 그의 단독운전 감지방법
JP5505145B2 (ja) * 2010-07-09 2014-05-28 富士電機株式会社 単独運転検出装置
JP6161985B2 (ja) * 2013-08-02 2017-07-12 株式会社ダイヘン 単独運転検出回路、単独運転検出方法、当該単独運転検出回路を備えた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JP6281704B2 (ja) * 2014-10-21 2018-02-21 富士電機株式会社 分散電源の単独運転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6772A (ja)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31A (ko) * 2018-07-02 2020-01-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형 전원 연계용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141527B1 (ko) * 2018-07-02 2020-08-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형 전원 연계용 보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467A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659B1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및 그의 단독 운전 방지 방법
US201300773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grid fault event control
US6853940B2 (en) Anti-islanding device and method for grid connected inverters using random noise injection
US9673733B2 (en) Control apparatus for photovoltaic inverter
KR100817137B1 (ko) 분산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체방법
CN106058911B (zh) 电网连接的发电系统和相关直交转换装置中孤岛的检测法
JP2015527857A (ja) 電気生成装置の制御方法
JP6374213B2 (ja) 電力変換装置
KR20130032035A (ko) 적응적 최대 전력점 추종 기능을 가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45969A (ja) 風力タービン及びその運転方法
WO2013142553A2 (en) System and method for islanding detection and protection
US10312828B2 (en) Impedance compensation
EP3232532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US20200161868A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031266B2 (ja) 単独運転検出方法および単独運転検出装置
CN109154275B (zh) 在异常电网事件期间运行风力涡轮机发电机
JP6599804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671809B2 (en) Reactive power compensation devic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system impedance
KR101785496B1 (ko) 단독운전 감지 시스템 및 단독운전 감지 방법
KR101848265B1 (ko)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43896B1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및 그의 단독 운전 방지 방법
JP2018064328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244251A1 (en) Inverting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of islanding operation
JP2018148664A (ja) 無効電力補償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式
TWI418827B (zh) Isolation operation detection method of electric current control type electric current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