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69482B1 - 블렌더의 진공장치 - Google Patents

블렌더의 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482B1
KR101769482B1 KR1020160111376A KR20160111376A KR101769482B1 KR 101769482 B1 KR101769482 B1 KR 101769482B1 KR 1020160111376 A KR1020160111376 A KR 1020160111376A KR 20160111376 A KR20160111376 A KR 20160111376A KR 101769482 B1 KR101769482 B1 KR 10176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air
main body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주)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주)
Priority to KR102016011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82B1/ko
Priority to PCT/KR2017/005716 priority patent/WO2018043872A1/ko
Priority to CN201780052237.6A priority patent/CN10964076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 분쇄시, 용기 내의 공기를 뚜껑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쇄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여 분쇄되는 분쇄물의 산패(酸敗) 및 갈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가 본체에 안착될 때, 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용이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배출관이 연결관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간편하면서도 용기의 내부에 종래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통공을 형성하지 않아 분쇄물의 누수를 차단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블렌더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렌더의 진공장치{Vacuum devices 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의 내용물 분쇄시, 용기 내의 공기를 뚜껑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쇄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여 분쇄되는 분쇄물의 산패(酸敗) 및 갈변을 방지할 수 있는 블렌더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blender)는, 과일, 야채 및 요구르트, 우유 등을 혼합하여 쥬스를 만드는 장치이며, 상기 과일, 야채, 및 요구르트, 우유 등이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안착하여 용기 내의 분쇄날을 모터로 회전시켜 분쇄하도록 모터를 내장한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분쇄날을 회전시키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분쇄할 때, 분쇄물과 용기 내의 공기가 혼합되면서 분쇄물에 갈변이 일어나면서 산패(酸敗)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93호에 용기의 거품제거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모터의 동력으로 날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분쇄할 때,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용기 내부에 고정부가 관통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고정부와 용기의 견고한 실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분쇄물의 누수로 인한 제품의 손상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 외부로 돌출된 고정부를 구동유닛에 내장된 연결부에 결합하여야 하나, 고정부가 연결부에 결합되도록 용기를 구동유닛에 안착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고정부가 연결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안내장치가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93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의 공기를 뚜껑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쇄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부에 종래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통공을 형성하지 않아 분쇄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더의 진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가 내장된 본체에 용기가 안착할 때, 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용이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배출관이 연결관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용기의 손잡이 내에 설치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블렌더의 진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뚜껑의 통공 선단부에 아답터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최소한으로 줄임은 물론 아답터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은 아답터의 관통공보다 더 크게 관통된 배출공을 경유하여 용기로 배출되도록 하여 분쇄물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내용물의 분쇄동작이 완료되면 공간에 쌓인 분쇄물을 통공으로부터 아답터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간편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블렌더의 진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블렌더의 진공장치는,
용기의 안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본체 상면으로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연결관과;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재 안내에 따라 가이드부재가 면접촉되어 결합되면서 본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의 상면을 가압돌기가 가압하여 밀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투입된 내용물이 본체의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해 분쇄될 때, 분쇄되는 분쇄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면서 용기 내의 공기 이동을 안내하도록 통공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분쇄날에 의해 내용물이 분쇄될 때,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뚜껑 내부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용기 내의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 분쇄시, 용기 내의 공기를 뚜껑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쇄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여 분쇄되는 분쇄물의 산패(酸敗) 및 갈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가 본체에 안착될 때, 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용이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배출관이 연결관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용기의 손잡이 내에 설치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용기의 내부에 종래의 고정부가 결합되는 통공을 형성하지 않아 분쇄물의 누수를 차단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통공 선단부에 아답터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최소한으로 줄여 배출관의 막힘을 줄임은 물론 아답터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은 아답터의 통공보다 더 크게 관통된 배출공을 경유하여 용기로 배출되도록 하여 분쇄물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내용물의 분쇄동작이 완료되면 배출공으로 배출되지 않고 공간에 쌓인 분쇄물을 통공으로부터 아답터를 분리하여 버리는 청소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간편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블렌더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용기 및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아답터를 청소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블렌더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용기 및 뚜껑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블렌더의 진공장치(100)는, 용기(120)의 안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가 형성된 본체(10) 상면으로 진공펌프(110')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연결관(110)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가이드부재(11) 안내에 따라 가이드부재(121)가 면접촉되어 결합되면서 본체(10)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110)의 상면을 가압돌기(145)가 가압하여 밀폐시키도록 하는 용기(120)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120)에 투입된 내용물이 본체(10)의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분쇄날(20)에 의해 분쇄될 때, 분쇄되는 분쇄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용기(120)의 상단부에 장착되면서 용기(120) 내의 공기 이동을 안내하도록 통공(131)이 형성된 뚜껑(130)이 구성되고, 상기 분쇄날(20)에 의해 내용물이 분쇄될 때, 상기 진공펌프(110')의 작동으로 뚜껑(130) 내부의 통공(131)과 배출관(141)을 통해 용기(120) 내의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배출부(140)는, 상기 용기(120)에 뚜껑(130)이 장착될 때, 뚜껑(130)의 통공(131) 후단과 연통되는 배출관(14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141)을 수용하도록 용기(120)의 손잡이(122)에 요입된 설치홈(142)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홈(142)에 장착되어 배출관(141)을 보호하는 커버(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커버(143)의 상단부에 돌출되어 용기(120)에 안착되는 뚜껑(130)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뚜껑(130)의 통공(131)을 밀폐시키는 지지돌기(144)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43)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연결관(110)을 수용하도록 본체(10)의 상면을 가압하여 밀폐하는 가압돌기(14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뚜껑(130)의 통공(131)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120) 내의 공기 이동을 안내하면서 분쇄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아답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아답터(150)는, 상기 통공(131) 선단에 착탈되는 몸체(15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1) 외주면에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된 관통공(152)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51) 내부에 요입되어 관통공(152)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보관하는 공간(153)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153) 하부의 몸체(151) 내부에 상기 관통공(152)보다 더 크게 다수 관통되어 공간(153)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용기(120)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5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52)은 상기 공간(153)과 연통되도록 몸체(151)에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52) 사이의 몸체(151)에 형성되어 분쇄물의 과도한 유입을 방지하는 분리격벽(15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110) 단부 및 커버(143)의 지지돌기(144)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110')의 작동이 정지되면,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연결관(110) 및 지지돌기(144)의 통공(미도시)을 폐쇄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차단편(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부(140)의 배출관(141) 상,하부를 커버(143) 상,하단부의 지지돌기(144)와 가압돌기(145)에 관통된 통공(미도시)으로 결합하면서 상기 배출관(141)을 용기(120)의 손잡이(122)에 형성된 설치홈(142)에 장착한 후, 상기 설치홈(142)에 커버(143)를 장착하여 결합하는데, 상기 배출관(141)이 설치홈(142) 내부에 설치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3)와 설치홈(142)은 커버(143)와 설치홈(142) 중 어느 하나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120)의 상단부에 뚜껑(130)을 장착하는데, 상기 뚜껑(130) 내부에는 통공(131)이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위치한 통공(131)의 선단부에 아답터(150)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데, 여기서는 나선체결로 고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공기배출부(140)가 장착된 용기(120) 내부에 분쇄할 내용물을 투입하고, 상기 용기(120)의 상단부에 뚜껑(130)을 장착하는데, 이때, 상기 뚜껑(130)의 하단부 외주면이 용기(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되어 실링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130)의 통공(131) 단부에 장착된 리브(132)가 유입차단편(160)을 가압하면서 지지돌기(144)의 통공(미도시)을 통해 배출관(141)에 결합되므로 통공(131)과 배출관(141)이 연통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통공(131)의 후단부가 형성된 뚜껑(130)의 하단부가 커버(143)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144)에 안착되어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기(120)를 본체(10)에 안착시키는데, 상기 용기(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21)가 본체(10)의 상면에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11) 에 면접촉되어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기(120) 내부의 분쇄날(20)과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모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커버(14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압돌기(145)가 연결관(110)을 수용하도록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관(141)과 연결관(110)을 밀폐시킨다.
상기 용기(120)가 본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모터(미도시)가 구동됨과 동시에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으로 분쇄날(20)이 회전하면서 용기(120) 내부의 내용물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용기(120) 내부의 내용물을 분쇄날(20)이 회전하면서 분쇄하도록 모터(미도시)가 구동될 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공펌프(110')의 작동으로 용기(12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상기 진공펌프(110')는 모터(미도시)와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고, 모터(미도시) 구동 후, 일정시간 경과한 상태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진공펌프(110')의 작동으로 용기(120) 내의 공기는, 뚜껑(130)의 통공(131)에 장착된 아답터(150)의 관통공(152)과 배출공(154) 및 뚜껑(130)의 통공(131)을 통해 배출관(141) 및 연결관(110)을 경유하여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그릴(미도시)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연결관(110)의 단부에 형성된 유입차단편(160)은 진공펌프(110')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10) 내부로 변형되면서 연결관(110)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답터(150)의 관통공(152)으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일부 분쇄물은 상기 관통공(152) 사이의 몸체(151) 위치한 분리격벽(152'')에 부딪히면서 용기(120)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관통공(152)으로 분쇄물의 급격한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52)으로 유입된 일부 분쇄물은 몸체(151)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격벽(152")의 안내에 따라 몸체(151)의 상단부까지 이동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52)으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몸체(151)의 상단부까지 이동된 분쇄물 일부와 배출공(154)으로 유입된 분쇄물의 일부 즉, 진공펌프(110')의 흡입력이 유입된 분쇄물의 자중보다 클 경우는 배출관(141)으로 배출되나, 대부분의 분쇄물은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몸체(151) 내부에서 부딪혀 뭉쳐지면서 진공펌프(110')의 흡입력보다 분쇄물의 자중이 커져 공간(153) 하단부로 낙하함과 동시에 공간(153)으로 낙하하는 일부 분쇄물 중 일부는 관통공(152)보다 더 크게 몸체(151)에 관통된 배출공(154)을 통해 용기(120)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공간(153)의 하단부에 낙하하여 퇴적된다.
여기서, 상기 아답터(150)의 관통공(152)은, 상기 공간(153)과 연통되도록 몸체(151)에 수직, 수평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쇄물의 유입을 최소화함은 물론 상기 배출공(154)은 관통공(152)보다 1.5~2배 정도 크게 형성하는데, 이는 관통공(152)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용기(120) 내의 공기가 통공(131)과 배출관(141) 및 연결관(110)을 경유하여 본체(1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용기(120) 내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120) 내부에서 분쇄되는 분쇄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여 분쇄되는 분쇄물의 산패(酸敗) 및 갈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용기(120) 내부의 내용물이 분쇄되어 사용자가 정지버튼을가압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모터(미도시) 및 진공펌프(11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고, 모터(미도시) 및 진공펌프(11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용기(1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면서 용기(120)로부터 뚜껑(130)를 분리한 후, 용기(120) 내부의 분쇄물을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가압돌기(145)가 연결관(110)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용기(120)로부터 뚜껑(130)을 분리하여 뚜껑(130)의 리브(132)가 지지돌기(144)의 통공(미도시)으로부터 이탈되면, 연결관(110)과 지지돌기(144)의 통공(미도시)에 위치한 유입차단편(160)은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연결관(110)과 지지돌기(144)의 통공(미도시)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답터(150)의 공간(153)에 퇴적된 낙하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30)의 통공(131) 선단부에 나사체결된 아답터(150)를 통공(131)으로부터 분리하고, 몸체(151) 내부의 공간(153)에 퇴적된 낙하물을 청소한 후, 다시 통공(13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진공장치 110: 연결관
120: 용기 130: 뚜껑
140: 공기배출부 150: 아답터
160: 유입차단편

Claims (7)

  1. 용기의 안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본체 상면으로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연결관과;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재 안내에 따라 가이드부재가 면접촉되어 결합되면서 본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관의 상면을 가압돌기가 가압하여 밀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투입된 내용물이 본체의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분쇄날에 의해 분쇄될 때, 분쇄되는 분쇄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면서 용기 내의 공기 이동을 안내하도록 통공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분쇄날에 의해 내용물이 분쇄될 때,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뚜껑 내부의 통공과 배출관을 통해 용기 내의 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뚜껑의 통공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관통공으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일부 분쇄물은 분리격벽에 부딪히면서 용기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관통공으로 분쇄물의 급격한 유입을 방지하고 관통공으로 공기와 함께 유입된 분쇄물과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함유된 분쇄물은 몸체 내부에서 부딪혀 뭉쳐지면서 진공펌프의 흡입력보다 분쇄물의 자중이 커져 배출공을 통해 용기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아답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뚜껑이 장착될 때, 뚜껑의 통공 후단과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용기의 손잡이에 요입된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장착되어 배출관을 보호하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아답터는,
    상기 통공 선단에 착탈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된 관통공과;
    상기 몸체 내부에 요입되어 관통공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보관하는 공간과;
    상기 공간 하부의 몸체 내부에 상기 관통공보다 1.5~2배 정도 크게 다수 관통되어 공간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용기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공;
    상기 관통공 사이의 몸체에 형성되어 분쇄물의 과도한 유입을 방지하는 분리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의 진공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단부에 돌출되어 용기에 안착되는 뚜껑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뚜껑의 통공을 밀폐시키는 지지돌기와;
    상기 커버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연결관을 수용하도록 본체의 상면을 가압하여 밀폐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의 진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단부 및 커버의 지지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이 정지되면,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연결관 및 지지돌기에 관통된 통공을 폐쇄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입차단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의 진공장치.
KR1020160111376A 2016-08-31 2016-08-31 블렌더의 진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6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76A KR101769482B1 (ko) 2016-08-31 2016-08-31 블렌더의 진공장치
PCT/KR2017/005716 WO2018043872A1 (ko) 2016-08-31 2017-06-01 블렌더의 진공장치
CN201780052237.6A CN109640763B (zh) 2016-08-31 2017-06-01 搅拌机的真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76A KR101769482B1 (ko) 2016-08-31 2016-08-31 블렌더의 진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482B1 true KR101769482B1 (ko) 2017-08-30

Family

ID=5976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3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9482B1 (ko) 2016-08-31 2016-08-31 블렌더의 진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69482B1 (ko)
CN (1) CN109640763B (ko)
WO (1) WO2018043872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48A1 (ko) * 2018-09-05 2020-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EP3804589A1 (en) 2019-10-07 2021-04-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3804590A1 (en) 2019-10-07 2021-04-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KR20210044072A (ko) 2019-10-14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102349993B1 (ko) * 2020-07-23 2022-01-12 안중근 음식물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KR20220133618A (ko) * 2021-03-25 2022-10-05 안중근 작동시간 단축형 진공블렌더
KR102488655B1 (ko) * 2022-02-18 2023-01-13 주식회사 피엔풍년 챔버가 손잡이에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230152519A (ko) *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피엔풍년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KR102826862B1 (ko) * 2022-04-27 2025-06-30 주식회사 피엔풍년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948A (zh) * 2018-04-19 2019-09-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简单的真空食品加工机
CN110250950A (zh) * 2018-04-19 2019-09-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方便的真空食品加工机
CN108542262A (zh) * 2018-05-11 2018-09-18 朱柏艳 一种便于奶粉冲调均匀且降温良好的杯子
CN111110068A (zh) * 2018-10-30 2020-05-0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过滤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09789466U (zh) * 2019-02-13 2019-12-17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多功能真空搅拌机
US11304565B2 (en) 2019-03-08 2022-04-19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EP3876804A1 (en) 2019-03-08 2021-09-15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WO2020185691A1 (en) 2019-03-08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441093B1 (ko) * 2014-04-10 2014-09-23 이태윤 용기의 거품제거장치
JP2015037598A (ja) * 2014-10-22 2015-02-26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9716B2 (ja) * 2003-08-29 2007-10-31 株式会社東芝 調理器
CN201320090Y (zh) * 2008-12-26 2009-10-07 东莞市步步高家用电器有限公司 带有透气防水结构豆浆机
CN102613873B (zh) * 2012-04-25 2014-10-01 王晓东 带抽气功能的榨汁机
JP5639136B2 (ja) * 2012-10-05 2014-12-10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441093B1 (ko) * 2014-04-10 2014-09-23 이태윤 용기의 거품제거장치
JP2015037598A (ja) * 2014-10-22 2015-02-26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9705B2 (en) 2018-09-05 2023-02-28 Nuc Electronics Co., Ltd.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KR20200027788A (ko) *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WO2020050548A1 (ko) * 2018-09-05 2020-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EP3804589A1 (en) 2019-10-07 2021-04-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EP3804590A1 (en) 2019-10-07 2021-04-14 LG Electronics, Inc. Blender
KR20210041318A (ko) 2019-10-07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20210044072A (ko) 2019-10-14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102349993B1 (ko) * 2020-07-23 2022-01-12 안중근 음식물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KR20220133618A (ko) * 2021-03-25 2022-10-05 안중근 작동시간 단축형 진공블렌더
KR102467192B1 (ko) * 2021-03-25 2022-11-16 안중근 작동시간 단축형 진공블렌더
KR102488655B1 (ko) * 2022-02-18 2023-01-13 주식회사 피엔풍년 챔버가 손잡이에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230152519A (ko) *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피엔풍년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KR102826862B1 (ko) * 2022-04-27 2025-06-30 주식회사 피엔풍년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뚜껑을 구비한 진공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0763A (zh) 2019-04-16
CN109640763B (zh) 2022-03-11
WO2018043872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82B1 (ko) 블렌더의 진공장치
CN107184069B (zh) 包括压榨螺杆的烹饪制备家电设备
KR102433760B1 (ko) 푸드 프로세서
JP2018514353A (ja) 漏れ防止装置を備えるコーヒーメーカー及びその作動方法
US10524495B2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RU2013131086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KR20180118573A (ko) 착즙기
US20230121117A1 (en) A juicer
US2583997A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JP2022548236A (ja) フードプロセッサー
KR101803845B1 (ko) 착즙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2275784B1 (ko) 진공블렌더
KR20190002091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CN110115477B (zh)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HK40001157A (en) Blender vacuum device
KR101857153B1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CN215694571U (zh) 搅碎装置
CN215383468U (zh) 一种食品加工机
KR200497316Y1 (ko) 착즙기
HK40001157B (zh) 攪拌機的真空裝置
KR20210000384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100365669B1 (ko) 전기 믹서
KR20030089800A (ko) 맷돌형 만능 녹즙기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100447746B1 (ko) 분쇄겸용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