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52312B1 -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312B1
KR101752312B1 KR1020160155408A KR20160155408A KR101752312B1 KR 101752312 B1 KR101752312 B1 KR 101752312B1 KR 1020160155408 A KR1020160155408 A KR 1020160155408A KR 20160155408 A KR20160155408 A KR 20160155408A KR 101752312 B1 KR101752312 B1 KR 10175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keratinocyte
skin
matrix
prote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진
신태석
이승진
이민혜
고영철
유강민
홍승기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주식회사 뉴로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주식회사 뉴로피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Priority to KR102016015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12B1/ko
Priority to US15/820,093 priority patent/US10307361B2/en
Priority to EP17203071.0A priority patent/EP33387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라이소 레시틴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베지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지클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과 함께 피담치체로 함유하여 피부 도포 시 우수한 피부 장벽 회복 기능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상안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의 상용화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Vesicles containing Saccharide isomerate, Hydrolyzed lupine protein and Intercorneocyte lipid mimetics, and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라이소 레시틴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베지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지클은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함유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과 함께 피담지체로 함유하여 피부 도포 시 우수한 피부 장벽 회복 기능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상안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의 상용화에 유용하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다양한 세포들과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모 및 이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는 몸의 건강상태를 나타낼 뿐 아니라, 체내 수분의 증발 방지, 체온조절, 자외선 등 외부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유해 미생물 및 오염물질의 침입 방지 등의 인체의 1차 방어막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표피에는 각질층이 존재함으로써 인체를 보호하는 피부장벽의 역할을 한다.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세포간지질이 유기적인 복합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건강한 상태의 각질층에는 약 30%의 수분, 세포간지질, 아미노산, 요소 유기산 등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및 피지가 존재하여 피부장벽의 기능을 수행한다.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저하되면 각질세포의 유연성이 감소되고, 각질의 정상적인 탈락을 관여하는 각질교소체 분해 효소들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어 각질층 최상부의 각질이 축적되고 부분적으로 덩어리째 탈락되는 현상이 생기게 되며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도 병발한다. 또한,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으로 건조피부가 유발될 수 있으며, 건조피부는 피부노화 및 세균 감염 등의 2차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표피의 기저층에서 증식하던 기저세포가 각질층으로 이동하는 동안, 단계적으로 형태와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각질형성세포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각질형성세포의 각화라고 한다.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기저층에서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한다.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자연보습인자 및 세포간지질을 생성한다. 즉, 각질층 내의 자연보습인자, 각질세포간의 지질 및 각질세포의 탈락이 피부 보습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각질층 내의 자연보습인자는 각질층의 각질이 적절히 수화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의 과립층에 존재하는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은 각질형성세포의 최종분화 과정에서 필라그린으로 변하고, 필라그린은 각질층 상부로 올라가면서 자연보습인자로 분해된다. 필라그린의 분해로 생성된 자연보습인자들은 강력한 보습제로서, 수분과 결합하여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시키고 각질층의 pH를 조절하여 각질층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필라그린은 각질형성세포의 최종분화 과정에서 각질세포막이 형성될 때 각질세포의 단단하고 편평한 구조를 만들어 피부장벽의 벽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필라그린의 발현에 문제가 생기면, 각질세포의 비정상적인 구조와 피부장벽 기능의 저하를 일으킬 뿐 아니라, 각질층의 자연보습인자가 감소하여 각질층내 수분함유량이 감소하고 각질층의 pH가 상승하게 되며, pH의 상승으로 인해 단백질분해효소인 serine protease가 활성화되어 각질층결합단백질(corneodesmosome)이 파괴된다. 이로 인해 각질층이 조기탈락하게 되고 건조피부를 유발한다. 즉, 각질층 내에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하면, 필라그린의 가수분해를 통해 자연보습인자 성분을 증가시켜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각질세포(Corneocyte)의 밀도를 증가시켜 탄탄한 피부장벽을 구현할 수 있다.
각질층 내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 40 ~ 50%, 콜레스테롤 20 ~ 25%, 자유 지방산 15 ~ 25%,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1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세포간의 공간을 채워 각질세포간의 결합력을 부여하여 각질세포와 층판구조를 형성한다. 층판구조가 형성된 각질층은 자연보습인자 및 체내물질의 유출을 방지하여 표피가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외부의 오염물질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의 구성성분 또는 함량의 균형이 깨지면 각질세포와 세포간지질의 층판구조가 유지되지 않아 자연보습인자 및 수분을 손실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각질층은 적절한 수화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피부의 건조증상이 유발되고 피부장벽 기능이 손상된다.
표피와 진피의 사이에는 기저막으로 구성된 표피-진피 접합부(Dermal Epidermal Junction, DEJ)가 존재하며, 표피-진피 접합부의 기저막은 투명판, 치밀판 및 기저판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성분으로 제4, 7형 콜라겐, 라미닌 이성질체, 피브로넥틴, 수포성 유천포창 항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저막의 구성성분 중 라미닌 5는 표피세포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질세포의 접착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고, 각질세포와 기저막을 직접 결합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라미닌 5의 발현 결함은 각질세포의 접착성을 떨어뜨려 피부장벽 기능의 이상을 유발한다. 기저막의 다른 성분으로 제4형 콜라겐은 치밀판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기저막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표피와 진피를 연결 및 밀착시켜주는 층인 표피-진피 접합부를 강화시키는 데에는 피부 결합 단백질인 라미닌 5와 제4형 콜라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표피-진피 접합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표피와 진피를 연결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표피-진피 접합부는 표피와 진피의 접합으로 표피세포의 지지대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표피와 진피 사이에서 물질의 선택적 투과 및 수송을 조절하고, 인접한 피부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여 표피 세포의 증식을 조절한다. 이러한 표피-진피 접합부가 손상되면 물질의 선택적 투과 및 여과를 하지 못하여 오염물질이 진피까지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피부 구조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피부장벽 기능에 이상이 발생된다.
피부에 적절한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세포간지질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장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세포간지질 성분들은 용해성이 낮고 결정화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화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유상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수분산 타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세포간지질 성분만을 함유한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근본적인 해결책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손상된 장벽을 근원적으로 회복시키면서, 피부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은 인체의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비율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함유하는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과 함께 담지하여, 필라그린, 라미닌 5 및 제4형 콜라겐을 발현시켜 피부장벽 기능을 향상시키고 경표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은 상안정도가 우수하여 수분산 제형의 피부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피부 외용 조성물의 상용화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베지클의 필라그린 발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베지클의 라미닌 5 발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베지클의 제4형 콜라겐 발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베지클의 TEWL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베지클의 피부수분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지클은 내부에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한 것으로, 베지클 총 중량 대비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10 내지 75 중량%와 라이소 레시틴 1 내지 15 중량%를 글리세린 1 내지 25 중량%에 분산시킨 유상부; 및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0.01 내지 7 중량%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0.01 내지 7 중량%을 잔량으로서 정제수에 용해시킨 수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은 베지클 총 중량 대비 10 내지 7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의 회복 효과가 미미해지고, 75 중량% 초과이면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베지클이 구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필라그린, 라미닌 5 및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상기 라이소 레시틴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안정화시키고,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한 베지클의 막을 이루는 것으로, 라이소 레시틴의 함량은 베지클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소 레시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베지클의 입자 크기가 커져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안정화시키지 못하며 베지클의 안정도도 떨어진다. 상기 라이소 레시틴의 함량이 15 중량% 초과이면, 베지클의 입자 크기가 작아져 베지클 내부에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담지율이 낮아지고, 라이소 레시틴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한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베지클 총 중량 대비 1 내지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라이소레시틴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베지클이 구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25 중량% 초과이면 지질 성분을 배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피부 도포시 끈적임을 나타내고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상기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는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인자인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은 베지클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7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필라그린을 발현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7 중량% 초과이면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 증가에 따른 필라그린의 발현이 증대되는 정도가 미미하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은 라미닌 5 및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은 베지클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7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라미닌 5 및 제4형 콜라겐을 발현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7 중량% 초과이면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 증가에 따른 라미닌 5 및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증대되는 정도가 미미하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는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각질세포간지질 성분 10 내지 70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포화레시틴 2 내지 2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2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1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함량이 미미하여 베지클의 피부 보습 효과가 미미해지고, 70 중량% 초과이면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소수성과 결정화되기 쉬운 성질로 인해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은 각질세포간지질 성분 총 중량 대비 세라마이드 5 내지 60 중량%,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피토스테롤을 포함한 피토스테롤 유도체 5 내지 35 중량% 및 고급지방산 5 내지 6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및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토스테롤을 포함한 피토스테롤 유도체는 피토스테롤과 피토스테롤 유도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토스테롤 유도체는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피토스테릴라이스브라네이트, 파토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카놀라글리세라이드 및 피토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렌산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팔미트산 : 스테아린산 : 올레산 : 리놀렌산이 1 ~ 5 : 1 ~ 10 : 1 ~ 6 :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전하와 음이온 전하를 동시에 내포하는 것으로, 글리세릴라놀레이트, 글리세릴리놀리네이트, 글리세릴리놀리에이트, 글리세릴리시놀리에이트, 글리세릴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베헤네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글리세릴올리베이트, 글리세릴올리에이트, 글리세릴운데실리네이트,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코코에이트 및 글리세릴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형성이 저해되며 석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하는 베지클의 형성도 저해되어 안정도가 떨어진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0 중량% 초과이면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한다.
상기 포화레시틴은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담지하는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포화레시틴의 함량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2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화레시틴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가 구형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입자 크기가 커져,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하는 베지클의 안정도가 떨어진다. 상기 포화레시틴의 함량이 20 중량% 초과이면,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입자 크기가 작아져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되는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낮아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 효과가 미미해지고, 포화 레시틴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한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포화레시틴과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고, 20 중량% 초과이면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그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지클은 내부에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하고, 라이소 레시틴으로 포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베지클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담지하여 안정화시키고 있어서,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가 피부에 유효하게 흡수되어 필라그린, 라미닌-5 및 제4형 콜라겐을 발현시키며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보습의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베지클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함께 담지하고 있어, 피부장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지클은 포화레시틴,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라이소레시틴으로 이중막을 형성하여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있어서, 상안정도가 우수하며 수분산 제형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상용화에 유용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상세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현탁액상, 유액상, 겔상, 크림상, 연고상, 스프레이상, 페이스트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또는 립스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습제, 유기 또는 무기 안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pH 조절제, 알콜, 색소,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내지 14>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1의 성분 및 조성으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제조하였다.
1 단계 : 하기 표1의 포화레시틴, 계면활성제 및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하기 표1의 글리세린에 투입하여 80℃에서 교반기로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한다.
2 단계 : 상기 1 단계의 분산액을 하기 표1의 정제수에 투입한 후, 고압 균질기로 17,000rpm에서 20분간 교반하여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각질
세포간지질 성분
세라마이드 20 20 20 20 20 20 20
피토스테롤 12 12 12 12 12 12 12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4 4 4 4 4 4 4
팔미트산 1.5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린산 2.5 2.5 2.5 2.5 2.5 2.5 2.5
올레산 0.4 0.4 0.4 0.4 0.4 0.4 0.4
리놀레산 0.6 0.6 0.6 0.6 0.6 0.6 0.6
계면활성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05 0.1 5 10 20 25 10
포화레시틴 4 4 4 4 4 4 1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44.95 44.90 40 35 25 20 38
함량(중량%)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각질
세포간지질 성분
세라마이드 20 20 20 20 34 35 40
피토스테롤 12 12 12 12 15 21 20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4 4 4 4 4 7 7
팔미트산 1.5 1.5 1.5 1.5 1.5 2 2
스테아린산 2.5 2.5 2.5 2.5 2.5 4 4
올레산 0.4 0.4 0.4 0.4 0.4 0.4 0.4
리놀레산 0.6 0.6 0.6 0.6 0.6 0.6 0.6
계면활성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포화레시틴 2 10 20 25 4 4 4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37 29 19 14 18 6 2
< 실시예 15 내지 28> 베지클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제조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라이소레시틴, 글리세린,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정제수와 혼합하여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1 단계 : 라이소레시틴 3 중량%을 글리세린 3 중량%에 투입하여 분산시킨 다음, 하기 표 2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14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를 첨가하고 80℃에서 교반기로 분산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2 단계 :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4 중량%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2 중량%을 50℃의 정제수 38 중량%에 용해하여 수상부를 만든 다음, 상기 수상부에 상기 1 단계의 유상부를 투입하고 고압 균질기로 17,000rpm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100W에서 20분간 초음파로 처리하여 균질화시켜 베지클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28에 사용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실시예 15 실시예 1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16 실시예 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17 실시예 3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18 실시예 4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19 실시예 5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0 실시예 6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1 실시예 7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2 실시예 8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3 실시예 9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4 실시예 10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5 실시예 11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6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7 실시예 13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8 실시예 14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 중량%
<실시예 29 내지 34> 베지클의 제조
하기 시험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0중량%를 함유한 실시예 26의 베지클이 수분산 안정도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1 단계 : 라이소레시틴을 글리세린에 투입하여 분산시킨 다음, 하기 표 3에 따라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첨가하고 80℃에서 교반기로 분산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2 단계 :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을 50℃의 정제수에 용해하여 수상부를 만든 다음, 상기 수상부에 상기 1)단계의 유상부를 투입하고 고압 균질기로 17,000rpm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100W에서 20분간 초음파로 처리하여 균질화시켜 베지클을 완성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10 10 10 10 10 10
라이소레시틴 0.5 1 5 10 15 20
글리세린 3 3 3 3 3 3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4 4 4 4 4 4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2 2 2 2 2 2
정제수 80.5 80 76 71 66 61
< 실시예 35 내지 40> 베지클의 제조
실시예 29 내지 34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35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실시예 39 실시예 40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5 10 30 50 75 80
라이소레시틴 3 3 3 3 3 3
글리세린 3 3 3 3 3 3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4 4 4 4 4 4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2 2 2 2 2 2
정제수 80.5 80 76 71 66 61
< 실시예 41 내지 46> 베지클의 제조
실시예 29 내지 34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성분 및 조성에 따라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실시예 45 실시예 46


실시예 12의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10 10 10 10 10 10
라이소레시틴 3 3 3 3 3 3
글리세린 3 3 3 3 3 3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0.005 0.01 1 5 7 9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0.005 0.01 1 5 7 9
정제수 83.99 83.98 82 74 70 66
< 비교예 1 내지 3> 단일막 베지클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6의 성분 및 조성에 따라 단일막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1) 단계 : 먼저, 글리세린에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리놀레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포화레시틴을 투입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80℃에서 분산시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2) 단계 :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을 80℃의 정제수에 용해하여 수상부를 만든 다음, 상기 수상부에 상기 1)단계의 유상부를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3,000rpm에서 5분간 교반시킨 후, 고압형 유화기를 사용하여 600 bar의 압력에서 3회 통과시켜 균질화한 후, 단일막 베지클을 완성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세라마이드 0.1 10 17
피토스테롤 0.01 1 7.5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 - 2
팔미트산 - - 0.75
스테아린산 - - 1.25
올레산 - - 0.2
리놀레산 - - 0.3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포화레시틴 4 4 4
글리세린 10 10 10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4 4 4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2 2 2
정제수 74.89 64 17
< 시험예 1> 수분산 안정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5 내지 34의 베지클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의 수분산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5 내지 34의 베지클,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 각각에 정제수를 동량으로 추가하고 교반기로 상온에서 10분 동안 분산시킨 후, 상대습도 70%±5, 온도 25℃로 조절되는 항온조 내에 보관하여 혼합 직후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석출 및 분리현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혼합 직후 1시간 후 24시간 후 7일 후 14일 후
실시예 15 × × ×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
실시예 29 × ×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비교예 1 × ×
비교예 2 × × ×
비교예 3 × × × ×
◎:매우안정, ○:안정, △:불안정(약간 분리), ×:완전분리(석출)
실시예 15 내지 20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0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15는 24시간 경과 후에 완전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0은 14일 경과 후에도 상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된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5중량% 이하인 경우,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이 안정화되지 못해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가 안정화되지 못하고 베지클의 상안정도가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21 내지 25는 포화레시틴의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18, 21 내지 2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21은 7일 경과 후에 분리되는 것일 알 수 있고, 실시예 18, 23 내지 25는 14일 경과 후에도 상이 매우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22는 7일 경과 후에 상의 안정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된 포화레시틴의 함량이 1중량% 이하인 경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안정화되지 못하고 베지클의 상안정도가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26 내지 28은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총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18, 26 내지 28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28은 7일 경과 후에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18, 26은 14일 경과 후에도 상이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27은 7일 경과 후에 상의 안정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총 함량이 74중량% 이하인 경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안정화되지 못하고 베지클의 상안정도가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9 내지 34는 라이소 레시틴의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29 내지 34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29는 24시간 경과 후에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30 내지 34는 14일 경과 후에도 상이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30은 14일 경과 후에 상의 안정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베지클에 포함된 라이소레시틴의 함량이 0.5중량% 이하인 경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안정화되지 못하고 베지클의 상안정도가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는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총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총 함량이 증가할수록 상의 분리가 빨리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6을 비교해보면, 비교예 1은 실시예 16보다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총 함량이 적음에 불구하고, 상의 분리가 빨리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6과 비교예 3은 세라마이드,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마카다미아넛지방산에스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의 총 함량이 동일하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26은 14일 경과 후에도 상이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 3은 1시간 경과 후에 상이 분리되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을 포함한 베지클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베지클이 단일막으로 형성된 것보다 상의 안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피부 자극 평가
상기 실시예 15 내지 34에서 제조한 베지클의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은 피부 질환이 없는 30~50대 성인 여성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의 상완부에 피부 손상, 과도한 털 또는 색조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5 내지 34의 베지클을 각각 0.1g씩 덜어 피부 위에 첩포하고, 대조군으로서 정제수를 0.1g씩 덜어 피부 위에 첩포한 후, 24시간 동안 방치하고 첩포를 떼어내어 피부의 반응을 조사해 점수를 매겨 평가하였다.
대조군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첩포 전 0 0 0 0 0 0 0 0 0 0 0
24시간 경과 후 0 0 0 0 0 0 0 2 0 0 0
대조군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30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실시예34
첩포 전 0 0 0 0 0 0 0 0 0 0 0
24시간 경과 후 0 1 0 0 0 0 0 0 0 0 1
0:반응 없음, 1:희미한 홍반, 2:홍반, 3:부종, 4:소수포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0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15 내지 19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나, 실시예 20은 홍반을 나타내 피부에 자극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된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인 경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과도하여 피부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21 내지 2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18, 21 내지 24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나, 실시예 25는 미세한 홍반을 나타내 피부에 자극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포함된 포화레시틴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인 경우, 포화레시틴의한 피부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26 내지 28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18, 26 내지 28에서는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았다.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피부 자극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9 내지 34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29 내지 33에서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나, 실시예 34는 미세한 홍반을 나타내 피부에 자극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베지클에 포함된 라이소레시틴의 함량이 20중량% 이상인 경우, 라이소레시틴의한 피부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필라그린의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이 필라그린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에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을 처리한 후, 역전사중합연쇄반응을 통해 필라그린의 발현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1) 각질세포의 배양 및 시험물질의 처리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ATCC로부터 분양받은 각질형성세포주(Human kerationocyte HaCaT cell line)로서, 세포를 35mm 플레이트에 1×105개로 분주하고,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을 포함한 DMEM배지에서 37℃, 5%의 CO2 조건으로 1일간 배양하였다. 1일간 배양 후, 시험물질을 처리하기 전에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로 세척하여 배지 내 혈청 성분을 제거한 다음, FBS를 첨가하지 않은 DMEM 배지에 10% 농도로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시험물질은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 비교예 1 내지 3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배양한 것을 이용하였다.
2) 필라그린의 발현 측정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한 세포로부터 트리졸(Trizol, Gibco Laboratories, USA)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한 다음, 원스텝 RNA PCR 키트(AMV)(Takara Bio Inc., Japan)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준하여 역전사 중합연쇄반응(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PCR 증폭은 GeneAmp®PCR System 2700(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USA)을 이용하여 94℃에서 30초 동안 변성시킨 후, 60℃에서 30초 동안 어닐링을 하고, 72℃에서 75초 동안 확장되도록 하였다. 상기 PCR 반응 산물은 SYBR Safe DNA gel stain(Invitrogen, Carlsbad, USA)으로 염색한 1% 한천겔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전기영동을 통하여 발현되는 밴드를 확인하였다. 이때, 프라이머(primer)로는 필라그린에 대한 프라이머(Macrogen, Korea, forward 5'-TCAGTTAGGATGGTGAATGTG-3', reverse 5'-TCAAAAGACAAATCCAAGCT-3')를 사용하였으며, 경구 대조군으로는 β-액틴을 이용하여 필라그린의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3)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5 내지 46, 비교예 1 내지 3은 필라그린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5 내지 40은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35 내지 40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35 내지 39는 필라그린의 발현 정도가 동일하나, 실시예 40은 필라그린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경우, 베지클내에 담지되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 필라그린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내지 46은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이 다르게 포함된 것으로, 실시예 41 내지 46을 비교해보면,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필라그린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41은 필라그린의 발현이 대조군과 차이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6과 실시예 4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6은 실시예 45보다 필라그린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실시예 45 및 46에서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 증가에 따른 필라그린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가 실시예 42 내지 45에서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 증가에 따른 필라그린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35 내지 39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의 함량이 동일하지만, 실시예 35 내지 39가 비교예 1 내지 3보다 필라그린의 발현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35 내지 39의 베지클이 포화레시틴으로 안정화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와 함께 담지하고 있어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의한 피부보습효과가 상호보완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시험예 4> 라미닌 5의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이 라미닌 5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및 시험물질의 처리를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물질은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 비교예 1 내지 3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배양한 것을 이용하였다.
1) 라미닌의 발현 측정
배양상층 및 세포층에 존재하는 라미닌 5는 샌드위치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96 구멍 ELISA 플레이트의 고체층에 라미닌 5의 라미닌 α3쇄에 대한 모노크로날 항체(BMI65)를 결합시켰다. 라미닌 5를 샌드위치시켜 측정하기 위해, 또 다른 1종의 항체로서 라미닌 β3쇄에 대한 모노크로날 항체(6F12)를 사전에 비오틴화(b-6F12)하여 사용하였다. 본 방법에서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헤테로트리머체(α3β3γ2)만을 측정하고, 헤테로다이머(β3γ2)를 검출하지 않는다. b-6F12를 포함하는 3% 젤라틴·인산완충용액을 사전에 넣어둔 각 구멍에 시험물질을 첨가하고, 이 시험물질의 각 구멍내에서의 최종 희석률은 배양액이 1/4, 세포층이 1/10으로 하였다. 항원항체반응은 37℃에서 2시간 동안 실시하였고, 플레이트를 세정한 다음, 아비딘 HRP(호스래디쉬퍼옥시다아제) 용액을 첨가하고, 다시 30분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정 후, HRP의 기질인 ABTS 용액을 첨가하고, ELISA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량선은 0 ~ 40 ng/ml의 범위에서 작성하였으며, 라미닌 5의 생성량은 배지 중에 유리된 양과 세포층에 남은 양의 총합을 산출하여,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2)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5 내지 46, 비교예 1 내지 3은 라미닌 5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5 내지 40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35 내지 39는 라미닌 5의 발현 정도가 동일하나, 실시예 40은 라미닌 5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경우, 베지클 내에 담지되는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 라미닌 5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내지 46을 비교해보면,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라미닌 5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41은 라미닌 5의 발현이 대조군과 차이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6과 실시예 4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6은 실시예 45보다 라미닌 5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실시예 45 및 46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 증가에 따른 라미닌 5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가 실시예 42 내지 45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 증가에 따른 라미닌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35 내지 39는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동일한 것으로, 실시예 35 내지 39가 비교예 1 내지 3보다 라미닌 5의 발현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35 내지 39의 베지클이 포화레시틴으로 안정화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과 함께 담지하고 있어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의한 피부보습효과가 상호보완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시험예 5> 제4형 콜라겐의 발현 증가 평가
상기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과 비교예 1 내지 3의 단일막 베지클이 제4형 콜라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및 시험물질의 처리를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물질은 실시예 35 내지 46에서 제조한 베지클, 비교예 1 내지 3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서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배양한 것을 이용하였다.
1) 제4형 콜라겐의 발현 측정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한 세포로부터 트리졸(Trizol, Gibco Laboratories, USA)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한 다음, 원스텝 RNA PCR 키트(AMV)(Takara Bio Inc., Japan)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준하여 역전사 중합연쇄반응(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PCR 증폭은 GeneAmp®PCR System 2700(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USA)을 이용하여 94℃에서 30초 동안 변성시킨 후, 60℃에서 30초 동안 어닐링을 하고, 72℃에서 75초 동안 확장되도록 하였다. 상기 PCR 반응 산물은 SYBR Safe DNA gel stain(Invitrogen, Carlsbad, USA)으로 염색한 1% 한천겔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전기영동을 통하여 발현되는 밴드를 확인하였다. 이때, 제4형 콜라겐에 대한 프라이머(Macrogen, Korea, forword 5′-CCTGGTCTTGAAAGGTGATAAG-3′, reverse 5′-CCCGCTATCCCTTGATCTC-3′)를 사용하였으며, 경구 대조군으로 β-액틴을 이용하여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2)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5 내지 46, 비교예 1 내지 3은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5 내지 40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35 내지 39는 제4형 콜라겐의 발현 정도가 동일하나, 실시예 40은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경우, 베지클 내에 담지되는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내지 46을 비교해보면,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41은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대조군과 차이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6과 실시예 4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6은 실시예 45보다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실시예 45 및 46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 증가에 따른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가 실시예 42 내지 45에서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 증가에 따른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향상되는 정도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35 내지 39는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의 함량이 동일한 것으로, 실시예 35 내지 39가 비교예 1 내지 3보다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35 내지 39의 베지클이 포화레시틴으로 안정화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과 함께 담지하고 있어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에 의한 피부보습효과가 상호보완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시험예 6> 경피부수분손실(TEWL)의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36 내지 39의 베지클과 비교예 3의 단일막 베지클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ewameter를 이용하여 경피부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1) 경피부수분손실(TEWL)의 측정
피부 질환이 없는 30~40대 성인 여성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험자의 상완부에 피부 손상, 과도한 털 또는 색조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는 깨끗하고 마른 상태를 유지하였고, 최소 30분간 22±2℃, 습도 50±10%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 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Tewamete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사용 전,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마다 경표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다. 약 20초간, 수치가 안정화될 때까지 측정을 하고, 안정화된 5개의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값에 대한 평균을 구하였다. 사용 전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기본 값으로 삼고, 사용 1주 후, 사용 2주 후의 경표피 수분손실량(TEWL)의 개선율을 계산하여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6 내지 40을 비교해보면 베지클에 함유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개선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8과 비교예 3는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동일한 것으로, 실시예 38은 비교예 3보다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개선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적은 실시예 37보다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개선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일막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은 안정화되지 못해, 피부에 유효하게 흡수되지 못하여 피부보습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7> 피부 보습의 효과
상기 실시예 36 내지 40의 베지클과 비교예 3의 단일막 베지클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보습력을 평가하였다.
1) 피부 보습의 측정
피부 질환이 없는 30~40대 성인 여성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험자의 상완부에 피부 손상, 과도한 털 또는 색조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는 깨끗하고 마른 상태를 유지하였고, 최소 30분간 22±2℃, 습도 50±10%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 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보습 측정은 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값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사용 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사용 1시간 후, 사용 3시간 후, 세안 30분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수분량의 증가율을 평가하고,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2)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6 내지 40을 비교해보면 베지클에 함유된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에 잔존하는 수분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8과 비교예 3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38은 비교예 3보다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의 함량이 적은 실시예 37보다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함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일막 베지클에 포함된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은 안정화되지 못해, 피부에 유효하게 흡수되지 못하여 피부보습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10 내지 75 중량%와 라이소 레시틴 1 내지 10 중량%를 글리세린 1 내지 20 중량%에 분산시킨 유상부; 및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0.01 내지 7 중량%와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0.01 내지 7 중량%를 잔량으로서 정제수에 용해시킨 수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는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 총 중량 대비 각질세포간지질 성분 10 내지 70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및 포화레시틴 2 내지 2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2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세포간지질 성분은 각질세포간지질 성분 총 중량 대비 세라마이드 5 내지 60 중량%,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피토스테롤을 포함한 피토스테롤 유도체 5 내지 35 중량%, 고급지방산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상기 라이소 레시틴으로 포집하여 내부에 담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지방산은 팔미트산 : 스테아린산 : 올레산 : 리놀렌산이 1 ~ 5 : 1 ~ 10 : 1 ~ 6 :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지클 조성물은 필라그린, 라미닌-5 및 제4형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고, 피부 보습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조성물.
  5. 제 1 항의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현탁액상, 유액상, 겔상, 크림상, 연고상, 스프레이상, 페이스트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55408A 2016-11-22 2016-11-22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ctive KR10175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08A KR101752312B1 (ko) 2016-11-22 2016-11-22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5/820,093 US10307361B2 (en) 2016-11-22 2017-11-21 Vesicles containing saccharide isomerate, hydrolyzed lupine protein, and intercorneocyte lipid mimetics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EP17203071.0A EP3338759B1 (en) 2016-11-22 2017-11-22 Vesicles containing saccharide isomerate, hydrolyzed lupine protein, and intercorneocyte lipid mimetics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08A KR101752312B1 (ko) 2016-11-22 2016-11-22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312B1 true KR101752312B1 (ko) 2017-06-29

Family

ID=5928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408A Active KR101752312B1 (ko) 2016-11-22 2016-11-22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7361B2 (ko)
EP (1) EP3338759B1 (ko)
KR (1) KR101752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37056B2 (en) 2018-05-29 2025-06-24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48045B (zh) * 2019-01-30 2024-07-11 德商巴地斯顏料化工廠 供個人護理應用之液晶脂質顆粒之化妝品組合物
IT201900004877A1 (it) * 2019-04-01 2020-10-01 Res Pharma Ind S R L Processo di preparazione di sistemi colloidali concentrati
CN115209887A (zh) * 2019-12-30 2022-10-18 罗丹菲尔茨有限责任公司 Ppar激动剂复合物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9213A1 (en) * 2002-03-13 2004-01-15 Thomas Skold Water-based delivery systems
JP5863230B2 (ja) * 2009-10-06 2016-02-16 エルブイエムエイチ レシェルシェ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47088T1 (de) * 2007-06-19 2012-03-15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ES2336995B1 (es) * 2008-10-13 2011-02-09 Lipotec, S.A. Composicion cosmetica o dermofarmaceutica para el cuidado de la piel,cuero cabelludo y uñas.
KR101117562B1 (ko) * 2008-10-22 2012-02-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 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올리고 펩타이드 혼합물 및 천연 액정 유화 베이스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165484A2 (en) * 2013-04-02 2014-10-0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ompositions of delivery systems and lupine with physical st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9213A1 (en) * 2002-03-13 2004-01-15 Thomas Skold Water-based delivery systems
JP5863230B2 (ja) * 2009-10-06 2016-02-16 エルブイエムエイチ レシェルシェ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37056B2 (en) 2018-05-29 2025-06-24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7361B2 (en) 2019-06-04
US20180140528A1 (en) 2018-05-24
EP3338759A1 (en) 2018-06-27
EP3338759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4423T2 (de) Neue verbindungen der familie von n-acylaminoamiden, si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und verwendungen
EP3586821B1 (en) Stem cell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0775803B1 (ko) 유효 성분으로서 보효소 q 를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ES2558784T3 (es) Composición médica de protección cutánea con una combinación de principios activos que mejoran la barrera cutánea
KR101752312B1 (ko)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55684B1 (ko) 피부 장벽 개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액정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389620B1 (en) Stem cell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melasma
KR101890854B1 (ko) 보습 유지력이 우수한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7214A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954897A1 (en) Skin-moisturising or wrinkle-improving extern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JPH09255547A (ja) 皮膚外用剤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0393300C (zh) 含有脂溶性维生素c和二棕榈羟基脯氨酸的纳米粒子及其化妆品组成物
US20230000759A1 (en) Ppar agonist complex and methods of use
EP2381917A1 (en) Moisturizing mixtur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moisturizing mixture, use of the moisturizing mixture, and cosmetic method
KR101893970B1 (ko)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50473A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172155A (ja) 皮膚外用剤
KR101495679B1 (ko) 태지와 양막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16252B1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DE102006019794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Aquaporin-Stimulatoren und deren Verwendung
KR102522864B1 (ko) 표피-진피 접합부를 강화하는 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Barba et al. In vivo and in vitro evaluation of topical formulations containing physiological lipid mixture for replac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KR20190051880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