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62923B1 -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923B1
KR101762923B1 KR1020170026425A KR20170026425A KR101762923B1 KR 101762923 B1 KR101762923 B1 KR 101762923B1 KR 1020170026425 A KR1020170026425 A KR 1020170026425A KR 20170026425 A KR20170026425 A KR 20170026425A KR 101762923 B1 KR101762923 B1 KR 10176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signals
output port
conductors
aud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석
유철재
Original Assignee
래드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래드손(주) filed Critical 래드손(주)
Priority to KR102017002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9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mplif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모듈;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 및 접지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제1 내지 제3 단자들을 구비한 오디오 잭이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도체들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전도체들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전도체가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AUDIO EQUIPMENT AND AUDIO OUTPUT PORT}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디오 장치는 1개의 출력 포트만을 가졌다. 이 출력 포트에는 단일 신호(single-ended signal)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이 삽입된다. 이 오디오 잭은 3개의 단자를 가지며, 3개의 단자는 출력 포트를 통하여 단일 좌 신호, 단일 우 신호 및 접지 전압을 각각 입력받는다.
근래에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로 인하여, 추가적이 출력 포트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들이 판매되고 있다. 추가적인 출력 포트에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이 삽입된다. 이 오디오 잭은 4개의 단자를 가지며, 4개의 단자는 추가적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차동 좌 신호들 및 차동 우 신호들을 각각 입력받는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1710호
따라서, 본 개시는 단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 및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증폭기와 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한 아날로그 스위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의 저항 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음질 저하를 줄이거나 제거한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단일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에 대한 전류 구동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킨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모듈;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 및 접지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제1 내지 제3 단자들을 구비한 오디오 잭이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도체들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전도체들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전도체가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된다.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 포트는 제1 내지 제3 단자들을 구비한 오디오 잭이 삽입되는 오디오 출력 포트로서,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3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4 전도체; 및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5 전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단일 좌 신호, 단일 우 신호 및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제1 오디오 잭이 삽입되는 제1 출력 포트; 제1 및 제2 차동 좌 신호들과 제1 및 제2 차동 우 신호들을 인가받는 제2 오디오 잭이 삽입되는 제2 출력 포트;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상기 제1 오디오 잭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상기 제2 오디오 잭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디지털 좌 채널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하여,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 중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신호들을 출력하고, 디지털 우 채널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하여,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 중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신호들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증폭기와 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한 아날로그 스위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의 저항 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음질 저하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단일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에 대한 전류 구동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1 출력 포트(220)에 적용 가능한 오디오 출력 포트(31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1 출력 포트(220)에 적용 가능한 오디오 출력 포트(310)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는 아날로그 모듈(110), 아날로그 스위치(120), 제1 출력 포트(130) 및 제2 출력 포트(140)를 구비한다.
아날로그 모듈(110)은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하여 얻은 차동 좌 신호들(L+, L-) 및 차동 우 신호들(R+, R-)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스위치(120)는 차동 좌 신호들(L+, L-) 및 차동 우 신호들(R+, R-)을 제1 및 제2 출력 포트들(130, 140) 중에서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선택된 출력 포트에 전달한다. 제어 신호(Ctrl)가 제1 출력 포트(130)에 출력함에 대응하는 경우에, 스위치들(121-124)은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따라서, 양의 차동 좌 신호(L+), 양의 차동 우 신호(R+)가 제1 출력 포트(130)로 연결된다. 제어 신호(Ctrl)가 제2 출력 포트(140)에 출력함에 대응하는 경우에, 스위치들(121 내지 124)은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따라서, 차동 좌 신호들(L+, L-) 및 차동 우 신호들(R+, R-)이 제2 출력 포트(140)로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아날로그 스위치(120)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저항 성분의 추가를 야기한다. 저항 성분의 추가는 출력 포트들(130, 140)에 연결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의 음질 저하를 야기한다. 둘째, 제어 신호(Ctrl)가 제2 출력 포트(140)에 출력함에 대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110)의 출력들(L+, L-, R+, R-)이 모두 제2 출력 포트(140)에 연결되어 활용되나, 제어 신호(Ctrl)가 제1 출력 포트(130)에 출력함에 대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110)의 출력들(L+, L-, R+, R-) 중 일부(L+, R+)만이 제1 출력 포트(130)에 연결되어 활용되고, 나머지(L-, R-)는 활용되지 아니한다. 이는 회로나 전력의 효율성 측면에서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는 아날로그 모듈(210), 제1 출력 포트(220), 제2 출력 포트(230) 및 제어부(240)을 구비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은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은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을 출력하고,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은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또는 단일 모드(single-ended mode)로 동작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이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210)은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중 어느 한 신호는 양의 좌 신호에 해당하고 나머지 한 신호는 양의 좌 신호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음의 좌 신호에 해당한다.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 중 어느 한 신호는 양의 우 신호에 해당하고 나머지 한 신호는 양의 우 신호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음의 우 신호에 해당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210)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서로 동일 극성을 가지는 단일 좌 신호들에 해당한다.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서로 동일 극성을 가지는 단일 우 신호들에 해당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1) 및 증폭기(212)를 구비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1)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한다. 증폭기(212)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1)의 출력에 대하여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1)는 일례로 회사 아사이카사이에서 판매되는 칩 AK4375를 2개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날로그 모듈(210)이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때에는 제1 AK4375의 제1 입력단에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입력단에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반대 극성으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제2 AK4375의 제1 입력단에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입력단에는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반대 극성으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한다. 아날로그 모듈(210)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때에는 제1 AK4375의 제1 및 제2 입력단들에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AK4375의 제1 및 제2 입력단들에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한다.
제1 출력 포트(220)는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 및 접지 전압(GND)이 각각 인가된다. 3개의 단자들(251)을 구비한 제1 오디오 잭(250)이 제1 출력 포트(220)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이 3개의 단자들(251) 중 어느 한 단자인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이 3개의 단자들(251) 중 다른 어느 한 단자인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제5 전도체가 3개의 단자들(251) 중 나머지 한 단자인 제3 단자에 연결된다. 제1 오디오 잭(250)이 제1 출력 포트(220)에 삽입되면, 제1 전도체(C1)가 다른 전도체(예: C2)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도체(C2)가 다른 전도체(예: C1)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3 전도체(C3)가 다른 전도체(예: C4)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제4 전도체(C4)가 다른 전도체(예: C3)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에 연결된다. 제1 오디오 잭(250)은 추가적인 단자(일례: 마이크용 단자, 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출력 포트(220)도 추가적인 전도체(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2 출력 포트(230)는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C6 내지 C9)을 구비한다.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C6 내지 C9)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각각 인가된다. 4개의 단자들(261 내지 264)을 구비한 제2 오디오 잭(260)이 제2 출력 포트(230)에 삽입되면,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C6 내지 C9)이 4개의 단자들(261 내지 264)에 각각 연결된다. 도면에는 4개의 단자들(261 내지 264)이 4개의 금속 막대의 형태로 구현된 예가 표현되어 있으나, 제1 오디오 잭(250)과 유사하게 하나의 원통형 금속 막대에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4개의 단자들(261 내지 264)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Ctrl)를 출력한다.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된 때에는, 제어부(240)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단일 모드로 동작하도록 아날로그 모듈(210)을 제어한다. 또한,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는 제어부(240)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차동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1 오디오 잭(250)은 3개의 단자들(251)을 통하여 단일 좌 신호, 단일 우 신호 및 접지 전압(GND)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이다. 제2 오디오 잭(260)은 제1 및 제2 단자들(261, 262)를 통하여 차동 좌 신호들을 입력 받고, 제3 및 제4 단자들(263, 264)를 통하여 차동 우 신호들을 입력 받는 오디오 잭이다.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된 때에 아날로그 모듈(210)은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제1 출력 포트(220)의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을 통하여 제1 오디오 잭(250)의 제1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1 출력 포트(220)의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를 통하여 제1 오디오 잭(250)의 제2 단자에 인가된다.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는 아날로그 모듈(210)은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2 출력 포트(230)의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C6 내지 C9)을 통하여 제2 오디오 잭(260)의 제1 내지 제4 단자들(261 내지 264)에 인가된다. 이때,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제1 출력 포트(220)의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도 인가되나,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서 전력 소모가 발생치 아니한다. 또한,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제1 출력 포트(220)의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도 인가되나,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서 전력 소모가 발생치 아니한다.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삽입되고, 제2 출력 포트(230)에 제2 오디오 잭(260)이 삽입된 때에 아날로그 모듈(210)은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제1 오디오 잭(250)의 제1 단자에 입력되고,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1 오디오 잭(250)의 제2 단자에 입력되므로, 제1 오디오 잭(250)은 정상 동작한다. 또한,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제2 오디오 잭(260)의 제1 및 제2 단자들(261, 262)에 각각 입력되고,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2 오디오 잭(260)의 제3 및 제4 단자들(263, 264)에 각각 입력된다.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이므로, 제2 오디오 잭(260)의 제1 및 제2 단자들(261, 262)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따라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이므로, 제2 오디오 잭(260)의 제3 및 제4 단자들(263, 264)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따라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증폭기(212)의 출력단들과 제1 내지 제4 및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C1 내지 C4 및 C6 내지 C9) 사이에 어떠한 아날로그 스위치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아날로그 스위치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포트(220)에 제1 오디오 잭(250)이 연결된 때에, 제1 오디오 잭(250)의 제1 단자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인가되고, 제1 오디오 잭(250)의 제2 단자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제1 오디오 잭(250)의 제1 및 제2 단자들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2배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1 출력 포트(220)에 적용 가능한 오디오 출력 포트(31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 포트는 하우징(311), 및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은 x축 방향으로 동일 좌표 상에 위치하며,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은 x축 방향으로 동일 좌표 상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다.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다.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 중 각 전도체는 하우징(311) 내부로 함몰된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이 오디오 잭(320)과 접촉한다.
오디오 잭(320)이 오디오 출력 포트(310)에 삽입되면, 제1 전도체(C1)는 다른 전도체(일례: C2)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321)에 접촉되고, 제2 전도체(C2)는 다른 전도체(일례: C1)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321)에 접촉되고, 제3 전도체(C3)는 다른 전도체(일례: C4)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322)에 접촉되고, 제4 전도체(C4)는 다른 전도체(일례: C3)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322)에 접촉되고, 제5 전도체(C5)는 제3 단자(323)에 접촉된다.
오디오 잭(320)이 오디오 출력 포트(310)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는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는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5 전도체(C5)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오디오 잭(320)이 오디오 출력 포트(310)에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는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는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5 전도체(C5)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제1 출력 포트(220)에 적용 가능한 오디오 출력 포트(41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 포트는 하우징(411), 및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좌표 상에 위치하며,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좌표 상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다.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다.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C1 내지 C5) 중 각 전도체는 하우징(311) 내부로 함몰된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이 오디오 잭(320)과 접촉한다.
오디오 잭(420)이 오디오 출력 포트(410)에 삽입되면, 제1 전도체(C1)는 다른 전도체(일례: C2)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421)에 접촉되고, 제2 전도체(C2)는 다른 전도체(일례: C1)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1 단자(421)에 접촉되고, 제3 전도체(C3)는 다른 전도체(일례: C4)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422)에 접촉되고, 제4 전도체(C4)는 다른 전도체(일례: C3)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제2 단자(422)에 접촉되고, 제5 전도체(C5)는 제3 단자(423)에 접촉된다.
오디오 잭(420)이 오디오 출력 포트(410)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는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는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5 전도체(C5)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오디오 잭(420)이 오디오 출력 포트(410)에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제1 및 제2 전도체들(C1, C2)에는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3 및 제4 전도체들(C3, C4)에는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고, 제5 전도체(C5)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된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는 아날로그 모듈(510), 아날로그 스위치(520) 제1 출력 포트(530), 제2 출력 포트(540) 및 제어부(550)을 구비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은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은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을 출력하고,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1 내지 제4 배선들로 출력된다.
아날로그 모듈(510)은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또는 단일 모드(single-ended mode)로 동작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이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510)은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모듈(510)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11) 및 증폭기(512)를 구비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11)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한다. 증폭기(512)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11)의 출력에 대하여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1)는 일례로 회사 아사이카사이에서 판매되는 칩 AK4375를 2개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아날로그 모듈(510)이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때에는 제1 AK4375의 제1 입력단에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입력단에는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반대 극성으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제2 AK4375의 제1 입력단에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입력단에는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반대 극성으로 변환한 신호를 입력한다. 아날로그 모듈(510)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때에는 제1 AK4375의 제1 및 제2 입력단들에 디지털 좌 채널 신호(L channel)를 입력하고, 제2 AK4375의 제1 및 제2 입력단들에 디지털 우 채널 신호(R channel)를 입력한다.
아날로그 스위치(520)는 제1 스위치(521) 및 제2 스위치(52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인가되는 제1 및 제2 배선들은 제1 스위치(521)를 경유하여 제1 전도체(C1)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인가되는 제3 및 제4 배선들은 제2 스위치(522)를 경유하여 제2 전도체(C2)에 연결된다. 제1 스위치(521)는 제어신호(Ctrl)에 따라 제1 및 제2 배선들 모두를 제1 전도체(C1)에 연결하거나, 제1 및 제2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전도체(C1)로부터 차단한다. 제2 스위치(522)는 제어신호(Ctrl)에 따라 제3 및 제4 배선들 모두를 제2 전도체(C2)에 연결하거나, 제3 및 제4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전도체(C2)로부터 차단한다.
제1 출력 포트(530)는 제1 내지 제3 전도체들(C1 내지 C3)을 구비한다. 제1 전도체(C1)에는, 제1 스위치(521)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들이 인가되거나,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가 차단된다. 제2 전도체(C2)에는, 제2 스위치(522)의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들이 인가되거나,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가 차단된다. 제3 전도체(C3)에는 접지 전압(GND)이 인가된다. 3개의 단자들(561)을 구비한 제1 오디오 잭(560)이 제1 출력 포트(530)에 삽입되면, 제1 전도체(C1)가 3개의 단자들(561) 중 어느 한 단자인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도체(C2)가 3개의 단자들(561) 중 다른 어느 한 단자인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제3 전도체(C3)가 3개의 단자들(561) 중 나머지 한 단자인 제3 단자에 연결된다. 제1 오디오 잭(560)은 추가적인 단자(일례: 마이크용 단자, 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출력 포트(530)도 추가적인 전도체(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2 출력 포트(540)는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을 구비한다.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각각 인가된다. 4개의 단자들(571 내지 574)을 구비한 제2 오디오 잭(570)이 제2 출력 포트(540)에 삽입되면,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이 4개의 단자들(571 내지 574)에 각각 연결된다. 도면에는 4개의 단자들(571 내지 574)이 4개의 금속 막대의 형태로 구현된 예가 표현되어 있으나, 제1 오디오 잭(560)과 유사하게 하나의 원통형 금속 막대에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4개의 단자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550)는 제1 출력 포트(530)에 제1 오디오 잭(56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및 제2 출력 포트(540)에 제2 오디오 잭(57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제어 신호(Ctrl)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출력 포트(530)에 제1 오디오 잭(560)이 삽입되었을 때, 제어부(550)는 단일 모드로 동작하도록 아날로그 모듈(510) 및 아날로그 스위치(520)를 제어하고, 제1 오디오 잭(560)이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제어부(550)는 차동 모드로 동작하도록 아날로그 모듈(510) 및 아날로그 스위치(5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출력 포트(540)에 제2 오디오 잭(570)이 삽입되었을 때, 제어부(550)는 차동 모드로 동작하도록 아날로그 모듈(510) 및 아날로그 스위치(520)를 제어하고, 제2 오디오 잭(570)이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제어부(550)는 단일 모드로 동작하도록 아날로그 모듈(510) 및 아날로그 스위치(520)를 제어할 수 있다.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아날로그 모듈(510)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또한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1 스위치(521)는 제1 및 제2 배선들 모두를 제1 전도체(C1)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치(522)는 제3 및 제4 배선들 모두를 제2 전도체(C2)와 연결한다. 차동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아날로그 모듈(510)은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과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또한 차동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제1 스위치(521)는 제1 및 제2 배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전도체(C1)으로부터 차단하고, 제2 스위치(522)는 제3 및 제4 배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 전도체(C2)으로부터 차단한다.
제1 오디오 잭(560)은 3개의 단자들(561)을 통하여 단일 좌 신호, 단일 우 신호 및 접지 전압(GND)를 입력받는 오디오 잭이다. 제2 오디오 잭(570)은 제1 및 제2 단자들(571, 572)를 통하여 차동 좌 신호들을 입력 받고, 제3 및 제4 단자들(273, 274)를 통하여 차동 우 신호들을 입력 받는 오디오 잭이다.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 아날로그 모듈(510)은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은 모두 제1 스위치(521), 제1 출력 포트(530)의 제1 전도체(C1)를 통하여 제1 오디오 잭(560)의 제1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모두 제2 스위치(522), 제1 출력 포트(530)의 제2 전도체(C2)를 통하여 제1 오디오 잭(560)의 제2 단자에 인가된다.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2개의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2 출력 포트(540)의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에 각각 인가된다. 이때, 제2 오디오 잭(570)이 제2 출력 포트(540)에 삽입되더라도, 제2 오디오 잭(570)의 제1 및 제2 단자(571, 572)에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일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인가되므로, 제1 및 제2 단자(571, 572)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오디오 잭(570)의 제3 및 제4 단자(573, 574)에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일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인가되므로, 제3 및 제4 단자(573, 574)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차동 모드로 동작할 때, 아날로그 모듈(510)은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을 출력한다.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 및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은 제2 출력 포트(540)의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을 통하여 제2 오디오 잭(570)의 제1 내지 제4 단자들(571 내지 574)에 인가된다.
차동 모드로 동작할 때, 차동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인가되는 제1 및 제2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출력 포트(530)의 제1 전도체(C1)와 차단되고, 차동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인가되는 제3 및 제4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출력 포트(530)의 제2 전도체(C2)와 차단된다. 제1 및 제2 배선들이 제1 출력 포트(530)의 제1 전도체(C1)와 차단되고, 제3 및 제4 배선이 제1 출력 포트(530)의 제2 전도체(C2)와 차단된 경우에, 제1 오디오 잭(560)이 제1 출력 포트(530)에 삽입되더라도, 오디오 잭(560)으로 전류가 흐르지 아니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증폭기(512)의 출력단들과 제4 내지 제7 전도체들(C4 내지 C7) 사이에 어떠한 아날로그 스위치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아날로그 스위치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포트(530)에 제1 오디오 잭(560)이 연결된 때에, 제1 오디오 잭(560)의 제1 단자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L1, L2)이 인가되고, 제1 오디오 잭(560)의 제2 단자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R1, R2)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는 제1 오디오 잭(560)의 제1 및 제2 단자들에 제1 실시예에 비하여 2배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좌 채널 신호 및 디지털 우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모듈;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 및 접지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는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제1 내지 제3 단자들을 구비한 오디오 잭이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도체들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전도체들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전도체가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오디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된 때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은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오디오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디지털 좌 채널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을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우 채널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차동 모드 및 단일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모듈은
    상기 디지털 좌 채널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우 채널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에 대하여 증폭을 수행하여 얻은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을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들과 상기 제1 내지 제4 전도체들 사이에 어떠한 스위치도 연결되지 않은 오디오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 단들과 상기 제6 내지 제9 전도체들 사이에 어떠한 스위치도 연결되지 않은 오디오 장치.
  8. 제1 내지 제3 단자들을 구비한 오디오 잭이 삽입되는 오디오 출력 포트로서,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3 전도체;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4 전도체; 및
    상기 오디오 잭이 삽입되면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제5 전도체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포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체들에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이 인가되며,
    상기 제3 및 제4 전도체들에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이 인가되며,
    상기 제5 전도체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오디오 출력 포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좌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우 신호들은 상기 오디오 잭이 상기 오디오 출력 포트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단일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오디오 잭이 상기 오디오 출력 포트에 삽입되지 아니한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는 차동 모드로 동작하는 오디오 출력 포트.
KR1020170026425A 2017-02-28 2017-02-28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76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25A KR101762923B1 (ko) 2017-02-28 2017-02-28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25A KR101762923B1 (ko) 2017-02-28 2017-02-28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659A Division KR101725761B1 (ko) 2016-06-28 2016-06-28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923B1 true KR101762923B1 (ko) 2017-07-28

Family

ID=5942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2923B1 (ko) 2017-02-28 2017-02-28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08B1 (ko) 2018-09-03 2019-12-26 래드손(주) 가상 발란스드 드라이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58B1 (ko) 2006-11-30 2008-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부 장치의 통합 접속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8305496A (ja) 2007-06-08 2008-12-18 Victor Co Of Japan Ltd プラグ接続切替装置及びプラグ接続切替方法
KR101634234B1 (ko) 2015-04-24 2016-06-28 크레신 주식회사 5극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58B1 (ko) 2006-11-30 2008-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부 장치의 통합 접속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8305496A (ja) 2007-06-08 2008-12-18 Victor Co Of Japan Ltd プラグ接続切替装置及びプラグ接続切替方法
KR101634234B1 (ko) 2015-04-24 2016-06-28 크레신 주식회사 5극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08B1 (ko) 2018-09-03 2019-12-26 래드손(주) 가상 발란스드 드라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285B2 (en) Detection circuit
JP2001217663A (ja) 送信回路
JP2004007405A (ja) 高効率電力増幅器
CN103686529A (zh) 电压供应电路、音频输出装置与电压供应方法
JP5313970B2 (ja) 高周波電力増幅器
US20120039487A1 (en) First stage amplifier circuit
KR101762923B1 (ko)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KR101725761B1 (ko)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출력 포트
US20080150771A1 (en) Gain-Variable Analog/Digital Converter, Gain Adjustment Method For Gain-Variable Analog/Digital Converter, And System Including Gain-Variable Analog/Digital Converter
KR10156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채널 간 크로스 톡 개선 장치 및 방법
CN114302279A (zh) 一种耳机电路、耳机电路的调试方法、芯片及电子设备
JP5157933B2 (ja) 信号切換回路
CN216291412U (zh) 一种直接生成高压模拟信号的音频放大电路
TW201909654A (zh) 複合式接頭偵測電路及其操作方法
JP5218089B2 (ja) 信号切換回路
EP2736266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ctive headphone with such a signal processing device
CN222235037U (zh) 音频功放系统及电子设备
JP5336635B2 (ja) 出力バッファー回路
KR20030083579A (ko) 스피커 배열 및 이를 위한 스위칭 장치
CN221768241U (zh) 一种自适应ctia和omtp耳机的装置
CN216930297U (zh) 一种双音源输出切换装置
JP2010273175A (ja) 音声出力装置
US8054998B2 (en) Multichannel amplifier
WO2024062775A1 (ja) 増幅回路、トラッカモジュール、増幅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3878884B2 (ja) ジャック回路、これを利用する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6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8065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