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822B1 -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7822B1 KR101767822B1 KR1020160039008A KR20160039008A KR101767822B1 KR 101767822 B1 KR101767822 B1 KR 101767822B1 KR 1020160039008 A KR1020160039008 A KR 1020160039008A KR 20160039008 A KR20160039008 A KR 20160039008A KR 101767822 B1 KR101767822 B1 KR 101767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rolling
- wire
- corrosion resistanc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머 케이블(armor cable), 로크 코일 로프(locked coil rope) 등은 대표적인 해상 케이블로, 원유를 수송하는 플렉시블(flexible) 파이프, 플랫폼 지지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인장 하중 지지, 내/외부 압력 유지를 위하여 고강도가 요구되며, 고강도 외에도 내부식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최근 대륙붕에서 심해로 사용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 강재 대비 고강도 및 우수한 내부식성이 요구되고 있다.
아머 케이블(armor cable), 로크 코일 로프(locked coil rope) 등에는 일반적으로 탄소 함량이 0.3% 이상인 피아노강(JIS 또는 ASTM)이 사용되는데 이들의 조직은 대부분 펄라이트이다. 펄라이트 조직을 갖는 강선의 고강도화는 1960년대 Embury-Fisher가 제안한 실험식에 따라 1) C, Cr 등 합금원소 증가시키거나, 2) 조직을 미세화함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 해상 케이블을 심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탄소 함량을 0.7%로 증가시켜 고강도를 확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강도는 확보할 수 있으나, 내부식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표면 부동태 층 형성이 원할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식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고강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부식성을 확보하여 심해에서 사용되는 해상 케이블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Ae3+150℃ ~ Ae3+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120분 이상 유지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Ae3+100℃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선재를 480~520℃의 1차 냉각종료온도까지 5~1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180~220℃의 2차 냉각종료온도까지 1℃/s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고,
표면에 50~100 nm 두께의 Cr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본 발명의 선재를 총감면량 40% 이하로 신선하는 단계;
상기 신선 후 총압연량 50% 이상을 인가하여 판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판압연 후 불활성 분위기에서 900~1000℃ 의 온도범위에서 5~10분 동안 유지한 후 ?칭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심해로 사용 환경이 변화되고 있는 해상 케이블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상형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함에 따라 LP 열처리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되어 제품 경쟁력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2의 선재의 미세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a)기존 제조방법과 (b)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예를 비교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a)기존 제조방법과 (b)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 예를 비교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해상 케이블을 심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탄소 함량을 0.7%로 증가시켜 고강도를 확보하는 방법의 경우,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강도는 확보할 수 있으나, 내부식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마르텐사이트는 일반적으로 경한 조직으로 가공성에 나쁘기 때문에, 후속 열처리를 통해 인성을 부여하여 가공량이 20% 이하 인가되는 제품군에 사용된다. 그러나 탄소 함량이 낮을 경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는 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공성에 큰 문제가 없다. 한편, 탄소 함량이 적을 경우, 소입성은 나쁘기 때문에 냉각시 급냉이 필요한데, Mn 등 소입성 원소 첨가시 큰 소입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Mn 등이 많이 첨가되더라도 C 함량이 낮기 때문에 인성에는 큰 감소가 없다. 또한, Cr은 강도를 향상시키고, 1.0% 이상 첨가시 산소 친화력이 크기 때문에 Cr 산화층이 표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산화물은 미려하고 단단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탄소강에 Mn: 5.0~8.5% 를 첨가하여 침상형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시키고, Cr: 1.0~2.0% 를 첨가하여 가공사에서 최종 압연 후 열처리를 통해 강선 표면에 Cr 산화층을 인위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고강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부식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는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 0.1~0.2%
C는 소재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상에서 ?칭 시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C축 방향으로 침입하여 격자 뒤틀림을 유발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C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신선 가공성은 우수하나 고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C 함량이 0.2% 초과인 경우에는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보다는 경한 판상형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Si: 0.1% 이하
Si은 페라이트 내 강화 원소로 페라이트 경화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쉬우나, Si 함량이 0.1% 초과인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의 인성을 열화시켜 가공 중 단선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그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i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슬래그로부터 유입되는 Si을 고려하여 그 하한은 0.06%일 수 있다.
Mn: 5.0~8.5%
Mn은 고안된 미세조직 내에 치환형 고용체로 고용되어 사용되며,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 외에도 소입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에 따라 스텔모아 냉각대에서 제어냉각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원하는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Mn 함량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고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Mn 함량이 8.5% 초과인 경우에는 Mn 편석이 심하게 되어 압연 중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단선 발생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1.0~2.0%
Cr은 0.1% 추가 첨가시 약 40MPa의 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C 다음으로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입성 효과를 주는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r을 강도 증가 효과 외에도 in-line 열처리 후 냉각 시 표면에 50~100nm 두께의 Cr 산화물층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다.
Cr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Cr 함량이 2.0% 초과인 경우에는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중심부에 조대한 Cr 탄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P: 0.015% 이하
P는 불순물이며, 특별히 함유량을 규정하지는 않지만, 종래의 강선과 마찬가지로 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 0.015% 이하
S는 불순물이며, 특별히 함유량을 규정하지는 않지만, 종래의 강선과 마찬가지로 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 선재의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한다.
마르텐사이트는 일반적으로 경한 조직으로 가공성에 나쁘기 때문에, 후속 열처리를 통해 인성을 부여하여 가공량이 20% 이하 인가되는 제품군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 선재와 같이 탄소 함량이 낮을 경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는 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우수하다.
침상형 마르텐사이트가 99면적% 미만으로 경한 판상형 마르텐사이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의 패킷 안에 1~15nm 크기의 (Fe, Cr, Mn)23C6 탄화물이 5.4개/㎛2 이상일 수 있다.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의 패킷(packet)이란 특정방위를 가지도록 형성된 집단 조직으로 블록(block)과 동일한 의미이다. 패킷 내 존재하는 탄화물이 미세할수록 고강도, 고인성 등의 특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들이 균일하면 균일할수록 흡사 분산강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선재의 인장강도는 1500MPa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빌렛을 Ae3+150℃ ~ Ae3+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120분 이상 유지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Ae3+100℃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선재를 480~520℃의 1차 냉각종료온도까지 5~10℃/s 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180~220℃의 2차 냉각종료온도까지 1℃/s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빌렛
가열 단계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빌렛을 Ae3+150℃ ~ Ae3+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120분 이상 유지한다.
Ae3+150℃ ~ Ae3+250℃의 온도범위는 오스테나이트 단상이 유지되고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지 않는 온도범위이며, 잔존하는 탄화물 제거에 효과적인 온도범위이다. Ae3+250℃를 초과하는 경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매우 조대하게 되어 냉각 후의 형성되는 최종 미세조직의 조대화 경향이 강하므로 그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Ae3 + 150℃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유지 시간이 120분 미만이면 잔존한 탄화물이 용해되기 부족한 시간이므로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그 상한을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장시간 유지시 생산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유지 시간을 180분 이하로 할 수 있다.
압연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Ae3+100℃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다. 압연 온도가 Ae3+100℃ 미만인 경우에는 압연 중 변형에 의한 미세조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화물이 입계에 석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연은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사상압연 및 최종압연(Reducing and sizing mill, RSM)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최종압연 입측 온도는 Ae3+100℃ ~ Ae3+150℃일 수 있다. 최종압연 입측 온도를 Ae3+100℃ ~ Ae3+150℃로 제어하는 것은 권취시 재질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권취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한다.
냉각 단계
상기 권취된 선재를 480~520℃의 1차 냉각종료온도까지 5~1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180~220℃의 2차 냉각종료온도까지 1℃/s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상기와 같이 다단 냉각을 행하는 이유는 냉각이 행해지는 스텔모아 냉각대 길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변태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링되어 선재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차 냉각종료온도까지의 냉각속도가 5℃/s 미만인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으며, 1차 냉각종료 후 2차 종료온도까지의 냉각속도는 1℃/s를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기계적 특성에 향상이 없으므로 그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며,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고, 강선 표면에 50~100 nm 두께의 Cr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다.
Cr 산화물층의 두께가 50nm 미만인 경우에는 내부식성이 열위할 수 있다.
상기 강선의 미세조직은 선재와 마찬가지로 침상형 마르텐사이트 99%이상이다. 다만 선재와 달리 신선 및 압연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길이 방향으로 연신된 조직이 관찰된다.
이때, 상기 Cr 산화물층은 균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산화물층에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Cr 산화물층의 두께가 50~100 nm라도 내부식성이 열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 강선의 인장강도는 1700MPa 이상이고, 균일연신율은 10% 이상일 수 있으며, 5% H2SO4 조건에서 부식 평가 시 부식량이 200 g/m2/hr이하로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 선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선재를 총감면량 40% 이하로 신선하는 단계; 상기 신선 후 총압연량 50% 이상을 인가하여 판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판압연 후 불활성 분위기에서 900~1000℃ 의 온도범위에서 5~10분 동안 유지한 후 ?칭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신선 단계
본 발명 선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선재를 총감면량 40% 이하(0% 포함)로 신선한다.
본 발명의 선재는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의 미세조직을 가져 인장강도가 높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압연 전 행하는 신선 가공시 총감면량을 기존의 제조방법(도 2의 (a))보다 낮게 할 수 있으며, 판압연만으로도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신선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플렉시블 파이프(Flexible pipe)에 사용되는 고탄소강 선재의 경우 LP(Lead Patenting) 열처리가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생략 가능하다.
판압연
단계
상기 신선 후 총압연량 50% 이상을 인가하여 판압연한다. 최종제품의 형상 및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열처리 단계
상기 판압연 후 불활성 분위기에서 900~1000℃ 의 온도범위에서 5~10분 동안 유지한 후 ?칭하여 강선 표면에 균일한 Cr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불활성 분위기에서 행하는 것은 Cr 산화물 외 기타 산화물 형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열처리 온도가 900℃ 미만인 경우에는 Cr 산화물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1000℃ 초과인 경우에는 Cr 산화물층 성장이 포화되기 때문에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분 미만 유지시 Cr 산화물층 두께가 얇을 수 있어 내부식성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10분 초과 유지시 Cr 산화물층 성장이 포화되기 때문에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900~1000℃ 의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승온속도는 20℃/s 이상일 수 있으며, 유지 후 냉각속도는 50℃/s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조성을 갖는 빌렛을 1150℃에서 125분 유지한 후, 1050℃에서 압연하고, 910℃에서 권취하여 500℃까지 10℃/s 로 냉각한 후, 200℃까지 1℃/s로 냉각하여 선재를 얻었다.
단, 비교예 1은 현재 제품으로 사용되는 JIS 규격강 SWRS72B으로 기존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권취 후 5℃/s로 균일 냉각하였다.
상기 제조된 선재의 인장강도 및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단, 하기 표 1에서 (Fe, Mn, Cr)23C6는 1~15 nm 크기를 갖는 (Fe, Mn, Cr)23C6 개수/㎛2을 측정하여 기재하였다.
상기 제조된 선재를 총감면량 35%로 신선한 후, 총압연량 60%로 판압연하고, 질소 분위기 950℃에서 7분 유지한 후 ?칭하여 열처리하여 강선을 제조하였다.
단, 비교예 1의 경우 기존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LP 열처리 후 총감면량 60 %로 신선한후, 총압연량 50%로 압연하여 최종 강선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강선의 인장강도, 균일연신율, 내부식성, Cr 산화물층 두께 및 균열 존재유무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내부식성은 5% H2SO4 조건에서 부식 평가 시 부식량(g/m2/hr)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 중량 (%) | 선재 | 미세조직 | |||||||
C | Si | Mn | Cr | P | S | TS (MPa) |
펄라이트 | 마르텐사이트 | (Fe, Mn, Cr)23C6 (개수/um2) |
|
비교예1 | 0.72 | 0.25 | 0.80 | 0.00 | 0.0100 | 0.0080 | 980 | O | X | X |
비교예2 | 0.05 | 0.07 | 6.05 | 1.02 | 0.0120 | 0.0095 | 1490 | X | 침상 | 4.6 |
발명예1 | 0.11 | 0.08 | 6.02 | 1.01 | 0.0098 | 0.0085 | 1550 | X | 침상 | 5.4 |
발명예2 | 0.20 | 0.07 | 6.04 | 1.02 | 0.0100 | 0.0095 | 1615 | X | 침상 | 5.8 |
비교예3 | 0.3 | 0.08 | 6.01 | 1.02 | 0.0080 | 0.0095 | 1667 | X | 침상 +판상( 20면적 %) |
3.1 |
비교예4 | 0.12 | 0.07 | 4.80 | 1.01 | 0.0070 | 0.0080 | 1530 | X | 침상 | 4.7 |
발명예3 | 0.13 | 0.08 | 8.04 | 1.00 | 0.0094 | 0.0095 | 1840 | X | 침상 | 6.8 |
비교예5 | 0.12 | 0.07 | 9.05 | 1.01 | 0.0080 | 0.0090 | 1905 | X | 침상 | 4.5 |
비교예6 | 0.13 | 0.07 | 6.02 | 0.50 | 0.0070 | 0.0080 | 1510 | X | 침상 | 5.5 |
발명예4 | 0.12 | 0.08 | 6.01 | 1.70 | 0.0094 | 0.0080 | 1650 | X | 침상 | 5.4 |
비교예7 | 0.13 | 0.09 | 6.00 | 2.32 | 0.0080 | 0.0070 | 1710 | X | 침상 | 5.6 |
구분 | 열처리재 | 신선 후 | 강선 | ||||
TS (MPa) |
TS (MPa) |
TS (MPa) |
균일연신율(%) | Cr 산화물 두께(nm) | Cr 산화물 내 균열 |
부식량(g/m2/hr) | |
비교예1 | 1080 | 1500 | 1620 | 9 | 없음 | 없음 | 1055 |
비교예2 | 생략 | 1558 | 1605 | 12 | 64 | 없음 | 192 |
발명예1 | 생략 | 1622 | 1700 | 13 | 62 | 없음 | 190 |
발명예2 | 생략 | 1686 | 1766 | 11 | 61 | 없음 | 191 |
비교예3 | 생략 | 1739 | 1680 | 4 | 66 | 없음 | 195 |
비교예4 | 생략 | 1603 | 1677 | 8 | 62 | 없음 | 194 |
발명예3 | 생략 | 1910 | 1982 | 10 | 65 | 없음 | 195 |
비교예5 | 생략 | 1973 | 파단 | 2 | 62 | 없음 | 189 |
비교예6 | 생략 | 1583 | 1655 | 8 | 37 | 없음 | 201 |
발명예4 | 생략 | 1722 | 1795 | 12 | 92 | 없음 | 175 |
비교예7 | 생략 | 1785 | 1790 | 1 | 91 | 존재 | 358 |
비교예 1은 현재 사용중인 상용강으로 펄라이트 조직을 가지며, 16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나 내부식성이 매우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발명예 2는 상기 표 1, 2 및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미세조직이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이고,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의 패킷 안에 1~15nm 크기의 (Fe, Cr, Mn)23C6 탄화물이 5.8개/㎛2 이었으며, 인장강도가 1766MPa로 우수하고, 내부식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3 및 발명예 1, 2는 탄소 함량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비교예 2는 탄소 함량이 0.1% 미만으로 강선의 인장강도가 낮았다. 비교예 3은 탄소 함량이 0.3%로 과다하여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와 판상형 마르텐사이트가 혼재한 미세조직을 가졌으며, 인장강도가 낮고, 균일 연신율이 4%로 매우 열위하였다. 이는 침상형 마르텐사이트(80면적%)와 판상형 마르텐사이트(20면적%)가 혼재한 미세조직을 가져 신선 및 판압연 중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와 판상형 마르텐사이트의 계면 경계부에 균열이 형성되어 가공성 및 연성을 낮춘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4, 발명예 1, 3 및 비교예 5는 망간 함량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Mn 함량이 5 % 미만인 경우에는 목표 강도 확보가 어렵고, 9 % 이상 포함된 경우에는 판압연 중 파단이 발생하였다. 이는 Mn이 다량 첨가됨에 따라 중심 편석이 발생하여 가공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6, 발명예1, 4 및 비교예7은 Cr 함량 변화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Cr 함량이 낮은 비교예 6은 목표 강도 확보가 어렵고, 비교예 7은 Cr함량이 2% 초과 첨가되어 강도는 목표 강도에 포함되지만, 균일 연신율이 1%로 연성이 거의 없었다.
또한, Cr 함량이 1% 이상인 경우에는 비교예와 발명예의 경우 거의 유사한 61~92 nm 두께의 Cr 산화물층이 형성되었으나, Cr 함량이 1% 미만인 경우에는 Cr 산화물층 두께가 50nm 미만으로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Cr 함량이 2% 초과인 경우에는 두께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으나, Cr 산화물층 내에 균열이 형성되어 내부식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0% 제외),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고, 상기 침상형 마르텐사이트의 패킷 안에 1~15nm 크기의 (Fe, Cr, Mn)23C6 탄화물이 5.4개/㎛2 이상인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인장강도는 15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0% 제외),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빌렛을 Ae3+150℃ ~ Ae3+250℃의 온도범위로 가열하여 120분 이상 유지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Ae3+100℃ 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선재를 480~520℃의 1차 냉각종료온도까지 5~1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180~220℃의 2차 냉각종료온도까지 1℃/s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은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압연, 사상압연 및 최종압연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상기 최종압연의 입측 온도는 Ae3+100℃ ~ Ae3+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 중량%로, C: 0.1~0.2%, Si: 0.1% 이하(0% 제외), Mn: 5.0~8.5%, Cr: 1.0~2.0%, P: 0.015% 이하, S: 0.015%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침상형 마르텐사이트를 99면적% 이상 포함하고,
표면에 50~100 nm 두께의 Cr 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r 산화물층은 균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인장강도는 1700MPa 이상이고, 균일연신율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5% H2SO4 조건에서 부식 평가 시 부식량이 200 g/m2/hr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 제4항 또는 제5항에 의해 제조된 선재를 총감면량 40% 이하로 신선하는 단계;
상기 신선 후 총압연량 50% 이상을 인가하여 판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판압연 후 불활성 분위기에서 900~1000℃ 의 온도범위에서 5~10분 동안 유지한 후 ?칭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900~1000℃ 의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승온속도가 20℃/s 이상이며, 상기 유지한 후의 냉각속도가 50℃/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008A KR101767822B1 (ko) | 2016-03-31 | 2016-03-31 |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CN201710202404.2A CN107267878B (zh) | 2016-03-31 | 2017-03-30 | 耐腐蚀性优异的高强度线材、利用其的钢丝及其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008A KR101767822B1 (ko) | 2016-03-31 | 2016-03-31 |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7822B1 true KR101767822B1 (ko) | 2017-08-14 |
Family
ID=6007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008A KR101767822B1 (ko) | 2016-03-31 | 2016-03-31 |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7822B1 (ko) |
CN (1) | CN10726787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4898A (ko) | 2017-12-01 | 2019-06-11 | 주식회사 포스코 |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4242A (ja) | 2000-02-22 | 2001-08-28 | Nippon Steel Corp | 結晶粒の微細な高靱性高張力鋼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17626A (ja) * | 1987-06-19 | 1988-12-26 | Kobe Steel Ltd | 超高強度極細線の製造方法 |
JP4850444B2 (ja) * | 2005-06-27 | 2012-01-11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延性に優れる高強度・高耐食性の安価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線 |
-
2016
- 2016-03-31 KR KR1020160039008A patent/KR1017678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3-30 CN CN201710202404.2A patent/CN10726787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4242A (ja) | 2000-02-22 | 2001-08-28 | Nippon Steel Corp | 結晶粒の微細な高靱性高張力鋼の製造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4898A (ko) | 2017-12-01 | 2019-06-11 | 주식회사 포스코 |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267878B (zh) | 2018-11-02 |
CN107267878A (zh) | 2017-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88220B2 (ja) | 伸線前の熱処理が省略可能な伸線加工性に優れた熱間圧延線材 | |
JP5315790B2 (ja) |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pc鋼線 | |
KR101676109B1 (ko) | 신선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고강도 강선과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1767822B1 (ko) |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
EP3231886B1 (en) | Complex-phase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JP2000309849A (ja) | 鋼線材、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377771B1 (ko) | 강도 및 연신율이 우수한 플럭스 코드 와이어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46971B1 (ko)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150075351A (ko) | 압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403849B1 (ko) |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47701B1 (ko) | 비틀림 특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강 강선의 제조방법 | |
KR20130073738A (ko) | 연성 및 도금품질이 우수한 초고강도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1425B1 (ko) | 우수한 ssc 저항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917436B1 (ko) |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49113B1 (ko) | 굽힘 피로 특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3897B1 (ko) | 파이프 조관 후 강도 하락이 없는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12331B1 (ko) | 고강도 도금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407420B1 (ko) | 강관용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30284B1 (ko) | 내꺽임성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한 가공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35460B1 (ko) | 스틸코드용 강선의 제조방법 | |
KR101948990B1 (ko) |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220169248A (ko) | 강도 및 연화저항성이 향상된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26129B1 (ko) | 연신율이 우수한 선재, 그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
KR20100106843A (ko) |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질화물계 고강도 강판과 그 제조방법 | |
KR101228701B1 (ko) | 시효 특성이 향상된 소부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