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386B1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Google Patents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4386B1 KR101764386B1 KR1020170039982A KR20170039982A KR101764386B1 KR 101764386 B1 KR101764386 B1 KR 101764386B1 KR 1020170039982 A KR1020170039982 A KR 1020170039982A KR 20170039982 A KR20170039982 A KR 20170039982A KR 101764386 B1 KR101764386 B1 KR 101764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tip
- tube
- fixing
- nee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61B2218/003—Irrigation using a spray or a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에 있어서, 튜브부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선단에 마련되고 고주파 인가시 통전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을 절제하는 전극 팁을 포함하고, 전극 팁은,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노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 로드(rod); 전극 로드(rod)의 선단에 전극 로드(rod)보다 큰 반경을 갖고 돔 형태로 상부면이 융기 형성된 제1 전극; 및 전극 로드(rod)에 제1 전극과 소정의 거리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하여, 전극 로드(rod)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나이프의 팁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2중 칼날이 조직의 박리시 조직에 잘 걸리고, 선단 전극에 조직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접촉 면적을 분산시키며, 병변 조직의 층에 용이하게 후킹(hooking)됨에 따라 어떠한 위치에서도 나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고 조직을 부드럽게 절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나이프의 팁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2중 칼날이 조직의 박리시 조직에 잘 걸리고, 선단 전극에 조직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접촉 면적을 분산시키며, 병변 조직의 층에 용이하게 후킹(hooking)됨에 따라 어떠한 위치에서도 나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고 조직을 부드럽게 절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내시경 점막하 절제용 처치구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나이프를 개선하여 환부의 프리커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점막 조직을 팽윤하는 약액 주입 니들이 일체로 형성된 고주파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통의 진료 영역에서 중요한 분야이다. 치료내시경 분야는 초소형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종래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의 치료를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이 병행됨에 따라 최소 침습적 수술이 가능해졌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 방법 중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또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에서는 내시경의 워킹 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송수 등의 처치 목적이나 점막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툴이 적절하게 교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처치구는 내시경의 워킹 채널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체내로 진입되는데,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을 절제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과정에서 출혈시 지혈을 목적으로 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점막 조직을 팽윤시키는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툴이 구비된다.
내시경 점막절제술(EMR)은 내시경이 발달한 일본에서 80년대부터 시작된 치료이다. 내시경은 진단을 위한 도구이지만, 여기에 올가미나 캡을 이용해 조기 위암을 치료하는데 시도했다. 점막에 붙어 있는 작은 암이라면 올가미로 묶거나 캡을 씌운뒤 내시경 끝에 달린 전기칼로 잘라내 치료할 수 있으리란 기대에서 시술되었다. 다만, 내시경 점막절제술(EMR)은 직경 2cm를 넘어가는 종양의 경우 크게 잘리거나 위벽이 뚫림으로 인해 천공이 발생되는 후유증이 동반될 수 있어 시술 범위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이 도입되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으로 위암은 물론 식도암과 대장암까지 치료하는 기술이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 끝에 달린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해 점막에 붙어 있는 암 덩어리 등의 종양을 절개한 뒤 얇게 박리하여 분리시키는 수술 방법을 말한다. 특히, 종양의 목 부분을 잘라내는 내시경 점막절제술(EMR)과 달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고주파 나이프가 암과 점막층을 좀 더 깊게 파고 들어가 포를 떠내듯 조금씩 점막층을 얇게 벗겨내면서 한꺼번에 암 덩어리를 떼어내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이용하면 큰 종양도 두께만 얇다면 이론적으로 얼마든지 크게 떼어낼 수 있게 되었다. 즉,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이용하면 내시경 점막절제술(EMR)과 달리 종양 제거 범위의 한계가 직경 2cm를 초과하여 직경 15cm가 되는 종양도 한꺼번에 내시경만으로 얇게 벗겨내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전신마취 없이 수면 상태에서 수술이 이뤄지며, 수술시간은 약 40분에서 한 시간가량이 소요되어 수술 시간이 비교적 짧은 편이다. 게다가, 수술 후 3~4일이면 퇴원이 가능하고, 거의 즉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이처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고, 조기위암, 대장암 등의 치료율을 높이고,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에 사용되는 고주파 나이프는, 일반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0595803호에 개시된 고주파 나이프와 같이 전극의 선단에 절연체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 병변 부위를 절개 또는 절취하는 과정에서, 병변 이외의 신체조직과 연접되더라도 절연체에 의하여 조직이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ESD 나이프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의 박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시경과 함께 병변 조직에 진입한 고주파 나이프는 병변 조직의 부위를 미소하게 소작하여 조직 부위를 마킹한다. 이후, 약물 주입 니들이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병변 조직에 식염수가 주입됨에 따라 병변 조직을 절제하기 용이하도록 팽윤시킨다. 이후, 고주파 나이프는 마킹 지점에 침습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조직의 주변을 360도 회전하면서 절개하기 시작한다. 고주파 나이프는 절개와 함께 병변 조직을 얇게 박리하게 되는데, 이 때 나이프에 인가되는 고주파는 비연속적이어서 조직을 소작하는 절개와 소작된 조직을 들어 올리는 박리의 작업은 동시에 진행되기 어렵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나이프는 팁에 고주파 인가된 시점에서는 조직을 절개하고, 팁에 고주파가 인가되지 않은 시점에 나이프 팁의 구조를 이용하여 조직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교대로 반복됨에 따라 조직 전반을 절제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제거 대상인 점막은 조직이 다층 구조이고, 울퉁불퉁한 주름 형태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혈관과 섬유 조직이 딱딱하게 변형된 부분을 갖기도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고주파 나이프의 팁이 절개와 박리를 동시적으로 매끄럽게 수행하기 극히 어렵게 된다. 고주파 나이프의 팁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단부가 돔 형상의 둥근 전극의 형상을 갖게 되어 조직 내로 침습 및 조직의 절개는 용이하지만, 상부로 얇게 박리되는 조직 층을 매끄럽게 들어 올리거나, 후킹(hooking)하면서 절개시키기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고주파 나이프가 조직을 끌어당길 때 나이프 끝에 절개된 조직층이 집중되어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통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개면에 화상(burn)을 입히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는 절개와 박리를 동시에 매끄럽게 진행시키기에 용이하지 않은 구조적 한계가 있다.
또한, 점막하 박리술은 병변 조직의 주변으로 진입하여,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워싱 등 다양한 처치가 요구되므로, 고주파 나이프는 이와 같은 처치를 한번의 삽입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고주파 나이프의 팁 구조는 절개 뿐만 아니라 조직이 잘 걸려서 박리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고주파 나이프에 송수, 지혈, 식염수, 약물 등을 주입하기 위한 니들이 고주파가 인가되는 전극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팁에 전극과 니들이 함께 배치된 구조로서 절개와 박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나이프 팁을 매끄럽게 형성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의 팁이 조직으로 침투하여 절개시에 나이프 단부에 조직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고 조직이 분산 접촉될 수 있으며, 병변 조직의 층에 후킹(hooking)되기 용이한 팁의 구조를 형성하여 부드럽게 커팅이 가능하고 절개와 박리가 용이한 고주파 나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 주입을 위한 카테타 니들을 교환하지 않고 점막하층을 팽윤 가능하도록 고주파 전극과 함께 팁에 구비되며, 팁 전극의 조직 절개시 니들이 조직의 박리를 방해하지 않는 팁 구조의 고주파 나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에 있어서, 튜브부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선단에 마련되고 고주파 인가시 통전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을 절제하는 전극 팁을 포함하고, 전극 팁은,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노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 로드(rod); 전극 로드(rod)의 선단에 전극 로드(rod)보다 큰 반경을 갖고 돔 형태로 상부면이 융기 형성된 제1 전극; 및 전극 로드(rod)에 제1 전극과 소정의 거리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하여, 전극 로드(rod)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극 로드(rod)는 제2 전극에 의해서 도전성 영역이 구획되고, 구획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도전성 영역에 병변 조직이 후킹(hooking)되는 량이 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극 로드(rod)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제2 전극과 튜브의 선단 사이의 이격 거리가 크도록 제2 전극이 제1 전극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극 로드(rod)는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1.0mm 내지 4.0mm의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은 상부면의 측면 테두리에 세라믹 절연체가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은 0.7mm 내지 1.2mm의 직경과 0.3mm 내지 0.5mm의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은 측면 테두리에 세라믹 절연체가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은 제1 전극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제1 전극보다 낮은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은 상부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은 상부면의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는 병변조직의 점막하에 침습하여 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한 액체를 유입시키는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는 튜브의 선단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주입구를 더 포함하고, 주입구는 튜브의 선단으로 연통되어 병변조직 및 주변을 세척하기 위한 식염수를 주입받는 제1 주입관; 및 니들과 연통되어 식염수 및 약물을 주입받는 제2 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구는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전극 팁 또는 니들을 포함하는 처치구를 제2 주입관의 진퇴 구동을 통해 교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구는 튜브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주입관 방향으로 역류하는 유체를 차단하도록 주입구의 선단을 밀폐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무패킹은 제1 주입관과 제2 주입관의 송수로가 관입되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송수로의 진퇴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연결부는 전극 팁과 연통되어 진퇴 구동을 통해 전극 팁의 진퇴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구는 전극 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 및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구는 전극 팁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1 스프링과 결속가능한 제1 고정막대; 및 니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2 스프링과 결속가능한 제2 고정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는 전극 팁 또는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고정스위치는 전극 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대; 및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대를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일단의 끝 또는 타단의 끝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극 팁과 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튜브의 선단은 전극 팁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송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의 팁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2중 칼날이 조직의 박리시 조직에 잘 걸리고, 선단 전극에 조직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접촉 면적을 분산시키며, 병변 조직의 층에 용이하게 후킹(hooking)됨에 따라 어떠한 위치에서도 나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고 조직을 부드럽게 절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가 인가되는 전극과 약물 또는 식염수를 주입하는 니들이 고주파 나이프 팁의 동일한 위치에서 교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마킹, 절개, 박리, 송수 기능을 하나의 처치구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전극 팁을 통한 조직 절개시 니들이 조직의 박리를 방해하지 않도록 팁 구조가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의 박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 A type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 B type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구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치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위치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 A type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 B type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구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치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위치의 분해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1)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주파 나이프(1)는 전극 팁(10), 주입구(30), 손잡이(50), 전원 연결부(70), 튜브부(80) 및 니들(90, 도 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연결부(70)에는 전극 팁(10)으로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손잡이(50)와 주입구(30)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핸드피스 ESD 나이프는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 잭이 시술자가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와 근접한 영역에 전원 연결부가 고정적으로 형성된다. 실제 현장에서 의료 종사자가 ESD 나이프를 전원 잭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전원 케이블은 손잡이의 작동 반경에 방해되어 사용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부(70)는 손잡이(50)와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조작상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도록 한다.
전원 연결부(70)가 배치되는 형태는 전술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원 연결부(70)가 잭과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단자의 방향도 도 2와 같이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70)는 니들(90, 도 6)과 연결되어 진퇴 구동을 통해 니들(90, 도 6)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5의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손잡이(50)는 제1 손잡이부(501)와 제2 손잡이부(503)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손잡이(50)는 엄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게 되는 제2 손잡이부(503)와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으로 파지하게 되는 제1 손잡이부(501)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501)는 제2 손잡이부(503)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손잡이부(501)가 고정된다면, 제2 손잡이부(503)가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고, 제2 손잡이부(503)가 고정된다면, 제1 손잡이부(501)가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로 손잡이(50)는 엄지 손가락이 압력을 가하는 제2 손잡이부(503) 후단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절개된 홀(5031)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0)는 정밀한 조작을 위해 한손으로 파지하여 제1 손잡이부(501) 또는 제2 손잡이부(503)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엄지 손가락이 제2 손잡이부(503)를 후퇴시키는 동작은 손의 구조상 제1 손잡이부(501)로부터 정확히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엄지 손가락은 나머지 손가락으로부터 멀어질 때 원호를 그리며 벌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손잡이부(503)의 후단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홀(5031)이 절개된 구조는 엄지 손가락이 가하는 측방향의 텐션을 완화시킨다. 즉, 제1 손잡이부(501)의 이동 축을 기준으로 측방향의 텐션을 축의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엄지 손가락이 가하는 측방향의 인출력을 완충하고, 보다 정밀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엄지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통증이 경감될 수 있다.
튜브부(80)는 주입구(30)의 선단에서 시작되어 체내로 진입되는 튜브의 영역을 정의한다. 튜브부(80)는 튜브의 선단(803)까지 고주파를 도통시키는 전도체와 주입구(30)로부터 전송되는 유체를 전달하는 송수로가 수용된 튜브(801) 및 전극 팁(10)을 수용하기 위한 튜브의 선단(8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의 선단(803) 전극 팁(10)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송수구(803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의 선단(803)에 형성된 송수구(8031)는 병변조직의 절개박리시 전극 팁(10)과의 마찰을 통해 생성되는 탄소화된 세포 및 세포의 출혈 등으로 인한 절개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주파 나이프(1)의 부드러운 절개를 유도할 수 있으며, 박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극 팁(10)은 튜브부(80)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선단(803)에 마련되고 전력 인가시 통전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을 절제할 수 있다. 전극 팁(10)은 병변 조직의 주변과 선단이 직접 접촉하여 조직에 절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마킹을 생성하거나, 조직을 절제하기 위한 절개와 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10)은 조직 절개시 조직이 응축되지 않고, 단단하거나 층이 있는 병변 조직도 매끄럽게 절개될 수 있도록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절개하기 위한 전극 팁(10)의 구조는 단일 전극을 가진 상태에서는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단으로 설치된 전극을 개시함으로써 절개와 박리 작업이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팁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다단으로 설치된 전극과 관련된 설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10) A type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전극 팁(10) A type의 사시도이며, (b)는 전극 팁(10) A type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10) B type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전극 팁(10) B type의 사시도이며, (b)는 전극 팁(10) B type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팁(10)은 튜브의 선단(803)에서 외부로 신장되어 형성된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극 팁(10)은 해당 타입의 구분없이 전극 로드(101)와 전극 로드(101)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 전극(103) 및 제2 전극(105)의 구성 부분을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명시된 전극 팁(10) A type과 B type에 관련된 내용은 하기의 <실시예1>과 <실시예2>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전극 로드(101)는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노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극 로드(101)는 전극 팁(10)의 구조에서 나이프(1)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컬럼(column) 부분을 정의한다.
전극 팁(10)은 컬럼 형상의 전극 로드(101)에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전극(103, 105)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전극 팁(10)의 구조에서, 전극 로드(101) 상에 2중 전극 구조를 형성하는 나이프의 영역을 제1 전극(103), 제2 전극(105)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전극 로드(101)는 고주파가 인가되어 에너지를 갖게 되면 접촉하는 병변 조직 또는 병변 주변을 절개할 수 있다. 전극 로드(101)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고주파 나이프(1)의 측방향 이동에서도 병변부위 혹은 주변 조직을 절개할 수 있다.
전극 로드(101)는 후술하게 될 제2 전극(105)에 의해서 도전성 영역이 구획되고, 구획된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 사이의 도전성 영역에 병변 조직이 후킹(hooking)되는 량이 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영역은 병변이 발생된 점막 표면이 울퉁불퉁 하거나, 경화되어 강도가 강해진 변형 조직에 고주파 나이프(1)가 침습하여 절개 및 박리과정이 진행될 때 전극 팁(1)의 선단에 절제되는 병변 조직이 뭉치게 되어 화상(burn)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영역이 마련된 고주파 나이프(1)는 후킹시 절제된 조직이 나이프에 걸리는 량이 분산되어 병변 조직을 절개 하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으며,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절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극 로드(101)는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의 이격 거리가 크도록 제2 전극(105)이 제1 전극(103)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식도, 대장 등 벽이 얇은 장기의 점막하층까지 전극 로드(101)가 침투되는 경우에는 조직의 점막 층을 용이하게 후킹(hooking)하기 위해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한된 전극 로드(101)의 높이에서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 사이의 이격된 전극 로드(101)의 길이는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 사이의 이격된 전극 로드(101)의 길이는 0.4mm일 수 있다. 위, 대장 등의 장기는 점막하층의 평균두께가 약 2.0mm 내지 2.8mm로 점막하층 박리 시, 혈관 및 섬유화가 관찰되는 경우 고주파 전류를 송출하는 전극 로드(101)와의 순간적인 접촉을 통해 점막 층의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를 0.3mm 내지 0.5mm로 형성시키는 경우 조직의 화상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술한 이격 거리 보다 큰 범위를 갖도록 0.8mm 내지 1.0mm의 범위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의 이격 거리는 0.9mm일 수 있다.
전극 로드(101)는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1.0mm 내지 4.0mm의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로드(101)는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2mm 길이의 높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면은 전극의 상면을 의미하고, 전극의 하부면은 튜브(801) 방향쪽 단면인 하면을 의미한다.
제1 전극(103)은 전극 로드(101)의 선단에 전극 로드(101)보다 큰 반경을 갖고 돔 형태로 상부면이 융기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03)은 상부면이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병변 조직 혹은 병변 주위로 전극 팁(10)을 접촉시키는 경우 접촉하는 각도와 접촉하는 압력에 따라 생성되는 마킹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03)은 돔 형태로 융기된 상부면의 구조로 인하여 점막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방향 이외의 접촉방향에서도 용이하게 조직에 대한 소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03)의 돔 형태로 융기 형성된 상부면은 병변 조직의 점막하층을 박리하는 과정에서 병변 조직이 뒤집혀서 응축되지 않고, 상부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박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 전극(103)의 테두리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세라믹 소재의 제1 절연체(1031)가 코팅될 수 있다. 제1 절연체(1031)는 고주파를 차단하여 제1 전극(103)의 의도하지 않은 측면 영역의 접촉이 주변 영역을 절개하지 않도록 한다.
제1 전극(103)은 0.7mm 내지 1.0mm의 직경과 0.3mm 내지 0.5mm의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103)은 0.8mm의 직경과 0.4mm의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전극(103)의 높이는 기둥 모형의 측벽을 정의하고 해당 영역은 제1 전극(103)의 테두리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영역에 제1 절연체(1031)가 코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03)의 직경 및 높이가 더욱 커지게 되는 경우, 조직을 절단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되나 전극과 조직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절단량이 증가는 단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직 천공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나이프(1)의 제1 전극(103)의 직경 및 높이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제2 전극(105)은 전극 로드(101)에 제1 전극(103)과 소정의 거리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은 서로 상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전극(105)은 전극 팁(10)에 일단에 위치한 제1 전극(103)과 튜브의 선단(803) 사이에 마련된 전극 로드(101)상에 위치하여, 전극 로드(101)의 영역을 분획할 수 있다.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하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05)은 제1 전극(103)과 마찬가지로 측면의 테두리에 세라믹 절연체가 코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05)의 테두리에 코팅된 세라믹 절연체를 제2 절연체(1051)로 지칭한다. 제2 절연체(1051)는 고주파를 차단하여 제2 전극(105)의 의도하지 않은 측면 영역의 접촉이 주변 영역을 절개하지 않도록 한다.
제2 전극(105)은 제1 전극(10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제1 전극(103)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05)은 0.2mm 내지 0.4mm의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105)은 0.3mm의 높이로 설계될 수 있다. 제2 전극(105)의 직경은 제1 전극(103)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팁(10)은 제2 전극(105)의 형상에 따라 A type의 실시예와 B type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A type의 제2 전극(105)은 상부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05)은 제1 전극(103)과 달리 상부면에 굴곡이 포함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105)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전극 로드(101)를 둘러싸는 원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A type의 전극 구조는 후술하게 될 <실시예 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B type의 제2 전극(105)은 상부면의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05)은 상부면이 융기될 수 있다. 제2 전극(105)은 제2 절연체(1051)가 코팅된 측면으로부터 전극 로드(101)까지 연결되는 상부면이 제1 전극(103)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로 테이퍼(1053)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05)의 상부면은 전극 로드(10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제2 전극(105)의 상부면이 전술한 바와 같은 테이퍼(1053)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전극 팁(10)중 제1 전극(103)과 전극 로드(101)의 일부만 병변 조직 내부로 침습하여 박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전극(105)의 상부면을 따라 박리됨으로써 병변 조직이 응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B type의 전극 구조는 후술하게 될 <실시예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구(30)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입구(30)는 제1 주입관(301), 제2 주입관(303), 고무패킹(305), 제1 슬라이딩홈(307) 및 제2 슬라이딩홈(30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관(301)과 제2 주입관(303)은 상이한 액상이 투입될 수 있음에 따라 서수로 구분되었다. 또한, 제1 슬라이딩홈(307)과 제2 슬라이딩홈(309)은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 서수로 구분되었다. 한편, 주입구(30)와 대응된 위치에 진퇴 구동이 가능한 전원 연결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구(30)는 튜브의 선단(803)으로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주입구(30)는 제1 주입관(301)과 제2 주입관(303)과 고무패킹(305)과 제1 슬라이딩홈(307) 및 제2 슬라이딩홈(30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관(301)은 병변조직 및 주변을 세척하기 위한 식염수를 주입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주입관(301)에는 병변부위 및 주변 워싱을 위한 식염수가 주입될 수 있다. 제1 주입관(301)은 고주파 나이프(1)을 중앙에서 관통하는 제1 송수로(3013)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식염수를 튜브의 선단(803)에 형성된 송수구(8031)로 전달할 수 있다. 송수구(8031)로 전달된 식염수는 제1 전극(103)의 상부면이 병변 조직과 맞닿아 소작하는 과정에서 냉각 및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주입관(301)은 주입되는 식염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마개(301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주입관(301)은 식염수 송수 주입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송수로(3013)는 제1 주입관(301)과 튜브의 선단(803)을 연통하는 유체의 통로를 정의한다. 제1 송수로(3013)는 식염수를 주입받아 튜브의 선단(803)으로 송수할 수 있으며, 송수구(8031)를 통해 식염수를 배출할 수 있다.
제2 주입관(303)은 니들(90, 도 6)과 연통되어 식염수 및 약물을 주입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주입관(303)은 식염수 및 약물이 주입될 수 있다. 제2 주입관(303)은 튜브(801)의 고주파 나이프(1)을 관통하는 제2 송수로(3033)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식염수 및 약물을 니들(90, 도 6)로 전달할 수 있다. 니들(90, 도 6)로 전달된 식염수 및 약물은 니들(90, 도 6)에서 니들 송수구(901)를 통해 병변 조직 및 조직 점막 하단으로 유입되며, 이를 통해 병변 조직은 침습과정에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병변 조직은 니들(90, 도 6)로부터 주입되는 식염수를 통해 절개 및 박리가 용이한 형태로 팽윤될 수 있다. 제2 주입관(303)은 주입되는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마개(303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주입관(303)은 니들(90, 도 6)과 연통된 식염수 및 약물 주입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송수로(3033)는 제2 주입관(303)과 니들(90, 도 6)을 연통하는 유체의 통로를 정의한다. 제2 송수로(3033)는 식염수 및 약물을 주입받아 니들(90, 도 6)로 송수할 수 있으며, 니들 송수구(901, 도 6)를 통해 식염수를 배출하여 병변주의 세척 및 병변부위를 팽윤시킬 수 있다. 또한, 병변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을 배출할 수 있다.
주입구(30)는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전극 팁(10) 또는 니들(90, 도 6)을 포함하는 처치구(A, 도 6)를 제2 주입관(303)의 진퇴 구동을 통해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구(30)는 제2 주입관(303)의 진퇴 구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홈(309)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30)는 제2 슬라이딩홈(309)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슬라이딩홈(307)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30)는 제2 주입관(303)의 진퇴 구동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처치구(A, 도 6)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주입관(303)은 제2 스프링(3035) 및 제2 고정막대(30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입관(303)은 전방으로 구동시 제2 송수로(3033)와 연결된 니들(90, 도 6)을 튜브의 선단(803)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3035)과 제2 고정막대(3037)는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제2 주입관(303)은 후방으로 구동시 제2 송수로(3033)와 연결된 니들(90, 도 6)을 튜브의 선단(803)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3035)과 제2 고정막대(3037)는 결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막대(3037)는 복수의 제2 스프링홈(303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입관(303)의 진퇴 구동으로 인하여 제2 고정막대(3037)와 고정스위치(40)가 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막대(3037)는 제2 고정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대홈은 제1 고정막대(3017)의 제1 고정대홈(30173)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2 고정막대(3037)에 형성된 홈을 의미한다.
제2 스프링(3035)은 니들(90, 도 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3035)은 제2 고정막대(3037)에 복수로 형성된 제2 스프링홈(30371) 중 손잡이(5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홈(30371)과 결속할 수 있다. 제2 스프링(3035)은 제2 스프링홈(30371)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035)의 볼록한 부분은 모양이나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제2 스프링홈(30371)과 결속되어 제2 고정막대(3037)의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모든 형태와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프링(3035)은 볼록한 부분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035)은 제2 스프링(3035)과 제2 스프링홈(30371)이 결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주입관(303)을 조작하는 경우 볼록한 부분이 압축되면서 제2 스프링홈(30371)과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제2 스프링(3035)은 제2 주입관(303)이 제2 슬라이딩홈(309)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2 스프링홈(30371)과 결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니들(90, 도 6)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막대(3037)는 니들(90, 도 6)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2 스프링(3035)과 결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막대(3037)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홈(3037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최전방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홈(30371)은 니들(90, 도 6)이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조직의 팽윤 시 제2 스프링(3035)이 결속되어, 조직과 니들(90, 도 6)간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니들(90, 도 6)이 튜브의 선단(803) 내부로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 후방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홈(30371)은 니들(90, 도 6)이 튜브의 선단(803) 내부에 인입된 경우 제2 스프링(3035)가 결속되어, 니들(90, 도 6)과 튜브부(80) 내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원 연결부(70)는 전극 팁(10)과 연통되어 진퇴 구동을 통해 전극 팁(10)의 진퇴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연결부(70)는 제1 송수로(3013)와 연결되어 진퇴 구동을 전극 팁(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의 진퇴 구동을 위해 주입구(30)에는 제1 슬라이딩홈(307)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진퇴 구동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처치구(A)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특히, 전원 연결부(70)는 제1 스프링(3015) 및 제1 고정막대(3017)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전방으로 구동시 제1 송수로(3013)와 연결된 전극 팁(90)을 튜브의 선단(803)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3015)과 제1 고정막대(3017)는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전원 연결부(70)는 후방으로 구동시 제1 송수로(3013)와 연결된 전극 팁(10)을 튜브의 선단(803)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3015)과 제1 고정막대(3017)는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막대(3017)는 복수의 제1 스프링홈(301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70)의 진퇴 구동으로 인하여 제1 고정막대(3017)와 고정스위치(40)가 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막대(3017)는 제1 고정대홈(301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015)는 전극 팁(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3015)은 제1 고정막대(3017)에 복수로 형성된 제1 스프링홈(30171) 중 손잡이(5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1 스프링홈(30171)과 결속할 수 있다. 제1 스프링(3015)은 제1 스프링홈(30171)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015)의 볼록한 부분은 모양이나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제1 스프링홈(30171)과 결속되어 제1 고정막대(3017)의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모든 형태와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3015)은 볼록한 부분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015)은 제1 스프링(3015)과 제1 스프링홈(30171)이 결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연결부(70)를 조작하는 경우 볼록한 부분이 압축되면서 제1 스프링홈(30171)과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제1 스프링(3015)은 전원 연결부(70)가 제1 슬라이딩홈(307)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 스프링홈(30171)과 결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 팁(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막대(3017)는 전극 팁(10)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1 스프링(3015)과 결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막대(3017)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홈(3017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최전방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홈(30171)은 전극 팁(10)이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조직의 절개 및 박리 시 제1 스프링(3015)과 결속되어, 조직과 전극 팁(10)간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전극 팁(10)이 튜브의 선단(803) 내부로 인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후방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홈(30171)은 전극 팁(10)이 튜브의 선단(803) 내부에 인입된 경우 제1 스프링(3015)과 결속되어, 전극 팁(10)과 튜브부(80) 내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고무패킹(305)은 튜브부(80) 타단에서 제1 주입관(301) 방향으로 역류하는 유체를 차단하도록 주입구(30)의 선단을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구(3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1 송수로(3013)와 제2 송수로(3033)를 통하여 튜브의 선단(803) 또는 니들(90, 도 6)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유체는 송수구(8031) 또는 니들 송수구(901, 도 6)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유체는 제1 송수로(3013) 및 제2 송수로(3033)의 외벽을 타고 주입구(30) 방향으로 역류할 수 있다. 특히, 주입구(30)를 경유하여 전원 연결부(70)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고주파 나이프(1)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고무패킹(305)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 필수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고무패킹(305)은 탄성을 가진 재질의 특성상 튜브의 타단과 상접하여 유체의 역류가 가능한 틈을 막을 수 있다.
고무패킹(305)은 제1 송수로(3013)와 제2 송수로(3033)가 관입되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송수로(3013, 3033)의 진퇴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무패킹(305)은 제1 송수로(3013)와 제2 송수로(3033)가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고무패킹(305)은 튜브의 타단에 고정되어 제1 송수로(3013)와 제2 송수로(3033)의 구동시 관통공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치구(A)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처치구(A)는 전극 팁(10)과 니들(90)이 작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니들(90)은 병변조직의 점막하에 침습하여 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들(90)은 병변조직의 절개박리 전 병변부위의 점막하층에 침습하여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니들(90)은 일단에 니들 송수구(901)가 마련되어 주입구(30)로부터 액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특히, 니들(90)은 제2 송수로(3033)와 연통되어 약물 및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다.
니들 송수구(901)는 전달받은 액체를 점막하층에 주입하여 병변부위와 전극 팁(10)이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팽윤시킬 수 있다. 니들 송수구(901)는 절개 전 조직을 팽윤시키는 식염수를 주입하며, 세포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스위치(40)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스위치(40)는 제1 고정대(401) 및 제2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스위치(40)는 전극 팁(10) 또는 니들(9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스위치(4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일단의 끝 또는 타단의 끝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극 팁(10)과 니들(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7과 같이 고주파 나이프(1)가 세팅되어 있는 경우, 압력에 의해 고정스위치(40)가 도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스위치(40)는 제2 고정막대(3037)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극 팁(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고정스위치(40)가 반대방향의 압력을 받아 도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고정스위치(40)는 제1 고정막대(3017)를 고정시킴으로써 니들(9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대(401)는 전극 팁(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대(401)는 제1 고정막대(3017)에 형성된 제1 고정대홈(30173)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고정막대(3017)에 연결된 전극 팁(10)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대(401)는 전극 팁(10)을 튜브의 선단(803) 외측에 고정시키지 않고, 튜브의 선단(803)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동과 함께, 사용자는 제2 송수관(303)의 진퇴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송수관(303)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니들(90)이 튜브의 선단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송수관(303)을 제2 슬라이딩홈(309)의 최전방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2 스프링(3035)과 제2 고정막대(3037)가 결속하여 니들(90)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대는 니들(9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대는 제2 고정막대(3037)에 형성된 제2 고정대홈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고정막대(3037)에 연결된 니들(90)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대는 니들(90)을 튜브의 선단(803) 외측에 고정시키지 않고, 튜브의 선단(803)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동과 함께, 사용자는 전원 연결부(70)의 진퇴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부(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극 팁(10)이 튜브의 선단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를 제1 슬라이딩홈(307)의 최전방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1 스프링(3015)과 제1 고정막대(3017)가 결속하여 전극 팁(10)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대는 제1 고정대(401)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2 고정막대(3037)의 고정을 위해 형성된 구조물로 정의된다.
이하 고주파 나이프(1)를 구성하는 전극 팁(10)의 구조를 변형하여 적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서술한다.
<
실시예1
> 전극 팁(10) A typ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팁(10) A type은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1.8mm 내지 2.2mm의 길이로 신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2.0mm의 길이로 신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가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는 0.3mm 내지 0.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는 0.8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는 0.4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는 0.9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0.3mm 내지 0.5mm 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0.4mm 로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A type은 제2 전극(105)의 높이가 0.2mm 내지 0.4mm 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제2 전극(105)의 높이가 0.3mm 로 설계될 수 있다. 이처럼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제2 전극(105)의 높이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직경이 0.7mm 내지 1.2mm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직경이 0.8mm로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측면이 제1 절연체(1031)와 제2 절연체(1051)로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전극 팁(10) A type은 제1 전극(103)의 상부면이 융기된 돔형태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5)의 상부면은 융기되지 않고 편평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05)은 측면이 제2 절연체(1051)로 코팅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융기되지 않은 편평한 형태로 제공되어 전극 영역이 측면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
실시예2
> 전극 팁(10) B typ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팁(10) B type은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1.8mm 내지 2.2mm의 길이로 신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B type은 튜브의 선단(803)으로부터 2.0mm의 길이로 신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가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는 0.4mm 내지 0.6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는 0.7mm 내지 0.9mm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이격 거리는 0.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5)과 튜브의 선단(803)과의 이격 거리는 0.8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0.3mm 내지 0.5mm 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0.4mm 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팁(10) A type은 제2 전극(105)의 높이가 0.2mm 내지 0.4mm 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A type은 제2 전극(105)의 높이가 0.3mm 로 설계될 수 있다.이처럼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의 높이가 제2 전극(105)의 높이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다.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직경이 0.7mm 내지 1.2mm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과 제2 전극(105)의 직경이 0.8mm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전극 팁(10) B type은 제1 전극(103)의 상부면이 융기된 돔형태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5)의 상부면은 전극 로드(101)를 중심축으로 대칭 형태로 제1 전극(103) 방향으로 융기되어 테이퍼(1053)를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B type은 A type과 다르게 제2 전극(105)의 전극 영역이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고주파 나이프
10: 전극 팁
101: 전극 로드
103: 제1 전극
1031: 제1 절연체
105: 제2 전극
1051: 제2 절연체
1053: 테이퍼
30: 주입구
301: 제1 주입관
3011: 제1 마개
3013: 제1 송수로
3015: 제1 스프링
3017: 제1 고정막대
30171: 제1 스프링홈
30173: 재1 고정대홈
303: 제2 주입관
3031: 제2 마개
3033:제2 송수로
3035: 제2 스프링
3037: 제2 고정막대
30371: 제2 스프링홈
305: 고무패킹
307: 제1 슬라이딩홈
309: 제2 슬라이딩홈
40: 고정스위치
401: 제1 고정대
50: 손잡이
501: 제1 손잡이부
503: 제2 손잡이부
5031: 절개된 홀
70: 전원 연결부
80: 튜브부
801: 튜브
803: 튜브의 선단
8031: 송수구
90: 니들
901: 니들 송수구
A: 처치구
10: 전극 팁
101: 전극 로드
103: 제1 전극
1031: 제1 절연체
105: 제2 전극
1051: 제2 절연체
1053: 테이퍼
30: 주입구
301: 제1 주입관
3011: 제1 마개
3013: 제1 송수로
3015: 제1 스프링
3017: 제1 고정막대
30171: 제1 스프링홈
30173: 재1 고정대홈
303: 제2 주입관
3031: 제2 마개
3033:제2 송수로
3035: 제2 스프링
3037: 제2 고정막대
30371: 제2 스프링홈
305: 고무패킹
307: 제1 슬라이딩홈
309: 제2 슬라이딩홈
40: 고정스위치
401: 제1 고정대
50: 손잡이
501: 제1 손잡이부
503: 제2 손잡이부
5031: 절개된 홀
70: 전원 연결부
80: 튜브부
801: 튜브
803: 튜브의 선단
8031: 송수구
90: 니들
901: 니들 송수구
A: 처치구
Claims (20)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에 있어서,
튜브부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선단에 마련되고 고주파 인가시 통전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을 절제하는 전극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팁은,
상기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노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 로드(rod);
상기 전극 로드(rod)의 선단에 상기 전극 로드(rod)보다 큰 반경을 갖고 돔 형태로 상부면이 융기 형성된 제1 전극; 및
상기 전극 로드(rod)에 상기 제1 전극과 소정의 거리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하여,
상기 전극 로드(rod)에 복수개의 전극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로드(rod)는,
상기 제2 전극에 의해서 도전성 영역이 구획되고,
구획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도전성 영역에 병변 조직이 후킹(hooking)되는 량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로드(rod)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튜브의 선단 사이의 이격 거리가 크도록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제1 전극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로드(rod)는,
상기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1.0mm 내지 4.0mm의 길이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부면의 측면 테두리에 세라믹 절연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0.7mm 내지 1.2mm의 직경과 0.3mm 내지 0.5mm의 높이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측면 테두리에 세라믹 절연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전극보다 낮은 높이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부면이 편평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부면의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병변조직의 점막하에 침습하여 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한 액체를 유입시키는 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선단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주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튜브의 선단으로 연통되어 병변조직 및 주변을 세척하기 위한 식염수를 주입받는 제1 주입관; 및
상기 니들과 연통되어 식염수 및 약물을 주입받는 제2 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튜브의 선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전극 팁 또는 상기 니들을 포함하는 처치구를 상기 제2 주입관의 진퇴 구동을 통해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튜브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주입관 방향으로 역류하는 유체를 차단하도록 주입구의 선단을 밀폐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제1 주입관과 상기 제2 주입관의 송수로가 관입되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송수로의 진퇴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1 항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전극 팁과 연통되어 진퇴 구동을 통해 상기 전극 팁의 진퇴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전극 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 및
상기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전극 팁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과 결속가능한 제1 고정막대; 및
상기 니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프링과 결속 가능한 제2 고정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팁 또는 상기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위치는,
상기 전극 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대; 및
상기 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대를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일단의 끝 또는 타단의 끝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극 팁 과 상기 니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선단은,
상기 전극 팁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송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나이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982A KR101764386B1 (ko) | 2017-03-29 | 2017-03-29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PCT/KR2017/008103 WO2018182101A1 (ko) | 2017-03-29 | 2017-07-27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9982A KR101764386B1 (ko) | 2017-03-29 | 2017-03-29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4386B1 true KR101764386B1 (ko) | 2017-08-03 |
Family
ID=5965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9982A KR101764386B1 (ko) | 2017-03-29 | 2017-03-29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4386B1 (ko) |
WO (1) | WO2018182101A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101A1 (ko) * | 2017-03-29 | 2018-10-04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CN108814711A (zh) * | 2018-08-14 | 2018-11-16 | 浙江创想医学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黏膜切开刀 |
KR20190061586A (ko) | 2017-11-28 | 2019-06-05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다중 전극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
KR20190062765A (ko) | 2017-11-29 | 2019-06-07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응고와 절제 공정의 자동 수행을 위한 가변 출력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
KR20200117600A (ko) | 2019-04-05 | 2020-10-1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
KR20210007811A (ko) * | 2019-07-10 | 2021-01-20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CN112803218A (zh) * | 2021-01-08 | 2021-05-14 | 绵阳铂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电缆焊接的冷焊机 |
CN113473930A (zh) * | 2018-12-14 | 2021-10-01 | 奥林巴斯株式会社 | 电极单元以及内窥镜系统 |
KR20230038148A (ko) * | 2020-03-16 | 2023-03-17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KR102679901B1 (ko) | 2023-10-31 | 2024-06-28 | 황지영 | 양극성 전극을 사용하는 복합 전기 수술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69819A (zh) * | 2019-05-31 | 2019-08-27 | 江苏美安医药股份有限公司 | 射频导管转动式出针系统 |
CN112618008A (zh) * | 2020-12-31 | 2021-04-09 |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频粘膜切开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3537A (ja) | 2003-04-17 | 2004-11-11 | Olympus Corp | 高周波ナイフ |
JP4109092B2 (ja) | 2002-11-21 | 2008-06-2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高周波ナイフ |
KR101328473B1 (ko) | 2013-06-04 | 2013-11-13 | 정명준 |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06587B2 (en) * | 2004-03-31 | 2007-12-11 | Wilson-Cook Medical Inc. | Adjustable handle for a medical device |
JP4458031B2 (ja) * | 2005-11-30 | 2010-04-28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生体用縫合具 |
KR100943130B1 (ko) * | 2009-09-15 | 2010-02-18 |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 내시경 점막하 절제용 처치구 |
JP2014501551A (ja) * | 2010-10-28 | 2014-01-23 | クック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アブレーションデバイス |
KR101764386B1 (ko) * | 2017-03-29 | 2017-08-03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
2017
- 2017-03-29 KR KR1020170039982A patent/KR1017643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27 WO PCT/KR2017/008103 patent/WO201818210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09092B2 (ja) | 2002-11-21 | 2008-06-2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高周波ナイフ |
JP2004313537A (ja) | 2003-04-17 | 2004-11-11 | Olympus Corp | 高周波ナイフ |
KR101328473B1 (ko) | 2013-06-04 | 2013-11-13 | 정명준 | 3중 가변형 내시경하 점막하층 스마트 속시술기구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101A1 (ko) * | 2017-03-29 | 2018-10-04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KR20190061586A (ko) | 2017-11-28 | 2019-06-05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다중 전극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
KR102028413B1 (ko) | 2017-11-28 | 2019-10-04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다중 전극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
KR20190062765A (ko) | 2017-11-29 | 2019-06-07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응고와 절제 공정의 자동 수행을 위한 가변 출력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
CN108814711A (zh) * | 2018-08-14 | 2018-11-16 | 浙江创想医学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黏膜切开刀 |
CN113473930A (zh) * | 2018-12-14 | 2021-10-01 | 奥林巴斯株式会社 | 电极单元以及内窥镜系统 |
KR20200117600A (ko) | 2019-04-05 | 2020-10-1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
KR20210007811A (ko) * | 2019-07-10 | 2021-01-20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KR102336100B1 (ko) * | 2019-07-10 | 2021-12-08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KR20230038148A (ko) * | 2020-03-16 | 2023-03-17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KR102695755B1 (ko) * | 2020-03-16 | 2024-08-19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CN112803218A (zh) * | 2021-01-08 | 2021-05-14 | 绵阳铂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电缆焊接的冷焊机 |
CN112803218B (zh) * | 2021-01-08 | 2022-07-05 | 绵阳铂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电缆焊接的冷焊机 |
KR102679901B1 (ko) | 2023-10-31 | 2024-06-28 | 황지영 | 양극성 전극을 사용하는 복합 전기 수술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82101A1 (ko)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4386B1 (ko) |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
JP5112292B2 (ja) | 内視鏡手術器具 | |
KR101830085B1 (ko) |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
US8454597B2 (en) | Endoscop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 |
US20040210284A1 (en) | Radio knife | |
JP5775989B1 (ja) |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 |
US11071579B2 (en) | Bipolar cutting and hemostasis blade system | |
CN105395251B (zh) | 一种内镜用高频电刀 | |
JP2009112794A (ja) | 高周波処置具 | |
US20230116333A1 (en) | Medical device capable of injection, cutting and coagulation | |
EP3965678B1 (en) | Medical device | |
US20220015615A1 (en) | Treatment device | |
US20230084814A1 (en) |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
JP4965416B2 (ja) | 高周波処置具 | |
KR20210007811A (ko) |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 |
CN219000541U (zh) | 一种新型等离子双极黏膜切开刀 | |
KR20190020601A (ko) |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 |
US20190380763A1 (en) | Attachment for electrosurgical system | |
KR102679901B1 (ko) | 양극성 전극을 사용하는 복합 전기 수술기 | |
CN212234668U (zh) | 一种内窥镜用切开刀 | |
CN109771003A (zh) | 一种医用多功能组织圈套器 | |
CN221903987U (zh) | 一种单极双注液切割刀 | |
KR20240111964A (ko) | 복수개의 처치구가 병용된 멀티 루멘의 동작 특성이 개선된 의료용 토출 기구 | |
CN111329578A (zh) | 一种内窥镜用切开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