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19B1 -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8319B1 KR101738319B1 KR1020167005319A KR20167005319A KR101738319B1 KR 101738319 B1 KR101738319 B1 KR 101738319B1 KR 1020167005319 A KR1020167005319 A KR 1020167005319A KR 20167005319 A KR20167005319 A KR 20167005319A KR 101738319 B1 KR101738319 B1 KR 101738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frame
- information
- data
- special
- down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2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2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수신하는 모식도이다.
Claims (25)
-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 네트워크측 장치와 유저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310436118.4 | 2013-09-23 | ||
CN201310436118.4A CN104469950B (zh) | 2013-09-23 | 2013-09-23 |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
PCT/CN2014/087059 WO2015039626A1 (zh) | 2013-09-23 | 2014-09-22 |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9661A KR20160039661A (ko) | 2016-04-11 |
KR101738319B1 true KR101738319B1 (ko) | 2017-05-19 |
Family
ID=5268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5319A Active KR101738319B1 (ko) | 2013-09-23 | 2014-09-22 |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033576B2 (ko) |
EP (1) | EP3051898A4 (ko) |
JP (1) | JP6173598B2 (ko) |
KR (1) | KR101738319B1 (ko) |
CN (1) | CN104469950B (ko) |
WO (1) | WO20150396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7451A1 (zh) * | 2016-04-15 | 2017-10-19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
CN107371243B (zh) | 2016-05-13 | 2019-07-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资源确定方法、相关设备及系统 |
EP3544346B1 (en) | 2016-12-23 | 2024-10-09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2372A1 (en) * | 2012-01-23 | 2013-08-01 | Intel Corporation |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9062A (ko) | 2008-03-24 | 2010-12-31 |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
CN102594436B (zh) * | 2011-01-12 | 2016-09-2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
KR101859594B1 (ko) | 2011-03-10 | 2018-06-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
CN102684855A (zh) * | 2011-03-11 | 2012-09-19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混合自动重传定时关系的指示方法 |
US9735844B2 (en) * | 2011-05-09 | 2017-08-15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Channel feedbac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
KR101851240B1 (ko) | 2011-05-23 | 2018-04-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적 시분할 복식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3002591A2 (ko) * | 2011-06-28 | 2013-0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
CN102271032B (zh) * | 2011-08-09 | 2014-11-19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实现上行反馈的方法、系统及装置 |
US8923274B2 (en) | 2011-08-15 | 2014-12-30 | Blackberry Limited | Notifying a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
CN103891341B (zh) | 2011-11-07 | 2018-06-08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基站装置和发送方法 |
US9602251B2 (en) | 2012-01-27 | 2017-03-21 | Sharp Kabushiki Kaisha | Devices for re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in time domain duplexing wireless systems |
US9768929B2 (en) * | 2012-12-21 | 2017-09-19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terference type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
-
2013
- 2013-09-23 CN CN201310436118.4A patent/CN104469950B/zh active Active
-
2014
- 2014-09-22 EP EP14846406.8A patent/EP3051898A4/en not_active Ceased
- 2014-09-22 US US15/023,345 patent/US10033576B2/en active Active
- 2014-09-22 JP JP2016537119A patent/JP6173598B2/ja active Active
- 2014-09-22 WO PCT/CN2014/087059 patent/WO2015039626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9-22 KR KR1020167005319A patent/KR1017383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2372A1 (en) * | 2012-01-23 | 2013-08-01 | Intel Corporation |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469950B (zh) | 2018-09-04 |
KR20160039661A (ko) | 2016-04-11 |
EP3051898A1 (en) | 2016-08-03 |
WO2015039626A1 (zh) | 2015-03-26 |
JP2016535526A (ja) | 2016-11-10 |
US10033576B2 (en) | 2018-07-24 |
EP3051898A4 (en) | 2016-09-14 |
JP6173598B2 (ja) | 2017-08-02 |
CN104469950A (zh) | 2015-03-25 |
US20160269226A1 (en) | 2016-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087761B (zh) | 资源映射方法及用户设备 | |
KR102341103B1 (ko) |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 수신하는 방법 및 기기 | |
JP2021525017A (ja) |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 |
WO2018082420A1 (zh) | 一种短传输时间间隔的监听指示及监听方法、装置 | |
CN109495966B (zh) | 用于传输下行数据的资源的确定和配置方法、终端和基站 | |
WO2018028270A1 (zh) | 一种发送和检测同步信号的方法、设备 | |
JP2015521416A (ja) | Harqをサポートする、ワイヤレス通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 |
CN106465283A (zh) | 一种功率分配方法及装置 | |
WO2013013643A1 (zh) | 控制信道的接收和发送方法和装置 | |
JP7196105B2 (ja) | 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リソース特定方法、装置、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 |
US1006417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in D2D UE of TDD system | |
CN110366254B (zh) | 一种资源确定方法、相关设备及系统 | |
CN103580837A (zh) | 控制信令发送、检测方法及基站及终端 | |
KR20220066360A (ko) | 정보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기기 | |
KR102757049B1 (ko) | Uci 결합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 |
CN103620978B (zh) | 参考信号序列的传输方法及设备 | |
JP2019533361A (ja) | 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20180109978A (ko) |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검출 방법 및 장치 | |
CN104823399B (zh) | 信息发送方法、基站和用户设备 | |
KR101738319B1 (ko) |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
WO2017167252A1 (zh) |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及基站 | |
CN105634667B (zh) | 一种物理下行信道的处理方法及装置 | |
WO2016169479A1 (zh) |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 |
CN110999473B (zh) |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 |
CN103313392B (zh) | 处理控制信道的方法及其通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