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64814B1 - 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 - Google Patents

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14B1
KR101764814B1 KR1020160114015A KR20160114015A KR101764814B1 KR 101764814 B1 KR101764814 B1 KR 101764814B1 KR 1020160114015 A KR1020160114015 A KR 1020160114015A KR 20160114015 A KR20160114015 A KR 20160114015A KR 101764814 B1 KR101764814 B1 KR 10176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witch
unit
illumination
illumin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상우
Original Assignee
임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우 filed Critical 임상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1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장착된 스위치커버에서 커버조명이 조명된 상태를 이루어 일반 사용자 특히,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사용자 등이 쉽게 주조명을 점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부(1)와; 상기 전원부(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주조명(2)과; 상기 전원부(1)와 주조명(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1)에서 주조명(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성된 스위칭부(3)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버조명(12)이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부(3)에 구성된 스위치가 온(ON)되면 주조명(2)이 조명되고 상기 커버조명(12)은 오프(OFF)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상기 커버조명(12)이 온(ON)되도록 하는 스위치커버(1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마이컴(14)과, 상기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조명(12)의 조명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14)에는 상기 스위치커버(10)에 구성된 커버조명(12)이 일정시간동안만 조명되도록 카운트하는 타이머(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so as to illuminate the main light, the cover light is illuminated in the switch cover mounted on the swit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So that the main lighting can be easily turned 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1; A main illuminator (2) illumin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1); And a switching unit 3 formed between the power source unit 1 and the main light source 2 and configured to control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1 to the main light source 2, The main lighting 2 is illuminated when the switch configured on the switching unit 3 is turned 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The switch cover 12 is turned off and the cover cover 10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The switch cover 10 includes a microcomputer 14 and a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unit 16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llumin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4; The microcomputer 14 is further provided with a timer 142 for counting the cover lighting 12 of the switch cover 10 to be illumin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igure R1020160114015
Figure R1020160114015

Description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본 발명은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장착된 스위치커버에서 커버조명이 조명된 상태를 이루어 일반 사용자 특히,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사용자 등이 쉽게 주조명을 점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in which a switch cover mounted on the switch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of a main user, such as a senior user or a disabled person, such as a person with poor physical condition, so as to easily light the main light.

일반적으로, 실내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위치는 내부의 접속 부분과 전선을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감을 주기 위하여 스위치 커버를 체결하여 사용한다.Generally, a switch that is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so that a power source can be connected to a home or an office in a room is used by connecting a switch cover to protect the inside connection portion and the electric wire while providing an aesthetics of the interior.

상기 스위치 커버는 주로 중앙부에 스위치 손잡이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박스의 형상 및 크기에 알맞게 사각 형태로 주로 제조된다.The switch cover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that a switch handle can be inserted and protruded. The switch cover is mainly manufactured in a square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switch box.

상기 스위치는 벽에 부착하여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조명을 켜고, 끄도록 하였다. 그런데, 외출을 하였다가 밤에 들어오거나 밤이 되어 아무도 없는 건물이나 창고의 불을 켜려고 하면 이러한 스위치를 찾지 못하여 벽을 더듬거리며 찾는 경우가 많았다.The switch was attached to a wall and turned on and off by operating the switch. By the way, if you go out at night and you want to turn on a fire in a building or a warehouse where there is no one in the night, you could not find these switches and often stuttered the wall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의 특허 제953504호의 '열승화전사를 이용한 엘이디 발광 스위치케이스'는, 스위치케이스로서,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기존의 스위치를 덮어서 사용하여, 기존의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중공으로 노출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스위치의 외곽면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는 어둠속에서 상기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가 부착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의 전원과는 별도로 동작하는 내부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는 스위치케이스를 이루는 소재층위에 승화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열승화하여 전사된 무늬는 승화보강층과 소재층에 침투되어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승화보강층은 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0 내지 80중량부와 실리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승화보강층의 내에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승화보강층에 승화전사되는 인쇄물이 보다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광확산 소자 5 내지 30중량부를 MEK(methyethylketone), DAA(diacetone alcohol), Texanol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80 내지 10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도포하고 섭씨 130내지 160도에서 10내지 15초간 열풍건조시켜서 제작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LED light emission switch case using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of the conventional patent No. 953504 is a switch case, which is used by covering an existing switch,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switch case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witch so as to be coupled to the switch case. An LED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witch case in the dark, The switch case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power supply unit that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switch. The switch case further includes a sublimation enhancement layer on the material layer constituting the switch case, and the sublimation enhancement layer is transferred to the sublimation enhancement layer and the material layer To form a pattern, and the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is formed of an acrylic polyol 100 Wherein at least one of silica,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and aluminum hydroxide is selected from 6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isocyanate and the light is uniformly diffused in the sublimation enhancement layer so that the sublimation- 5 to 30 parts by weight of a light diffusing device capable of dissolving and dispersing in a solvent is dissolved and applied in 80 to 10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methyl ethyl ketone (MEK), diacetone alcohol (DAA) and Texanol, heated to 130 to 160 degrees C for 10 to 15 seconds Dried.

이로 인해, 스위치 전원과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며, 자체의 입체적인 문양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As a result, it is operated by a separate power source from the switch power supply, so that it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of itself.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케이스에는 다수의 엘이디 램프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전면으로 발광하는 빛에 의해 취침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witch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LED lamps ar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sleeping is interrupted by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witch case.

이는, 종래의 스위치케이스에 사용되는 엘이디가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 사람 눈이 부실정도로 밝은 빛을 냄으로써, 상기 엘이디에서 발광하는 빛에 의해 취침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구성된 발광하는 엘이디를 통한 시인성에 의해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LED used in the conventional switch case emits light using the electroluminescence effect, and therefore, when used as it is, bright light is emitted to the extent that the human eye is insufficiently illuminated, so that light from the LED interferes with sleep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bject of losing sight of the position of the switch is lost due to the visibility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formed in the switch case.

또한, 별도의 전원 즉, 일회용 전지 또는 태양전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전류사용량에 따라 충전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교체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ly inconvenient to use a separate power source, that is, a disposable battery or a solar battery, to check the charging state according to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or to change it as necessary.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구성된 엘이디는 발광효율이 높은만큼 발열이 많이나는 문제점으로 꽉막힌 벽면에 엘이디를 포함한 스위치케이스가 구성될 경우,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엘이디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case including the LED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which is tightly closed due to the problem that the LED formed in the switch case has a high heat emission as much as the luminous efficiency, heat dissip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broke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7149호(2002.05.30. 공고)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77149 (Bulletin of May 30, 2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8579호(2005.03.17. 공고)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78579 (published on Mar. 17, 2005)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53504호(2010.04.19.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953504 (April 19, 20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장착된 스위치커버에서 커버조명이 조명된 상태를 이루어 일반 사용자 특히,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사용자 등이 쉽게 주조명을 점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cover mounted on a switch so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in order to light the main ligh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that improves the visibility of a user, such as a senior user or a handicapped person, who has poor physical conditions, to easily turn on the main ligh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주조명과; 상기 전원부와 주조명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주조명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성된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버조명이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부에 구성된 스위치가 온(ON)되면 주조명이 조명되고 상기 커버조명은 오프(OFF)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상기 커버조명이 온(ON)되도록 하는 스위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커버에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조명의 조명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에는 상기 스위치커버에 구성된 커버조명이 일정시간동안만 조명되도록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illuminator illumin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a switching unit configur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main illumination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main illumination unit; The main lighting is turned on and the cover lighting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configured in the switching unit is turned 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And a cover cover for turning on the cover illumination when the cover is turned off; Wherein the switch cover includes a microcomputer and a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he cover illumination is illumin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a timer for counting the microcomputer so that the cover illumination configured on the switch cover is illuminated on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에는, 스위치 주변으로 사용자가 위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커버조명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cover includes a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position when the switch is positioned around the switch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so that illumination is performed on the cover l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에는, 특정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커버조명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cover includes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a specific soun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so that illumination is performed in the cover l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에는, 스위치가 설치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값이 설정된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 이를 마이컴으로 전송하여 커버조명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cover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where the switch is installed and transmitting illumination to the micom when the illuminance value is lower than the set value .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에는, 커버조명이 조명되는 조건일 경우 외부로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스위치의 위치가 쉽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cover includes an acoustic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llumination is illumina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easily seen from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는, 내측에 스위치가 위치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내측에 커버조명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벽과 상단벽 내측에는 커버조명에서 조명되는 빛을 반사시켜 외측벽을 통해 외부로 투사되어 간접조명효과를 가지도록 알루미늄이 증착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cover may hav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im so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witch is located inside the switch cover; The rim portion includes an installation space such that a cover illumination is installed inside; The rim has an inner wall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storage space; An outer side w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wall; And an upper wall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a reflection layer on the inner side wall and the upper side wall, the reflection layer reflecting the light illuminated by the cover illumination and being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wall to have an indirect illumination effect.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커버의 내부에 구성된 커버조명에서 발생한 열에 의한 온도 또는 압력과 스위치의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조명을 방열시키도록 흡기부 및 배기부가 구성된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one side of the switch cover, the air is circulated by the temperature or pressure caused by heat generated in the cover lighting inside the switch cove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side of the switch, And a heat dissipation unit having an exhaust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주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장착된 스위치커버에서 커버조명이 조명된 상태를 이루어 일반 사용자 특히,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사용자 등이 쉽게 주조명을 점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light is illuminated in the switch cover mounted on the swit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so as to light the main light, so that the physical condition such as the general user,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 poor user to easily turn on the main light.

또한, 인체감지센서 또는 음향출력부를 통해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스위치커버의 커버조명이 점등에 의한 조명이 이루어져 스위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or the sound output unit, the cover light of the switch cover is illuminated by the lighting of the switch cover without any restriction on the physical condition such as the elderly person or the disabled person, so that the switch posi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또한, 소리감지센서를 통해 스위치 위치를 쉽게 인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취침 중 실수 또는 잠결에 내는 소리에 주조명이 바로 점등되지 않고 스위치커버에서 조명됨에 따라 사용자의 숙면이 방해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easi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 through the sound detection sensor, the main lighting is not directly lit on the sound caused by a mistake or sleeping while sleeping, and is guided by the switch cov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s sleeping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스위치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형 스위치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작용상태도.
1 is a circuit diagram of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light-emitting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al view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 예>&Lt; Embodiment 1 >

제1실시 예의 발광형 스위치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와, 상기 전원부(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주조명(2)과, 상기 전원부(1)와 주조명(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1)에서 주조명(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위칭부(3)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커버조명(12)을 포함하는 스위치커버(10)를 포함한다.1 and 2, the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1, a main light source 2 illumin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1, And a switching unit 3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main lighting unit 2 and the main lighting unit 2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 to the main lighting unit 2, And a switch cover 10 including a cover light 12 so as to recognize the position.

상기 스위칭부(3)는 상기 스위치 또는 스위치커버(10)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선택스위치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위칭부(3)가 주조명(2)과 연결되도록 하면 전원부(1)의 전원이 주조명(2)으로 인가되어 조명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칭부(3)가 스위치커버(10)로 인가되면 커버조명(12)에서 조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주조명(2) 및 커버조명(12)은 다수의 LED로 구성된 조명임이 바람직하다.The switching unit 3 is constituted by a selection switch so that power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switch or switch cover 10. That is, when the switching unit 3 is connected to the main light 2,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1 is applied to the main light 2 to illuminate the switch unit 3, So that it is illuminated by the cover light 12. In this case, the main illumination 2 and the cover illumination 12 are preferably illumina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상기 스위치커버(10)는 상기 스위치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커버조명(12)에서 조명된 빛을 통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하여 주조명(2)의 조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switch cover 10 is mounted on the rim of the swit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switch through the light illuminated by the cover illuminator 12 to smoothly illuminate the main illuminator 2 do.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스위칭부(3)의 선택에 따라 전원부(1)의 전원이 인가되어 조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조명(12)을 포함한다.The switch cover 10 includes at least one cover light 12 illuminated by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1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witching unit 3.

또한, 스위치커버(10)에는 마이컴(14)과, 상기 마이컴(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커버조명(12)으로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를 포함한다.The switch cover 10 includes a microcomputer 14 and a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unit 16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cover illumination 12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4. [

상기 마이컴(14)에는 타이머(142)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142)는 전원부(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커버조명(12)의 조명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커버조명(12)이 오프(OFF)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타이머(142)는 생략 가능하다.The microcomputer 14 includes a timer 142. The timer 142 counts the illumination time of the cover illumination 12 through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1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cover illumination 12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some cases, the timer 142 may be omitted.

또한, 상기 마이컴(14)에는 인체감지센서(144)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44)는 스위치가 구성된 위치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타이머(142)에 의해 오프(OFF)된 커버조명(12)이 온(ON)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44.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position where the switch is forme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44 senses the position of the switch and turns on the cover lighting 12 turned off by the timer 142, To be easily recognized.

또한, 상기 마이컴(14)에는 소리감지센서(146)를 포함한다. 상기 소리감지센서(146)는 사용자가 내는 특정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타이머(142)에 의해 오프(OFF)된 커버조명(12)이 온(ON)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소리감지센서(146)는 사용자의 박수소리 등과 같은 특정소리에 반응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 includes a sound detection sensor 146. The sound sensing sensor 146 recognizes a specific sound of the user and allows the cover lighting 12 turned off by the timer 142 to be turned 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 For example, the sound detection sensor 146 responds to a specific sound such as a clapping sound of a user.

또한, 상기 마이컴(14)에는 조도센서(148)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센서(148)는 스위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일정조도 이하일 경우에만 커버조명(12)을 통해 상기 스위치의 주변이 조명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낮과 같이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커버조명(12)이 조명되어도 스위치에 대한 시인성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절전효과를 가지도록 일정값 이하의 조도일 경우에만 상기 커버조명(12)이 조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148. The illuminance sensor 148 sens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switch and controls the surroundings of the switch to be illuminated through the cover illuminator 12 only when the illuminanc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For example, when the illuminance is high as in the daytime, even if the cover illumination 12 illuminates, the visibility effect on the switch can not be exerted. Therefore, only when the illuminance of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lower than a certain value, .

또한, 상기 마이컴(14)에는 커버조명(12)이 조명되는 조건이 만족할 경우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출력부(149)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출력부(149)는 음향을 출력시켜 주위가 산만하거나 시력이 극히 저하된 사용자에게 스위치의 위치가 쉽게 시인되도록 한다.The microcomputer 14 further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149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when the condition tha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lluminated is satisfied. The sound output unit 149 outputs sounds to easily display the position of the switch to a user whose distracted surroundings or visual acuity is extremely low.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emitting switch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improved visibility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벽면 등에 전원부(1)가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에 스위치커버(10)가 장착된 발광형 스위칭장치를 설치한다.First, a light-emitting type switching device in which a power source unit 1 is connected to a wall surface or the like and a switch cover 10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witch are provided.

이에 따라, 주조명(2)이 오프(OFF)된 상태일 경우에는 스위칭부(3)가 커버조명(12)이 온(ON)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스위치커버(10)에 구성된 커버조명(12)이 온(ON)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커버(10)의 주변에 빛이 조명되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게 된다.Thus, when the main illumination 2 is in the OFF state, the switching unit 3 is connected so tha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n the ON state, so tha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turned on, light is illuminated around the switch cover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이 경우, 마이컴(14)에 구성된 타이머(142)의 카운트에 따라 예컨대, 5 ~ 60초 정도의 카운트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142)의 제어신호에 의해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가 작동된다.In this case, when the count time of, for example, about 5 to 60 seconds elapses in accordance with the count of the timer 142 configured in the microcomputer 14, the cover lighting control switch unit 1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timer 142 .

그리고, 상기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의 작동으로, 전원부(1)의 전원이 커버조명(12)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조명(12)은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The cover illumination 12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by block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ource unit 1 from being applied to the cover illumination 12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unit 16. [ ) State.

이에 따라, 주조명(2) 및 커버조명(12)이 오프(OFF)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커버조명(12)의 조명에 의한 취침방해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게 된다.Thus, the main illumination 2 and the cover illumination 12 are in an OFF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illumination of the cover illumination 12 from interfering with sleep, thereby inducing a user's good sleep.

이어서, 외부에서 실내로 입실할 경우 등과 같이 스위치 주변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되면 인체감지센서(144)에서 사용자를 센싱한 센싱신호를 마이컴(14)으로 전송하게 된다.Then, when the user's body is positioned around the switch, such as when entering the room from the outside,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44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4 sensing the user.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4)에서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에 단락된 위치를 연결시킴으로써, 커버조명(12)에서 조명되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by connecting the short-circuiting position to the cover lighting control switch unit 16 in the microcomputer 14,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by being illuminated in the cover lighting 12. [

이는, 노약자 또는 장애우와 같이 신체적 조건 등에 의해 벽면의 일측에 구성된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없어, 상기 스위치를 찾는 과정 중 부딪치는 등의 상해를 입을 수 있게 될 수 있으나, 인체감지센서(144)를 통해 사용자를 센싱하여 커버조명(12)이 조명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주조명(2)의 점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This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due to physical conditions such as the elderly person or the handicapped, and it may be possible to suffer an injury such as collision during the process of finding the switch. Howev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easily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 so that the lighting of the main light 2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는, 주조명(2)을 조명하기 위해 스위치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박수를 치면 소리감지센서(146)에서 박수소리의 특정소리를 인식하여 마이컴(14)으로 센싱신호를 전송하게 된다.Alternatively, in order to find the position of the switch for illuminating the main light 2,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clap, the sound detection sensor 146 recognizes a specific sound of the clap sound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4 .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4)에서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에 단락된 위치를 연결시킴으로써, 커버조명(12)에서 조명되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by connecting the short-circuiting position to the cover lighting control switch unit 16 in the microcomputer 14,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by being illuminated in the cover lighting 12. [

이는, 지금까지는 소리감지센서를 통해 주조명이 직접 조명되도록 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었고, 이 경우, 취침 중 실수 또는 잠결에 소리를 낼 경우 주조명이 조명됨에 따라 잠을 깰 수 있어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취침 중 실수 또는 잠결에 소리를 낼 경우, 소리감지센서(146)의 센싱신호를 통해 커버조명(12)이 조명될 수 있으나, 스위치 주변에만 조명됨에 따라 취침을 방해하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게 된다.This means that until now, the main light is illuminated directly through the sound detection sensor. In this case, if you make a mistake while sleeping or make a noise while sleeping, the main light can be waken up as it illuminates, There was a problem to interfe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illuminate the cover light 12 through the sensing signal of the sound detection sensor 146 when making a mistake while sleeping, As it does not interfere, it induces the user's sleep.

그러므로, 주조명을 점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장착된 스위치커버에서 커버조명이 조명된 상태를 이루어 일반 사용자 특히,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사용자 등이 쉽게 주조명을 점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so as to light the main light, the cover light is illuminated in the switch cover mounted on the switch, so that a general user, especially a user with poor physical condition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To easily light the main lighting.

또한, 마이컴과 타이머 기능을 부가하여, 절전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a microcomputer and a timer function are added to achieve a power saving effect.

또한,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노약자 또는 장애우 등과 같이 신체적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스위치커버의 커버조명이 점등에 의한 조명이 이루어져 스위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enables the switch position of the switch cover to be easily recognized by illuminating the cover light of the switch cover regardless of the physical condition such as the elderly person or the disabled person.

또한, 소리감지센서를 통해 스위치 위치를 쉽게 인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취침 중 실수 또는 잠결에 내는 소리에 주조명이 바로 점등되지 않고 스위치커버에서 조명됨에 따라 사용자의 숙면이 방해되지 않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easily recognizing the switch position through the sound detection sensor, the main light is not directly lit on the sound caused by a mistake or sleeping while sleeping, and is guided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s sleeping as the switch cover is illuminated.

또한, 조도센서(148)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조도를 유지할 경우에는 커버조명(12)이 조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전효과를 가지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illuminance sensor 148 maintains the illuminanc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not illuminated, thereby achieving a power saving effect.

또한, 음향출력부(149)는 커버조명(12)이 조명되는 조건, 예컨대, 조도센서(148)에 설정된 조도값 이하이고, 인체감지센서(144) 또는 소리감지센서(146)에서 센싱신호가 마이컴(14)으로 전송되는 조건이며, 타이머(142)의 카운트 시간동안 커버조명(12)이 조명되는 시간동안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ound output unit 149 outputs the sound signal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44 or the sound detection sensor 146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lluminated, And is output to the microcomputer 14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by outputting sound d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cover light 12 is illuminated during the counting time of the timer 142. [

<제2실시 예>&Lt; Embodiment 2 >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실시 예의 스위치커버(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스위치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주변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테두리부(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witch cover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orm a storage space 112 in which a switch can be housed in the center. do.

상기 테두리부(110)에는 커버조명(12)이 설치되는 설치공간(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110)는 함체형상이면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An installation space 114 in which the cover lighting 12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rim 110. That is, the rim 110 is configured to have a housing shape and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테두리부(110)는 수납공간(112)을 형성하도록 내측에 구성되는 내측벽(115)과, 상기 내측벽(115)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이공간에 설치공간(1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외측벽(116), 및 상기 내측벽(115)과 외측벽(116)의 상단면 즉,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구성되는 상단벽(117)으로 구성된다.The rim portion 110 includes an inner wall 115 formed on the inner side to form a storage space 112 and a space 114 formed on the inner wall 115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11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upper wall 117 formed on a top surface of the inner wall 115 and the outer wall 116, that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이 경우, 상기 상단벽(117)과 대향되는 위치인 하단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조명(12)이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portion opposed to the upper wall 117 is kept open so tha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nstalled.

또한, 상기 내측벽(115)과 상단벽(117)의 내부 표면에는 커버조명(12)이 점등될 때 빛을 반사시켜 상기 외측벽(116)을 통해 외부로 조명되도록 하는 반사층(118)을 포함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115 and the top wall 117 also includes a reflective layer 118 that reflects light when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lit and illuminates the outer side through the outer wall 116 .

상기 반사층(118)은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경면효과를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버조명(12)을 통해 조명되는 빛을 외측벽(116)을 통해 원활하게 반사되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reflective layer 118 is preferably formed by evaporating aluminum to have a mirror surface effec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light illuminated through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reflected smoothly through the outer wall 116.

한편, 상기 스위치커버(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커버(10)는 반투명이면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witch cover 10 is formed to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cover 10 is formed to have translucency and hue.

이는, 커버조명(12)이 점등되지 않는 평상시 예컨대, 낮과 같이 시계가 양호할 경우에는 스위치커버(10)의 색상에 의해 인테리어효과를 발휘하고, 밤과 같이 시계가 불량한 경우에는 색상을 가지는 스위치커버(10)의 측면에서 커버조명(12)의 빛이 발산되어 상기 스위치커버(10)의 색상이 스위치주변으로 발현되어 또 다른 인테리어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is is because if the clock light 12 is not normally lighted and the clock is good, such as during the daytime, the interior effect is exhibited by the color of the switch cover 10, and when the clock is poor, The light of the cover light 12 is emitted from the side of the cover 10 so that the color of the switch cover 10 is expressed around the switch and another interior effect is exhibited.

<제3실시 예>&Lt; Third Embodiment >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 예의 스위치커버(1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114)에 설치된 커버조명(12)에서 발현한 열이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버조명(12)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열부(20)를 포함한다.5 and 6, the switch cover 10 of the third embodiment can easily heat the heat generated in the cover lighting 12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14, And a heat dissipating portion 20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semiconductor device.

상기 방열부(20)는 상기 스위치커버(10)의 테두리부(110)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부(110)의 설치공간(114) 내부온도와 스위치가 구성된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이에 따라 내부 및 외부공기가 상호 소통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114) 내에 장착된 커버조명(12)을 방열시키는 수단이다.The heat dissipating unit 2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im 110 of the switch cover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rim 110 of the rim 110 and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the inside and outside air are means for dissipating the cover light 12 moun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14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상기 방열부(20)는 다수의 통공(22) 및 상기 통공(22)을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24)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22) 및 커버(24)의 설치위치에 따라 흡기부(210) 및 배기부(220)로 구분한다. 이 경우, 상기 방열부(20)는 스위치커버(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하단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의 이물질 침투방지 및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The heat dissipating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and a cover 24 configured to cover the through holes 22 and the intake unit 210 and an exhaust part 220,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radiating portion 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with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tch cover 10. [ This i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to maintain a beautiful appearance.

즉, 상기 흡기부(210)는 외부의 공기가 테두리부(1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테두리부(110)의 설치공간(114) 내측에 커버(24)가 위치된 구성이다.That is, the intake unit 2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ver 24 is position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14 of the rim 110 so that outside air is drawn into the rim 110.

또한, 상기 배기부(220)는 테두리부(110)의 내부공기가 스위치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스위치커버(10)의 외측에 커버(24)가 위치된 구성이다.The exhaust unit 2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ver 24 is positioned outside the switch cover 10 so that the air inside the rim 110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이에 따라, 상기 흡기부(210)의 커버(24)는 통공(22)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에 의해 개방되나, 이와 반대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흡기부(210)에서는 테두리부(110)의 설치공간(114)으로 공기의 인입만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ver 24 of the intake unit 210 is open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hole 22, but on the contrary, when the intake unit 210 blocks the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only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14 of the rim 110.

또한, 상기 배기부(220)의 커버(24)는 통공(22)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개방되나, 이와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배기부(220)에서는 테두리부(110)의 설치공간(114) 공기가 외부로 방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ver 24 of the exhaust unit 220 is opened by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2, but on the contrary, since the outside air is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So that only the air in the installation space 114 of the uni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러므로, 스위치커버(10)의 일측에 구성된 흡기부(210)를 통해 인입된 공기가 테두리부(110)의 설치공간(114)을 선회한 후 상기 흡기부(2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성된 배기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114)에 장착된 커버조명(12)을 방열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air drawn through the intake unit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witch cover 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take unit 210 after turning the installation space 114 of the rim 1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unit 220, so that the cover lighting 12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14 radiates hea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 전원부 2: 주조명
3: 스위칭부 10: 스위치커버
12: 커버조명 14: 마이컴
142: 타이머 144: 인체감지센서
146: 소리감지센서 148: 조도센서
149: 음향출력부 16: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
110: 테두리부 112: 수납공간
114: 설치공간 115: 내측벽
116: 외측벽 117: 상단벽
118: 반사층 20: 방열부
22: 통공 24: 커버
210: 흡기부 220: 배기부
1: Power source 2: Main lighting
3: Switching part 10: Switch cover
12: Cover lighting 14: Microcomputer
142: Timer 144: Human body sensor
146: sound detection sensor 148: illuminance sensor
149: Audio output unit 16: Cover light control switch unit
110: rim 112: storage space
114: installation space 115: inner side wall
116: outer side wall 117: upper wall
118: reflective layer 20:
22: through hole 24: cover
210: intake part 220: exhaust part

Claims (7)

전원부(1)와, 상기 전원부(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주조명(2)과, 상기 전원부(1)와 주조명(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1)에서 주조명(2)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성된 스위칭부(3)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LED로 이루어진 커버조명(12)이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부(3)에 구성된 스위치가 온(ON)되면 주조명(2)이 조명되고 커버조명(12)은 오프(OFF)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상기 커버조명(12)이 온(ON)되도록 하는 스위치커버(10)를 포함하여, 실내에 설치된 주조명(2)의 조명여부를 조작하는 스위치의 위치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마이컴(14)과, 상기 마이컴(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조명(12)의 조명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14)에는 상기 스위치커버(10)에 구성된 커버조명(12)이 일정시간동안만 조명되도록 카운트하는 타이머(142)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스위치 주변으로 사용자가 위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타이머(142)에 의해 커버조명제어스위치부(16)의 단락된 스위치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마이컴(1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커버조명(12)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체감지센서(144)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커버(10)는, 내측에 스위치가 위치되도록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테두리부(110)를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부(110)는 내측에 커버조명(12)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114)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110)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내측벽(115)과;
상기 내측벽(115)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외측벽(116); 및
상기 내측벽(115)과 외측벽(116)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벽(117)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벽(115)과 상단벽(117) 내측에는 커버조명(12)에서 조명되는 빛을 경면효과에 의해 반사시켜 외측벽(116)을 통해 외부로 투사되어 간접조명효과를 가지도록 알루미늄이 증착된 반사층(118)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커버(10)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커버(10)의 내부에 구성된 커버조명(12)에서 발생한 열에 의한 설치공간(114)의 내부온도와 스위치가 구성된 외부온도 차이에 의해 내부 및 외부공기가 상호 소통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114) 내에 장착된 상기 커버조명(12)을 방열시키도록 하는 방열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20)는 설치위치에 따라 외부공기가 설치공간(114)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기부(210) 및 상기 설치공간(114)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부(220)로 구분하여,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고;
상기 흡기부(210) 및 배기부(220) 각각은, 다수의 통공(22) 및 상기 통공(22)을 덮도록 구성되어 외부 이물질 침투 및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
A main light source 2 which is illumin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1 and a main light source 2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unit 1 and the main light source 2 and which is provided in the power source unit 1, And a switch unit (3) configured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switch unit. The cover unit (12) is formed of an 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witch unit. The main illumination 2 is illuminated and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turned off and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a switch cover (10) for allowing the main lighting (2) installed in the room to be illuminated, wherein the switch cover (10)
The switch cover 10 includes a microcomputer 14 and a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unit 16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illumin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4;
The microcomputer 14 includes a timer 142 for counting the cover lighting 12 configured on the switch cover 10 to be illuminat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witch cover 10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14 so that when the user is positioned around the switch and connects the shorted switch of the cover illumination control switch section 16 by the timer 142,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44)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cause illumination in the cover illumination (12);
The switch cover 10 form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im 110 so that the storage space 112 is formed so that the switch is located inside the switch cover 10;
The rim portion 110 includes a mounting space 114 in which a cover lighting 12 is installed inside;
The rim 110 includes an inner wall 115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storage space 112;
An outer wall 116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115; And
And an upper wall 117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15 and the outer wall 116;
Inside the inner wall 115 and the upper wall 117, light illuminated by the cover illumination 12 is reflected by a mirror-surface effect, a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wall 116 to deposit aluminum so as to have an indirect lighting effect Reflective layer 118;
The switch cover 1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4 form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cover lighting 12 inside the switch cover 10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ir (20) for radiating heat of the cover lighting (12) moun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14)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e heat dissipating unit 20 includes an intake unit 210 for guiding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4 according to the installed position and an exhaust unit for guiding the inside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114 to the outside, (220) so that air circul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Each of the intake unit 210 and the exhaust unit 220 includes a cover 24 configured to cover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22 and the through holes 22 to maintain an outer appearance of foreign matter penetration and a beautiful appearance.
Wherein the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특정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1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커버조명(12)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리감지센서(1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
The switch cover (10) according to claim 1,
A sound detection sensor 146 for detecting a specific sound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4 so that the cover light 12 is illuminated;
Wherein the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스위치가 설치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값이 설정된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 이를 마이컴(14)으로 전송하여 커버조명(12)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도센서(1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
The switch cover (10)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nce sensor 148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where the switch is installed and transmitting illumination to the microcomputer 14 when the illuminance value is detected to be less than the set value to allow illumination in the cover illumination 12;
Wherein the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커버(10)에는,
커버조명(12)이 조명되는 조건일 경우 외부로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스위치의 위치가 쉽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출력부(14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발광형 스위치장치.
The switch cover (10) according to claim 1,
An acoustic output unit 149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user when the cover lighting 12 is illuminated;
Wherein the light-emitting type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14015A 2016-04-15 2016-09-05 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8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62 2016-04-15
KR20160045662 2016-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814B1 true KR101764814B1 (en) 2017-08-03

Family

ID=5965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814B1 (en) 2016-04-15 2016-09-05 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14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2702B (en) Moebel
US9445699B2 (en) Low power toilet light illuminator and night light with photosensor activation
US7204614B2 (en) Portable, automated illumination device
KR20090115784A (en) Door Locking Device
US20150260387A1 (en) Night lighting system, method and component kit
CN105928304A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JP4278637B2 (en) Refrigerator with foot light
KR200485065Y1 (en) Lighted Mirror
JP5412154B2 (en) Door lock device
KR101764814B1 (en) Electricity Switch Cover Luminous
CN210868243U (en) Airing machin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iring machine
CN205641770U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CN212209273U (en) An illuminated wall switch
CN104896731B (en) Warm-air drier heater
KR101344868B1 (en) Illuminator for indoor
US20080197783A1 (en) Composite illumination module
JP3161424U (en) Sensor light
JP2009181834A (en) Sensor light
US11363698B2 (en) Door hardware illumination device
JP2007125194A (en) Luminous washstand
JP2013227861A (en) Western style toilet bowl device
CN204757365U (en) Electric fan heater room heater
CN219797116U (en) Toilet lamp
JP2001112655A (en) Illuminator for sanitary facility instrument and illuminator for sanitary facility chamber
CN217817627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