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365B1 - 이중 구조 스텐트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 스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4365B1 KR101734365B1 KR1020150162475A KR20150162475A KR101734365B1 KR 101734365 B1 KR101734365 B1 KR 101734365B1 KR 1020150162475 A KR1020150162475 A KR 1020150162475A KR 20150162475 A KR20150162475 A KR 20150162475A KR 101734365 B1 KR101734365 B1 KR 101734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ptfe coating
- outer stent
- inner stent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를 포함하며, 내측 스텐트는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제조된 피막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내측 스텐트의 공간부와 외측 스텐트의 공간부를 연결사로 꿰매어 연결하며, 연결사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구조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내부에 쌓인 피막형 내측 스텐트를 제거하더라도 병변부위를 비피막형 외측 스텐트로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종래보다 병변부위의 스텐트 유치기간을 늘리고, 동시에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 등과 같은 내강 특히, 담도의 내벽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서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중 구조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와 같은 내강 특히 담도의 내벽에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가 발생하면, 체액 또는 음식물을 이동시켜주는 내강으로써의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의 위치로 스텐트를 삽입하여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제조한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를 중앙에 두고 그 내면에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시트가 피착되고, 그 외면에서는 의료용 합성수지를 피복하면서 상기한 의료용 합성수지가 상기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 tetra Fluoro Ethylene)시트와 결합하여 일체로 이루진 구조로 이루어진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내부에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쌓여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래서, 병변부위에서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제거하면서, 다시 새로운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시술해야만 했었다.
즉, 병변부위의 스텐트 유치기간이 짧아질 수밖에 없었고, 반복되는 시술에 의해 환자의 피로도가 높아졌으며 동시에 비용도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시술에 의한 환자의 고통과 경제적인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특허문헌1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질 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내부에 쌓인 내측 스텐트를 제거하더라도 병변부위를 외측 스텐트로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종래보다 병변부위의 스텐트 유치기간을 늘리고, 동시에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 등과 같은 내강 특히, 담도의 내벽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서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중 구조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를 포함하며, 내측 스텐트는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제조된 피막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내측 스텐트의 공간부와 외측 스텐트의 공간부를 연결사로 꿰매어 연결하며, 내측 스텐트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의 공간부에서 노출되는 걸림단을 다수의 절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고, 연결사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쌓이더라도 피막형 내측 스텐트를 제거하고 비피막형 외측 스텐트로 계속 병변부위를 확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한 번의 시술로 종래보다 스텐트 유치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시술에 의한 환자의 피로도를 낮춰주면서,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스텐트의 다수의 공간부에 삽입된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에 걸려서 고정되며, 내측 스텐트의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을 따라 체액 또는 음식물이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즉,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며, 동시에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확관부가 체내의 내강을 누르면서 삽입되어 더 걸림되기 때문에,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방지해주며, 동시에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성장하는 병변부위가 내측 스텐트 내부로 삽입, 즉 돌출되는 것을 내측 스텐트의 다수의 공간부를 폐쇄한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사가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외측 스텐트에서 내측 스텐트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측 스텐트가 외측 스텐트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체액에 의해 연결사가 녹아도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외측 스텐트에서 내측 스텐트가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술시 또는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걸림단이 외측 스텐트의 와이어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려서, 외측 스텐트에서 내측 스텐트가 더욱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액 역류시 외측 스텐트에서 노출된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이 구겨져서 체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액 역류시 돌출단에 의해서,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겨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액 역류에서 체액 순류시 돌출단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중 구조 스텐트의 내부가 폐쇄에서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사가 체액에 의해 녹기 때문에 외측 스텐트에서 노출된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과 돌출단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외측 스텐트에서 내측 스텐트를 더욱 용이하게 이탈시켜 체내의 내강에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TFE 피막 또는 실리콘 피막에 의해 병변부위가 내측 스텐트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성장되지 못했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를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아 체내의 내강에서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절곡단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걸림단이 외측 스텐트의 와이어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림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를 체내의 내강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스텐트 내측에 내측 스텐트가 위치되지 않아 더 유연성을 가진 연장부가, 시술시 체내의 내강을 덜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부는 체내의 내강이 굴곡지게 변형될 때마다 그 형상에 맞게 변형되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을 덜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
거기에다, 연장부의 절곡단이 내측으로 둥글게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시술할 때 또는 체내의 내강이 굴곡지게 변형될 때 체내의 내강에 대한 걸림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체내의 내강을 더욱 덜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스텐트 내측에 내측 스텐트가 위치되지 않아 더 유연성을 가진 확관부가, 시술할 때 또는 체내의 내강이 굴곡지게 변형될 때 체내의 내강에 대한 자극을 덜 주면서 걸림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5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6,7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5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6,7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9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를 따른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스텐트 시술장치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와 같은 체내의 내강 특히, 담도의 내벽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삽입되어, 상기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를 확장시켜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이 표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10)가 폐쇄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표면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감싸면서 결합시켜 형성한 PTFE 피막(140)에 의해 공간부(110)가 폐쇄된다.
그래서,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와 내측 스텐트(100a)의 폐쇄된 공간부(110)는 서로 통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외측 스텐트(100b)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내,외측 스텐트(100a)(100b)의 한쪽에 동일하게 위치한 공간부(110)(120)가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된다.
즉,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 제조된 연결사(160)는 PLLA(Poly L-lactic acid), PLA(Poly 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PGLA(Poly glycolide-co-L- lactide acid), PDO)Polydioxanone) 및 PGCL(Poly glycolide-cocaprolactone)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서로 혼합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내의 내강에 암 조직, 악성 종양 등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카데터와 같은 스텐트 시술장치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가 삽입되어 시술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로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삽입되지만, 내측 스텐트(100a)의 폐쇄된 공간부(110)로 삽입되지는 못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이 공간부(110)에 형성되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까지만 삽입된다.
다시 말해, 삽입된 상기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에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가 걸림되기 때문에,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는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를 폐쇄시킨 PTFE 피막(140)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로 삽입 즉 돌출되지 못한다.
즉,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가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로 돌출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적어도 동일 또는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체액에 의해 연결사(160)가 녹게 되고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서 내측 스텐트(100a)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를 확장시켜주면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을 통해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연결사(160)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술 후 시간이 지나면 체액에 의해 녹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절곡단(130)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131)은 PTFE 피막(140)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걸림단(131)이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절곡단(130)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걸림단(131)은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림이 최소화 되면서 상기 공간부(120)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PTFE 피막(14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길이가 내측 스텐트(100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132)의 공간부(110)는 길이가 연장 형성된 PTFE 피막(140)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하여, 제2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 PTFE 피막(140)이 구겨진다.
즉, 역류하는 상기 체액에 의해서 PTFE 피막(140)이 구겨져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동시에 체액의 역류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구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액의 순류시 구겨져 있던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외측 스텐트(100b) 한쪽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의 내측에는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부(180)는 이중으로 된 상기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성을 더 가지게 된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80)는 내측에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되지 않아 유연성을 더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체내의 내강 형상과 맞게 이중으로 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하게 굴곡지면서 변형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는 굴곡진 체내의 내강을 덜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절곡단(130)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4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연장부(18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131)은 PTFE 피막(140)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제4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걸림단(131)이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절곡단(130)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걸림단(131)은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림이 최소화 되면서 상기 공간부(120)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4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연장부(180)의 각 절곡단(130)은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된다.
즉, 각 상기 절곡단(130)은 체내의 내강에 접촉되는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제4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80)는 굴곡진 체내의 내강 형상과 맞게 이중으로 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하게 굴곡지면서 변형되며, 상기 연장부(180)의 내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된 각 절곡단(130)은 굴곡진 체내의 내강에 잘 걸리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는 굴곡진 체내의 내강을 더욱 덜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절곡단(130)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6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PTFE 피막(140)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길이가 연장부(18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132)의 공간부(110)는 길이가 연장 형성된 PTFE 피막(140)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하여, 제6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 PTFE 피막(140)이 구겨진다.
즉, 역류하는 상기 체액에 의해서 PTFE 피막(140)이 구겨져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동시에 체액의 역류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구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액의 순류시 구겨져 있던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PTFE 피막(140)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길이가 연장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132)의 공간부(110)는 길이가 연장 형성된 PTFE 피막(140)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 PTFE 피막(140)이 구겨진다.
즉, 역류하는 상기 체액에 의해서 PTFE 피막(140)이 구겨져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동시에 체액의 역류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구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액의 순류시 구겨져 있던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8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외측 스텐트(100b) 한쪽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가 돌출단(132)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의 내측에는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부(180)는 이중으로 된 상기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성을 더 가지게 된다.
그리하여, 제8실시예에서 더 포함된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80)는 내측에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되지 않아 유연성을 더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체내의 내강 형상과 맞게 이중으로 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하게 굴곡지면서 변형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는 굴곡진 체내의 내강을 덜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이 표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10)가 폐쇄된다.
즉,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와 내측 스텐트(100a)의 폐쇄된 공간부(110)는 서로 통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외측 스텐트(100b)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의 내측에는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부(180)는 이중으로 된 상기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성을 더 가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연장부(18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1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131)은 PTFE 피막(140)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PTFE 피막(140)은 한쪽 길이가 내측 스텐트(100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이 다수의 절곡단(130)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절곡단(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132)의 공간부(110)는 길이가 연장 형성된 PTFE 피막(140)에 의해 폐쇄된다.
더불어, 상기 연장부(18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상기 공간부(110)와 동일하게 위치하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가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된다.
즉,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 제조된 연결사(160)는 PLLA(Poly L-lactic acid), PLA(Poly 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PGLA(Poly glycolide-co-L- lactide acid), PDO)Polydioxanone) 및 PGCL(Poly glycolide-cocaprolactone)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서로 혼합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내의 내강에 암 조직, 악성 종양 등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카데터와 같은 스텐트 시술장치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가 삽입되어 시술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로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삽입되지만, 내측 스텐트(100a)의 폐쇄된 공간부(110)로 삽입되지는 못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이 공간부(110)에 형성되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까지만 삽입된다.
다시 말해, 삽입된 상기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에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가 걸림되기 때문에,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는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를 폐쇄시킨 PTFE 피막(140)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로 삽입 즉 돌출되지 못한다.
즉,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가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로 돌출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적어도 동일 또는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체액에 의해 연결사(160)가 녹게 되고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서 내측 스텐트(100a)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걸림단(131)이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를 확장시켜주면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을 통해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연결사(160)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술 후 시간이 지나면 체액에 의해 녹게 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 PTFE 피막(140)이 구겨진다.
즉, 역류하는 상기 체액에 의해서 PTFE 피막(140)이 구겨져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동시에 체액의 역류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구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액의 순류시 구겨져 있던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거기에다, 상기 연장부(180)는 내측에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되지 않아 유연성을 더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체내의 내강 형상과 맞게 이중으로 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하게 굴곡지면서 변형된다.
즉, 상기 연장부(180)는 굴곡진 체내의 내강을 덜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단(131)은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림이 최소화 되면서 상기 공간부(120)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10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제10실시예의 연장부(180)가 아닌,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면서 바깥지름이 커지는 확관부(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확관부(150)의 내측에는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확관부(150)는 이중으로 된 상기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성을 더 가지게 되며, 체내의 내강을 누르면서 삽입되어 걸림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반대편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반대편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지 않으면서 바깥지름이 커지는 확관부(15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체내의 내강에 더 걸림된다.
한편, 상기 확관부(15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둥근면(151)을 외면에 가지거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평평한 형태로 경시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단(152)과, 상기 경사단(152)에서 평평한 형태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단(15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도 25 및 도 26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내의 내강에 암 조직, 악성 종양 등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카데터와 같은 스텐트 시술장치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가 삽입되어 시술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로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삽입되지만, 내측 스텐트(100a)의 폐쇄된 공간부(110)로 삽입되지는 못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이 공간부(110)에 형성되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이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까지만 삽입된다.
다시 말해, 삽입된 상기 체내의 내강 주변조직 일부분 및 병변부위의 일부분에 외측 스텐트(100b)의 다수의 공간부(120)가 걸림되기 때문에,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거기에다, 상기 확관부(150)도 체내의 내강을 누르면서 삽입되어 걸림되기 때문에,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에서 더욱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15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둥근면(151)을 외면에 가지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을 덜 누르면서 삽입되어 걸림된다.
반대로, 상기 확관부(15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평평한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단(152)과 상기 경사단(152)에서 평평한 형태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단(153)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내의 내강을 많이 누르면서 삽입되어 걸림된다.
한편,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는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를 폐쇄시킨 PTFE 피막(140)에 의해,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로 삽입 즉 돌출되지 못한다.
즉, 성장하는 상기 병변부위가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로 돌출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적어도 동일 또는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체액에 의해 연결사(160)가 녹게 되고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서 내측 스텐트(100a)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걸림단(131)이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병변부위를 확장시켜주면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피막(140)을 통해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연결사(160)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술 후 시간이 지나면 체액에 의해 녹게 된다.
한편,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액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된 PTFE 피막(140)이 구겨진다.
즉, 역류하는 상기 체액에 의해서 PTFE 피막(140)이 구겨져 이중 구조 스텐트(100)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면서, 동시에 체액의 역류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쪽을 향해 구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액의 순류시 구겨져 있던 PTFE 피막(140)은 돌출단(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거기에다,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이 위치되지 않은 확관부(150)는 유연성을 더 가지기 때문에, 굴곡진 체내의 내강 형상과 맞게 이중으로 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보다 유연하게 굴곡지면서 변형되어 체내의 내강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의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을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동시에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돌출단(132)과 PTFE 피막(140)은 외측 스텐트(10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단(131)은 절곡단(130)에서 담즙과 같은 체액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120) 주변의 와이어(1)의 엮음부 또는 교차부에 걸림이 최소화 되면서 상기 공간부(120)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구조 스텐트(100)의 내측 스텐트(100a)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에 함침 또는 스프레이로 코팅된 실리콘 피막(170)이 표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보다 탄성력이 좋은 실리콘 피막(170)이 표면에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실리콘 피막(170)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110)도 폐쇄된다.
그리하여, 제1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따른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는 스텐트 시술장치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담도와 같은 체내의 내강 특히, 담도의 내벽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삽입되어, 상기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를 확장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담즙과 같은 체액 또는 음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내측 스텐트(100a)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텐트(100a)를 내시경용 파악겸자로 잡아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를 외측 스텐트(100b)의 내부에서 이탈시켜 제거한다.
그럼, 제1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중 구조 스텐트(100)에서 남겨진 외측 스텐트(100b)로 병변부위의 확장을 지속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120 : 공간부 130 : 절곡단
131 : 걸림단 132 : 돌출단
140 : PTFE 피막 150 : 확관부
160 : 연결사 170 : 실리콘 피막
180 : 연장부 100a : 내측 스텐트
100b : 외측 스텐트 100 : 이중 구조 스텐트
131 : 걸림단 132 : 돌출단
140 : PTFE 피막 150 : 확관부
160 : 연결사 170 : 실리콘 피막
180 : 연장부 100a : 내측 스텐트
100b : 외측 스텐트 100 : 이중 구조 스텐트
Claims (25)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를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FE 피막(140)은 한쪽 길이를 내측 스텐트(100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돌출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으로 코팅해 실리콘 피막(170)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고,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를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18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를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하며,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80)의 각 절곡단(130)은 내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TFE 피막(140)은 한쪽 길이를 연장부(18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돌출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으로 코팅해 실리콘 피막(170)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되어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으로 노출되고,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돌출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를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하며,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를 돌출단(132)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으로 코팅해 실리콘 피막(170)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하며,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부(180)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8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1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며,
상기 PTFE 피막(140)은 한쪽 길이를 내측 스텐트(100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연장부(180)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돌출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를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하고,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으로 코팅해 실리콘 피막(170)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110)(120)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130)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폭은 외측 스텐트(100b)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 스텐트(100a)가 외측 스텐트(100b)의 내측에 압착된 상태로 구성하며,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면서 바깥지름이 커지는 확관부(150)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150)에 근접한 내측 스텐트(100a)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10)에서 노출되는 걸림단(131)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며,
상기 PTFE 피막(140)은 한쪽 길이를 내측 스텐트(100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확관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의 길이가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단(132)을 다수의 절곡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돌출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100b)의 한쪽에서 노출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100a)의 공간부(110)와 외측 스텐트(100b)의 공간부(120)를 연결사(160)로 꿰매어 연결하고,
상기 연결사(160)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텐트(100b)의 반대편 한쪽은 내측 스텐트(100a)의 반대편 한쪽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지 않으면서 바깥지름이 커지는 확관부(150)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50)는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둥근면(15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50)는 외측 스텐트(100b)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경사단(152)과 상기 경사단(152)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단(1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텐트(100a)는 PTFE 피막(140)을 대신하여 실리콘 용액으로 코팅해 실리콘 피막(170)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공간부(11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475A KR101734365B1 (ko) | 2015-11-19 | 2015-11-19 | 이중 구조 스텐트 |
PCT/KR2016/011395 WO2017086605A1 (ko) | 2015-11-19 | 2016-10-12 | 이중 구조 스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475A KR101734365B1 (ko) | 2015-11-19 | 2015-11-19 | 이중 구조 스텐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4365B1 true KR101734365B1 (ko) | 2017-05-11 |
Family
ID=5871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2475A KR101734365B1 (ko) | 2015-11-19 | 2015-11-19 | 이중 구조 스텐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4365B1 (ko) |
WO (1) | WO201708660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6782A (ko) * | 2019-04-02 | 2020-10-13 | 주식회사 비씨엠 |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
KR20200137404A (ko) * | 2019-05-30 | 2020-12-09 | 박성욱 | 길이 조절 가능한 내강용 스텐트 |
KR20230026746A (ko) | 2021-08-18 | 2023-02-27 | (주) 태웅메디칼 | 역류 최소화 스텐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32025A1 (en) * | 2003-11-25 | 2009-05-21 | Shank Peter J | Composite stent with inner and outer stent eleme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984B1 (ko) * | 2008-10-23 | 2011-01-12 | 신경민 | 체내 분해성 2중 구조 스텐트 |
US8114147B2 (en) * | 2008-06-16 | 2012-02-14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Continuous double layered stent for migration resistance |
KR101065368B1 (ko) * | 2009-07-17 | 2011-09-19 | 신경민 | 비만 환자 치료용 스텐트 |
US9867725B2 (en) * | 2010-12-13 | 2018-01-16 | Microvention, Inc. | Stent |
-
2015
- 2015-11-19 KR KR1020150162475A patent/KR101734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0-12 WO PCT/KR2016/011395 patent/WO201708660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32025A1 (en) * | 2003-11-25 | 2009-05-21 | Shank Peter J | Composite stent with inner and outer stent eleme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6782A (ko) * | 2019-04-02 | 2020-10-13 | 주식회사 비씨엠 |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
KR102223068B1 (ko) * | 2019-04-02 | 2021-03-04 | 주식회사 비씨엠 |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
KR20200137404A (ko) * | 2019-05-30 | 2020-12-09 | 박성욱 | 길이 조절 가능한 내강용 스텐트 |
KR102235960B1 (ko) * | 2019-05-30 | 2021-04-02 | 박성욱 | 길이 조절 가능한 내강용 스텐트 |
KR20230026746A (ko) | 2021-08-18 | 2023-02-27 | (주) 태웅메디칼 | 역류 최소화 스텐트 |
KR102660220B1 (ko) | 2021-08-18 | 2024-04-23 | (주)태웅메디칼 | 역류 최소화 스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86605A1 (ko) | 2017-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70116B2 (ja) | 反転する血栓除去装置 | |
JP4490099B2 (ja) | バルブ付き医療用ステントおよび関連製造方法 | |
JP7036660B2 (ja) | ステント | |
US20240277497A1 (en) | Endoluminal device | |
EP2802273B1 (en) | Implantable shape-memory occlusion devices | |
US5354309A (en) | Apparatus for widening a stenosis in a body cavity | |
KR102313261B1 (ko) | 식도 스텐트 | |
CA2892269C (en) | Esophageal stent | |
US7462190B2 (en) | Stent matrix | |
US20080114391A1 (en) | Aneurysm covering devices and delivery devices | |
JP2006506201A (ja) |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 |
KR101382524B1 (ko) | 돌출형 부분이중구조 스텐트 | |
JPH04256759A (ja) | 体内管の狭窄部位を拡張させる装置 | |
JP6317826B2 (ja) |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34365B1 (ko) | 이중 구조 스텐트 | |
JP2011504407A (ja) | 円筒形ステント | |
KR102614314B1 (ko) | 비외상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스텐트 | |
CN107847331B (zh) | 具有改进的防滑功能的支架 | |
JP2004049806A (ja) |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 |
JP2005131401A (ja) | プロテーゼ支持リング組立体 | |
KR102223068B1 (ko) |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킨 스텐트 | |
JP6543948B2 (ja) | 生分解性ステント | |
JP4429833B2 (ja) |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 |
JP4327548B2 (ja) | ステント | |
WO2020195841A1 (ja) | カバードステ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