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608B1 - 트롤리 - Google Patents
트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3608B1 KR101763608B1 KR1020150116027A KR20150116027A KR101763608B1 KR 101763608 B1 KR101763608 B1 KR 101763608B1 KR 1020150116027 A KR1020150116027 A KR 1020150116027A KR 20150116027 A KR20150116027 A KR 20150116027A KR 101763608 B1 KR101763608 B1 KR 1017636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bar
- unit
- handle
- gear
- joi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트롤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고 본체부의 주행 또는 제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기어유닛과, 입력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고, 핸들유닛은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와,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를 연결하는 관절부와, 관절부를 구속하여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관절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는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단 상태로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장치다. 이러한 트롤리는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 중량물의 이송이 필요한 곳에서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트롤리는 복수의 휠을 구비하며 H빔 또는 I빔 형태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지지판부와,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기 위해 지지판부에 마련된 고리부를 구비한다. 트롤리의 고리부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물체가 매달린 트롤리를 밀거나 끌어주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트롤리는 미국특허 4,343,240호(1982. 8. 10) 및 미국특허 4,248,157호(1981. 2. 3)의 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 사용되는 트롤리(1)는 체인(2)을 이용하여 구동 또는 제동을 위한 동력을 입력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들유닛의 관절부가 꺾인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주행 또는 제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기어유닛; 및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은,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와,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를 연결하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를 구속하여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관절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트롤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부는 몸체부와, 제1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축부재와, 제1 축 방향과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부재는 상기 제1 핸들바와 제1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축부재는 상기 제2 핸들바와 제2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 고정유닛은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 고정유닛은 상기 제2 핸들바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핸들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 단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핸들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골과 결합하고, 상기 고정바는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의 일 단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의 타 단은 상기 제2 핸들바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의 타 단에는 상기 고정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기어유닛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은 제1 접속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핸들바는 제2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관절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를 동축으로 배치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핸들바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핸들바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관절부를 개방하거나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관절부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덮개부재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바는,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관절부를 덮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는 핸들유닛의 관절부가 꺾인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핸들유닛의 사용을 중지하는 때에 핸들유닛의 관절부가 펴지면서 트롤리 하부에 위치하는 장비에 충격을 가하거나 작업자의 위험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롤리 하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핸들유닛의 관절부가 꺽인 상태로 고정한 후에 이동함으로써 핸들유닛의 관절부를 꺾기 위해 계속적으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증대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로, 제동부의 동작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접속부의 결합 전 모습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접속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접속부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삽입돌기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b)는 삽입돌기가 관통홈에 삽입된 모습을, (c)는 삽입돌기가 삽입공간 내에서 90도 회전한 모습을, (d)는 삽입돌기가 안착홈에 안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와 관절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관절 고정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6의 A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관절 고정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7의 B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로, 제동부의 동작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접속부의 결합 전 모습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접속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접속부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삽입돌기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b)는 삽입돌기가 관통홈에 삽입된 모습을, (c)는 삽입돌기가 삽입공간 내에서 90도 회전한 모습을, (d)는 삽입돌기가 안착홈에 안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의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와 관절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관절 고정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6의 A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관절 고정유닛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7의 B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을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트롤리는 천장(또는 공중)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에서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레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가진 빔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롤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작업자가 체인(2)을 당김으로써 트롤리(1)를 레일(10) 상에서 구동하였다. 체인(2)은 구동축(3)을 회전시키고, 구동축(3)과 연결되는 휠(4)이 회전하여 트롤리(1)가 레일(10)을 따라 주행하였다.
체인(2)은 바닥부(5)부터 작업자가 당길 수 있을 정도의 높이(h)까지 늘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체인(2)은 트롤리(1)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체인(2)이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체인(2)은 유동성이 클 뿐만 아니라, 보통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그 무게가 상당하다. 따라서, 파랑 등에 의해 선박이 요동할 경우 작업자 등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체인(2)은 선박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한편, 트롤리(1)에 연결되는 체인(2)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동력을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트롤리(1)는 안전상의 문제 등으로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일(10)에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또는 레일(10)에 트롤리(1)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수 있고, 상기 제동장치를 동작하기 위해서 체인(2)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롤리(1)의 이동은 체인(2)을 진행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체인(2)과 연결된 트롤리(1)가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트롤리(1)에 무거운 물체가 매달린 경우에는 작업자가 체인(2)을 당겨 트롤리(1)를 이동시키는 데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는 구동 또는 제동을 위한 체인(2)을 제거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가 레일(1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는 레일(10)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휠(110), 휠을 지지하는 본체부(120), 및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휠(110)은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휠(110)은 안정된 주행을 위해 레일(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양측에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휠(110)이 채용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휠(110)의 수나 배치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휠(110)의 수나 배치는 레일(10)의 형태 등이 변경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즉 본체부(120)에 하나의 휠(110)이 장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체부(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두개의 휠(110)을 지지하는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 레일(10)의 하측에서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구비한다.
연결부(123)는 도 2에 도시한 예처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단이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양단에 조임너트(123b)가 체결됨으로써 제1 측면판(121) 및 제2 측면판(122)에 고정되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3)는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 사이의 지지로드(123a)의 외면에 결합되는 와셔 또는 부시의 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레일(10)의 폭에 대응하여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임너트(123b)는 제1 및 제2 측면판(122) 외측에서 각 지지로드(123a)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로드(123a)가 제1 및 제2 측면판(122)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부(130)는 아치형으로 마련되어 양측 지지로드(123a)의 중간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물체를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그 중간 부분에 걸이홈(131)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부(130)의 걸이홈(131)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양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걸이홈(131)에 직접 로프를 결속하는 방식으로도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는 두 개의 지지로드(123a)를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연결부(12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23)는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 하측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로드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 연결부(123)는 양단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에 고정되는 금속패널이나 형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3)는 제1 측면판(121) 및 제2 측면판(122)과 일체로 연결된 금속구조물일 수 있다. 즉 제1 측면판(121), 제2 측면판(122), 연결부(123)가 주물제작에 의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휠(110)은 제1 측면판(121)과 제2 측면판(122)에 고정된 축(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각 휠(11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축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휠(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나사산(112)이 마련된다. 구동부는 휠(110)의 나사산(112)에 치합하고 제1 축방향(X)을 갖는 제1 기어(113)와 이에 연결되며 제2 축방향(Y) 구동력을 제1 축방향(X)으로 전환하는 기어유닛(200)을 포함한다. 트롤리(100)는 작업자의 상부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본체부(120)의 하부에서 구동력을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축방향(Y)은 트롤리(100)의 하부방향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는 제2 축방향(Y) 구동력을 제공하는 핸들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유닛(400)의 일 단은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며 타 단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롤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하측으로 연장된 핸들유닛(400)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핸들유닛(400)이 기어유닛(200)에 제2 축방향(Y)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 축방향(Y)의 구동력은 베벨기어체를 포함하는 기어유닛(200)을 통하여 제1 축방향(X)으로 전환된다. 전환된 제1 축방향(X) 구동력은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 기어(113)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113)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113)와 치합하는 나사산(112)을 구비하는 휠(110)이 회전하게 되어 트롤리(100)가 레일(10)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하나의 휠(110)에만 나사산(112)이 구비되어 제1 기어(113)가 맞물릴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휠(110a, 110b)에 나사산(112a, 112b)이 구비되고 제1 기어(113)가 동시에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어(113)의 회전에 의해 2개의 휠(110a, 110b)이 동시에 회전하여 레일(10)과 휠(110)의 접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설명에서는 제외되었지만 복수의 휠(110)이 나사산(112)을 구비하고 이에 치합되는 복수의 제1 기어(113)가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휠(110)은 원형의 접지면을 구비하여 레일(10)과 접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휠(110)이 구비하는 나사산(112)이 직접 레일(10)과 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유닛(200)을 자세히 설명한다. 기어유닛(200)은 핸들유닛(400)의 단부와 연결되며 제2 축방향(Y)을 갖는 입력축(201)을 구비하는 입력 베벨기어(202)와 이에 치합되며 출력축(203)을 구비하는 출력 베벨기어(20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베벨기어(202)의 입력축(201)을 통해 입력되는 제2 축방향(Y) 회전운동은 출력 베벨기어(204)의 출력축(203)을 통해 그 회전운동의 축방향이 전환(Y -> X)된다. 출력축(203)은 제1 축방향(X)과 평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출력 베벨기어(204)와 연결되는 다른 기어체(미도시)에 의해 제1 축방향(X)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출력 베벨기어(204)는 제1 기어(113)의 축과 직접 연결되어 제1 기어(113)를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기어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조절부는 입력축(201)의 회전과 휠(110)의 회전 사이의 회전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기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축(201)의 회전에 비하여 휠(110)의 회전 수를 크게 하면 트롤리(100)의 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무거운 물체가 매달린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큰 힘이 요구된다. 반대로 입력축(201)의 회전에 비하여 휠(110)의 회전 수가 적으면 트롤리(100)의 속력은 감소하는 대신에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체가 매달린 트롤리(100)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어 조절부의 기어비는 작업자의 작동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트롤리(100)를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물체가 매달리지 않은 경우나 가벼운 물체를 매단 경우에는 입력축(201)의 회전에 비하여 휠(110)의 회전 수를 크게 하고, 무거운 물체를 매단 경우나 안전한 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휠(110)의 회전 수를 작게 하는 기어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일정 무게 이상의 물건이 매달릴 경우에 자동으로 휠(110)의 회전 수가 작도록 기어비가 변경되는 기어 조절부가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유닛(300)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트롤리(101)의 기어유닛(300)은 웜기어체를 포함한다. 기어유닛(300)은 핸들유닛(400)의 단부와 연결되며 제2 축방향(Y)을 갖는 입력축(301)을 구비하는 웜기어(302)와 상기 웜기어(302)에 치합되며 출력축(303)을 구비하는 웜휠(304)을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302)의 입력축(301)을 통해 입력되는 제2 축방향(Y) 회전운동은 웜휠(304)의 출력축(303)을 통해 그 회전운동의 축방향이 전환(Y -> X)된다. 출력축(303)은 제1 축방향(X)과 평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웜휠(304)과 연결되는 다른 기어체(미도시)에 의해 제1 축방향(X)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웜휠(304)은 제1 기어(113)의 축과 직접 연결되어 제1 기어(113)를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기어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가 레일(1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제동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롤리(500)는 천장(또는 공중)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에서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레일(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가진 빔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10)에 설치되는 트롤리(500)는 레일(10)의 양측에 그 일부가 각각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레일(10)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복수의 휠(510), 복수의 휠(5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들 휠(510)의 구름운동에 의해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520), 물체를 매달기 위해 본체부(520)의 하측에 설치된 걸이부(530), 그리고 필요 시 본체부(5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동부(610)를 구비한다.
복수의 휠(510)은 안정된 주행을 위해 레일(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양측에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휠(510)이 채용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휠의 수나 배치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휠의 수나 배치는 레일(10)의 형태 등이 변경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즉 본체부(520)에 하나의 휠(510)이 장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체부(5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두개의 휠(510)을 지지하는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 레일(10)의 하측에서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을 연결하는 연결부(523)를 구비한다.
연결부(523)는 도 8에 도시한 예처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단이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양단에 조임너트(523b)가 체결됨으로써 제1 측면판(521) 및 제2 측면판(522)에 고정되는 두 개의 지지로드(5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523)는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 사이의 지지로드(523a)의 외면에 결합되는 와셔 또는 부시(523c)의 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레일(10)의 폭에 대응하여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임너트(523b)는 제1 및 제2 측면판(521,522) 외측에서 각 지지로드(523a)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로드(523a)가 제1 및 제2 측면판(521,522)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부(530)는 아치형으로 마련되어 양측 지지로드(523a)의 중간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물체를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그 중간 부분에 걸이홈(531)을 구비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부(530)의 걸이홈(531)에는 체인블록과 같은 권양장치(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걸이홈(531)에 직접 로프를 결속하는 방식으로도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을 연결하는 연결부(523)는 두 개의 지지로드(523a)로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연결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는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 하측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로드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또 연결부(523)는 양단이 용접이나 볼트 체결에 의해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에 고정되는 금속패널이나 형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제1 측면판(521) 및 제2 측면판(522)과 일체로 연결된 금속구조물일 수 있다. 즉 제1 측면판(521), 제2 측면판(522), 연결부가 주물제작에 의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동부(610) 또는 기어유닛(710)을 고정하기 위해 제3 측면판(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판(524)은 제1 측면판(521)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어유닛(710)을 포함하기 위해 직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형상에 무관하게 제동부(610) 또는 기어유닛(710)을 고정할 수 있으면 족하고, 제1 측면판(52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휠(510)은 제1 측면판(521)과 제2 측면판(522)에 고정된 축(5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각 휠(51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512)에 의해 축(5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의 제동부(6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의 제동부(6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로, 제동부(610)의 동작모습을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동부(610)는 레일(10) 위를 이동하는 휠(51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제동플레이트(611)와 제동패드(612) 및 표시부(614)를 포함한다.
제동플레이트(61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하부에 입력축(711)이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유닛(400)에 의해 입력축(711)이 회전하면, 입력축(711)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구조이다. 제동플레이트(611)는 일 측에 제동패드(612)가 결합될 수 있다.
제동패드(612)는 휠(510)의 외측에 접하여 트롤리(5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동플레이트(611)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동패드(612)는 제동플레이트(611)의 내측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제동플레이트(611)의 회전에 따라 휠(510)에 접하거나 휠(5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제동패드(612)는 일 측이 제동플레이트(611)에 고정되고, 타 측은 휠(510)에 접할 수 있다.
제동패드(612)는 탄력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패드(612)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동패드(612)는 고무 재질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탄성력이 있는 다른 재질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동패드(612)는 휠(510)에 접하는 면(615)이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동패드(612)가 휠(510)에 접했을 때, 휠(510)의 외측에 완전히 밀착되어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휠(5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동패드(612)는 일 측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제동패드(612)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즉, 제동패드(612)는 상단부 보다 하단부가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부는 제동패드(612)가 휠(510)에 접하는 경우, 휠(510)과 레일(1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휠(510)은 돌출부에 의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돌출부가 쐐기 역할을 하여 휠(5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동플레이트(611)의 일 측에는 표시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14)는 트롤리(500)의 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제동플레이트(61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14)는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는 방법 등으로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롤리(500)의 하부에서도 트롤리(500)의 고정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패드(612)가 휠(510)에 접하는 경우, 표시부(614)는 본체부(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트롤리(500)가 레일(10)에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제동패드(612)가 휠(51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표시부(614)는 본체부(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트롤리(500)가 레일(10)에 고정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표시부(614)는 제동플레이트(61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614)는 제동플레이트(6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14)는 제동플레이트(61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동부(610)가 입력축(711)에 의해 동작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동부(610)와 입력축(711)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입력하는 핸들유닛(400) 사이에는 기어유닛(71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기어유닛(710)을 통해 제동부(610)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는 제1 측면판(521)에 두 개의 휠(510a, 510b)이 고정된다. 따라서 제동부(610)는 상기 두 개의 휠(510a, 510b)을 모두 제동하여 하나의 휠(510) 만을 제동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제동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입력축(711)과 연결되어 전방의 휠(510a)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플레이트(611a) 뿐만 아니라 후방의 휠(510b)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플레이트(611b)를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서로 다른 위치의 제동플레이트(611a, 611b)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 기어유닛(710)이 필요하다.
전방의 제동플레이트(611a)는 입력축(711)과 연결부재(613a)를 통해 연결되어 입력축(711)이 회전하면 제동플레이트(611a)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후방의 제동플레이트(611b)도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 베벨기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어(712)는 회전축(711)과 함께 회전하며, 제1 기어(712)와 치합하면서 회전 축 방향을 전환하는 제2 기어(713)는 연결축(714)에 의해 제3 기어(715)와 연결된다. 제4 기어(716)는 제3 기어(715)와 치합하면서 회전 축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712)와 제2 기어(713), 제3 기어(715)와 제4 기어(716)는 상호 베벨기어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4 기어(716)는 제4 기어축(717)을 회전시키고, 제4 기어축(717)은 연결부재(613b)에 의해 후방 제동플레이트(611b)와 연결되어 있어 이를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입력축(711) 회전이 기어유닛(710)을 통해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두 개의 제동플레이트(611a, 611b)를 회전시키게 되고, 양 제동플레이트(611a, 611b)에 결합되는 제동패드(612a, 612b)를 휠(510a, 510b)에 압박 또는 마찰하여 트롤리(500)를 제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1)를 설명하도록 한다. 휠(510)과 본체부(520), 및 걸이부(530)에 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0)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11과 도 12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1)의 제동부(620)와 기어유닛(72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1)의 제동부(62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1)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동부(620)는 레일(10) 위를 이동하는 휠(51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제동플레이트(621)와 제동패드(622) 및 표시부(624)를 포함한다.
제동플레이트(621)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휠의 측면(51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하거나, 휠의 측면(511)과 동시에 모서리를 가압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11에는 ㄱ자 형상을 하는 제동플레이트(62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동플레이트(621)는 입력축(711)에 연결되어 휠(510)의 측면 방향으로 병진운동 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핸들유닛(400)에 의해 입력축(711)이 회전하면, 입력축(711)의 회전운동이 기어유닛(720)에 의해 병진운동으로 전환되어 움직이는 구조이다. 제동플레이트(621)가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재(623)가 마련될 수 있다. 안내부재(623)는 제3 측면판(524)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플레이트(621)는 일 측에 제동패드(6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동패드(622)는 휠(510)의 외측에 접하여 트롤리(501)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동플레이트(621)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동패드(622)는 제동플레이트(621)의 내측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동플레이트(621)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따라 휠(510)에 접하거나 휠(5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제동패드(622)는 일 측이 제동플레이트(621)에 고정되고, 타 측은 휠(510)에 접할 수 있다.
제동패드(622)는 탄력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패드(622)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동패드(622)는 고무 재질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탄성력이 있는 다른 재질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동플레이트(621)의 일 측에는 표시부(624)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24)는 트롤리(501)의 고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제동플레이트(62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624)는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는 방법 등으로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롤리(501)의 하부에서도 트롤리(501)의 고정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패드(622)가 휠(510)에 접하는 경우, 표시부(624)는 본체부(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트롤리(500)가 레일(10)에 고정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제동패드(622)가 휠(51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표시부(624)는 본체부(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트롤리(501)가 레일(10)에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624)는 제동플레이트(621)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624)는 제동플레이트(6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24)는 제동플레이트(62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동부(620)가 입력축(711)의 회전에 의해 병진운동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입력축(711)은 피니언기어(723a)와 연결되어 있어 입력축(711)의 회전과 동시에 피니언기어(723a)가 회전한다. 제동플레이트(621a)는 피니언기어(723a)와 치합하는 랙기어(723b)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723a)에 의해 병진운동하게 된다. 이 때 안내부재(623a)에 의해 한 방향으로 병진운동이 안내된다.
제동부(620)와 핸들유닛(400) 사이에는 기어유닛(72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기어유닛(720)을 통해 제동부(620)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501)는 제1 측면판(521)에 두 개의 휠(510a, 510b)이 고정된다. 따라서 제동부(620)는 상기 두 개의 휠(510a, 510b)을 모두 제동하여 하나의 휠(510) 만을 제동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제동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입력축(711)과 연결되어 전방의 휠(510a)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플레이트(621a) 뿐만 아니라 후방의 휠(510b)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플레이트(621b)를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서로 다른 위치의 제동플레이트(621a, 221b)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 기어유닛(720)이 필요하다.
전방의 제동플레이트(621a)는 입력축(711)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723a)와 이에 치합하는 랙기어(723b)를 통해 연결되어 입력축(711)이 회전하면 제동플레이트(621a)도 동시에 병진 운동하게 된다. 후방의 제동플레이트(621b)도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 베벨기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어(722)는 회전축(711)과 함께 회전하며, 제1 기어(722)와 치합하면서 회전 축 방향을 전환하는 제2 기어(724)는 연결축(725)에 의해 제3 기어(726)와 연결된다. 제4 기어(727)는 제3 기어(726)와 치합하면서 회전 축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722)와 제2 기어(724), 제3 기어(726)와 제4 기어(727)는 상호 베벨기어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4 기어(727)는 제4 기어축(729)을 회전시키고, 제4 기어축(729)은 피니언기어(728a)와 연결되어 있어 피니언기어(728a)를 회전시키고, 이에 치합되는 랙기어(728b)에 결합되는 제동플레이트(621b)가 랙기어(728b)과 함께 병진운동하며 휠(510b)을 가압하거나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 때 안내부재(623b)에 의해 한 방향으로 병진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입력축(711) 회전이 기어유닛(720)을 통해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두 개의 제동플레이트(621a, 221b)를 회전시키게 되고, 양 제동플레이트(621a, 221b)에 결합되는 제동패드(622a, 222b)를 휠(510a, 510b)에 압박 또는 마찰하여 트롤리(501)를 제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3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핸들유닛(400)의 접속부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의 접속부의 결합 전 모습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1 접속부(410)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트롤리(1, 도 1 참고)는 체인(2)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동작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늘어진 체인(2)을 당기면서 작업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큰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체인(2)은 항상 작업자의 손이 닿는 곳에 늘어져 있어야 했다. 체인(2)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선박의 요동에 의해 흔들리면서 작업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트롤리(1)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체인(2)을 제거할 수가 없어, 선박의 미관을 해치고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는 핸들유닛(400)을 이용하여 체인(2)을 제거하면서도 구동부를 동작할 수 있음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은 접속부를 구비하여 트롤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트롤리(100)를 작업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들유닛(400)을 기어유닛(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유닛(4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선박 내부의 미려한 외관에 일조할 수 있다.
접속부는 입력축(20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부(410)와 제1 접속부(41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420)는 작업자가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바(430)와 연결되며, 제1 접속부(410)와 제2 접속부(420)는 분리 가능하면서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끼워지므로, 핸들바(430)의 회전력은 제1 접속부(410)를 통해 기어유닛(200)에까지 전달된다.
제1 접속부(410)와 제2 접속부(420)는 홈부와 이에 대응하는 돌기부의 결합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손실없이 전달하기 위해 각이 형성되는 홈부와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의 제1 접속부(410)는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411), 상기 연결부재(411)에 연결되고 제2 접속부(42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재(4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411)가 기어유닛(200)과 연결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연결부재(411)가 제동부와 연결되어 핸들유닛의 회전력을 기어유닛(200)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동부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접속부(420)는 단부에 삽입돌기(421)가 마련되며, 수용부재(412)의 일 측에는 상기 삽입돌기(421)를 수용하도록 삽입돌기(421)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홈(412a)이 형성된다.
삽입돌기(421)는 관통홈(412a)을 통해 삽입된 후 수용부재(412) 내부에 마련되는 삽입공간(412b)에서 회전되어 다시 관통홈(412a)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삽입돌기(421)와 관통홈(412a)의 형상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막대형을 포함하며, 이와 다르다고 하더라도 삽입 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면 본 발명의 삽입돌기(421) 및 관통홈(412a)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삽입공간(412b)은 상기 삽입돌기(421)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도 14와 같이 삽입돌기(421)가 360도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유닛(400)은 제2 접속부(420)의 회전력을 제1 접속부(410)에 전달하여야 하므로 삽입공간(412b) 내부에서 삽입돌기(42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홈(412a)과 어긋나 형성되는 안착홈(412c)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412c)의 형상은 관통홈(412a)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며, 관통홈(412a)과 달리 저면을 구비하여 삽입돌기(4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412c)의 형상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인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삽입돌기(421)가 안착되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도록 회전 방지턱(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관통홈(412a)과 안착홈(412c)이 십자 형태로 어긋나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착홈(412c)은 삽입돌기(421)가 안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안내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면은 안착홈(412c) 방향으로 구배져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돌기(421)가 안착홈(412c)에 꼭 들어맞도록 회전되지 않더라도 삽입돌기(421)가 안착홈(412c)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수용부재(412)는 삽입돌기(421)가 제2 접속부(420)의 회전력을 제1 접속부(410)에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421)에 관통홈(412a)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지지부(412d)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12d)는 지지면(412e)과 탄성부재(412f)를 포함하며, 삽입돌기(421)가 삽입된 후 회전한 상태에서 삽입돌기(421)를 가압하여 제2 접속부(420)를 통해 회전력이 입력될 때 삽입돌기(42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접속부(410)에 손실없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안착홈(412c)을 구비한다면 탄성지지부(412d)는 삽입돌기(421)가 안착홈(412c)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만을 하여 더 효과적으로 회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면(412e)의 형상과 탄성부재(412f)의 형상은 도 1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 접속부(410)와 제2 접속부(420)가 접속하는 모습에 관하여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접속부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삽입돌기(421)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b)는 삽입돌기(421)가 관통홈(412a)에 삽입된 모습을, (c)는 삽입돌기(421)가 삽입공간(412b) 내에서 90도 회전한 모습을, (d)는 삽입돌기(421)가 안착홈(412c)에 안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접속부(420)의 단부에 마련되는 삽입돌기(421)는, 제1 접속부(410)의 단부에 마련되고 삽입돌기(421)의 형상과 대응하는 관통홈(412a)에 삽입된다. 삽입돌기(421)는 관통홈(412a)을 지나면서 탄성지지부(412d)와 만나게 되고 탄성부재(412f)의 탄성력을 이길 정도의 힘을 가하여 지지면(412e)을 들어올리게 된다.
삽입돌기(421)가 관통홈(412a)을 완전히 통과한 후 90도 회전하여 안착홈(412c)에 안착된다. 이 때 탄성지지부(412d)를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지지부(412d)가 삽입돌기(421)를 관통홈(412a) 방향으로 가압하여 삽입돌기(421)가 안착홈(412c)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2 접속부(420)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제1 접속부(410)에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가 상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삽입돌기(421)가 탄성지지부(412d)를 들어 올리기 전까지는 제2 접속부(420)가 제1 접속부(410)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의 관절부(44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의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은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핸들바(430)는 제2 접속부(420)와 연결되는 제1 핸들바(431)와, 손잡이부(434)와 연결되는 제2 핸들바(432)와, 상기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를 연결하는 관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공하는 회전력은 제2 핸들바(432)와 관절부(440)를 통해 제1 핸들바(431)로 전달된다. 이 때,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가 꺾여 있는 상태에서도 제2 핸들바(432)의 회전력이 제1 핸들바(431)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를 위해 관절부(440)는 유니버설(universal joint) 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절부(440)는 접속부 보다 본체부(120)에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고 멀리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100)는 접속부가 관절부(440)보다 상측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관절부(440)가 접속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손잡이부(434)는 제2 핸들바(432)와 연결부(433)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손잡이부(434)는 제2 핸들바(43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핸들바(432)와 연결부(433)가 직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433)와 손잡이부(434)도 직각으로 연결되는 결과 제2 핸들바(432)와 손잡이부(434)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은 관절부(440)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꺾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부(440)가 제2 접속부(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접속부(410)에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관절부(440)가 꺾이게 되어 접속과정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440)가 자유롭게 꺾이도록 허용되는 경우, 핸들유닛(4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선박의 요동 등에 의해 핸들유닛(400)이 꺾이면서 흔들려 작업자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꺾임 방지부는 필요에 따라 관절부(440)가 꺾이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를 위해 꺾임 방지부는 제2 핸들바(432)의 외측에 마련되고, 제2 핸들바(4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덮개부재(45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451)는 필요에 따라 관절부(440)를 구속하도록 마련되고, 일 예로, 덮개부재(451)는 위로 이동하여 관절부(440) 주변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핸들바(431)의 외측에는 덮개부재(451)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걸림부(456)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456)는 도 16과 같이 제1 핸들바(431)의 외측에 고정되는 링 형태로 마련되거나 제1 핸들바(43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마련되어 덮개부재(451)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멈춤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꺾임 방지부는 제2 핸들바(432)에 마련되며, 덮개부재(451)가 관절부(440)를 노출시키도록 하향으로 이동된 경우, 덮개부재(451)가 원위치(즉, 관절부(440)를 구속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452)는 하방향으로 이동된 덮개부재(451)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덮개부재(451)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탄성지지부(452)는 덮개부재(451)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면에 잠금돌기(453a)가 마련된 하부지지부(453)와, 하부지지부(453) 하부에 마련되며, 하부지지부(453)와의 사이에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부재(455)를 개재한 고정부재(454b)와, 고정부재(454b)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덮개부재(451)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잠금돌기(453a)에 체결되는 잠금클립(454a)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클립(454a)은 잠금돌기(453a)에 걸리도록 끝 단이 한번 이상 굴곡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핸들유닛(400)의 제2 접속부(420)를 제1 접속부(410)에 접속시킨 후, 덮개부재(451)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관절부(440)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한 후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가 꺾인 상태에서 핸들유닛(400)에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다.
즉, 관절부(440)가 덮개부재(451)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는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가 일 자로 배치되는 상태여서 제1 접속부(410)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속부(420)를 제1 접속부(410)에 접속시킨 후에는 관절부(440)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덮개부재(451)을 잡아당겨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핸들유닛(400)을 굴절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바닥에서 수직한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에서 제2 핸들바(432)를 회전시켜 입력축(201)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잠금클립(454a)을 덮개부재(451)의 잠금돌기(453a)에 체결시켜 잡아당겨진 덮개부재(45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핸들유닛(400)을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덮개부재(451)가 관절부(440)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력을 입력하는 동안 덮개부재(451)를 당기기 위한 힘이 지속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핸들유닛(400)의 작동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를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핸들유닛(400)은 트롤리(10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 접속부(410)에 핸들바(430)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420)를 접속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부가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바(430)를 회전시키면, 제1 접속부(410)와 연결되는 입력축(201)이 회전하면서 기어유닛(200)이 작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유닛(4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입력축(2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들 통해 구동부를 작동시켜 양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입력축(201)의 회전력이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도. 일 예로, 핸들유닛(400)을 정회전시켜 제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핸들유닛(400)을 역회전시켜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핸들유닛(400)이 굴절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절부(440)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434)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핸들바(430)를 파지하여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핸들바(430)는 관절부(440)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자세에서 핸들바(430)를 회전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434)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34)를 제2 핸들바(4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434)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제2 핸들바(432)를 지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34)가 제2 핸들바(432)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제2 핸들바(432)가 자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핸들바(431)를 이용한 회전력의 입력 방법은 기존의 체인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욱 안전하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34)와 제2 핸들바(432)를 연결하는 연결부(433)의 길이가 길수록 큰 힘을 낼 수 있으며, 연결부(433)의 길이가 짧을수록 빠른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핸들유닛(400)이 굴절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덮개부재(451)를 잡아 당겨 관절부(440)가 덮개부재(451)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부터 해제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이 관절부(440)를 포함함으로써 갖는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핸들유닛(400)은 기어유닛(200)의 입력축(201)과 연결된다. 만일, 핸들유닛(400)이 관절부(440)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입력축(201)과 핸들바(430)가 동 축으로 배치된다. 즉, 트롤리(100)의 위치에 따라 핸들바(430)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핸들바(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는 트롤리(100)의 이동 경로 아래에 기타 장치들이 배치되거나 장애물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절부(440)가 구비되지 않는 핸들바(430)를 회전시키기는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은 관절부(440)를 포함함으로써 트롤리(100)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핸들바(430)를 굴절시켜 장애물을 피하면서 지나갈 수 있다. 즉, 핸들유닛(400)은 관절부(440)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 하에서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경우에 따라 핸들바(430)를 당기거나 밀어서 트롤리(100)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작업자가 핸들바(430)에 수직으로 가하는 힘은 입력축(201)에 돌림힘(Torque)으로 작용하게 된다. 입력축(210)에 작용하는 돌림힘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입력축(210)이 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돌림힘의 크기는 입력축(210)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핸들바(430)의 길이에 비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0)은 관절부(440)를 포함함으로써 입력축(210)에 가해지는 돌림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입력축(210)에 작용하는 돌림힘은 입력축(210)으로부터 굴절되는 부분까지의 길이, 즉 제1 핸들바(431)의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핸들유닛(400)은 관절부(440)를 포함함으로써 입력축(210)에 가해지는 피로가 경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고정유닛(46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부(440)와 관절 고정유닛(46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과 도 21은 관절 고정유닛(460)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0은 도 16의 A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7의 B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관절부(440)는 몸체부(441)와, 제1 축 방향(x)으로 배치되고 몸체부(441)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축부재(442)와, 제1 축 방향(x)과 수직한 제2 축 방향(y)으로 배치되고, 몸체부(441)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축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41)는 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441)는 제1 축 방향(x)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441a)과 제2 축 방향(y)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홀(4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부재(442)는 제1 축 방향(x)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제1 관통홀(441a)을 관통하여 몸체부(441)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부재(443)는 제2 축 방향(y)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제2 관통홀(441b)을 관통하여 몸체부(441)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축부재(442) 및/또는 제2 축부재(443)는 몸체부(44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축부재(442)는 제1 핸들바(431)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축 방향(x) 관통홀(431a)에 삽입되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축부재(442)는 몸체부(441)와 함께 제1 핸들바(431)와 제1 축 방향(x)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부재(443)는 제2 핸들바(43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축 방향(y) 관통홀(432a)에 삽입되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축부재(443)는 몸체부(441)와 함께 제2 핸들바(432)와 제2 축 방향(y)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핸들바(432)는 관절부(440)를 매개하여 제1 핸들바(431)에 연결된다. 그리고 관절부(440)는 제1 핸들바(431)와 제1 축 방향(x)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2 핸들바(432)와 제2 축 방향(y)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핸들바(432)는 제1 핸들바(431)와 간섭되지 않는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굴절될 수 있다.
관절 고정유닛(460)은 관절부(440)를 구속하여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관절 고정유닛(460)은 몸체부(441)를 가압하여 제2 핸들바(432)와 관절부(440)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제2 핸들바(432)가 제1 핸들바(431)에 대하여 굴절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관절 고정유닛(460)은 제2 핸들바(432)의 내측에 수용되고, 제2 핸들바(4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 핸들바(43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몸체부(441)를 가압하고 제2 핸들바(432)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몸체부(44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바(4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핸들바(432)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부(432b)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바(461)는 제2 핸들바(432)의 중공부(432b)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461)의 외경에는 나사산(462)이 형성되어 제2 핸들바(432)의 중공부(432b)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432c)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즉, 고정바(461)는 회전함에 따라 제2 핸들바(4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바(46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핸들바(43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몸체부(441)를 가압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핸들바(432)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몸체부(44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고정바(461)의 몸체부(441)와 마주보는 일 면에는 마찰부재(463)가 부착될 수 있다. 마찰부재(463)는 몸체부(441)와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마찰부재(463)는 몸체부(441)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마찰부재(463)가 몸체부(441)의 외면과 고정바(461)의 일 면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바(461)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일 단이 몸체부(441)를 가압하고 있는 경우에도 타 단이 제2 핸들바(432)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461)의 타 측에는 손잡이(464)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핸들바(432)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464)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바(461)가 몸체부(441)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2는 굴절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3은 굴절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1)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100)에 주행 또는 제동을 위한 동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유닛(401)은 접속부를 구비하여 트롤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트롤리(100)를 작업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들유닛(400)을 기어유닛(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유닛(4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선박 내부의 미려한 외관에 일조할 수 있다.
접속부는 입력축(20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부(410)와 제1 접속부(41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420)는 작업자가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들바(430)와 연결되며, 제1 접속부(410)와 제2 접속부(420)는 분리 가능하면서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끼워지므로, 핸들바(430)의 회전력은 제1 접속부(410)를 통해 기어유닛(200)에까지 전달된다.
핸들바(430)는 제2 접속부(420)와 연결되는 제1 핸들바(431)와, 손잡이부(434)와 연결되는 제2 핸들바(432)와, 상기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를 연결하는 관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부(440)는 다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일 예로, 관절부(440)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1)은 관절부(440)를 굽히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 굴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가 동축으로 배치되어 일 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접속부(420)를 제1 접속부(410)에 접속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요동 등에 의해 핸들바(430)가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70)는 제1 핸들바(431)와 제2 핸들바(432)와 관절부(44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70)의 일 단은 제1 핸들바(4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부(471)에 지지되고 탄성부재(470)의 타 단은 제2 핸들바(4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부(472)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470)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탄성부재(470)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튜브 형상일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들유닛(401)을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핸들유닛(401)은 트롤리(10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 기어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 접속부(410)에 핸들바(430)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420)를 접속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부가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바(430)를 회전시키면, 제1 접속부(410)와 연결되는 입력축(201)이 회전하면서 기어유닛(200)이 작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유닛(40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입력축(2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들 통해 구동부를 작동시켜 양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입력축(201)의 회전력이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도. 일 예로, 핸들유닛(401)을 정회전시켜 제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핸들유닛(401)을 역회전시켜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핸들유닛(401)이 굴절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절부(440)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434)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핸들바(430)를 파지하여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핸들바(430)는 관절부(440)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다양한 자세에서 핸들바(430)를 회전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434)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34)를 제2 핸들바(4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434)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제2 핸들바(432)를 지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34)가 제2 핸들바(432)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제2 핸들바(432)가 자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핸들바(431)를 이용한 회전력의 입력 방법은 기존의 체인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욱 안전하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34)와 제2 핸들바(432)를 연결하는 연결부(433)의 길이가 길수록 큰 힘을 낼 수 있으며, 연결부(433)의 길이가 짧을수록 빠른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핸들유닛(401)이 굴절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470)의 탄성력 보다 큰 힘으로 핸들유닛(402)을 굴절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트롤리, 2: 체인,
3: 구동축, 4: 휠,
5: 바닥부, 10: 레일,
100, 101: 트롤리, 110: 휠,
111: 휠 축, 112: 나사산,
113: 제1 기어, 120: 본체부,
121: 제1 측면판, 122: 제2 측면판,
123: 연결부, 130: 걸이부,
200: 기어유닛, 201: 입력축,
202: 입력베벨기어, 203: 출력축,
204: 출력베벨기어, 300: 기어유닛,
301: 입력축, 302: 웜기어,
303: 출력축, 304: 웜휠
400: 핸들유닛, 410: 제1 접속부,
411: 접속홈, 412: 가이드부,
420: 제2 접속부, 421: 접속돌기,
430: 핸들바, 431: 제1 핸들바,
432: 제2 핸들바, 433: 연결부,
434: 손잡이부, 440: 관절부,
441: 몸체부, 442: 제1 축부재,
443: 제2 축부재, 451: 덮개부재,
452: 탄성지지부, 453: 하부지지부,
454: 고정부재, 455: 스프링부재,
456: 걸림부, 460: 관절 고정유닛,
461: 고정바, 463: 마찰부재,
464: 마찰부재, 470: 탄성부재,
500: 트롤리, 510: 휠,
520: 본체부, 521: 제1 측면판,
522: 제2 측면판, 523: 연결부,
524: 제3 측면판, 525: 제4 측면판,
530: 걸이부, 610: 제동부,
611: 제동플레이트, 612: 제동패드,
613: 연결부재, 614: 표시부,
620: 제동부, 621: 제동플레이트,
622: 제동패드, 623: 안내부재,
624: 표시부, 710: 기어유닛,
711: 입력축, 712: 제1 기어,
713: 제2 기어, 714: 연결축,
715: 제3 기어, 716: 제4 기어,
717: 제4 기어축, 720: 기어유닛,
722: 제1 기어, 723a: 피니언기어,
723b: 랙기어, 724: 제1 기어,
725: 연결축, 726: 제3 기어,
727: 제4 기어, 728a: 피니언기어,
728b: 랙기어, 729: 제4 기어축.
3: 구동축, 4: 휠,
5: 바닥부, 10: 레일,
100, 101: 트롤리, 110: 휠,
111: 휠 축, 112: 나사산,
113: 제1 기어, 120: 본체부,
121: 제1 측면판, 122: 제2 측면판,
123: 연결부, 130: 걸이부,
200: 기어유닛, 201: 입력축,
202: 입력베벨기어, 203: 출력축,
204: 출력베벨기어, 300: 기어유닛,
301: 입력축, 302: 웜기어,
303: 출력축, 304: 웜휠
400: 핸들유닛, 410: 제1 접속부,
411: 접속홈, 412: 가이드부,
420: 제2 접속부, 421: 접속돌기,
430: 핸들바, 431: 제1 핸들바,
432: 제2 핸들바, 433: 연결부,
434: 손잡이부, 440: 관절부,
441: 몸체부, 442: 제1 축부재,
443: 제2 축부재, 451: 덮개부재,
452: 탄성지지부, 453: 하부지지부,
454: 고정부재, 455: 스프링부재,
456: 걸림부, 460: 관절 고정유닛,
461: 고정바, 463: 마찰부재,
464: 마찰부재, 470: 탄성부재,
500: 트롤리, 510: 휠,
520: 본체부, 521: 제1 측면판,
522: 제2 측면판, 523: 연결부,
524: 제3 측면판, 525: 제4 측면판,
530: 걸이부, 610: 제동부,
611: 제동플레이트, 612: 제동패드,
613: 연결부재, 614: 표시부,
620: 제동부, 621: 제동플레이트,
622: 제동패드, 623: 안내부재,
624: 표시부, 710: 기어유닛,
711: 입력축, 712: 제1 기어,
713: 제2 기어, 714: 연결축,
715: 제3 기어, 716: 제4 기어,
717: 제4 기어축, 720: 기어유닛,
722: 제1 기어, 723a: 피니언기어,
723b: 랙기어, 724: 제1 기어,
725: 연결축, 726: 제3 기어,
727: 제4 기어, 728a: 피니언기어,
728b: 랙기어, 729: 제4 기어축.
Claims (15)
-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주행 또는 제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기어유닛; 및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은,
제1 핸들바와, 제2 핸들바와,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를 연결하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를 구속하여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관절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 고정유닛은 상기 제2 핸들바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핸들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 단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제1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축부재와, 제1 축 방향과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축부재는 상기 제1 핸들바와 제1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축부재는 상기 제2 핸들바와 제2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트롤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고정유닛은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가 굴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트롤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핸들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골과 결합하고,
상기 고정바는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일 단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트롤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타 단은 상기 제2 핸들바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트롤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타 단에는 상기 고정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마련되는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기어유닛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트롤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제1 접속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핸들바는 제2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관절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핸들바와 상기 제2 핸들바를 동축으로 배치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트롤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핸들바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핸들바에 위치하는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관절부를 개방하거나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관절부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덮개부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트롤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관절부를 덮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트롤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6027A KR101763608B1 (ko) | 2015-08-18 | 2015-08-18 | 트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6027A KR101763608B1 (ko) | 2015-08-18 | 2015-08-18 | 트롤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949A KR20170021949A (ko) | 2017-03-02 |
KR101763608B1 true KR101763608B1 (ko) | 2017-08-02 |
Family
ID=5842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6027A KR101763608B1 (ko) | 2015-08-18 | 2015-08-18 | 트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360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11397B2 (ja) * | 1994-10-13 | 1999-06-23 | ヴァンプフラ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駆動式吊り型運搬器 |
JP2002266902A (ja) * | 2001-03-08 | 2002-09-18 | Ntn Corp | 逆入力防止クラッチ |
KR101028047B1 (ko) * | 2010-04-01 | 2011-04-08 |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 동력변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48157A (en) | 1979-05-07 | 1981-02-03 | Aero-Motive Manufacturing Company | Conveyor trolleys |
US4343240A (en) | 1980-03-11 | 1982-08-10 |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 Trolley |
-
2015
- 2015-08-18 KR KR1020150116027A patent/KR1017636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11397B2 (ja) * | 1994-10-13 | 1999-06-23 | ヴァンプフラ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 駆動式吊り型運搬器 |
JP2002266902A (ja) * | 2001-03-08 | 2002-09-18 | Ntn Corp | 逆入力防止クラッチ |
KR101028047B1 (ko) * | 2010-04-01 | 2011-04-08 |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 동력변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949A (ko)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0625B1 (ko) | 트롤리 | |
KR20150082839A (ko) |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 |
KR101763608B1 (ko) | 트롤리 | |
KR101497318B1 (ko) | 트롤리 | |
KR101916695B1 (ko) | 트롤리에 사용되는 핸들유닛과 트롤리 | |
KR101460009B1 (ko) | 트롤리 | |
KR101475208B1 (ko) | 트롤리 장치 | |
KR101454641B1 (ko) | 트롤리 | |
KR101454631B1 (ko) | 트롤리 | |
KR101454636B1 (ko) | 트롤리 | |
KR101884791B1 (ko) | 트롤리 | |
KR101454640B1 (ko) | 트롤리 | |
KR101599341B1 (ko) | 트롤리 | |
KR101454637B1 (ko) | 트롤리 | |
KR20140096457A (ko) | 트롤리 | |
JP6494027B2 (ja) | ロック機構、ロック機構を用いた移動制御機構及び移動制御機構を搭載した装置 | |
KR101412483B1 (ko) | 트롤리 제동장치 및 이를 갖는 트롤리 | |
KR20150041480A (ko) | 레일 이송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