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43587B1 -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87B1
KR101743587B1 KR1020150177862A KR20150177862A KR101743587B1 KR 101743587 B1 KR101743587 B1 KR 101743587B1 KR 1020150177862 A KR1020150177862 A KR 1020150177862A KR 20150177862 A KR20150177862 A KR 20150177862A KR 101743587 B1 KR101743587 B1 KR 10174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vertical
bird
footrest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수
김재준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제이엠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제이엠디글로벌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이중단열 거푸집의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시 거푸집에 가해지는 내외부 측압을 지지하고, 조적에 따른 수직 평활도를 보강하는 벽체용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세워지는 수직버팀대와, 상기 수직버팀대와 일단이 볼트 이음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와 포개지는 발판거치대와, 상기 수직버팀대 및 상기 발판거치대와 함께 볼트 이음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 및 상기 발판거치대와 포개지는 경사버팀대와, 상단이 상기 발판거치대의 자유단부 양측과 각각 볼트 이음으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가새 및 상단이 상기 상부가새의 하단 양측과 각각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수직버팀대의 하부 양측면과 각각 볼트 이음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 및 상기 경사버팀대와 포개지는 한 쌍의 하부가새를 포함하는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LATERAL PRESSURE SUPPORTER OF DOUBLE INSULATED WALL FORM}
본 발명은 이중단열(양단열) 공법용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용 이중단열 거푸집의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시 거푸집에 가해지는 내외부 측압을 지지하고, 조적에 따른 수직 평활도를 보강하는 벽체용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저에너지 건축 기술개발과 함께 이러한 기술을 채택한 패시브 하우스 형태로의 설계 및 시공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건축공사에서 인력 및 기능공의 부족과 공사비 상승 등으로 인해 공정의 단순화와 공기단축 및 인력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신공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컨대, 거푸집 및 단열보온재로서 역할을 효과적으로 병행하는 단위거푸집 패널을 설계도면에 맞추어 철근 배근을 하면서 내외부에 이중으로 조립한 후,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내장 및 외장공사로 건축물을 완성함으로써 거푸집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조적공사 및 단열공사 등의 다단계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일원화하여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공기단축과 시공품질의 향상 및 대량시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른바 이중단열(양단열) 공법이 도입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중단열 공법에서 거푸집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와 압력 등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콘크리트가 굳을 때까지 별도의 측압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 형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시공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시공 과정에서의 열교를 방지할 수 있는데, 종래의 벽체용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347호에 게시된 '수직벽체 거푸집 지지장치'를 들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외면 종 방향으로 밀착되는 수직바(102)와, 상기 수직바(10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하는 수평바(103)와, 상기 수직바(102)의 상부와 수평바(103)의 외측단부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경사바(104)와, 상기 수직바(102)와 수평바(103) 및 경사바(104)의 내부에 연결하는 보강바(105)와, 상기 수평바(103)와 경사바(104)의 자유단부에 고정되어 지면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조절부재(110) 및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판을 떠받쳐주는 발판거치대(1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지지장치는 벽체의 표준 높이인 2.5미터의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므로 작업자가 발을 딛고 다니는 작업통로인 발판을 받쳐주는 발판거치대(111)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고, 이로 인해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적합하게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가 없어 효율성과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바(102), 수평바(103), 경사바(104), 보강바(105), 조절부재(110) 및 발판거치대(111)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적 특성상 무게가 무거워 현장에서의 이동 및 운반이 불편한 데다 보관 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KR 200445213 Y1(2009.07.01) KR 200409637 Y1(2006.02.17) KR 200406107 Y1(2006.01.06) KR 101567727 B1(2015.11.03) KR 101499347 B1(2015.02.27) KR 101145017 B1(2012.05.0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가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져 운반 및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벽체용 거푸집을 조적 시공 시 평활도를 유지 및 조적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운반 및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발판거치대의 높낮이를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거푸집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세워지고,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수직버팀대와, 상기 수직버팀대의 홈에 일단이 삽입된 채로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와 포개지도록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발판거치대와, 상기 수직버팀대의 홈에 상단이 삽입된 채로 상기 발판거치대와 함께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 및 상기 발판거치대와 포개지는 경사버팀대와, 상기 발판거치대의 자유단부와 상기 경사버팀대의 가운데 부분을 대각선으로 잇도록 상단이 상기 발판거치대의 자유단부 양측과 각각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가새 및 상기 경사버팀대의 가운데 부분과 상기 수직버팀대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도록 상단이 상기 상부가새의 하단 양측과 상단이 각각 힌지 이음(hinge joint)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수직버팀대의 하부 양측면과 각각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 및 상기 경사버팀대와 포개지는 한 쌍의 하부가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 시 수직버팀대에 대해 발판거치대와 경사버팀대 및 상하부가새를 포개지도록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관에 따른 공간효율성과 운반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경사버팀대는 그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길이조절대가 더 구비됨으로써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따라 길이를 가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변경하여 거푸집과 수직버팀대 간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길이조절대의 하단에 지면에 착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대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됨으로써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따라 경사버팀대의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경사버팀대와 상기 길이조절대는 그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절구멍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버팀대에 대한 상기 길이조절대의 위치는 상기 조절구멍을 관통하는 스토퍼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발판거치대의 자유단부를 하단이 감싼 채로 상기 상부가새와 함께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고, 그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거치대 및 상기 수직버팀대와 포개지도록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안전난간대를 더 포함함으로써 벽체용 거푸집을 조적 시공 시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안전난간대의 상단에 추락방지용 안전가드를 거치하기 위한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수직버팀대의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구멍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높이를 연장할 수 있어 다양한 거푸집의 높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지지대의 높낮이를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수직버팀대에 대해 발판거치대와 경사버팀대 및 상하부가새를 포개지도록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 시에 공간효율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길이조절대에 의해 경사버팀대의 길이가 신축되므로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따라 길이를 가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버팀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변경하여 거푸집과 수직버팀대 간의 이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발판거치대의 높낮이를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층고나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안전난간대에 추락방지용 안전가드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안전가드 설치의 편의성 및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분해하여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를 일부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는 크게 수직버팀대(10), 발판거치대(20),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 하부가새(50) 및 안전난간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버팀대(10)는 벽체용 거푸집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세워져 거푸집의 수직을 유지시키고,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측압에 대항하여 거푸집의 밀림 및 파손을 방지하고 벽체의 평활도를 확보한다.
그리고 수직버팀대(10)의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구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수직버팀대(10)는 필요에 따라 연장구멍(11)으로 다른 수직버팀대 등을 볼트 이음 등으로 연결 접합하여 높이를 연장할 수 있어 다양한 거푸집의 높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버팀대(10)는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연장구멍(11)으로 발판거치대(2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층고나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버팀대(10)는 발판거치대(20),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 및 하부가새(50)가 서로 포개듯이 접히도록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되어 있다.
발판거치대(20)는 벽체용 거푸집을 조적하기 위한 작업공간 및 작업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발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수직버팀대(10)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이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삽입된 채로 볼트(B)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발판거치대(20)는 수직버팀대(10)와 연결을 위한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서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 하부가새(50), 안전난간대(60)와 함께 포개듯이 접히고,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발판거치대(2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관절 또는 핀 이음 방식으로 수직버팀대(10)와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와 안전난간대(60)를 연결 및 그 회전축인 볼트(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B)가 끼워지는 연결구멍(J)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버팀대(30)는 수직버팀대(10)의 세워진 상태를 지면에 대해 지지 및 지탱하기 위해 수직버팀태(10)에 대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길이 방향의 상단이 수직버팀대(10)의 홈과 발판거치대(20)의 홈 내에 겹쳐지게 삽입된 채로 발판거치대(20)와 함께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버팀대(30)는 수직버팀대(10) 및 발판거치대(20)와 연결을 위한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서 발판거치대(20), 상부가새(40), 하부가새(50), 안전난간대(60)와 함께 포개듯이 접히고, 사각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버팀대(30)의 길이 방향 상단에는 관절 또는 핀 이음 방식으로 수직버팀대(10)와 발판거치대(20)를 연결 및 그 회전축인 볼트(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B)가 끼워지는 연결구멍(J)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버팀대(30)는 그 길이의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길이조절대(3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길이조절대(31)는 경사버팀대(30) 내로 삽입 및 인출하도록 경사버팀대(3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버팀대(30)와 길이조절대(31)는 그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절구멍(3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버팀대(30)에 대한 길이조절대(31)의 위치는 조절구멍(32)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길이조절대(31)는 경사버팀대(30)에 대해 펼침 또는 접힘 길이를 조절구멍(32)과 스토퍼(35)의 결합위치로 가변하여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변경하여 거푸집과 수직버팀대(10) 간의 이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대(31)의 길이 방향 하단에는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따라 경사버팀대(30)의 경사도 및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도록 지면에 착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대(35)가 핀(P)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가새(40)는 발판거치대(20)를 통해 전달되는 작업하중에 안정적으로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가새(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발판거치대(20)의 자유단부와 경사버팀대(30)의 가운데 부분을 대각선으로 잇도록 그 길이 방향의 상단이 발판거치대(20)의 자유단부 양측에서 각각 볼트(B)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경사버팀대(30)의 양측에서 하부가새(50)와 각각 힌지(H)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부가새(4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관절 또는 핀 이음 방식으로 발판거치대(20)와 경사버팀대(30)를 연결 및 그 회전축인 볼트(B) 또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B) 또는 힌지(H)가 끼워지는 연결구멍(J)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가새(50)는 발판거치대(20)를 통해 전달되는 작업하중에 안정적으로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부가새(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가새(40)의 하단과 수직버팀대(10)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도록 그 길이 방향의 상단이 상부가새(40)의 하단 양측과 각각 힌지(H)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수직버팀대(10)의 하부 양측면과 각각 볼트(B)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서 발판거치대(20),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 안전난간대(60)와 포개듯이 접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하부가새(5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관절 또는 핀 이음 방식으로 경사버팀대(30)와 수직버팀대(10)를 연결 및 그 회전축인 볼트(B) 또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B) 또는 힌지(H)가 끼워지는 연결구멍(J)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난간대(60)는 고소작업 중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의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안전난간대(60)는 발판거치대(20)의 자유단부를 하단이 감싼 채로 상부가새(40)와 함께 볼트(B)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서 발판거치대(20), 경사버팀대(30), 상부가새(40), 하부가새(50)와 함께 포개듯이 접히도록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안전난간대(60)의 길이 방향 하단에는 관절 또는 핀 이음 방식으로 발판거치대(20)와 상부가새(40)를 연결 및 그 회전축인 볼트(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B)가 끼워지는 연결구멍(J)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난간대(60)의 길이 방향 상단에는 작업자 등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가드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L' 자형 단면을 갖는 가드홀더(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버팀대(10)에 대해 발판거치대(20)와 경사버팀대(30) 및 상/하부가새(40)(50) 그리고 안전난간대(60)를 서로 포개지도록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시에 공간효율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버팀대(3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조절대(31)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측압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 및 긴밀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버팀대(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위치를 가변하여 거푸집과 수직버팀대(10) 간의 이격 현상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게다가 공사현장의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수직버팀대(10)에 대한 발판거치대(20)의 높낮이를 볼트 이음을 해체한 후 연장구멍(11)을 통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건축물의 층고나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수직버팀대 11: 연장구멍
20: 발판거치대 30: 경사버팀대
31: 길이조절대 32: 조절구멍
33: 스토퍼 35: 고정대
40: 상부가새 50: 하부가새
60: 안전난간대 61: 가드홀더
B: 볼트 H: 힌지
P: 핀 J: 연결구멍

Claims (7)

  1. 거푸집의 외면에 밀착된 채로 세워지고,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수직버팀대(10);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에 일단이 삽입된 채로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포개지고,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발판거치대(20);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에 상단이 삽입된 채로 상기 발판거치대(20)와 함께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상기 발판거치대(20)와 함께 포개지는 경사버팀대(30);
    상기 발판거치대(20)의 자유단부 양측과 상단이 각각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상기 발판거치대(20) 및 상기 경사버팀대(30)와 함께 포개지는 한 쌍의 상부가새(40);
    상기 상부가새(40)의 하단 양측과 상단이 각각 힌지 이음(hinge joint)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하부 양측면과 각각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상기 발판거치대(20), 상기 경사버팀대(30), 상기 상부가새(40)와 함께 포개지는 한 쌍의 하부가새(50); 및
    상기 발판거치대(20)의 자유단부를 하단이 감싼 채로 상기 상부가새(40)와 함께 볼트 이음(bolt joint)으로 연결되어 그 볼트(B)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버팀대(10)의 홈 내에 상기 발판거치대(20), 상기 경사버팀대(30), 상기 상부가새(40), 상기 하부가새(50)와 함께 포개지고, 홈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스틸로 형성된 안전난간대(60);
    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버팀대(30)는 그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접이식 길이조절대(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대(31)의 하단에는 지면에 착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대(35)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사버팀대(30)와 상기 길이조절대(31)는 그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절구멍(3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버팀대(30)에 대한 상기 길이조절대(31)의 위치는 상기 조절구멍(32)을 관통하는 스토퍼(3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안전난간대(60)의 상단에 추락방지용 안전가드를 거치하기 위한 가드홀더(6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버팀대(10)의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구멍(11)이 다수 형성된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77862A 2015-12-14 2015-12-14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74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62A KR101743587B1 (ko) 2015-12-14 2015-12-14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62A KR101743587B1 (ko) 2015-12-14 2015-12-14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587B1 true KR101743587B1 (ko) 2017-06-07

Family

ID=592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8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3587B1 (ko) 2015-12-14 2015-12-14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13A (ko) * 2018-06-19 2019-12-30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작업대 지지 장치
KR102487856B1 (ko) * 2022-04-29 2023-01-12 (주)한맥기술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 시공을 위한 접이식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CN116876860A (zh) * 2023-09-05 2023-10-13 杭州优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式预制墙板支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30Y1 (ko) * 2002-08-26 2002-11-13 최재일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KR200335420Y1 (ko) * 2003-07-22 2003-12-11 최순기 거푸집의 발판설치장치
KR200400991Y1 (ko) * 2005-08-08 2005-11-15 조미동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CN101769067A (zh) * 2010-01-20 2010-07-07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可折叠三脚架及建筑模板及脚手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830Y1 (ko) * 2002-08-26 2002-11-13 최재일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KR200335420Y1 (ko) * 2003-07-22 2003-12-11 최순기 거푸집의 발판설치장치
KR200400991Y1 (ko) * 2005-08-08 2005-11-15 조미동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CN101769067A (zh) * 2010-01-20 2010-07-07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可折叠三脚架及建筑模板及脚手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13A (ko) * 2018-06-19 2019-12-30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작업대 지지 장치
KR102118725B1 (ko) * 2018-06-19 2020-06-04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작업대 지지 장치
KR102487856B1 (ko) * 2022-04-29 2023-01-12 (주)한맥기술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 시공을 위한 접이식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CN116876860A (zh) * 2023-09-05 2023-10-13 杭州优赛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式预制墙板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094B2 (ja) レールガイド式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US6247273B1 (en) Adjustable form brace
US6539677B1 (en) Form brace with adjustable face
US20100025563A1 (en) Formwork system
CN110733619B (zh)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US12006710B2 (en) Support for supporting a structure region
US4371057A (en) Telescopic scaffold
KR101743587B1 (ko)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CN204278223U (zh) 预制箱梁钢筋绑扎胎具
KR102487856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 시공을 위한 접이식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KR102032305B1 (ko) 접이식 시스템 비계
US2316560A (en) Structural element
US2201608A (en) Scaffolding
KR200476828Y1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JP2005022819A (ja) タワークレーン支持装置
KR20190114356A (ko)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102178186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확장형 스카이 버켓 안전난간구조체
US8794381B2 (en) Fittings for builders' trestles
JP5300551B2 (ja) 折畳み式作業台
CN114341449A (zh) 用于模板支护的支柱头及其使用方法
US20220290449A1 (en) Support means, ceiling supports, ceiling framework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 ceiling framework panel
KR102712047B1 (ko) 비계
CN219569558U (zh) 房建框架柱模板加固装置
KR102655803B1 (ko) 사다리
KR200397826Y1 (ko)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