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31976B1 - 직수 연결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직수 연결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976B1
KR101731976B1 KR1020160120992A KR20160120992A KR101731976B1 KR 101731976 B1 KR101731976 B1 KR 101731976B1 KR 1020160120992 A KR1020160120992 A KR 1020160120992A KR 20160120992 A KR20160120992 A KR 20160120992A KR 101731976 B1 KR101731976 B1 KR 10173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rect
casing
direct water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주)딘에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딘에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딘에어코리아
Priority to JP201618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355694B2/ja
Priority to PCT/KR2016/013859 priority patent/WO201713869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9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 연결형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분무구를 구비하고 직수관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의 직수를 증발시켜 분무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가습유닛, 및 직수관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를 단속하는 공급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벽체 매립형 또는 벽체 거치형의 가습설비로써 외부의 직수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받는 물통을 가습설비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하여 청결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직수가 흐르는 직수관에 감압밸브를 구비하여 직수의 토출 상태를 제어하며, 정수기에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수 연결형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직수 연결형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매립형 또는 벽체 거치형의 가습설비로써 외부의 직수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받는 물통을 가습설비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하여 청결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직수가 흐르는 직수관에 감압밸브를 구비하여 직수의 토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한 주거공간을 가습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초음파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 실내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습수단은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 가습(加濕)수단과, 열에너지에 의하여 수증기를 가열 발생시키는 가습수단이 있다.
또한, 부구에 의해 수위가 조절되는 수조의 내부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서 된 증발식 가습기도 고안된 바 있다.
아울러, 수돗물을 직결하여 항상 청결한 물을 증발 가습할 수 있는 가습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실내 가습기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46936호(발명의 명칭: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등록일: 2002.07.19.)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수도 직결식 가습기는 직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물받이를 벽체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물받이의 청결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수도 직결식 가습기는 비교적 고압의 직수를 그대로 받기 때문에 물받이에 담기는 직수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직수관이 고압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 매립형 또는 벽체 거치형의 가습설비로써 외부의 직수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수를 받는 물통을 가습설비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하여 청결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수 연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가 흐르는 직수관에 감압밸브를 구비하여 직수를 감압함으로써 토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습설비 내부에 서브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가습설비로 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의 작동오류나 고장시 직수의 넘침을 방지하고자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는: 분무구를 구비하고, 직수관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직수를 증발시켜 상기 분무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가습유닛; 및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를 단속하는 공급단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직수를 담기 위해 물통을 구비하고, 상기 물통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단속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상기 직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직수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직수의 흐름 여부와 흐름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직수관에 구비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케이싱 내부로 상기 직수의 공급시에 감압 유도하도록 상기 직수관 또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감압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단속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직수의 설정 수위시, 상기 직수의 공급을 부가적으로 차단하는 서브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밸브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습유닛 측으로 직수를 공급 안내하기 위해 안내홀을 통공한 바디; 상기 안내홀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음에 따라, 상기 가습유닛 측에 저장되는 직수의 양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 또는 상기 부력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홀을 개폐하는 개폐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공급단속부의 작동으로 직수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을 위해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에서 상기 분무구 방향으로 외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물통에서 증발되는 증발수를 상기 외기와 함께 상기 분무구 방향으로 흐름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외기의 흐름을 강제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온(加溫)시켜 상기 물통에 저장된 직수의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는: 분무구를 구비하고, 직수관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직수를 증발시켜 상기 분무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가습유닛;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를 단속하는 공급단속부; 상기 케이싱에 수납되고, 공급된 직수를 설정량만큼 저장하며, 상기 가습유닛을 구비하는 물통; 및 상기 케이싱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이 수납된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벽체 매립형 또는 벽체 거치형의 가습설비로써 외부의 직수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을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수를 받는 물통을 가습설비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하여 청결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가 흐르는 직수관에 감압밸브를 구비하여 직수를 감압함으로써 토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습설비 내부에 서브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가습설비로 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의 작동오류나 고장시 직수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서브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서브밸브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100)는 케이싱(110), 물통(120), 가습유닛(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가습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케이싱(110)은 실내 등의 벽체(1)에 일부가 매립되거나, 또는 벽체(1)에 거치된다. 물론, 케이싱(110)은 바닥에 놓일 수도 있다. 여기서, 벽체(1)는 가구 등의 패널일 수도 있다.
특히, 케이싱(110)이 벽체(1)에 매립될 경우, 적어도 전측은 노출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외기가 유입된 후 배출 허용된다.
그리고, 케이싱(110)이 벽체(1)에 거치될 경우, 별도의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케이싱(110)이 거치된다.
또한, 케이싱(110)은 증발되는 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분무하도록 분무구(112)를 형성한다. 편의상, 분무구(112)는 벽체(1)의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싱(11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싱(110)은 후측에 경질의 캡(118)을 구비할 수 있다. 캡(118)은 벽체(1)에 매립되어 벽체(1)로부터 케이싱(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캡(118)이 케이싱(110)과 결합 후 벽체(1)에 억지 매립됨으로써 케이싱(1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캡(118)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무구(112)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물통(120)은 케이싱(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때, 물통(120)은 케이싱(110) 내부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도 있고, 단순히 케이싱(110) 내부에 수납될 수도 있다.
물통(120)은 직수관(10)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물통(120)이 케이싱(1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직수관(10)은 수도꼭지나 상하수도의 물(직수)을 물통(120)으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직수관(10)은 케이싱(110)에 삽입된 상태로 물통(120)에 직수를 공급한다.
이때, 직수관(10)은 직수의 수압에 의해 흔들리면서 케이싱(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케이싱(110)에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물론, 물통(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물통(1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케이싱(110) 내부에 고정되도록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습유닛(130)은 물통(120) 내부의 직수를 자연방식 또는 가열방식으로 증발시켜 분무구(112)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싱(110)은 물통(120)을 인출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전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140)를 구비한다. 이때, 커버(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케이싱(110)에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케이싱(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로서, 커버(140)는 쇼바부재(190)에 의해 상부 개폐식으로 케이싱(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커버(140)의 개폐 작동감이 현저히 향상된다.
특히, 사용자는 커버(140)를 개방 후, 물통(120)을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140)는 가습량 조절을 위해 가습유닛(13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42)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인테리어감 향상과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로터리 스위치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직수관(10)은 공급단속부(150)에 의해 직수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단속부(150)는 수위센서(152), 개폐밸브(154) 및 감압밸브(156)를 포함한다.
수위센서(152)는 물통(120)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물통(12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수위센서(152)가 물통(120)에 설치되는 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한다.
이때, 수위센서(152)가 물통(120)에 구비됨에 따라, 물통(120)은 세척 등을 위해 케이싱(110)에서 인출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위센서(152)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원과의 연결이 단속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밸브(154)는 수위센서(152)의 설정 수위 여부 신호에 의해 직수관(10)을 통해 유동되는 직수의 흐름 여부와 흐름량을 제어하도록 직수관(10)에 구비된다. 즉, 개폐밸브(154)는 수위센서(152)의 신호에 의해 만수위(滿水位)시 닫히게 되고, 설정 이하의 수위를 감지시 열리게 된다. 개폐밸브(154)는 케이싱(110)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밸브(154)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위센서(152)가 물통(120)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물통(120) 내부에서 점차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수위센서(152)가 직수를 감지시, 개폐밸브(154)는 서서히 닫히면서 직수의 유동량을 줄이도록 제어된다.
또한, 감압밸브(156)는 직수를 통해 유동되는 직수의 토출 전 감압을 위해 직수관(10)에 구비된다.
즉, 직수가 물통(120)으로 토출시 비교적 고압에 의해 되튀어 케이싱(110) 외부로 흐를 수 있고, 비교적 고압으로 물통(120)에 부딪힘에 따라 물통(120)의 파손이나 충격음이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직수관(10)은 감압밸브(156)를 구비하여 직수의 압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개폐밸브(154)가 개방 작동되며, 직수가 물통(120)으로 공급시에, 사용자가 커버(140)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직수가 케이싱(11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밸브(154)가 오프[OFF]되며 직수의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110)은 스위치(18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40)가 케이싱(110)의 개방된 전측을 닫은 상태일 경우, 스위치(180)는 커버(140)의 닫힌 상태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개폐밸브(154)는 외부 조작이나 외부의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140)가 케이싱(110)의 전측을 개방할 경우, 스위치(180)는 커버(140)의 열린 상태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개폐밸브(154)는 개방을 위한 외부 조작이나 외부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닫힘 상태로 전환되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개폐밸브(154)가 오작동을 하거나 고장시, 직수가 물통(120)에서 넘쳐나면서 케이싱(1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급단속부(150)는 서브밸브부(1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서브밸브부(170)는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의 설정 수위시, 직수의 공급을 부가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브밸브부(170)는 바디(172), 링크부재(174), 부력부재(176) 및 개폐작동부재(178)를 포함한다.
바디(172)는 케이싱(110)의 내부, 특히 물통(1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물통(120) 내측에 가습유닛(130) 측으로 직수를 공급 안내하기 위해 안내홀(173)을 통공한다. 물론, 바디(17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링크부재(174)는 안내홀(173)의 가장자리, 또는 바디(172)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링크부재(17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안내홀(173)의 가장자리 또는 바디(17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부력부재(176)는 링크부재(174)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다. 그래서, 부력부재(176)는 가습유닛(130) 측, 특히 물통(120)에 저장되는 직수의 양에 따라 승하강된다. 물론, 부력부재(176)가 안내홀(173)의 가장자리, 또는 바디(17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폐작동부재(178)는 링크부재(174) 또는 부력부재(176)에서 연장되어, 부력부재(176)의 위치에 따라 안내홀(173)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개폐작동부재(17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밸브부(170)는 수위센서(152)의 신호에 의해 개폐밸브(154)의 작동에 연동되어 직수의 흐름(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며, 물통(120) 내부의 직수의 수위에 따라 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개폐작동부재(178)가 안내홀(173)을 막을 경우, 안내홀(173)의 내측면에는 개폐작동부재(178)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하여 지지하는 지지턱(179)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습유닛(130)은 샤프트(131) 및 디스크(132)를 포함한다.
샤프트(131)는 물통(120)의 상측에 거치되어 회전된다. 이때, 샤프트(131)는 구동원(137)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디스크(132)는 샤프트(131)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된다. 아울러, 디스크(132) 각각은 일부가 물통(120)의 직수에 잠기게 된다. 그래서, 직수가 묻은 디스크(132)가 회전되면서 직수를 증발 유도하게 된다.
또한, 가습유닛(130)은 흡입부(133), 덕트(134), 송풍팬(135) 및 히터(136)를 포함한다.
흡입부(133)는 케이싱(110) 또는 커버(1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흡입부(133)는 커버(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흡입부(133)의 크기와 개수 및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덕트(134)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부(133)에서 분무구(112) 방향으로 외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물통(120)에서 증발되는 증발수를 외기와 함께 분무구(112) 방향으로 흐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즉, 증발되는 직수와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후 분무구(112)의 토출그릴부(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송풍팬(135)은 덕트(134)에 구비되어 외기의 흐름을 강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디스크(132)에 묻은 낙수의 증발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가습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송풍팬(135)은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토출측에 해당되는 케이싱(110)에 구비된다. 그래서, 송풍팬(135)이 가동되면서 디스크(132)의 표면에 묻은 습기와 공기를 인출시킨다. 이로 인해, 송풍팬(135)이 공기의 흡입측에 해당되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보다 풍음이 저감된다.
히터(136)는 덕트(134)에 구비되어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온(加溫)시켜 물통(120)에 저장된 직수의 증발량을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흡입부(133)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히터(136)를 통과하거나 히터(136)에 의해 가열된 후 디스크(132)에 묻은 직수에 접하게 된다. 그러면, 디스크(132) 표면에 묻은 직수는 증발력이 증가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내의 가습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특히, 분무구(112)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그릴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34)는 내측에 살균부재(160)를 구비하여 외기와 직수를 살균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정화 처리된 후 물통(120) 방향으로 송풍된다. 그래서, 케이싱(110) 내부에는 필터부재(138)가 구비된다.
또한, 송풍팬(135)이 디스크(132)의 표면에 묻은 습기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함에 따라,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충분해야 한다.
그래서, 커버(140)는 일측에 보조흡입구(144)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외기는 흡입부(133)와 보조흡입구(144)를 통해 충분히 유입된다.
특히, 보조흡입구(144)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14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덕트(134)는 케이싱(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예로서, 덕트(134)는 걸림후크(172)를 구비하고, 케이싱(110)은 내측에 걸림홈(174)을 형성한다. 그래서, 덕트(134)가 케이싱(110)에 삽입시, 걸림후크(172)가 걸림홈(174)에 걸리게 됨으로써, 덕트(134)는 케이싱(110)에 조립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수 연결형 가습기(100)는 케이싱(110), 물통(120), 가습유닛(130), 공급단속부(150) 및 검출부재(122)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가습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내 등의 벽체에 일부가 매립되거나, 또는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싱(110)은 바닥에 놓일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110)은 증발되는 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분무하도록 분무구(112)를 형성한다. 편의상, 분무구(112)는 케이싱(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직수관(10)을 통해 외부로부터 직수를 공급받게 된다. 편의상, 직수관(10)은 케이싱(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물통(120)은 케이싱(110)에 슬라이드 수납될 수 있다. 편의상, 물통(120)은 케이싱(110)의 전측에 슬라이드 수납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물통(120)은 케이싱(110)에 완전히 수납 후 결속될 수도 있다.
특히, 물통(120)은 직수관(10)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직수관(10)은 수도꼭지나 상하수도의 물(직수)을 물통(120)으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직수관(10)은 케이싱(110)에 삽입된 상태로 물통(120)에 직수를 공급한다.
물론, 물통(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가습유닛(130)은 물통(120) 내부의 직수를 자연방식 또는 가열방식으로 증발시켜 분무구(112)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습유닛(130)은 물통(120)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습유닛(130)은 샤프트(131), 디스크(132), 흡입부(133), 덕트(134), 송풍팬(135) 및 필터부재(138)를 포함한다.
샤프트(131)는 물통(120)의 상측에 거치되어 회전된다. 이때, 샤프트(131)는 구동원(137)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디스크(132)는 샤프트(131)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직수가 묻은 디스크(132)가 회전되면서 직수를 증발 유도하게 된다.
흡입부(133)는 케이싱(110)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흡입부(133)의 크기와 개수 및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덕트(134)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부(133)에서 분무구(112) 방향으로 외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물통(120)에서 증발되는 증발수를 외기와 함께 분무구(112) 방향으로 흐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즉, 증발되는 직수와 유입되는 외기가 혼합된 후 분무구(1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송풍팬(135)은 덕트(134) 또는 물통(130)의 상측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외기의 흐름을 강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디스크(132)에 묻은 직수의 증발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가습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정화 처리된 후 물통(120) 방향으로 송풍된다. 그래서, 케이싱(110) 내부에는 필터부재(138)가 구비된다.
한편, 직수관(10)은 공급단속부(150)에 의해 직수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단속부(150)는 수위센서(152), 개폐밸브(154) 및 감압밸브(156)를 포함한다.
수위센서(152)는 물통(120)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 가능하도록 물통(12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수위센서(152)가 물통(120)에 설치되는 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개폐밸브(154)는 수위센서(152)의 설정 수위 여부 신호에 의해 직수관(10)을 통해 유동되는 직수의 흐름 여부와 흐름량을 제어하도록 직수관(10)에 구비된다. 즉, 개폐밸브(154)는 수위센서(152)의 신호에 의해 만수위(滿水位)시 닫히게 되고, 설정 이하의 수위를 감지시 열리게 된다.
여기서, 개폐밸브(154)는 전자식 밸브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위센서(152)가 물통(120)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물통(120) 내부에서 점차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수위센서(152)가 직수를 감지시, 개폐밸브(154)는 서서히 닫히면서 직수의 유동량을 줄이도록 제어된다.
또한, 감압밸브(156)는 직수를 통해 유동되는 직수의 토출 전 감압을 위해 직수관(10)에 구비된다.
즉, 직수가 물통(120)으로 토출시 비교적 고압에 의해 케이싱(110) 외부로 흐를 수 있고, 비교적 고압으로 물통(120)에 부딪힘에 따라 물통(120)의 파손이나 충격음이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직수관(10)은 감압밸브(156)를 구비하여 직수의 압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검출부재(122)는 케이싱(110) 내측에 구비되어 물통(120)이 수납된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개폐밸브(154)가 개방 작동되며, 직수가 물통(120)으로 공급시에, 사용자가 물통(120)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수가 케이싱(11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밸브(154)가 오프[OFF]되며 직수의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110)은 검출부재(12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직수관 100: 가습기
110: 케이싱 112: 분무구
115: 토출그릴부 118: 캡
120: 물통 130: 가습유닛
131: 샤프트 132: 디스크
133: 흡입부 134: 덕트
135: 송풍팬 136: 히터
140: 커버 150: 공급단속부
152: 수위센서 154: 개폐밸브
156: 감압밸브 160: 살균부재

Claims (7)

  1. 상측에 분무구를 구비하고, 직수관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의 직수를 증발시켜 상기 분무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 유도하는 가습유닛; 및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를 단속하는 공급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단속부는, 상기 직수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직수의 흐름 여부와 흐름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직수관에 구비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직수의 설정 수위시,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에 연동되거나 또는 상기 직수의 공급을 부가적으로 차단하는 서브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직수관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는 물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물통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외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측에 보조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개폐밸브와 별도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직수가 상기 물통에 공급되는 중에, 상기 커버가 개방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직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속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 수납된 상기 물통으로 유입되는 상기 직수의 수위를 검출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여부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물통으로 상기 직수의 공급시에 감압 유도하도록 상기 직수관 또는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밸브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습유닛 측으로 직수를 공급 안내하기 위해 안내홀을 통공한 바디;
    상기 안내홀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음에 따라, 상기 물통에 공급되는 직수의 양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 또는 상기 부력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홀을 개폐하는 개폐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에서 상기 분무구 방향으로 외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물통에서 증발되는 증발수를 상기 외기와 함께 상기 분무구 방향으로 흐름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외기의 흐름을 강제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온(加溫)시켜 상기 물통에 저장된 직수의 증발량을 증가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연결형 가습기.
  7. 삭제
KR1020160120992A 2016-02-12 2016-09-21 직수 연결형 가습기 Active KR10173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7547A JP6355694B2 (ja) 2016-02-12 2016-09-26 直水連結型加湿器
PCT/KR2016/013859 WO2017138690A1 (ko) 2016-02-12 2016-11-29 직수 연결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6643 2016-02-12
KR1020160016643 2016-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976B1 true KR101731976B1 (ko) 2017-04-28

Family

ID=5870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992A Active KR101731976B1 (ko) 2016-02-12 2016-09-21 직수 연결형 가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5694B2 (ko)
KR (1) KR101731976B1 (ko)
WO (2) WO20171386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59A (ko) * 2022-05-10 2023-11-17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66360A (ko) * 2022-05-30 2023-12-07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48Y1 (ko) * 2000-01-28 2000-06-15 정일용 벽체형 가습기
KR100346936B1 (ko) * 2000-03-07 2002-07-31 김호성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952B2 (ja) * 1991-08-23 2001-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恒温恒湿槽の給水装置
JP2002061898A (ja) * 2000-08-22 2002-02-28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2007278633A (ja) * 2006-04-10 2007-10-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加湿機
KR100955417B1 (ko) * 2008-03-17 2010-05-04 이철호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0977857B1 (ko) * 2008-04-24 2010-08-24 이철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JP2011012860A (ja) *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20100004482U (ko) * 2010-04-07 2010-04-30 휴미텍코리아(주) 공기조화 및 기화식 가습장치의 급수 정량공급장치
JP3163520U (ja) * 2010-07-15 2010-10-21 株式会社アイ・アンド・イー 茸栽培室用加湿器
KR20130119238A (ko) * 2012-04-23 2013-10-31 코웨이 주식회사 장착 감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40025841A (ko) * 2012-08-22 2014-03-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48Y1 (ko) * 2000-01-28 2000-06-15 정일용 벽체형 가습기
KR100346936B1 (ko) * 2000-03-07 2002-07-31 김호성 수도직결식 순간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59A (ko) * 2022-05-10 2023-11-17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67014B1 (ko) * 2022-05-10 2024-05-22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66360A (ko) * 2022-05-30 2023-12-07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97472B1 (ko) * 2022-05-30 2024-08-21 이영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5694B2 (ja) 2018-07-11
JP2017142046A (ja) 2017-08-17
WO2017138690A1 (ko) 2017-08-17
WO2017138674A1 (ko)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2622A1 (en) Humidifying unit for a hvac system
US20100258958A1 (en) Humidifier
JP7074696B2 (ja) 加湿空気発生装置
JP4740803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及び殺菌方法
KR101731976B1 (ko) 직수 연결형 가습기
JP6867882B2 (ja) 加湿装置
KR10097785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KR101482131B1 (ko) 가습기
KR20230031157A (ko)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JP4770621B2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15024350A (ja) 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JP6006160B2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1018930B1 (ko) 천장 부착형 복합식 공기청정기
KR20120078139A (ko) 기화식 가습기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KR101304074B1 (ko) 가습기
JP4292896B2 (ja) サウナ装置
JP7045965B2 (ja) ミスト発生装置
JPH09299312A (ja) 食器洗浄乾燥機
JP7488203B2 (ja) 加湿装置
JP2020041790A (ja) 液体微細化装置
KR101345902B1 (ko) 가습공기청정기 및 이중수조를 구비한 가습기
KR102819159B1 (ko) 무한 가습기
JP7667101B2 (ja) 加湿装置
KR100743505B1 (ko) 기화식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