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44871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871B1
KR101744871B1 KR1020100125111A KR20100125111A KR101744871B1 KR 101744871 B1 KR101744871 B1 KR 101744871B1 KR 1020100125111 A KR1020100125111 A KR 1020100125111A KR 20100125111 A KR20100125111 A KR 20100125111A KR 101744871 B1 KR101744871 B1 KR 101744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quantum dot
liquid crystal
guide plate
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929A (ko
Inventor
김윤상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8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8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17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 G02F1/01791Quantum boxes or quantum do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및 색재현율 향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청색 LED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의 입광면에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를 코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색 LED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은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퀀텀도트를 도광판의 입광면에 코팅함으로써, 퀀텀도트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퀀텀도트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화상의 색재현율을 낮아지거나,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및 색재현율 향상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하지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가 배치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이하 LED라 함) 등을 사용한다.
이중에서 특히, LED는 소형, 저소비 전력, 고신뢰성 등의 특징을 겸비하여 표시용 광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렇게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는 광을 발하는 LED칩과 형광체로 이루어져, LED칩으로부터 빛이 출사되면, 출사된 광은 형광체를 여기시켜 백색광을 발하게 된다.
대표적인 백색 LED 장치는, 발광효율 및 휘도가 우수한 청색 LED칩을 포함하는 청색 LED를 사용하고, 형광체로서 '세륨이 도핑된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YAG:Ce)', 즉 옐로우 형광체를 사용한다.
청색 LED로부터 출사된 일부 청색광은 형광체를 투과하여 형광체에 의해 출사된 옐로우광과 혼합됨으로써,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청색 LED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휘도는 증가되나 색재현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청색 LED 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청색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및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에 안착되며, 입광면에 퀀텀도트(quantum dot)가 코팅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입광면을 향해 광이 출사되는 다수의 LED와,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 상에 안착되는 광학시트와;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과 밀착되는 저면과 이의 측면으로 구성되는 커버버툼을 포함하며, 상기 퀀텀도트는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을 여기시켜 백색광을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퀀텀도트는 접착성물질을 통해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고정되며, 상기 접착성물질이 상기 퀀텀도트를 완전히 감싸며, 상기 접착성물질은 투명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성물질의 일측부는 상기 퀀텀도트 및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척상물질의 타측부는 상기 LED의 상기 광이 출사되는 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착성물질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된다.
그리고, 상기 LED는 청색광을 발산하는 청색 LED이며, 상기 퀀텀도트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되며, 상기 LED는 청색광을 발산하는 청색 LED이며, 상기 퀀텀도트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옐로우 발광나노입자이다.
여기서, 상기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상기 녹색 발광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는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또는 HgS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상기 녹색 발광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는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와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의 쉘로 이루어지는 코어-쉘 구조(core-shell)이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색 LED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의 입광면에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를 코팅함으로써, 청색 LED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은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퀀텀도트를 도광판의 입광면에 코팅함으로써, 퀀텀도트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퀀텀도트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화상의 색재현율을 낮아지거나,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모듈화된 도 1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퀀텀도트 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색좌표 상의 BT.709 중첩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퀀텀도트를 도광판의 입광면에 코팅하는 방법을 공정 흐름에 따라 나타낸 공정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모듈화하기 위한 서포트메인(130)과 커버버툼(150) 그리고 탑커버(140)로 구성된다.
이들 각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탑커버(140)와 서포트메인(130) 그리고 커버버툼(150)을 통해 모듈화 되는데, 탑커버(140)는 액정패널(110)의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탑커버(140)의 전면을 개구하여 액정패널(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액정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이 안착하여 액정표시장치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5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에 밀착되는 수평면(151) 및 이의 가장자리가 수직하게 상향 절곡된 측면(15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버툼(150) 상에 안착되며 액정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일 가장자리가 개구된 사각의 테 형상의 서포트메인(130)이 탑커버(140)와 커버버툼(150)과 결합된다.
서포트메인(130)은 내측으로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위치를 구분짓는 돌출부(131)가 구비되어, 액정패널(110)은 돌출부(131) 상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탑커버(140)는 케이스탑 또는 탑케이스라 일컬어지기도 하고, 서포트메인(130)은 가이드패널 또는 메인서포트, 몰드프레임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버툼(150)은 버텀커버 또는 하부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액정패널(1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을 포함한다.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112)의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114)의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외면으로는 특정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미도시)이 각각 부착된다.
이 같은 액정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 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같은 연결부재(1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1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50)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10)은 게이트구동회로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데이터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패널(11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LED 어셈블리(129)와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125)과, 이러한 반사판(1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광학시트(121)를 포함한다.
LED 어셈블리(129)는 도광판(123)의 입광면과 대면하도록 도광판(123)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LED 어셈블리(129)는 다수개의 LED(129a)와, 다수개의 LED(129a)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는 PCB(129b)를 포함한다.
이때, LED(129a)는 발광효율 및 휘도 향상을 위하여, 약 430nm 내지 450nm의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 LE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120)은 청색광이 발산되는 청색 LED(129a)와 대면되는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퀀텀도트(quantum dot : 210)가 코팅되어 있으며, 이러한 퀀텀도트(210)는 접착성물질(220)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되어 있는 퀀텀도트(210)에 의해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낮은 청색 LED(129a)를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으로 사용함에도 색재현율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퀀텀도트(210)가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되어 도광판(123)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퀀텀도트(210)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다.
즉, 광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청색 LED(129a)와 도광판(123) 입광면 사이에 퀀텀도트(210)를 구비하기 위해서, 퀀텀도트(210)를 바(bar) 형상으로 경화시킨 후, 경화된 바(bar) 형상의 퀀텀도트를 청색 LED(129a)와 도광판(123) 입광면에 각각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성물질(미도시)을 통해 부착해야 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을 모두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화된 바(bar) 형상의 퀀텀도트는 쉽게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차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렇듯, 다수의 청색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청색광이 도광판(123) 입광면에 코팅된 퀀텀도트(210)를 통과하여 광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으로 구현되어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되고,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백색광은 도광판(123) 내에서 여러번의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123)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액정패널(110)에 면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반사판(125)은 도광판(123)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23)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도광판(123) 상부의 광학시트(121)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하며, 도광판(123)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11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 되도록 한다.
전술한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123) 입광면에 퀀텀도트(210)를 코팅함으로써, 청색 LED(129a)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도광판(123) 입광면을 통해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퀀텀도트(210)에 의해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으로 구현되므로, 기존에 비해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액정표장치의 색재현율은 BT.709의 색좌표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퀀텀도트(210)가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되어 도광판(123)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퀀텀도트(210)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퀀텀도트(210)를 경화시켜 바(bar)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bar) 형상으로 경화된 퀀텀도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모듈화된 도 1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퀀텀도트 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색좌표 상의 BT.709 중첩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125)과, 입광면에 퀀텀도트(210)가 코팅된 도광판(123)과, LED 어셈블리(129)와 도광판(123) 상부에 광학시트(121)들이 적층되어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과 이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과 이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되는 액정패널(110)이 위치하며, 제 1 제 2 기판(112, 114)의 각각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편광판(119a, 119b)이 부착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과 액정패널(110)은 서포트메인(130)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지며, 이의 배면으로 수평면(151)과 측면(153)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버툼(150)이 결합되며 액정패널(110)의 상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두르는 탑커버(140)가 서포트메인(130) 및 커버버툼(15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LED 어셈블리(129)는 도광판(123)의 퀀텀도트(210)가 코팅된 입광면과 대면하도록 도광판(123)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LED 어셈블리(129)는 다수개의 청색 LED(129a)와, 다수개의 청색 LED(129a)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는 PCB(129b)를 포함한다.
이러한 LED 어셈블리(129)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복수개의 청색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청색광이 도광판(123) 입광면과 대면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서포트메인(130)은 일측 가장자리 내측면에 일정형태의 돌출부(131)가 구성되어 이의 상부면으로는 액정패널(110)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의 하부면에는 양면테이프등의 접착성물질(미도시)을 통해 LED 어셈블리(129)가 부착 및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사이드 뷰(side view) 타입이라 한다.
즉, LED 어셈블리(129)는 다수개의 청색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청색광이 PCB(129b)에 평행하며, PCB(129b)와 도광판(123)의 입광면이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LED 어셈블리(129)의 청색 LED(129a)는 도면상으로는 단 하나 만을 도시하였으나, 청색 LED(129a)는 다수개가 PCB(129b) 상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구동전력을 인가받게 된다.
여기서 PCB(129b)는 수지 또는 세라믹과 같은 절연층 상에 배선패턴(미도시)을 인쇄하여 각종 전자 소자의 탑재와 전기적 연결을 가능케 하는 전자회로기판으로, PCB(129b)는 에폭시 계열의 FR4 PCB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CPCB(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청색 LED(129a)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방열하기 위하여 MCPCB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MCPCB로 형성할 경우 금속재질의 MCPCB와 배선패턴(미도시)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재질 등의 절연층(미도시)을 더욱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광판(12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성 재료중의 하나인 아크릴계 투명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 PMMA)같은 플라스틱(plastic) 물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PC)계열에 의해 평면형태(flat type)로 제작된다.
이러한 도광판(123)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하는데, 패턴은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은 청색광이 발산되는 청색 LED(129a)와 대면되는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퀀텀도트(quantum dot : 210)가 코팅되어 있다.
즉, 도광판(123)의 입광면에는 퀀텀도트(210)가 코팅되어 있으며, 이러한 퀀텀도트(210)는 접착성물질(220)에 의해 외부가 완전히 감싸져 접착성물질(220)의 접착력에 의해 도광판(123) 입광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접착성물질(220)은 청색 LED(129a)에도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착성물질(220)은 투명한 접착성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성물질(220)의 일측부는 퀀텀도트(210)와 도광판(123)의 입광면과 접촉하며, 이의 반대측인 타측부는 청색 LED(129a)의 청색광이 출사되는 전방과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청색 LED(129a)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이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된 퀀텀도트(210)를 통과함에 따라 구현되는 백색광은 광의 손실 없이 모두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퀀텀도트(210)는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상태로, 청색 LED(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은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123) 내부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이 입사되고,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된 백색광은 여러 번의 전반사에 의해 도광판(123) 내를 진행하면서 도광판(123)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액정패널(110)에 우수한 백색광의 면광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퀀텀도트(21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퀀텀도트(210)는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상태로, 발광나노입자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소정크기의 입자를 말하는데, 이는 양자점(quantum dot)이라 칭하기도 한다.
발광나노입자는 화학적 합성 공정을 통해 만드는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로 광원으로부터 주입되는 빛의 파장을 변환하여 출사하는데,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발광 파장이 달라져 가시광선의 모든색을 출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나노입자의 직경은 1 내지 10nm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발광나노입자는 Ⅱ-Ⅵ족, Ⅲ-Ⅴ족 또는 Ⅳ족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dSe, CdTe, CdS, ZnSe, ZnTe, ZnS, InP, GaP, GaInP2, PbS, ZnO, TiO2, AgI, AgBr, Hg12, PbSe, In2S3, In2Se3, Cd3P2, Cd3As2 또는 GaAs일 수 있다.
또한, 발광나노입자는 코어-쉘 구조(core-shell)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코어는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을 포함하고, 쉘은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나노입자는 양자점 크기 효과(quantum size effect)에 따른 다양한 파장의 광, 즉 그 크기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한 7빛깔의 무지개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즉, 발광나노입자의 사이즈에 따라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일예로, 발광나노입자로 CdSe를 사용하는 경우, 발광나노입자에 광을 조사하면 CdSe의 크기에 따라 방출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한다. CdSe의 직경이 약 1.7nm 정도인 경우 청색광을 방출하며, 2.3nm 직경인 경우 녹색광을 방출하며, 5.0nm 직경인 경우 붉은색광을 방출한다.
이러한,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발광나노입자는 뛰어난 색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발광나노입자의 크기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색깔의 광 구현이 가능하므로 사용하는 발광나노입자에 따라 단일 광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빛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은 청색LED(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되기 위해 통과하게 되는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210)를 코팅함으로써, 청색 LED(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은 퀀텀도트(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되고, 이러한 백색광은 도광판(123) 내부로 입사되는 것이다.
즉, 청색 LED(129a)로부터 청색광이 발산되면, 청색광은 퀀텀도트(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퀀텀도트(210)의 적색 발광나노입자에 의해 청색광의 파장이 변환되어 적색광으로 변환되며, 녹색 발광나노입자에 의해 청색광의 파장이 변환되어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청색 LED(129a)로부터 발산된 청색광과 적색 발광나노입자에 의해 구현되는 적색광 그리고 녹색 발광나노입자에 의해 구현되는 녹색광은 서로 혼합되어,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낮은 청색 LED(129a)를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의 광원으로 사용함에도,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를 만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광면에 퀀텀도트가 코팅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색좌표 상의 BT.709 중첩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색좌표 상의 BT.709의 중첩비가 98%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색 LED(도 2의 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퀀텀도트(도 2의 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현되는 백색광을 통해 액정패널(도 2의 110)의 적(R), 녹(G), 청(B) 색의 컬러필터층(미도시)을 투과시킴으로써 구현되는 색재현율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와 거의 유사하게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색재현율이란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 표시장치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말하며, 이는 적색(R), 녹색(G), 청색(B) 상태의 색좌표와 휘도를 각각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삼원색(3 Primary Colors)에 대하여 색재현율(Color Reproduction)을 구할 수 있다.
색좌표는 통상적으로 색을 측정한 다음 각각을 구별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과학적인 양이며, 적색(700nm), 녹색(546.1nm), 청색(435.8nm)의 좌표값을 국제조명위원회(CIE: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가 1931년 지정한 좌표계 위에 표시한 것이다.
색재현율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색좌표 상에 결정된 적(R), 녹(G), 청색(B) 각각의 색좌표를 연결하면 삼각형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고, 색재현율은 위의 면적을 NTSC(국제 TV 표준 위원회) 색좌표의 면적과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색재현율은 NTSC의 색좌표 면적의 값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의 상대적인 면적의 비로써 나타낸 것이다.
이로 인하여,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가 A의 면적으로 구현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색 LED(도 2의 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도광판(도 2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된 퀀텀도트(도 2의 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현되는 백색광을 광원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은 B의 면적으로 구현되게 된다.
따라서, 위의 BT.709 중첩비란, 색좌표 상에서 A의 면적과 중첩되는 양을 말하며, A의 면적과 B의 면적이 거의 유사하게 중첩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청색 LED(도 2의 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퀀텀도트(도 2의 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현되는 백색광을 광원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와 거의 유사하게 만족하게 되고, 이는 색재현율이 보다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은 퀀텀도트(도 2의 210)가 도광판(도 2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되어 도광판(도 2의 123)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퀀텀도트(도 2의 210)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다.
즉, 광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청색 LED(도 2의 129a)와 도광판(도 2의 123) 입광면 사이에 퀀텀도트(도 2의 210)를 구비하기 위해서, 퀀텀도트(도 2의 210)를 바(bar) 형상으로 경화시킨 후, 경화된 바(bar) 형상의 퀀텀도트를 청색 LED(도 2의 129a)와 도광판(도 2의 123) 입광면에 각각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성물질(미도시)을 통해 부착해야 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을 모두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바(bar) 형상의 경화된 퀀텀도트는 매우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이렇게 바(bar) 형상으로 경화된 퀀텀도트를 청색 LED(도 2의 129a)와 도광판(도 2의 123)의 입광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성물질(미도시)을 통해 부착하는 공정은 매우 까다롭다.
특히, 바(bar) 형상의 경화된 퀀텀도트는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가짐으로써, 이렇게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손쉽게 파손될 수 있다.
여기서, 바(bar) 형상으로 경화된 퀀텀도트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청색 LED(도 2의 129a)로부터 발광된 청색광 이 균일한 백색광으로 구현되지 못하고, 일부 청색광은 바로 도광판(도 2의 123)으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청색광은 컬러필터(미도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색 및 녹색과 색섞임이 되어 적색 및 녹색의 컬러를 구현함에도, 이의 컬러에는 청색광이 혼색되어 존재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화상의 색재현율을 낮추게 된다.
또한, 바(bar) 형상으로 경화된 퀀텀도트의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퀀텀도트 만을 교체할 수 없어, 이를 통해서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은 퀀텀도트(도 2의 210)를 도광판(도 2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함으로써, 퀀텀도트(도 2의 210)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퀀텀도트(도 2의 2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화상의 색재현율을 낮아지거나,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광판(도 2의 123)의 입광면에 퀀텀도트(도 2의 210)를 코팅하는 방법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퀀텀도트를 도광판의 입광면에 코팅하는 방법을 공정 흐름에 따라 나타낸 공정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210)를 코팅한다.
이때, 퀀텀도트(210)는 스핀코팅(spin coating) 또는, 바 코팅(bar coating) 등의 방법을 통하여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퀀텀도트(210)가 코팅된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접착성물질(220)을 도포한다.
접착성물질(220)은 가온처리 또는 감온처리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접착성물질(220)은 접착성을 갖는 투명한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페놀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접착성물질(220)이 우수한 접착성능을 갖는다.
이러한 접착성물질(220)은 점도성물질로 이루어져, 도광판(123)의 입광면에 코팅된 퀀텀도트(210)를 완전히 덮도록 도포된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퀀텀도트(210)를 완전히 덮도록 도포된 접착성물질(220)에 가온처리 또는 감온처리를 통해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광면에 퀀텀도트(210)가 코팅된 도광판(123)을 완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청색 LED(도 2의 129a)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의 도광판(도 4c의 123)의 입광면에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도 4c의 210)를 코팅함으로써, 청색 LED(도 2의 129a)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은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퀀텀도트(도 4c의 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특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색재현율이 낮은 청색 LED(도 2의 129a)를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의 광원으로 사용함에도, 액정표시장치의 색재현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색재현율을 나타낸 색좌표계인 BT.709의 색좌표를 만족하게 된다.
또한, 퀀텀도트(도 4c의 210)를 도광판(도 4c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함으로써, 퀀텀도트(도 4c의 210)를 별도로 구비하기 위한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퀀텀도트(도 4c의 2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화상의 색재현율을 낮아지거나,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상술한 구조에서, 광원인 LED(도 2의 129a)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 LED로, 이때 도광판(도 4c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되는 퀀텀도트(도 4c의 210)는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구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때, 퀀텀도트(도 4c의 210)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LED(도 2의 129a)는 적색 및 녹색 또는 UV LED일 수 있으며 이때, 퀀텀도트(도 4c의 210)는 LED(도 2의 129a)로부터 발산되는 광과 혼합되어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는 컬러의 발광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LED(도 2의 129a)가 UV LED일 경우 도광판(도 4c의 123)의 입광면에 코팅되는 퀀텀도트(도 4c의 210)는 적색 및 녹색 그리고 청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되어 경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상술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도 1의 120)은 통상 사이드라이트(side light) 방식이라 불리는데, 목적에 따라 PCB(도 2의 129b) 상에 청색 LED(도 2의 129a)를 다수 개 복층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LED 어셈블리(도 2의 129)를 각각 복수 조로 구비하여 커버버툼(도 2의 150)의 서로 대면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개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액정패널(112, 114 : 제 1 및 제 2 기판)
119a, 119b : 제 1 및 제 2 편광판
120 : 백라이트 유닛, 121 : 광학시트, 123 : 도광판, 125 : 반사판, 129 : LED 어셈블리(129a : 청색 LED, 129b : PCB)
130 : 서포트메인, 131 : 돌출부, 140 : 탑커버, 150 : 커버버툼
210 : 퀀텀도트, 220 : 접착성물질

Claims (10)

  1.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에 안착되며, 입광면에 퀀텀도트(quantum dot)가 코팅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입광면을 향해 광이 출사되는 다수의 LED와,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도광판 상에 안착되는 광학시트와;
    상기 광학시트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과 밀착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측면으로 구성되는 커버버툼
    을 포함하며,
    상기 퀀텀도트는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을 여기시켜 백색광을 구현하고,
    상기 퀀텀도트는 접착성물질을 통해 상기 도광판의 입광면에 고정되고,
    상기 접착성 물질은 상기 퀀텀도트의 상부에서 상기 퀀텀도트를 완전히 감싸고,
    상기 접착성물질의 일측부는 상기 퀀텀도트 및 상기 입광면과 접촉하며, 상기 접착성물질의 타측부는 상기 LED의 상기 광이 출사되는 일면과 접촉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물질은 투명한 액정표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물질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청색광을 발산하는 청색 LED이며, 상기 퀀텀도트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가 혼합된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청색광을 발산하는 청색 LED이며, 상기 퀀텀도트는 양자고립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가지는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녹색 발광나노입자로 이루어지거나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상기 녹색 발광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는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또는 HgS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나노입자와 상기 녹색 발광나노입자 그리고 상기 옐로우 발광나노입자는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와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및 HgS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의 쉘로 이루어지는 코어-쉘 구조(core-shell)인 액정표시장치.
  10. 도광판의 입광면에 퀀텀도트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퀀텀도트 상부에, 상기 퀀텀도트를 상기 입광면에 고정하고 상기 퀀텀도트를 완전히 감싸는 접착성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반사판 상부에 상기 도광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입광면을 따라, 상기 입광면을 향해 광이 출사되는 다수의 LED와, 상기 다수의 LED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하는 LED 어셈블리를 배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광판 상부에 광학시트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학시트 상부에 액정패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에 서포트메인을 두르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에 커버버툼의 저면을 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퀀텀도트는 상기 다수의 LED로부터 발광된 광을 여기시켜 백색광을 구현하고,
    상기 접착성물질의 일측부는 상기 퀀텀도트 및 상기 입광면과 접촉하며, 상기 접착성물질의 타측부는 상기 LED의 상기 광이 출사되는 일면과 접촉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125111A 2010-12-08 2010-12-08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1744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11A KR101744871B1 (ko) 2010-12-08 2010-12-08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11A KR101744871B1 (ko) 2010-12-08 2010-12-0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29A KR20120063929A (ko) 2012-06-18
KR101744871B1 true KR101744871B1 (ko) 2017-06-08

Family

ID=4668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111A Active KR101744871B1 (ko) 2010-12-08 2010-12-0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0146B2 (en) 2018-08-28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13418B2 (en) 2020-12-28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re shell quantum do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23B1 (ko) * 2012-08-23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노 형광체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KR102090163B1 (ko) 2012-10-26 2020-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96436B1 (ko) * 2014-02-27 2020-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5242448B (zh) * 2015-11-11 2018-05-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色滤光基板的制作方法及彩色滤光基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0961A (ja) * 2009-01-26 2010-08-05 Sony Corp 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0961A (ja) * 2009-01-26 2010-08-05 Sony Corp 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0146B2 (en) 2018-08-28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94710B2 (en) 2018-08-28 2024-05-28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13418B2 (en) 2020-12-28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re shell quantum do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29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14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42625B1 (ko) 액정표시장치
EP2776875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conversion member
KR101210163B1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489178B (zh) 光學構件、顯示裝置及具有其之發光裝置
TWI498642B (zh) 光學件與具有其之顯示裝置以及其製作方法
KR102106045B1 (ko) 양자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961879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394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4487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600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20061538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9892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55991B1 (ko) 표시장치
KR101251807B1 (ko) 표시장치
TWI621898B (zh) 光學構件及具有其之顯示裝置
KR101792882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56058B1 (ko) 표시장치
KR101855997B1 (ko) 표시장치
KR2010000246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97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210084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009026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10068B1 (ko)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606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