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07B1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907B1 KR101746907B1 KR1020140162592A KR20140162592A KR101746907B1 KR 101746907 B1 KR101746907 B1 KR 101746907B1 KR 1020140162592 A KR1020140162592 A KR 1020140162592A KR 20140162592 A KR20140162592 A KR 20140162592A KR 101746907 B1 KR101746907 B1 KR 1017469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conductor layer
- light
- active layer
- pattern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684 C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GWXLDORMOJMVQZ-UHFFFAOYSA-N cerium Chemical compound [Ce] GWXLDORMOJMVQ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2704 AlGa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420 cer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43 liquid phase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MMGVYCKOGBVEV-UHFFFAOYSA-N oxo(oxoceriooxy)cerium Chemical compound [Ce]=O.O=[Ce]=O BMMGVYCKOGBV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7 vapour-phase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47 vapour-phase growt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191 Ga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18 Gallium arsen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946 Zr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09 crystal growth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51 molecular beam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4 tellu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ORWMNRCUJJQNO-UHFFFAOYSA-N tellurium atom Chemical compound [Te] PORWMNRCUJJQ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3/2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의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의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buried)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반도체층 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buried)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는 p-n 접합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순방향으로 전압이 걸릴 때 단파장광(monochromatic light)이 방출되는 현상인 전기발광효과(electroluminescence)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사용되는 소재의 밴드 갭 에너지(bandgap energy, Eg)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최근에는, 질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제조된 발광 소자들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발광 소자의 구조, 발광 소자에 적용되는 재료를 개발하여, 발광 소자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의 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10-2013-0120107(출원번호 10-2012-0043115,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 2인)에는, 고화 물질층을 포함하고 나노 패턴을 갖되, 하부 영역에 비해 상부 영역이 더 낮은 굴절률을 갖는 광 추출 구조체를 이용하여,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10-2007-0075592(출원번호 10-2006-0004013, 출원인 서울바이오시스)에는 요철된 일면을 갖는 모기판 위에 성장된 후 모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상면이 모기판의 요철된 일면의 역상으로 요철된 제1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여, 내부 반사에 의한 광 손실을 방지하고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고신뢰성의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된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의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의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체층 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buried)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상기 제2 반도체층 내에 함입된 함몰부, 및 상기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층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 추출 패턴의 상기 돌출부의 레벨(level)은,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상부면의 레벨보다, 높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광 추출 패턴을 덮는(cover)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세륨(Ce) 산화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상기 활성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directly contacted)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층 상에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 상에, 상기 광 추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함입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을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를, 상기 활성층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의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의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2 반도층 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광 추출 패턴에 의해 산란되어,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효율이 향상된 고신뢰성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포함된 광 추출 패턴의 크기에 따른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포함된 광 추출 패턴의 크기에 따른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1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10)은, 반도체 기판(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 화합물 반도체 기판), 유리 기판, 또는 금속 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10)은 사파이어(Al2O3), GaN, SiC, Si, ZnO, GaAs, InP, Ge, Ga2O3, ZrB2 또는 GaP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10)은 유연(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상에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 undoped semiconductor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은, 도핑되지 않은 질화 갈륨층(undoped-GaN, U-G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은 액상 성장법(liquid phase epitaxy, LPE), 기상 성장법(vapor phase epitaxy, VPE),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MBE), 또는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 상에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은, 제1 도전형의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은 N 형 도펀트로 도핑된 N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 형 도펀트는 실리콘(Si), 게르마늄(Ge), 주석(Sn), 또는 텔루륨(Te), 셀레늄(S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또는 AlIn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N형 도펀트가 도핑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은,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을 시드층(seed layer)으로 이용한 에피택시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 및 상기 기판(110) 사이에 버퍼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기판(110)과 상기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 사이의 격자 불일치에 따른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또는 AlIn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130) 상에 활성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은 다양자웰(multi-quantum well: MQW), 양자점(Quantum Dot)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40)은 InGaN 막, 아연(Zn) 또는 실리콘(Si)이 도핑된 InGaN 막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40)은 액상 성장법, 기상 성장법, 분자빔 성장법, 또는 유기금속 화학기상 증착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 상에 광 추출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은, 상기 활성층(140)과 직접적으로 접촉(directly contact)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은, 금속 산화물 입자(metal oxide partic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은, 세륨(Ce) 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경우,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직경은 160nm 이하, 또는 260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을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를 상기 활성층(140)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을 형성하는 단계는, 초순수에 NH4OH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NH4OH가 혼합된 상기 초순수에 세륨(Ce 또는 Ce4+) 및 HNO3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약 100℃에서 열처리하여 세륨 산화물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침전된 상기 세륨 산화물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입자 형태인 경우,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의 사이즈(예를 들어, 지름)은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의 제조 단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 용액의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의 사이즈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형성된 후,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의 적어도 일부를 함입(bury)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은,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을 완전히 덮을(perfectly cover)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은 노출(exposed)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은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은 P 형 도펀트로 도핑된 P 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형 도펀트는 마그네슘(Mg), 아연(Zn), 바륨(Ba), 또는 칼슘(C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또는 AlIn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P형 도펀트가 도핑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은, 액상 성장법, 기상 성장법, 분자빔 성장법, 또는 유기금속 화학기상 증착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0)이 형성된 후, 상기 제2 반도체층(160), 상기 광 추출 패턴(150), 및 상기 활성층(140)을 차례로 식각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상기 제1 반도체층(130)의 상기 일부분 및 상기 제2 반도체층(160) 상에 각각 전극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반도체층(130)에서 공급된 전자와 상기 제2 반도체층(160)에서 공급된 정공이 상기 활성층(140)에서 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상기 여기자의 에너지 상태가 천이되어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활성층(140)과 접촉된 상기 광 추출 패턴(150)에 의해서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광이 방출되는 상기 활성층(14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활성층(140)에서 방출된 광이 용이하게 산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효율이 향상된 고신뢰성의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용액의 열처리 공정으로 형성된 후, 상기 광 추출 패턴(150)이 상기 활성층(14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된,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의 일부가, 상기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하,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판(110),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120), 제1 반도체층(130), 및 활성층(14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 상에 광 추출 패턴(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은, 상기 활성층(140)과 직접적으로 접촉(directly contact)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은, 금속 산화물 입자(metal oxide partic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은, 세륨(Ce) 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광 추출 패턴(150)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활성층(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이 형성된 후,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적어도 일부를 함입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2)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2 반도체층(160)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162)은,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일부를 함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반도체층(162)에 의해 함입되지 않은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일부는 상기 제2 반도체층(16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은, 상기 제2 반도체층(162) 내에 함입된 함몰부, 및 상기 제2 반도체층(162)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4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상기 돌출부의 레벨(level)은, 상기 제2 반도체층(162)의 상부면의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활성층(140)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활성층(140)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2 반도체층(162)의 상기 상부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일부가 상기 제2 반도체층(162) 내에 함입되고, 상기 광 추출 패턴(152)의 다른 일부가 상기 제2 반도체층(16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활성층(140)에서 방출된 광이,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되어, 발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의 특성 평가 결과가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2 반도체층에 의해 덮인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도 3에서 Buri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돌출된 일부를 갖는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도 3에서 Protrusion),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비교 예로, 광 추출 패턴이 생략된 발광 소자(도 3에서 Ref)의 intensity를 측정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광 추출 패턴이 생략된 비교 예에 따른 발광 소자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들에 따른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들의 발광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에 따라 광 추출 패턴의 전체가 제2 반도체층에 의해 덮인 발광 소자보다, 제2 실시 예에 따라 광 추출 패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돌출된 발광 소자가, 더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포함된 광 추출 패턴의 크기에 따른 발광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포함된 광 추출 패턴의 크기(직경)을 달리하면서, 발광 효율을 측정하였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광 추출 패턴의 직경이 160nm이하인 경우, 그리고, 260nm 이상인 경우의 발광 효율이, 광 추출 패턴의 직경이 160nm 초과 및 260nm 미만인 경우의 발광 효율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다시 말하면, 광 추출 패턴의 직경을 160nm 이하로 제어하거나, 260nm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기판
120: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
130: 제1 반도체층
140: 활성층
150, 152: 광 추출 패턴
160, 162: 제2 반도체층
120: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
130: 제1 반도체층
140: 활성층
150, 152: 광 추출 패턴
160, 162: 제2 반도체층
Claims (8)
-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의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활성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directly contacted) 광 추출 패턴; 및
상기 광 추출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직경 40nm 이상 160nm 이하 또는 260nm 이상 300n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세륨(Ce)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상기 제2 반도체층 내에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 광 추출 패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 패턴은, 상기 제2 반도체층 내에 함입된 함몰부, 및 상기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 추출 패턴의 상기 돌출부의 레벨(level)은,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상부면의 레벨보다, 높은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광 추출 패턴을 덮는(cover)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삭제
- 삭제
- 기판 상에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층 상에 상기 활성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금속 산화물 입자로 이루어진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활성층 상에, 상기 광 추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함입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는 직경 40nm 이상 160nm 이하 또는 260nm 이상 300n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세륨으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을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를, 상기 활성층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592A KR101746907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592A KR101746907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0844A KR20160060844A (ko) | 2016-05-31 |
KR101746907B1 true KR101746907B1 (ko) | 2017-06-15 |
Family
ID=5609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2592A KR101746907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90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0357A (ja) * | 2004-11-12 | 2006-06-01 | Mitsubishi Cable Ind Ltd |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
JP2013529846A (ja) * | 2010-06-24 | 2013-07-22 |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発光ダイオード |
-
2014
- 2014-11-20 KR KR1020140162592A patent/KR1017469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0357A (ja) * | 2004-11-12 | 2006-06-01 | Mitsubishi Cable Ind Ltd |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
JP2013529846A (ja) * | 2010-06-24 | 2013-07-22 |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発光ダイオー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0844A (ko) | 2016-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80353A1 (en) |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TWI517431B (zh) | 形成發光二極體裝置的方法 | |
KR102191213B1 (ko) | 자외선 발광 소자 | |
US8058082B2 (en) | Light-emitting diode with textured substrate | |
JP2010523006A (ja) | デュアル表面粗面化n面高輝度led | |
KR101047761B1 (ko) | 반도체 발광소자 | |
US20110140077A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090115906A (ko) | 그룹 3족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위한 표면요철 형성 방법 | |
US7847308B2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TWI595683B (zh) | 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 |
KR20160013552A (ko) |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
KR101636140B1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64678B1 (ko) | 다공성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
KR20170109899A (ko) | 발광소자 및 조명장치 | |
US20100127239A1 (en) | 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746907B1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17959B1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999695B1 (ko) |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10662511B2 (en) |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Lam et al. | GaN-based LEDs with hot/cold factor improved by the electron blocking layer | |
KR101646360B1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17951B1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9209349B2 (en) | Method of fabricating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924456B1 (ko) | 발광 소자 | |
KR20110035489A (ko) | 반도체 발광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